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879B1 -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879B1
KR100402879B1 KR10-2000-7014699A KR20007014699A KR100402879B1 KR 100402879 B1 KR100402879 B1 KR 100402879B1 KR 20007014699 A KR20007014699 A KR 20007014699A KR 100402879 B1 KR100402879 B1 KR 10040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group
formula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145A (ko
Inventor
클리어리제임스알버트
장슐린
고셀린크유진폴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5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3Polyamines or polyalkylene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11D3/3915Sulfur-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11D3/3917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11D3/3917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11D3/392Heterocyclic compounds, e.g. cyclic imides or lact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백제와 상용성인 하기 화학식 I의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오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R은 직쇄 C2-C6알킬렌, 측쇄 C3-C6알킬렌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이고;
B는 측쇄 그룹이고;
E는 화학식 -(R1O)m(R2O)nR3의 알킬렌옥시 단위(여기서, R1은 1,2-프로필렌, 1,2-부틸렌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이고, R2는 에틸렌이고, R3은 수소, C1-C4알킬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이고, m은 약 1 내지 약 10이고, n은 약 10 내지 약 40이다)이고;
w,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 4 내지 약 200이고;
단, 하나 이상의 -(R1O) 단위는 -(R2O) 단위가 결합되기 전에 주쇄에 결합되고, m+n은 12 이상이다.
상기한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은 또한 표백제 함유 세탁 예비함침액 및 표백제에도 오물 분산제로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Description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Laundry compositions comprising alkoxylated polyalkyleneimine dispersants}
적합한 분산제 부재시, 세탁 공정의 세척 단계 동안 제거되는 소수성(예: 때, 오일, 검댕) 및 친수성(예: 점토) 오물은 세정된 직물 위에 재부착될 수 있다. 오물 분산제는, 먼지를 일단 세탁액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 격리시킴으로써 작용하고, 통상적인 세정 공정 동안 수행될 수 있는 경우 현탁된 오물을 세탁액에 유지시킨다.
통상적으로, 표백제, 특히 액체 및 과립형 세탁 세정제 조성물로 배합되는 과산소 표백제가 존재할 경우, 제조자는 표백제에 대한 특정 오물 분산제의 불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많은 성공적인 분산제는 아민 작용기에서의 산화 및 잠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표백제에 의한 분해 또는 분열에 민감한 폴리알킬렌아민 또는폴리알킬렌이민 주쇄를 갖는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표백제와 상기한 폴리알킬렌이민계 분산제와의 상호작용은 표백제의 양을 소모시키고, 따라서 표백제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표백제와 상용성이고 매우 효과적인 소수성 오물 분산제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놀랍게도, 폴리알킬렌이민 주쇄에 특정 순서로 결합되어 있는 알킬렌옥시 단위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특정 고분자량 폴리알킬렌이민이 향상된 표백 상용성 뿐만 아니라 향상된 분산성을 갖는 소수성 분산제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주쇄 질소가 N-H 단위 당 평균 혼합 알킬렌옥시화도 약 12 내지 약 50개의 알킬렌옥시 단위로 치환된 주쇄 분자량이 약 600 내지 약 25000dalton인 폴리알킬렌이민이 표백제와 상용성인 향상된 소수성 오물 분산제를 제공한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상기한 요구를 충족시킨다. 폴리아민 주쇄는 먼저 1 내지 10개의 프로필렌옥시 단위, 부틸렌옥시 단위 및 이의 혼합물로 치환한 다음, 에틸렌옥시 단위로 치환함으로써 개질시켜 총 알킬렌옥시화도가 약 50 단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은 고밀도 및 저밀도 과립, 중액 및 경액 뿐만 아니라, 세탁 바 세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은
(a)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제용 계면활성제 시스템 약 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b) 하기 화학식 I의 오물 분산제 약 0.01중량% 및
(c) 빌더, 광학적 증백제, 오물 방출 중합체, 염료 전이제, 분산제, 효소, 거품 억제제, 염료, 향료, 착색제, 충전제 염, 하이드로트로프(hydrotrope), 광활성화제, 형광제, 직물 컨디셔너, 가수분해 가능한 계면활성제, 방부제, 항산화제, 킬레이트화제, 안정화제, 방축제, 방추제, 살균제, 살진균제,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보조 성분 및 잔여량의 담체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 I에서,
R은 직쇄 C2-C6알킬렌, 측쇄 C3-C6알킬렌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이고;
B는 측쇄에 의한 연결이고;
E는 화학식 -(R1O)m(R2O)nR3의 알킬렌옥시 단위(여기서, R1은 1,2-프로필렌, 1,2-부틸렌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이고, R2는 에틸렌이고, R3은 수소, C1-C4알킬 및이들이 조합된 그룹이고, m은 약 1 내지 약 10이고, n은 약 10 내지 약 40이다)이고;
w,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 4 내지 약 200이고;
단, 하나 이상의 -(R1O) 단위는 -(R2O) 단위가 결합되기 전에 주쇄에 결합되고, m+n은 12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은 표백 시스템 및 본원에 기술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본 발명의 오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예비 함침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잇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숙지함으로써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서 모든 퍼센트, 비 및 비율은 다르게 명시하지 않는 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모든 온도는 다르게 명시하지 않는 한 섭씨 온도(℃)이다.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모든 인용 문헌은 관련 부분이다.
본 발명은 표백제와 상용성인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소수성 오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은 또한 표백제 함유 세탁 예비함침액 및 표백제에 오물 분산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프로필렌옥시 단위, 부틸렌옥시 단위 및 이의 혼합물이 폴리에틸렌옥시 단위가 후속적으로 결합되기 전에 주쇄 질소에 결합되고, 폴리알킬렌옥시 치환된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민 주쇄는 후속적으로 개질되기 전의 주쇄가 R "결합" 단위에 의해 결합된 1급, 2급 및 3급 아민 질소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폴리알킬렌이민 주쇄를 구성하는 단위는 주쇄 및 특정 측쇄를 종결시키는 화학식 H2N-R]- 및 -NH2의 1급 아민 단위, 개질 후에 1 내지 10개의 프로필렌옥시 단위, 부틸렌옥시 단위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에 이어서, 10 내지 40개의 에틸렌옥시 단위에 의해 치환된 이들의 수소원자를 갖는 화학식의 2급 아민 단위, 주쇄 및 2급 주쇄의 측쇄화점인 화학식의 3급 아민 단위(여기서, B는 측쇄화에 의한 쇄 구조의 연속 그룹이다). 3급 단위는 치환가능한 수소원자를 전혀 갖지 않아서, 알킬렌옥시 단위를 사용하는 치환에 의해 개질되지 않는다. 폴리아민 주쇄가 형성되는 동안, 사이클릭화가 발생할 수 있어서, 사이클릭 폴리아민의 양은 모체 폴리알킬렌이민 주쇄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사이클릭 알킬렌이민의 1급 및 2급 아민 단위 각각은 직쇄 및 측쇄 폴리알킬렌이민과 동일한 방식으로 알킬렌옥시 단위를 첨가하여 개질된다.
R은 직쇄 C2-C6알킬렌, 측쇄 C3-C6알킬렌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이고, 바람직한 측쇄 알킬렌은 1,2-프로필렌이고, 바람직한 R은 에틸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알킬렌이민은 동일한 R 단위를 포함하는 주쇄를 갖고, 예를 들어 모든 단위는 에틸렌이다. 가장 바람직한 주쇄는 모두 에틸렌 단위인 R 그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이민은 각각의 N-H 단위 수소를 화학식 -(R1O)m(R2O)nR3의 알킬렌옥시 단위(여기서, R1은 1,2-프로필렌, 1,2-부틸렌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 바람직하게는 1,2-프로필렌이고, R2는 에틸렌이고, R3은 수소, C1-C4알킬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로 치환시킴으로써 개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옥시 단위 또는 부틸렌옥시 단위는 기타 알킬렌옥시 단위로 치환되기 전에 주쇄 질소 단위에 결합되어야 한다. 지수 m의 값은 약 1,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6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이다. 지수 n의 값은 약 10 내지 약 40,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이다. m+n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약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옥시 치환체의 예는 후속적인 에톡실화 전, 특히 m+n의 평균 값이 약 30일 경우, 3개의 1,2-프로필렌옥시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아민 주쇄의 바람직한 분자량은 약 600 내지 약 25,000dalton, 바람직하게는 약 1200 내지 약 20,000dalt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00 내지 약 15,000dalton,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약 5,000dalton이다. 폴리에틸렌이민 주쇄의 바람직한 분자량의 예는 3,000dalton이다. 바람직한 분자량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지수 x 및 y는 주쇄를 포함하는 R 잔기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R이 에틸렌일 경우, 주쇄 단위는 평균 약 43g이고, R이 헥실렌일 경우, 주쇄 단위는 평균 약 99g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민은,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이황화나트륨, 황산, 과산화수소, 염산, 아세트산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이민을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민 주쇄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1939년 12월 5일에 허여된 울리히(Ulrich et al.)의 미국 특허 제2,182,306호, 1962년 5월 8일에 허여된 메일리(Mayle et al.)의 미국 특허 제3,033,746호, 1940년 7월 16일에 허여된 엣셀만(Esselmann et al.)의 미국 특허 제2,208,095호, 1957년 9월 17일에 허여된 크로써(Crowther)의 미국 특허 제2,806,839호 및 1951년 5월 21일에 허여된 윌슨(Wilson)의 미국 특허 제2,553,696호에 기재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예로서, 평균 주쇄 분자량이 약 3000이고,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R은 에틸렌이다)이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E는 -(R1O)m(R2O)nR3(여기서, R1은 화학식의 1,2-프로필렌 단위이고, R2는 에틸렌이고, R3은 수소이고, m+n은 약 30이다)이다.
