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977B1 -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 - Google Patents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977B1
KR100403977B1 KR10-2001-0037553A KR20010037553A KR100403977B1 KR 100403977 B1 KR100403977 B1 KR 100403977B1 KR 20010037553 A KR20010037553 A KR 20010037553A KR 100403977 B1 KR100403977 B1 KR 10040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hiral
compound represented
stationary phase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171A (ko
Inventor
현명호
엄봉호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스텍
Priority to KR10-2001-003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9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6Preparation of optical isomers
    • C07C231/20Preparation of optical isomers by separation of optical is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33Chiral chromatograph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 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활성인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 혹은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를 LC용 실리카겔에 공유결합시킨 신규 키랄 고정상과 상기한 키랄 고정상이 충진된 신규 LC용 키랄컬럼, 그리고 상기한 키랄컬럼을 사용하여 α-하이드록시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아릴알킬아민 유도체 등의 라세미화합물을 구성하는 두 광학이성질체를 분리하는 신규 광학분할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 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Chiral stationary phase and chiral LC column for optical resolution of racemic compounds }
본 발명은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 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활성인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 혹은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를 LC용 실리카겔에 공유결합시킨 신규 키랄 고정상과 상기한 키랄 고정상이 충진된 신규 LC용 키랄컬럼, 그리고 상기한 키랄컬럼을 사용하여 α-하이드록시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아릴알킬아민 유도체 등의 라세미화합물을 구성하는 두 광학이성질체를 분리하는 신규 광학분할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R]
[화학식 1S]
상기 화학식 1R 또는 1S에서 : R1및 R2는 니트로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3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n은 0∼8의 정수이다.
거울상 이성질체의 키랄성은 분자구조에 있어 단지 원자나 작용기의 공간적 배열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한 쌍의 광학 이성질체는 모든 물리적 성질이나 화학적 특성이 동일하며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서는 서로 거울상의 관계에 있는 두 광학 이성질체를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서는 광학 이성질체를 분리할 수 없으며, 그들의 절대배치(absolute configuration) 및 광학순도(optical purity)를 결정하는 것 또한 매우 어렵다. 그러나 평면 편광이나 키랄 화합물과 같은 적절한 키랄 환경이 주어지면 광학 이성질체는 그들의 입체화학에 따라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나타내는데 이것은 한 쌍의 광학 이성질체가 키랄 환경(chiral environment)과 상호 작용하여 두 광학 이성질체는 다른 대칭성(symmetry)과 점군(point group)을 가지는 부분 입체 이성질체(diastereomer)의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키랄 환경 하에서 광학 이성질체가 나타내는 다른 물리적, 화학적 거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 광학 이성질체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얻을 수 있으며, 광학 이성질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 키랄 환경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키랄 환경으로는 평면 편광, 키랄 시약 등이 있으며 생체 역시 광학적으로 순수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키랄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쌍의 광학 이성질체는 생체내에서 많은 경우 서로 다른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한 쌍의 광학 이성질체가 나타내는 이러한 생리 활성의 차이는 특히, 라세미 키랄 의약품(chiral drug)의 경우에 두 개의 광학 이성질체가 인체에 각각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앞으로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비대칭 합성이나 광학분할에 의하여 광학적으로 순수한 광학 이성질체를 얻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동식물 등의 생체 천연물에서 광학활성 물질을 추출하여 얻는 경우에도 이들 물질의 광학순도를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얻어진 이들 광학 이성질체 화합물들의 광학순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을 이용한 키랄고정상의 한 예로서 가스파리니 등에 의해 개발된 LC용 키랄고정상이 소개된 바 있고[BiomedicalChromatography,vol. 11, 317∼320(1997)], 이 키랄고정상은 β 혹은 α-아미노에스터를 분리하는데 좋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α-하이드록시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아릴알킬아민 유도체 둥의 라세미화합물을 구성하는 두 광학이성질체를 분리하는 광학분할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광학활성인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 혹은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를 LC용 실리카에 공유결합시킨 키랄 고정상들과 이들로 충진된 LC용 키랄컬럼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세믹화합물로부터 키랄화합물의 분리를 위한 상기 화학식 1R 혹은 1S로 표시되는 새로운 키랄고정상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들로 충진된 LC용 키랄컬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R 혹은 1S로 표시되는 LC용 광학활성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 혹은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를 LC용 실리카에 공유결합시킨 키랄 고정상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R]
[화학식 1S]
상기 화학식 1R 또는 1S에서 : R1및 R2는 니트로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3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n은 0∼8의 정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R 혹은 1S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대표적으로 다음 반응식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에서 :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는 할로겐기, p-톨루엔설포닐기 또는 메탄설포닐기이다.
