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981B1 - 짧은언로킹시간을갖는가동성부여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짧은언로킹시간을갖는가동성부여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981B1
KR100398981B1 KR1019960702727A KR19960702727A KR100398981B1 KR 100398981 B1 KR100398981 B1 KR 100398981B1 KR 1019960702727 A KR1019960702727 A KR 1019960702727A KR 19960702727 A KR19960702727 A KR 19960702727A KR 100398981 B1 KR100398981 B1 KR 10039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liminary operation
time
tvor
operation permis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706A (ko
Inventor
로허 요하네스
피서 베너
라이힝거 마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70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격부여 테스트를 실시한 후에만 동작 허가되고, 차량에서 중요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0, 12, 15), 및 시동 시에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 동안 조건없이 상기 제어 장치(10, 12, 15)를 동작 허가하는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를 가지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는 상기 제어 장치(12, 15)의 조건없는 동작 허가와 더불어 가능한 연속적인 시동 동작들의 수를 각각의 미리 정해진 값으로 제한하고, 상기 값은 선행하는 시동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 마지막으로 조정된 값에 비해 감소된다.

Description

짧은 언로킹 시간을 갖는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서두에 기재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늘어나는 차량 도난에 대항하기 위해, 점차 차량에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발진될 수 없게 하는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는, 자격부여 테스트 장치(이모빌라이저, immobilizer), 및 이에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분사 과정의 제어 또는 디젤 공급의 허가와 같은 차량에서의 중요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근래의 모든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의 작동 원리는 코드 비교이다. 차량측에서 중요한 기능의 실현은, 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가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에 미리 저장된 코드와 일치할 때만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코드 비교에 근거하고 있는, 다음에 행해지는, 자격부여 테스트 장치와 이와 접속된 제어 장치 사이의 언로킹(차단 해제) 교신을 통해, 시스템 구성 요소의 관련성이 테스트된다. 이용자에 의한 이 코드 제공은, 예를 들어 자기 카드를 통해, 송신기에 의해 접촉없이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종류의 가동성 부여 차단에 의해, 극히 만족스런 도난 방지가 보장된다. 그러나 최초로 이루어지는 자격부여 테스트에 의해서, 도난 방지 개선과 결부되어 , 차량의 스타트 시에 작은 지연 시간이 생긴다. 대개의 시동 동안에, 이 지연 시간은 상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장애로 작용하는 작동 상황들이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를 들면, 교통의 흐름에 있어서 "숨이 막힌" 차량 또는 동력 공급선에서의 장애로 인한 짧은 시간의 전압 중단 등이다. 안전성을 이유로, 차량은 가능한 한 빨리 다시 스타트되어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스타트를 위해, 예컨대 키보드를 통해서, 송신 버튼을 조작하여, 또한 접촉없이 입력되는 코드의 초기화, 전송 및 평가를 통해, 수동의 코드 제공을 필요로 할 경우, 그와 같은 상황은 위험해질 수도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미, 이용자가 키의 입력 또는 코드의 공급에 의해 상기 언로킹을 확인 응답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차량을 먼저 발진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미국 특허 제4107962호 명세서), 그러나 이런 종류의 안전 시스템을 갖고 있는 차량은, 차량 도둑이 이런 시스템의 종류를 알고 있으면, 도난에 대해 보호되지 않는다. 반복되는 짧은 시간의 전압 중단 및 적시의 재 스타트에 의해 도둑은 차량을 비교적 어려움 없이 훔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가 신속한 차량 시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도난 방지 작용의 소실로 관련되어 지지 않도록 개량한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 부분에 기재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본 원리는, 먼저 차량의 시동 동작을, 일정한 수의 시도에 대하여 , 조건없이 예비 동작 허가 시간 동안 작동을 허가하지만, 정상적이지 않은 시동 시도 후에는 상기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이 예비 동작 허가 시간은 성공적이지 않은 스타트 시도때마다 단축됨으로써 , 이것이 제공된 수의 시도 후에 값 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예비동작 허가 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그로 인해 정당한 이용자를 위해 언제라도 이 차량의 실제로 지연 없는 새로운 스타트가 가능하다. 그에 반해 차량 도둑이 이 차단 장치의 작동법을 알지라도, 이 도둑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을 가진 차량을 이 차량의 새로운 반복된 스타트를 통해 훔칠 수가 없다. 이 예비 동작 허가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달리, 정상적이지 않은 시동 시도 때마다 단축되는 인덱스를 통해 조건없는 일시적인 동작 허가 동작을 가지는 가능한 시동의 수를 정하는 것이 제공되었다.
