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295A -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295A
KR20100009295A KR1020080070132A KR20080070132A KR20100009295A KR 20100009295 A KR20100009295 A KR 20100009295A KR 1020080070132 A KR1020080070132 A KR 1020080070132A KR 20080070132 A KR20080070132 A KR 20080070132A KR 20100009295 A KR20100009295 A KR 20100009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f
angelate
dicusin
dicusinol
angiogen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미
안은미
정명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295A/ko
Priority to PCT/KR2009/001800 priority patent/WO2010008129A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과 관련된 질환에 대하여, 디커신(Decursin)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VEGFR-2(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의 인산화 억제에 의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JNK(c-Jun N-terminal Kinase)-MAR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 신호전달차단과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 활성화 억제를 통하여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디커신, 디커시놀 안젤레이트, 신생혈관혈성, VEGF

Description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of Treatment for VEGF-Induced Angiogenesis-related Diseases Containing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본 발명은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조성물의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혈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에 관한 것이다.
1. 종양의 신생혈관형성
종양 성장에서 신생혈관 발생에 대한 의존성은 암 생물학에서 잘 정립된 측면이다.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은 기존 혈관으로부터 모세혈관이 스프라우트(sprout)하는 과정으로서 산소, 영양분, 성장인자, 호르몬 및 단백질분해 효소의 공급을 위해 중요하다. 신생혈관혈성은 혈액응고 및 섬유소분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항상성 인자 및 종양 세포의 이격된 부위로의 전달에 영향을 미친다(Folkman J (1990) J Natl Cancer Inst 82: 4-6; Fidler IJ, Ellis LM (1994) Cell 79: 185- 188). 신생혈관형성은 다수의 전신생혈관형성(pro-angiogenic) 및 항-신생혈관형성(anti-angiogenic)인자에 의해 엄격하게 제어된다. 신생혈관형성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역동적이며 다수의 분자에 의해 조절된다. 신생혈관형성 표현형으로의 "스위치"가 악성 과정의 특징이며, 이에 의해 혈관신생 메커니즘은 신생혈관혈성의 음성 조절자를 극복하거나 피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Hanahan D, Weinberg RA (2000) Cell 100: 57-70).
일반적으로 증가된 종양 혈관신생(vasularization)(예, 증가된 미세혈관의 밀도) 및 전신생혈관형성 인자의 발현은 다양한 사람의 암에서 암의 진행 단계 및 좋지 않은 예후와 관련이 있다(Brown LF et al. (1997) EXS 79: 233-269). 종양의 혈관신생은 작은 국소 종양으로부터 전이능을 갖는 확대된 종양으로의 신생물의 진행에 중요한 과정이다. 충분한 혈관신생이 결핍된 종양은 네크로시스(Brem S, Brem H, et al. (1976) Cancer Res 36: 2807-2812) 또는 아폽토시스(Holmgren L et al. (1995) Nat Med 1: 117-118)에 의해 사멸되는데 반하여 혈관신생이 가능한 종양은 빠른 성장 단계로 진입할 뿐만 아니라 증가된 전이의 잠재력을 갖는다. 따라서 1971년에 Folkman은 항 신생혈관혈성이 암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Folkman J (1971) N Engl J Med 285: 1182-1186).
신생혈관형성에 관여하는 주요 분자 중 가장 강력한 인자가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패밀리의 단백질 및 이의 수용체이다(도 1). VEGF 패밀리는 6개의 현재까지 공지된 일원을 포함한다: VEGF-A, 태반성장인자 (PlGF), VEGF-B, VEGF-C, VEGF-D 및 VEGF-E. 이들은 이량체 당단백 질로서 분비되고 이들 모두는 "시스테인 노트(cysteine knot)" 모티브라고 하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8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당단백질은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BB(PDGF-BB)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β2(TGF-β2)를 포함한 성장 인자의 구조적 초패밀리(superfamily)에 속한다.
VEGF는 VEGFR-1, VEGFR-2 및 VEGFR-3과 같은 수용체에 결함함으로써 혈관의 발달, 신생혈관형성 및 림프신생혈관형성(lymphangiogenesis)을 조절한다. VEGFR-1은 조혈 줄기 세포의 보충과 단구세포 및 대식세포의 이동에 필요하다. VEGFR-2는 혈관 내피세포의 증폭, 이동 및 침윤을 조절하고 VEGFR-3은 림프신생혈관형성을 매개한다. 지난 수년 동안, 활성형 신생혈관형성 반응을 유발하는 증폭, 이동, 생존 및 증가된 투과성으로 이어지는 VEGFR-2 특이적 세포내 시그널링 캐스케이드(signaling cascade)를 경계 식별하는데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추가로, VEGFR-2 시그널링 경로의 치료학적 억제는 다수의 신생혈관형성 질환의 치료에 대한 임상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2. VEGF/VEGFR
1) VEGF 시그널링 경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VEGF의 시그널링 경로는 세포 표면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를 통한다. VEGFR-1(Flt-1)은 조혈 줄기 세포, 단구 세포, 대식 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현된다. VEGFR-2(Flk-1/KDR)는 혈관 및 림프관의 내피 세포에서 발현되는데 반하여 VEGFR-3(Flt-4)의 발현은 림프관의 내피세포에 제한된다.
