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518B1 -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518B1
KR100954518B1 KR1020080051368A KR20080051368A KR100954518B1 KR 100954518 B1 KR100954518 B1 KR 100954518B1 KR 1020080051368 A KR1020080051368 A KR 1020080051368A KR 20080051368 A KR20080051368 A KR 20080051368A KR 100954518 B1 KR100954518 B1 KR 10095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rame
gear
lev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317A (ko
Inventor
곽광현
강병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51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내의 양측에 프레임이 제공되며, 프레임의 내측에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되는 조작기구와 조작기구에 의한 구동력을 선반으로 전달시키는 전달기구가 제공되어 선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내에 제공되는 선반; 상기 선반을 사이에 두고 고내의 양측에 고정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양측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하방향으로 조작되는 조작기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조작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조작기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선반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냉장고, 선반, 높이조절, 프레임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 A refrigerator and shelf apparatus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고내에 구비된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되며, 상기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은 고내를 구획하여 다양한 크기와 저장조건을 가지는 식품을 저온저장 가능하게 한다.
한편, 고내를 구획하는 선반은 그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고내의 공간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의 식품 또는 식품이 담긴 용기의 수납을 위해 상기 선반의 장착위치를 조절하여 적절한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반의 가장 대표적인 장착구조는 고내의 좌우측 벽면에 성형단을 형성하여 그 위에 선반을 얹는 구조가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성형단이 형성된 위치에만 선반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므로, 선반이 장착에 있어 제한이 따를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성형단을 형성하는 것은 생산비용은 물론 디자인의 심미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상기 선반의 다른 장착 구조는 고내의 후벽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의 구멍에 고리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된 선반을 결합시켜 외팔보와 같은 형태로 선반을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선반의 장착위치의 변경을 위해서는 선반을 완전하게 탈거한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선반 위의 음식물들을 모두 내려놓은 후 상기 선반을 새로운 위치에 조립하고 다시 상기 선반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선반을 장착할 때마다 수평을 적절하게 맞추어야 하는 등 선반의 장착작업에 있어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반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5795호에는 중공형상을 이루는 선반 탑재용 프레임과 그 중공부를 이용해서 가장자리를 따르게 해서 타이밍벨트를 배치하고, 타이밍밸트를 회전운동시키도록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레버를 타이밍벨트 에 연결고정시키고, 또 타이밍벨트의 회전운동선 상에 설치된 톱니바퀴를 구비하는 나사형 축을 프레임에 마련하고, 이것을 타이밍벨트와 연동시키고, 나사형 축과 맞물리는 나사구멍을 갖는 이동판이 냉장고 내벽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선반 탑재용 프레임을 레버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에서는, 선반의 높이조절을 위한 모든 구성이 선반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선반의 이동시 전체적인 조작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상하 이동되는 선반과 함께 회전되는 타이밍벨트 또한 함께 이동되므로 레버의 조작시 손을 상하로 따라 올려주면서 좌우로 조작하여야 하게 되어 조작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를 본체와 플렌지부가 결합되고, 상기 플렌지부에 나사형축이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비교적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내의 양측에 프레임이 제공되며, 프레임의 내측에 선반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되는 조작기구와 조작기구에 의한 구동력을 선반으로 전달시키는 전달기구가 제공되어 선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는, 고내에 제공되는 선반; 상기 선반을 사이에 두고 고내의 양측에 고정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양측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하방향으로 조작되는 조작기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조작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조작기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선반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치는, 고내에 제공되는 선반; 상기 선반의 양측방에 제공되며, 고내 벽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고내 벽면과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제공되는 벨트부재; 상기 벨트부재에 제공되며, 상기 벨트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 상기 벨트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기어결합되어 상하 병진운동하며,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제공되는 선반; 상기 선반의 양측방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벽면과 이격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부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선반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승강부재; 상기 벨트부재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의 내측에 조작기구와 전달기구가 제공되어 고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의 높이조절시 정해진 위치에서 레버를 상하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선반의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선반의 높이조절시 상기 선반과 승강부재만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선반의 높이조절 조작시 요구되는 조작력이 최소화되어 상기 선반의 조작성이 한층 더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선반을 비롯한 높이조절을 위한 구성 전체가 서로 결합된 어셈블리 상태로 고내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모델로의 적용이 가능하고, 공간의 활용성 또한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4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베리어(12)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 대응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14)과 서랍(16) 등이 제공되며, 상기 도어(40)의 배면에도 다수의 바스켓(18)이 장착되어 상기 도어(40)의 배면에도 음식물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고내 즉, 상기 냉장실(30) 및/또는 냉동실(20)의 내측에는 선반장치(100)가 장착된다. 