매 스타트 때마다 예비 동작 허가 시간을 최대값에서 출발하여 먼저 단축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언로킹이 유효하게 이루어지면, 이 예비 동작 허가 시간은 그 다음 새로운 스타트를 위해 최대값에 리세팅된다. 실제적인 예비 동작 허가 시간은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 내에서 유효한 언로킹이 달성되지 않으면, 차량이 언로킹 될 수 없는 강제 대기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격부여 테스트 시에 상기 자격부여 테스트 장치 및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내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예비 동작 허가 시간을 상기 최대값에 세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용자는 예비 동작 허가 시간 내에 유효한 코드를 제공하는 복수회의 가능성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의 블록 회로도.
제 2 도는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의 동작을 흐름도형으로 도시한 도면.
양호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제 1 도에는 차량을 위한 차단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은 작동에 중요한 제어 장치, 예를 들어 상기 디젤 차단 밸브의 제어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이것은 자격부여 테스트 장치(18),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 및 비휘발성 메모리(20)로 내부에 구성된다. 이 제어 장치(10)의 핵심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상기 장치(18, 19)의 실현에 이용되는 유사한, 디지털 논리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가 된다. 제어 장치(10)에 신호선(1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는, 하기에서 이모빌라이저라 칭하여지는 도난 방지 제어 장치(22), 및 차량측에서 중요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또다른 제어 장치(12, 15)가 있다. 이것은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디젤 분사 펌프를 가진 디젤 차량에서, 예를 들어 상기 펌프 제어 장치(EDC 제어 장치)가 그에 해당하며, 벤진 차량에서는 분사 제어 장치가 그에 해당한다. 도시되지 않은 이런 종류의 제어 장치는 기어 제어 장치, 앤티로킹 시스템 또는 앤티스키드 제어 장치가 된다. 상기 제어 장치(10, 12, 15)를 가진 이모빌라이저(22)는 상기 라인에 의해 데이터 교환을 실행한다. 주행을 위해 이 제어 장치(10, 12, 15)의 계속적인 동작 허가는 유효한 코드의 수신 후에만 이루어진다. 입력 측에서 입력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점화 로크(ignition lock)에 배열된 코일에서 유도적으로 작용하는 키(14), 적외선 수신기(17) 또는 키보드(16), 잠금 코드가 상기 이모빌라이저에 제공된다. 이 잠금 코드는 이모빌라이저(22)에서 처리되어 해제된다. 이것은 신호 라인(11)에 의해 하나 또는 다수의 작동에 중요한 제어 장치(10, 12, 15)에 전송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하기에서 제 1 도에 도시된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의 동작이 설명된다. 차량의 시동은 아는 바대로 스타트 위치로 점화 키를 회전시켜 개시된다(단계 200). 이것에 의해 차량의 전기 시스템이 차량 전압을 공급받자마자(단계 202), 이모빌라이저(10) 및 제어 장치(12, 15)의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모든 제어 장치(10, 12, 15)는 제공된 스타트 형태로 이행된다. 일반적으로 단계 204로 도시된 것처럼, 제어 장치(10, 12, 15)의 자체 테스트가 상기 초기화에 뒤이어진다.
