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944A -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944A
KR20130103944A KR1020120024993A KR20120024993A KR20130103944A KR 20130103944 A KR20130103944 A KR 20130103944A KR 1020120024993 A KR1020120024993 A KR 1020120024993A KR 20120024993 A KR20120024993 A KR 20120024993A KR 20130103944 A KR20130103944 A KR 20130103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main body
refrigerator
pair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3944A/ko
Publication of KR2013010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에 이동가능한 분리판을 구비하되 분리판이 뒤틀리거나 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장용기는, 일면이 개구되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판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분리판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줄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A storing container including a dividing plat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에 이동가능한 분리판을 구비하되 분리판이 뒤틀리거나 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공급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본체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탑마운트 타입 및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경우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경우 상부에 있는 냉장실 도어는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지만, 하부에 있는 냉동실 도어는 내부의 저장공간과 함께 인출가능하게 서랍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는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선반을 장착하여 저장 공간을 구획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는 상기 선반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랍을 이루는 저장용기는 냉장고가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좌우로 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좌우로 긴 저장용기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저장용기 내부에 분리판을 장착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분리판은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보다 수납되는 음식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상기 분리판의 좌우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분리판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2702호에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에 장착되는 서랍형 저장박스(저장용기)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판이 구비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저장용기에 구비된 분리판은 분리판이 저장용기의 측벽 내면과 모서리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된다.
사용자가 분리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려면 사용자가 분리판의 중앙 상부를 좌우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분리판은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면 및 모서리부와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을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은 저장용기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분리판은 저장용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분리판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밀 때, 분리판과 저장용기 사이에 틈이 있기 때문에 분리판이 평행이동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분리판이 얇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어느 일측 지점에서 사용자가 미는 힘에 의해 분리판이 휘어지거나 뒤틀려서 저장용기와의 사이에 특정 지점에서 마찰력이 증가하여 분리판의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않아 분리판을 이동시키는데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장용기의 분리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장용기는, 일면이 개구되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판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분리판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줄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변에 상기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에 작용하는 힘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한 쌍의 측부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측부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 상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에는 상기 한 쌍의 줄이 움직일 때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 도르래의 고정부 또는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부 외측벽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 도르래의 고정부 또는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부 외측벽 중 어느 타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부 도르래가 상기 줄의 장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코너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부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부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그 하방에서 나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에는 상기 줄이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롤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탈거방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냉장고 본체와,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냉장고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일면이 개구되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판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분리판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줄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변에 상기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에 작용하는 힘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한 쌍의 측부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측부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변 상부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 도르래의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변 상부 모서리부에 2이상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줄의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코너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에는 상기 줄이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롤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탈거방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 일측면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가 상기 줄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냉동실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형 저장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하면, 사용자가 분리판을 좌우로 이동시킬 때 분리판에 가해지는 힘이 분리판의 양측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함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분리판의 중앙부를 밀지 않고 일측에 치우친 부위를 밀더라도 저장용기 주위에 배치된 줄과 복수의 가이드부에 의해 분리판의 양측에 균일한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분리판을 원활하게 평행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장용기에서 저장용기와 분리판의 테두리부의 결합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저장용기에서 그 일측면 상부 모서리부에 측부 도르래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저장용기에서 그 상부 코너부에 코너 도르래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코너 도르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코너 도르래의 본체부와 롤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용기(1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는 상부에 냉장실이 배치되고 하부에 냉동실(30)이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저장용기에 분리판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용기가 별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포함함을 밝혀 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 본체(10)는 상부의 냉장실을 2개의 저장공간으로 분리하여 냉장실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가 냉장실의 전방 개구면을 개폐하기 위해 냉장고 본체(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하부에는 냉동실(30)이 마련되고, 이 냉동실(30)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40)는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우측에는 일단부가 상기 냉동실 도어(4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인출레일(34)이 냉장고의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한 쌍의 인출레일(34)에 상기 저장용기(100)가 안착되어 설치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일면이 개구되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판(120)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감싸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분리판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줄(140)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는 전체적으로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에 가깝게 형성된다.
특히,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후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10)의 후방 하부에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송풍팬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배치되는데, 상기 저장용기(100)는 그 기계실과 간섭되지 않도록 그 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저장용기(100)가 기계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단순히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는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한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 1에서와 같이 냉동실(3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부에 냉동 보관되는 음식물이 수납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100)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116)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공(1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후방 측벽 및 좌우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저장용기가 인출식 냉동실에 장착되는 경우의 것이므로 전방 측벽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만, 상기 저장용기가 그 자체로 사용되고 통기가 필요한 경우라면 전후방 및 좌우방 측벽에 모두 통기공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리브(118)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경우에 따라 무거운 물건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100)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도 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리브(11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 1에서와 같이 냉동실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저장용기(100)가 상기 인출레일(34)에 장착되기 때문에 저장용기의 바닥면 강도가 특히 필요하다.