VEGFR-2는 타입 Ⅲ 트랜스멤브레인 키나제 수용체로서, 1991년 Terman 등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되었다(Terman BI et al. (1991) Oncogene 6: 1677-1683). 마우스의 배발생에서, VEGFR-2의 발현이 중배엽 혈액 섬(island) 전구체에서 배아 일수(E) 7.0에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그 후 유전자는 내피 세포 전구체 및 발생 중인 내피 세포에서 발생한다(Yamaguchi TP et al. (1993) Development 118: 489-498). 다수의 연구는 VEGFR-2가 증폭, 이동, 생존 및 투과성과 같은 내피 세포에 대한 VEGF-A의 여러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효과의 일차적인 매개자임을 보여준다. VEGFR-2 활성화를 매개하는 세포내의 다운스트림 시그널링 경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VEGFR-2의 pY1175로 PLC-γ의 결합은 PIP2의 가수분해를 일으키고, 2차 메신저인 디아실글리세롤(diacylglycerol, DAG) 및 이노시톨 트리포스페이트(inositol triphosphate, IP3)를 생산한다. DAG는 단백질 키나제 C(PKC)의 생리학적 활성제인데 반하여 IP3는 세포내 칼슘 이온의 방출을 유발하는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에 있는 수용체에 작용한다. 특정한 채널을 통한 세포외 칼슘의 유입이 또한 특정 단백질의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 VEGF-수용체 연관 단백질/T-세포 특이적 어댑터 분자(VRAP/TSAd)가 pY951에 결합하고 Src와 복합체를 형성한다. pY1214로 Nck의 결합은 cdc42 및 p38 미토젠-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MAPK)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pY1175로 Shb의 결합은 FAK(focal adhesion kinase) 및 PI3K(phosphatidylinositol 3-kinase)를 제어한다(Holmes K et al. (2007) Cell Signal 19: 2003-2012).
2) VEGF 수용체 시그널링 억제
VEGF 및 VEGF 수용체는 유방암(Kurebayashi J et al. (1999) Jpn J Cancer Res 90:977-981), 결장암(Shaheen RM et al. (1999) Cancer Res 59:5412-5416), 간암(Yoshiji H et al. (1999) Hepatology 30:1179-1186, 방광암(Droller MJ (1998) J Urol 160:1932), 위암(Kitamura M et al (1998) Oncol Rep 5:1419-1424), 전립선암(Balbay MD et al. (1999) Clin Cancer Res 5:783-789)을 포함한 많은 고형암에서 일어나는 신생혈관형성에 관여한다. 항암 치료의 한 부분으로서 VEGF 시그널링 경로를 타겟으로 하는 몇 가지 전략이 개발되었다. VEGF 시그널링 경로를 블로킹하는 잠재적인 전략은 내부 VEGF 분비의 억제, 미세순환(microcirculation)에서 VEGF의 중성화 및 VEGF의 수용체로의 결합과 후속 시그널로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3.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
한국의 한약재인 Angelica gigas Nakai (또한 참당귀로도 알려짐)의 뿌리는 수천년 동안 전통 한의학 분야에서 여성의 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었고 조혈 및 건강 증진 활성 때문에 본초학자에 의해 '여성의 인삼'으로서 간주되었다(Sarker SD, Nahar L (2004) Curr Med Chem 11: 1479-500).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약용 성질은 끓는 물로 활성 성분 또는 화합물을 추출하여 이용한 것에 기초한다. 추출 용매의 변경은 신규한 약용 및 약리 성질을 갖는 상이한 화합물의 수집에 이를 수 있 다. 실제로 백혈병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Kim HH et al. (2005) Cancer Lett 223: 191-201), 항박테리아 작용(Lee S et al. (2003) Arch Pharm Res 26: 449-452), 통증 경감 작용(Choi SS et al. (2003) Biol Pharm Bull 26: 1283-1288), 기억 상실 억제 효과(Yan JJ, (2004)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8: 25-30)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 활성을 갖는 많은 피라노쿠마린(pyranocoumarin) 화합물이 참당귀의 알코올 추출물(Konoshima M et al. (1968) Chem Pharm Bull (Tokyo) 16: 1139-1140; Chi HJ et al. (1970) Kor J Pharmacol 1: 25-32)로부터 동정되었다.
