KR2021009549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493A
KR20210095493A KR1020200009477A KR20200009477A KR20210095493A KR 20210095493 A KR20210095493 A KR 20210095493A KR 1020200009477 A KR1020200009477 A KR 1020200009477A KR 20200009477 A KR20200009477 A KR 20200009477A KR 20210095493 A KR20210095493 A KR 2021009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ing
gear
suppor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초민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493A/ko
Priority to PCT/KR2021/000642 priority patent/WO2021149981A1/en
Priority to US17/153,447 priority patent/US11353258B2/en
Publication of KR2021009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3C-shaped brackets for gripping the shelf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선반이 배치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선반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지지부, 상기 선반의 상부에서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고, 상기 선반 지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고정부 및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선반 지지부보다 상기 선반 고정부의 이동거리가 길게 하여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선반의 고정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따라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변화되는 선반 고정장치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저장실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선반이 마련된다.
선반은 저장실의 양 측벽에 지지되는데, 일반적으로 저장실의 양 측벽에 마련되는 지지부에 선반을 올려놓는 구조로 마련된다.
선반이 지지부에 올려져 지지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되면, 선반이 지지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선반이 배치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선반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지지부, 상기 선반의 상부에서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고, 상기 선반 지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고정부 및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선반 지지부보다 상기 선반 고정부의 이동거리가 길게 하여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선반의 고정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반 지지부 및 선반 고정부와 각각 연동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기어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반 지지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선반 고정부 및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기어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에는 각각 상기 선반 고정장치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부에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제1개구와 상기 선반 고정장치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제1개구를 커버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2개구를 커버하는 제2커버와, 상기 선반 지지부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선반 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선반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고정부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개구부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2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선반이 상기 선반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회전 중심이 되는 제1회전홀과, 상기 제1회전홀로부터 상기 선반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회전중홀로부터 상기 상기 선반 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회전부재와, 회전 중심이 되는 제2회전홀과, 상기 제2회전홀로부터 상기 선반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연장부와 연결되는 제3연장부와, 상기 제2회전홀로부터 상기 선반 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반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4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1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1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4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2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2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제1연장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부는 상기 제4연장부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선반이 배치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선반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지지부, 상기 선반의 상부에서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고, 상기 선반 지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고정부 및 한 쌍의 기어로 마련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기어의 기어비에 의해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의 이동거리가 상이하도록 하여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선반의 고정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기어는 상기 선반 지지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선반 고정부 및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기어보다 큰 회전수를 갖는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부는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와,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될수록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선반 고정부와 상기 선반 지지부의 거리가 좁혀져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하면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력도 함께 증가하여 선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가 저장실의 양 측벽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에 선반을 고정시키기 위해 선반을 저장실 내부로 인입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이 선반 고정장치의 선반 지지부와 선반 고정부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의 선반 고정부와 선반 지지부 사이로 선반이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반이 선반 고정장치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 및 선반 고정부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반이 선반 고정장치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 및 선반 고정부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5, 도 2 참조)가 발포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상부 저장실인 냉장실(21)과, 하부 저장실인 냉동실(23)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0) 내부에는 상부에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반(40)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선반(40)은 각각 저장실(20)의 양 측벽에 마련되는 선반 고정장치(100)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20)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저장용기(25)가 마련될 수 있다. 