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598A -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598A
KR20110037598A KR1020090095101A KR20090095101A KR20110037598A KR 20110037598 A KR20110037598 A KR 20110037598A KR 1020090095101 A KR1020090095101 A KR 1020090095101A KR 20090095101 A KR20090095101 A KR 20090095101A KR 20110037598 A KR20110037598 A KR 2011003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amp assembly
rib
fill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원
김태우
안희상
임우현
박성용
임창현
곽대영
오창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9009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598A/ko
Publication of KR2011003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필러에 고정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일단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1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면과의 사이에서 전개되기 전의 에어백이 수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면; 및 상기 제1공간에 수용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러 램프 어셈블리에 수용되는 에어백, 특히 커튼 에어백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으면서, FMH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격흡수 효과나 충분한 강도를 구비할 수 있다.
커튼 에어백, 램프, 필러

Description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Pillar Ramp Assembl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이 용이하게 전개되고, 에프 엠 에이치(FMH)테스트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기능성 및 편의성과 더불어 탑승객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사고 발생시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과 관련된 장치들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안전장치들 중에서, 특히 에어백 시스템은 안전밸트와 함께 사용되어 차량의 정면충돌이나 측면충돌시 탑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에어백 시스템중, 특히 차량의 측면충돌과 관련된 에어백 시스템은 통상 탑승객의 머리부 보호를 위한 커튼에어백(Curtain Air-Bag)과, 탑승객의 옆구리부 보호를 위한 사이드 에어백(Side Air-Bag)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커튼에어백은 보통 차실내의 측상단을 따라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커튼식으로 전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복 사고시에도 그 효과를 발휘하여 탑승자에게 고도의 안전성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커튼에어백이 전개 작동될 때 필러 트림에 걸리지 않고 전개작동 가능하도록 커튼에어백 램프 브라켓을 필러 트림과 헤드라이닝이 연결되는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에 의해 차체 구조 또한 변형이 발생되며, 상기한 원인에 의해 필러 트림 역시 초기의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됨으로써, 상기 커튼에어백 작동시에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로인해 상기 커튼에어백이 필러 트림의 내측으로 전개 작동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램프 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여 커튼에어백이 차 실내로 전개 작동될 때 필러 트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커튼 에백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으면서, FMH 테스트에 의한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필러에 고정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일단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1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면과의 사이에서 전개되기 전의 에어백이 수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면; 및 상기 제1공간에 수용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제1공간의 모서리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 지고, 모서리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브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서로 병렬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브는 상기 제1공간의 하나의 모서리에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면과 상기 수용부가 만나는 연결면은 상기 제2면보다 두께가 얇고, 상기 제2면에 수평방향 힘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면이 절단되고, 상기 제2면이 상기 제2공간의 내부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공간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상면은, 상기 제1면에서 돌출된 제1돌출편과, 상기 제2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편을 수용하여 후크결합되는 제2돌출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러 램프 어셈블리에 수용되는 에어백, 특히 커튼 에어백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으면서, FMH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격흡수 효과나 충분한 강도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는 자동차용 필러에 고정되는 제1면(10), 상기 제1면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용부(50), 상기 수용부(50)에서 연장되는 제2면(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50)는 그 내부에 제1공간(52)을 구비한다. 상기 제1공간(52)은 측면방향은 외부에 연통되어 있지만, 측면방향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밀폐된 형상이다.
한편 상기 제2면(30)은 상기 제1면(10)과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면(10) 과 상기 제2면(30) 사이에는 제2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32)에는 전개되기 전의 에어백(미도시)이 접힌 상태로 수용된다. 물론 상기 에어백에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에어백은 팽창하면서 상기 제2공간(32)의 바깥으로 분출된다.
상기 제1공간(52)에는 리브(60)가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52)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리브(60)는 상기 제1공간(52)의 하나의 모서리(54)에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공간(52)은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리브(60)는 상기 제1공간(52)의 특정 모서리(54), 즉 상기 수용부(50)와 상기 제2면(30)이 만나는 부분의 모서리(54)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리브(60)는 상기 모서리(54)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50)가 하측방향 힘을 받을 때에 상기 수용부(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6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60)는 서로 병렬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공간(52)은 측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기 때문에 상기 리브(60)가 병렬로 나열되어,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제2면(30)과 상기 수용부(50)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제2면(30)의 두께보다 얇은 연결면(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면(34)은 상기 제2면(30)과 측면 방향의 폭은 동일하나 두께가 얇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수용부(50)는 상기 제1공간(52)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편(56)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함몰편(56)의 함몰된 형상으로 인해서 상기 제1공간(52)은 강도가 강화되고, 힘에 의해 상기 제1공간(52)의 형상에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 이 방지된다.
상기 수용부(50)의 상면(58)은 상기 제1면(10)에서 돌출된 제1돌출편(12)과 상기 제2면(30)에서 돌출된 제2돌출편(3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면(58)은 상기 수용부(50)의 상측에 위치해서 상기 제1공간(52)과 상기 제2공간(32)을 분할한다.
상기 제2돌출편(36)은 그 내측에 별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돌출편(12)을 수용한다. 상기 제2돌출편(36)의 양 측에는 관통홀(38)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38)은 상기 제2돌출편(36) 내부의 수용공간과 그 외측을 서로 연통한다.
상기 제1돌출편(12)은 상기 제2돌출편(36)의 내측에 수용되고, 그 양단에 후크(14)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14)는 상기 관통홀(38)에 인입되어 상기 제2돌출편(36)과 상기 제1돌출편(12)이 결합된 상태를 고정한다.
도 3은 도 1이 조립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면(10)과 상기 제2면(30)은 하나의 플레이트로 연결되는 형태로 사출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면(10)과 상기 제2면(30)을 화살표 방향에 따라 접으면, 상기 제1면(10)의 제1돌출편(12)과 상기 제2면(30)의 제2돌출편(36)이 서로 맞닿게 되고, 상기 제1돌출편(12)이 상기 제2돌출편(36)의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14)가 상기 관통홀(38)에 인입되어 상기 제1돌출편(12)과 상기 제2돌출편이 고정된 상태, 즉 상기 제1면(10)과 상기 제2면(30)이 접힌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돌출편(12)과 상기 제2돌출편(36)이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수용부(50)의 상면(58)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50)의 상부에는 상기 상면(58), 상기 제1면(10) 및 상기 제2면(30)에 의해서 제2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50)의 하부에는 제1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50)의 함몰편(56)의 일면에는 절개된 부분이 존재해서 상기 제1면(10)과 상기 제2면(30)을 접을때, 용이하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브(60)는 상기 제1면(10) 및 상기 제2면(30)을 제작할 때에 일체로 사출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제작해서 상기 모서리(54)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은 도 2에서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에어백이 전개되기 전에는 상기 연결면(34)은 상기 제2면(30)과 상기 수용부(50)를 연결한다. 그러나 충격이 가해져서 에어백에 충진가스가 유입되면 에어백이 팽창하고, 상기 에어백이 상기 제2공간(32)의 크기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에어백이 상기 연결면(34)을 절단시키고 상기 수용부(5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변형된다. 즉 에어백이 팽창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50)에는 화살표로 표현된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에어백이 상기 제2공간(32) 외부로 배출되어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수평방향 힘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FMH 해석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FMH해석은 자동차가 충돌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실내에서 머리에 가해질 수 잇는 상해치를 줄이기 위한 해석이다. 즉 수평방향의 힘이 필러 램프 어셈블리에 가해졌을 때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필러 램프 어셈블리는 소정 범위내에서 변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화살표 방향의 수평방향 힘이 가해질 때에 상기 연결면(34)은 파단되고 상기 제2면(30)이 상기 제2공간(32)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50)가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변형이 되어 가해지는 힘의 일부가 흡수된다. 즉 사람의 머리가 필러 램프 어셈블리에 부딪히는 불상사가 생기더라도 상기 필러 램프 어셈블리가 변형되면서 그 충격을 일부 흡수하여, 사람에게 반작용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이 조립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도 2에서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서 수평방향 힘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제1면 30: 제2면
34: 연결면 50: 수용부
60: 리브

