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950B1 -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950B1
KR100397950B1 KR10-2001-0000055A KR20010000055A KR100397950B1 KR 100397950 B1 KR100397950 B1 KR 100397950B1 KR 20010000055 A KR20010000055 A KR 20010000055A KR 100397950 B1 KR100397950 B1 KR 10039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ain
dose
test
m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292A (ko
Inventor
김영희
송동근
서홍원
허성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겟웰바이오
주식회사 싸이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0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95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겟웰바이오, 주식회사 싸이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겟웰바이오
Priority to CN01800111A priority patent/CN1358093A/zh
Priority to US09/936,947 priority patent/US20020168436A1/en
Priority to BR0104359-5A priority patent/BR0104359A/pt
Priority to EP01942550A priority patent/EP1169034A4/en
Priority to AU28913/01A priority patent/AU756948B2/en
Priority to PCT/KR2001/000103 priority patent/WO2001052841A1/en
Priority to EA200101001A priority patent/EA200101001A1/ru
Priority to JP2001552889A priority patent/JP3974397B2/ja
Publication of KR2001008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통 효과가 우수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통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데커시놀(decursinol) 또는 이의 유도체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3-메틸-2-부테노일 또는 2-메틸-2-부테노일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이다.

Description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ANALGESIC COMPOSITION COMPRISING DECURSINOL OR DERIVATIVE THEREOF}
본 발명은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진통제로는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성인에게 1일 약 1g 내지 4g의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위장장애, 알레르기,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있다. 이에 따라 부작용이 없이 저용량으로도 진통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진통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데커시놀(Decursinol), 데커신(Decursin)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당귀(Angelica gigas)로부터 추출된 바 있으나(지 형준 등, 생화학회지, 1, 25-32 (1970)), 이들의 약리활성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의 항암 효과가 보고된 바 있을 뿐이다(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8788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통 효과가 우수한 진통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7-히드록시-8,8-디메틸-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학물(1a))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writhing)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포르말린이 투여된 생쥐에서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화합물(1a)의 용량의존적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물질 P(Substance P)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화합물(1a)의 용량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화합물(1a)의 용량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100 ㎎/㎏의 화합물(1a)이 투여된 생쥐에서 작열성 동통 수용기(thermal nociceptor) 자극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b는 작열성 동통 수용기 자극 후 화합물(1a)의 투여 용량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3-메틸-2-부테노산2,2-디메틸-8-옥소-3,4-디하이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3-일 에스테르(화합물(1b))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및 7b는 각각 포르말린이 투여된 생쥐에서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화합물(1b)의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물질 P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화합물(1b)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글루타메이트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화합물(1b)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는 100 ㎎/㎏의 화합물(1b)이 투여된 생쥐에서 작열성 동통 수용기 자극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0b는 작열성 동통 수용기 자극 후 화합물(1b)의 투여 용량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6,7-디히드록시-8,8-디메틸-7,8-디히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합물(1c))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 및 12b는 각각 포르말린이 투여된 생쥐에서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화합물(1c)의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글루타메이트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화합물(1c)의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a 및 15b는 각각 포르말린이 투여된 생쥐에서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아세트아미노펜의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물질 P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아세트아미노펜의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17은 글루타메이트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아세트아미노펜의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a는 300 ㎎/㎏의 아세트아미노펜이 투여된 생쥐에서 작열성 동통 수용기 자극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8b는 600 ㎎/㎏의 아세트아미노펜이 투여된 생쥐에서 작열성 동통 수용기 자극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아스피린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a 및 20b는 각각 포르말린이 투여된 생쥐에서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아스피린의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물질 P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아스피린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글루타메이트 투여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아스피린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100 ㎎/㎏의 아스피린이 투여된 생쥐에서 작열성 동통 수용기 자극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낸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3-메틸-2-부테노일 또는 2-메틸-2-부테노일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데커시놀로 알려진 7-히드록시-8,8-디메틸-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학식 1a), 데커신으로 알려진 3-메틸-2-부테노산 2,2-디메틸-8-옥소-3,4-디하이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3-일 에스테르(화학식 1b), 6,7-디히드록시-8,8-디메틸-7,8-디히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학식 1c)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로 알려진 2-메틸-2-부테노산 2,2-디메틸-8-옥소-3,4-디하이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3-일 에스테르(화학식 1d)이다.
