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151B1 -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 Google Patents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151B1
KR100399151B1 KR10-2001-0022010A KR20010022010A KR100399151B1 KR 100399151 B1 KR100399151 B1 KR 100399151B1 KR 20010022010 A KR20010022010 A KR 20010022010A KR 100399151 B1 KR100399151 B1 KR 100399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onwoven fabric
mesh
lac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559A (ko
Inventor
신재균
Original Assignee
(주)텍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텍스테크 filed Critical (주)텍스테크
Priority to KR10-2001-002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151B1/ko
Priority to PCT/KR2002/000757 priority patent/WO2002086227A1/en
Priority to CNA028088107A priority patent/CN1505718A/zh
Publication of KR2002008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09Polyvinyl alcoho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9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o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06Polymers of viny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4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용 직물은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제조된 10∼30 g/㎡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부직포를 10∼50 m/분의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되는 부직포의 하부면에 회전롤에 의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합성섬유로 제조된 30∼100 g/60인치×YD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망사를 망사의 기본모양이 유지되도록 장력을 부가하면서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부직포와 상기 망사를 한 쌍의 압착롤에 의하여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을 복수개의 롤로 이루어진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시키고, 그리고 상기 건조된 직물을 무장력하에서 권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형태성이 양호하고,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시켜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호한 형태성을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모양의 레이스용 직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Combined Fabric of Net Fabric and Non-woven Fabric for Net Lac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망사에 수를 놓기 위한 레이스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망사와 부직포를 서로 접착제로 부착시켜 수를 놓기 위한 레이스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레이스용 직물은 망사와 부직포로 이루어진 직물로서, 그 직물 위에 원하는 모양의 자수를 놓은 다음, 부직포를 고온의 욕에서 용해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레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스용 직물은 란제리를 비롯한 여성용 내의에 다량 사용되고 있다. 즉 레이스용 직물은 망사 자체가 형태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형태성을 갖도록 부직포를 망사와 결합시킨다. 형태성을 가져야 그 위에 자수를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시켜 형태성을 유지시킨 레이스용 직물에 자수를 놓은 후에는 그 직물로부터 부직포를 제거하여야 한다. 부직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부직포가 90 ℃ 이상의 고온의 욕에서 용해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고온의 욕에서 처리하여 부직포를 용해시킨다. 레이스 직물의 부직포를 용해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망사와 부직포의 양측 모서리를 접착테이프로 접착시키고, 그 접착부위를 재봉으로 박아서 직물의 형태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있다.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망사와 부직포와 양쪽 측면을 따라 접착시키기 때문에 망사와 부직포의 안쪽 즉 중앙부분은 접착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균일한 형태성을 유지할 수 없다. 망사는 형태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망사의 기본 모양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균일한 제품을 제조할 수 없고, 나아가 불량률이 높은 결과를 초래한다.
둘째,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망사와 부직포를 양쪽 모서리에서 접착테이프를 부착시키고 그 부위를 다시 재봉으로 박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 결과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
셋째, 망사와 부직포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작업하여야 하기 때문에 강도가 약한 망사가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다. 실제로 작업 중에 파손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망사가 다량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이스용 직물의 결점을 해결하여 망사와 부직포를 완전히 접착시켜 형태성이 양호한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형태성이 양호한 레이스용 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시켜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호한 형태성을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모양의 레이스를 형성할 수 있는 레이스용 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방향(cross direction)과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의 인장강도가 거의 비슷하여 약 7 kgf/㎟ : 5 kgf/㎟ 정도인 레이스용 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이 20 g/㎡ 이하인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두께가 얇고 촉감이 부드러운 특성을 갖는 레이스용 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제2도는 레이스용 직물에 수가 놓여진 직물의 한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부직포 2: 망사
3: 자수 10: 레이스용 직물
21: 망사의 기본모양
발명이 요약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용 직물은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제조된 10∼30 g/㎡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부직포를 10∼50 m/분의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되는 부직포의 하부면에 회전롤에 의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합성섬유로 제조된 30∼100 g/60인치×YD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망사를 망사의 기본모양이 유지되도록 장력을 부가하면서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하고,상기 부직포와 상기 망사를 한 쌍의 압착롤에 의하여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을 복수개의 롤로 이루어진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시키고, 그리고 상기 건조된 직물을 무장력하에서 권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부직포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분말상태의 PVA 80 중량%를 물 20 중량%에 혼합한 접착제가 바람직하며 접착제가 상부면에 스며나오지 않도록 도포되어야 한다. 상기 접착된 직물을 가열시키는 건조장치는 복수개의 롤(roll)로 이루어지는데, 제1롤의 온도를 약 50 ℃로 유지하고 마지막 롤의 온도를 약 90 ℃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롤과 마지막 롤 사이에는 약 3∼5개의 롤이 더 설치되며 온도는 점차 비례하여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롤은 직물과 접촉되어 직물이 건조되기 때문에 직물이 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스팀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망사(2)와 부직포(1)를 접착제로써 결합시킨 레이스용 직물(10)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망사의 부분 확대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롤 형태의 부직포와 망사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한다.