또한, 냉동실에 장착되는 저장용기(100)의 경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폭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부에는 그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저장용기(100)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분리판(12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120)은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리판(120)은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판(120)은 그 전방 및 후방의 상부 테두리부(123)가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를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는 상기 인출레일(34)에 안착될 수 있고 저장용기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그 상단 테두리부(112)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120)은 상기 본체부(110)의 내면에 접촉되는 부위가 더 넓어지도록, 분리판(120)의 측부 및 하부에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연장된 연장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연장부(122)는 상기 분리판(120)이 상기 본체부(110) 내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는 상기 연장부(122)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를 감싸서 접촉함으로써 상기 분리판(12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도 3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와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가 결합된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후방측 결합부를 나타내고 도 3(b)는 전방측 결합부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는 전방측과 후방측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의 경우 전방측 테두리부와 후방측 테두리부는 하부 절곡 단부의 형태가 약간 달리 형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와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의 구체적인 형태는,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가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를 감싸서 분리판이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면 도시된 것과 달리 형성될 수도 있고, 전방측과 후방측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와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의 단면 형태는 두 부위가 서로 접촉할 때 면접촉이 아니라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둘레에는 이를 감싸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분리판(120)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줄(140)이 배치된다.
이 한 쌍의 줄(140)은 상기 분리판(120)의 일측 단부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힘을 가할 때 분리판(120)의 타측 단부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힘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의 절곡된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줄을 고정하기 위한 줄고정부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줄고정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줄(140)을 양측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줄고정부는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에 줄을 묶을 수 있는 구멍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그 구멍 또는 돌기에 상기 줄을 직접 묶어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줄(140)이 상기 분리판(120)의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123)를 지날 때에는 상부 테두리부(123)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140)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와 상기 분리판(120)의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123) 사이를 통과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후방측 상부 테두리부(123)의 경우에는 상기 줄(140)이 연결되기만 하고 이를 통과하지는 않으므로 줄(140)이 후방측 상부 테두리부(123)의 내부로 통과하지 않는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와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의 단면은 각각 "ㄷ"자 모양에 가깝게 절곡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저장용기(100)에 상기 분리판(120)을 결합할 때에는 상기 줄(140)을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 위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기 분리판(120)의 상부 테두리부(123)를 외측으로 벌려서 끼운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한 쌍의 줄(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배치된다.
이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줄(14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바꾸어 줌과 동시에 한 쌍의 줄(140)이 간섭 없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안내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변에 상기 분리판(12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140)에 작용하는 힘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한 쌍의 측부 도르래(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측부 도르래(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일측면 상부 측면에 상기 분리판(120)을 사이에 두고 분리판(120)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좌우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측부 도르래(16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 상부에 장착되는 고정부(162)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166)를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 도르래(16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부 측면에 롤러(166)가 바로 장착되어 상기 줄(140)이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저장용기(100)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162)와 줄(140)이 걸려 회전되는 롤러(166)를 별도로 마련하여 조립하는 것이, 조립성이 더 좋고 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롤러의 회전시 마찰도 더 줄일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도 2의 저장용기에서 그 일측면 상부 모서리부에 측부 도르래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는 상기 측부 도르래(160)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테두리부의 일측면부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부 도르래(160)는 그 본체부에 해당하는 고정부(162)가 저장용기(100)의 전방 측면 상부에 나사(165)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방 측면 상부에는 나사체결보스(113)가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62)에는 상기 나사(165)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체결공(1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166)에는 상기 한 쌍의 줄(140)이 움직일 때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66)의 원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줄(140) 중에서 줄의 방향이 바뀌는 것 하나만 감기도록 걸 수도 있으나, 줄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것도 포함하여 2개의 줄을 서로 이격시켜 걸 수 있도록 2개의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부 도르래(160)의 고정부(162) 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 외측벽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 도르래(160)의 고정부(162) 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 외측벽 중 어느 타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164)이 