상기 화합물들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과 같은 무기염, 및 라이신, 에탄올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과 같은 유기염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아니다.
상기 화합물들은 화학 합성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문헌(Tetsuhiro Nemoto et al.,Tetrahedron Letters,41, 9569-9574 (2000); 및 Lan Xie et al.,J. Med. Chem.,42, 2662-2672 (1999))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중 데커시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당귀(Angelica gigas)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얻을 수 있는데, 구체적인 추출 및 정제 방법은 문헌(지 형준 등, 생화학회지, 1, 25-32 (1970); 및Korean J. Pharmacogn.,21, 64-68 (1990))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우수한 진통 효과를 가지며, 특히 저용량으로도 종래의 아세트아미노펜 및 아스피린보다 진통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량으로 사용된 경우에도 아세트아미노펜 및 아스피린보다 우수하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은 오래전부터 생약재로 사용되어 온 당귀에 포함된 것으로 안전성이 입증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탁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는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대해 하루에 1 내지 100 ㎎/㎏(체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체중)의 양으로 1일 1회 또는 분할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참당귀로부터 3-메틸-2-부테노산 2,2-디메틸-8-옥소-3,4-디하이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3-일 에스테르(화합물(1b))의 분리
잘게 썬 참당귀 근경 1㎏에 80% 메탄올 2ℓ를 가하고 수용액상에서 4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추출물을 모으고, 감압 환류 냉각관을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킨 후, 감압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당귀 추출물 290g을 얻었다.
이 당귀 추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수층으로 용매 계통분획하였다. 이때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90g)에는 당귀의 주요 성분인 화합물(1b), 2-메틸-2-부테노산 2,2-디메틸-8-옥소-3,4-디하이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3-일 에스테르(화학식 1d) 및 쿠마린(coumarin) 계열의 화합물 등이 다수 함유되어있다.
화합물(1b)와 (1d)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으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800g, CHCl3:MeOH=10:1)를 실시하여 모두 6개의 분획을 얻고 이 중 2번째 분획으로 다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를 실시하여 화합물(1b)와 (1d)의 혼합 분획을 얻었다. 이 분획을1H-NMR(400 MHz, CDCl3),13C-NMR(100 MHz, CDCl3)로 측정하여 두 가지 물질의 혼합물임을 확인하였고, 다시 EI+/MS로 측정하여 화합물(1b)와 (1d)의 혼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이 분획으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30~400 메쉬,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를 실시하여 표제 화합물 35g을 분리하였다.
제조예 2: 7-히드록시-8,8-디메틸-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합물(1a))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1b)와 (1d)의 혼합 분획 10g을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의 혼합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0% 수산화칼륨 30 ㎖를 가하고 80℃에서 2 내지 3일 정도 환류시켰다. 이 반응액을 물 100 ㎖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100 ㎖(×4)으로 나누었다. 이때 극성 물질인 수산화칼륨 등은 수층으로 옮겨가고, 반응 산물인 화합물(1a)와 (1b)는 에틸 아세테이트층으로 이행된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축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250g,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실시하였다. 이 용출액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로 확인하였으며, UV 램프를 이용하여 254 및 365nm에서 파란색의 형광흡수를 나타내는 화합물(1a) 분획을 모은 후 감압 농축하였다(이때 화합물(1b)의 Rf값은 약 0.7이고, 화합물(1a)의 Rf값은 약 0.2이었다). 이 농축물은 화합물(1a) 외에 다른 물질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회 실시하여(헥산: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비는 각각 3:1, 2:1 및 1:1임), 고순도의 표제 화합물 3.7g을 얻었다.