부직포는 폴리비닐알코올로 제조된 것으로 이는 90 ℃ 이상의 물에서 5∼20분 정도 침지시키면 용해되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방법에서 레이스용직물로 사용되는 부직포는 20 g/㎟ 이상의 중량을 갖는다. 즉 종래에는 약 20∼30 g/㎡의 중량을 갖는 부직포를 레이스용 직물에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와 망사가 전체 면적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기 때문에 20 g/㎡ 이하의 중량을 갖는 부직포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직포는 롤 형태로 권취된 것으로, 60∼80 인치의 폭을 갖는다. 물론 부직포의 폭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망사의 폭과 동일해야 한다. 부직포는 10∼50 m/min의 속도로 공급되는데, 이는 망사의 공급속도와 동일해야 한다.
상기 부직포는 공급되는 중에 그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는 회전롤에 의하여 도포된다. 부직포의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회전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분말상태의 PVA 약 80 중량%를 물 약 20 중량%에 혼합한 접착제이다. 접착제는 부직포와 동일한 원료로서 고온의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부직포를 제거할 때 부직포와 함께 용이하게 제거된다. 부직포는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부직포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접착제를 회전롤에 의하여 부직포 하부면에 도포할 때, 부직포 상부면으로 접착제가 스며나오지 않도록 도포해야 한다.
부직포(1)의 하부쪽에서는 망사(2)를 부직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한다. 망사는 합성섬유로 제직되며, 통상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가 바람직하다. 망사는 60∼80 인치의 폭을 갖고 30∼100 g/60인치×YD의 중량을 가지며, 10∼50 m/min의 속도로 공급되는데, 부직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된다. 망사는 통상 그 기본모양(21)이 사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데 그 형상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즉 망사의 기본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직포(1)와 접착되어야 균일한 모양을 갖는 고품질의 레이스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망사의 기본 모양이 유지되도록 장력을 부가하면서 부직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일 장력이 불균일하여 망사의 기본 모양이 일그러지면 고품질의 레이스를 형성할 수 없다.