먼저,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L-타트레이트를 염기처리하여 제조된 상기 화학식 2R로 표시되는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축합반응시키고 필요하다면 치환기 R3을 도입하여 상기 화학식 4R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 축합반응은 유기용매 존재하에 0 ∼ 40 ℃에서 수행하며, 치환기 R3을 도입하기 위한 시약으로는 할로겐화물 또는 술폰산염을 사용하며, 그 반응조건은 통상의 방법에 의한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4R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등의 유기용매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유기염기를 첨가하고 0 ∼ 40 ℃에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축합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6R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얻어진 상기 화학식 6R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등의 유기용매에 녹이고 여기에 클로로디메틸실란과 촉매양의 하이드로젠 헥사클로로플라티네이트(IV)를 첨가하고 가열환류시킨 후, 0 ∼ 30℃에서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기 화학식 7R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7R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실리카겔에 톨루엔, 벤젠,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등의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12 ∼ 100 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에서 감압 여과하고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아세톤, 에테르, 헥산의 순으로 씻어 준 다음, 감압건조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R로 표시되는 키랄 고정상을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S로 표시되는 키랄 고정상을 얻기 위해서는 출발물질로서 다음 화학식 2S로 표시되는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다음 반응식 2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2에서 :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는 할로겐기, p-톨루엔설포닐기 또는 메탄설포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키랄 고정상이 충진된 키랄컬럼을 포함하는 바, 상기 화학식 1R 혹은 1S로 표시되는 키랄고정상을 메탄올에 부유시키고 슬러리 충진기를 이용하여 LC용 공컬럼에 충진시켜 제조한다.
이상에서 제조한 LC용 키랄컬럼은 라세미화합물의 광학분할에 유용한 바, 키랄컬럼의 유용가치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험예에서 구체화하여 설명하겠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N-(3',5'-디니트로벤조일)-N'-(10-운데케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의 제조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L-타트레이트 5.28 g(20 mmol)과 2N NaOH 26 ㎖를 넣고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200 ㎖와 트리에틸아민 1.61 g(15.96 mmol)을 첨가하고 온도를 실온에서 0 ℃로 낮추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133 ㎖에 녹인 3.5-디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 3.06 g(13.3 mmol)을 적가 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후, 여액을 물 150 ㎖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소듐설페이트로 건조, 감압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헥산=5/1(v/v)의 전개용매를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2 g의 엷은 노란색의 고체상으로 N-(3',5'-디니트로벤조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을 수득하고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0.89 ㎖(6.39 mmol)을 넣고 온도를 0 ℃로 낮추었다. 10-운데케노일 클로라이드 0.92 ㎖(4.28 mmol)를 적가하고 2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2N-HCl로 세척하고 소듐설페이트로 건조, 감압농축하여 원하는 표제화합물 1.66 g을 얻었다.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
