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292B1 - 유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292B1
KR100403292B1 KR1019950056476A KR19950056476A KR100403292B1 KR 100403292 B1 KR100403292 B1 KR 100403292B1 KR 1019950056476 A KR1019950056476 A KR 1019950056476A KR 19950056476 A KR19950056476 A KR 19950056476A KR 100403292 B1 KR100403292 B1 KR 10040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rol
engine
motor torqu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683A (ko
Inventor
슈우지 오이까와
마사히로 사또
세이지 아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24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775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7012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803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카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960023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77Control of the EGR valve or actuator, e.g. duty cycle, closed loop control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49Detecting, diagnosing or indicating an abnormal function of the EG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02M26/54Rotary actuators, e.g. step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7Safety-related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8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with means for detecting or resolving a stuck throttle, e.g. when being frozen in a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5Specific aspects of external EG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45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 F02M26/46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ases, e.g. composition
    • F02M26/47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ases, e.g.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being temperatures, pressures or flow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Flow Control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량제어밸브에 있어서 페일세이프 기능을 가지고, 또 탈조방지 제어를 설치하여 탈조방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탈조방지 제어를 설치함으로써 응답성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는 유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동기식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량제어밸브의 밸브부에는 편측응력이 작용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또, 동기식 모터의 토오크 변동 판정수단에 의하여 모터토오크 변동시에는, 토오크 변동상태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정정시간을 분별 사용하여 상기 모터 변동주기에 가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성, 배기성능 및 연비가 극히 양호함과 동시에, 유량제어장치의 고장시에도 엔진스톨 등, 운전성이 극도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제어장치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유량제어밸브의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제어에 관한 유량파라미터의 제어장치로서는, 아이들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흡기의 보조공기량을 제어하는 ISC제어장치, 흡기관으로의 배기가스 환류량을 제어하는 EGR제어장치, 캐니스터퍼지량을 제어하는 에바포 제어장치 등이 있다.
이들 유량제어장치가 고장났을 경우, 또는 유량제어밸브가 탈조(脫調)하고 있는 경우, 아이들회전수의 이상 상승, 연소불안정에 의한 서지(surge)의 발생, 공연비 이상[오버리치(over-rich) 또는 오버린(over-lean)] 등에 의한 엔진부조(不調)가 발생한다.
특히 근년의 배기규제나 연비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량의 EGR나 대량의 에바포퍼지(evaporation-purge)가 행해지고 있어 이들 제어장치의 고장은 엔진스톨에 연결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줄뿐 아니라 대단히 위험하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탈조방지제어를 마련하여 탈조를 방지 및 상기와 같은 고장발생시의 회피제어(페일세이프 기능)를 마련하고, 고장을 검지했을 때 예를들면 EGR ON-OFF밸브(커트밸브)를 사용하여 제어계를 전체폐쇄(예를들면 EGR 통로를 차단)로 제어하여, 운전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밸브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리턴스프링)이 조립되어 있어, 상기 유량제어장치가 정상기능으로부터 일탈한 경우 폐쇄방향으로 제어밸브를 이행시킴과 동시에 공진주파수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또, 모터로 구동되는 유량제어밸브의 밸브구성부에 편측응력이 작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다시 동기식 모터의 모터토오크 변동판정수단에 의하여 토오크 변동상태에 따라 구동주기에 설정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시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값을 가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제어용의 제어장치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제어밸브의 폐쇄를 저해하고 있던 나사기구의 섭동저항의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어, 적확한 동작으로 유량제어밸브를 폐쇄로 할 수 있어 엔진의 운전성 부조를 회피할 수 있다.
모터에의 출력신호가 전혀 출력되지 않게 되는 등의 제어장치 고장시에도 유량제어밸브를 폐쇄로 할 수 있어, EGR, 보조흡입공기, 에바포퍼지 등의 지나친 관련을 회피할 수 있으며, 또한 모터의 모터토오크 변동상태에 따라 구동주기에 설정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탈조를 방지함과 동시에, 설정시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값을 분별 사용함으로서 응답성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되는 엔진의 유량제어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스텝모터식 EGR을 사용한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제어방법 개요의 일예이다.
콘트롤유닛(40)은 엔진회전수나 흡입공기량을 각종 센서(엔진상태 검출수단)(50)로부터 받아들여, 목표 EGR량을 목표 EGR량 연산수단(51)에 의하여 연산한다.
여기서는, 엔진수온, 드로틀개방도, 엔진회전수 등을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의하여 엔진, 차량의 운전상태라든가 부하상태를 인식하고, 운전상태나 부하상태에 따라 EGR의 도통(또는 증량), 차단(또는 감량)을 제어한다.
또, 각종 센서(엔진상태 검출수단)(50)에서 콘트롤유닛(40)에 받아들여진 드로틀개방도와 엔젠회전수 등 및 흡기관압력으로 실제의 EGR량을 수단(54)에서 추정하고, 이 추정치와 목표 EGR량 연산수단(51)에 있어서의 목표 EGR량과의 상관으로, 목표 EGR량 연산수단(51)에 의하여 연산된 목표 EGR량에 보정을 가한다(블록 53).
보정된 목표 EGR량은 목표 스텝수 변환수단(55)에 의하여 목표 EGR량에 상당하는 목표스텝수로 변환된다.
다시, 목표스텝수에 따라 EGR밸브(41)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출력주기, 구동출력패턴을 설정하는 스텝모터 구동펄스 출력수단(57) 및 트랜지스터 등의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밸브 구동수단(61)에 의하여 소정의 여자패턴에 따라 출력신호가 출력된다.
이상이 기본적인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예이고, 다음에 본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이상 판정시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종 센서(엔진상태 검출수단)(50)로부터의 정보는, 블록 56에 받아들여진다. 블록 56은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는 EGR유량에 관련된 유량파라미터(예를 들면 온도, 압력)는 블록 56-a에서 산출되고, 밸브이상 검출수단(56-b)에서 소정의 역치와 비교되어 밸브의 이상을 검출한다.
