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858A -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858A
KR20190083858A KR1020180001806A KR20180001806A KR20190083858A KR 20190083858 A KR20190083858 A KR 20190083858A KR 1020180001806 A KR1020180001806 A KR 1020180001806A KR 20180001806 A KR20180001806 A KR 20180001806A KR 20190083858 A KR20190083858 A KR 2019008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uide chamber
chamber
curtain airbag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750B1 (ko
Inventor
이동준
태상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8000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7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와 인접하게 접힘 상태로 구비되고, 자동차의 충돌 시 자동차의 내부 측면 및 탑승자 사이에서 하방으로 전개되며, 전개 시, 자동차의 측면을 향하는 외부 패널과 탑승자를 향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하는 메인 챔버와 상기 메인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챔버의 전개시 자동차의 필러 및 필러 트림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필러 및 필러 트림 사이 공간의 상부에 전개되는 가이드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챔버에는 상기 메인 챔버와의 중첩으로 인한 전체 팽창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부가 마련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자동차의 충돌 시, 필러 및 필러 트림과의 간섭을 회피해서 커튼 에어백을 전개해서 탑승자의 머리와 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가이드 챔버에 팽창되지 않는 두께 조절부를 마련함으로써, 가이드 챔버의 팽창 두께를 조절해서 서로 중첩되는 가이드 챔버와 메인 챔버의 전체 팽창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시 탑승자와 자동차의 내측면 사이에서 팽창되어 탑승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충돌 시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에어백과 같이 팽창 가능한 안전용 구속 장치는 대부분의 새로운 자동차에서 의무적으로 적용된다.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측 스티어링 휠과, 인스트루먼트패널 안에 있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설치된다. 자동차 충돌 시, 자동차 내부의 센서가 비정상적인 감속을 측정하여 인플레이터 내에 있는 장전물의 점화를 촉발시킨다.
장전물로부터 팽창하는 가스가 도관을 통해 이동하여 에어백을 태우고, 그로 인해 에어백은 즉시 운전자와 탑승자의 전방에서 팽창함으로써 자동차의 내부에서의 위험한 충돌로부터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한다. 통상적으로 에어백은 보통의 자동차 작동 동안에는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트림 안에 설치된다.
자동차의 측방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내부 측면과 탑승자 사이에서 위와 유사한 보호를 제공하는 에어백 시스템도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상황은 자동차의 측면에 다른 자동차가 충돌하는 때, 또는 자동차의 측면이 지면에 반복적으로 충돌하는 롤 오버가 있는 때에 발생한다. 측면 충격 에어백은 종종 팽창 가능한 커튼 에어백으로 불린다. 많은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가 측면 윈도우 및 필러들과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따라서 수납된다. 이와 같은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를 덮는 직물인 헤드라이너의 가장자리에서 헤드라이너 트림 뒤에 수납될 수 있다.
세계 여러 정부들에 의하여 발표된 최근의 안전 표준은 기존의 측면 또는 정면 충돌 시 보다 강화된 보호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제조 및 설치면에서 경제적이고, 자동차 제조사가 자동차 내부에 다양한 특징물들을 배치시킴에 있어서 간섭을 회피하며, 신속히 전개될 수 있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자동차의 탑승자들은 에어백의 전개 시에 자동차 내의 다양한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으므로, 탑승자 위치의 가능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충격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체에는 도어의 문틀을 이루는 철재 골조로서 필러가 마련된다. 승용차용 차체에 적용되는 경우, 필러는 설치 위치에 따라 프론트 필러(front pillar), 센터 필러(center pillar), 리어 필러(rear pillar)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필러들에는 외관을 보호하며 장식 기능을 하는 필러트림(pillar trim)(또는 가니쉬(Garnish))이 부착된다.
