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238B1 -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238B1
KR100400238B1 KR10-2000-0064826A KR20000064826A KR100400238B1 KR 100400238 B1 KR100400238 B1 KR 100400238B1 KR 20000064826 A KR20000064826 A KR 20000064826A KR 100400238 B1 KR100400238 B1 KR 10040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k
backlight
curable
si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040A (ko
Inventor
이대성
김준범
류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밴틱스
Priority to KR10-2000-006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2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CD)의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Tetramethoxysilane과 0.1 내지 1.0% HCl 수용액의 무게비율이 2:1 내지 3:1이 되도록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acryloxyfunctional silane을 20 내지 50 무게% 첨가하여 표면이 acryloxyfunctional silane으로 처리된 콜로이달 실리카용액을 얻은 후, 이 실리카용액에 monomer를 20 내지 50무게% 첨가한 후, 알코올 용매와 수분을 제거하고 epoxy acrylate 5 내지 15무게%, 광개시제 1 내지 5무게%, 그리고 충전재(filler)를 5 내지 12 무게%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잉크는 이 제조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는 열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와 비교하여 재질의 변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잉크의 건조속도 및 백라이트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UV Curable Back Light Ink and Prepartion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cryloxyfunctional silane으로 표면 처리한 콜로이달 실리카 바인더에 산란입자가 분산된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들어선 시점에서, 텔레비전을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 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사용되는 CRT(Cathode Ray Tube)는 자체의 큰 무게나 크기로 인하여 소형, 경량화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갖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CD)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근래에는 평판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이며, 그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LCD)는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고, 투과광의 양을 변조(modulation)시키는 역할만 하므로, 액정을 사용한 모니터 화면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LCD패널의 후방에 설치되어져야한다. 이 면광원 형태의 백라이트에 요구되는 성능은 표시면 전체의 휘도가 균일해야 하며, 액정 패널의 투과율이 10% 미만인 것을 고려하여 충분한 휘도가 유지되어야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램프 어셈블리는 LCD패널의 전면으로 광을 전달하도록 LCD패널의 후면에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가 설치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LCD패널의 후면 모서리에 발광램프(5)와 램프 반사판(4)으로 구성된 램프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발광램프(5)로부터의 광선과 램프 반사판(4)으로부터의 광선을 LCD패널(1)의 전면으로 균일하게 유도하도록 도광판(6)이 설치되며, 도광판(6)의 후면에 반사판(8)이 부착되고, 도광판(6)으로부터 유도된 광선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확산판(3)과 프리즘(2)과 같은 시트류가 도광판(6)과 LCD패널(1)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있다. 도광판(6) 하단부는 잉크가 도트 형태를 한 패턴으로 인쇄되고 램프에서 가까운 부분은 작게, 먼 부분은 더 큰 크기의 도트로 형성되어 반사량을 조절하며 백라이트 면 전체에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게 만든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제품의 기술 경쟁력 우위를 판단하는 척도인 고휘도화와 박형화를 위해 고휘도 시트, 고휘도 발광램프, 고휘도 기구 구조 등의 개발에 집중되어 왔다.
그 중에서 도광판(6) 하단부에 인쇄되는 잉크는 열경화형으로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그러나 열경화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재질이 변질 될 가능성과 건조 속도가 늦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조 속도가 빠르며, 또한 열에 의한 재질의 변질 가능성이 없는 백라이트용 잉크가 요구 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라이트용잉크의 제조시 잉크의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하여 작업 능률을 올리고, UV경화법을 사용하여 열경화로 인한 재질의 변질을 방지하는 UV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백라이트용 잉크보다 산란 효과와 광투과성이 좋은 콜로이달 실리카를 사용하여 균일한 산란 입자의 배열로 LCD의 균일한 면광원을 유지하고 휘도를 증가시키는 UV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LCD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UV경화기구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UV경화형 백라이트 잉크층의 개략도이다.