참당귀(산형과) 뿌리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민간 요법에서 강장제 및 빈혈과 통상적인 질병의 치료에 이용되었다(Chi HJ, Kim HS (1970) Kor J Pharmacol 1: 25-32). 이 식물의 약리 작용에 대한 일부 보고서는 항박테리아 및 건망증 억제 효과,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에 대한 억제 효과, 심장 수축의 억제, PKC의 활성화 및 육종 암세포에 대한 항종양 활성을 보여준다(Lee S et al. (2003) Arch Pharm Res 26: 727-730). 이러한 치료 잠재력을 바탕으로 이 식물로부터 활성의 근원을 분리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고 많은 쿠마린 화합물의 분리로 이어졌다(Lee S et al. (2002)Nat Product Sci 8: 58-61) 또한, 이 약재가 건강한 임신과 순산을 유도하고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와 같은 쿠마린은 상기 식물의 주요 활성 구성성분임이 알려져 있다(Konoshima M et al. (1968) Chem Pharm Bull (Tokyo) 16: 1139-1140). 최근에, 디커시놀 및 디커신은 래트의 피질 세포의 일차 배양물에서 글루타메이트에 의해 유도된 신경독성에 대한 신경보호 활성을 보이고 또 다른 쿠 마린 구성성분인 노다케닌(nodakenin)과 함께 생체내에서 스코폴라민(sdopolamine)에 의해 유도된 빈혈을 개선하였다(Kim DH et al. (2007) Life Sci 80: 1944-1950).
본 발명자는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R-2(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의 인산화 억제에 의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JNK(c-Jun N-terminal Kinase)-MAR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 신호전달차단과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 활성화 억제를 통하여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로부터 분리한 피라노쿠마린(pyranocoumarin) 화합물인 디커신(decursin)(화학식 1)과 디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화학식 2)의 항-신생혈관형성(anti-angiogenesis) 작용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8051839884-PAT00001
Figure 112008051839884-PAT00002
이를 위해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한 시험관내 신생혈관형성 에세이와 계배 및 제브라피쉬(zebrafish) 그리고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디커신과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시험관내 실험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혈관내피세포의 증식능, 이동능, 혈관 형성능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디커신과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제브라피쉬의 몸통과 꼬리 쪽 부위에서 발달되는 체절 사이 혈관 형성을 차단하였으며, 계배의 융모융막(chorioallantoic membrane, CAM)에서 혈관형성을 억제하였다.
특히, 디커신과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혈관내피세포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VEGFR-2의 인산화와 그 하위 신호전달물질인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JNK(c-Jun N-terminal kinase) - MARK(mitogen-a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혈관내피세포에서 VEGF에 의해서 유도된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VEGFR-2에 의해 매개되는 MAPK 시그널링 경로를 블로킹한다. 특히, ERK 및 JNK 경로가 블로킹된다. VEGF는 Ras-GTPase에 이어, ERK의 인산화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VEGF에 의한 Ras-ERK의 활성화는 활동적으로 신생혈관형성을 하는 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및 관 형성을 유발한다(Kafi N et al. (2001) J bio chem. 276:49289-49298). ERK는 VEGF에 의해 촉진되는 증식을 위해 필수적임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JNK-MARK 활성화는 AP-1의 한 성분으로서 c-Jun 핵(nuclear) 활성화를 유발하고, 이는 AP-1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 이로써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에 의한 ERK- 및 JNK-MARK 불활성화가 혈관내피세포증식의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저막(basement membrane) 보전의 붕괴는 종양의 침입성(invasive) 암종으로의 전이를 보여주는 주요 조직학적 마커이다. 기저막은 라미닌(laminin), 콜라겐 및 젤라틴과 같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단백질의 복잡한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MMP는 ECM을 퇴화시키는 주요 분자이고, 정상 세포에서 리모델링 및 신생혈관형성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암의 이동 및 침입에 관여한다. 그 중에서도 MMP-2의 과발현 및 활성이 사람 종양의 침입성 성질에 관여한다. 활성형의 MMP-2는 양성 암종 보다는 악성 암종에서 더욱 빈번하게 검출된다(Hanemaaijer R et al. (2000) Int J Cancer 86:204-7). MMP-2는 뇌의 전이 발생 중에 신생혈관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Xie TX et al. (2006) Cancer Res. 66:3188-96) MAPK 경로가 MMP 활성화 및 발현에 관여한다. MMP-2의 발현 및 활성화에 ERK 경로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ERK에 특이적인 PD184352로 처리한 결과 MMP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통하여 확인되었다(Tanimura S et al. (2003)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4:801-6). 또한, MMP의 프로모터가 AP-1의 콘센수스 서열을 갖고 있기 때문에 JNK-MARK 경로가 MMP 활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ERK- 및 JNK-MARK 경로의 억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및 이동 모두를 약화시키는데 관여할 것이다.