한편, EGR밸브의 코일단선이나 노이즈혼입 등의 전기적인 이상판별은, EGR밸브에의 출력신호(제어량을 검출하는 밸브리프트량도 포함한다)를 밸브상태 검출수단(100)에서 검출하고, 콘트롤유닛(40)에 입력하여 결선상태나 동작상태가 소정의 상태, 동작패턴인지 아닌지를 밸브 이상 검출수단(56-b)에서 검출한다.
상기 검출결과는 블록 55와 57과의 사이에 있는 일정 밸브상태 전환수단(59)에 의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목표스텝수 변환수단(55)에서 변환된 목표스텝수가 그대로 스텝모터 구동펄스 출력수단(57), 밸브구동수단(61)에서 출력되어 EGR밸브(41)는 통상 구동된다.
한편, 판정결과가 이상인 경우에는, 전환수단(59)에 의하여 블록 60으로 전환된다. 이 이상시 펄스 출력수단(60)에서는, 목표스텝수 변환수단(55)에 의하여 변환된 목표스텝수에는 관계 없이, 목표스텝수를 0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값(즉, 전폐쇄)으로 강제적인 재설정을 행하고, EGR밸브(41)를 폐쇄 구동시킴과 동시에 특수주파수(공진주파수)를 혼재시켜 섭동저항을 저하시키면서 EGR밸브를 완전 폐쇄로 유도한다.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흡입공기와 연료의 혼합기는 흡기관(44)을 통하여 실린더(47)내에서 연소하여 배기관(45)으로 배기가스로 되어 배출된다. 이 때, 배기가스의 일부는 유량제어밸브인 EGR밸브(41)를 통하여 흡기관(44)에 환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되는 NOx의 저감, 혹은 엔진(46)의 연료소비율 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여기서 EGR밸브(41)의 제어량은 엔진(46)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엔진회전수, 엔진수온, 흡입공기량, 드로틀개방도 등의 정보를 콘트롤유닛(40)에받아넣어 엔진(46)의 운전상태에 대응한 제어량을 연산하여 EGR밸브(41)에 출력신호를 송신한다.
배기가스의 환류량(즉 EGR량)은, 흡기관(44)에 설치된 부스트압센서(흡기관내압 센서)(43), 또는 EGR배관(48)에 설치된 온도센서(42a), 유량센서(42b) 등에 의하여 검지할 수 있게 된다. EGR밸브의 전기적 결선상태는 콘트롤유닛(40)으로부터 EGR밸브에 출력하는 출력신호의 결선이상(단선, 단락, 노이즈혼입등)을 감시한다.
제 3도는 배기가스 환류장치에 있어서의 유량제어밸브의 일예인 스텝모터식 EGR밸브를 나타낸다.
스텝모터(10)는, 보빈(11)에 감겨진 코일(12a), (12b) 및 보빈(11)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부(13a), (13b)에 의하여 스테이터부(14)를 구성하고, 마그네트홀더(15) 및 마그네트홀더(15)의 외주에 고정된 마그네트(17)와 2쌍의 베어링(18a, 18b), 마그네트홀더(15)내부에 형성된 암나사(16)에 의하여 로터부(19)를 구성한다. 스테이터부(14)는 냉각수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냉각수 순환파이프(24)를 가지는 베어링하우징(23)에 모터결합나사(25)에 의하여 결합된다. 마그네트홀더(15)상부에 결합된 베어링(18a)은 베어링 예압(豫壓)스프링(20)에 의하여 예압되고, 하부의 베어링(18b)은 베어링하우징(23)에 의하여 지지된다. 로터부(19)의 회전운동을 출력축(2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트홀더(15)의 내부에 암나사(16), 출력축(21)에는 숫나사(22)가 형성된다. 출력축(21)은 베어링하우징(23)에 결합되고 출력축(21)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관통면이 반달형으로 된축부시(26)를 관통한다. 밸브축(36)의 한쪽은 축이음매(30)에 의하여 출력축(21)에 연결되고, 한쪽은 가스시일(33),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공간(35)을 가지는 모터홀더(34)를 관통하여 밸브시이트(2)를 개폐가능한 밸브(1)에 결합되어 스프링(31a, 31b)에 의하여 밸브폐쇄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밸브시이트(2)를 가지고 유로를 형성하는 보디(3)는, 베어링하우징(23)에 결합된 모터홀더(34)에 보디결합나사(5)에 의하여 결합된다.
코일(12a), (12b)에 전기펄스 신호를 여자함으로써 마그네트(17)가 유도회전하여 로터부(19)가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은 숫나사(22)와, 암나사(16)에 의하여 출력축(2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축이음매(30)를 개재하여 밸브축(36)의 직선운동으로 되어 밸브축(36)에 고정된 밸브(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밸브(1)와 밸브시이트(2)의 공간에 의하여 순환통로(6)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량이 제어된다.
여기서 밸브(1)의 밸브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31a, 31b)은, 코일(12)에 전기펄스신호를 여자함으로써 발생하는 추력(推力)이 없는 상태로 완전폐쇄 가능한 하중으로 설정하면, 코일의 반력 등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하중을 강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밸브구동시의 상기 스프링하중에 대한 상기 코일추력의 여유분이 좁아지므로(부족하므로), 유량제어장치가 정상시에도 분위기온도, 진동 등의 외란에 의하여, 소정의 밸브목표 제어량으로부터 실제어량이 일탈되기 쉽다. 또, 유량제어밸브 구동주파수를 높여도 마찬가지로 일탈되기 쉬워져 상기 코일추력없이 완전 폐쇄로 되는 스프링하중으로 설정할 수 없게 된다. (탈조발생 회피를 위해서는 스프링력을 작게하는 수밖에 없으나, 펄스이상시에 스프링력만으로 밸브를 완전폐쇄로 할 수 없어져 밸브고장시의 안전성을 고려하면 최선의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제 4도, 제 5도는 각각 스텝모터식 EGR밸브의 유니폴라 구동에 있어서의 결선상태와 여자패턴을 나타낸다.