도 4는 LCD 패널의 휘도 측정 포인트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LCD 패널 2 : 프리즘 3 : 확산판
4 : 램프 반사판 5 : 발광램프 6 : 도광판
7 : 도트 인쇄층 8 : 반사판 9 : 콜로이달 실리카
10 : 충전재
본 발명의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의 제조방법은 silane과 산성용액을 2:1 내지 3:1로 혼합하여 시간과 온도를 조절하여 반응한 후, 원하는 입자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용액을 얻은 다음, 콜로이달 실리카를 acryloxyfunctional silane으로 표면처리하여 아크릴 관능기를 갖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얻은 후 광개시제와 충전재(filler)를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발생방법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를 액정표시장치(LCD) 모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도광판 하단면에 도트 인쇄하여, 도광판 내부로 유도된 광을 효율적으로 산란시켜 균일한 면광원이 전면으로 나아가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먼저, silane이 든 용기를 40 ~ 60℃로 유지하며 0.1 내지 1.0% HCl 수용액을 서서히 적가한다. 이 때 silane과 HCl 수용액의 비율이 2:1 내지 3:1이 되도록 혼합하여 2 ~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silane의 비율이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콜로이달 실리카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입자 크기가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혼합될 수 있는 silane으로는 4관능기를 갖는 tetramethoxysilane과 tetraethoxysilane 또는 3관능기를 갖는 methyltrimethoxysilane 등이 있다. 또한 HCl 수용액의 농도가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혼합된 용액이 쉽게 겔화되고, 상기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콜로이달 실리카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서, 콜로이달 입자 크기가 대략 20 ~ 100㎚로 형성된 상기 용액에 acryloxyfunctional silane을 20 내지 50 무게% 첨가하여 40 ~ 60℃에서 2 ~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표면이 acryloxyfunctional silane으로 처리된 콜로이달 실리카를 얻는다. acryloxyfunctional silane의 첨가비율이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인쇄된 잉크의 도막에 연성이 부여되지 않아 갈라짐 현상이 생기고, 상기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첨가된 acryloxyfunctional silane으로는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acryloxymethyldimethylacryloxysilane, N-(3-acryloxy-2-hydroxypropyl)-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cryloxypropyldimethylmethoxysilane, 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methacryloxymethylphenyldimethylsilane, methacryloxyethoxytrimethylsilane, methacrylamidopropyltrimethoxysilane, methacryloxymethyltriethoxysilane, methacryloxyemthyltrimethoxysilane, 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용액에 acryl monomer를 20 내지 50무게% 첨가한 후, 알코올 용매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40 ~ 50℃에서 회전증발(rotary evaporation)시킨다. acryl monomer의 첨가비율이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인쇄 후 도막의 물성이 떨어지고, 상기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용매와 수분을 제거할 때 점도가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acryl monomer로는 hexanediol dicarylate, 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polyethyleneglycol di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methyl meth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lauryl methacrylate, 2-hydroxyehtyl meth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n-butyl 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등이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콜로이달 실리카 용액에 oligomer 5 내지 15무게%, 광개시제 1 내지 5무게%, 그리고 충전재 5 내지 12무게%를 첨가한 후 40℃ 이하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게 되면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가 얻어 진다. 여기에서 oligomer 첨가비율이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점도가 증가하여 스크린 인쇄 작업성이 떨어지고, 상기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광개시제의 첨가비율이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광개시제에 의한 라디칼 반응이 계속 진행되어 경화된 도막을 분해하여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고, 상기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전재의 첨가비율이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점도증가로 인해 인쇄 작업성이 떨어지며, 상기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산란효율이 떨어진다.
사용가능한 oligomer로는 urethane acrylate, epoxy acrylate, epoxy methacrylate, melamine acrylate 등이 있다. 광개시제로는 2-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2-hydroxy-2-methyl-1-phenyl propanone, isobutylbenzoin ether, 그리고 2,2-dimethyoxy-2-phenyl acetophenone 등이 있다. 충전재로는 SiO2, Al2O3, ZrO2, TiO2, 그리고 BaSO4등이 있다.