단계(202 및 204)에서 상기 잠금 장치의 동작 준비 상태를 형성한 후 단계(206)에서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줄어든다. 이 값을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가 제어 장치(10)에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20), 예를 들어 차량 전압의 중단시에 내용물을 잃지 않는 EEPROM으로부터 취출한다.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은, 차량 동작이 조건 없이 동작 허가되는 시간을 제한한다. 이 최대 값은 1 내지 10초의 범위에서 합당하다. 감소 단계(206)는 예를 들어, 최대값(Tmax)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최대값의 1/4정도만큼 감소되도록 행하여진다.
다음 단계(208)에서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는 단계(206)에서 감소 후에 얻어지는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값 0을 갖는지를 점검한다. 이 테스트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즉, 예비 동작 허가 장치(Tvor)가 0과 다른 값을 가지면, 차단을해제하는 제어 장치(12, 15)가 단계(210)에서 일시적으로 동작 허가된다.
단계(208)에서의 테스트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즉, 상기 유효한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값 0을 가지면, 제공된 시간 동안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가 로킹된다. 이 값은 20초 내지 5분의 범위에서 타당하다. 선행하는 시동이 강제 대기 시간(Tver)의 경과 후에 비로소 이루어지면, 이것은 동작 초기 때마다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대해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는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간단하게는 메모리(20)에 저장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음의 단계(209)에서, 이 강제 대기 시간(Tver)이 경과하였는지 테스트된다. 이것이 그 경우가 아니라면, 이 언로킹 과정은 중단된다. 단계(209)에서의 이 테스트를 통해 강제 대기 시간(Tver)이 경과했다고 결과가 나오면, 단계(208) 이후처럼 단계(210)가 이어진다.
일시적인 잠금 해제 후에, 단계(212)에서, 상기 예비 잠금 해제 시간(Tvor)이 경과하였는지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이것이 그 경우라면, 차단 장치는 단계(213)에서 로킹된다. 상기 스타트 시도가 이 경우 유효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예를 들어 요구되는 코드가 예비 동작 허가 시간 내에서 읽혀질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20)에서 상기 로킹의 시점에 유효한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 즉 축소 후에 단계(206)에 존재하는 예비 동작 허가 시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새로운 스타트는 단축된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이 예를 들어 최대값(Tmax)의 3/4에 달했다면, 그 다음 스타트 시도에 대해, 단계(206)에서 1/4만큼 단축시에, 절반의 최대값(Tmax)을 가지는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이용된다. 단계(213) 후에 로킹된 차단 장치는 언로킹을 위한 코드의 제공을 기다린다.
단계(213)에서의 이 테스트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즉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모빌라이저(22)와의 언로킹 통신이 도입된다. 이 경우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는 상기 이모빌라이저(22)로부터 코드를 기다리거나 또는 그와 같은 것을 능동적으로 요구한다. 이 언로킹 통신의 구성이 순서대로 구성되지 않으면, 단계(212)가 반복된다. 상기 언로킹 통신의 성공적인 구성 시에 단계(214)에서 자격부여 테스트가 이어지고, 이모빌라이저에 의해 제공된 코드가 자격부여 테스트 장치(18)에 존재하는 기준 코드와 비교된다. 상기 이모빌라이저(22)에 의해 상기 코드를 중지하기 위한 조건은, 미리 정해진 잠금 코드가 차량 이용자에 의해 상기 이모빌라이저에 제공된다는 것이다. 상기 이모빌라이저(22)에 의해 제공된 코드가 저장된 기준 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이모빌라이저(22)가 이미 여러번 반복되는, 예를 들어 3번 잘못된 코드를 입력하였는지 테스트가 단계(215)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이 그 경우라면, 상기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는 다시 단계(213)에 따라 로킹된다. 