제 4도에 있어서 단자②, ⑤는 배터리(구동전원)에 접속되어 있고, 단자①, ③, ④, ⑥의 전위를 콘트롤유닛(40)내의 밸브구동수단(61)으로 어스단락함으로써, 제 5도와 같은 여자패턴을 발생가능하게 하여, 여자패턴을 전환함으로써 로터부(19)를 회전시켜 나사변환으로 제어밸브를 상하방향(개폐방향)으로 구동한다.
다음에, EGR환류계통이 통상의 기능으로부터 일탈한 경우, 즉 밸브의 스틱, 코일단선, 계의 막힘이나 누설 등의 경우의 밸브폐쇄 방향 구동시에 걸리는 힘의 균형을 제 6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6도에 있어서, 종축에는 밸브를 폐쇄시키는 힘(밸브폐쇄력)과, 밸브를 폐쇄시킬 때의 저항력(밸브폐쇄저항)을 나타낸다. 엔진오프라인시(신차상태)에서는, 밸브폐쇄력은 리턴스프링에 의한 밸브폐쇄력(S)과 코일여자에 의한 밸브폐쇄력(P)의 합에 의하여, 초기밸브 폐쇄저항(R1)을 상회하여 충분히 밸브의 폐쇄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단, S는 스텝모터의 탈조를 고려하면 지나치게 강력하게는 할 수 없다.
한편, 장시간의 사용상태에서는 밸브샤프트의 마모나 로터의 회전을 축방향으로 변환하는 나사부의 섭동저항의 증가 등에 의하여, 밸브폐쇄 저항은 R2로 증가되어 버려, 밸브폐쇄력과의 클리어런스(여유분)가 감소하고, 결국에는 R2가 P+S를 초과하여 버리게 되어 밸브폐쇄 구동이 곤란해진다. 제 6도에서는 R3이나, 실제로는 이와 같이 되지 않는다.)
또, 밸브폐쇄 저항이 R2인 상태이더라도, 밸브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즉 코일의 열화에 의한 구동력 저하나 코일의 어느 하나의 상(相)의 단선 등일 때에는 필요한 밸브폐쇄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코일여자에 의한 밸브폐쇄력은 P로부터 P'로 저하되어 버려 밸브를 폐쇄 구동할 수 없게 된다. (리턴 스프링의 열화도 약간 있다.)
이번 발명에서는, 밸브폐쇄 저항의 대부분이 기구적인 원인(나사의 섭동저항, 샤프트 베어링의 저항등)인 것에 착안하여, 공진주파수(밸브고유의 고유진동모드)로 구동함으로써 밸브를 일차적으로 공진시켜 상기 기구적 원인에 의한 밸브폐쇄 저항을 배제(나사부의 백러시를 진동시킴으로써 확대하여 섭동저항을 저감)하고, 제 6도의 R2로부터 R4로 낮춤으로써 EGR계의 이상시에도 리턴스프링의 힘으로 확실하게 완전 폐쇄상태로 이행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7도는 상기 공진구동을 사용한 밸브폐쇄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제 1도의 스텝 60의 일 실시예)이고, 제 8도는 그 때의 타임챠트이다.
먼저 제 7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56에서 이상 판정되었을 경우, 구동방향 설정수단(70)으로 밸브폐쇄 방향 구동으로 전환한다. 이 때의 펄스출력의 출력주기(주파수)는 통상의 펄스주기이고, 구동력의 확보와 안전성을 고려한 신속한 밸브폐쇄를 확보하고, 타이머 계측수단으로 시간(T)을 계측하고(스텝 71), T경과후에 다음 스텝 72으로 이행한다.
스텝 72는 밸브의 폐쇄상태(개방도 정보)를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의 리프트센서나 EGR환류통로에 설치된 온도센서, 압력센서, 유량센서 등을 사용한다.
스텝 73에서 전폐쇄 상태를 검지했을 경우는, 본 플로우를 종료하나, 전폐쇄 상태로 다 이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74로 이행하고, 펄스출력주기를 공진주파수 상당으로 설정하여, 밸브폐쇄 구동을 행한다. 타이머 계측 스텝 75에서는 공진구동시간(E)을 계측하고, E경과할 때 까지 공진주파수로 밸브폐쇄 구동한다.
다시 스텝 70으로 이행하고 상기 구동을 행하여 전폐쇄상태로 이행할 때 까지 본 플로우를 반복한다. (스텝 75와 스텝 70의 사이에 스텝 72, 스텝 73의 전폐쇄 판정을 다시 실행시켜도 좋다.) 전폐상태는 유량파라미터나 밸브리프트량으로부터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제 8도는 상기 제 7도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고, 시간 t1으로부터 t2사이, t3로부터 t4사이, t5로부터 t6이 통상 펄스주파수로 구동되는 계측시간(T)의 구간, 시간 t2로부터 t3사이, t4로부터 t5사이가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계측시간(E)의 구간이다. 밸브위치의 K부는 밸브의 나사나 샤프트 섭동저항 등에 의하여 밸브가 걸림을 일으킨 상태이고, 제 7도의 플로우를 반복하여 밸브를 전폐쇄 상태로 되돌려간다.
또, 제 7도에 있어서 스텝 70 대신에 무여자상태로 하여, 리턴스프링만으로 폐쇄시켜도 좋고, 스텝 72, 73의 전폐쇄상태 검출을 생산비용저감을 위하여 삭제하고, 제 7도의 플로우챠트를 설정회수만큼 반복시켜도 좋다.
제 9도, 제 10도, 제 11도는 제 2도에 있어서의 이상판정수단(56)의 일예를 나타낸다.
먼저 제 9도부터 설명한다. 스텝 80에서는 제 2도의 밸브구동수단(61)으로부터의 출력이 실제로 밸브에 정확히 인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기 위하여, 스텝 모터의 각 코일의 인가전압(펄스)을 펄스구동수단(61)의 출력타이밍으로 받아들인다. 다음 스텝 81에서 밸브구동수단(61)의 출력타이밍과 동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또는 전위의 하이, 로우가 합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동기하고 있으면 스텝 82를 거쳐 정상으로 판정한다. (스텝 56중의 정상판정 스텝 84).