HPLC 분석 조건:
칼럼 : Si-60 (250×4) 리치로소르브(Lichrosorb)
용매 :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UV 검출기 : 340 nm
유속 : 1㎖ / 분
체류 시간 : 31 분
화합물(1a) :
1H-NMR (400 MHz, CDCl3): δ 1.37 (3H, s), 1.39 (3H, s), 2.83 (1H, dd, J=4.9, 16.6Hz), 3.10(1H, dd, J=5.9, 16.6Hz), 3.87 (1H, dd, 4.9, 5.9 Hz), 6.22 (1H, d, J=9.5 Hz), 6.78 (1H,s), 7.18 (1H,s), 7.57 (1H, d, J=9.5 Hz)
분자량 : 246.2653
회전율 [α]17D = +173.1 (CHCl3)
성상 : 담황색 프리즘(light-yellow prisms)
융점 : 178 [메탄올]
제조예 3: 6,7-디히드록시-8,8-디메틸-7,8-디히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합물(1c))의 합성
t-부탄올과 물의 1:1 혼합 용액 5 ㎖에 K3Fe(CN)6150 mg (0.75 mmol), K2CO3105 mg (0.75 mmol), 2,5-디페닐-4,6-bis(9-O-디하이드로퀴닐)-피리딘 4.4 mg (0.005 mmol) 및 K2OsO2(OH)41.8 mg (0.005 mmol)을 차례로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0 ℃로 냉각한 후 여기에 메탄설폰아미드 23.7 mg (0.25 mmol)을 가하였다. 이 반응액의 색이 노란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한 후 크로멘(chromene) 화합물(Agarwal SK, et al.,J Ethnopharmacol., 71, 231-4 (2000)) 57 mg (0.25mmol)을 천천히 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액을 0 ℃에서 2일 동안 교반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한 후, 여기에 과량의 Na2S2O5, 물 10 ㎖ 및 CHCl310 ㎖를 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서 CHCl3층을 분리한 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9.8 mg (76%)을 얻었다.
실시예 1: 화합물(1a)의 라이딩(writhing) 억제 시험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1a)을 4주령 ICR 생쥐(체중 약 25g)에게 각각 10, 25, 50 및 100 ㎎/㎏의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이어서 생쥐의 복강에 0.7 % 초산 0.25 ㎖를 투여한 다음 30 분 동안 라이딩 반응(writhing response)을 조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화합물(1a)이 투여되지 않은 생쥐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도 1은 화합물(1a)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화합물(1a)은 초산에 의한 라이딩 반응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2: 화합물(1a)의 포르말린 시험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1a)을 4주령 ICR 생쥐(체중 약 25g)에게 각각 10, 25, 50 및 100 ㎎/㎏의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이 후 30 분이 경과한 때에, 각각의 생쥐의 뒷 발바닥에 1% 포르말린 수용액을 투여한 후, 처음 5분 동안의 제 1 기 및, 20 내지 40 분의 동안의 제 2 기에 생쥐가 발바닥을 핥거나 흔드는 등의 통증 반응을 보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화합물(1a)이 투여되지 않은 생쥐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도 2a 및 2b는 화합물(1a)의 투여 용량에 따라 생쥐가 각각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2a 및 2b에서 보듯이, 화합물(1a)은 포르말린에 의한 제 1 기 및 제 2 기의 통증 반응을 모두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3: 화합물(1a)의 물질 P 통증 시험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1a)을 4주령 ICR 생쥐(체중 약 25g)에게 각각 10, 25, 50 및 100 ㎎/㎏의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이 후 30 분이 경과한 때에, 각각의 생쥐의 척수강(intrathecal)에 물질 P(Substance P)를 0.7 ㎍의 양으로 투여한 후, 30 분 동안 생쥐가 발바닥을 핥거나 흔드는 등의 통증 반응을 보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화합물(1a)이 투여되지 않은 생쥐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도 3은 화합물(1a)의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듯이, 화합물(1a)은 물질 P에 의한 통증 반응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4: 화합물(1a)의 글루타메이트(glutamate) 통증 시험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1a)을 4주령 ICR 생쥐(체중 약 25g)에게 각각 10, 25 및 50 ㎎/㎏의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이 후 30 분이 경과한 때에, 각각의 생쥐의 척수강에 글루타메이트를 20 ㎍의 양으로 투여한 후, 30 분 동안 통증 반응을 보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화합물(1a)이 투여되지 않은 생쥐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도 4는 화합물(1a)의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듯이, 화합물(1a)은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통증 반응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5: 화합물(1a)의 꼬리 움직임 시험(tail-flick test)