그리고 폐암세포를 피하주사한 마우스 동물모델에서도 암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암 내부의 미세 혈관의 형성 억제와 VEGFR-2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디커신과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VEGF에 의해 유도된 VEGFR-2의 인산화 억제에 의한 ERK- 및 JNK-MARK 활성화 신호전달차단과 MMP-2 활성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커신과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암을 비롯한 혈관형성 과다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 하는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은 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만성염증, 당뇨병성 망막증 및 혈관종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암을 의미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폐암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안젤레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경구 투여용 제형, 멸균 주사용액, 좌제 및 경피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통,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형화한다.
본 발명의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경구 투여용 고상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상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고상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 형제 에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 액상 제제로 제형화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이러한 액상 제제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멸균된 수용액으로는 한스 용액(Hank's solution),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또는 물리적으로 완충된 염수와 같은 적절한 완충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비수성용제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좌제의 경우에는 이의 통상적인 기제인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형화된 조성물은 유효량으로 비경구 또는 경구(경 피, 피하, 정맥, 근육, 복강)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유효량"이란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투여 대상, 연령, 성별, 체중, 개인차 및 질병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10000㎍/체중kg/day,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0㎍/체중kg/day의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VEGF에 의해 유도된 VEGFR-2의 인산화 억제에 의한 ERK- 및 JNK-MARK 활성화 신호전달차단과 MMP-2 활성화 억제를 통하여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 및 정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산형과, Umbelliferae family)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리이트는 안은미 교수(한국의 대구에 소재한 대구 한의대학교)로부터 검증받았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가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화합물은 대구한의대학교에 있는 핵 자기 공명(JEOL JNM-LA 400) 및 질량 분석기(JEOL-AX 505WA)에 의해 확인되었다(도 3). 정제된 쿠마린 화합물인 328의 분자량을 갖는 디커신(C19H20O5)(화학식 1)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화학식 2)는 원액(stock solution)으로서 에탄올에 용해하였고 세포 배양 처리시에 직접 이용되었다.
실시예 2: 화합물 및 항체
재조합 사람 VEGF는 R&D 시스템(Wiesbaden, Germany)으로부터 구입하였다. VEGFR-2 및 α-튜불린에 대한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는 Santa Cruz(St. Louis, MO) 및 Zymed (South San Francisco)로부터 각각 구입하였다. p-VEGFR-2, p-ERK, ERK, p-JNK 및 JNK에 대한 래트 폴리클로날 항체 Cell Signaling으로부터 구입하였다. CD31에 대한 고트 폴리클로날 항체는 Santa Cruz (St. Louis, MO)로부터 구입하였다.
실시예 3: 사람의 배꼽 정맥 내피세포(HUVEC)의 분리
콜라게나제로 소화 처리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사람의 배꼽 정맥으로부터 세포를 씻어 내린 다음 4℃에서, 15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을 2.5%의 소태아혈청(FBS)을 함유한 PBS로 세척하고 젤라틴이 코팅된 디쉬상에 20% FBS, 1% 항체, 2ng/ml bFGF 및 5Unit/ml 헤파린을 함유한 M199에 재현탁하였다.
실시예 4: 세포 배양
루이스 폐 암종(Lewis Lung Carcinoma, LLC) 세포를 10% FBS (Hyclone, Logan) 및 1% 항체로 보충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Logan)에 유지하였다. HUVEC(2-5회의 계대)를 1% 젤라틴으로 코팅된 디쉬 상에 20% FBS 및 1% 항체로 보충된 M199(Gibco, Rockville)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5: 세포독성 테스트(MTT 에세이)
HUVEC 세포(5×103세포/구)에서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의 독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고 96구의 배양 판 상에 접종하였다.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10~100μM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첨가되었다. 세포 독성은 구당 10㎕의 MTT 3-(4,5-dimethy-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5mg/ml PBS)을 첨가함으로써 평가하였다. 4시간 동안 정치한 후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100㎕의 DMSO를 각 구에 첨가하여 청색으로 염색된 생존한 세포를 용해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Lab system, Multiscan MS)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6: 웨스턴 블롯 분석
단백질은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amide gel electrophoresi)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Whatman, Maidstone, England)으로 이동시켰다. 멤브레인을 0.1%의 Tween-20을 함유한 트리스 완충용액(TBS)에 용해된 5%의 무지방 스킴 밀크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그 이후 멤브레인을 4℃에서 하룻밤 동안 일차 항체와 정치시킨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호스라디쉬 퍼옥시다제-콘쥬게이티드 마우스 또는 래비트 면역글로불린으로 정치한 다음 West Pico Chemiluminescent Substrate (Pierce, Woburn)에 의해 발현시켰다.
