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69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699B1
KR100916699B1 KR1020070034279A KR20070034279A KR100916699B1 KR 100916699 B1 KR100916699 B1 KR 100916699B1 KR 1020070034279 A KR1020070034279 A KR 1020070034279A KR 20070034279 A KR20070034279 A KR 20070034279A KR 100916699 B1 KR100916699 B1 KR 10091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guide
refrigerator
cooling chamb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875A (ko
Inventor
강병규
이재열
권기동
최순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699B1/ko
Priority to US12/078,767 priority patent/US8047623B2/en
Publication of KR2008009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실, 냉각실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 및 선반이 가이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선반을 냉각실 외부로 인출하지 않고, 선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가이드는 냉각실 내부에서 탈착 가능한(detach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 및 선반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냉각실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34279
선반, 가이드, 이동, 회전, 기어, 캠, 이송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구비하는 선반 및 가이드가 결합된 모습의 전체 및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및 가이드가 냉장고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실 내부를 구획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해 냉기를 생성한다. 냉기가 유입되는 냉각실에 식품을 보관함으로써, 식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실은 일반적으로 냉장실 및 냉동실로 구분되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는 상-하, 좌-우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냉장실 및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 냉장고는 탑 마운트 타입 냉장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3 도어 타입 냉장고 등으로 구분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로서, 냉장고(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냉장고(1)의 내부에는 냉각실이 형성되며, 냉각실은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0)과 냉장실(20)로 구분된다. 냉동실(10)과 냉장실(20)은 전면이 개구되며, 각각 냉동실 도어(12) 및 냉장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된다.
냉동실 도어(12)와 냉장실 도어(22)에는 외부에서 정수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4)와, 이용빈도가 높은 식료품을 보관하는 홈바(24)가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냉동실 도어(12)와 냉장실 도어(22)의 이면에는 주로 세워서 보관되는 식품들 또는 음료병, 캔 등을 수납하기 위한 바스켓(26)이 다수개 구비되며, 유제품 또는 계란 등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공간이 구비된다.
한편, 본체(1)의 내부를 살펴보면, 냉장실(20)과 냉동실(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서랍(30)이 구비된다. 서랍(30)은 특수한 기능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체(1) 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음식물의 저장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본체(1)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체(1)의 내부를 살펴보면, 냉동실(10)과 냉장실(2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28)이 구비된다. 선반(28)은 냉동 또는 냉장 저장이 필요한 음식물들을 얹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체(1) 내부의 양측 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반(28)은 냉동실(10) 및 냉장실(20)이 구비하는 지지부(29)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냉각실 내부에서 선반(28)의 위치는 지지부(29)의 위치에 의해 정해진 다. 선반(28)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 때는,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지지부(29)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선반(28)의 위치를 변경한다. 따라서, 냉각실 내부에 수납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선반(28)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때, 선반(28)을 외부로 인출한 뒤 다시 삽입하여야 한다. 이때, 선반(28) 위에 수납된 물체를 떨어트릴 우려가 크고, 선반(28)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하는 것도 불편하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용이한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를 따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부의 선형 이동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이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로, 냉각실 내부에서 탈착이 가능한 가이드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각실, 냉각실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 및 선반이 가이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선반을 냉각실 외부로 인출하지 않고, 선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가이드는 냉각실 내부에서 탈착 가능 한(detach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 및 선반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냉각실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가이드는 훅을 포함하고, 냉각실은 훅이 걸릴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예로, 냉각실에 훅이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면, 가이드 및 선반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자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선반의 높이를 더욱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가이드는 랙 기어(rack gear)를 구비하며, 이송 수단은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pinion)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선반이 가이드를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선반은 피니언과 연결되어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이송 수단은, 피니언과 연결되어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통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부에서 선형의 힘을 전달하여도, 원통캠을 통해 회전력으로 전환되어, 피니언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원통캠이 나선 홈을 구비하며 회전 운동을 하는 종동부 및 직선 운동을 하며 나선 홈에 맞물려 종동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구동부에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의 양측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힘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선반은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바꾸고, 와이어의 이동을 돕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구동부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곳에서도, 와이어를 이용해 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와이어와 연결되고,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조작부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작부가 직선 운동을 하므로, 조작부 및 선반이 움직이는 정도를 비교적 조절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조작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선반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돕도록, 이송 수단과 가이드에 양단이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부로 이동할 때보다 더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선반이 상부로 이동하는 때,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선반이 상부로 이동할 때 드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선반이 선반에 수납되는 물체의 무게로 인해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가이드는 길이 방향으로 뻗은 그루브를 구비하고, 선반은 그루브에 삽입되어 선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랙 기어와 원통형 기어와 함께 그루브 및 봉이 선반을 가이드하여, 선반의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구비하는 선반 및 가이드가 결합된 모습의 전체 및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선반(200)는 가이드(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선반(200)은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에 의해 고정되는 플레이트(212)를 구비한다. 냉장고 내부에 수납되는 물체는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프레임(210) 및 플레이트(212)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가진다. 선반(200)은 프레임(210)의 측면 후방에 원통형 기어(220)를 구비한다. 원통형 기어(220)는 평기어(spur gear),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등 후술하는 랙 기어(310)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피니언(pinion)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가능하다.