1H NMR(DMSO, ppm)δ1.17(m, 2H), 1.41(m, 2H), 1.66(m,2H), 2.00(m, 2H), 3.14(m, 2H), 8.51(s, 4H)
N-(3',5'-디니트로벤조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
1H NMR(CDCl3+DMSO, ppm)δ1.11∼1.24(m, 4H), 1.64(m, 2H), 2.02(m, 2H), 2.51(m, 1H), 3.58(m, 1H), 8.49(d, 1H), 9.01(d, 1H), 9.15(d, 2H)
N-(3',5'-디니트로벤조일)-N'-(10-운데케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
IR(KBr) 3285, 2855, 1638, 1543, 1342 cm-1;1H NMR(CDCl3+DMSO, ppm)δ1.04∼2.15(m, 24H), 3.12(m, 2H), 4.88(m,2H), 5.79(m, 1H), 6.38(s, 1H), 8.42(d, 1H), 9.10(s, 3H)
실시예 2 : N-(3',5'-디니트로벤조일)-N'-(10-운데케노일)-(1S,2S)-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반응시키되, (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L-타트레이트 대신에 (1S,2S)-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D-타트레이트를 사용하였다.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
1H NMR(DMSO, ppm)δ1.17(m, 2H), 1.41(m, 2H), 1.66(m,2H), 2.00(m, 2H), 3.14(m, 2H), 8.51(s, 4H)
N-(3',5'-디니트로벤조일)-(1S,2S)-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
1H NMR(CDCl3+DMSO, ppm)δ1.11∼1.24(m, 4H), 1.64(m, 2H), 2.02(m, 2H), 2.51(m, 1H), 3.58(m, 1H), 8.49(d, 1H), 9.01(d, 1H), 9.15(d, 2H)
N-(3',5'-디니트로벤조일)-N'-(10-운데케노일)-(1S,2S)-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
IR(KBr) 3285, 2855, 1638, 1543, 1342 cm-1;1H NMR(CDCl3+DMSO, ppm)δ1.04∼2.15(m, 24H), 3.12(m, 2H), 4.88(m,2H), 5.79(m, 1H), 6.38(s, 1H), 8.42(d, 1H), 9.10(s, 3H)
실시예 3 : N-(3',5'-디니트로벤조일)-N'-메틸-N'-(10-운데케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반응하여 얻어진 N-(3',5'-디니트로벤조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1.2 g(3.89 mmol)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0.71 ㎖(5.06 mmol)을 넣고 온도를 0 ℃로 낮추었다. 0.27 ㎖(4.28 mmol)의 메틸 아이오다이드를 적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 0.89 ㎖(6.39 mmol)을 넣고 다시 온도를 0 ℃로 낮추었다. 10-운데케노일 클로라이드 0.92 ㎖(4.28 mmol)를 적가하고 2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2N-HCl로 세척하고 소듐설페이트로 건조, 감압농축하여 원하는 표제화합물 1.50 g을 얻었다.
1H NMR(CDCl3+DMSO, ppm)δ1.04∼2.15(m, 24H), 2.90(s, 3H), 3.12(m, 2H), 4.88(m,2H), 5.79(m, 1H), 6.38(s, 1H), 8.42(d, 1H), 9.10(s, 3H)
실시예 4 : N-(3',5'-디니트로벤조일)-N'-{11-(디메틸에톡시실릴)운데카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의 제조
질소환경하에서 N-(3',5'-디니트로벤조일)-N'-(10-운데케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1.66 g을 디클로로메탄 25 ㎖에 녹였다. 여기에 클로로디메틸실란 19 ㎖(171.3 mmol)와 촉매양의 하이드로젠 헥사클로로플라티네이트(IV)-6H2O 0.015 g을 소량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여 첨가한 후 2 시간동안 환류시켰다. 과량의 클로로디메틸실란을 단순증류 제거하였다. 증류 후 남은 반응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에탄올=1/1(v/v) 용액을 흰 연기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조금씩 첨가하여 주었다. 흰 연기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감압 농축한 후 곧 바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3/1(v/v)의 전개용매를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무색의 고체상으로 표제화합물을 1.52 g 얻었다.