상기 선반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200)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반(200)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반장치(100)는 다수의 구성들이 조립된 어셈불리 상태로 고내에 장착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를 우측과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의 조작기구 및 전달기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기 선반장치(1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반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선반(200)과 상기 선반(200) 양측의 프레임(300) 그리고 상기 프레임(300) 내측의 조작기구(400)와 전달기구(500)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200)은 음식물이 안착될 수 있는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강화유리소재 또는 투명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테두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200)의 좌측과 우측에는 프레임(30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00)은 고내의 내측 벽면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300)은 고내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랍(16)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부재(540) 일부가 상기 프레임(300)을 관통한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310)은 상기 선반(200)의 이동시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부재(5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54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0)의 외측면 상단과 하단에는 연장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고내의 측벽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320)의 길이만큼 상기 프레임(300)과 상기 고내의 측벽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 즉, 상기 프레임(300)과 고내의 측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전달기구(500)가 장착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프레임(300) 내측 중 적어도 일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전달기구(500)가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의 연장부(320) 사이에는 승강가이드(322)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322)는 상기 상방의 연장부(320)에서 하방의 연장부(320)로 수직하게 제공되며, 원형단면을 가지는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드(3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부재(5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승강부재(530)가 상기 승강가이드(32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승강가이드(322)는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제공되는 상기 승강부재(530)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우 양측의 프레임(300) 중 우측의 프레임(300) 전반부에는 레버 수용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 수용부(330)는 상기 조작기구(400)를 구성하는 레버(450)가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되며, 상기 레버(450)가 상기 레버 수용부(330)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자의 조 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레버 수용부(330)는 상기 프레임(300)의 일측면 상단과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용 연장부(332)와, 상기 수용 연장부(332)의 양단을 잇는 고정부(334)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 연장부(332)와 상기 고정부(334)에 의해 상기 레버 수용부(330)는 내측에 상기 레버(450)가 수용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상하방의 수용 연장부(332) 사이에는 레버가이드(336)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가이드(336)는 상기 상하방의 수용 연장부(332)를 수직하게 잇는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45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450)가 상기 레버가이드(33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45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파지부(452)는 상기 프레임(300)의 전반부 측면에 형성된 레버홈(340)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상기 레버홈(340)은 상기 레버(450)의 상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450)는 상기 고정부(334)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334)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고정구(338)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고정구(338)에 삽입 가능한 고정돌기(454)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450)를 눌러 상기 고정구(338)의 내측에 상기 고정돌기(454)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레버(450)는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450)와 레버 수용부(330) 사이에는 탄성부재(339)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4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레버(450)가 상기 고정부(334)에 고정되어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레버(450)의 조작으로 인한 외력 발생시 상기 레버(450)가 상기 고정부(334)와의 결합이 해지되어 상기 레버(450)의 자유로운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버(45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반장치(100)의 전방에서 상기 선반(200)의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버(450)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구(338)와 고정돌기(454)의 구조 외에도 상기 레버(450)와 상기 고정부(334)가 레치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450)의 선택적인 구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레버(450)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프레임(300)이 장착되는 상기 냉장고(1)의 고내 양 측벽은 상기 프레임(30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00)이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장착된 다수의 구성이 상기 고내 양 측벽의 함몰된 공간에 수용되는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내의 양 측벽이 함몰되지 않고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 형상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구성을 차폐하는 별도의 커버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기구(4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작기구(400) 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반(2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00) 내측의 공간에 장착되며, 전체적으로 벨트부재(410)와 지지부재(420), 주동기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부재(410)는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벨트 또는 체인 등 동력 전달이 가능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측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타이밍벨트가 채용된다.