단계(215)에서 테스트 결과가 정해진 수의 시도보다 적게 틀린 코드가 입력되었다면, 단계(212)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단계(214)에서 상기 테스트가 이모빌라이저(22)에 의해 제공된 코드와 미리 저장된 코드 사이의 일치를 제공하면, 단계(218)에서 제어 장치(10, 12, 15)의 최종적인 동작 허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단계(206)에서 먼저 단축된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단계(220)에서 다시 최대값(Tmax)에 리세팅된다. 언로킹된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10, 12, 15)는 단계(222)에 도시된 것처럼, 계속해서 제어 장치 기능들과 고장 진단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20)의 유리한 구성에 의해, 에러 발생의 경우 상기 메모리 수단(20) 내에서 어떠한 에러도 발생하지 않는 바로 그 다음 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조정된다. 단계(206)에 따른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의 단축 및 단계(220)에 따른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의 리세팅을 위한 기능의 완전한 고장 발생시에는 이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은 상기 최대값(Tmax)에 세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시적인, 조건없는 동작 허가를 가지는 가능한 연속되는 시동 동작의 수에 따른 제한은 다음으로 가능한 다른 시동 동작의 수를 나타내는 인덱스(N)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예비 동작 허가 시간(T)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아직 존재하는 예비 동작 허가 시간(T)을 단축하는 대신에, 이 실시예에서는, 단계(206)에서, 상기 인덱스(N)의, 유리하게는 1만큼의 감소가 행해진다. 그에 상응하게, 단계(208)에서, 상기 인덱스(N)가 값 0을 가지는지 테스트가 이어진다. YES인 경우, 단계(207)로 이어지고, N이 0과 다른 값을 가지면, 단계(210)로 이어진다. 단계(218)에서의 유효한 언로킹 후에, 단계(220)에서 상기 인덱스(N)는 예비 동작 허가 시간(T) 대신에 리세팅된다. 이 단계들(212 또는 216)에 이어서, 로킹이 이루어지면, 실제적인 예비 동작 허가 시간(T) 대신에, 각각의 실제적인 시점, 즉 단계(206) 다음에 존재하는 인덱스(N)의값이 메모리(20)에 존재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흐름도의 나머지 단계들은 변함없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상 하에서, 앞서 제시한 장치의 다수의 실시 형태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모빌라이저(22)의 기능을 상기 제어 장치(10, 12, 15)에 직접 집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드 제공을 위한 다른 입력 수단 또는 시동 개시의 다른 실현을 설정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제시된 장치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또는 불가피한 단계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의 구체적인 실현에 따라 특히 다수의 중간 단계들이 있을 수 있다. 단계(204)에 따른 자동 테스트 또는 단계(215)에 따른 틀린 코드의 3번의 입력에 대한 문의와 같은 몇 개의 단계들이 생략될 수 있고 및/또는 다른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6)

  1. 자격부여 테스트를 실시한 후에만 동작 허가되고, 차량에서 중요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0, 12, 15), 및 시동 시에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 동안 조건없이 상기 제어 장치(10, 12, 15)를 동작 허가하는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를 갖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는 상기 제어 장치(12, 15)의 조건없는 동작 허가와 더불어 가능한 연속적인 시동 동작들의 수를 각각의 미리 정해진 값으로 제한하고, 상기 값은 선행하는 시동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 마지막으로 조정된 값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장치(19)는 선행하는 시동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의 길이를 마지막으로 조정된 시간에 비해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은 유효한 시동 시에 최대값(Tmax)에 리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는 상기 예비 동작 허가 시간(Tvor)이 시동 시에 값 0을 갖는 경우 강제 대시 시간(Tver) 동안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12, 15)의 조건없는 동작 허가로 또다른 시동 시도들의 각각의 여전히 가능한 수에 관한 정보(Tvor)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20)내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상기 수 정보(Tvor)는 최대값(Tmax)에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성 부여 차단 장치.