스텝 82에서 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56중의 이상판정 스텝 83에서 이상판정이 행해진다.
제 10도도 마찬가지로 밸브이상을 검지하기 위한 플로우이나, 제 10도는 제 9도에 대하여 밸브샤프트부 또는 로터부에 이동량(리프트량)센서를 설치하고, 엔진의 운전영역마다에 미리 설정된(또는 연산되어 나뉘어낸)목표밸브리프트량과 실제 리프트량과의 비교에 의하여 이상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리턴스프링을 구비한 밸브의 이상검지는, 이상시에 구동력이 저하되므로 리턴스프링에 상반하는 밸브개방 방향으로 행하면 더욱 현저하게 검지가 가능해진다.
제 11도는 EGR환류경로의 막힘이나 누설 등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으로, 각운전상태(영역)마다 EGR가스가 흐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진단)하는 것이다.
운전상태(영역)의 판정은 스텝 53에 의하여 행해지고, 그것과 동시에 해당영역이 EGR가스 환류영역(EGR가스를 환류시키는 영역)인지의 여부를 스텝 90에서 판정한다.
스텝 91은 EGR의 유량, 온도, 압력 등의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받아들이는 단계로, 해당영역 내에서의 상기 센서에 대응하여 미리 메모리내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스텝 92에서 읽어내고, 스텝 93에서 양자를 비교(예를들면 차이를 산출)한다. 스텝 94에서 상기 상관치(차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치 이내이면 EGR계는 정상(스텝 56중의 스텝 84), 스텝 94에서 상기 상관치(차분)가 소정치 이외이면 EGR계는 이상(스텝 56중의 스텝 83)으로하여 EGR계의 판정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수법을 이용하여 EGR계의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정확하게 밸브를 폐쇄 구동할 수 있어 엔진(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경보수단(버저, 경고등, 콘트롤유닛 외부와의 통신등)을 병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는 EGR제어뿐아니라 ISC제어나 에바포제어등에의 응용도 가능한다.
또,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가 되는 배기가스 환류장치, 즉 EGR제어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2도는 본 발명의 EGR제어장치에 관한 전체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흡입공기량 검출수단(201)에 의하여 계량된 흡입공기량과 엔진회전수로부터기본연료량을 기본연료량 계산수단(202)에 의하여 계산한다. 한편, 운전조건에 따른 임의의 공연비를 얻도록 산소농도센서에 의하여 배기가스중에 함유되는 산소농도를 검출하여 공연비의 농박(濃薄)을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와 엔진부하조건으로부터 공연비 보정계수를 공연비 보정수단(205)에 의하여 구하고, 상기 기본연료량과 공연비 보정계수로부터 분사연료량은 분사연료량 계산수단(203)에 의하여 "duty"로서 출력되어 연료분사수단(204)에 의하여 연료가 분사된다.
배기가스 환류량, 즉 EGR량은 제 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본연료량 및 엔진회전수로부터 EGR량 검색수단(206)에 의하여 맵검색된 후, 엔진의 부하조건인 아이들판정스위치, 드로틀개방도센서, 냉각수온센서 등의 정보로부터 EGR량 보정수단(211)에 의하여 EGR량에 보정이 가해져 EGR 밸브 개구면적 계산수단(207)에 의하여 EGR밸브 개구면적으로 변환된다. 다시 변환된 EGR밸브 개구면적은 EGR밸브구동 스텝수 변환수단(208)에 의하여 제 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GR밸브구동 스텝수로 치환된 후, 동기식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EGR밸브(210)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기식모터 구동펄스 출력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여자패턴에 따라 출력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모터토오크 변동 판정수단(209)에 의하여 모터토오크의 변동이 확인되었을 때는 상기 출력신호에 대하여 설정시간이 가산되어 EGR밸브(210)에 입력된다.
제 13도는 본 발명의 아이들 회전제어장치, 즉 ISC제어장치에 관한 전체의 블록도의 일예이나, 제어내용은 제 1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 14도는 본 발명의 증발연료 제어장치, 즉 에바포 제어장치에 관한 전체의 블록도의 일예이나, 제어내용은 제 1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 15도는 본 발명의 EGR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공기는 에어클리너(161)를 통과하여 흡입공기량 검출수단, 즉 공기유량계(101)에 도입된다. 이 공기유량계(101)에는 열선식 공기유량센서가 사용된다. 이 공기는 접속된 덕트(160), 흡입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를 가지는 드로틀보디(159) 및 드로틀보디를 바이패스하도록 설치된 아이들 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유량제어밸브, 즉 ISC밸브(54)를 통하여 콜렉터(158)에 들어간다. 여기서 공기는, 엔진과 직결되는 각 기통의 흡기관(164)에 분배되어 실린더내로 흡입된다. 또, 공기유량계(101)가 아니라 압력센서(114)를 사용하여 흡기관압력을 측정하여 엔진부하를 검출하여도 좋다.
연료는, 연료탱크(155)로부터 연료펌프(182)로 흡인, 가압되어 연료댐퍼(153), 연료필터(152)를 통과하여 압력조정기(154)에 의하여 콜렉터(158)와 인젝터(51)상류의 차압을 일정하게 압력 조정하여, 흡기관에 설치된 인젝터로부터 상기 흡기관내에 분사된다.
공기유량계(1)로부터는 흡입공기량에 상당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또, 디스트리뷰터(157)에 내장된 크랭크각센서(102)로부터는 소정의 크랭크각 마다에 펄스가 출력되어 이들의 출력은, 콘트롤유닛(151)에 입력되어 크랭크각 및 엔진회전수가 연산된다.
드로틀보디(159)에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드로틀센서(10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신호는 콘트롤유닛(151)에 입력되어 드로틀밸브의 전폐쇄 위치의 검출이나 가속의 검출 등을 행한다.