계면활성제 시스템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양태에 따라 좌우되고,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선택된 계면활성제의 부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세제용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약 0.01 내지 약 6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0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각 부류내에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고체(즉, 과립) 및 점성 반고체(즉, 젤라틴성, 페이스트, 등) 시스템에서,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정도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유용한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 예에는
(a) C11-C18알킬 벤젠 설포네이트(LAS);
(b) C10-C201급 측쇄 및 랜덤 알킬 설페이트(AS);
(c) 본원에 각각 참조로 인용된, 1966년 2월 8일자로 허여된 모리스(Morris)의 미국 특허 제3,234,258호, 1991년 12월 24일자로 허여된 루츠(Lutz)의 미국 특허 제5,075,041호, 1994년 9월 20일자로 허여된 루츠 등의 미국 특허 제5,349,101호 및 1995년 2월 14일에 허여된 프리에토(Prieto)의 미국 특허 제5,389,277호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인 화학식의 C10-C182급 (2,3) 알킬 설페이트(여기서, x 및 (y+1)은 약 7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 이상의 정수이다);
(d) C10-C18 알킬 알콕시 설페이트(AExS)(여기서, x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이다);
(e) 바람직하게는 에톡시 단위를 1 내지 5개 포함하는 C10-C18알킬 알콕시 카복실레이트;
(f) C12-C18알킬 에톡실레이트, C6-C12알킬 페놀 알콕실레이트(여기서, 알콕실레이트 단위는 에틸렌옥시와 프로필렌옥시 단위의 혼합물이다), C12-C18알콜 및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중합체, 특히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1975년 12월 30일에 허여된 래프틀린(Laughlin et al.)의 미국 특허 제3,929,678호에 기재된 플루로닉(PluronicR) ex BASF와의 C6-C12알킬 페놀 축합물;
(g)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1986년 1월 26일에 허여된 일레나도(Llenado)의 미국 특허 제4,565,647호에 기재된 알킬폴리사카라이드 및
(h)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1996년 2월 6일에 허여된 코노(Connor et al.)의 미국 특허 제5,489,393호 및 1995년 10월 3일에 허여된 무르크(Murch et al.)의 미국 특허 제5,45,982호에 기재된 화학식의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여기서, R7은 C5-C31알킬이고, R8은 수소, C1-C4알킬 및 C1-C4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Q는 쇄에 직접 결합된 하이드록실을 3개 이상 갖는 직쇄 알킬 쇄를 갖는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잔기 또는 이의 알콕실화 유도체이고; 바람직한 알콕시는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 및 이의 혼합물이고; 바람직한 Q는 환원적 아민화 반응에서 환원당으로부터 유도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Q는 글리시틸 잔기이고; Q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CH2(CHOH)nCH2OH, -CH(CH2OH)(CHOH)n-1CH2OH, -CH2(CHOH)2-(CHOR')(CHOH)CH2OH 및 이들의 알콕실화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여기서, n은 3 내지 5의 정수이고, R'는 수소 또는 사이클릭 또는 지방족 모노사카라이드이다)으로부터 선택된다]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혼합물)의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화학식의 중쇄 측쇄 알킬 알콕시 알킬, 화학식의 중쇄 측쇄 알킬 설페이트 및 화학식의 중쇄 측쇄 알킬 알콕시 설페이트[여기서, 측쇄 1급 알킬 잔기 중의 탄소원자의 총수(R, R1및 R2측쇄는 포함하지만, EO/PO 알콕시 잔기를 포함하는 탄소원자는 포함하지 않음)는 14 내지 20이고, 추가로 상기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경우, 측쇄 1급 알킬 잔기에서 탄소수의 평균 총수는 14.5 내지 약 17.5(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17)의 범위내이고; R,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메틸이고; 단 R, R1및 R2는 모두가 수소는 아니고, z가 1일 경우, 적어도 R 또는 R1은 수소가 아니다] 약 0.001 내지 약 100%를 포함할 수 있다. M은 수 가용성 양이온이고, 1종 이상의 양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과 칼륨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지수 w는 0 내지 13의 정수이고, x는 0 내지 13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13의 정수이고, z는 1이상의 정수이고, 단 w+x+y+z는 8 내지 14이다. EO 및 PO는 각각 화학식의 에틸렌옥시 단위 및 프로필렌옥시 단위를 나타내지만, 다른 알콕시 단위, 특히 1,3-프로필렌옥시, 부톡시 및 이의 혼합물이 중쇄 측쇄 알킬 잔기에 결합된 알콕시 단위로서 적합하다.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따라서, 계면활성제 시스템이 알콕실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경우, 지수 m은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내에서의 평균 알콕실화도를 나타낸다. 그 자체로, 지수 m은 약 0.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의 범위내이다. 알콕실화 계면활성제만을 포함하는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고려하면, 지수 m의 값은 m에 상응하는 평균 알콕실화도의 분포를 나타내거나, 이는 단위의 수가 정확하게 m에 상응하는 알콕실화(예: 에톡실화 및/또는 프로폭실화)도의 단일 특정 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는 화학식또는 화학식의 계면활성제(여기서, a, b, d 및 e는 a+b가 10 내지 16이고 d+e가 8 내지 14이도록 하는 정수이고; M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및 이들이 조합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이다.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2가지 양태로 배합된다. 제1의 바람직한 양태는 중쇄 측쇄 알킬 단위를 25% 이하로 포함하는 원료로부터 형성된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른 통상의 계면활성제와 혼합하기 전에,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 성분은 비선형 계면활성제인 계면활성제 분자를 25% 이하로 포함한다.
제2의 바람직한 양태는 중쇄 측쇄 알킬 단위를 약 25 내지 약 70% 포함하는 원료로부터 형성된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른 통상의 계면활성제와 혼합하기 전에, 중쇄 측쇄 계면활성제 성분은 비선형 계면활성제인 계면활성제 분자를 약 25 내지 약 70% 함유한다.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혼합물)의 중쇄 측쇄 알킬 아릴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아릴 단위가 하기 화학식의 벤젠 환인 계면활성제를,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약 0.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내지 약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L은 탄소수 6 내지 18의 비환식 하이드로카빌 잔기이고;
R1,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단 R1및 R2는 L 단위의 말단에 결합되지 않고;
M은 a 및 b가 함께 전하 중성을 만족시키는 전하 q를 갖는 수 가용성 양이온이다.
표백 시스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표백 시스템을 포함한다. 표백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표백제"(과산화수소의 공급원) 및 "개시제" 또는 "촉매"를 포함한다. 존재할 경우, 표백제는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0중량% 수준이다. 존재할 경우, 표백 활성화제의 양은 통상적으로 표백제 + 표백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표백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6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40중량%이다.