제조예 2에서 얻은 화합물(1a)을 4주령 ICR 생쥐(체중 약 25g)에게 각각 10, 25, 50 및 100 ㎎/㎏의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생쥐의 꼬리에 빛(radient heat)을 쪼인 후 이러한 작열성 동통 수용기(thermal nociceptor) 자극으로 인한 통증으로 꼬리 움직임 반응을 보이는 시간을 측정하여 진통률(%)를 결정하였다. 이 검사법은 척수 동통 회로에 대한 약물의 진통 효과를 확인해준다. 이 때 대조군으로서 화합물(1a)이 투여되지 않은 생쥐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도 5a는 100 ㎎/㎏의 화합물(1a)이 투여된 생쥐에 빛을 쪼인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며, 도 5b는 화합물(1a)의 투여 용량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낸다. 도 5a 및 5b에서 보듯이, 화합물(1a)은 빛을 쪼인 후 30 분이 경과한 때에 가장 높은 진통률을 보이며, 꼬리 움직임 반응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6: 화합물(1b)의 라이딩 억제 시험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1b)을 각각 50 및 100 ㎎/㎏의 양으로 사용하여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이딩 억제 시험하였다.
도 6은 화합물(1b)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화합물(1b)은 100 ㎎/㎏의 투여 용량에서 초산에 의한 라이딩 반응을 억제한다.
실시예 7: 화합물(1b)의 포르말린 시험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1b)을 50 및 1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르말린 시험하였다.
도 7a 및 7b는 화합물(1b)의 투여 용량에 따라 생쥐가 각각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7a 및 7b에서 보듯이, 화합물(1b)은 100 ㎎/㎏의 투여 용량에서 포르말린에 의한 제 2 기의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실시예 8: 화합물(1b)의 물질 P 통증 시험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1b)을 50 및 1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질 P 통증 시험을 하였다.
도 8은 화합물(1b)의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8에서 보듯이, 화합물(1b)은 100 ㎎/㎏의 투여 용량에서 물질 P에 의한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실시예 9: 화합물(1b)의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1b)을 50 및 1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을 하였다.
도 9는 화합물(1b)의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9에서 보듯이, 화합물(1b)은 100 ㎎/㎏의 투여 용량에서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실시예 10: 화합물(1b)의 꼬리 움직임 시험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1b)을 50 및 1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꼬리 움직임 시험을 하였다.
도 10a는 100 ㎎/㎏의 화합물(1b)이 투여된 생쥐에 빛을 쪼인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며, 도 10b는 화합물(1b)의 투여 용량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낸다. 도 10a 및 10b에서 보듯이, 화합물(1b)은 빛을 쪼인 후 45 분이 경과한 때에 가장 높은 진통률을 보이며, 꼬리 움직임 반응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실시예 11: 화합물(1c)의 라이딩 억제 시험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1c)을 각각 10, 25, 50 및 1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이딩 억제 시험하였다.
도 11은 화합물(1c)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보듯이, 화합물(1c)는 50 및 100 ㎎/㎏의 투여 용량에서 초산에 의한 라이딩 반응을 억제한다.
실시예 12: 화합물(1c)의 포르말린 시험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1c)을 10, 25 및 5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르말린 시험하였다.
도 12a 및 12b는 화합물(1c)의 투여 용량에 따라 생쥐가 각각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12a 및 12b에서 보듯이, 화합물(1c)은 100 ㎎/㎏의 투여 용량에서 포르말린에 의한 제 2 기의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실시예 13: 화합물(1c)의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1c)을 10, 25 및 5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을 하였다.
도 13은 화합물(1c)의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13에서 보듯이, 화합물(1c)은 25 및 50 ㎎/㎏의 투여 용량에서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비교예 1: 아세트아미노펜의 라이딩 억제 시험
아세트아미노펜을 각각 300 및 6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이딩 억제 시험하였다.