1H NMR(CDCl3, ppm)δ0.08(s, 6H), 0.59(t, 3H), 1.15(t, 3H), 1.21∼2.21(m, 26H), 3.61(q, 2H), 3.84(m, 2H), 5.65(d, 1H), 8.20(d, 1H), 8.62(d, 1H), 9.01(1H), 9.12(2H)
실시예 5 : 키랄고정상(화학식 1R; R 1 =R 2 =NO 2 , R 3 =H, n=8)의 제조
HPLC 컬럼용 실리카겔 4.5 g과 톨루엔 100 ㎖를 첨가한 후, 질소환경하에서 환류하여 실리카겔에 흡착된 수분을 딘-스탁 트랩으로 제거하였다.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N-(3',5'-디니트로벤조일)-N'-{11-(디메틸에톡시실릴)운데카노일} -(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1.7 g을 넣고 72 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에서 감압 여과하고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아세톤, 에테르, 헥산의 순으로 씻어준 다음, 감압건조시켜 키랄고정상 5.0 g을 얻었다.
원소분석 : 6.4% C
실시예 6 : 키랄고정상(화학식 1S; R 1 =R 2 =NO 2 , R 3 =H, n=8)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되 N-(3',5'-디니트로벤조일)-N'-{11-(디메틸에톡시실릴)운데카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대신에 N-(3',5'-디니트로벤조일)-N'-{11-(디메틸에톡시실릴)운데카노일}-(1S,2S)-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5.0 g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원소분석 : 6.4% C
실시예 7 : 키랄고정상(화학식 1R; R 1 =R 2 =NO 2 , R 3 =CH 3 , n=8)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되 N-(3',5'-디니트로벤조일)-N'-{11-(디메틸에톡시실릴)운데카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대신에 N-(3',5'-디니트로벤조일)-N'-{11-(디메틸에톡시실릴)운데카노일}-N'-메틸-(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4.9 g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 : 키랄고정상(화학식 1S; R 1 =R 2 =CH 3 , R 3 =C 6 H 5 CH 2 , n=0)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되 N-(3',5'-디니트로벤조일)-N'-{11-(디메틸에톡시실릴)운데카노일}-(1R,2R)-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대신에 N-(3',5'-디메틸벤조일)-N'-{3-(디메틸에톡시실릴)프로피오닐}-N'-벤질-(1S,2S)-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4.8 g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실험예 1 : 키랄고정상(화학식 1R; R 1 =R 2 =NO 2 , R 3 =H, n=8)이 충진된 LC용 키랄컬럼을 이용한 α-하이드록시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의 광학분할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3.5 g의 키랄고정상을 메탄올 20 ㎖에 부유시키고 슬러리 충진기를 이용하여 HPLC용 공컬럼(250 mm × 4.6 mm I.D.)에 충진시켜 키랄컬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한 키랄고정상을 이용한 LC용 키랄컬럼에 전개용매는2-프로판올/헥산=20/80, 유속은 2 ㎖/mim, 검출기는 254 nm UV의 조건으로 다음에 나타낸 α-하이드록시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들을 각각 광학분할하여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R k1 a k2 b α
CH3 0.77 0.85 1.10
(CH3)2CH 0.55 0.67 1.22
(CH3)2CHCH2 0.53 0.68 1.28
CH3(CH2)3 0.28 0.38 1.36
CH3(CH2)5 0.47 0.57 1.21
CH3(CH2)7 0.41 0.49 1.21
CH3(CH2)9 0.36 0.43 1.20
C6H5 0.89 1.11 1.25
C6H5CH2 0.69 0.90 1.30
1.82 2.44 1.34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R k1 a k2 α
CH3 1.64 1.80 1.10
(CH3)2CH 1.13 1.40 1.24
(CH3)2CHCH2 1.12 1.46 1.30
CH3(CH2)3 1.10 1.32 1.20
CH3(CH2)5 0.98 1.20 1.23
CH3(CH2)7 0.86 1.05 1.22
CH3(CH2)9 0.79 0.96 1.22
C6CH5 1.74 2.20 1.26
C6CH5CH2 1.52 2.07 1.36
3.71 5.08 1.37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실험예 2 : 키랄고정상(화학식 1R; R 1 =R 2 =NO 2 , R 3 =H, n=8)이 충진된 LC용 키랄컬럼을 이용한 α-아미노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의 광학분할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LC용 키랄컬럼에 전개용매는 2-프로판올/헥산=20/80(v/v), 유속은 2 ㎖/mim, 검출기는 254 nm UV의 조건으로 다음에 나타낸 α-아미노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들을 각각 광학분할하여 다음 표 3 내지 표 6에 나타내었다.