표백제
과산화수소 공급원은 본원에 인용된 문헌[참조: Kirk Othmer's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th Ed(1992, John Wiley Sons), Vol. 4, pp. 271-300 "Bleaching Agents(Survey)"]에 기술되어 있고, 각종 피복되고 개질된 형태를 포함하여, 과붕산나트륨 및 과탄산나트륨의 각종 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과산화수소의 바람직한 공급원은 과산화수소 그 자체를 포함하여, 통상의 공급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붕산염, 예를 들어 과붕산나트륨(특정 수화물, 바람직하게는 1수화물 또는 4수화물), 탄산나트륨 퍼옥시하이드레이트 또는 등가의 과탄산염, 피로인산나트륨 퍼옥시하이드레이트, 우레아 퍼옥시하이드레이트 또는 과산화나트륨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과황산염 표백제(예: 옥손(OXONE), 제조원: 듀퐁(DuPont))와 같은 이용가능한 산소 공급원이 또한 유용하다.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및 과탄산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의 과산화수소 공급원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과탄산염 표백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약 500 내지 약 1,000㎛인 무수 입자를 포함하고, 당해 입자의 약 10중량% 이하는 약 200㎛보다 작고, 당해 입자의 약 10중량% 이하는 약 1,250㎛보다 크다. 임의로, 과탄산염은 규산염, 붕산염 또는 수 가용성 계면활성제로 피복될 수 있다. 과탄산염은 FMC, 솔베이(Solvay) 및 도카이 덴카(Tokai Denka)와 같은 각종 통상적인 공급원으로부터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표백제로서 염소형 표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이러한 제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나트륨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NaDCC")를 포함한다. 그러나, 염소형 표백제는 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덜 바람직하다.
(a) 표백 활성화제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 중의 과산소 표백 성분은 활성화제(과산 전구체)와 배합된다. 활성화제는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8중량% 수준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활성화제는 테트라아세틸 에틸렌 디아민(TAED), 벤조일카프로락탐(BzCL), 4-니트로벤조일카프로락탐, 3-클로로벤조일카프로락탐, 벤조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BOBS),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NOBS), 페닐 벤조에이트(PhBz), 데카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C10-OBS), 벤조일발레로락탐(BZVL), 옥타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C8-OBS), 과가수분해가능한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벤조일카프로락탐 및 벤조일발레로락탐이 가장 바람직하다. pH 범위 약 8 내지 약 9.5의 특히 바람직한 표백 활성화제는 OBS 또는 VL 이탈 그룹을 갖는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소수성 표백 활성화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NOBS), 미국 특허 제5,523,434호에 기재된 예인 4-[N-(노나오일)아미노 헥사노일옥시]-벤젠 설포네이트 나트륨 염(NACA-OBS), 도데카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LOBS 또는 C12-OBS), 10-운데세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10위치에서 불포화된 UNOBS 또는 C11-OBS) 및 데카노일옥시벤조산(DOBA)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표백 활성화제는 1997년 12월 16일자로 허여된 크리스티(Christie et al.)의 미국 특허 제5,698,504호, 1997년 12월 9일자로 허여된 크리스트 등의 미국 특허 제5,695,679호, 1997년 11월 11일자로 허여된 윌리(Willey et al.)의 미국 특허 제5,686,401호, 1997년 11월 11일자로 허여된 하트쇼른(Hartshorn et al.)의 미국 특허 제5,686,014호, 1995년 4월 11일자로 허여된 윌리 등의 미국 특허 제5,405,412호, 1995년 4월 11일자로 허여된 윌리 등의 미국 특허 제5,405,413호, 1992년 7월 14일자로 허여된 미첼(Mitchel et al.)의 미국 특허 제5,130,045호, 1983년 11월 1일자로 허여된 청(Chung et al.)의 미국 특허 제4,412,934호 및 공계류중인 미국 특허원 제08/709,072호 및 제08/064,564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서 과산소 표백 화합물(AvO로서) 대 표백 활성화제의 몰 비는 일반적으로 1:1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0: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약 1:1, 바람직하게는 약 3:1의 범위내이다.
4급 치환된 표백 활성화제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당해 세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4급 치환된 표백 활성화제(QSBA) 또는 4급 치환된 과산(QSP)을 포함하고, 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QSBA 구조물은 또한 1997년 11월 11일자로 허여된 윌리 등의 미국 특허 제5,686,015호, 1997년 8월 5일자로 허여된테일러(Taylor et al.)의 미국 특허 제5,654,421호, 1995년 10월 24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Gosselink et al.)의 미국 특허 제5,460,747호, 1996년 12월 17일자로 허여된 미라클(Miracle et al.)의 미국 특허 제5,584,888호 및 1996년 11월 26일자로 허여된 테일러 등의 미국 특허 제5,578,136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 모두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원에 유용한 매우 바람직한 표백 활성화제는 본원에서 각각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698,504호, 미국 특허 제5,695,679호 및 미국 특허 제5,686,014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표백 활성화제의 바람직한 예에는 (6-옥탄아미도카프로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6-노난아미도카프로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6-데칸아미도카프로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각각 본원에서 상기 인용된 미국 특허 제5,698,504호, 미국 특허 제5,695,679호 및 미국 특허 제5,686,014호 및 1990년 10월 30일자로 허여된 핫지(Hodge et al.)의 미국 특허 제4,966,723호에 기재된 기타 유용한 활성화제에는 1,2-위치에서 잔기 --C(O)OC(R1)=N-을 융합시킨 C6H4환과 같은 벤족사진형 활성화제가 포함된다.
활성화제와 정확한 용도에 따라, 우수한 표백 결과가 사용중인 pH가 약 6 내지 약 13,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10.5인 표백 시스템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전자 구인 잔기를 갖는 활성화제는 거의 중성 또는 아-중성 pH 범위로 사용된다. 알칼리 및 완충제가 이러한 pH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각각 인용된 미국 특허 제5,698,504호, 미국 특허 제5,695,679호 및 미국 특허 제5,686,01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실 락탐 활성화제, 특히 아실 카프로락탐(참조: 예를 들어 제WO 94-28102 A호) 및 아실 발레로락탐(참조: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1996년 4월 2일자로 허여된 윌리 등의 미국 특허 제5,503,639호)이 본원에 매우 유용하다.
(b) 유기 과산화물, 특히 디아실 퍼옥사이드
이들은 단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문헌[Kirk 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Vol. 17, John Willey Sons, 1982 at pages 27-90 및 pages 63-72]에 예시되어 있다. 디아실 퍼옥사이드가 사용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폿팅/필름화에 최소한의 역충격을 미치는 것일 것이다.
(c) 금속 함유 표백 촉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세정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유효한 금속 함유 표백 촉매를 사용한다. 망간 및 코발트 함유 표백 촉매가 바람직하다.
금속 함유 표백 촉매의 한 형태는 소정의 표백 촉매 활성을 갖는 전이금속 양이온, 예를 들어 구리, 철, 티탄, 루테늄,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망간 양이온, 표백 촉매 활성의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는 보조 금속 양이온, 예를 들어 아연 또는 암모늄 양이온, 및 촉매 및 보조 금속 양이온에 대한 소정의 안정성 상수를 갖는 금속 이온 봉쇄제, 특히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및 이의 수-가용성 염을 포함하는 촉매 시스템이다 이러한 촉매는 1982년 2월 2일자로 허여된 브래그(Bragg)의 미국 특허 제4,430,243호에 기재되어 있다.
망간 금속 착물
경우에 따라, 본원의 조성물은 망간 화합물에 의해 촉매화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및 사용 농도는 당해 기술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1996년 11월 19일자로 허여된 미라클 등의 미국 특허 제5,576,282호; 1993년 9월 21일자로 허여된 파브르(Favre et al.)의 미국 특허 제5,246,621호; 1993년 9월 14일자로 허여된 파브르 등의 미국 특허 제5,244,594호; 1993년 3월 16일자로 허여된 주렐러(Jureller et al.)의 미국 특허 제5,194,416호; 1992년 5월 19일자로 허여된 반 브릿(van Vliet et al.)의 미국 특허 제5,114,606호; 유럽 특허 공보 제549,271 A1호; 제549,272 Al호; 제544,440 A2호 및 제544,490 A1호에 기재된 망간계 촉매가 포함된다. 이러한 촉매의 바람직한 예에는 MnIV 2(u-O)3(1,4,7-트리메틸-1,4,7-트리아자사이클로노난)2(PF6)2, MnIII 2(u-O)1(u-OAc)2(1,4,7-트리메틸-1,4,7-트리아자사이클로노난)2(ClO4)2, MnIV 4(u-O)6(1,4,7-트리아자사이클로노난)4(ClO4)4, MnIIIMnIV 4(u-O)1(u-OAc)2-(1,4,7-트리메틸-1,4,7-트리아자사이클로노난)2(ClO4)3, MnIV(1,4,7-트리메틸-1,4,7-트리아자사이클로노난)-(OCH3)3(PF6)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기타 금속계 표백 촉매에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430,243호 및 1992년 5월 19일자로 허여된 반 크랄린겐(van Kralingen)의 미국 특허 제5,114,611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들이 포함된다. 표백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착물 리간드와 함께 망간의 사용도 또한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1988년 3월 1일자로 허여된 레레크(rerek)의 미국 특허 제4,728,455호; 1994년 2월 8일자로 허여된 메디슨(Madison)의 미국 특허 제5,284,944호; 1993년 9월 21일자로 허여된 반 디크(van Dijk et al.)의 미국 특허 제5,246,612호; 1993년 10월 26일자로 허여된 케르슈너(Kerschner et al.)의 미국 특허 제5,256,779호; 1994년 1월 18일자로 허여된 케르슈너 등의 미국 특허 제5,280,117호; 1993년 12월 28일자로 허여된 케르슈너 등의 미국 특허 제5,274,147호; 1992년 10월 6일자로 허여된 케르슈너 등의 미국 특허 제5,153,161호 및 1993년 7월 13일자로 허여된 마르텐스(Martens et al.)의 미국 특허 제5,227,084호.