상기 벨트부재(410)는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 전반부에 장착되며,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벨트부재(410)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프레임(300)의 전반부 내측에는 지지부재(420)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420)는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 상하단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벨트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기어이를 가지는 기어 형상으로 형상되며,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동기어(430)와 인접한 상기 프레임(300)의 일측에는 장력조절부재(440)가 장착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440)는 상기 벨트부재(4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벨트부재(410)의 외측과 접하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부재(440)의 위치는 상기 주동기어(430)보다 다소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재(410)가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벨트부재(410)가 상기 주동기어(430)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주동기어(430)는 상기 벨트부재(410)의 구동력을 상기 전달기구(5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달기구(500)의 종동기어(5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하로 접하며, 서로 함께 회전하는 상 주동기어(432)와 하 주동기어(434)로 구성된다.
상기 상 주동기어(432)는 상기 벨트부재(410)의 내측면과 기어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주동기어(430)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 주동기어(434)는 상기 상 주동기어(43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종동기어(510)와 기어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5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 주동기어(434)는 상기 상 주동기어(4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 주동기어(432)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종동기어(510)와의 결합시 상기 벨트부재(410) 및 상 주동기어(432)와 간선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재(410)에는 상기 레버(450)가 장착된다. 상기 레버(450)는 상기 벨트부재(410)와 일체로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300)의 안내홈(3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450)의 상하 조작에 의해 상기 벨트부재(4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달기구(5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달기구(500)는 상기 조작기구(40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선반의 상하 이동을 위해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장착되며, 종동기어(510)와 승강부재(530), 결합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동기어(510)는 상기 주동기어(430)와 기어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00)에 장착되며, 상기 주동기어(43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즉, 상기 종동기어(510)는 상기 주동기어(430)의 하 주동기어(434)의 외주면과 접하여 서로 기어결합됨으로써 상기 하 주동기어(434)의 회전시 이에 맞물려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510)는 상기 하나의 프레임(300)에 하나만 장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선반(20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각각의 프레임(300)마다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종동기어(510)는 하나의 프레임(300) 내측에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2개의 종동기어(510)는 상기 기어 연결부재(5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어 연결부재(520)는 상기 벨트부재(410)와 동일한 벨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510)와 각각 기어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종동기어(5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 종동기어(512)와 하 종동기어(515)가 형성되며,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 종동기어(512)는 상기 하 종동기어(515)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00)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두개의 종동기어(510)에서 각각의 하 종동기어(515)는 기어 연결부재(5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 주동기어(434)와 기어결합되는 하나의 하 종동기어(515)가 상기 하 주동기어(434) 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어 연결부재(520)에 의해 상기 각각의 종동기어(51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동기어(430)와 종동기어(510), 보다 상세하게는 하 주동기어(434)와 하 종동기어(515)의 기어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주동기어(430)와 종동기어(510)의 기어비를 1:2로 형성하여 상기 종동기어(510)의 기어비를 더 크게 함으로써 상기 종동기어(51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선반(200)의 높이 조절시 상기 조작기구(400)를 보다 미세하게 조작하여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동기어(430)와 종동기어(510)로 구성되는 기어어셈블리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주동기어(430)와 종동기어(510)를 서로 연결하는 또 다른 기어가 사이에 제공되어 구동력의 전달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종동기어(510)는 승강부재(530)와 기어결합된다. 상기 승강부재(530)는 상기 종동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기어(51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부재(5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렉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종동기어(51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 종동기어(515)의 후방에서 기어결합된다.
