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45B1 -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645B1
KR100895645B1 KR1020070075190A KR20070075190A KR100895645B1 KR 100895645 B1 KR100895645 B1 KR 100895645B1 KR 1020070075190 A KR1020070075190 A KR 1020070075190A KR 20070075190 A KR20070075190 A KR 20070075190A KR 100895645 B1 KR100895645 B1 KR 100895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sheet
embroidery
wat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529A (ko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현 filed Critical 유지현
Priority to KR102007007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6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06Polymers of viny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시트로된 바탕지(8)상에 보습제 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망사원단(4)을 부착시켜서 자수용 망사시트(2)를 제조함으로써, 망사 밀림없이 정교하게 자수를 망사상에 형성시킬 수 있고 망사로부터 바탕지를 손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망사, 망사시트, 바탕지, 고형점착제

Description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GAUSE SHEET FOR EMBROODERY AN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자수무늬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사에 자수를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한 느낌을 주는 망사에 자수 장식을 하게되면 다양하고 멋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요즈음 여러가지 디자인과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망사에 자수장식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가 않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망사상에 직접 박음질 자수를 형성하게 되면 망사원단이 터지거나 찢어지는 경우가 잦게 되므로 망사상에 자수장식을 직접하는 경우의 별로 없다. 망사에 자수장식을 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망사밑에 바탕지를 깔고 외곽을 박음질하여 망사를 바탕지에 고정한 후에 망사상에 자수를 형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망사 자수를 형성할 경우에는 망사가 바탕지위에서 밀리면서 자수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러므로 망사가 밀리지 않게 자수장식을 하는데에 어려움이 있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또 망사의 외곽을 박음질 고정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시간소요가 있다. 또한 망사에 자수를 형성한 후에는 바탕지를 망사로부터 제거해야 하는데, 바탕지 제거가 거추장스럽고 바탕지 제거과정에서 자수형성된 장식이 일부 훼손될 염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망사 밀림없이 정교하게 자수장식을 망사상에 형성할 수 있으며, 망사로부터 바탕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성 시트로된 바탕지(8)상에 보습제 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망사원단(4)을 부착시켜서 된 자수용 망사시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시트로된 바탕지(8)상에 보습제 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망사원단(4)을 적층시킨후 열압착으로 부착시켜 자수용 망사시트(2)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망사시트 제조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망사 밀림없이 정교하게 자수장식을 망사상에 수놓을 수 있으며, 또 자수장식 형성후 망사로부터 바탕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수용 망사시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수용 망사시트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수용 망사시트(2)는 수용성 부직포로된 바탕지(8)상에 글리세린(glycerin)과 같은 보습제 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망사원단(4)을 부착시켜줌으로써 제조 완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수용 망사시트(2)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용성 부직포로된 바탕지(8)상에 글리세린(glycerin)과 같은 보습제 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여 고형점착층(6)을 형성하며, 고형점착층(6)상에는 망사원단(4)을 부착시킴으로써 자수용 망사시트(2)가 제조완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망사원단(4) 밑에 대는 바탕지(8)는 물에 용해가능한 수용성 시트를 사용한다. 수용성 시트중에서도 일정온도 범위 예컨대, 80∼120℃의 물에서 용해 가능한 수용성 부직포를 일예로 사용한다. 이러한 수용성 부직포의 일 예로는 '솔시트(solsheet)'라는 브랜드명으로 업계에 알려진 부직포가 있다.
수용성시트로 된 바탕지(8)상에 도포되는 고형점착제는 반고체형태의 점착제로서 접착제성분뿐만 아니라 보습제 성분과 고형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상기 고형점착제는 그 성분이 접착제성분인 초산비누수지 3∼10중량%와 폴리비닐알콜수지 10∼20중량%를 포함하고, 보습제 3∼6중량%, 고형제 3∼8중량%, 물 56∼70중량%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형제성분은 점착제가 고형화될 수 있도록 첨가되는 것이고, 보습제 성분은 미리 정해놓은 지연시간(수시간부터 수일까지 가능)내에는 점착제가 완전경화가 되지 않도록 해주는 성분으로서, 보습제 3∼6중량%의 범위내에서 그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고형제는 보습제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용성 시트의 바탕지(8)상에 보습제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여 고형점착층(6)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망사원단(4)을 부착하되 바람직하게는 열압착을 통해서 부착을 하게되면 자수용 망사시트(2)가 완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자수용 망사시트(2)는 가접착된 망사원단(4)과 바탕지(8)가 고형점착제에 의해 가접착됨으로써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미리 정해놓은 지속시간(수시간부터 수일까지 가능)이 경과되지 전까지는 완전 경화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미리 정해놓은 지연시간내에 자수용 망사시트(2)상에 도 4에서와 같이 자수장식(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자수용 망사시트(2)상에 자수장식(40)을 형성할 시 망사원단(4)이 바탕지(8)로부터 미끌어지지 않게 된다.
자수용 망사시트(2)에 자수장식(40)을 형성한 후 작업자는 80∼120℃의 물에 자수장식(40)된 자수용 망사시트(2)를 침지시키게 되면 수용성시트의 바탕지(8)와 고형점착층(6)이 용해되어지며, 도 5에서와 같이 망사원단(4)에 자수장식(40) 형성된 망사직물(50)을 얻을 수 있게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원 발명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제 제작한 자수용 망사시트(2)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도로서, 도 6에서는 망사원단(4)을 보여주고 있고 도 7에서는 바탕지(8)로 사용된 수용성 시트인 솔시트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8에서는 바탕지(8)인 수용성시트와 망사원단(4)를 고형점착제로 부착한 자수용 망사시트(2)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수용 망사시트(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장치를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용성 부직포로 된 바탕지롤(20)로부터 권출되는 바탕지(8)는 점착고형제스틱(22)에 마찰접촉되면서 그 일면에 점착고형제가 도포되며, 그후 압착롤러부(24)로 인입된다. 또 망사원단롤(26)로부터 권출되는 망사원단(4)도 안내롤러(28)를 거쳐서 압착롤러부(24)로 인입된다.
압착롤러부(24)는 점착고형층(6)이 형성된 바탕지(8)와 망사원단(4)을 적층상태에서 압착롤링하여서 합지되게 하고, 압착롤러부(24)를 통과한 망사시트지(2)를 가접착부(30)에서는 히터(34)가 구비된 상하의 이송안내롤러(32)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열압착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수용 망사시트지(2)가 제조완성되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망사 장식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수용 망사시트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수용 망사시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자수용 망사시트 제조장치 개략 구성도,
도 4는 자수장식 형성된 자수용 망사시트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자수장식 형성된 망사직물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자수용 망사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자수용 망사시트 (4)-- 망사원단
(6)-- 고형점착층 (8)-- 바탕지
(20)-- 바탕지롤 (22)-- 접착고형제스틱
(24)-- 압착롤러부 (26)-- 망사원단롤
(30)-- 가접착부 (32)-- 이송안내롤러
(34)-- 히터