코발트 금속 착물
본원에 유용한 코발트 표백 촉매는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참조: 1997년 1월 28일자로 허여된 퍼킨스(Perkins et al.)의 미국 특허 제5,597,936호; 1997년 1월 21일자로 허여된 미라클 등의 미국 특허 제5,595,967호; 1997년 12월30일자로 허여된 퍼킨스 등의 미국 특허 제5,703,030호; 및 M. L. Tobe, "Base Hydrolysis of Transition-Metal Complexes",Adv. Inorg. Bioinorg. Mech., (1983), 2, pages 1-94]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유용한 가장 바람직한 코발트 촉매는 화학식 [Co(NH3)5OAC]Ty의 코발트 펜타아민 아세테이트 염(여기서, "OAc"는 아세테이트 잔기를 나타내고, "Ty"는 음이온이다), 특히 화학식 [Co(NH3)5OAc]Cl2의 코발트 펜타아민 아세테이트 클로라이드 뿐만 아니라 [Co(NH3)5OAc](OAc)2; [Co(NH3)5OAc](PF6)2; [Co(NH3)5OAc](SO4); [Co(NH3)5OAc](BF4)2및 [Co(NH3)5OAc](NO3)2(본원에서 "PAC")이다.
이러한 코발트 촉매는 본원에 인용된 미국 특허 제5,597,936호, 미국 특허 제5,595,967호, 미국 특허 제5,703,030호, 본원에 인용된 토브 논문 및 참조 문헌 및 1989년 3월 7일자로 디아쿤(Diakun et a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10,410호,J. Chem. Ed.(1989),66(12), 1043-45;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Compounds, W. L. Jolly(Prentice-Hall; 1970), pp. 461-3;Inorg. Chem.,18, 1497-1502(1979);Inorg. Chem.,21, 2881-2885(1982);Inorg. Chem.,18, 2023-2025(1979); Inorg. Synthesis, 173-176(1960); andJournal of Physical Chemistry,56, 22-25(1952)에 교시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매크로폴리사이클릭 강성 리간드의 전이금속 착물
본원의 조성물은 또한 표백 촉매로서 매크로폴리사이클릭 강성 리간드의 전이금속 착물을 적합하게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폴리사이클릭 강성 리간드"는 하기 논의에서 때로 "MRL"로서 약칭된다. 사용되는 양은 촉매적으로 효과적인 양, 적합하게는 약 1ppb 이상, 예를 들어 약 99.9% 이하, 더욱 통상적으로 약 0.001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5ppm 내지 약 500ppm(여기서, "ppb"는 10억중량 당 부를 나타내고, "ppm"은 100만중량 당 부를 나타낸다)이다.
적합한 전이금속, 예를 들어 Mn이 이후에 예시된다. "매크로폴리사이클릭"은 MRL이 매크로사이클이면서 폴리사이클릭임을 의미한다. "폴리사이클릭"은 비사이클릭 이상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강성"은 "상부구조를 갖는"과 "가교-브릿징된"을 포함한다. "강성"은 가요성의 강제된 역으로서 정의되었고, 참조로 인용된 문헌[D. H. Busch.,Chemical Reviews., (1993),93, 847-860]을 참조한다. 더욱 특히, 본원에 사용된 "강성"은 MRL이 다른 점에서는 동일하지만(주요 환에서 동일한 환 크기 및 종류 및 원자수를 가짐), MRL에서 발견되는 상부구조(특히 결합 잔기 또는, 바람직하게는 가교 브릿징 잔기)가 결핍된 매크로사이클("매크로사이클 모핵")보다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더 강성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부구조를 갖는 매크로사이클과 상부구조를 갖지 않는 매크로사이클의 비교 강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견습자는 매크로사이클의 유리 형태(금속 결합 형태가 아님)를 사용할 것이다. 강성은 매크로사이클의 비교에 유용한 것으로 익히 공지되어 있고; 강성을 결정하고, 측정하거나 비교하기에 적합한 도구는 계산법[참조: Zimmer,Chemical Reviews, (1995), 95(38), 2629-2648 또는 Hancock et al.,Inorganica Chimica Acta, (1989), 164, 73-84]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MRL은 가교 브릿징된 초강성 리간드의 특정 형태이다. "가교-브릿지"는 이하 1.11에서 비제한적으로 예시된다. 1.11에서, 가교-브릿지는 CH2CH2- 잔기이다. 이는 예시적인 구조에서 N1과 N8을 브릿징한다. 대조적으로, "동일면" 브릿지는, 예를 들어 1.11에서 하나가 N1및 N12를 가로질러 도입되는 경우, "가교-브릿지"를 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다.
강성 리간드 착물 중의 적합한 금속에는 Mn(II), Mn(III), Mn(IV), Mn(V), Fe(II), Fe(III), Fe(IV), Co(I), Co(II), Co(III), Ni(I), Ni(II), Ni(III), Cu(I), Cu(II), Cu(III), Cr(II), Cr(III), Cr(IV), Cr(V), Cr(VI), V(III), V(IV), V(V), Mo(IV), Mo(V), Mo(VI), W(IV), W(V), W(VI), Pd(II), Ru(II), Ru(III) 및 Ru(IV)가 포함된다. 당해 전이금속 표백 촉매 중의 바람직한 전이금속은 망간, 철 및 크롬을 포함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MRL(및 상응하는 전이금속 촉매)은 적합하게
(a) 4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매크로사이클 주요 환 및
(b) 바람직하게는 (i) 결합 잔기와 같은 브릿징 상부구조; (ii) 가교-브릿징 결합 잔기와 같은 가교-브릿징 상부구조 및 (iii) 이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매크로사이클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유적으로 결합된 비금속 상부구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상부구조"는 부쉬(Busch et al.)의 문헌, 예를 들어 부쉬의 논문["Chemical Reviews"]에 정의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상부구조는 매크로사이클 모핵의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매크로사이클을 폴딩(folding)시켜 자형으로 금속에 배위된다. 적합한 상부구조는 현저하게 간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예시된 것 중의 하나와 같이 결합 잔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m은 약 1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n은 화학식 1에서는, 예를 들어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 미만, 통상적으로 2 내지 4의 정수이고, 화학식 2에서는 약 1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Z는 N 또는 CH이고,
T는 상용가능한 치환체, 예를 들어 H, 알킬, 트리알킬암모늄, 할로겐, 니트로, 설포네이트 등이다.
1.10 중의 방향족 환은, 환에 결합된 Z 중의 원자가 N, O, S 또는 C를 함유할 수 있는 포화된 환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적합한 MRL은 또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에 의해 비제한적으로 예시된다:
이는, 사이클람의 매우 바람직한 가교 브릿징된 메틸 치환된(모든 질소원자는 3급) 유도체인 본 발명에 따르는 MRL이다. 공식적으로, 이 리간드는 확장된 본 바이에르 시스템(von Baeyer system)을 사용하여 5,12-디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으로 명명된다. 문헌[참조: "A Guide to IUPAC Nomenclature of Organic Compounds: Recommmendations 1993", R. Panico, W. H. Powell and J-C Richer(Ed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Boston, 1993; 특히 R-2.4.2.1 파트]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매크로사이클릭 강성 리간드의 전이금속 표백 촉매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의 정의에 부합하는 공지된 화합물 뿐만 아니라,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해 세탁 또는 세정 용도로 명백하게 계획된 다수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음과 같은 화합물에 의해 비제한적으로 예시된다:
디클로로-5,12-디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망간(II),
디아쿠오-5,12-디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아쿠오-하이드록시-5,12-디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아쿠오-5,12-디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클로로-5,12-디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클로로-5,12-디-n-부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
디클로로-5,12-디벤질-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
디클로로-5-n-부틸-12-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
디클로로-5-n-옥틸-12-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
디클로로-5-n-부틸-12-메틸-1,5,8,12-테트라아자-비사이클로[6.6.2]헥사데칸 망간(II).