가이드(300)는 프레임(210)의 측면 후방과 접하며, 랙 기어(310)를 구비한다. 선반(200)에 구비된 원통형 기어(220)가 랙 기어(310)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원통형 기어(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반(200)이 가이드(30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원통형 기어(220) 및 랙 기어(310)는 선반(200)의 양 측면에 한 쌍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200)이 두 곳 이상에서 지지되어야 기울어지지 않고, 물 체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선반(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기어(220)는 회전축(230)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이 동기화(synchronization)된다.
회전축(230)에는 원통 캠(240)이 설치되며, 회전축(230)이 원통 캠(240)을 관통하여, 원통 캠(240)이 회전축(230)에 고정된다. 원통 캠(240)은 종동부(244)와 구동부(242)를 포함한다. 종동부(244)는 원통 형상이며, 종동부(244)의 중심에 회전축(230)이 관통한다. 종동부(244)와 회전축(230)은 서로 고정되어, 함께 회전한다. 종동부(244)의 외면에는 나선 홈(243)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242)는 종동부(244)의 외주에 이동 가능하게 작은 틈을 두고 설치된다. 구동부(242)는 나선 홈(243)에 삽입되어, 구동부(242)의 운동을 종동부(244)에 전달하는 돌기(미도시)를 구비한다. 구동부(242)가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면, 돌기(미도시)와 나선 홈(243)이 결합된 상태에서 종동부(244)에 운동이 전달되어, 종동부(244) 회전하게 된다. 돌기(미도시)의 직선 운동이 나선 홈(243)에 의해서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부(242)에는 와이어(246)가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246)는 구동부(242)의 양측에 결합된다. 구동부(242)가 선반(200)의 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구동부를 직접 움직이기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와이어(246)를 통해, 구동부에 힘을 전달한다. 이때, 선반(200)의 네 모서리에 롤러(248)가 위치한다. 와이어(246)가 롤러(248)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구동부(242)에 힘을 전달한다. 롤러(248)는 와이어(246)와 함께 움직이므로 방향 전환 시 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반(200)의 전방에는 와이어(246)와 연결된 조작부(250)가 위치한다. 와이 어(246)는 조작부(250)의 양측에 연결되어, 조작부(250)의 운동을 구동부(242)에 전달한다. 와이어(246)는 선반(200)의 네 모서리에서 롤러(248)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선반(200)의 후방에 있는 구동부(242)와 연결된다. 조작부(250)는 좌, 우로 직선 운동을 하며, 가이드 프레임(252)를 따라 조작부(250)의 직선 운동이 안내된다. 가이드 프레임(252)은 선반(200)의 전방에 위치하며, 양단이 프레임(210)에 고정된다. 조작부(250)를 우측으로 움직이면, 와이어(246)를 통해 힘을 전달받은 구동부(242)는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구동부(242)의 운동에 의해 종동부(246)가 회전하면서, 회전축(230) 및 원통형 기어(220)를 회전시킨다. 원통형 기어(220)가 회전함에 따라, 랙 기어(310)에 맞물려서 선반(200) 전체가 가이드(300)를 따라 상승 및/또는 하강하게 된다. 조작부(250)가 선형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선반(200)의 높이를 조절할 때, 선반(200)이 이동하는 정도를 쉽게 예측가능하므로, 선반(200)의 높이 조절이 더욱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를 위해,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254)를 구비한다. 손잡이(254)는 봉 형태로 사용자가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가이드(300)와 구동부(242) 사이에는 탄성 부재(260)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260)는 구동부(242)와 일 측의 가이드(300)를 연결하며, 선반(200)을 상승시키는 구동부(242)의 이동방향과, 탄성 부재(260)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종동부(246)의 나선 홈과 구동부(242)의 관계로 볼 때, 구동부(242)가 좌측으로 움직일 때 선반(200)이 상승한다면, 탄성 부재(260)는 구동부(242)와 좌측 가이드(300)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이어야 한다. 이외에도, 선반(200)의 상승 방향과 복원력의 작용 방향이 일치하는 구성이라면, 탄성 부재(26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 부재(260)는 선반(200)의 상승을 도울 뿐 아니라, 선반(200)의 하강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탄성 부재(260)의 복원력과 중력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선반(200) 및 수납물의 무게를 어느 정도 상쇄해주기 때문이다.