R A B
k1 k2 α k1 k2 α
CH3 0.72 0.97 1.35 1.62 1.79 1.11
CH3CH2 0.52 0.89 1.65 0.65 0.79 1.22
CH3CH2CH2 0.42 0.71 1.69 0.49 0.64 1.31
CH3(CH2)3CH2 0.36 0.68 1.86 0.45 0.58 1.29
CH3(CH2)5CH2 0.29 0.56 1.91 0.40 0.53 1.33
CH3(CH2)7CH2 0.29 0.55 1.90 0.35 0.46 1.31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R k1 k2 α
CH3 1.45 1.86 1.28
CH3CH2 1.00 1.44 1.44
CH3CH2CH2 0.83 1.28 1.54
CH3(CH2)3 0.71 1.16 1.63
CH3(CH2)5 0.58 1.00 1.72
CH3S(CH2)2 1.33 2.10 1.58
(CH3)CH(OH) 2.00 2.60 1.30
CH2(OH) 3.49 4.10 1.18
(CH3)2CHCH2 0.66 1.23 1.86
C6H5CH2 0.71 1.46 2.06
C6H5 1.47 1.78 1.21
(CH3)2CH 0.72 1.28 1.78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R k1 k2 α
CH3 2.73 3.50 1.28
CH3CH2 1.85 2.68 1.45
CH3CH2CH2 1.49 2.37 1.59
CH3(CH2)3 1.28 2.15 1.68
CH3(CH2)5 1.07 1.90 1.78
CH3S(CH2)2 2.71 2.63 2.04
(CH3)CH(OH) 4.55 5.89 1.30
(CH3)2CHCH2 1.29 2.63 2.04
C6H5CH2 1.90 3.60 1.90
C6H5 2.89 3.61 1.25
(CH3)2CH 1.45 2.72 1.88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R k1 k2 α
CH3 1.62 1.79 1.11
CH3CH2 1.11 1.27 1.14
CH3CH2CH2 0.88 1.04 1.18
CH3(CH2)3 0.77 0.94 1.22
CH3(CH2)5 0.62 0.77 1.24
CH3S(CH2)2 1.40 1.67 1.19
(CH3)CH(OH) 2.35 2.59 1.10
(CH3)2CHCH2 0.72 0.97 1.35
C6H5CH2 1.00 1.26 1.26
C6H5 1.52 1.74 1.15
(CH3)2CH 0.80 1.03 1.29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실험예 3 : 키랄고정상(화학식 1R; R1, R2=NO 2 , R3=H, n=8)이 충진된 LC용 키랄컬럼을 이용한 α-아미노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광학분할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LC용 키랄컬럼에 전개용매는 2-프로판올/헥산= 20/80, 유속은 2 ㎖/mim, 검출기는 254 nm UV의 조건으로 다음에 나타낸 α-아미노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들을 각각 광학분할하여 다음 표 7에 나타내었다.