Claims (8)

  1. 자동차용 필러에 고정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일단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1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면과의 사이에서 전개되기 전의 에어백이 수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면; 및
    상기 제1공간에 수용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1공간의 모서리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 지고, 모서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서로 병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1공간의 하나의 모서리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과 상기 수용부가 만나는 연결면은 상기 제2면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 수평방향 힘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면이 절단되고, 상기 제2면이 상기 제2공간의 내부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공간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면은,
    상기 제1면에서 돌출된 제1돌출편과,
    상기 제2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편을 수용하여 후크결합되는 제2돌출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KR1020090095101A 2009-10-07 2009-10-07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KR20110037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01A KR20110037598A (ko) 2009-10-07 2009-10-07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01A KR20110037598A (ko) 2009-10-07 2009-10-07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598A true KR20110037598A (ko) 2011-04-13

Family

ID=4404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101A KR20110037598A (ko) 2009-10-07 2009-10-07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59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355A (ko) 2017-12-05 2019-06-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190083858A (ko) 2018-01-05 2019-07-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190100764A (ko) 2018-02-21 2019-08-2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테더 가이드 유닛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10069266A (ko)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10069334A (ko)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20035788A (ko) 2020-09-14 2022-03-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220037115A (ko) 2020-09-17 2022-03-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220096054A (ko) 2020-12-30 2022-07-0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355A (ko) 2017-12-05 2019-06-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190083858A (ko) 2018-01-05 2019-07-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190100764A (ko) 2018-02-21 2019-08-2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테더 가이드 유닛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10069266A (ko)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10069334A (ko)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20035788A (ko) 2020-09-14 2022-03-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220037115A (ko) 2020-09-17 2022-03-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220096054A (ko) 2020-12-30 2022-07-0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153B1 (ko) 커튼에어백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러 램프 구조
US10870408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KR20110037598A (ko)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KR101113672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램프장치
EP1842741A2 (en) Guide plate for side air bag
US8220826B2 (en) Ramp bracket for curtain airbag of vehicle
KR101460725B1 (ko) 차량의 에어백
JP2005335694A (ja) 自動車用オーバーヘッド・エアバッグ
JP2004136862A (ja) 車両の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の前方ピラートリム構造
KR20130066407A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의 설치장치
US20130069349A1 (en) Side airbag deployment arrangement
US20230030083A1 (en) Tether clip and pillar coupling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KR20090120027A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20230015719A (ko) 테더 클립, 이를 포함하는 필러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KR100990614B1 (ko) 커튼에어백용 마운팅 브래킷
KR100990585B1 (ko) 커튼에어백용 마운팅 브래킷
KR101594774B1 (ko) 커튼에어백 장치
KR101356202B1 (ko) 크래쉬패드의 에어백쿠션 및 에어백모듈
KR20160039391A (ko)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JP2002347554A (ja) カーテン式エアバッグ格納自動車のピラーガーニッシュ構造
KR101071736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559894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충격 흡수장치
KR100757588B1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구조
KR101046131B1 (ko) 에어백 커버의 결합구조
KR20090117421A (ko)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