실시예 7: 지모그래피(zymography)
MMP-2 및 MMP-9의 효소 활성이 젤라틴 지모그래피에 의해 확인되었다. 세포 배양물의 상층액이 비환원 조건하의 SDS-PAGE에 의해 젤라틴 분해 활성에 대하여 분석되었다. 1mg/ml의 젤라틴은 10%의 아크릴아미드 젤 상에 기질로서 전중합체화되었다. 전기영동이 4℃에서 실시되었다. 젤은 세척 완충용액 (50 mM Tris-HCl, pH 7.5, 100 mM NaCl, 2.5% Triton X-100)으로 2차례 세척하고 Triton X-100이 없는 세척 완충용액으로 간단히 씻어주었다. 젤라틴 분해 활성이 16시간 동안 37℃에서 정치 완충용액(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0 mM CaCl2, 0.02% NaN3, 1 mM ZnCl2)내에서 발현되었고, Coomassie Blue R-250으로 젤을 염색하여 가 시화하였다. 젤라틴이 제거된 영역이 MMP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8: 세포증식 에세이
HUVEC를 젤라틴이 코팅된 48구 판으로 1×104/구의 농도로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부착하도록 두었다. 16시간 동안 배지를 저혈청 배지(M199에 1%의 FBS)로 교환하였다. 배지를 교환하고 VEGF 및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에 구 당 0.5mCi의 [3H]-thymidine을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세포를 PBS로 3차례 세척하고 4℃에서 10분 동안 메탄올로 2차례 고정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15분 동안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으로 처리하였다. 물로 세포를 3차례 세척하고 0.3N 소듐 하이드록사이드에 용해하였다. 세포와 연관된 방사능은 액체섬광계측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 Perkin Elmer)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9: 면역형광 에세이
커버슬립상의 세포를 세척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로 고정하였다. 세포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PBS-T에 용해된 0.5%의 Triton X-100으로 용해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30분 동안 PBS에 용해된 1%의 소태아알부민(BSA)으로 블로킹하였다. 블로킹 후에 PBS에 용해된 1%의 BSA에 고오트 항-CD31 항체 및 마우스 항-α-민무늬 근육 액틴(SMA)을 세포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두었다. 세포를 PBS-T로 세척하고 FITC-콘쥬게이티드 이차 항체 또는 TRITC-콘쥬게이티드 이차 항체로 1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커버슬립상의 세포를 PBS-T로 세척하고 슬립 상에 안티페이드제(antifade reagent) 용액과 함께 올려두었다. 형광 이미지는 Zeiss fluorescence microscopy (Zeiss, Oberkochen)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10: 시험관내 이동 에세이
이동은 8㎛ 폴리카르보네이트 필터를 구비한 24-구 트랜스 웰 유니트(Costar,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필터의 하부는 10㎕의 타입 I 콜라겐(0.5mg/ml)로 코팅하였다. 코팅된 필터는 세포의 첨가 전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하부 챔버는 VEGF가 존재 또는 부재하며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600㎕의 저혈청 배지를 포함한다. 5×104 세포는 100㎕의 DMEM에 재현탁하고 트랜스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시켰다. 세포는 16시간 동안 37℃에서 5% CO2의 습한 공기중에 정치하였다. 세포를 메탄올로 고정하였고 hematoxylin (Sigma, St. Louis, MO) 및 eosin (Sigma, St. Louis, MO)으로 염색하였다. 필터의 상부 표면에 있는 세포는 탈지면으로 닦아서 제거하였고 이동은 광학 현미경으로 X200의 배율에서 필터의 하부로 이동된 세포의 수를 계수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는 3복수로 에세이되었고 각 에세이는 2회 반복되었다.
실시예 11: 관 형성 에세이
HUVEC는 Matrigel에 의해 코팅된 96구판 배양 플레이트 (10 mg/ml, BD, San Diego, CA) 상에 37℃에서 30분 동안 접종하였다. HUVEC는 VEGF의 존재 또는 부재에서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X100의 배율에서 사진 촬영하였다.