선반 고정장치(100) 및 선반 고정장치(100)가 저장실(20)의 양 측벽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냉장실(21)과 냉동실(23)은 각각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와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30)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가드(35)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와, 저장실(20)의 후면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미도시)와, 증발기 상부에 마련되어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저장실(20)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송풍팬(미도시)과, 송풍팬에 의해 유도된 냉기를 저장실(20)로 안내하여 저장실(20)로 토출시키는 냉기덕트(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가 저장실의 양 측벽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에 선반을 고정시키기 위해 선반을 저장실 내부로 인입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이 선반 고정장치의 선반 지지부와 선반 고정부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반(40)은 저장실(20) 중 냉장실(21)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실(21)의 양 측벽에는 선반 고정장치(10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홈(27)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 고정장치(100)는 한 개의 선반을 고정시키기 위해 냉장실(21)의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27)은 선반 고정장치(100)와 대응되도록 냉장실(21)의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선반 고정장치(100)가 냉장실(21)의 양 측벽에 설치된 후에는 선반(40)이 냉장실(2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선반(40)은 선반 고정장치(100)의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자세한 구성은 하기하겠지만, 선반(40)은 선반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고, 선반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냉장실(21)이 상부에 배치되고, 냉동실(23)이 하부에 배치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반 고정장치(100)는 다른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의 선반 고정부와 선반 지지부 사이로 선반이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고정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내부에 마련되어 선반(40)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120)와, 케이스(110) 내부에 마련되어 선반(40)을 고정하는 선반 고정부(140)와,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를 연결하는 연결부(160)와, 선반 지지부(120)의 하부에서 선반 지지부(1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S)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저장실(20)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홈(27)에 삽입될 수 있다.(도 2 참조) 케이스(110)는 상부에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제1개구(111)와, 케이스(110)가 삽입홈(27)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케이스(110) 내부에는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와 연결부(160)와 탄성부재(S)가 마련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와 연결부(160)와 탄성부재(S)는 제1개구(111) 및 제2개구(112)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반 고정장치(100)는 케이스(110)의 제1개구(111)를 커버하는 제1커버(180)와, 제2개구(112)를 커버하는 제2커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190)는 하기할 선반 지지부(120)의 지지 플레이트(125)가 돌출되는 제1개구부(191)와, 선반 고정부(140)의 고정돌기(145)가 돌출되는 제2개구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선반 지지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113)와, 선반 고정부(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13)는 케이스(110)의 양 측벽 중 일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114)는 케이스(110)의 양 측벽 중 제1가이드돌기(113)가 마련되는 일 측벽의 반대쪽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기할 연결부(160)의 제1기어(16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회전축(115)과, 제2기어(163)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회전축(116)과, 탄성부재(S)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는 케이스(110)의 제1가이드돌기(113)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1가이드홈(121)과, 연결부(160)의 제1기어(161)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123)와, 제2커버(190)의 제1개구부(191)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25)와, 탄성부재(S)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의 제1가이드홈(121)이 케이스(110)의 제1가이드돌기(1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선반 지지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랙기어(123)는 연결부(160)의 제1기어(161)와 치합되어 선반 지지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기어(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기어(161)는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5)는 제2커버(190)의 제1개구부(191)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개구부(191)는 선반 지지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 플레이트(12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127)는 탄성부재(S)의 일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S)의 타측은 케이스(110)에 마련된 제2지지부(117)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S)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선반 지지부(120)와 케이스(110)의 하부면에 탄성 지지되어 선반(40)의 하중이 가벼울 때는 탄성부재(S)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선반 지지부(120)가 탄성부재(S)에 의해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고 표현했지만, 이는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될 때와 비교한 높이일 수 있다. 즉, 선반(40)이 선반 고정장치(100)에 고정되지 않았을 때의 선반 지지부(120)의 높이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선반 고정부(140)는 케이스(110)의 제2가이드돌기(11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2가이드홈(141)과, 연결부(160)의 제2기어(163)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143)와, 제2커버(190)의 제2개구부(193)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 고정부(140)의 제2가이드홈(141)이 케이스(110)의 제2가이드돌기(114)에 의해 가이드되어 선반 고정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랙기어(143)는 연결부(160)의 제2기어(163)와 치합되어 제2기어(163)가 회전될 때, 선반 고정부(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기어(161)는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기어(163)는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16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기어(163)와 치합된 제2랙기어(143)에 의해 선반 고정부(14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돌기(145)는 제2커버(190)의 제2개구부(193)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의 상부에서 선반(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개구부(193)는 선반 고정부(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고정돌기(14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선반(40)이 고정돌기(14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선반(40)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고정홈(41)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145)가 고정홈(41)에 삽입되어 선반(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4 및 도 8 참조)
