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172B1 -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172B1
KR100402172B1 KR10-2001-0014694A KR20010014694A KR100402172B1 KR 100402172 B1 KR100402172 B1 KR 100402172B1 KR 20010014694 A KR20010014694 A KR 20010014694A KR 100402172 B1 KR100402172 B1 KR 10040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head
trim
absorbing membe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737A (ko
Inventor
한강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1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1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using energy absorbing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3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or roof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에 관해 제시한다. 본 발명은 충돌시 탑승자의 헤드가 차체에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트림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돌시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며, 적정위치에 복수의 고정부를 갖는 격자형 리브로 이루어진 충격 완화부재와, 격자형 리브로 이루어진 머리부와, 머리부로부터 연장되고 고정부를 관통하여 트림에 체결되는 로드형의 체결부로 이루어져 충격 완화부재를 트림에 체결시키는 파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파스너에 의해 트림내에 고정되는 충격 완화부재의 공간상 고정부위에도 격자형 리브가 형성되어 충돌시 충격위치에 관계없이 헤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시에 탑승자의 헤드가 차체에 부딪쳐 발생하는 상해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상을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것인 바, 주행중이던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격히 감속되거나 정지될 경우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주행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급격히 쏠리게 되는데, 이 때 특히 머리를 포함한 상체의 쏠림이 더욱 심해 핸들이나 대시패널 등에 머리와 가슴 등이 심하게 부딪쳐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충돌시 등에 탑승자를 시트에 안전하게 지지시켜 충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와 에어백 등의 안전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벨트와 에어백 등은 구조적으로 탑승자의 상체는 시트에 안전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지만, 목에 의해서만 지행되는 헤드는 보호하기 곤란하다. 이로 인해 특히 측면 충돌이 발생될 경우에는 탑승자의 헤드가 필라(pillar)나 사이드 레일(side rail) 등의 차체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출고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들에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최소한의 충돌 안전기준을 만족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대부분의 나라에서 차량이 개발되고 나면 충격시험평가를 반드시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북미인증법규인 FMH(free motiom headform)의 충격범위는 필라, 사이드 레일 및 어퍼 루프 임팩트 존(upper roof impact zone) 영역이며, 인체모형 헤드를 탑재하여 15mph 속도로 충격을 가해 가속도 계산치인 HIC(head injury criterion)가 1000 이하일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 차체의 트림(trim) 내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제 격자형 리브를 충격 완화부재(1)로서 설치하여 헤드가 차체에 부딪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충격 완화부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스너(fastner:2)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트림(T)에 고정되는 바, 그 고정부위에는 리브의 적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충돌시 충격 완화부재(1)의 고정부위에 헤드가 부딪칠 경우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키기 곤란하며,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충격 완화부재(1)들이 만나는 프론트 필라(FP)와 센터 필라(CP)간의 중간부위(UR)에 부딪칠 경우에는 HIC를 확실히 만족하지 못할 우려가 매우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트림내에 설치되는 충격 완화용 격자형 리브의 고정부위에 파스너의 체결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완충용 격자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충돌시 헤드의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는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탑승자의 충격지점을 보이는 차량의 실내 측면도,
도 2는 충격지점의 트림 내부에 설치되는 충격 완화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충격 완화부재 체결용 파스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화부재 체결용 파스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트림 1: 충격 완화부재
3: (충격 완화부재의) 리브 4: (충격 완화부재의) 고정부
10: 파스너 11: (파스너의) 머리부
12: (파스너의) 체결부 14, 15: (파스너의) 격자형 리브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는, 충돌시 탑승자의 헤드가 차체에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트림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돌시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며, 적정위치에 복수의 고정부를 갖는 격자형 리브로 이루어진 충격 완화부재와; 격자형 리브로 이루어진 머리부와, 머리부로부터 연장되고 고정부를 관통하여 트림에 체결되는 로드형의 체결부로 이루어져 충격 완화부재를 트림에 체결시키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스너에 의해 트림내에 고정되는 충격 완화부재의 고정부위에도 격자형 리브가 형성되어 충돌시 헤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충격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 등에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주행중에 추돌이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차체에 부딪치게 되므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충돌 안전창치 들이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충돌 안전장치의 하나로 트림(T)내에 충격 완화부재를 삽입하여 충돌시 탑승자의 헤드가 차체에 부딪쳐 발생되는 치명상의 우려를 억제시키고 있다.