엔진본체(162)에는 냉각수온을 검출하기 위한 수온센서(10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신호는 콘트롤유닛(151)에 입력되어 엔진(162)의 난기상태를 검출하여 연료분사량의 증량이나 점화시기의 보정 및 래디에이터팬(56)의 ON/OFF나 아이들시의 목표회전수의 설정을 행한다.
실린더내에서 연소된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는 배기가스가 되어 배기관(190)에 의하여 배출된다.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는 배기관(190)과 흡기관(164)을 연통하는 배기가스 환류통로(211)의 도중에 설치된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수단, 즉 EGR밸브(210)에 의하여 엔진(162)의 운전상태에 따른 배기가스 환류량으로 압력 조정되어 흡기관(164)에 환류된다.
공연비센서(105)는 엔진의 배기관(190)에 장착되어 있어 배기가스의 산소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연료탱크(155)로부터 발생하는 증발연료는 캐니스터(120)중의 활성탄에 흡착시켜 대기중으로의 증발연료 방출을 방지하고 있다. 캐니스터(120)에 흡착된 증발연료는 연료탱크(155)와 흡기관(164)의 차압에 의하여 드레인커트밸브(121)상류에 위치하는 1웨이밸브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흡입되어 콜렉터(158)내에 유입되어 캐니스터(120)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고 있다. 또, 캐니스터(120)하류에 위치하는 증발연료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유량제어밸브인 퍼지콘트롤밸브(122)에 의하여, 흡입공기량에 대하여 일정한 증발연료를 포함하는 공기량이 콜렉터(158)내에 공급되도록 콘트롤되고 있다.
콘트롤유닛(151)은 제 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70), ROM(173), RAM(171), 백업RAM(172), 인터럽트콘트롤러(174), 타이머(175), 입력처리회로(178), 출력처리회로(176)로 구성되고, 그들은 버스(17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CPU(170)는 입력처리회로(178)에서 처리된 여러 정보를 기초로 ROM(17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RAM(171) 및 이그니션스위치(9)의 OFF시에도 기억내용을 유지가능한 백업RAM(172)을 사용하여 처리를 행한다. 이 때, 타이머(175)나 입력처리회로(178)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럽트콘트롤러(174)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럽트명령에 의하여 인터럽트 처리도 동시에 행한다.
또, 전기부하(168)의 ON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전기부하스위치(112)나 파워스티어링 (165)의 부하검출을 위한 파워스티어링스위치(113)를 이용한 엔진의 외부부하 검출이나, 연료펌프(182)나 에어콘(185)이나, 래디에이터팬(186)의 ON/OFF제어도 콘트롤유닛(151)에서 행하고 있다.
제 19도 내지 제 24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경우의 배기가스 제어수단 제어량, 즉 EGR밸브의 스텝수(step number)와 모터토오크 변동 파라미터의 거동을 나타내는 챠트도이다.
제 19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대→소→대로 변화했을 때의 여자상태와 설정시간의 관계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다.
배기가스 환류수단 제어량, 즉 스텝수 목표치에 대하여 스텝수 목표치에 따라 EGR밸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기식모터 구동펄스 출력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여자패턴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산출되는 스텝수 모니터치가 동기하고 있지 않을 때 2상 여자로 구동되고, 스텝수 목표치가 스텝수 모니터치와 동기하고 있을 때는 모터부의 발열량제어 등의 목적으로 1상 여자된다.
여기서 2상으로부터 1상여자로 전환될 때, 설정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모터회전자의 오버슈트의 타이밍과 2상으로부터 1상여자의 전환에 의한 여자패턴의 이행이 일정 타이밍으로 동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회전자에 착자되어 있는 자장과 고정자가 여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장이 서로 반발하여, 모터토오크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일 없이 스텝수 모니터치에 대하여 실제의 EGR밸브의 밸브위치가 일탈하는 것, 즉 탈조가 방지된다.
제 20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소→대→소로 변화했을 때의 여자상태와 설정시간의 관계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다.
EGR밸브 밸브구성부에 가세하는 편측응력은, 스텝수가 대→소→대로 변화했을 때에는 모터회전자의 오버슈트를 증대시키나, 스텝수가 소→대→소로 변화했을 때에는 상기 오버슈트를 감쇠시키기 때문에, 설정시간은 스텝수가 대→소→대에 비하여 소→대→소로 변화했을 때에 짧게 설정하여도 탈조는 하지 않는다.
제 21도, 제 22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변화했을 때의 모터회전방향과 설정시간의 관계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나 탈조방지의 매카니즘은 제 19도, 제 20도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3도, 제 24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변화했을 때의 구동제어주기와 설정시간의 관계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나 탈조방지의 매카니즘은 제 19도, 제 20도의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5도 내지 제 28도는 모터토오크 변동에 따라 설정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의 일예이다.
제 25도는 엔진부하와 엔진회전수로부터 배기가스 환류량을 계산하여 설정시간이 설정되기 까지의 전체 플로우챠트의 일예를 나탄낸다.
스텝 301에서 엔진부하와 엔진회전수로부터 EGR량을 맵검색하고 스텝 302에서 EGR량에 엔진부하조건인 아이들 판정스위치, 드로틀개방도센서, 냉각수온센서 등의 정보로부터 구해지는 EGR량 보정치가 곱해져 EGR밸브개구면적을 얻는다. 다시 스텝 303에서 EGR밸브 개구면적으로부터 EGR구동스텝수로 변환이 행해지고, 스텝 304에서 동기식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EGR밸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기식모터 구동펄스 출력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여자패턴에 따라 출력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스텝 305에서 모터토오크 변동을 판정하여 모터토오크 변동이 생겼을 경우에는 모터토오크 변동상태에 따른 설정시간을 상기 출력신호에 가산되어 EGR밸브에 입력된다.
제 26도는 모터토오크 변동을 모터회전방향 반전에 의하여 판정하는 경우의 설정시간 설정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의 일예를 나탄내다.