상기 공급되는 망사는 하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부직포와 함께 결합하여 한 쌍의 압착롤에 의하여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시킨다.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시키는 한 쌍의 압착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 쌍의 압착롤에 의하여 망사와 부직포가 접착된 레이스용 직물은 복수개의 롤로 이루어진 건조 장치에 의하여 건조된다. 건조장치의 제1롤은 약 50 ℃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지막 롤은 약 90 ℃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롤과 마지막 롤 사이에는 약 3∼5개의 롤이 더 설치되며 롤의 온도는 점차 비례하여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롤이 모두 6개인 경우에는 제1롤은 50 ℃, 제2롤은 58 ℃, 제3롤은 66 ℃, 제4롤은 74 ℃, 제5롤은 82 ℃, 그리고 제6롤은 90 ℃로 세팅한다. 상기 건조장치의 롤들은 회전하면서 그 표면의 열에 의하여 레이스용 직물을 건조시킨다. 롤은 직물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직물이 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스팀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된 레이스용 직물은 무장력하에서 권취된다. 여기서 무장력하에서 권취된다는 의미는 레이스용 직물에 거의 장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이스용 직물을 권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권취방법은 센서를 이용한 자동권취장치에 의하여 가능하며,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무장력하에서 레이스용 직물을 권취하는 이유는 권취 도중에 망사의 기본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레이스용 직물은 망사가 그 기본모양을 유지하기 때문에 가로방향(cross direction)과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의 인장강도가 거의 비슷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레이스용 직물은 가로방향의 인장강도가 약 7 kgf/㎟이고 세로방향의 인장강도가 약 5 kgf/㎟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레이스용 직물은 부직포에 망사가 완전히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기 때문에 양호한 형태성을 유지하고, 또한 망사의 기본모양을 그대로 균일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양호한 품질의 레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레이스용 직물에 자수(3)를 놓는다. 자수를 놓은 직물은 다시 자수 모양만을 남겨놓고 부직포를 제거하여야 한다. 부직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자수를 놓은 직물을 90 ℃ 이상의 고온욕에서 5∼20 분간 침지시킨다. 이 방법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제2도는 레이스용 직물에 수가 놓여진 직물의 한 구체예로서, 부직포 부분을 용해시키고, 그 결과 망사(2) 위에 자수(3)가 형성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은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형태성이 양호하고, 망사와 부직포를 접착시켜 레이스용 직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호한 형태성을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모양의 레이스를 형성할 수 있고, 가로방향(cross direction)과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의 인장강도가 거의 비슷하여 약 7 kgf/㎟ : 5 kgf/㎟ 정도인 레이스용 직물을 제공하고, 중량이 20 g/㎡ 이하인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두께가 얇고 촉감이 부드러운 특성을 갖는 레이스용 직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제조된 10∼30 g/㎡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부직포를 10∼50 m/분의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되는 부직포의 하부면에 회전롤에 의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합성섬유로 제조된 30∼100 g/60인치×YD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망사를 망사의 기본모양이 유지되도록 장력을 부가하면서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부직포와 상기 망사를 한 쌍의 압착롤에 의하여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을 복수개의 롤로 이루어진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시키고; 그리고
    상기 건조된 직물을 무장력하에서 권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분말상태의 PVA 약 80 중량을 물 약 20 중량%에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부직포 하부면에 도포될 때, 부직포 상부면으로 접착제가 스며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20 g/㎟ 이하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의 제1롤은 약 50 ℃로 유지되고 마지막 롤은 약 90 ℃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의 제1롤과 마지막 롤 사이에는 3∼5개의 롤이 형성되며, 그들의 온도는 50 ℃와 90 ℃의 사이에서 비례하여 점차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의 롤은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는 스팀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
  8.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제조된 10∼30 g/㎡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부직포를 10∼50 m/분의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되는 부직포의 하부면에 회전롤에 의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합성섬유로 제조된 30∼100 g/60인치×YD의 중량과 60∼80 인치의 폭을 갖는 망사를 망사의 기본모양이 유지되도록 장력을 부가하면서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부직포와 상기 망사를 한 쌍의 압착롤에 의하여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직물을 복수개의 롤로 이루어진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시키고, 그리고 상기 건조된 직물을 무장력하에서 권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레이스용 직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가로방향(cross direction)의 인장강도가 약 7 kgf/㎟ 이고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의 인장강도가 약 5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용 직물.