상기 승강부재(530)는 상기 승강가이드(322)에 의해 관통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승강가이드(322)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530)의 길이는 상기 서랍(16)의 상하 이동거리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30)의 상측에는 결합부재(540)가 장착된다. 상기 결합부재(540)는 상기 선반(2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승강부재(530)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300)의 안내홈(310)을 관통하여 상기 선반(200)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결합부재(540)는 상기 선반(200)의 좌우 양측 단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선반(2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540)는 상기 승강부재(530)의 개수에 따라 좌우 각각 2개씩 제공되며, 상기 선반(200)의 좌우 양측단에서 전반부와 후반부를 지지하여 상기 선반(200)이 승강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기구(400)가 형성되는 우측의 상기 프레임(300) 내측과 달리 좌측의 상기 프레임(300)에는 전달기구(500)만이 제공된다. 즉, 상기 조작기구(400)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300) 중의 어느 일측에만 제공되며, 상기 전달기구(500)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300)의 내측에 모두 제공된다.
이처럼 상기 좌측과 우측의 프레임(300) 내측에 모두 상기 전달기구(500)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좌우 양측의 종동기어(510)는 연결부재(55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550)는 상기 좌우 양측의 프레임(300) 사이에 제공되며,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기어(510)의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어느 일측의 종동기어(51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550)에 의해 대향되는 타측의 종동기어(510) 또한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550)는 상기 좌우측의 프레임(300) 내측에 각각 2개씩의 종동기어(510)가 장착된 경우 후방에 배치되는 종동기어(5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550)는 상기 선반(200) 하방의 공간 중 후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선반(200) 하방의 공간에 다른 음식물이 수납됨에 있어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의 선반이 하강조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의 선반이 상승조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5 에는 상기 선반(200)이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반(200)의 상부에 비교적 높이가 낮은 음식물을 수납하고, 상기 선반(200)의 하부에 비교적 높이가 높은 음식물을 수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반(200) 상부의 상하 간격을 넓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반(200)을 아래로 내려 높이를 낮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레버(450)를 당겨 상기 레버(450)와 상기 고정부(334) 사이의 구속을 해지한 후 상기 레버(450)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든 다음 상기 레버(450)를 하방으로 내리게 된다.
상기 레버(450)는 상기 레버가이드(336)의 안내에 의해 상기 레버 수용부(330)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레버(4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450)와 결합된 상기 벨트부재(4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벨트부재(4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벨트부재(410)와 기어결합된 상기 주동기어(430)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 주동기어(432)가 상기 벨트부재(410)와 결합되며, 하 주동기어(434)는 상기 종동기어(510)와 맞물려 상기 종동기어(5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510)는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되며, 다수개가 구비될 때에는 상기 기어 연결부재(520)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2개의 종동기어(51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주동기어(430)와 연결된 전방의 종동기어(510)의 회전시 상기 기어 연결부재(520)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방의 종동기어(510)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510)의 반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종동기어(510)와 기어결합된 상기 승강부재(53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530)는 상기 승강가이드(322)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승강부재(530)에 형성된 결합부재(540)는 상기 선반(200)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선반(200)은 상기 승강부재(53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 양측의 프레임(300) 내측에 전달기구(500)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기구(400)와 연결된 전달기구(500)의 동작시 상기 좌우 양측의 종동기어(5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50)에 의해 좌우 양측의 종동부재(51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의 프레임(300) 내측에 제공된 승강부재(530) 또한 동시에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며, 상기 선반(200)은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동기어(430)와 종동기어(51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 주동기어(434)와 하 종동기어(515)의 기어비는 1:2가 되므로, 상기 선반(200)을 일정 거리만큼 하강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레버(450)를 상기 선반(200)의 하강거리 2배만큼 하방으로 내리는 조작을 통해 상기 선반(200)을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레버(450)를 조작하여 상기 선반(200)을 최하방까지 내리게 되면, 상기 선반(200) 하방의 높이가 최소가 되고, 선반(200) 상방의 높이는 최대가 되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반(200)의 높이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상기 레버(450)를 당기고 있는 손을 놓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339)의 탄성에 의해 상기 레버(450)가 상기 고정부(334)와 구속상태가 되면서 상기 선반(200)의 위치가 고정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반(200)을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450)를 당겨 상기 레버(450)와 고정부(334) 사이의 구속을 해지한 후에 상기 레버(45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레버(450)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레버(450)가 