형성되어, 상기 측부 도르래가 상기 줄의 장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 외측벽에 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 도르래(160)의 고정부(162)에 상기 돌기(114)에 대응하는 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측부 도르래(160)의 고정부(162)에 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 외측벽에 홈(164)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측부 도르래(160)의 고정부(162)의 두께보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 외측벽 두께가 훨씬 얇기 때문에,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 외측벽에 홈을 형성하는 것보다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강도 면이나 제작 면에서 더 유리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도르래(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줄(140)은 상기 분리판(120)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부(110)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줄(140)은 각각 이동가능하게 안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코너에 상기 줄(140)이 통과하는 홈을 형성하여 거의 90도 각도로 방향을 바꾸도록 안내할 수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움직이는 줄(140)과 본체부(11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코너에 형성된 홈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코너에 복수의 코너 도르래(18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줄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거의 직육면체 형태에 가깝기 때문에 그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줄(140)은 상기 본체부(110)의 코너 부분에서 거의 직각으로 꺽이도록 안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코너 도르래(180)는 상기 본체부(110)의 4개의 코너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코너 도르래(18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코너부에 장착되는 고정부(182)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18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저장용기의 상부 코너부에 코너 도르래가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코너 도르래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는 상단 테두리부(112)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코너 도르래(180)의 고정부(182)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의 수평 연장부에 그 하방에서 나사(181)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166)의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측부 도르래(160)와 달리, 상기 코너 도르래(180)의 롤러(188)는 그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코너 도르래(180)의 고정부(182)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 테두리부(112)의 수평 연장부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181)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 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부(112)는 전방측변 및 후방측변은 상기한 바와 같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지만, 좌우측변과 꼭지점 부근은 "ㄱ"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코너 도르래(180)는 상기 "ㄱ"자 모양의 상단 테두리부(112)의 수평 연장부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182)를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에 고정하는 것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나사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등 다른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코너 도르래(180)의 고정부(182)에는 상기 줄(140)이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롤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탈거방지홈(185a, 185b)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 도르래(180)의 고정부(182)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형성된 2개의 안내리브(184a, 184b)가 형성되고, 이 안내리브(184a, 184b)에는 상기 줄(140)이 지나가는 부위에 상기 줄(140)을 삽입하여 안내하는 탈거방지홈(185a, 18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안내리브(184a, 184b)는 서로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리브(184a, 184b)는 2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일측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2개의 안내리브(184a, 184b)는, 상기 줄(140)이 상기 롤러(188)를 지나서 약 90도 방향으로 지나가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면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너 도르래(180)의 고정부(182)의 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본체부(110) 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측면리브(186)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리브(186)는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상기 코너 도르래(180)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나사(181)만으로 코너 도르래(180)를 체결한 경우에도 코너 도르래(180)가 줄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측면은 수직인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중력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경사진 측면을 갖도록 이루어진 경우, 상기 측면리브(186)가 상기 저장용기(100)의 측면 표면에 접촉되도록 그 단부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리브(186)는 상기 안내리브(184b)의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저장용기(100)의 측면에 접촉되는 형태라면 상기 코너 도르래(180)의 고정부(182)로부터 직접 돌출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2개의 안내리브(184a, 184b)에 각각 형성된 탈거방지홈(185a, 185b)은 줄(140)을 옆에서 끼워 조립하기 쉽도록 구멍이 아니라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서 좌측에 형성된 안내리브(184a)에 형성된 탈거방지홈(185a)은 그 입구부의 크기가 줄이 배치되는 부분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의 크기는 줄(140)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함으로써 탈거방지홈(185a)에 삽입된 줄(140)이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에 형성된 안내리브(184b)는 상기 고정부(182)로부터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이 안내리브(184b)에 형성된 탈거방지홈(185b)은 그 입구부가 줄이 배치되는 부분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탈거방지홈(185b)도 좌측의 탈거방지홈(185a)과 마찬가지로 입구부를 좁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양쪽 모두 좁게 형성하는 경우 줄을 끼워 조립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만 그 입구부를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82)의 하부에는 상기 롤러(188)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인 롤러장착부(187)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188)가 여기에 그 축이 수직으로 장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88)의 홈과 상기 탈거방지홈(185a, 185b)은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이들을 지나는 줄(140)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주위로 분리판 일단부와 줄을 연결하여 분리판의 일측에만 미는 힘을 가하더라도 분리판의 양측에 동일한 힘을 가하도록 전달함으로써, 분리판이 뒤틀리거나 휘지 않고 작은 힘으로도 분리판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냉장고 본체
20: 냉장실 도어
30: 냉동실
34: 인출레일
40: 냉동실 도어
100: 저장용기
110: 본체부
112: 상단 테두리부
113: 나사체결보스
114: 돌기
116: 통기공
118: 리브