상술한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헤드라이닝의 하부에는 상기 필러트림이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커튼 에어백의 에어쿠션이 전개될 때 헤드라이닝의 하부에 위치한 필러트림이 커튼 에어백의 전개를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커튼 에어백 전개시 필러 부위와 필러트림 사이로 커튼 에어백이 끼어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면, 원활한 커튼 에어백 성능을 보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커튼 에어백 전개시 필러 및 필러트림 사이로 끼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필러램프(pillar ramp)나 가이드 챔버를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상기 필러램프 또는 가이드 챔버가 설치된 커튼 에어백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의 필러에 필러램프를 적용해서 커튼 에어백이 필러트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커튼 에어백의 상단부에 가이드 챔버를 마련해서 커튼 에어백을 가이드 챔버를 따라 하방으로 전개시켜 필러트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사이드 커튼 에어백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번호 US 7967332(2011년 6월 28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37598호(2011년 4월 13일 공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가이드 챔버가 적용된 커튼 에어백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1)의 상단부에 가이드 챔버(2)를 마련하는 경우, 자동차의 충돌 시 커튼 에어백(1)의 가이드 챔버(2)는 자동차의 필러(4)와 필러트림(5) 사이에서 전개됨에 따라, 메인 챔버(3)는 가이드 챔버(2)의 상면에 가이드되면서 자동차의 내측으로 전개된다.
이때, 메인 챔버(3)의 상부는 가이드 챔버(2)와 서로 중첩된다.
따라서 메인 챔버(3)는 상단부가 가이드 챔버(2)의 두께만큼 자동차의 내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자동차의 내측 방향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전개된다.
이와 같이,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내측 방향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전개되는 경우, 커튼 에어백의 하단은 탑승자의 머리와 상체를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개 영역의 하단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커튼 에어백은 가이드 챔버 적용시 전개 영역 전체를 커버하지 못함에 따라, 탑승자의 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메인 챔버와 중첩되는 가이드 챔버의 두께를 최소화해서 메인 챔버와 가이드 챔버의 전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시 탑승자와 자동차의 내측면 사이에서 팽창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튼 에어백의 메인 챔버와 가이드 챔버가 서로 중첩되는 두께를 조절해서 메인 챔버를 자동차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팽창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챔버와 중첩되는 가이드 챔버의 두께를 조절해서 메인 챔버와 가이드 챔버의 팽창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와 인접하게 접힘 상태로 구비되고, 자동차의 충돌 시 자동차의 내부 측면 및 탑승자 사이에서 하방으로 전개되며, 전개 시, 자동차의 측면을 향하는 외부 패널과 탑승자를 향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하는 메인 챔버와 상기 메인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챔버의 전개시 자동차의 필러 및 필러 트림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필러 및 필러 트림 사이 공간의 상부에 전개되는 가이드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챔버에는 상기 메인 챔버와의 중첩으로 인한 전체 팽창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챔버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챔버의 하단은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챔버의 상단은 전개시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면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 조절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비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 조절부는 미리 설정된 간견만큼 이격된 복수의 열을 따라 각각 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 조절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챔버와 메인 챔버 사이에는 팽창되지 않는 비 팽창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비 팽창부 및 비 팽창 영역은 상기 외부 패널 및 상기 내부 패널을 연결하는 재봉라인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 시, 필러 및 필러 트림과의 간섭을 회피해서 커튼 에어백을 전개해서 탑승자의 머리와 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챔버에 팽창되지 않는 두께 조절부를 마련함으로써, 가이드 챔버의 팽창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챔버와 메인 챔버가 서로 중첩되는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메인 챔버를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개 영역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챔버와의 중첩으로 인해 커튼 에어백의 하단이 전개 영역의 하단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머리 및 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 조절부에 다양한 형상의 비 팽창부를 적용해서 두께 조절부의 팽창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가이드 챔버가 적용된 커튼 에어백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구조물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가이드 챔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챔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챔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부호 F는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전방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R은 자동차의 후방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U는 자동차의 상방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L는 자동차의 하방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I는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자동차의 내부 방향을 나타내고, 참조부조 O는 자동차의 폭 방향에서 자동차의 외부 방향을 나타낸다. 자동차의 전, 후(F, R) 방향은 가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상, 하(U, L) 방향은 세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상, 하(U, L) 방향 축을 Z축, 자동차의 내, 외부(I, O) 방향, 즉 폭방향 축을 X축, 자동차의 전, 후(F,R) 방향축을 Y축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이 자동차의 구조물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또는 감김 상태로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레일(1) 내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루프 사이드 레일(1)은 루프 트림으로 커버되어 자동차의 내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루프를 지지하는 복수의 필러들이 루프 사이드 레일(1)에 연결된다.