스텝 311은 동기식모터 구동펄스 출력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여자패턴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구동방향이 반전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반전했을 때에는 스텝 312로 진행한다. 스텝 312에서는 상기 출력신호의 구동방향이 밸브개방으로부터 밸브폐쇄 방향으로 반전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밸브개방으로부터 밸브폐쇄방향으로 반전했을 때는 설정시간을 짧게, 밸브폐쇄로부터 밸브개방 방향으로 반전했을 때에는 설정시간을 길게 설정하여 구동제어주기에 가산한다(스텝 313, 314).
제 27도는 모터토오크 변동을 구동제어주기 전환에 의하여 판정하는 경우의 설정시간 설정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의 일예를 나타내나 설정시간의 설정방법은 제 26도와 마찬가지로 스텝 315에서 구동제어주기가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변화했을 경우에는 스텝 316으로 진행하고, 주기가 길게 변화했을 경우에는 스텝 317로, 주기가 짧게 변화했을 경우에는 스텝 318로 진행한다.
제 28도는 모터토오크 변동을 모터여자방식 전환에 의하여 판정하는 경우의 설정시간 설정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의 일예를 나타내나, 설정시간의 설정방법은 제 26도와 마찬가지로 스텝 319, 320, 321, 322의 처리를 행한다.
제 29도, 제 30도, 제 31도는, EGR밸브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 29도는 EGR밸브의 밸브에 편측응력을 작용시키는 수단으로써 스프링의 응력을 이용한 경우의 EGR밸브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스프링(401)의 일단은 보디(402)에 고정되고, 또 다른 일단은 밸브(403)에 접하고 있어 스프링(401)의 응력은 밸브(403)폐쇄 방향만으로만 작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페일세이프 등에 있어서의 밸브(403)폐쇄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 30도는 EGR밸브의 밸브에 편측응력을 작용시키는 수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응력을 이용한 경우의 EGR밸브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다이어프램(404)의 외주는 보디(402)에 고정되고, 내주는 밸브(403)에 고정되어 있어 흡기관부압을 다이어프램(404)과 보디(402)로 구성되는 부압실(405)에 작용시킴으로써다이어프램(404)의 응력은 밸브(403)폐쇄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페일세이프 등에 있어서의 밸브(403)폐쇄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 31도는 EGR밸브의 밸브리프트량과 밸브에 작용하는 흡기관부압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 20도와 같이 밸브리프트량이 작을 때에는 밸브(403)전후차압이 커서 흡기관부압은 밸브(403)개방 방향으로만 작용한다. 한편, 제 21도와 같이 EGR밸브의 밸브리프트량이 클 때에는 밸브(403)전후차압이 없어 밸브(403)에는 흡기관 부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제어방법 개요의 일예,
제 2도는 본 발명의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의 일예,
제 3도는 배기가스 환류장치에 있어서의 유량제어밸브의 일예인 스텝모터식 EGR밸브를 나타낸 도,
제 4도는 스텝모터식 EGR밸브의 결선도,
제 5도는 스텝모터식 EGR밸브의 여자패턴,
제 6도는 밸브 폐쇄력과 밸브 폐쇄저항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7도는 공진구동을 이용한 밸브페쇄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의 일예,
제 8도는 제 7도의 플로우챠트를 실행했을 때의 타임챠트,
제 9도는 제 1도에 있어서의 이상판정수단의 플로우의 일예,
제 10도는 제 1도에 있어서의 이상판정수단의 플로우의 일예,
제 11도는 제 1도에 있어서의 이상판정수단의 플로우의 일예,
제 12도는 본 발명의 EGR 제어장치에 관한 전체블록도의 일예,
제 13도는 본 발명의 ISC 제어장치에 관한 전체의 블록도의 일예,
제 14도는 본 발명의 에바포 제어장치에 관한 전체의 블록도의 일예,
제 15도는 본 발명의 EGR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시스템 구성의 일예,
제 16도는 콘트롤유닛 구성의 일예,
제 17도는 EGR량 검색수단의 일예,
제 18도는 EGR밸브 개구면적과 EGR밸브 목표스텝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19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대→소→대로 변화했을 때의 여자상태와 설정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0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소→대→소로 변화했을 때의 여자상태와 설정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1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변화했을 때의 모터회전방향과 설정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2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변화했을 때의 모터회전방향과 설정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3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변화했을 때의 구동제어주기와 설정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4도는 EGR밸브의 스텝수가 변화했을 때의 구동제어주기와 설정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 25도는 배기가스 환류량을 계산하고, 설정시간이 설정되기까지의 전체 플로우챠트도,
제 26도는 모터 토오크변동을 모터 회전방향 반전에 의하여 판정하는 경우의 설정시간 설정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도,
제 27도는 모터 토오크변동을 구동 제어주기 전환에 의하여 판정하는 경우의 설정시간 설정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도,
제 28도는 모터 토오크변동을 모터 여자방식 전환에 의하여 판정하는 경우의 설정시간 설정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도,
제 29도는 EGR밸브의 밸브에 편측응력을 작용시키는 수단으로써 스프링의 응력을 이용한 경우의 EGR밸브의 구조도,
제 30도는 EGR밸브의 밸브에 편측응력을 작용시키는 수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응력을 이용한 경우의 EGR밸브의 구조도,
제 31도는 EGR밸브의 밸브리프트량과 밸브에 작용하는 흡기관 부압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도,
제 32도는 EGR밸브의 밸브리프트량과 밸브에 작용하는 흡기관 부압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밸브 3 보디
10 스텝모터 12a, 12b 코일
14 스테이터부 16 암나사
17 마그네트 19 로터부
22 숫나사 31a, 31b 스프링
36 밸브축 40 콘트롤유닛
41 EGR밸브 42a 온도센서
42b 유량센서 43 부스트압센서
44 흡기관 45 배기관
46 엔진 47 실린더
48 EGR배관 101 공기유량계
106 냉각수온센서 114 압력센서
120 캐니스터 122 퍼지콘트롤밸브
181 인젝터 184 ISC 밸브
151 콘트롤유닛 157 디스트리뷰터
159 드로틀보디 162 엔진
164 흡기관 190 배기관
210 EGR밸브 401 스프링
402 보디 403 밸브
404 다이어프램 405 부압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량제어밸브에 스프링(리턴스프링)을 조립하여 상기 유량제어장치가 정상기능으로부터 일탈했을 경우에는 밸브폐쇄 방향으로 제어밸브로 이행시킴과 동시에, 공진주파수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제어밸브의 폐쇄를 저해하고 있던 나사기구의 섭동저항의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어, 적확한 동작으로 유량제어밸브를 폐쇄할 수가 있어, 유량제어 장치 이상시에 있어서의 엔진의 운전성 부조화를 회피하고,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가 있다.