분석물질 n k1 k2 α
1 3.67 3.67 1.00
2 2.81 3.09 1.10
5 1.40 1.58 1.13
10 0.94 1.05 1.12
1 2.30 2.30 1.00
2 1.35 1.46 1.08
5 0.70 0.78 1.12
10 0.51 0.58 1.14
1 1.64 1.34 1.00
2 1.15 1.15 1.00
5 0.62 0.71 1.15
10 0.45 0.54 1.20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실험예 4 : 키랄고정상(화학식 1R; R1, R2=NO 2 , R3=H, n=8)이 충진된 LC용 키랄컬럼을 이용한 아릴알킬아민 유도체의 광학분할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LC용 키랄컬럼에 전개용매는 2-프로판올/헥산= 20/80, 유속은 2 ㎖/mim, 검출기는 254 nm UV의 조건으로 다음에 나타낸 아릴알킬아민 유도체들을 각각 광학분할하여 다음 표 8에 나타내었다.
분석물질 k1 k2 α
1.33 1.49 1.12
4.32 5.64 1.31
k1: 처음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k2: 나중에 용리되는 광학이성질체의 용량인자α: 분리인자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 혹은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유도체를 LC용 실리카겔에 공유결합시킨 상기 화학식 1R과 화학식 1S로 표시되는 키랄 고정상들과 이들로 충진된 LC용 키랄컬럼을 개발하므로써 α-하이드록시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 α-아미노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아릴알킬아민 유도체 등의 라세미화합물을 구성하는 두 광학이성질체를 분리하는 새로운 광학분할방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6)

  1. 라세믹화합물에 상응하는 키랄화합물의 분리에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화학식 1R로 표시되는 LC용 키랄고정상.
    [화학식 1R]
    상기 화학식 1R에서 : R1및 R2는 니트로기, 알킬기,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3는 수소원자, 알킬기, 벤질기를 나타내고; n은 0∼8의 정수이다.
  2. 라세믹화합물에 상응하는 키랄화합물의 분리에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화학식 1S로 표시되는 LC용 키랄고정상.
    [화학식 1S]
    상기 화학식 1S에서 :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3. 다음 화학식 2R로 표시되는 (1R,2R)-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축합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또는 치환기 R3를 도입하여 다음 화학식 4R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과정;
    상기 화학식 4R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다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축합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6R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과정;
    하이드로젠 헥사클로로플라티네이트(IV) 촉매하에서 상기 화학식 6R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클로로디메틸실란과 반응시킨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다음 화학식 7R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과정; 및
    상기 화학식 7R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실리카겔과 반응시켜 원하는 화학식 1R로 표시되는 키랄 고정상을 제조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고정상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는 할로겐기, p-톨루엔설포닐기 또는 메탄설포닐기이다.
  4. 다음 화학식 2S로 표시되는 (1S,2S)-1,2-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축합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또는 치환기 R3를 도입하여 다음 화학식 4S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과정;
    상기 화학식 4S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다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축합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6S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과정;
    하이드로젠 헥사클로로플라티네이트(IV) 촉매하에서 상기 화학식 6S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클로로디메틸실란과 반응시킨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다음 화학식 7S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과정; 및
    상기 화학식 7S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실리카겔과 반응시켜 원하는 화학식 1S로 표시되는 키랄 고정상을 제조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고정상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는 할로겐기, p-톨루엔설포닐기 또는 메탄설포닐기이다.
  5. 다음 화학식 1R로 표시되는 키랄고정상을 충진물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LC용 키랄컬럼.
    [화학식 1R]
    상기 화학식 1R에서 :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다음 화학식 1S로 표시되는 키랄고정상을 충진물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LC용 키랄컬럼.