120: 분리판
122: 연장부
123: 상부 테두리부
125: 손잡이 구멍
126: 통기공
140: 줄
160: 측부 도르래
162: 고정부
163: 나사체결공
164: 홈
165: 나사
166: 롤러
180: 코너 도르래
181: 나사
182: 고정부
183: 나사체결공
184a, 184b: 안내리브
185a, 185b: 탈거방지홈
186: 측면리브
187: 롤러장착부
188: 롤러

Claims (23)

  1. 일면이 개구되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판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분리판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줄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변에 상기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에 작용하는 힘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한 쌍의 측부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 상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는 상기 한 쌍의 줄이 움직일 때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도르래의 고정부 또는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부 외측벽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 도르래의 고정부 또는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부 외측벽 중 어느 타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부 도르래가 상기 줄의 장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너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부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부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그 하방에서 나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에는 상기 줄이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롤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탈거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3.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냉장고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일면이 개구되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판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분리판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줄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변에 상기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줄에 작용하는 힘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한 쌍의 측부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변 상부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도르래의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변 상부 모서리부에 2이상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줄의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너 도르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코너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에는 상기 줄이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롤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탈거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 일측면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코너 도르래의 고정부가 상기 줄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냉동실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형 저장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20024993A 2012-03-12 2012-03-12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30103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93A KR20130103944A (ko) 2012-03-12 2012-03-12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93A KR20130103944A (ko) 2012-03-12 2012-03-12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44A true KR20130103944A (ko) 2013-09-25

Family

ID=4945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993A KR20130103944A (ko) 2012-03-12 2012-03-12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39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452A (zh) * 2015-06-30 2015-09-3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果菜盒组件及应用该组件的冰箱
CN109489333A (zh) * 2017-09-13 2019-03-19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摩擦附着地定位在壳中的分隔壁的食品接收容器、家用制冷器具和方法
CN110398109A (zh) * 2015-06-16 2019-11-01 Lg电子株式会社 冰箱
WO2019242653A1 (en) 2018-06-20 2019-12-26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of a refrigerator appliance
WO2021040248A1 (en) * 2019-08-30 2021-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8109B (zh) * 2015-06-16 2021-07-23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0398109A (zh) * 2015-06-16 2019-11-01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4949452B (zh) * 2015-06-30 2017-08-1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果菜盒组件及应用该组件的冰箱
CN104949452A (zh) * 2015-06-30 2015-09-3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果菜盒组件及应用该组件的冰箱
CN109489333A (zh) * 2017-09-13 2019-03-19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摩擦附着地定位在壳中的分隔壁的食品接收容器、家用制冷器具和方法
CN109489333B (zh) * 2017-09-13 2021-01-05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摩擦附着地定位在壳中的分隔壁的食品接收容器、家用制冷器具和方法
WO2019242653A1 (en) 2018-06-20 2019-12-26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of a refrigerator appliance
CN112384743A (zh) * 2018-06-20 2021-02-1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器具的储物箱的照明可调分隔物
KR20210048482A (ko) * 2018-06-20 2021-05-03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냉장고 기기용 보관함의 조명 조절식 칸막이
EP3811011A4 (en) * 2018-06-20 2021-08-11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REFRIGERATION STORAGE COMPARTMENT
WO2021040248A1 (en) * 2019-08-30 2021-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435127B2 (en) 2019-08-30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3994402A4 (en) * 2019-08-30 2022-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CN108266948B (zh) 冰箱
US8562088B2 (en) Refrigerator
KR102120103B1 (ko)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629953B1 (ko) 냉장고
KR20140060431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20106098A (ko) 냉장고
KR20120115615A (ko) 냉장고
KR20140060145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30103944A (ko)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093530A (ko) 냉장고
KR101643641B1 (ko) 냉장고
KR200459216Y1 (ko) 냉장고
US20180087828A1 (en) Refrigerator
US11306964B2 (en) Refrigerator
KR20090109297A (ko) 냉장고
US10684066B2 (en) Refrigerator
WO2014112333A1 (ja) 冷蔵庫
US11353258B2 (en) Refrigerator
JP7112968B2 (ja) 冷蔵庫
KR200345576Y1 (ko) 냉장고의 야채상자 지지장치
CN112424549B (zh) 一种冰箱用支撑部件以及具备该支撑部件的冰箱
KR101611610B1 (ko) 냉장고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KR2009013228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