가이드(300)는 원통형 기어(220)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랙 기어(310) 이외에, 그루브(320)를 포함한다. 그루브(320)는 랙 기어(310)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길게 형성된다. 선반(200)은 회전축(230)과 거의 평행하며, 회전축(230)과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봉(270)을 구비한다. 봉(270)의 양단은 그루브(320)에 삽입되어, 선반(200)의 상, 하 이동시에 그루브(32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봉(270)과 그루브(320)는 선반(200)의 이동시에 원통형 기어(220) 및 랙 기어(310)와 함께 선반(2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300)의 하단에는 선반(20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고, 선반(200)이 가이드(300)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봉(330)이 구비된다. 걸림봉(330)은 양단이 양측 가이드(300)에 고정되도록, 양측 가이드(300) 사이에 뻗어있다.
도 4는 가이드가 냉각실 내부에서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이드(300)는 가이드(300)와 선반(200)이 결합된 어셈블리가 냉각실(R) 내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훅(340)을 구비한다. 훅(340)은 양측 가이드(300)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훅(340)은 단부가 하부로 꺾여서, 냉각실(R)에 구비된 홈(400)에 걸릴 수 있다. 냉각실(R)에는 훅(340)을 걸 수 있는 홈(400)이, 냉각실(R)의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훅(340)을 거는 홈(400)의 선택에 따라 가이드(300)와 선반(200)이 결합된 어셈블리 자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냉각실(R)에 형성된 모든 홈(400)에 가이드(300)와 선반(200)이 결합된 어셈블리를 장착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몇 개의 어셈블리만을 장착하여 냉각실(R) 공간의 활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선반을 냉각실 외부로 인출하지 않고도 냉각실 내부에서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가이드와 선반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일반적인 선반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선반의 전방에 위치한 조작부를 좌, 우로 움직여서 선반의 높이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선반이 상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부재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가이드를 따라 선반을 상승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선반이 구비하는 탄성 부재 및 봉에 의해 선반이 가이드를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냉각실;
    랙 기어(rack gear)를 구비하며 냉각실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
    선반이 가이드에서 이동하도록,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pinion) 및 피니언과 연결되어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통캠을 구비하는 이송 수단; 그리고,
    이송 수단에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원통캠은, 나선 홈을 구비하며 회전 운동을 하는 종동부 및 직선 운동을 하며 나선 홈에 맞물려 종동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와이어는 구동부에 힘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선반은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바꾸고, 와이어의 이동을 돕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와이어와 연결되고,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조작부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조작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034279A 2007-04-06 2007-04-06 냉장고 KR10091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279A KR100916699B1 (ko) 2007-04-06 2007-04-06 냉장고
US12/078,767 US8047623B2 (en) 2007-04-06 2008-04-0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279A KR100916699B1 (ko) 2007-04-06 2007-04-0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875A KR20080090875A (ko) 2008-10-09
KR100916699B1 true KR100916699B1 (ko) 2009-09-11

Family

ID=3982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279A KR100916699B1 (ko) 2007-04-06 2007-04-06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47623B2 (ko)
KR (1) KR100916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54A (ko) * 2011-12-15 201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 조절 선반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WO2015117564A1 (zh) * 2014-02-08 2015-08-13 海尔集团公司 搁物架组件及具有该搁物架组件的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1539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Kühlgutträger
DE102008019385A1 (de) * 2008-04-17 2009-10-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Absteller
US8052236B2 (en) * 2009-01-15 2011-11-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215732B2 (en) * 2009-01-15 2012-07-10 Lg Electronics Inc. Vertically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with hidden drive unit
DE102009000671A1 (de) * 2009-02-06 2010-08-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Kühlgutabsteller
DE102009000845A1 (de) * 2009-02-13 2010-08-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Kühlgutabsteller
DE102009000851A1 (de) * 2009-02-13 2010-08-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Kühlgutträger
KR101584807B1 (ko) * 2009-05-27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조절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EP2489967B1 (en) * 2011-02-18 2019-08-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frigerating appliance
US8757743B2 (en) * 2011-06-03 2014-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appliance
