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439B1 -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439B1
KR100398439B1 KR10-2000-0082686A KR20000082686A KR100398439B1 KR 100398439 B1 KR100398439 B1 KR 100398439B1 KR 20000082686 A KR20000082686 A KR 20000082686A KR 100398439 B1 KR100398439 B1 KR 10039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frame
wiper frame
blade assembl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063A (ko
Inventor
전현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4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3Snap-fit, e.g. elastic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선회가능하도록 차체에 장착되는 와이퍼 아암(3)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퍼 아암(3)에 결합되는 다단 와이퍼 프레임을 가지며, 이러한 다단 와이퍼 프레임중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에 의해 블레이드(5)를 지지하도록 된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은 윈드실드 하단쪽에 위치하는 단부에 큰 하중이 걸리도록 그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퍼 프레임에 판스프링(11)을 매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와이퍼아암에 연결하는 와이퍼 프레임중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최하단 프레임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단측 블레이드가 윈드실드에 밀착될 수 있게 하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Blade assembly of wiper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를 와이퍼아암에 연결하는 와이퍼 프레임중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최하단 프레임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단측 블레이드가 윈드실드에 밀착될 수 있게 하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한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와이퍼는 윈드실드 글래스가 젖었을 때 그 글래스의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운전자 등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와이퍼(1)는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2)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고, 각각의 와이퍼(1)는 윈드실드 글래스(2)의 하단 중앙과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와이퍼(1)는 미도시된 와이퍼 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와이퍼 아암(3)과 그 와이퍼 아암(3)에 연결된 블레이드 어셈블리(4)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4)는 통상 다수개의 와이퍼 프레임이 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와이퍼 프레임은 중앙부가 와이퍼 아암(3)에 연결된 1개의 최상단 와이퍼 프레임과, 상기 최상단 와이퍼 프레임의 양단에 중앙부가 연결된 2개의 중앙 와이퍼 프레임 및, 상기 중앙 와이퍼 프레임의 양단에 중앙부가 각각 연결된 4개의최하단 와이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최하단 와이퍼 프레임에 의해 블레이드가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블레이드 어셈블리(4)에 의해 지지되는 블레이드(5)가 윈드실드 글래스(2)에 적정한 힘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여야만 도2a에 도시한 것처럼 소정의 각도(θ) 기울어져 윈드실드 글래스(2)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블레이드 어셈블리(4)는 구조적으로 블레이드가 전체길이에 동일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윈드실드 글래스(2)는 양측 하단 모서리 부분이 다른 부분(A)에 비하여 급격한 곡률반경 변화가 있기 때문에, 그 부분(A)에서는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5)가 윈드실드 글래스(2)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따라서 채터링(chatter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블레이드 어셈블리(4)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단측 모서리부분의 물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함은 물론 채터링 현상에 의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윈드실드 글래스의 양측 하단 모서리부분에 대한 블레이드의 접촉압력을 소정크기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채터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된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와이퍼 장착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a는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2b는 채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블레이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3은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이루는 와이퍼 프레임 결합상태에 대한 종래 구성도;
도4는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이루는 와이퍼 프레임 결합상태에 대한 본 발명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각 와이퍼 프레임에 부여되는 하중 분포를 도시한 설명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퍼 2 : 윈드실드 글래스
3 : 와이퍼 아암 4 : 블레이드 어셈블리
5 : 블레이드 6, 7 : 와이퍼 프레임
10 : 끼움체 11 : 판스프링
12 : 지지대 F : 하중
θ : 각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선회가능하도록 차체에 장착되는 와이퍼 아암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퍼 아암에 결합되는 다단 와이퍼 프레임을 가지며, 이러한 다단 와이퍼 프레임중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에 의해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된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은 윈드실드 하단쪽에 위치하는 단부에 큰 하중이 걸리도록 그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퍼 프레임에 판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이루는 와이퍼 프레임 결합상태에 대한 종래 구성을 나타내고, 도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부측 와이퍼 프레임(6)의 양단 하부에는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의 중앙 상단이 연결되고, 이러한 와이퍼 프레임(6)(7)의 연결부에는 유격방지 및 작동의 원활함을 위한 플라스틱 사출물 등으로 된 끼움체가 끼워 고정된다.
종래의 끼움체(8)는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와이퍼 프레임(6)(7)의 연결부에 끼워지되,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이 상부측 와이퍼 프레임(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는 약간의 유격이 가능하게 하면서 지면의 전방 및 후방측으로의 유격은 방지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종래의 끼움체(8)가 갖는 기능은 단지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이 블레이드 진행방향쪽으로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측 와이퍼 프레임(6)과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의 연결부에 끼움체와 함께 판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의 양단부가 받는 하중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도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끼움체(10)는 종래의 끼움체(8)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종래의 끼움체(8)의 길이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형상과 동일하면서 길이방향에 대한 중앙부가 절개된 2개의 부품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끼움체(10)와 함께 소정의 형상을 갖는 판스프링(11)을 갖는바, 상기 판스프링(11)은 상기 끼움체(10)의 상부면 중앙을 따라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좋으며, 그 판스프링(11)의 일단부는 상부측 와이퍼 프레임(6)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12)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1)은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에 가하는바, 그 탄성복원력의 방향은 도4에서 보았을 때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의 오른쪽 부분을 하부로 미는 방향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대한 분포하중을 나타낸다.