KR1019960702727A 1994-09-27 1995-09-02 짧은언로킹시간을갖는가동성부여차단장치 KR100398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34450.3 1994-09-27
DE4434450A DE4434450A1 (de) 1994-09-27 1994-09-27 Wegfahrsperre mit kurzer Entriegelungsz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706A KR960705706A (ko) 1996-11-08
KR100398981B1 true KR100398981B1 (ko) 2004-04-13

Family

ID=652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727A KR100398981B1 (ko) 1994-09-27 1995-09-02 짧은언로킹시간을갖는가동성부여차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34333B1 (ko)
JP (1) JP3630433B2 (ko)
KR (1) KR100398981B1 (ko)
DE (2) DE4434450A1 (ko)
ES (1) ES2170159T3 (ko)
PL (1) PL176866B1 (ko)
WO (1) WO19960099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810B2 (ja) * 1995-12-01 2001-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その盗難判定装置
DE19637657A1 (de) * 1996-09-16 1998-03-19 Bosch Gmbh Robert Fahrzeugsicherungsanordnung
US5783994A (en) * 1997-04-07 1998-07-2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combined key fob and keypad anti-driveaway protection
JPH11351109A (ja) * 1998-06-04 1999-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盗難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7962A (en) * 1977-04-28 1978-08-22 Mackinnon Richard B Auto anti-theft device
US4327353A (en) * 1978-03-06 1982-04-27 George W. Beard Security system
US4838377A (en) * 1987-03-02 1989-06-13 Clarion, Co., Ltd. Car electronic device having antitheft mechanism
GB2264536A (en) * 1992-02-28 1993-09-01 Adrian John Hunter Preventing unauthorised vehicle use.
DE4242492A1 (de) * 1992-12-16 1994-06-23 Telefunken Microelectron Diebstahlsicherungssystem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mit Verbrennungsmotor
DE4308912A1 (de) * 1993-01-20 1994-09-29 Siemens Ag Fahrzeug-Schließsystem
DE4315290C2 (de) * 1993-05-07 1997-09-25 Michael Kohne Verfahren zum Schutz gegen das unbefugte Benutzen eines Kraftfahrzeuges
DE9311610U1 (de) * 1993-08-04 1993-10-21 Herzog Brumbauer Ralph Elektronische Kfz-Diebstahlsicherung mit zeitlicher Verzögerung
IT1260963B (it) * 1993-08-06 1996-04-29 Weber Srl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 sistema antifurto per mezzi di locomozione
JP2697606B2 (ja) * 1994-05-10 1998-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防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509969D1 (de) 2002-01-31
PL314581A1 (en) 1996-09-16
JP3630433B2 (ja) 2005-03-16
DE4434450A1 (de) 1996-03-28
EP0734333B1 (de) 2001-12-19
JPH09506061A (ja) 1997-06-17
WO1996009943A1 (de) 1996-04-04
KR960705706A (ko) 1996-11-08
PL176866B1 (pl) 1999-08-31
ES2170159T3 (es) 2002-08-01
EP0734333A1 (de) 199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1607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US5606306A (en) Vehicle anti-theft engine control device
US5869908A (en) Key/vehicle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activation of an immobilizer and of a remotely controllable function
US7222006B2 (e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re-authorization engine operation time for a vehicle theft deterrent system
JP3073904B2 (ja) 車両用データ処理装置
US7272469B2 (en) Immobilizer system for vehicles
US5637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vehicle protection
KR20050073405A (ko) 차량 부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차량 부품 관리 데이터갱신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차량 부품 관리 센터
JPH09240429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DE69735803T2 (de) Steuervorrichtung zum anlassen eines kraftfahrzeuges
CN106444696B (zh) 一种用于车辆的车身控制器的诊断端口保护的系统
US7462953B2 (en) Control system for engine starting
JPH08244558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KR100398981B1 (ko) 짧은언로킹시간을갖는가동성부여차단장치
US20160059825A1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KR0162932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US5757085A (en) Maintenance-friendly immobilization system
JP3885022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56592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US200201305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security system
US6107695A (en) Drive-away blocking device
JPH08133018A (ja) 車両盗難防止機能無効化防止装置付きエンジン制御手段
JPH10194087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6205936A (ja) 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KR100274569B1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