이러한 필러들은 자동차의 전방부로터 차례로 프런트 필러(3), 센터 필러(5) 및 리어 필러(7)와 리어 필러(7)의 후방측에 마련되는 D 필러(8)를 포함할 수 있다.
커튼 에어백(30)은 후술될 외부 패널(31) 및 내부 패널(33)의 재봉 또는 원 피스 우븐 방식에 의해 백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튼 에어백(30)에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9)가 연결된다.
자동차의 측면 충돌 또는 전복의 발생 시, 먼저, 자동차에 제공된 센서(미도시)가 충격을 감지하고, 점화 신호가 인플레이터(9)로 전송된다. 인플레이터(9) 내의 점화물이 점화되어 가스가 발생되고, 인플레이터(9)로부터 발생된 가스는 커튼 에어백(30) 내로 공급된다.
인플레이터(9)로부터 가스 수신 시, 커튼 에어백(30)은 자동차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팽창하고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에 따라, 커튼 에어백(30)은 전방 시트(21)와 중앙 시트(22) 및 후방 시트(23)의 탑승자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전방 시트(21)와 후방 시트(23)만이 적용된 차량에서는 하나의 커튼 에어백(30)을 이용해서 전방 시트(21) 및 후방 시트(23)의 탑승자를 동시에 보호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커튼 에어백(30)은 팽창 시, 전방 보호 영역(A1), 중앙 보호 영역(A2) 및 후방 보호 영역(A3)을 가질 수 있다.
전방 보호 영역(A1)은 자동차의 프런트 필러(3)로부터 자동차의 센터 필러(5)에 이르는 자동차의 측방 표면들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고, 중앙 보호 영역(A2)은 자동차의 센터 필러(5)로부터 자동차의 리어 필러(7)에 이르는 자동차의 측방 표면들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으며, 후방 보호 영역(A3)은 자동차의 리어 필러(7)로부터 자동차의 D 필러(9)에 이르는 자동차의 측방 표면들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방, 중앙 및 후방 보호 영역(A1,A2,A3)을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 챔버(40)와 구분하기 위해 메인 챔버(36)라 한다.
커튼 에어백(30)은 상, 하벽(321, 322) 및 전, 후 방벽(323, 324)에 의해 그 내부에 팽창 가능한 공간을 한정하는 백 형태를 갖는다.
커튼 에어백(30)의 전방 보호 영역(A1)은 챔버월(341, 342)에 의해 복수의 전방 챔버(C1, C2, C3)가 한정되고, 중앙 보호 영역(A2)은 챔버월(343)에 의해 복수의 중앙 챔버(C4, C5)가 한정되며, 후방 보호 영역(A3)은 챔버월(344)에 의해 하나 이상의 후방 챔버(C6)가 한정될 수 있다.