실시예 12: 제브라피쉬 및 성장 조건
표준 AB strain zebrafish (Danio rerio) 및 반접합 형질전환된 Tg(flk -1:EGFP)s843 배를 (Westerfield, 1995) 일전에 알려진 바와 같이 28℃에서 산소가 공급되는 어항에 14/10시간(낮/밤)주기로 유지하였다. 배는 자연 교배로부터 회수하였고 미네랄이 함유된 물에서 유지하였다. 연령은 표준 발달 단계를 기반으로 수정후 시간(hours post fertilization, hpf)으로 하였다.
실시예 13: 융모요막 멤브레인(chorioallantoic membrane, CAM) 에세이
3.5일째 수정된 계배(chick egg)로부터 껍질 막(shell membrane)과 난의 알부민을 제거하였다. 4.5일째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Thermanox (Nunc) 상에서 건조시키고 CAM 표면에 적용하였다(올바르게 해석된 것인지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이틀 후에 3ml의 10% 지방 에멀전을 융모요막으로 주입하고 CAM은 현미경(Olympus BX 40)하에서 관측하였다. CM으로 처리된 CAM은 양성 대조군(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과 유사한 정도까지 큰 혈관으로부터 스 프라우팅된 새로운 혈관을 보여주었다. 반응은 스프라우팅된 새로운 미세혈관의 존재 유무 및 그 정도에 따라 채점하였다. 검사된 전체 개수의 난 중 양성 난의 백분율이 계산되었다.
실시예 14: 마우스에서 종양형성 실험
5×105의 LLC를 200㎕의 Matrigel로 혼합하고(1:1) 즉시 C57BL/6J 마우스의 우측 옆구리로 피하 주사하였다. 비히클 또는 디커신 (4mg/kg)을 21일 동안 매일 복강으로 주입하였다. 종양의 성장은 3일마다 칼리퍼(caliper)로 다음 수학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부피(V) = height x length x depth (cm3)
실시예 15: 면역조직화학 (IHC)
마우스의 종양 조직은 약물 처리 후 18일째에 제거디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in 0.1M PBS, pH 7.4)로 4℃에서 하룻밤동안 고정하고 파라핀 또는 OCT 화합물로 포매하였다. 일련의 절편(5㎛)을 전체 종양 조직을 통하여 절단하고 폴리-L-리신 현미경 슬라이드 상에 올려놓고 조직학을 위해 헤모톡실린/에오신(H&E) 염색을 하거나, 면역조직화학을 위해 자일렌으로 4분 동안 3차례 탈파리핀화하여 처리하였 다. 절편을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농도의 에탄올로 차례로 처리한 후에 4℃에서 하룻밤 동안 CD31 (BD, NJ) 항체 및 p-VEGFR-2 (Cell Signaling) 항체로 염색하였다. 면역염색은 비오틴-콘쥬게이티드 이차 항체에 이어서, Vectastain ABC Elite 키트 (Linaris, Germany) 및 디아미노-벤지딘(DAB) 기질로 면역퍼옥시다제 검출을 통해 가시화하였다. 카운터염색을 헤마톡실린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전술된 실시예들의 결과
16-1: HUVEC의 분리 및 특성 분석
상기 실시에 3에 따라 HUVEC 세포를 분리하고, 실시예 9에 따라 상기 세포가 내피 세포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면역염색 데이터는 분리된 HUVEC 세포 멤브레인에서 PECAM-1 (CD31)의 양성 발현 및 α-SMA의 음성 발현을 보여주었다. 이는 분리된 HUVEC 세포가 내피 세포임을 의미한다.
16-2: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시험관내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한다.
먼저, 상기 실시예 5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세포 독성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사용된 농도 범위내에서는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았다.
1) VEFG에 의해 유도된 HUVEC 증폭의 억제
상기 실시예 8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된 HUVEC의 증폭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5b 및 5c는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증폭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에 의한 증폭의 억제는 20μM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 휴지기 대조 세포 증폭율 보다도 낮았다. 이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독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세포 주기의 억제에 의한 것이다.
2) HUVEC 이동의 억제
상기 실시예 10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된 HUVEC의 이동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VEGF가 단독으로 존재할 때에 내피세포는 콜라겐 멤브레인 구멍을 통하여 바닥 챔버로 효과적으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상부 구획에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첨가하면 내피세포의 이동은 대조 세포와 유사한 수준으로 억제되었다.