도 14는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에서 보듯이, 아세트아미노펜은 300 및 600 ㎎/㎏의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초산에 의한 라이딩 반응을 억제한다.
비교예 2: 아세트아미노펜의 포르말린 시험
아세트아미노펜을 300 및 6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르말린 시험하였다.
도 15a 및 15b는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 용량에 따라 생쥐가 각각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15a 및 15b에서 보듯이, 아세트아미노펜은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포르말린에 의한 제 1 기 및 제 2 기의 통증 반응을 각각 억제한다.
비교예 3: 아세트아미노펜의 물질 P 통증 시험
아세트아미노펜을 100 및 3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질 P 통증 시험을 하였다.
도 16은 아세트아미노펜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16에서 보듯이, 아세트아미노펜은 300 ㎎/㎏의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물질 P에 의한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비교예 4: 아세트아미노펜의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
아세트아미노펜을 100 및 3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을 하였다.
도 17은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17에서 보듯이, 아세트아미노펜은 300 ㎎/㎏의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비교예 5: 아세트아미노펜의 꼬리 움직임 시험
아세트아미노펜을 300 및 6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꼬리 움직임 시험을 하였다.
도 18a는 300 ㎎/㎏의 아세트아미노펜이 투여된 생쥐에 빛을 쪼인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내며, 도 18b는 600 ㎎/㎏의 아세트아미노펜이 투여된 생쥐에 빛을 쪼인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낸다. 도 18a 및 18b에서 보듯이, 300 ㎎/㎏ 및 600 ㎎/㎏의 양으로 투여된 아세트아미노펜은 모두 빛을 쪼인 후 30 분이 경과한 때에 가장 높은 진통률을 보인다.
비교예 6: 아스피린의 라이딩 억제 시험
아스피린을 10, 25, 50, 100, 200 및 3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이딩 억제 시험하였다.
도 19는 아스피린의 투여 용량에 따른 라이딩 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 19에서 보듯이, 아스피린은 초산에 의한 라이딩 반응을 거의 억제하지 못한다.
비교예 7: 아스피린의 포르말린 시험
아스피린을 10, 25, 50, 100, 200 및 3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르말린 시험하였다.
도 20a 및 20b는 아스피린의 투여 용량에 따라 생쥐가 각각 제 1 기 및 제 2 기에 보인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20a 및 20b에서 보듯이, 아스피린은 포르말린에 의한 제 1 기 통증 반응을 억제하지 못하며, 100 ㎎/㎏ 이상의 고용량으로 투여된 경우에만 제 2 기의 통증 반응만을 억제한다.
비교예 8: 아스피린의 물질 P 통증 시험
아스피린을 120 및 24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질 P 통증 시험을 하였다.
도 21은 아스피린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21에서 보듯이, 아스피린은 240 ㎎/㎏의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물질 P에 의한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비교예 9: 아스피린의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
아스피린을 120 및 24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타메이트 통증 시험을 하였다.
도 22는 아스피린의 투여 용량에 따른 생쥐의 통증 기간(초)을 나타낸다. 도 22에서 보듯이, 아스피린은 120 ㎎/㎏ 및 300 ㎎/㎏의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통증 반응을 억제한다.
비교예 10: 아스피린의 꼬리 움직임 시험
아스피린을 100 ㎎/㎏의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꼬리 움직임 시험을 하였다.
도 23은 100 ㎎/㎏의 아스피린이 투여된 생쥐에 빛을 쪼인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률(%)을 나타낸다. 도 23에서 보듯이, 100 ㎎/㎏의 양으로 투여된 아스피린은 빛을 쪼인 후 30 분이 경과한 때에 가장 높은 진통률을 보이나, 그 구체적인 수치는 미미하다.
본 발명의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는 저용량으로도 탁월한 진통 효과를 가지며 동량으로 사용된 종래의 아세트아미노펜 및 아스피린보다 훨씬 큰 진통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진통제로 유용하다.