실용적인 문제로서 제한하지 않고, 본원의 조성물 및 세정 방법은 수성 세척매질 중의 활성 표백 촉매 종을 1ppm 이상 정도로 제공하도록 조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척액 중의 표백 촉매종을 약 0.01 내지 약 25pp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0pp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ppm을 제공한다. 자동 세척 공정의 세척액 중에서 상기한 농도를 수득하기 위해서, 본원의 통상적인 조성물은 표백 촉매, 특히 망간 또는 코발트 촉매를 세정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5 내지 약 0.2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04 내지 약 0.08중량%를 포함한다.
보조 성분
다음은 본 발명의 세탁 조성물에 유용한 보조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이러한 보조 성분은 빌더, 광학적 증백제, 오물 방출 중합체, 염료 전이제, 분산제, 효소, 거품 억제제, 염료, 향료, 착색제, 충전제 염, 하이드로트로프, 광활성화제, 형광제, 직물 컨디셔너, 가수분해 가능한 계면활성제, 방부제, 항산화제, 킬레이트화제, 안정화제, 방축제, 방추제, 살균제, 살진균제,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빌더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세제 빌더 또는 빌더 시스템을 포함한다. 존재할 경우, 당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세제 빌더를 약 1 내지 약 8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내지 약 30중량%로 포함한다.
빌더의 농도는 조성물의 최종 사용 용도 및 이의 바람직한 물리적 형태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존재할 경우, 당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빌더를 약 1% 이상 포함한다.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세제 빌더를 약 5 내지 약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0중량% 포함한다. 과립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세제 빌더를 약 10 내지 약 8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0중량% 포함한다. 그러나, 빌더의 보다 낮거나 높은 농도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무기 또는 P 함유 세제 빌더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폴리포스페이트의 알칸올암모늄 염(예: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유리질 중합체성 메타-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피트산, 실리케이트, 카보네이트(비카보네이트 및 세스퀴카보네이트 포함), 설페이트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비-포스포네이트 빌더는 몇몇 위치에서 필요하다. 중요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심지어는 시트레이트와 같은 소위 "약한" 빌더(포스페이트와 비교시)의 존재하에 또는 제올라이트 또는 층상 실리케이트 빌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위 "언더빌트(underbuilt)" 상태에서도 놀랍게도 잘 작용한다.
실리케이트 빌더의 예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특히 SiO2:Na2O 비가 1.6:1 내지 3.2:1의 범위인 것들 및 1987년 5월 12일자로 허여된 리크(Rieck)의 미국 특허 제4,664,839호에 기재된 층상 규산나트륨과 같은 층상 실리케이트이다. NaSKS-6은 훽스트(Hoechst)에 의해 시판되는 결정성 층상 실리케이트의 상표명(본원에서는 일반적으로 "SKS-6"으로 약칭된다)이다. 제올라이트 빌더와 달리,NaSKS-6 실리케이트 빌더는 알루미늄을 함유하지 않는다. NaSKS-6은 층상 실리케이트의 δ-Na2SiO5형태를 갖는다. 이는 독일 특허 제3,417,649호 및 독일 특허 제3,742,043호에 기재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SKS-6은 본원에 사용하기에 매우 바람직한 층상 실리케이트이지만, 화학식 NaMSixO2x+1·yH2O의 실리케이트(여기서, M은 나트륨 또는 수소이고, x는 1.9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이고, y는 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이다)와 같은 기타 층상 실리케이트가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훽스트로부터의 다양한 기타 층상 실리케이트는 α, β 및 γ 형태로서, NaSKS-5, NaSKS-7 및 NaSKS-11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δ-Na2SiO5(NaSKS-6 형태)가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규산마그네슘과 같은 기타 실리케이트가 또한 유용할 수 있고, 이는 과립형 조성물에서 크리스페닝제(crispening agent)로서, 산소 표백제용 안정화제로서 및 거품 억제 시스템의 성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 빌더의 예는 1973년 11월 15일자로 공개된 독일 특허 제2,321,001호에 기재된 알칼리 토금속 및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이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빌더는 본 발명에 유용하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빌더는 대부분의 현재 시판되는 중액 과립 세제 조성물에 가장 중요하고, 또한 액체 세제 조성물에서 중요한 빌더 성분일 수 있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빌더는 화학식 [Mz(zAlO2)y]·xH2O의 빌더(여기서, z 및 y는 6 이상의 정수이고, z 대 y의 몰 비는 1.0 내지 약 0.5의 범위이고, x는 약 15 내지 약 264의 정수이다)를 포함한다.
유용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온 교환 물질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구조상 결정성이거나 무정형일 수 있고, 천연 발생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거나 합성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온 교환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1976년 10월 12일자로 허여된 크룸멜(Krummel et al.)의 미국 특허 제3,985,669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유용한 바람직한 합성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온 교환 물질은 제올라이트 A, 제올라이트 P(B), 제올라이트 MAP 및 제올라이트 X라는 명칭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온 교환 물질은 화학식 Na12[(AlO2)12(SiO2)12]·xH2O의 물질(여기서, x는 약 20 내지 약 30, 특히 약 27이다)이다. 이 물질은 제올라이트 A로서 공지되어 있다. 탈수된 제올라이트(x는 0 내지 10이다)도 또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평균 입자 직경은 약 0.1 내지 10μ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유기 세제 빌더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다양한 종류의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는 복수의 카복실레이트 그룹,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카복실레이트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카보네이트 빌더는 일반적으로 산 형태로 조성물에 가해질 수 있지만, 중화된 염 형태로 가해질 수도 있다. 염 형태로 사용될 경우, 나트륨, 칼륨 및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칸올암모늄 염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부류의 유용한 물질이 폴리카보네이트 빌더 내에 포함된다. 하나의 중요한 부류의 폴리카보네이트 빌더는 1964년 4월 7일자로 허여된 버그(Berg)의 미국 특허 제3,128,287호 및 1972년 1월 18일자로 허여된 램버티(Lamberti et al.)의 미국 특허 제3,635,83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옥시디석시네이트를 포함하여 에테르 폴리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1987년 5월 5일자로 허여된 부시(Bush et al.)의 미국 특허 제4,663,071호의 "TMS/TDS" 빌더를 또한 참조한다. 적합한 에테르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또한 1975년 12월 2일자로 허여된 라프코(Rapko)의 미국 특허 제3,923,679호; 1979년 6월 19일자로 허여된 크루치필드(Crutchfield et al.)의 미국 특허 제4,158,635호; 1978년 10월 17일자로 허여된 크루치필드 등의 미국 특허 제4,120,874호 및 1978년 7월 25일자로 허여된 크루치필드 등의 미국 특허 제4,102,903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사이클릭 화합물, 특히 지환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기타 유용한 세제 빌더는 에테르 하이드록시폴리카복실레이트, 말레산 무수물과 에틸렌 또는 비닐 메틸 에테르와의 공중합체, 1,3,5-트리하이드록시 벤젠-2,4,6-트리설폰산 및 카복시메틸옥시석신산, 각종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과 같은 폴리아세트산의 치환된 암모늄 염 뿐만 아니라 멜리트산, 석신산, 옥시디석신산, 폴리말레산, 벤젠 1,3,5-트리카복실산, 카복시메틸옥시석신과 같은 폴리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가용성 염을 포함한다.
시트레이트 빌더, 예를 들어 시트르산 및 이의 가용성 염(특히, 나트륨 염)은 재생가능한 공급원 및 이들의 생물분해성으로부터 이들의 유용성으로 인해 중액 액체 세제 조성물용으로 특히 중요한 폴리카복실레이트 빌더이다. 시트레이트는또한 과립형 조성물에, 특히 제올라이트 및/또는 층상 실리케이트 빌더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옥시디석시네이트는 또한 상기한 조성물 및 배합물에 특히 유용하다.