연결부(160)는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0)는 선반 지지부(120) 및 선반 고정부(140)와 각각 연동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161, 163)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60)는 선반 지지부(120)의 제1랙기어(123)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161)와, 선반 고정부(140)의 제2랙기어(143)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161)는 케이스(110)의 제1회전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기어(161)는 선반 지지부(120)의 제1랙기어(123)와 제2기어(163) 사이에 배치되어 제1랙기어(123) 및 제2기어(163)와 치합될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기어(161)는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기어(163)는 제1기어(161)에 의해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163)는 케이스(110)의 제2회전축(1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기어(163)는 제1기어(161)와 선반 고정부(140)의 제2랙기어(143) 사이에 배치되어 제2기어(163) 및 제2랙기어(143)와 치합될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기어(161)가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기어(161)와 치합된 제2기어(163)는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기어(163)와 치합된 제2랙기어(143)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선반 고정부(14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기어(161)와 제2기어(163)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보다 선반 고정부(14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크게 하기 위해 제1기어(161)는 제2기어(163)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기어(161)의 기어 잇수가 제2기어(163)의 기어 잇수보다 많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기어(161)의 크기가 제2기어(163)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1기어(161)의 회전수보다 제2기어(163)의 회전수가 더 클 수 있다. 제1기어(161)와 제2기어(163)의 기어비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보다 선반 고정부(140)의 이동거리가 더 길기 때문에, 선반(40)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선반(40)은 선반 고정부(140)에 의해 더 큰 고정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선반(40)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가 좁혀져서 선반 고정부(140)의 고정돌기(145)는 선반(40)의 고정홈(41)에 더 깊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반(40)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선반(40)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증가하여 선반(40)이 선반 고정장치(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S)는 일측이 선반 지지부(120)의 제1지지부(127)에 지지되고, 타측이 케이스(110)의 제2지지부(117)에 지지될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을 때는 탄성부재(S)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될 때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되면, 선반 지지부(12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S)를 압축시킬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감소되면, 선반 지지부(120)는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변화될 때, 선반 고정장치(100)가 선반(40)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변화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반이 선반 고정장치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 및 선반 고정부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선반(40) 자체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조금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는 선반 고정장치(100)의 고정력이 크지 않아도 선반(40)이 선반 고정장치(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40) 상부에 저장용기(25)에 의해 음식물이 보관되면,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는 제1가이드돌기(113)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1가이드홈(121)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S)는 선반 지지부(12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랙기어(123)에 의해 제1기어(161)는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기어(161)가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기어(163)는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기어(161)가 제2기어(163)보다 크기 때문에, 제1기어(161)보다 제2기어(163)의 회전수가 더 클 수 있다.
제2기어(163)가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랙기어(143)는 제2가이드돌기(11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2가이드홈(141)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기어(163)의 회전수가 제1기어(161)의 회전수보다 크기 때문에, 선반 고정부(140)는 선반 지지부(120)보다 하부 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는 좁혀질 수 있다. 선반 지지부(120)와 선반 고정부(140)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가 좁혀지면, 선반 고정부(140)의 고정돌기(145)는 선반(40)의 고정홈(41)에 더 깊게 삽입되어 선반 고정장치(100)의 고정력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선반 고정장치(100)가 선반(40)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커지기 때문에,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하여도 선반(40)이 선반 고정장치(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선반(40)에서 치우게 되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선반 지지부(120)는 제1가이드돌기(113)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1가이드홈(121)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을 때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선반 지지부(1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기어(161)는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기어(163)는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163)가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반 고정부(140)는 제2가이드돌기(11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2가이드홈(141)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선반 지지부(1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보다 선반 고정부(14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크기 때문에, 선반 고정장치(100)의 고정력은 작아질 수 있다.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기 때문에, 이때는 선반 고정장치(100)의 고정력이 작아도 선반(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40)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고정홈(51)이 형성된 고정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선반(40)의 양 측면 테두리에 일체로 고정홈(41)이 형성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고정홈(51)이 형성된 고정부재(50)가 별도로 마련되고, 고정부재(50)를 선반(40)의 양 측면 테두리에 결합시키는 차이만 있을 뿐, 선반 고정장치(100)에 의해 선반(40)이 고정되는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반이 선반 고정장치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 및 선반 고정부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고정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내부에 마련되어 선반(40)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130)와, 케이스(110) 내부에 마련되어 선반(40)을 고정하는 선반 고정부(150)와,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선반 지지부(130)와 선반 고정부(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67)와, 선반 지지부(130)의 하부에서 선반 지지부(1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S)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저장실(20)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홈(27)에 삽입될 수 있다.