Claims (3)

  1. 유효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데커시놀(decursinol)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3-메틸-2-부테노일 또는 2-메틸-2-부테노일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7-히드록시-8,8-디메틸-7,8-디하이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 3-메틸-2-부테노산 2,2-디메틸-8-옥소-3,4-디하이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3-일 에스테르, 6,7-디히드록시-8,8-디메틸-7,8-디히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 또는 2-메틸-2-부테노산 2,2-디메틸-8-옥소-3,4-디하이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3-일 에스테르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의 유효량이 하루에 1 내지 100 ㎎/㎏인 조성물.
KR10-2001-0000055A 2000-01-24 2001-01-02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KR10039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055A KR100397950B1 (ko) 2000-01-24 2001-01-02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US09/936,947 US20020168436A1 (en) 2000-01-24 2001-01-20 Decursinol or derivative thereof as analgesic agent
BR0104359-5A BR0104359A (pt) 2000-01-24 2001-01-20 Decursinol ou seus derivados a partir de agenteanalgésico
EP01942550A EP1169034A4 (en) 2000-01-24 2001-01-20 DECURSINOL OR ITS DERIVATIVE USED AS ANALGESIC
CN01800111A CN1358093A (zh) 2000-01-24 2001-01-20 用前胡醇及其相关的衍生物作为止痛剂
AU28913/01A AU756948B2 (en) 2000-01-24 2001-01-20 Decursinol or derivative thereof as analgesic agent
PCT/KR2001/000103 WO2001052841A1 (en) 2000-01-24 2001-01-20 Decursinol or derivative thereof as analgesic agent
EA200101001A EA200101001A1 (ru) 2000-01-24 2001-01-20 Декурсинол или его производное в качестве аналгезирующего средства
JP2001552889A JP3974397B2 (ja) 2000-01-24 2001-01-20 デクルシノール(Decursinol)またはその誘導体からなる鎮痛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3186 2000-01-24
KR1020000003186 2000-01-24
KR10-2001-0000055A KR100397950B1 (ko) 2000-01-24 2001-01-02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92A KR20010086292A (ko) 2001-09-10
KR100397950B1 true KR100397950B1 (ko) 2003-09-19

Family

ID=2663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055A KR100397950B1 (ko) 2000-01-24 2001-01-02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20168436A1 (ko)
EP (1) EP1169034A4 (ko)
JP (1) JP3974397B2 (ko)
KR (1) KR100397950B1 (ko)
CN (1) CN1358093A (ko)
AU (1) AU756948B2 (ko)
BR (1) BR0104359A (ko)
EA (1) EA200101001A1 (ko)
WO (1) WO20010528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764A (ko) * 2011-01-27 2012-08-22 대우제약 주식회사 Decursinol 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열 및 진통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6484B2 (en) 2001-02-23 2006-04-11 Liga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Tricyclic androgen receptor modulator compounds and methods
KR100427704B1 (ko) * 2001-09-21 2004-04-30 주식회사 겟웰바이오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살리실산염 유도체-유발성 위점막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U2002249639A1 (en) * 2002-04-09 2003-10-27 Elcom Biotechnology, Co., Ltd. Pyranocoumarin derivatives
KR101072175B1 (ko) * 2004-06-22 2011-10-10 최백희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배뇨장애 치료제 및 부종 치료제조성물
KR100715206B1 (ko) * 2006-01-19 2007-05-04 박용진 참당귀로부터 데쿨시놀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
KR20100009295A (ko) * 2008-07-18 2010-01-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TWI583312B (zh) * 2009-08-12 2017-05-21 梅拉洛伊卡公司 用於治療疼痛與發炎的膳食補充品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5222A (ja) * 1987-04-14 1988-10-21 Nippon Petrochem Co Ltd クマリン類からなる虚血性心疾患治療用カルシウム拮坑剤
KR950007844A (ko) * 1993-09-07 1995-04-15 서정욱 항암제로서의 데커신
KR980008225A (ko) * 1996-07-25 1998-04-30 박원훈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KR20000026683A (ko) * 1998-10-22 2000-05-15 정세영 신장독성 억제성분으로서 데커신을 포함하는의약조성물
KR20000026684A (ko) * 1998-10-22 2000-05-15 정세영 데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분화유도제 조성물