고정된 상기 벨트부재(4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벨트부재(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430)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주동기어(4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주동기어(430)와 맞물린 상기 종동기어(5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종동기어(510) 와 기어결합된 상기 승강부재(53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510)가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한쌍이 구비된 경우 상기 종동기어(510)들은 기어 연결부재(5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동기어(430)와 연결된 전방의 종동기어(5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어 연결부재(520)에 의해 상기 후방의 종동기어(510) 또한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재(530)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530)의 상방 이동으로 상기 선반(200)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530)의 상방 이동시에도 상기 연결부재(550)에 의해 좌우 양측의 프레임(300) 내측에 제공되는 종동기어(510)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선반(200)을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는 상태로 상방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선반(200)의 상방 이동조작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레버를 놓게 되면, 상기 레버(450)와 상기 고정부(334)는 서로 구속되어 상기 선반(200)이 임의로 하방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반장치(100)는 필요에 따라서 고내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프레임(300) 및 상기 프레임(3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조작기구(400)와 전달기구(500) 및 선반(200)이 조립된 상태로 한꺼번에 꺼내게 된다.
반대로, 상기 선반장치(100)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300)에 상기 조작기구(400)와 전달기구(500) 및 선반(200)이 조립된 상태로 상기 고내에 안착되며, 이때 상기 프레임(300)의 상하부에 형성된 연장부(320)가 고내의 성형단에 안착되거나, 상기 프레임(300)이 고내의 대응하는 함몰부에 안착되어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반장치(100)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에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장치가 바텀프리즈타입의 냉장고에 장착된 것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4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며, 상부에는 냉장실(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동실(20)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은 좌우 양측에서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의 전면은 서랍식으 로 인출입되는 도어(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200)과 서랍(16)들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선반장치(100)가 장착된다.
다만, 도 7에서의 선반장치는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구성을 차폐하는 커버(600)가 적어도 일측에는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작기구(400)가 장착된 측의 프레임(300)은 고내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거나, 함몰된 내측 벽면에 안착되어 외부로 조작기구(400)를 비롯한 다수의 구성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대향되는 측의 프레임(300)은 좌측방으로 노출되므로 상기 프레임(300) 내측의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300)의 좌측면을 차폐하는 커버(60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장치(100)의 장착시에 상기 프레임(3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조작기구(400)와 전달기구(500)를 비롯한 다수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상기 레버(45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선반(200)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의 조작기구 및 전달기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의 선반이 하강조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의 선반이 상승조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Claims (21)

  1. 고내에 제공되는 선반;
    상기 선반을 사이에 두고 고내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판상의 프레임;
    양측의 상기 프레임의 전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하 이동 조작되는 조작기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조작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양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조작기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선반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달기구를 포함하는 선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기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의 내측 양단에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벨트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기어;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벨트의 상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벨트를 눌러 상기 벨트부재의 장력을 조절하 는 장력조절부재가 더 제공되는 선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주동기어는 상기 벨트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누르도록 장착되는 선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구는,
    상기 주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외주면과 접하여 장착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선반의 측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제공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구는,
    상기 주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 제공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각각의 종동기어의 외주면과 접하여 장착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선반의 측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각각의 승강부재에 제공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종동기어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반장치.