3,3-디카복시-4-옥사-1,6-헥산디오에이트 및 1986년 1월 28일자로 허여된 부시의 미국 특허 제4,566,984호에 기재된 관련 화합물이 또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적합하다. 유용한 석신산 빌더는 C5-C20알킬 및 알케닐 석신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이러한 종류의 화합물은 도데세닐석신산이다. 석시네이트 빌더의 특정 예에는 라우릴석시네이트, 미리스틸석시네이트, 팔미틸석시네이트, 2-도데세닐석시네이트(바람직함), 2-펜타데세닐석시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라우릴석시네이트가 이러한 그룹 중의 바람직한 빌더이고, 1986년 11월 5일자로 공개된 유럽 특허원 제86200690.5/0,200,263호에 기재되어 있다.
기타 적합한 폴리카복실레이트는 1979년 3월 13일자로 허여된 크루치필드 등의 미국 특허 제4,144,226호 및 1967년 3월 7일자로 허여된 딜(Diehl)의 미국 특허 제3,308,067호에 기재되어 있다.
지방산, 예를 들어 C12-C18모노카복실산은 또한 조성물에 단독으로 또는 상기한 빌더, 특히 시트레이트 및/또는 석시네이트 빌더와의 배합물로서 도입되어 추가의 빌더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제조업자가 고려해야만 하는 거품을 감소시킨다.
인계 빌더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및 특히 손세탁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바의배합시, 익히 공지된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피로인산나트륨 및 나트륨 오르토포스페이트와 같은 각종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에탄-1-하이드록시-1,1-디포스포네이트 및 기타 공지된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포스포네이트 빌더(참조: 미국 특허 제3,159,581호, 제3,213,030호, 제3,422,021호, 제3,400,148호 및 제3,422,137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
본 발명의 표백 안정한 분산제와 임의로 배합될 수 있는 기타 적합한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의 설명은 1986년 7월 1일자로 허여된 반더 미어(Vander Meer)의 미국 특허 제4,597,898호; 1984년 6월 27일자로 공개된 오(Oh) 및 고셀린크의 유럽 특허원 제111,965호; 1984년 6월 27일자로 공개된 고셀린크의 유럽 특허원 제111,984호; 1984년 7월 4일자로 공개된 고셀린크의 유럽 특허원 제112,592호; 1985년 10월 22일자로 허여된 코너(Connor)의 미국 특허 제4,548,744호 및 1996년 10월 15일자로 허여된 왓트슨(Watson et al.)의 미국 특허 제5,565,145호에서 발견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그러나, 적합한 점토/오물 분산제 또는 재침착 방지제가 본 발명의 세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중합체성 분산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 물질은 적합한 불포화 단량체를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산 형태로 중합시키거나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중합되어 적합한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를 형성할 수있는 불포화 단량체성 산은 아크릴산, 말레산(또는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이타콘산, 아코니트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및 메틸렌말론산을 포함한다. 비닐메틸 에테르, 스티렌, 에틸렌 등과 같은, 카복실레이트 라디칼을 함유하지 않는 본원의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 또는 단량체성 단편으로의 존재는, 상기한 단편이 약 40중량% 이상을 구성하지 않는 한 적합하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는 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이러한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중합된 아크릴산의 수 가용성 염이다. 산 형태의 상기한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00 내지 7,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00 내지 5,000이다. 이러한 아크릴산 중합체의 수 가용성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가용성 중합체는 공지된 물질이다. 세제 조성물에 이러한 형태의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사용은, 예를 들어 1967년 3월 7일자로 허여된 딜의 미국 특허 제3,308,067호에 기재되어 있다.
아크릴계/말레산계 공중합체는 또한 분산제/재침착 방지제의 바람직한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의 수 가용성 염을 포함한다. 산 형태의 상기한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7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00 내지 65,000이다. 상기한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레이트 대 말레에이트 단편의 비는 일반적으로 약 30:1 내지 약 1:1,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2:1의 범위이다. 상기한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의 수 가용성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가용성 아크릴레이트/말레에이트 공중합체는 1982년 12월 15일자로 공개된 유럽 특허원 제66915호 뿐만 아니라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중합체를 기술하는 1986년 9월 3일자로 공개된 유럽 특허원 제193,360호에 기재된 공지된 물질이다. 또한, 기타 유용한 분산제는 말레산/아크릴산/비닐 알콜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말레산/비닐 알콜 45/45/10의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한 물질은 또한 유럽 특허원 제193,360호에 기재되어 있다.
포함될 수 있는 또다른 중합체성 물질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이다. PEG는 분산제 성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점토 오물 제거제-재침착 방지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통상적인 분자량 범위는 약 500 내지 약 100,0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50,0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00 내지 약 10,000이다.
폴리아스파테이트 및 폴리글루타메이트 분산제가 또한, 특히 제올라이트 빌더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스파테이트와 같은 분산제의 분자량(평균)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00이다.
오물 방출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오물 방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경우, 오물 방출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3중량% 포함한다. 중합체성 오물 방출제는 소수성 섬유의 표면을 친수성화하는,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과 같은 친수성 단편 및 소수성 섬유 상에 부착하여 세탁 주기의 완료를 통해 거기에 부착된 채로 존재함으로써 친수성 단편에 대한 앵커로서 작용하는 소수성 단편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오물 방출제로 처리한 후에 발생하는 얼룩이 이후의 세척 공정에서 보다 쉽게 세정되도록 할 수 있다.
모두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다음과 같은 문헌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오물 방출 중합체를 기술한다: 1998년 3월 17일자로 허여된 로르바우프(Rohrbough et al.)의 미국 특허 제5,728,671호; 1997년 11월 25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 등의 미국 특허 제5,691,298호; 1997년 2월 4일자로 허여된 팬(Pan et al.)의 미국 특허 제5,599,782호; 1995년 5월 16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 등의 미국 특허 제5,415,807호; 1993년 1월 26일자로 허여된 모랄(Morrall et al.)의 미국 특허 제5,182,043호; 1990년 9월 11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 등의 미국 특허 제4,956,447호; 1990년 12월 11일자로 허여된 말도나도(Maldonado et al.)의 미국 특허 제4,976,879호; 1990년 11월 6일자로 허여된 샤이벨(Scheibel et al.)의 미국 특허 제4,968,451호; 1990년 5월 15일자로 허여된 보르셔 시니어(Borcher, Sr. et al.)의 미국 특허 제4,925,577호; 1989년 8월 29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의 미국 특허 제4,861,512호; 1989년 10월 31일자로 허여된 말도나도 등의 미국 특허 제4,877,896호; 1987년 10월 27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 등의 미국 특허 제4,771,730호; 1987년 12월 8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 등의 미국 특허 제711,730호; 1988년 1월 26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의 미국 특허 제4,721,580호; 1976년 12월 28일자로 허여된 니콜(Nicol et al.)의 미국 특허 제4,000,093호; 1976년 5월 25일자로 허여된 헤이스(Hayes)의 미국 특허 제3,959,230호; 1975년 7월 8일자로 허여된 바사두르(Basadur)의 미국 특허 제3,893,929호 및 1987년 4월 22일자로 공개된 쿠드(Kud et al.)의 유럽 특허원 제0 219 048호.
또한, 적합한 오물 방출제는 모두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보일랜드(Voilland et al.)의 미국 특허 제4,201,824호; 라가제(Lagasse et al.)의 미국 특허 제4,240,918호; 퉁(Tung et al.)의 미국 특허 제4,525,524호; 룹퍼트(Ruppert et al.)의 미국 특허 제4,579,681호; 미국 특허 제4,220,918호; 미국 특허 제4,787,989호; 론-플렌크 케미(Rhone-Poulenc Chemie)의 유럽 특허 제279, 134 A호; 바스프(BASF)(1991)의 유럽 특허 제457,205 A호 및 1974년 유닐러페르 엔. 파우.(Unilever N. V.)의 독일 특허 제2,355,044호에 기재되어 있다.