(도 2 참조) 케이스(110)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케이스(110)의 구성과 일부 구성의 형상이 조금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형상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케이스(110)가 제1개구(111)와, 제2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 내부에는 선반 지지부(130)와 선반 고정부(150)와 연결부(170)와 탄성부재(S)가 마련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30)와 선반 고정부(150)와 연결부(170)와 탄성부재(S)는 제1개구(111) 및 제2개구(112)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반 고정장치(100)는 제1커버(180)와, 제2커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190)는 선반 지지부(130)의 지지 플레이트(135)가 돌출되는 제1개구부(191)와, 선반 고정부(150)의 고정돌기(155)가 돌출되는 제2개구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선반 지지부(1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113')와, 선반 고정부(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13')는 케이스(110)의 양 측벽 중 일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114')는 케이스(110)의 양 측벽 중 제1가이드돌기(113')가 마련되는 일 측벽의 반대쪽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기할 연결부(170)의 제1회전부재(17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회전축(115')과, 제2회전부재(175)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회전축(116')과, 탄성부재(S)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30)는 케이스(110)의 제1가이드돌기(113')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1가이드홈(131)과, 연결부(170)의 제1연장부(173)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133)와, 제2커버(190)의 제1개구부(191)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35)와, 탄성부재(S)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30)의 제1가이드홈(131)이 케이스(110)의 제1가이드돌기(1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선반 지지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연결부(133)는 홈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1회전부재(171)의 제1연장부(17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133)는 선반 지지부(1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회전부재(171)를 제1회전홀(17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선반 지지부(13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회전부재(171)는 제1회전홀(17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35)는 제2커버(190)의 제1개구부(191)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개구부(191)는 선반 지지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 플레이트(13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137)는 탄성부재(S)의 일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S)의 타측은 케이스(110)에 마련된 제2지지부(117)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S)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선반 지지부(130)와 케이스(110)의 하부면에 탄성 지지되어 선반(40)의 하중이 가벼울 때는 탄성부재(S)에 의해 선반 지지부(13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선반 지지부(130)가 탄성부재(S)에 의해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선반 지지부(13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고 표현했지만, 이는 선반(40) 상부에 음식물이 보관될 때와 비교한 높이일 수 있다. 즉, 선반(40)이 선반 고정장치(100')에 고정되지 않았을 때의 선반 지지부(130)의 높이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가장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선반 고정부(150)는 케이스(110)의 제2가이드돌기(11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2가이드홈(151)과, 연결부(170)의 제4연장부(178)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153)와, 제2커버(190)의 제2개구부(193)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 고정부(150)의 제2가이드홈(151)이 케이스(110)의 제2가이드돌기(114')에 의해 가이드되어 선반 고정부(15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연결부(153)는 돌기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2회전부재(175)의 제4연장부(178)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153)는 제1회전부재(171)에 의해 제2회전부재(175)가 회전될 때, 선반 고정부(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돌기(155)는 제2커버(190)의 제2개구부(193)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선반(40)의 상부에서 선반(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개구부(193)는 선반 고정부(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고정돌기(15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선반(40)이 고정돌기(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선반(40)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고정홈(41)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155)가 고정홈(41)에 삽입되어 선반(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4 및 도 8 참조)
연결부(170)는 선반 지지부(130)와 선반 고정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선반 지지부(130)와 선반 고정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70)는 선반 지지부(130) 및 선반 고정부(150)와 각각 연동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171, 175)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70)는 제1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부재(171)와, 제2회전축(11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171)는 케이스(110)의 제1회전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제1회전홀(172)과, 제1회전홀(172)로부터 선반 지지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 지지부(130)와 연결되는 제1연장부(173)와, 제1회전홀(172)로부터 선반 고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부재(175)는 케이스(110)의 제2회전축(1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제2회전홀(176)과, 제2회전홀(176)로부터 선반 지지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부(174)와 연결되는 제3연장부(177)와, 제2회전홀(176)로부터 선반 고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 고정부(150)와 연결되는 제4연장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173)는 선반 지지부(130)의 홈 형상을 갖는 제1연결부(133)에 연결되는 제1연결돌기(17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부는(174)는 제3연장부(177)와 연결되는 제1연결홈(17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연장부(177)는 제2연장부(174)의 제1연결홈(174a)에 연결되는 제2연결돌기(17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연장부(178)는 선반 고정부(150)의 돌기 형상을 갖는 제2연결부(153)에 연결되는 제2연결홈(178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171)는 제2연장부(174)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1)가 제1연장부(173)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회전부재(175)는 제4연장부(178)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3)가 제3연장부(177)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4)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연장부(174)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1)는 제4연장부(178)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3)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173)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2)는 제3연장부(177)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4)와 동일할 수 있다.