첨가되는 충전재(filler)는 10㎛ 미만의 평균입자크기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filler)의 첨가에 의하여 도광판 내부로 도광된 광을 산란하여 난반사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제조실시예>
먼저, tetramethoxysilane이 든 용기를 50℃로 유지하며 0.5% HCl 수용액을 서서히 적가한다. 이 때 tetramethoxysilane과 HCl 수용액의 비율이 2:1 내지 3:1이 되도록 혼합하며 3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이어서,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을 40 무게%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표면이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으로 처리된 콜로이달 실리카를 얻었다. 얻어진 용액에 hexanediol diacrylate를 40무게% 첨가한 후, 알코올 용매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45℃에서 회전증발(rotary evaporation)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콜로이달 실리카 용액에 10무게%의 epoxy acrylate, 3무게%의 isobutylbenzoin ether , 그리고 평균입경 7㎛ 의 SiO2, TiO2, 그리고 BaSO4가 동일 비율로 혼합된 충전재(filler)를 투입한 후 40℃ 이하에서 Dispermat(독일, VMA-Getzmann 사)으로 30분 정도 분산하여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본 발명자의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0-58772호에 의거하여, 톨루엔, 크실렌 및 시크로헥사논(cyclohexanone)이 동일 비율 조성으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30무게%의 분자량 100,000의 acrylic copolymer와 분자량 30,000의 vinyl copolymer를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ethylene oxide기와 propylene oxide기를 함유한 분자량 25,000의 polydimethylsiloxane과 혼합한 후, 130℃의 온도에서 300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60℃ 이하로 낮추고 tetraethoxysilane과 methyl tetramethoxysilane이 8무게% 함유된 메탄올용액을 2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동일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aminomethylpropanol과 메탄올이 1:1 무게비로 혼합된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같은 조건으로 4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평균입경 7㎛ 의 SiO2, TiO2, 그리고 BaSO4를 동일 비율로 혼합된 충전재를 투입한 후 Dispermat(독일, VMA-Getzmann 사)로 30분 정도 분산하여 열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제조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를 액정표시장치(LCD)모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도광판 하단면에 도트 인쇄하여 Fusion Systems사의 Fusion Lamp를 이용하여 UV경화하였다. 이때 경화조건은 line speed가 7.7m/min이었고, 광량은 128.8mJ/cm2이었다. 비교제조예에 의하여 얻어진 열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하여 6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LCD판넬상에서 휘도를 측정한 포인트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열경화형보다 UV경화형으로 인쇄한 것이 약 5%( 50 ~ 100 cd/m2) 정도의 휘도 증가율을 보이며 균일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oint 비교예(단위 cd/m2) 실시예(단위 cd/m2)
1 1935 1995
2 1919 2011
3 1914 1996
4 1958 2017
5 1919 1992
6 1780 1924
7 1727 1848
8 1836 1892
9 1888 1915
10 1892 1952
11 1832 1945
12 1748 1893
13 1811 1921
평균값 5 points 1929 2002
13 points 1858 1946
균일도 5 points 1.02 1.01
13 points 12.43 8.77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는 열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와 비교하여 재질의 변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잉크의 건조속도 및 백라이트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5)

  1. 테트라메톡시실란(Tetramethoxysilane)과 0.1 내지 1.0% HCl 수용액의 무게비율이 2:1 내지 3:1이 되도록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아크리록시펑쇼날 실란(acryloxyfunctional silane)을 20 내지 50 무게% 첨가하여 표면이 아크리록시펑쇼날 실란(acryloxyfunctional silane)으로 처리된 콜로이달 실리카용액을 얻은 후, 이 실리카용액에 헥산디올 디아크리레이트(hexanediol diacrylate)를 20 내지 50무게% 첨가한 후, 알코올 용매와 수분을 제거하고 에폭시 아크리레이트(epoxy acrylate) 5 내지 15무게%, 이소부틸벤조인 에테르(isobutylbenzoin ether) 1 내지 5무게%, 그리고 충전재(filler)를 5 내지 12 무게%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첨가하는 아크리록시펑쇼날 실란(acryloxyfunctional silane)은 아크리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아크리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아크리록시메틸디메틸아크리록시실란(acryloxymethyldimethylacryloxysilane), N-(3-아크리록시-2-하이드록시프로필)-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3-acryloxy-2-hydroxyprop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아크리록시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acryloxypropyldimethylmethoxysilane), 아크리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메타크리록시메틸페닐메틸실란(
    methacryloxymethylphenyldimethylsilane), 메타크리록시에톡시트리메틸실란 (methacryloxyethoxytrimethylsilane),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methacrylamidopropyltrimethoxysilane), 메타크리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methacryloxymethyltriethoxysilane), 메타크리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methacryloxymethyltrimethoxysilane), 메타크리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충전재(filler)는 10㎛ 미만의 SiO2, TiO2, 그리고 BaSO4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의 제조방법.