3) 관 형성의 억제
상기 실시예 11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 된 HUVEC의 관 형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건하고 완전한 관 네트워크 형성이 VEGF에 의해 유도된 HUVEC에서 관찰되었다(레인 2). 그러나, VEGF의 그러한 영향은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에 의해 억제되어(레인 3 및 4), 불완전한 스프라우팅(sprouting) 및 브랜칭(branching)과 관 간의 결함이 이는 네트워킹이 관찰되었다.
16-3: flk -1-GFP로 형질전환된 제브라피쉬에서 혈관 형성에 대한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의 영향
상기 실시예 12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제브라피쉬에서 혈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제브라피쉬의 혈관발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한편, 비히클 대조군은 유사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flk-1-GFP 제브라피쉬에서 관찰된 바에 따라 동맥 영역, 머리의 미세혈관, 분절사이 혈관(intersegmental vessel, ISV), 즉 정맥, 동맥 연결 및 분절 이미지에서 혈관 형성은 불완전하고 침해되었다.
16-4: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생체내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한다.
실시예 13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생체내에서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PMA에 의해 유도되는 기존 혈관 네트워크로부터 새로운 모세혈관을 형성하는 신생혈관형성반응을 PMA 처리된 양성 대조군 알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도 9의 A).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의 적용은 CAM의 신생혈관형성의 80 및 85% 억제를 보였다. 반면에 PMA 단독은 95%의 신생혈관형성 활성을 보였다(도 9의 B). 이러한 결과는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생체내에서 신생혈관생성의 억제제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6-5: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내피세포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VEGFR-2 인산화를 억제한다.
상기 실시예 6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한 VEGFR-2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VEGF에 의해 유도된 VEGFR-2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16-6: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HUVEC에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JNK(c-Jun N-terminal kinase)-MARK(mitogen-ativated protein kinase)에 의한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6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한 ERK- 및 JNK-MARK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VEGF로 HUVEC의 처리는 ERK- 및 JNK-MAPK의 강한 활성화를 유도한 반면에, ERK- 및 JNK-MAPK의 활성화는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Akt활성화의 억제는 HUVEC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16-7: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VEGF에 의해 유도된 MMP-2 (matrix metalloproteinase-2)의 활성화를 하향 조절한다.
상기 실시예 7에 따라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된 MMP-2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VEGF에 의해 유도된 MMP-2의 활성화는 HUVEC에서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에 의해 블로킹되었다.
16-8: 디커신은 폐 암종을 가진 C57BL/6J에서 종양 성장 및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15에 따라 디커신이 종양 성장 및 신생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히클이 주입된 대조군 마우스는 종양 성장의 빠른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디커신은 3주 동안 4mg/kg/일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되었을 때 LLC 종량의 성장을 억제하였다(도 12의 A). 도 12의 B는 디커신 3주 동안 4mg/kg/일의 용량으로 치료된 후 PECAM-1에 대한 IHC에 의한 종양 미세혈관 밀도에서의 유의적인 감소가 대조군에 비교하여 관찰되었다. 더 나아가, 디커신은 비히클이 처리된 종양에 비하여 pVEGFR-2의 발현 수준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도 1은 종양의 신생혈관형성에서 VEGF/VEGF 수용체의 역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VEGFR-2의 세포내 시그널링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분리된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에 대한 핵 자기 공명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분리된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멤브레인에서 내피세포 특이적인 마커인 PECAM-1 (CD31)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a는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HUVEC에 대한 세포독성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b는 디커신이 시험관내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HUVEC의 증폭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c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시험관내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HUVEC의 증폭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된 HUVEC의 이동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VEGF에 의해 유도된 간 현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flk -1-GFP로 형질전환된 제브라피쉬에서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PMA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a는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HUVEC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VEGFR-2 인산화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a는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HUVEC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ERK 및 JNK-MARK의 인산화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가 MMP-2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디커신이 마우스 모델에서 종양의 성장 및 VEGFR-2의 인산화를 약화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Claims (5)

  1.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 VEGF(Vasi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는 VEGFR-2(Vasi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VEGFR-2의 인산화의 억제는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JNK(c-Jun N-terminal Kinase)-MAR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과 관련된 질환은 암인 것을 특징으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0070132A 2008-07-18 2008-07-18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9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32A KR20100009295A (ko) 2008-07-18 2008-07-18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PCT/KR2009/001800 WO2010008129A1 (ko) 2008-07-18 2009-04-08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32A KR20100009295A (ko) 2008-07-18 2008-07-18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95A true KR20100009295A (ko) 2010-01-27