또, 모터의 모터토오크 변동상태에 따라 구동주기에 설정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탈조를 방지함과 동시에, 설정시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값을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응답성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운전성, 배기성능 및 연비가 대단히 양호함과 동시에, 유량제어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도 엔진스톨등, 운전성이 극도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7)

  1.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흡입공기량, 엔진회전수 및 냉각수온을 포함하는 엔진의 운전파라미터에 따라 엔진제어에 관련된 유체의 제어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밸브개방도 연산수단,
    상기 밸브개방도 연산수단의 상기 제어파라미터에 따른 출력신호에 의하여 제어변수를 조절하는 스텝핑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량제어밸브, 및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밸브동작의 동작이행시에, 상기 유량제어밸브에 정상제어주파수 신호와는 다른 제어주파수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
  2.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흡입공기량, 엔진회전수 및 냉각수온을 포함하는 엔진의 운전파라미터에 따라 엔진제어에 관련된 유체의 제어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밸브개방도 연산수단,
    상기 밸브개방도 연산수단의 상기 제어파라미터에 따른 출력신호에 의하여 제어량의 조정을 행하는 유량제어밸브, 및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행시에, 상기 유량제어밸브에 공진주파수진동을 인가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이행시에, 스텝핑모터의 통상의 구동주파수와 공진주파수를 정해진 시간마다 번갈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유체온도, 유체압력 및 유체유량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설정된 소정의 값과 실제의 측정치를 비교함으로써, 유량제어장치가 정상동작으로부터 일탈한 것을 판정하는 수단,
    정상동작에서의 일탈을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장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이상검출시에 상기 유량제어밸브을 폐쇄방향으로 이행시키는 설정수단,
    상기 밸브의 이행동작을 소정기간 실시하는 계측수단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유량제어밸브가 전폐쇄상태 또는 소정의 폐쇄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상기 공진주파수 인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
  6.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흡입공기량, 엔진회전수 및 냉각수온을 포함하는 엔진제어에 관련된 유체의 제어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밸브개방도 연산수단의 제어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제어변수를 조절하는 스텝핑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량제어밸브,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폐쇄시에, 상기 유량제어밸브에 섭동저항을 저하시키는 진동을 인가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기체유량제어장치.
  7. 가스유량 경로에 설치된 가스유량 제어수단을 가지는 기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량 제어수단은,
    밸브,
    상기 밸브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밸브에 편측응력을 인가하는 수단,
    상기 모터의 모터토오크의 변동을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상기 모터토오크 변동에 대응한 설정시간을 구하는 수단, 및
    구해진 상기 설정시간을 구동주기에 가산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유량제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모터 토오크의 변동에 대응한 2개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유량제어장치.
  9. 배기가스 환류 제어유닛용 기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배기관과 흡기관을 유체적으로 연통된 배기가스 환류통로의 도중에 설치된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수단,
    상기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유닛을 구동하는 스텝핑 모터,
    상기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유닛의 밸브구성부에 편측응력을 인가하는 수단, 및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토크가 변동하는 경우 설정시간이 구동주기에 인가되고, 상기 설정시간이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에 대응하는 두개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유량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유닛의 밸브구성부에 편측응력을 인가하는 상기 수단은 스프링의 응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유닛의 밸브구성부에 편측응력을 인가하는 상기수단은 다어어프램의 응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유닛의 밸브구성부에 편측응력을 인가하는 상기 수단은 흡기관의 부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상기 수단은 여자방식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상기 수단은 회전방향의 반전에 의하여 변동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을 구동제어주기 전환에 의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16. 공기유량계로 계량된 공기가 드로틀을 통과하는 일 없이 엔진에 공급 가능한 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의 도중에 유량제어밸브를 구비한 아이들 속력 제어유닛용 기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유량제어밸브는 스텝핑 모터로 구동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밸브구성부에 편측응력이 작용하는 수단과 상기 모터 토크에 있어서의 변동을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시에 설정 시간이 구동 주기에 가산되고,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상태에 대응한 2개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회전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17. 흡기관과 배기관에 유체적으로 접속된 배기가스 환류 통로에 설치된 스텝핑 모터 구동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연료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수단,
    상기 유량 제어밸브의 밸브구성부에 편측응력을 인가하는 수단, 및
    상기 모터 토크의 변동을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설정시간이 모터 토크 변동시에는 구동주기에 가산되고,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모터토크의 변동에 대응한 2개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연료량 제어장치용 기체유량제어장치.