  4. 제1항 기재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UV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5. 삭제
KR10-2000-0064826A 2000-11-02 2000-11-02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400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826A KR100400238B1 (ko) 2000-11-02 2000-11-02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826A KR100400238B1 (ko) 2000-11-02 2000-11-02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040A KR20020034040A (ko) 2002-05-08
KR100400238B1 true KR100400238B1 (ko) 2003-10-01

Family

ID=1969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826A KR100400238B1 (ko) 2000-11-02 2000-11-02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5015B (zh) * 2019-07-09 2021-05-07 广东轩朗实业有限公司 反射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6874A (ja) * 1986-05-01 1987-11-09 Toshiba Silicone Co Ltd 紫外線硬化型組成物の製造方法
JPH0418423A (ja) * 1990-05-11 1992-01-22 Toyo Ink Mfg Co Ltd 重合性シリカ分散体及びそれを用いた硬化性被覆用組成物
JPH0593170A (ja) * 1991-10-02 1993-04-16 Mitsubishi Rayon Co Ltd 被覆用組成物及び合成樹脂成形品の表面改質方法
JPH05179157A (ja) * 1991-12-02 1993-07-20 Mitsubishi Rayon Co Ltd 活性エネルギ−線硬化性塗料組成物
JPH09183920A (ja) * 1995-12-28 1997-07-15 Puresuteeji:Kk 光反射部形成用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と該組成物の硬化塗膜からなる光反射部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
KR20000075988A (ko) * 1998-01-07 2000-12-26 이시마루 기미오, 다께우찌 마사아끼 무기질 함유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무기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6874A (ja) * 1986-05-01 1987-11-09 Toshiba Silicone Co Ltd 紫外線硬化型組成物の製造方法
JPH0418423A (ja) * 1990-05-11 1992-01-22 Toyo Ink Mfg Co Ltd 重合性シリカ分散体及びそれを用いた硬化性被覆用組成物
JPH0593170A (ja) * 1991-10-02 1993-04-16 Mitsubishi Rayon Co Ltd 被覆用組成物及び合成樹脂成形品の表面改質方法
JPH05179157A (ja) * 1991-12-02 1993-07-20 Mitsubishi Rayon Co Ltd 活性エネルギ−線硬化性塗料組成物
JPH09183920A (ja) * 1995-12-28 1997-07-15 Puresuteeji:Kk 光反射部形成用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と該組成物の硬化塗膜からなる光反射部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
KR20000075988A (ko) * 1998-01-07 2000-12-26 이시마루 기미오, 다께우찌 마사아끼 무기질 함유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무기 패턴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040A (ko)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39730A1 (en) Dispersion and inkjet ink composition, light conversion lay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ing the dispersion
JP6928596B2 (ja) 光変換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光変換積層基材、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20140153280A1 (en) Optical memb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7402416B (zh) 量子扩散膜及其制作方法
JP6732045B2 (ja) 波長変換フィルム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201015119A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TW200925734A (en) Multi-functional optic sheet
JP5625281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20129034A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光変換層及びカラーフィルタ
US20100014314A1 (en) Light diffusion plate, composition liquid for forming a light diffusion layer and process for producing light diffusion plate
KR101347176B1 (ko)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조성물
CN112622377A (zh) 一种基于光固化聚合物分散液晶体系的光学扩散膜的制备方法
WO2018116882A1 (ja) 波長変換フィルムおよび波長変換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400238B1 (ko) 유브이 경화형 백라이트용 잉크 및 그 제조방법
JP4453161B2 (ja) 感光性ペース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
JP6972656B2 (ja) インク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光変換層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
US7309457B2 (en) Chain inorganic oxide fine particle groups
JP4639530B2 (ja) 感光性ペースト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7013705B2 (ja) インク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光変換層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
JP5245190B2 (ja) 液状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膜
JP2006162846A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拡散板
CN111752099B (zh) 感光性树脂组合物及应用、彩色滤光片及图像显示装置
KR102446844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산란층 및 화상표시장치
KR20120012320A (ko) 휘도가 우수한 광확산 도료 조성물
JPH09241339A (ja) アルカリ現像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硬化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