세탁 세제 조성물
다음은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포함하고, 향상된 색상 충실도 및/또는 표백 안정성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의 예이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a) 본원에서 기술된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 약 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b)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제용 계면활성제 시스템 약 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c) 표백 시스템 약 1 내지 약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0중량% 및
(d) 잔여량의 담체 및 보조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세탁 세제 조성물의 추가의 바람직한 예는
(a) 본원에서 기술된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 약 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b)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제용 계면활성제 시스템 약 0.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c) (i) 과산화수소 약 2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중량% 내지 약 99.9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95중량% 및 (ii) 표백 활성화제 약 0.05 내지 약 7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40중량%를 포함하는 표백 시스템 약 1 내지 약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0중량% 및
(d) 잔여량의 담체 및 보조 성분을 포함한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직물을 적합하게 세정하는 세탁 세제 또는 예비 함침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세정해야 할 직물을,
(a)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세제용 계면활성제 약 0.01중량%;
(b) 상기한 오물 분산제 약 0.01중량% 및
(c) 잔여량의 담체 및 보조 성분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을 5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ppm 이상으로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의 세정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세제 조성물은 액체, 페이스트, 세탁 바 또는 과립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조성물은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을 적합한 순서로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필요한 농도로 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이민은, 특히 이들이 슬러리로서 적합하게 가해진 후, 슬러리를 분무 건조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과립형 세제 조성물에 도입될 수 있고, 분산제는 개별적인 입자로서 가해지고, 거의 완성된 제품에 분무되고, 잔여량의 보조 성분과 함께 가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과립형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 빌더, 물 등과 같은 기제 과립 성분을 슬러리로서 합하고, 생성되는 슬러리를 낮은 수준의 잔류 수분(5 내지 12%)으로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잔류하는 무수 성분,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의 과립은 과립형 분말 형태로 회전 혼합 드럼에서 분무 건조된 과립과 혼합될 수 있다. 액체 성분,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 효소, 빌더 및 향료의 용액을 생성되는 과립 상에 분무하여 완성된 세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과립형 조성물은 또한 "압축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들은 통상적인 과립 세제보다 비교적 고밀도, 즉 550 내지 950g/ℓ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는 과립형 세제 조성물은 통상의 과립형 세제에 비하여 보다 소량의 "무기 충전제 염"을 함유하고, 통상적인 충전제 염은 설페이트 및 클로라이드의 알칼리 토금속 염, 통상적으로 황산나트륨이고 "압축" 세제는 통상적으로 충전제 염을 10% 이하로 포함한다.
액체 세제 조성물은 이의 필수 성분과 임의 성분을 목적한 정도로 혼합하여 필요한 농도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액체 조성물은 또한 "압축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액체 세제 조성물은 통상의 액체 세제에 비하여 소량의 물을 함유한다. 액체 용액 속에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간단히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액체 세제 또는 기타 수성 조성물에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을 예시한다.
중량%
성분 1 2 3 4
나트륨 C11-C13알킬벤젠설포네이트 23.00 24.45 18.00 20.00
C12-C14디메틸 하이드록시에틸 4급 아민 0.40 0.40 -- --
C9-C14디메틸 하이드록시에틸 4급 아민 -- -- 1.0 1.0
C14-C15알콜 에톡실레이트(3) 설페이트 -- -- 1.00 1.00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28.00 25.00 20.00 24.00
제올라이트 12.00 14.50 -- --
CMC 1.10 1.10 0.50 0.50
오물 방출제1 0.15 0.15 0.15 0.15
분산제2 0.70 0.70 0.70 0.70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MW=4500) 0.90 -- -- --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말레에이트 중합체 -- -- 1.00 1.00
효소: 아밀라제,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및 리파제로부터 선택됨 0.54 0.46 2.00 2.00
노나노일옥시벤젠 설포네이트 1.71 -- 0.70 --
과붕산나트륨 3.5 -- 3.00 --
TAED -- -- 0.30 --
DTPA3 0.90 -- 0.80 0.80
황산마그네슘 1.18 -- 1.00 --
광학적 증백제 0.20 0.30 0.20 0.30
광표백제4 0.40 0.40 -- --
탄산나트륨 23.00 22.74 13.00 13.00
규산나트륨 2.00 2.00 9.00 9.00
황산나트륨 -- -- 20.00 20.00
향료 0.36 0.36 0.40 0.40
수분을 포함하는 최소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1. 1995년 5월 16일자로 허여된 고셀린크 등의 미국 특허 제5,415,807호에 따르는 오물 방출 중합체.2. 상기한 PEI 3000 P3E27.3.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테이트.4. 1981년 3월 10일자로 허여된 삭카브(Sakkab)의 미국 특허 제4,255,273호에 따르는 광표백제

Claims (20)

  1. (a)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시스템 0.01 내지 90 중량%;
    (b) 하기 화학식 I의 오물 분산제 0.01 내지 20 중량%;
    화학식 I
    여기서,
    R은 에틸렌이고;
    B는 측쇄화에 의한 연속 그룹이고;
    E는 화학식 -(R1O)m(R2O)nR3의 알킬렌옥시 단위(여기서, R1은 1,2-프로필렌이고, R2는 에틸렌이고, R3은 수소이고, m은 1 내지 6이고, n은 15 내지 35이다)이고;
    w,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200이고;
    단, 하나 이상의 -(R1O) 단위는 -(R2O) 단위가 결합되기 전에 주쇄에 결합되고, m+n은 20 내지 40 이다; 및
    (c) 잔여량의 담체 및 빌더, 광학적 증백제, 염료 전이제, 분산억제제, 염료, 향료, 착색제, 충전제 염, 하이드로트로프, 광활성화제, 형광제, 직물 컨디셔너, 가수분해 가능한 계면활성제, 방부제, 항산화제, 킬레이트화제, 안정화제, 방축제, 방추제, 살균제, 살진균제,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성분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m 이 3 이고, n 이 27 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개질 전의 주쇄 분자량이 600 내지 25,000 달톤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개질 전의 주쇄 분자량이 1,200 내지 20,000 달톤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개질 전의 주쇄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 달톤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개질 전의 주쇄 분자량이 3,000 달톤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m 이 3 이고, n 이 27 이고, 지수 w, x 및 y가, 개질 전의 폴리알킬렌이민 주쇄의 분자량이 3,000 달톤이 되도록 함께 선택되는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m 이 2 내지 5 이고, n 이 20 내지 30 이고, m+n 이 25 내지 35 이고, 개질 전의 오물 분산제의 주쇄의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 달톤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1 내지 20 중량%의 하기의 표백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i) 과산화수소, 과붕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퍼옥시하이드레이트, 피로인산나트륨 퍼옥시하이드레이트, 우레아 퍼옥시하이드레이트, 과산화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과산화수소 공급원 25 내지 99.95 중량%; 및
    (ii) 테트라아세틸 에틸렌 디아민, 벤조일카프로락탐, 4-니트로벤조일카프로락탐, 3-클로로벤조일카프로락탐, 벤조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페닐 벤조에이트, 데카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도데카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벤조일발레로락탐, 옥타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데카노일옥시벤조산, 과가수분해 가능한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표백 활성화제 0.0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1 내지 80 중량%의 빌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7. 삭제
  18. (a)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시스템 0.01 내지 90 중량%;
    (b) 하기 화학식 I의 오물 분산제 0.01 내지 20 중량%
    화학식 I
    여기서,
    R은 에틸렌이고;
    B는 측쇄화에 의한 연속 그룹이고;
    w, x 및 y는 E 단위를 첨가하기 전의 주쇄의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 달톤이 되도록 하는 값이고;
    E는 화학식 -(R1O)m(R2O)nR3의 알킬렌옥시 단위(여기서, R1은 화학식의 1,2-프로필렌이고, R2는 에틸렌이고, R3은 수소이고, m은 2 내지 5 이고, n은 20 내지 30 이다)이고;
    단, -(R1O) 단위는 -(R2O) 단위가 결합되기 전에 주쇄에 결합되고, m+n은 20 내지 40 이다;
    (c) (i) 과산화수소 공급원 25 내지 99.95 중량% 및 (ii) 표백 활성화제 0.0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하는 표백 시스템 1 내지 20 중량%; 및
    (d) 잔여량의 담체 및 빌더, 광학적 증백제, 염료 전이제, 분산제, 효소, 거품 억제제, 염료, 향료, 착색제, 충전제 염, 하이드로트로프, 광활성화제, 형광제, 직물 컨디셔너, 가수분해 가능한 계면활성제, 방부제, 항산화제, 킬레이트화제, 안정화제, 방축제, 방추제, 살균제, 살진균제,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성분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공급원이 과붕산나트륨, 과탄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표백 활성화제가 테트라아세틸 에틸렌 디아민, 벤조일카프로락탐,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벤조일발레로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20. 삭제
KR10-2000-7014699A 1998-06-23 1999-06-09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조성물 KR100402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03,240 1998-06-23
US09/103,240 US6127331A (en) 1998-06-23 1998-06-23 Laundry compositions comprising alkoxylated polyalkyleneimine dispers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145A KR20010053145A (ko) 2001-06-25
KR100402879B1 true KR100402879B1 (ko) 2003-10-22

Family

ID=2229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699A KR100402879B1 (ko) 1998-06-23 1999-06-09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127331A (ko)