KR1019950056476A 1994-12-26 1995-12-26 유량제어장치 KR100403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22429 1994-12-26
JP6322429A JPH08177580A (ja) 1994-12-26 1994-12-26 エンジンの流量制御装置
JP7012302A JP3048038B2 (ja) 1995-01-30 1995-01-30 流量制御装置
JP95-012302 1995-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683A KR960023683A (ko) 1996-07-20
KR100403292B1 true KR100403292B1 (ko) 2004-03-02

Family

ID=2634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476A KR100403292B1 (ko) 1994-12-26 1995-12-26 유량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55195A (ko)
EP (1) EP0810361B1 (ko)
KR (1) KR100403292B1 (ko)
DE (1) DE69536074D1 (ko)
WO (1) WO1996020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1024B2 (ja) 1998-06-12 2004-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ガス還流制御装置
KR100367034B1 (ko) * 1998-12-25 2003-0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밸브장치 및 밸브제어방법
DE19941006A1 (de) * 1999-08-28 2001-03-01 Volkswagen Ag Funktionsüberwachung eines Luftmassenregelsystems
DE19959854A1 (de) 1999-12-10 2001-06-13 Heraeus Electro Nite Int Verfahren zur Abgasrückführung in einem Luftansaugbereich von Fahrzeug-Brennkraftmaschinen sowie Vorrichtung
US6672293B1 (en) 2000-01-25 2004-01-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recirculating valve device
EP1126155A3 (en) * 2000-02-18 2002-08-21 Siemens Automotive Inc. Rotatory valve actuating system
EP1310660B1 (en) * 2000-08-14 2011-04-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US7276873B2 (en) * 2003-10-31 2007-10-02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Fault-handling system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7116075B2 (en) 2003-10-31 2006-10-03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JP4196345B2 (ja) * 2004-02-18 2008-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開閉制御装置
US20050263330A1 (en) * 2004-05-28 2005-12-01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Field-oriented control for brushless DC motor
JP4349221B2 (ja) * 2004-06-28 2009-10-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egr制御装置
DE102006025927B3 (de) * 2006-06-02 2008-01-03 Siemens Ag Brennkraftmaschine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GB2497977B (en) 2011-12-23 2014-02-12 Perkins Engines Co Ltd Fault detection and correction in valve assemblies
DE102012102646A1 (de) * 2012-03-27 2013-10-02 Ebm-Papst Landshut Gmbh Gasregelventil
JP2014020247A (ja) * 2012-07-17 2014-02-03 Aisan Ind Co Ltd 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EP3033512A2 (en) 2013-08-15 2016-06-22 Kohler Co.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fuel-to-air ratio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054081B2 (en) 2014-10-17 2018-08-21 Kohler Co. Automatic starting system
JP6866783B2 (ja) * 2017-06-22 2021-04-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再循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8572A (en) * 1969-09-12 1971-09-28 Applied Fluidics Fluidic digital controller
JPS52134928A (en) * 1976-05-04 1977-11-11 Nippon Soken Inc Air flow rate regulator
US4282467A (en) * 1979-09-28 1981-08-04 Ex-Cell-O Corporation Controller system for rotary actuator
JPS5754613A (en) * 1980-09-19 1982-04-01 Takatoshi Hibi Dust removing equipment for river
US4679585A (en) * 1986-01-10 1987-07-14 Mks Instruments, Inc. Flowmeter-controlled valving
US4694812A (en) * 1986-04-21 1987-09-22 Ssi Technologies, Inc.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having integral electronic control
US4793377A (en) * 1986-08-18 1988-12-27 E-Systems, Inc. Direct drive servo valve
DE3630086A1 (de) * 1986-09-04 1988-03-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eerlauffuellungsrege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4737882A (en) * 1987-02-09 1988-04-12 Honeywell Inc. Proportional solenoid valve control circuit
US4796580A (en) * 1987-09-11 1989-01-10 Allied-Signal Inc. Idle control valve for use with a throttle assembl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1316581A (ja) * 1988-06-14 1989-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流量制御バルブ
DE3828850A1 (de) * 1988-08-25 1990-03-0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etriebskenngroesse einer brennkraftmaschine
JPH03939A (ja) * 1989-05-29 1991-01-07 Aisin Seiki Co Ltd スロットル制御装置
DE3926910A1 (de) * 1989-08-16 1991-02-21 Bosch Gmbh Robert Leerlaufdrehsteller
JPH03156140A (ja) * 1989-08-20 1991-07-04 Nippondenso Co Ltd エンジンのアイドリング制御弁
US5222471A (en) * 1992-09-18 1993-06-29 Kohler Co. Emission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14667A (en) * 1990-08-06 1991-05-14 Precision Governors, Inc. Electro-hydraulic control system for governors
US5094218A (en) * 1991-03-22 1992-03-10 Siemens Automotive Limited Engine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JPH0599002A (ja) * 1991-10-12 1993-04-20 Aisin Seiki Co Ltd スロツトル制御装置
US5199401A (en) * 1991-10-21 1993-04-06 Eaton Corporation Engine throttle servoactuator control system
JP3006233B2 (ja) * 1991-11-11 2000-0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弁駆動装置
JPH05137297A (ja) * 1991-11-12 1993-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3194675B2 (ja) * 1994-10-27 2001-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0361B1 (en) 2010-04-28
EP0810361A4 (en) 2005-04-13
US5855195A (en) 1999-01-05
WO1996020338A1 (fr) 1996-07-04
EP0810361A1 (en) 1997-12-03
KR960023683A (ko) 1996-07-20
DE69536074D1 (de)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292B1 (ko) 유량제어장치
US8005603B2 (en) Fu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gas engines
KR0152134B1 (ko)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고장판정방법
US20130340721A1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a fuel supply system
US5735121A (en) Air pump abnormality-detec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388935A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速度制御装置
JP3953566B2 (ja) 流量制御弁の周期的操作方法
JPH07174048A (ja) 排気ガス還流制御装置
JPS61138858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H08177580A (ja) エンジンの流量制御装置
US5513610A (en) Idle speed control device for an engine
JP4657170B2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3048038B2 (ja) 流量制御装置
KR940002958B1 (ko)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KR100558914B1 (ko) 엘피지 연료계 진단방법
JP2677426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方法
JPS6022034A (ja) 内燃機関の回転数制御方法
CA1244912A (en) Idle control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4632A (ja) 流量制御装置
JP4542000B2 (ja)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741178B2 (ja) エアフローメーターの故障検出装置
JPH0463944A (ja) 燃料噴射制御装置
KR0153121B1 (ko) 냉각수온센서고장시 엔진제어방법
CN113482781A (zh) 一种双燃料压力协调装置及控制方法
JPS60230539A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