상부측 와이퍼 프레임(6)에 F라는 하중이 걸렸을 때 그 상부측 와이퍼 프레임(6)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에는 각각 ½F의 하중이 걸린다.
그리고, 상기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의 양단 각각은 블레이드(5) 상단에 연결되는바, 본 발명의 끼움체(10)와 판스프링(11)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인 상단측 와이퍼 프레임(7)의 양단부에는 각각 ¼F의 하중이 걸리는 반면, 본 발명의 끼움체(10)와 판스프링(11)이 장착되어 있는 부분인 하단측 와이퍼 프레임(7)의 양단부에는 서로 다른 하중이 걸린다.
즉,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의 양단에는 서로 다른 하중이 걸리게 되고, 이는 판스프링(11)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하단측 와이퍼 프레임(7)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판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을 적절하게 부여함으로써 그 하중을 결정할 수 있고 도5에서는 블레이드(5)의 끝부분에 ⅜F의 하중이 걸리고 다른 부분에 ⅛F의 하중이 걸리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윈드실드 글래스(2)의 양측 하단 부분(A)을 담당하는 블레이드(5)가 종래에 비하여 보다 큰 하중으로 그 윈드실드 글래스(2)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채터링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지지하고 있는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중 윈드실드 글래스의 양측 하단 부분을 담당하는 와이퍼 프레임에 걸리는 하중을 크게 함으로써 블레이드가윈드실드 글래스의 양측 하단 부분에 보다 큰 힘으로 밀착되게 하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선회가능하도록 차체에 장착되는 와이퍼 아암(3)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퍼 아암(3)에 결합되는 다단 와이퍼 프레임을 가지며, 이러한 다단 와이퍼 프레임중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에 의해 블레이드(5)를 지지하도록 된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은 윈드실드 하단쪽에 위치하는 단부에 큰 하중이 걸리도록 그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퍼 프레임에 판스프링(11)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판스프링(11)은 일단부가 상기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의 지지대(12)에 끼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퍼 프레임(6)에 끼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1)은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과 그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와이퍼 프레임(6)의 연결부에 끼워져 하부측 와이퍼 프레임(7)에 좌우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끼움체(10)를 매개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KR10-2000-0082686A 2000-12-27 2000-12-27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KR10039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686A KR100398439B1 (ko) 2000-12-27 2000-12-27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686A KR100398439B1 (ko) 2000-12-27 2000-12-27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063A KR20020054063A (ko) 2002-07-06
KR100398439B1 true KR100398439B1 (ko) 2003-09-19

Family

ID=2768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686A KR100398439B1 (ko) 2000-12-27 2000-12-27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4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651A (en) * 1977-08-06 1979-12-18 Robert Bosch Gmbh Wip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window
JPS56143150U (ko) * 1980-03-31 1981-10-28
KR890003576A (ko) * 1987-08-20 1989-04-15 크리스토퍼 존 리차드슨 알커, 폴 데이비드 수터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JPH07329730A (ja) * 1994-06-09 1995-12-19 Fukoku Co Ltd 車輛用ワイパー
JPH0826075A (ja) * 1994-07-12 1996-01-30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KR970022746U (ko) * 1995-11-30 1997-06-18 차량용 와이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651A (en) * 1977-08-06 1979-12-18 Robert Bosch Gmbh Wip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window
JPS56143150U (ko) * 1980-03-31 1981-10-28
KR890003576A (ko) * 1987-08-20 1989-04-15 크리스토퍼 존 리차드슨 알커, 폴 데이비드 수터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JPH07329730A (ja) * 1994-06-09 1995-12-19 Fukoku Co Ltd 車輛用ワイパー
JPH0826075A (ja) * 1994-07-12 1996-01-30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KR970022746U (ko) * 1995-11-30 1997-06-18 차량용 와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063A (ko) 200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588B2 (en) Wiper blade for cleaning panes,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FR2885337B1 (fr) Balai d'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a capacite d'essuyage amelioree, notamment pour pare-brise a forte variation de galbe
KR19980063590A (ko) 자동차용 윈드 쉴드 와이퍼
KR100398439B1 (ko)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EP0756976B1 (en) Low profile windshield wiper assembly
KR20010101876A (ko) 자동차 윈드스크린용 와이퍼 장치
KR10029379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US4475263A (en) Windshield wiper system
KR200172282Y1 (ko) 자동차용와이퍼
KR200210359Y1 (ko) 와이퍼 아암 일체형 와이퍼 블레이드
KR20070043405A (ko) 소음 저감형 와이퍼
KR100428240B1 (ko) 자동차 윈도우 와이퍼 블레이드의 지지 탄성 스페이서
KR200202622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0158998B1 (ko) 자동차용 와이퍼
US701722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 separation-limiting device
KR20010073839A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57394B1 (ko) 와이퍼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차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형 이격 디바이스
KR200372828Y1 (ko) 차량용 선바이져
US20140130285A1 (en) Airfoil for wiper assembly
KR100381284B1 (ko) 트위스팅 와이퍼 아암
KR200213440Y1 (ko) 와이퍼장치용 피봇하우징의 고정브라켓
KR100368917B1 (ko) 조수석용 4절 와이퍼 아암
KR100397001B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조립체
KR20020016149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213438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