EP (1) EP1090099B1 (ko)
JP (1) JP2002518585A (ko)
KR (1) KR100402879B1 (ko)
CN (1) CN1173024C (ko)
AR (1) AR019695A1 (ko)
AT (1) ATE272701T1 (ko)
BR (1) BR9911476B1 (ko)
CA (1) CA2335301C (ko)
CZ (1) CZ20004655A3 (ko)
DE (1) DE69919166T2 (ko)
EG (1) EG21739A (ko)
ES (1) ES2226398T3 (ko)
HU (1) HUP0103716A3 (ko)
ID (1) ID28471A (ko)
MA (1) MA24884A1 (ko)
MX (1) MX233865B (ko)
TR (1) TR200003766T2 (ko)
WO (1) WO1999067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3779T2 (de) * 1998-09-15 2007-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Wäschenachspülzusätze enthaltend lineare polyamine mit niedrigem molekulargewicht
CA2341179A1 (en) * 1998-09-15 2000-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and laundry compositions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linear or cyclic polyamines
DE19842859A1 (de) * 1998-09-18 2000-03-23 Basf Ag Additive für Zement enthaltende mineralische Baustoffe
JP2002537443A (ja) * 1999-02-19 2002-11-0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布地改良ポリアミンを含んでなる洗濯洗剤組成物
US6814088B2 (en) * 1999-09-27 2004-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queous compositions for treating a surface
CN1330685C (zh) 2003-09-24 2007-08-08 株式会社日本触媒 聚烯化亚胺氧化烯共聚物
EP1524314B2 (en) * 2003-10-14 2011-08-31 Nippon Shokubai Co., Ltd. Use as detergent builder and detergent composition
US8669221B2 (en) * 2005-04-15 2014-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with alkoxylated polyalkylenimines
EP2126020B1 (de) * 2006-12-22 2011-11-23 Basf Se Hydrophob modifizierte polyalkylenimine als farbübertragungsinhibitoren
JP2011503284A (ja) * 2007-11-09 2011-01-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アルコキシル化ポリアルカノールアミンを有する洗浄組成物
CA2702884C (en) * 2007-11-09 2013-0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with amphiphilic water-soluble polyalkylenimines having an inner polyethylene oxide block and an outer polypropylene oxide block
PL2209837T3 (pl) * 2007-11-09 2020-02-28 Basf Se Amfifilowe rozpuszczalne w wodzie alkoksylowane polialkilenoiminy zawierające wewnętrzny blok poli(tlenku etylenu) i zewnętrzny blok poli(tlenku propylenu)
EP2225355B1 (en) * 2007-11-09 2016-05-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multi-polymer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alkoxylated grease cleaning polymer
US9376648B2 (en) 2008-04-07 2016-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manipul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fine particles
US9223209B2 (en) * 2010-02-19 2015-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lfonamide-containing photoresis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9068147B2 (en) 2012-05-11 2015-06-30 Basf Se Quaternized polyethylenimines with a high quaternization degree
TWI799373B (zh) * 2016-02-16 2023-04-21 日商獅子股份有限公司 洗淨劑組成物
CN108603139B (zh) * 2016-02-17 2020-12-04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增白组合物
US20200123472A1 (en) 2018-10-18 2020-04-23 Milliken & Company Polyethyleneimine compounds containing n-hal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US11466122B2 (en) 2018-10-18 2022-10-11 Milliken & Company Polyethyleneimine compounds containing N-hal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US20200123319A1 (en) * 2018-10-18 2020-04-23 Milliken & Company Polyethyleneimine compounds containing n-hal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US11518963B2 (en) * 2018-10-18 2022-12-06 Milliken & Company Polyethyleneimine compounds containing N-hal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US20200123475A1 (en) * 2018-10-18 2020-04-23 Milliken & Company Polyethyleneimine compounds containing n-hal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US11732218B2 (en) 2018-10-18 2023-08-22 Milliken & Company Polyethyleneimine compounds containing N-hal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US11299591B2 (en) 2018-10-18 2022-04-12 Milliken & Company Polyethyleneimine compounds containing N-halamine and derivatives thereof
DE102018217984A1 (de) * 2018-10-22 2020-04-23 Henkel Ag & Co. Kgaa Neuartige Polyalkyleniminderivate und Wasch- und Reinigungsmittel, die solche enthalten
EP3938421B1 (en) * 2019-03-15 2022-11-30 Basf Se Alkoxylated polyalkylene imines or alkoxylated polyamines with a terminal polybutylene oxide block
CN115521944B (zh) * 2022-08-29 2024-04-19 云南大学 一种青霉菌发酵物乙酸乙酯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4245A1 (en) * 1996-03-04 1997-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pretreatment process and bleach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3622B1 (en) * 1980-01-07 1984-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US4676921A (en) * 1982-12-23 1987-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amine polymers having clay soil removal/anti-redeposition properties
US4597898A (en) * 1982-12-23 1986-07-01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amines having clay soil removal/anti-redeposition properties
US4891160A (en) * 1982-12-23 1990-01-02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amines having clay soil removal/anti-redeposition properties
GB8512638D0 (en) * 1985-05-18 1985-06-19 Procter & Gambl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PE6995A1 (es) * 1994-05-25 1995-03-20 Procter & Gamble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polimero de polialquilenoamina etoxilado propoxilado como agente de separacion de sucio
US5747440A (en) * 1996-01-30 1998-05-05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s comprising heavy metal ion chelants
JPH11509265A (ja) * 1996-05-03 1999-08-1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綿防汚重合体を含む液体洗濯洗剤組成物
US5968893A (en) * 1996-05-03 1999-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viding soil release to cotton fabric
US5858948A (en) * 1996-05-03 1999-01-12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cotton soil release polymers and protease enzymes
WO1998012295A1 (en) * 1996-09-19 1998-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lor care compositions
AU7527096A (en) * 1996-11-01 1998-05-29 Procter & Gamble Company, The Color care compositions
US6075000A (en) * 1997-07-02 2000-06-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each compatible alkoxylated polyalkyleneimi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4245A1 (en) * 1996-03-04 1997-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pretreatment process and bleach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19166D1 (de) 2004-09-09
EP1090099A1 (en) 2001-04-11
DE69919166T2 (de) 2005-09-15
CN1306565A (zh) 2001-08-01
CZ20004655A3 (cs) 2001-09-12
BR9911476A (pt) 2001-09-18
ID28471A (id) 2001-05-24
MA24884A1 (fr) 1999-12-31
AR019695A1 (es) 2002-03-13
EP1090099B1 (en) 2004-08-04
EG21739A (en) 2002-02-27
ATE272701T1 (de) 2004-08-15
BR9911476B1 (pt) 2009-05-05
HUP0103716A3 (en) 2003-04-28
US6127331A (en) 2000-10-03
CA2335301C (en) 2006-03-28
CN1173024C (zh) 2004-10-27
KR20010053145A (ko) 2001-06-25
JP2002518585A (ja) 2002-06-25
MX233865B (es) 2006-01-20
CA2335301A1 (en) 1999-12-29
WO1999067353A1 (en) 1999-12-29
ES2226398T3 (es) 2005-03-16
HUP0103716A2 (hu) 2002-02-28
TR200003766T2 (tr)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879B1 (ko)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분산제를 포함하는 세탁 세제조성물
MXPA01000085A (en) Laundry compositions comprising alkoxylated polyalkyleneimine dispersants
US6677289B1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polyamines and mid-chain branched surfactants
KR100480531B1 (ko) 쯔비터이온성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과립상 세탁용 세제조성물
US6696401B1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zwitterionic polyamines
JP2001354995A (ja) 漂白活性化樹枝状体リガンドおよびそれの金属錯塩を含有する洗剤および洗浄剤
EP1196525B1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polyamines and mid-chain branched surfactants
KR100474794B1 (ko) 쯔비터이온성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
AU761368B2 (en) Laundry compositions comprising alkoxylated polyalkyleneimine dispersants
US6846791B1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amines
MXPA01008386A (es) Composiciones detergentes para el lavado que comprenden poliaminas para la mejora de telas
US6812198B2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amines
JP2002504590A (ja) 変性ポリアミンポリマーを含有する漂白洗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