연결부(170)는 제1회전부재(171)의 제1연장부(173)와 제2연장부(174)의 길이 차이 및 제2회전부재(175)의 제3연장부(177)와 제4연장부(178)의 길이 차이를 통해 선반 지지부(130)가 이동되는 거리보다 선반 고정부(150)가 이동되는 거리가 더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2연장부(174)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1)와 제4연장부(178)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3)가 각각 제1연장부(173)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2)와 제3연장부(177)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4)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회전부재(171) 보다는 제2회전부재(175)의 토크가 크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반 지지부(130) 보다 선반 고정부(150)의 이동거리가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40) 상부에 저장용기(25)에 의해 음식물이 보관되면,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선반 지지부(130)는 제1가이드돌기(113')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1가이드홈(131)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S)는 선반 지지부(13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도 9 참조)
선반 지지부(13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회전부재(171)는 제1회전홀(17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171)가 제1회전홀(17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회전부재(175)는 제2회전홀(17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연장부(174)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1)와 제4연장부(178)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3)가 각각 제1연장부(173)의 끝단과 제1회전홀(172)의 중심 사이의 거리(D2)와 제3연장부(177)의 끝단과 제2회전홀(176)의 중심 사이의 거리(D4)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회전부재(171) 보다는 제2회전부재(175)의 토크가 더 클 수 있다.
제2회전부재(175)가 제2회전홀(17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반 고정부(150)는 제2가이드돌기(11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2가이드홈(151)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부재(175)의 토크가 제1회전부재(171)의 토크보다 크기 때문에, 선반 고정부(145)는 선반 지지부(130)보다 하부 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반 지지부(130)와 선반 고정부(150)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는 좁혀질 수 있다. 선반 지지부(130)와 선반 고정부(150)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가 좁혀지면, 선반 고정부(150)의 고정돌기(155)는 선반(40)의 고정홈(41)에 더 깊게 삽입되어 선반 고정장치(100')의 고정력을 더 크게 할 수 있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이,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선반 고정장치(100')가 선반(40)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커지기 때문에, 선반(40) 상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하여도 선반(40)이 선반 고정장치(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내상
13 : 외상 15 : 단열재
17 : 격벽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3 : 냉동실 25 : 저장용기
27 : 삽입홈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도어가드
40 : 선반 41 : 고정홈
50 : 고정부재 51 : 고정홈
100, 100' : 선반 고정장치
110 : 케이스 111 : 제1개구
112 : 제2개구 113, 113' : 제1가이드돌기
114, 114' : 제2가이드돌기 115, 115' : 제1회전축
116, 116' : 제2회전축 117 : 제2지지부
120, 130 : 선반 지지부 121, 131 : 제1가이드홈
123 : 제1랙기어 125, 135 : 지지 플레이트
127, 137 : 제2지지부 133 : 제1연결부
140, 150 : 선반 고정부 141, 151 : 제2가이드홈
143 : 제2랙기어 145, 155 : 고정돌기
153 : 제2연결부
160, 170 : 연결부 161 : 제1기어
163 : 제2기어
171 : 제1회전부재 172 : 제1회전홀
173 : 제1연장부 173a : 제1연결돌기
174 : 제2연장부 174a : 제1연결홈
175 : 제2회전부재 176 : 제2회전홀
177 : 제3연장부 177a : 제2연결돌기
178 : 제4연장부 178a : 제2연결홈
180 : 제1커버
190 : 제2커버 191 : 제1개구부
193 : 제2개구부
S : 탄성부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선반이 배치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선반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지지부;
    상기 선반의 상부에서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고, 상기 선반 지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고정부; 및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선반 지지부보다 상기 선반 고정부의 이동거리가 길게 하여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선반의 고정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반 지지부 및 선반 고정부와 각각 연동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기어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반 지지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선반 고정부 및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기어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에는 각각 상기 선반 고정장치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홈이 마련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부에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제1개구와 상기 선반 고정장치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제1개구를 커버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2개구를 커버하는 제2커버와, 상기 선반 지지부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선반 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선반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부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개구부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2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이 