  7. 고내에 제공되는 선반;
    상기 선반의 양측방에 제공되며, 고내 벽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고내 벽면과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제공되는 벨트부재;
    상기 벨트부재에 제공되며, 상기 벨트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
    상기 벨트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기어결합되어 상하 병진운동하며,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선반의 이동경로를 따라 절개된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선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가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는 레 버 수용부가 형성되는 선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레버의 일측과 간섭되어 상기 레버가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가 더 형성되는 선반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레버 수용부의 사이에는 상기 레버를 고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가 제공되는 선반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수용부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레버가 관통되어 상기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버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선반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부재를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선반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제공되는 각 종동기어의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양측의 종동기어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어 연결부재가 더 제공되는 선반장치.
  15.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제공되는 선반;
    상기 선반의 양측방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벽면과 이격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부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선반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승강부재;
    상기 벨트부재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내측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타이밍벨트로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벨트부재와 기어결합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승강부재에 각각 기어결합되어, 상기 주동기어의 구동력을 상기 승강부재에 전달하는 종동기어로 구성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비는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와 상기 승강부재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종동기어가 동시에 동작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는 연결벨트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와 승강부재는 상기 저장공간 양측에 장착된 각각의 프레임 내측에 제공되는 냉장고.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선반과 벨트부재, 승강부재, 기어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로 고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KR1020080051368A 2008-06-02 2008-06-02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KR10095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368A KR100954518B1 (ko) 2008-06-02 2008-06-02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368A KR100954518B1 (ko) 2008-06-02 2008-06-02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17A KR20090125317A (ko) 2009-12-07
KR100954518B1 true KR100954518B1 (ko) 2010-04-27

Family

ID=4168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368A KR100954518B1 (ko) 2008-06-02 2008-06-02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3258B2 (en) 2020-01-23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9967B1 (en) 2011-02-18 2019-08-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frigerating appliance
KR101721882B1 (ko) * 2014-08-12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015802B1 (en) * 2014-08-12 2018-03-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5928312B (zh) * 2016-05-04 2018-05-1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定位装置及具有其的冰箱
CN209893797U (zh) * 2018-12-07 2020-01-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11174509A (zh) * 2020-03-20 2020-05-19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一种竖直位移止位系统
JP7479570B2 (ja) * 2021-06-02 202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198Y1 (ko) * 1995-05-30 1998-06-15 김광호 냉장고의 선반 상하이송장치
US5913584A (en) 1997-09-23 1999-06-2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JP2001050648A (ja) 1999-08-05 2001-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2007255793A (ja) 2006-03-23 2007-10-04 Sanyo Electric Co Ltd 低温貯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198Y1 (ko) * 1995-05-30 1998-06-15 김광호 냉장고의 선반 상하이송장치
US5913584A (en) 1997-09-23 1999-06-2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JP2001050648A (ja) 1999-08-05 2001-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2007255793A (ja) 2006-03-23 2007-10-04 Sanyo Electric Co Ltd 低温貯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3258B2 (en) 2020-01-23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17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51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US8172347B2 (en) Variable shelf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584808B1 (ko)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KR102100192B1 (ko) 냉장고
US8047623B2 (en) Refrigerator
US8267493B2 (en) Refrigerator
EP2256444B1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JP6599458B2 (ja) 冷蔵庫
KR20090062045A (ko) 냉장고
KR10157353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US10928123B2 (en) Refrigerator
KR1015735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10176139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US20230304729A1 (en) Refrigerator
KR2017011265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101721882B1 (ko) 냉장고
JP2009019793A (ja) 冷蔵庫
KR20210037913A (ko) 높이 조절 냉장고 선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116435A (ko) 냉장고의 도어지지장치
KR102091246B1 (ko) 냉장고
KR101611610B1 (ko) 냉장고
JP2003262462A (ja) 冷蔵庫
KR100222987B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 조절 장치
KR101185352B1 (ko) 냉장고의 도어지지장치
KR2011003747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