Family

ID=4155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132A KR20100009295A (ko) 2008-07-18 2008-07-18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한 vegf에의해 유도된 신생혈관형성 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9295A (ko)
WO (1) WO20100081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08A1 (ko) * 2020-04-29 2021-11-04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디하이드로피라노[3,2-g]크로멘-2-온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17796T2 (de) * 1998-10-22 2005-06-09 Chong, Se Young Decursin-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KR100397950B1 (ko) * 2000-01-24 2003-09-19 주식회사 겟웰바이오 데커시놀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KR20050017630A (ko) * 2003-08-08 2005-02-22 심범상 쿠마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신생 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101072175B1 (ko) * 2004-06-22 2011-10-10 최백희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배뇨장애 치료제 및 부종 치료제조성물
KR101213599B1 (ko) * 2004-11-17 2012-12-18 한상필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치료제 조성물
KR101213600B1 (ko) * 2004-11-17 2012-12-18 한상필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기능 치료제 조성물
KR101320486B1 (ko) * 2004-11-17 2013-10-22 한상필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치료보조제 조성물
KR101213598B1 (ko) * 2004-11-17 2012-12-18 한상필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조혈증강제 조성물
KR101320485B1 (ko) * 2004-12-31 2013-10-22 한상필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US20070264370A1 (en) * 2006-03-31 2007-11-15 Jeffers Michael G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joint pain us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and powder as combined with Glucosamine Sulfate, or Chondroitin Sulfate and HCL, or MSM, or aspirin, or Celedrin, and as combinations thereof in powder, pill, capsule, spray, liquid, and gelcap form
KR100812093B1 (ko) * 2006-07-05 2008-03-12 박용진 데쿠르신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08A1 (ko) * 2020-04-29 2021-11-04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디하이드로피라노[3,2-g]크로멘-2-온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8129A1 (ko)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ng et al.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hibit VEGF-induced angiogenesis via suppression of the VEGFR-2-signaling pathway
US8252835B2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estrogen receptor-related diseases
Brâkenhielm et al. Suppression of angiogenesis, tumor growth, and wound healing by resveratrol, a natural compound in red wine and grapes
Tian et al. PE, a new sulfated saponin from sea cucumber, exhibits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Chang et al. Nelumbo nucifera Gaertn leaves extract inhibits the angiogenesis and metastasis of breast cancer cells by downregulation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mediated PI3K/AKT/ERK signaling
Lee et al. Fractalkine stimulates angiogenesis by activating the Raf-1/MEK/ERK-and PI3K/Akt/eNOS-dependent signal pathways
Freitas et al. Flavonoids inhibit angiogenic cytokine production by human glioma cells
Lee et al. Glyceollins, a novel class of soy phytoalexins, inhibit angiogenesis by blocking the VEGF and b FGF signaling pathways
Gajos-Michniewicz et al. Modulation of WNT/β-catenin pathway in melanoma by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derived from plants
Xu et al. 12-Deoxyphorbol 13-palmitate inhibit VEGF-induced angiogenesis via suppression of VEGFR-2-signaling pathway
Tan et al. Pseudolarix acid B inhibits angiogenesis by antagonizing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mediated anti-apoptotic effect
Xu et al. Cryptotanshinone inhibits VEGF-induced angiogenesis by targeting the VEGFR2 signaling pathway
Zhu et al. Total flavones of abelmoschus manihot exhibits pro-angiogenic activity by activating the VEGF-A/VEGFR2-PI3K/Akt signaling axis
Cho et al. Effects of auriculasin o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induced angiogenesis via regulation of VEGF receptor 2 signaling pathways in vitro and in vivo
Zhang et al. Anti-angiogenesis and anti-metastasis effects of Polyphyllin VII o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n vitro and in vivo
Chen et al.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tumor angiogenesis: involvement of endoglin/Smad1 signaling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um cells
Yang et al. In vivo inhibitory activity of andrographolide derivative ADN-9 against liver cancer and its mechanisms involved in inhibition of tumor angiogenesis
Tsuchiya et al. Nymphaeol‐A isolated from Okinawan propolis suppresses angiogenesis and induces caspase‐dependent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survival signals
Han et al. An-te-xiao capsule inhibits tumor growth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by targeting angiogenesis
US2013005343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lignans and their derivatives for the medical management of angiogenesis and hypovascularity
Yuan et al. Yu Ping Feng San exert anti-angiogenesis effects through the inhibition of TSLP-STAT3 signaling pathway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KR101793379B1 (ko) 조각자 가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Reboredo-Rodriguez Potential roles of berries in the prevention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KR102220270B1 (ko) 한인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heng et al. Honokiol inhibits interleukin-induced angiogenesis in the NSCLC microenvironment through the NF-κB signaling path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