마련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선반이 상기 선반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회전 중심이 되는 제1회전홀과, 상기 제1회전홀로부터 상기 선반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회전중홀로부터 상기 상기 선반 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회전부재와, 회전 중심이 되는 제2회전홀과, 상기 제2회전홀로부터 상기 선반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연장부와 연결되는 제3연장부와, 상기 제2회전홀로부터 상기 선반 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반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4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1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1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4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2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제2회전홀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긴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제1연장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부는 상기 제4연장부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선반이 배치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선반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장치는,
    상기 선반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지지부;
    상기 선반의 상부에서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고, 상기 선반 지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선반 고정부; 및
    한 쌍의 기어로 마련되어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기어의 기어비에 의해 상기 선반 지지부와 상기 선반 고정부의 이동거리가 상이하도록 하여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선반의 고정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어는 상기 선반 지지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선반 고정부 및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기어보다 큰 회전수를 갖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부는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고정부는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2랙기어와, 상기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양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이 마련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증가될수록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선반 고정부와 상기 선반 지지부의 거리가 좁혀져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증가되는 냉장고.
KR1020200009477A 2020-01-23 2020-01-23 냉장고 KR20210095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77A KR20210095493A (ko) 2020-01-23 2020-01-23 냉장고
PCT/KR2021/000642 WO2021149981A1 (en) 2020-01-23 2021-01-18 Refrigerator
US17/153,447 US11353258B2 (en) 2020-01-23 2021-01-2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77A KR20210095493A (ko) 2020-01-23 2020-01-2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93A true KR20210095493A (ko) 2021-08-02

Family

ID=7696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477A KR20210095493A (ko) 2020-01-23 2020-01-23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53258B2 (ko)
KR (1) KR20210095493A (ko)
WO (1) WO20211499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481Y1 (ko) * 1994-12-28 1998-11-02 김광호 냉장고 선반의 가변구조
KR100229189B1 (ko) * 1997-10-18 1999-11-01 윤종용 냉장고
JP3648138B2 (ja) * 2000-03-27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0585696B1 (ko) 2004-06-14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KR100775822B1 (ko) 2004-12-30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높이 조절 장치
KR100895140B1 (ko) 2007-07-11 2009-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고정구조
KR100954518B1 (ko) * 2008-06-02 201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KR101218299B1 (ko) 2009-12-14 2013-01-03 공간찬넬주식회사 벽체 부착형 선반 본체 고정구를 갖는 선반
JP6486791B2 (ja) * 2015-07-31 2019-03-20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31364A1 (en) 2021-07-29
WO2021149981A1 (en) 2021-07-29
US11353258B2 (en)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959A (en) Foodstuff stor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US9568234B2 (en) Refrigerator
US9285155B2 (en) Refrigerator
KR102567530B1 (ko) 냉장고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060129664A (ko) 냉장고
KR20170093530A (ko) 냉장고
EP3994402B1 (en) Refrigerator
US11774170B2 (en) Refrigerator
KR20130103944A (ko)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835353B1 (ko) 냉장고
US11306964B2 (en) Refrigerator
US11585593B2 (en) Refrigerator
KR20210095493A (ko) 냉장고
KR100508477B1 (ko) 냉장고
US20210310287A1 (en) Refrigerator
KR100688659B1 (ko) 냉장고
JP2000088450A (ja) 貯蔵庫
JP7112968B2 (ja) 冷蔵庫
US20240085097A1 (en) Refrigerator
KR100903144B1 (ko) 냉장고
KR20240026077A (ko) 높이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 기기
KR19990034052A (ko) 냉장고
KR20240104972A (ko) 냉장고
KR2024003641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