KR10-2001-0022010A 2001-04-24 2001-04-24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KR10039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010A KR100399151B1 (ko) 2001-04-24 2001-04-24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PCT/KR2002/000757 WO2002086227A1 (en) 2001-04-24 2002-04-24 Combined fabric of net fabric and non-woven fabric for net lace
CNA028088107A CN1505718A (zh) 2001-04-24 2002-04-24 丝网花边用的网眼织物与无纺织物的复合织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010A KR100399151B1 (ko) 2001-04-24 2001-04-24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559A KR20020082559A (ko) 2002-10-31
KR100399151B1 true KR100399151B1 (ko) 2003-09-26

Family

ID=1970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010A KR100399151B1 (ko) 2001-04-24 2001-04-24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99151B1 (ko)
CN (1) CN1505718A (ko)
WO (1) WO200208622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45B1 (ko) 2007-07-26 2009-05-07 유지현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89671B1 (ko) 2014-02-11 2015-02-04 조경혜 핫멜트 코팅층을 갖는 레이스 원단
WO2015122648A1 (ko) * 2014-02-11 2015-08-20 조경혜 핫멜트 기능을 갖는 레이스 원단
KR101610546B1 (ko) 2014-11-28 2016-04-07 조경혜 핫멜트 코팅층을 갖는 레이스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95241A1 (en) * 2012-12-13 2014-06-19 Jonathon ZORNOW Facilitating the assembly of goods by temporarily altering attributes of flexible component materials
JP5859699B1 (ja) * 2015-05-28 2016-02-10 栗田煙草苗育布製造株式会社 織物とシート状構造物を複合一体化した複合シート及び複合化処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113A (ja) * 1981-12-21 1983-06-29 Japan Vilene Co Ltd 「あ」材の製造方法
KR840001664Y1 (ko) * 1983-10-04 1984-09-13 송창기 복합 망사
JPH02190327A (ja) * 1989-01-20 1990-07-26 Chisso Corp 結露防止材
JPH07265194A (ja) * 1994-03-31 1995-10-17 Toso Co Ltd プリーツスクリーン生地
JPH08246363A (ja) * 1995-03-10 1996-09-24 Watanabe Kasei:Kk レース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38431U (ko) * 1998-03-25 1999-10-25 신재균 레이스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558B2 (ja) * 1992-03-25 2000-09-11 株式会社クラレ 経糸糊剤
JP4094169B2 (ja) * 1999-02-24 2008-06-04 株式会社クラレ 熱可塑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113A (ja) * 1981-12-21 1983-06-29 Japan Vilene Co Ltd 「あ」材の製造方法
KR840001664Y1 (ko) * 1983-10-04 1984-09-13 송창기 복합 망사
JPH02190327A (ja) * 1989-01-20 1990-07-26 Chisso Corp 結露防止材
JPH07265194A (ja) * 1994-03-31 1995-10-17 Toso Co Ltd プリーツスクリーン生地
JPH08246363A (ja) * 1995-03-10 1996-09-24 Watanabe Kasei:Kk レース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38431U (ko) * 1998-03-25 1999-10-25 신재균 레이스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45B1 (ko) 2007-07-26 2009-05-07 유지현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89671B1 (ko) 2014-02-11 2015-02-04 조경혜 핫멜트 코팅층을 갖는 레이스 원단
WO2015122648A1 (ko) * 2014-02-11 2015-08-20 조경혜 핫멜트 기능을 갖는 레이스 원단
KR101610546B1 (ko) 2014-11-28 2016-04-07 조경혜 핫멜트 코팅층을 갖는 레이스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5718A (zh) 2004-06-16
WO2002086227A1 (en) 2002-10-31
KR20020082559A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9360A (en) Stabilized fabrics
CN110461587A (zh) 利用载体网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US4477938A (en) Material which has abrasive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0431000A (zh) 使用区域性垫料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US4148322A (en) Laminate products suitable for making molded bra cups
TWI668341B (zh) Adhesive wire drawing process
US364940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with pattern formed thereon
US2116008A (en) Patching material
KR100399151B1 (ko)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CN103382759A (zh) 无缝刺绣墙布及其制作方法
TW202236991A (zh) 具有不同旦數的可回收的非對稱飾面的複合非織造織物
JPH0121258B2 (ko)
JP3823071B2 (ja) スエード調の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012608B1 (en) A method for joining two or more pieces of fabric and related items
KR100769500B1 (ko) 입체자수 무늬장식 직물 제조방법 및 장치와, 그 입체자수무늬장식 직물
TW200813277A (en) Process of preparing carpet backing using nonwoven material
EP2127548A1 (en) Threadless quilt
CN109910382B (zh) 一种蕾丝针刺复合面料生产工艺
US880717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eaving material from nonwoven
EP1585852B1 (en) Fabric with a base of non-woven fabric strips
EA035297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борн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изделия
JPH05272048A (ja) 刺しゅうレース用基布および刺しゅうレースの製造方法
JP2003041477A (ja) レース状布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016153C1 (ru) Нетканый термоклеевой материал
JP3816853B2 (ja) 刺しゅう用ラミネート基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