Claims (3)

  1. 수용성 시트로된 바탕지(8)상에 보습제 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망사원단(4)을 부착시켜서 된 자수용 망사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점착제는 그 성분으로 초산비누수지 3∼10중량%, 폴리비닐알콜수지 10∼20중량%, 보습제 3∼6중량%, 고형제 3∼8중량%, 물 56∼70중량%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망사시트.
  3. 수용성 시트로된 바탕지(8)상에 보습제 성분이 포함된 고형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망사원단(4)을 적층시킨후 열압착으로 부착시켜 자수용 망사시트(2)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망사시트 제조방법.
KR1020070075190A 2007-07-26 2007-07-26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95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190A KR100895645B1 (ko) 2007-07-26 2007-07-26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190A KR100895645B1 (ko) 2007-07-26 2007-07-26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29A KR20090011529A (ko) 2009-02-02
KR100895645B1 true KR100895645B1 (ko) 2009-05-07

Family

ID=4068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190A KR100895645B1 (ko) 2007-07-26 2007-07-26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6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151B1 (ko) 2001-04-24 2003-09-26 (주)텍스테크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151B1 (ko) 2001-04-24 2003-09-26 (주)텍스테크 망사와 부직포를 결합한 레이스용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29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5623A (en) Decoration of sheet material
DE60013698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lagigen Papiermachergewebes
TW20120004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textile product
KR100895645B1 (ko) 자수용 망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74401B1 (ko)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EP0900148B1 (en) Transfer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JP5237321B2 (ja) 装飾用具及び装飾用具の取り付け方法
US20060108060A1 (en) Fusible web appliqu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392434B1 (ko) 주름원단 제조방법
JPWO2006087807A1 (ja) 刺繍アップリケ並びに刺繍アップリケ製造方法並びに刺繍製品製造方法
KR101378651B1 (ko) 의류 부착 상표, 그 방법 및 장치
CN102458326A (zh) 卷状医用胶带及其制造方法
US5626702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flexible laminate
JP2006152453A (ja) 不織布、タフタ、ポンジ、等を基布とした熱圧着型マーク
KR20070041809A (ko) 체크무늬를 갖는 내장지 제조방법
KR20120120298A (ko) 종이 마무리 공정
JPH02281901A (ja) 裏打化粧単板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910246B1 (ko) 부직포 조각 벽지 제조방법
WO2005091707A3 (en) Repositionable adhesive mounted fabric assembly and decoration process
TWM305752U (en) Pile sticker
US20090277572A1 (en) Fabrication and attachment of multi-part appliques
KR100948484B1 (ko) 옷에 대한 무늬가 장식된 천의 접착방법
JP4159710B2 (ja) 植毛転写シート
JP4479936B2 (ja) 植毛転写シート
KR101488137B1 (ko)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