자동차의 충돌, 예컨대 측면 충돌 시, 전방 보호 영역의 전방 챔버(C3)는 전방 시트(21)에 착석한 탑승자의 머리가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중앙 보호 영역(A2)의 중앙 챔버(C5)는 중앙 시트(22)에 착석한 탑승자의 머리가 실질적으로 접촉하며, 후방 보호 영역(A3)의 후방 챔버(C6)는 후방 시트(23)에 착석한 탑승자의 머리가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상술한 상, 하, 전, 후방 벽(321 내지 324) 및 챔버월(341 내지 344)들은 커튼 에어백(30)의 내, 외부 패널(33,31)을 재봉하거나, 원 피스 우븐 방식으로 직조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 하, 전, 후방 벽(321 내지 324) 및 챔버월(341 내지 344)들은 접착제, RF 용접, 초음파 용접 등 다양한 적절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방 보호 영역(A1)과 중앙 보호 영역(A2)이 연결되는 부분의 상단에는 인플레이터(9)로부터 가스가 도입되는 가스도입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인플레이터(9)로부터 전달되는 가스의 양이 한정됨에 따라, 한정된 양의 가스를 이용해서 커튼 에어백(30)의 전방, 중앙 및 후방 보호 영역(A1 내지 A3)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전방 보호 영역(A1)의 전측 상부, 전방 보호 영역(A1)과 중앙 보호 영역(A2) 사이 및 후방 보호 영역(A3)의 중앙부에는 각각 비팽창 영역(36 내지 38)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커튼 에어백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트의 열 및 필러 위치와 개수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커튼 에어백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커튼 에어백(30)은 커튼 에어백(30)의 전개시 필러 및 필러 트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가이드 챔버(4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챔버(40)는 중앙 및 후방 보호 영역(A2,A3)의 상부에 마련되고, 단면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챔버(40)는 하단이 차체에 고정됨에 따라, 전개시 상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면서 전개될 수 있다.
가이드 챔버(40)의 전단부에는 가스 도입부(35)를 통해 중앙 보호 영역(A2)로 도입된 가스 중 일부를 분기해서 전달받는 가스 공급부(4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가이드 챔버(40)는 가스 공급부(41)를 통해 가스를 전달받아 필러와 필러 트림 사이에서 대략 원통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튼 에어백(30) 전개시 가이드 챔버(40)가 필러, 도 2 및 도 3에서 보았을 때 리어 필러(7)와 필러 트림 사이 공간 상부에 전개됨에 따라, 메인 챔버(36)는 가이드 챔버(40)의 상면을 따라 자동차의 내측 하방으로 전개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챔버(40)와 메인 챔버(36)의 중앙 및 후방 보호 영역(A2,A3)의 상단 사이에는 팽창되지 않는 비 팽창 영역(4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챔버(40)는 하단이 차체에 고정됨에 따라, 전개시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을 따라 회전해서 하방을 향해 전개된다.
즉, 비 팽창 영역(42)은 가이드 챔버(40)와 메인 챔버(36)의 중앙 및 후방 보호 영역(A2,A3)을 구획하고, 비 팽창 영역(42)을 중심으로 가이드 챔버(40)를 하방을 향해 회전해서 전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비 팽창 영역(42)은 외부패널(31) 및 내부패널(33)을 연결하는 재봉라인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비 팽창 영역(42)은 원 피스 우븐 방식에 의해 직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비 팽창 영역(42)은 접착제, RF 용접, 초음파 용접 등 다양한 적절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비 팽창 영역(42)을 한정하는 재봉라인은 가이드 챔버(40)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1 재봉라인(421)과 메인 챔버(36)의 후방 보호 영역(A3) 상단을 형성하는 제2 재봉라인(4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챔버(40)와 메인 챔버(36) 사이에 비 팽창 영역(42)이 마련됨에 따라, 하방으로 전개된 가이드 챔버(40)의 내측에는 비 팽창 영역(42)이 중첩되고, 메인 챔버(36)는 가이드 챔버(40)의 하단보다 하부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와 함께,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 챔버(40)에는 가이드 챔버(40)의 팽창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부(43)가 마련된다.
두께 조절부(43)는 가이드 챔버(4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가이드 챔버(40)의 팽창 두께를 조절하도록 팽창되지 않는 비 팽창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가이드 챔버의 확대도이다.
두께 조절부(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예컨대 3개의 비 팽창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비 팽창부(44)는 외부패널(31) 및 내부패널(33)을 연결하는 재봉라인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비 팽창부(44)는 원 피스 우븐 방식에 의해 직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비 팽창부(44)는 접착제, RF 용접, 초음파 용접 등 다양한 적절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두께 조절부(43)의 각 비 팽창부(44)를 형성하는 재봉라인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재봉라인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 챔버에 팽창되지 않는 두께 조절부를 마련함으로써, 가이드 챔버의 팽창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 챔버와 메인 챔버가 서로 중첩되는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메인 챔버를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개 영역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이드 챔버와의 중첩으로 인해 커튼 에어백의 하단이 전개 영역의 하단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머리 및 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챔버에 장공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 팽창부를 형성해서 두께 조절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챔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챔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가이드 챔버(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간견만큼 이격된 복수의 열을 따라 각각 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예컨대 3개의 비 팽창부(45)를 형성해서 두께 조절부를 구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가이드 챔버(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예컨대 3개의 비 팽창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비 팽창부를 가이드 챔버에 적용해서 가이드 챔버의 팽창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중첩되는 가이드 챔버와 메인 챔버의 팽창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필러 및 필러 트립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커튼 에어백을 전개해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기술에 적용된다.