WO2000061131A1 (en) * 1999-04-13 2000-10-19 Scigenic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comprising a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 or an extract of a plant of genus angelicae contain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7663B2 (en) * 1998-10-22 2003-11-20 Binex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decursi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5222A (ja) * 1987-04-14 1988-10-21 Nippon Petrochem Co Ltd クマリン類からなる虚血性心疾患治療用カルシウム拮坑剤
KR950007844A (ko) * 1993-09-07 1995-04-15 서정욱 항암제로서의 데커신
KR980008225A (ko) * 1996-07-25 1998-04-30 박원훈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KR20000026683A (ko) * 1998-10-22 2000-05-15 정세영 신장독성 억제성분으로서 데커신을 포함하는의약조성물
KR20000026684A (ko) * 1998-10-22 2000-05-15 정세영 데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분화유도제 조성물
WO2000061131A1 (en) * 1999-04-13 2000-10-19 Scigenic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comprising a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 or an extract of a plant of genus angelicae contain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764A (ko) * 2011-01-27 2012-08-22 대우제약 주식회사 Decursinol 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열 및 진통제 조성물
KR101585450B1 (ko) 2011-01-27 2016-01-19 대우제약 주식회사 Decursinol 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열 및 진통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101001A1 (ru) 2002-02-28
BR0104359A (pt) 2001-11-27
JP3974397B2 (ja) 2007-09-12
AU2891301A (en) 2001-07-31
EP1169034A1 (en) 2002-01-09
WO2001052841A1 (en) 2001-07-26
CN1358093A (zh) 2002-07-10
AU756948B2 (en) 2003-01-30
KR20010086292A (ko) 2001-09-10
JP2003520231A (ja) 2003-07-02
US20020168436A1 (en) 2002-11-14
EP1169034A4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vier et al. Anti-ulcerogenic activity of xanthanolide sesquiterpenes from Xanthium cavanillesii in rats
Hussain et al. The chemistry and biology of bicoumarins
KR100397950B1 (ko)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Nanayakkara et al. Potential sweetening agents of plant origin. 13. An intensely sweet dihydroflavonol derivative based on a natural product lead compound
AU2007266668B2 (en)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and libido enhancement
JP2005179339A (ja) 新規化合物および医薬組成物
KR100742265B1 (ko) 소목으로부터 브라질레인의 대량 제조 방법
Willuhn et al. Structure Revision of Xanthalongin and Further Sesquiterpene Lactones from Flowers of Arnica longifolia1
JPH0952899A (ja) ロイコトリエン拮抗剤
KR100809731B1 (ko)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070017448A (ko) 해조식물로부터 추출한 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억제제를함유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개선제 및 인지능력 개선제
JP4157767B2 (ja) 退行性脳神経系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効果を有するハンゲショウ抽出物
KR100427704B1 (ko)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살리실산염 유도체-유발성 위점막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554548B2 (ja) フラバノン誘導体
US9233096B2 (en) Method of providing an anti-ulcer treatment with extracts and isolated flavonoids from Euphorbia cuneata
Pladio et al. Anti-spasmodic constituents from drimys piperita hook F. Leaves
Khan et al. Synthesis and antihepatotoxic activity of some new xanthones containing 1, 4-dioxane ring system
JP2003073329A (ja) アルデヒド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剤
JPH024790A (ja) 抗潰瘍剤
KR100670961B1 (ko) 해조식물로부터 추출한 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억제제를함유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개선제 및 인지능력 개선제
Brahmachari 7, 8-Dihydroxy-3-methylisochroman-4-one: A Promising Anti-hypertensive Lead-Molecule from Banana (Musa sapientun L.) Peel
JPH03294273A (ja) トリスチルベン化合物
KR100822887B1 (ko)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TW201427935A (zh) 毒殺癌細胞之榼藤醯胺類化合物及其製備方法
KR20000066933A (ko) 향정신성 폴리갈라사포닌계 화합물과 이를 원지로부터의 추출 분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