US8616388B2 (en) * 2011-06-07 2013-12-31 Advance Caster & Wheel Co., Inc. Adjustable shelving assembly
US8960825B2 (en) 2011-10-04 2015-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100192B1 (ko) * 2013-09-13 2020-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U2014330096B2 (en) 2013-10-03 2017-02-23 Arc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wer
US9113705B1 (en) * 2014-03-10 2015-08-25 Wipro Limited Adjustable shelving assembly and the method thereof
KR101721882B1 (ko) * 2014-08-12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239634B1 (en) 2014-08-12 2019-03-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4291035B (zh) * 2014-09-23 2017-03-15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车厢的分层装置
KR101650386B1 (ko) * 2014-12-04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증발기
US10314393B2 (en) * 2017-03-07 2019-06-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and variable shelf assembly
US10376058B2 (en) 2017-03-23 2019-08-13 Walmart Apollo, Llc Automated motorized modular shelf system
US10161671B2 (en) * 2017-04-21 2018-12-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justable shelf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N106974446A (zh) * 2017-05-14 2017-07-25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置物架
US10334948B2 (en) * 2017-05-14 2019-07-02 Loctek Inc. Electric shelf
KR102455065B1 (ko) * 2018-04-03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10033304A (ko) * 2019-09-18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어셈블리
US11160394B1 (en) * 2019-10-03 2021-11-02 Henschel-Steinau, Inc. Facilitating the placement of shelving in a merchandise display and dispensing unit
CN110811183B (zh) * 2019-11-21 2021-05-14 宁波福玛特金属制品实业有限公司 智能物证暂存柜
CN113899132B (zh) * 2021-11-18 2023-04-21 北京理工大学 一种带有提醒功能的车载冰箱
IL288792A (en) * 2021-12-08 2023-07-01 Doron Alter Shelving system and stacking method
US11910923B2 (en) * 2022-03-02 2024-02-27 Daniel L French Shelv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882A (ja) * 1989-07-12 1991-02-2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棚装置
JPH06194033A (ja) * 1992-12-28 1994-07-15 Sharp Corp 冷蔵庫
KR19990054661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801A (en) * 1975-11-17 1976-09-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operating vertically adjustable cantilever shelves for appliance cabinets
US5199778A (en) * 1990-01-19 1993-04-06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Shelf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US6065821A (en) * 1998-05-15 2000-05-23 Maytag Corporation Vertically adjustable shelf and support rail arrangement for use in a cabinet
JP3648138B2 (ja) * 2000-03-27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7306303B2 (en) * 2003-06-30 2007-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KR20050028265A (ko) * 2003-09-18 2005-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높이조절장치
KR20050072298A (ko) * 2004-0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882A (ja) * 1989-07-12 1991-02-2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棚装置
JPH06194033A (ja) * 1992-12-28 1994-07-15 Sharp Corp 冷蔵庫
KR19990054661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54A (ko) * 2011-12-15 201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 조절 선반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WO2015117564A1 (zh) * 2014-02-08 2015-08-13 海尔集团公司 搁物架组件及具有该搁物架组件的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875A (ko) 2008-10-09
US8047623B2 (en) 2011-11-01
US20080246382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699B1 (ko) 냉장고
US8267493B2 (en) Refrigerator
RU2419048C2 (ru)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с хранилищем, регулируемым по высоте
US8607588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rawer
KR102421854B1 (ko) 냉장고
EP3653979B1 (en) Refrigerator
KR20110003911A (ko) 냉장고
KR20100085252A (ko) 냉장고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KR1015735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20100070512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20100065501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20090125317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KR101035169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JP2009264696A (ja) 冷蔵庫
KR101639448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KR102091246B1 (ko) 냉장고
KR20070106090A (ko) 냉장고 도어 바스켓 장착구조
KR20170052409A (ko) 냉장고
CN113959150B (zh) 冰箱
KR102340235B1 (ko) 냉장고
KR102386701B1 (ko) 냉장고
KR102352400B1 (ko) 냉장고
KR102386700B1 (ko) 냉장고
KR102373830B1 (ko) 냉장고
KR101185352B1 (ko) 냉장고의 도어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