1: 사이드 레일 3: 프런트 필라
5: 센터 필라 7: 리어 필라
8: D 필러 9: 인플레이터
21 내지 23: 전방, 중앙, 후방 시트
30: 커튼 에어백 31,33: 외부, 내부패널
321 내지 324: 상, 하, 전, 후방 벽
341 내지 344: 챔버월 35: 가스 도입부
36: 메인 챔버 37 내지 39: 비팽창 영역
40: 가이드 챔버 41: 가스 공급부
42: 비 팽창 영역 421,422: 제1,제2 재봉라인
43: 두께 조절부 44 내지 46 : 비 팽창부

Claims (6)

  1. 자동차의 루프와 인접하게 접힘 상태로 구비되고, 자동차의 충돌 시 자동차의 내부 측면 및 탑승자 사이에서 하방으로 전개되며, 전개 시, 자동차의 측면을 향하는 외부 패널과 탑승자를 향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하는 메인 챔버와
    상기 메인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챔버의 전개시 자동차의 필러 및 필러 트림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필러 및 필러 트림 사이 공간의 상부에 전개되는 가이드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챔버에는 상기 메인 챔버와의 중첩으로 인한 전체 팽창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챔버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챔버의 하단은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챔버의 상단은 전개시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면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비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부는 미리 설정된 간견만큼 이격된 복수의 열을 따라 각각 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챔버와 메인 챔버 사이에는 팽창되지 않는 비 팽창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비 팽창부 및 비 팽창 영역은 상기 외부 패널 및 상기 내부 패널을 연결하는 재봉라인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20180001806A 2018-01-05 2018-01-05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200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06A KR102005750B1 (ko) 2018-01-05 2018-01-05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06A KR102005750B1 (ko) 2018-01-05 2018-01-05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58A true KR20190083858A (ko) 2019-07-15
KR102005750B1 KR102005750B1 (ko) 2019-07-31

Family

ID=6725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06A KR102005750B1 (ko) 2018-01-05 2018-01-05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266A (ko) *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10069334A (ko) *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456A (ko) 2021-05-06 2022-11-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721A (ja) * 2005-09-06 2007-03-22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110037598A (ko) 2009-10-07 2011-04-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US7967332B2 (en) 2006-12-21 2011-06-28 Autoliv Development Ab Side curtain airbag
WO2013002197A1 (ja) * 2011-06-27 2013-01-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721A (ja) * 2005-09-06 2007-03-22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7967332B2 (en) 2006-12-21 2011-06-28 Autoliv Development Ab Side curtain airbag
KR20110037598A (ko) 2009-10-07 2011-04-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WO2013002197A1 (ja) * 2011-06-27 2013-01-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266A (ko) *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10069334A (ko) * 2019-12-03 2021-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750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8975B1 (en)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KR10170821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9266494B2 (en)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US7441796B2 (en) Airbag system
JP5639263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1752965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EP3169553B1 (en) Side curtain airbag for vehicle
KR102005750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2043016B1 (ko) 테더 가이드 유닛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005748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EP1533196B1 (en) Airbag system
EP3959105B1 (en) Side airbag assembly
KR102096841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JP7312669B2 (ja) エアバッグ
EP3305604B1 (en) Curtain airbag device
US20050140122A1 (en) Airbag apparatus
US11318907B2 (en) Curtain airbag assembly
KR101834945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2320375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55771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유닛
KR102352142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626944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KR102396754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807661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20220151456A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