    [화학식 1S]
    상기 화학식 1S에서 : R1, R2, R3및 n은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KR10-2001-0037553A 2001-06-28 2001-06-28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 KR10040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553A KR100403977B1 (ko) 2001-06-28 2001-06-28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553A KR100403977B1 (ko) 2001-06-28 2001-06-28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171A KR20030001171A (ko) 2003-01-06
KR100403977B1 true KR100403977B1 (ko) 2003-10-30

Family

ID=2771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553A KR100403977B1 (ko) 2001-06-28 2001-06-28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712B1 (ko) * 2001-08-03 2004-11-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키랄고정상, 이들로 충진된 키랄칼럼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138A (en) * 1976-08-03 1978-04-18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rocess for optical resolution of crude trans-1,2-cyclohexanediamine
JPH0327326A (ja) * 1989-05-26 1991-02-05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クロマト分離法
US4996158A (en) * 1987-12-26 1991-02-26 Junichi Oda Optical resolution of racemic alcohols
US5268442A (en) * 1990-11-13 1993-12-07 Brigham Young University Chiral copolymers with oligosiloxane spac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138A (en) * 1976-08-03 1978-04-18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rocess for optical resolution of crude trans-1,2-cyclohexanediamine
US4996158A (en) * 1987-12-26 1991-02-26 Junichi Oda Optical resolution of racemic alcohols
JPH0327326A (ja) * 1989-05-26 1991-02-05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クロマト分離法
US5268442A (en) * 1990-11-13 1993-12-07 Brigham Young University Chiral copolymers with oligosiloxane space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lia A. Gavin,Chem. Mater,1988,10, 1937-1944p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171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2310A (en) Chiral supports for resolution of racemates
KR20040030046A (ko) 에스시탈로프람의 제조방법
US5254258A (en) Chiral selector useful for separation of enantiomers of β-amino alcohol compounds
US5387338A (en) Separation of enantiomer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hiral selector therefor
KR100263872B1 (ko) 일차 아미노기를 가지는 라세미 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lc용 키랄고정상 및 이들로 충진된 키랄칼럼
KR100403977B1 (ko) 라세믹화합물의 광학분할을 위한 lc용 키랄고정상 및이들로 충진된 키랄컬럼
US5097037A (en) Process for the optical resolution of pyranobenzoxadiazole compounds
Allenmark et al. Chiral selectors based on C2-symmetric dicarboxylic acids
KR20070002020A (ko) 광학 활성 알파-할로-카르보닐 화합물의 접촉식 비대칭합성
KR100387932B1 (ko) 키랄 의약품의 광학분할을 위한 lc 용 키랄 크라운 에테르 키랄 고정상 및 이들로 충진된 키랄 칼럼
KR940003298B1 (ko) 인덴류 화합물의 제조방법
JP5083990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光学異性体分離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90765B1 (ko) (-)-(18-크라운-6)-2,3,11,12-테트라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과 이의 (-)-키랄고정상으로서의 용도
KR100454712B1 (ko) 키랄고정상, 이들로 충진된 키랄칼럼 및 이들의 제조방법
Thunberg et al. Evaluation of a chiral stationary phase derived from a simple Diels‐Alder reaction
JP3121072B2 (ja) コンアルブミンが結合した光学異性体分離剤
KR100525288B1 (ko) 광학활성인n,n'-다이(치환벤조일)-2,3-다이아미노-1,4-부탄다이올을기저로한 키랄고정상 및 이들로 충진된 킬랄칼럼
JPH03106852A (ja) α―アミノケトン類の直接分割方法
KR20040080034A (ko) 키랄 크라운에테르를 기저로한 lc용 키랄 고정상, 이의키랄 칼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20998B1 (ko) 이중 연결가지를 가진 lc 용 키랄 크라운 에테르 키랄고정상 및 이들로 충진된 키랄 칼럼
RU234152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ПТ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5-МЕТОКСИ-2-((4-МЕТОКСИ-3,5-ДИМЕТИЛПИРИДИН-2-ИЛ)МЕТИЛСУЛЬФИНИЛ)-1Н-БЕНЗО[d]ИМИДАЗОЛА
JP3577160B2 (ja) ジフェニルピペラジン誘導体ジアステレオマー
JPH09278722A (ja) 光学活性プロパノール誘導体
JPH08176134A (ja) フタリド誘導体の新規な合成方法
JPH0253781A (ja) オキサゾリン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