도 2에서, 트림(T)내에 삽입되는 충격 완화부재(1)는 다수의 리브(3)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된 매트릭스상의 격자형 리브로 구성되어, 충돌시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헤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 같은 충격 완화부재(1)는 그 적정위치에 체결구멍(5)을 갖는 편평한 고정부(4)를 복수개 구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스너(10)에 의해 트림(T)에 체결 고정된다. 고정부(4)는 파스너(10) 체결을 위한 충분한 공간확보와 함께 강성유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3)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견고한 부착을 위해 그 두께방향의 한쪽에 치우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각 고정부(4)에는리브(3)가 없는 일정한 공간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파스너(10)는 머리부(11)와 이 머리부(11)로부터 연장되어 충격 완화부재(1)의 고정부(4) 체결구멍(5)을 관통하여 트림(T)에 고정되는 로드상의 체결부(12)로 이루어진다. 머리부(11)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다수의 리브들이 격자상으로 배열된 격자형 리브로 구성된다. 즉,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판상의 두 커버판(13) 사이에 다수의 평판 리브(14)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환형 리브(15)가 각 평판 리브(14)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스너(10)의 머리부(11)는 가능한 한 충격 완화부재(1)의 고정부(4) 크기에 근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2)의 외주에는 삽입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체결구멍(5)을 통과한 후 탄성복원되어 반대면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편(16)들이 적정간격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충돌 안전장치는, 충격 완화부재(1)를 파스너(10)로 안정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파스너(10)의 머리부(11)가 격자형 리브로 형성되어 충격 완화부재(1)의 고정부(4)를 채워주게 되므로 충돌시 탑승자의 헤드가 부딪칠 경우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헤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충격시험시에도 HIC 규정을 확실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스너에 의해 트림내에 고정되는 충격 완화부재의 공간상의 고정부위에도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격자형 리브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충돌시 헤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격위치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흡수 완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충격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 등에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충돌시 탑승자의 헤드가 차체에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트림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돌시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며, 적정위치에 복수의 고정부를 갖는 격자형 리브로 이루어진 충격 완화부재와;
    격자형 리브로 이루어진 머리부와,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트림에 고정되는 로드형의 체결부로 이루어져 충격 완화부재를 트림에 체결시키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KR10-2001-0014694A 2001-03-21 2001-03-21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KR10040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694A KR100402172B1 (ko) 2001-03-21 2001-03-21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694A KR100402172B1 (ko) 2001-03-21 2001-03-21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737A KR20020074737A (ko) 2002-10-04
KR100402172B1 true KR100402172B1 (ko) 2003-10-17

Family

ID=2769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694A KR100402172B1 (ko) 2001-03-21 2001-03-21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1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8A (ja) * 1994-06-22 1996-01-09 Fuji Heavy Ind Ltd 車両の乗員保護用パッディング構造
JPH0867213A (ja) * 1994-08-30 1996-03-12 Inoac Corp 車両用ピラーの内装部品組付構造
KR19980016526U (ko) * 1996-09-18 1998-06-25 정몽규 충격흡수용 스토퍼
KR19980037480A (ko) * 1996-11-21 1998-08-05 박병재 완충부재를 갖춘 필러 트림
JPH10217868A (ja) * 1997-01-31 1998-08-18 Isuzu Motors Ltd 衝撃吸収型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構造
JP2000190796A (ja) * 1998-12-25 2000-07-11 T S Tec Kk 車両用内装部品の緩衝材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8A (ja) * 1994-06-22 1996-01-09 Fuji Heavy Ind Ltd 車両の乗員保護用パッディング構造
JPH0867213A (ja) * 1994-08-30 1996-03-12 Inoac Corp 車両用ピラーの内装部品組付構造
KR19980016526U (ko) * 1996-09-18 1998-06-25 정몽규 충격흡수용 스토퍼
KR19980037480A (ko) * 1996-11-21 1998-08-05 박병재 완충부재를 갖춘 필러 트림
JPH10217868A (ja) * 1997-01-31 1998-08-18 Isuzu Motors Ltd 衝撃吸収型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構造
JP2000190796A (ja) * 1998-12-25 2000-07-11 T S Tec Kk 車両用内装部品の緩衝材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737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408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US8220826B2 (en) Ramp bracket for curtain airbag of vehicle
KR20110037598A (ko)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KR100986340B1 (ko) 차량용 에어백의 램프브라켓 어셈블리
KR100402172B1 (ko) 차량의 충돌 안전장치
KR20030097137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고정장치
KR100882566B1 (ko)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KR100990585B1 (ko) 커튼에어백용 마운팅 브래킷
KR100990614B1 (ko) 커튼에어백용 마운팅 브래킷
JPH02200570A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KR100757588B1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구조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KR960010002Y1 (ko) 자동차의 엔진 진입 방지장치
KR100353073B1 (ko) 로드 리미터 기능을 갖는 자동차 시트벨트 앵커 구조
KR015090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0607Y1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패드
KR19980038281U (ko) 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충돌완충장치
KR100387652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용 무릎 보호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242195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20050038667A (ko) 시트벨트의 도어링부 충돌 흡수 구조
KR101337804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