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887B1 -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887B1
KR100822887B1 KR1020060099166A KR20060099166A KR100822887B1 KR 100822887 B1 KR100822887 B1 KR 100822887B1 KR 1020060099166 A KR1020060099166 A KR 1020060099166A KR 20060099166 A KR20060099166 A KR 20060099166A KR 100822887 B1 KR100822887 B1 KR 10082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mentia
composition
chloroform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곤
유익동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저해하여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백굴채 추출물,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8-hydroxydihydrochelerythrine),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8-hydroxydihydrosanguinarine), 베르베린(berber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활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저해 활성이 적어 안전하다.
백굴채,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베르베린, 치매

Description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ementia}
도 1은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베르베린 및 타크린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은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의 결과이며, □은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의 결과이고, ▲는 베르베린의 결과이며, ○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타크린의 결과이다.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추가적으로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선택성이 높고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선택성이 낮아 안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인구의 급증으로 노인성 치매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치매는 알쯔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AIDS 관련 치매로 나뉘는데, 우리나라의 치매환자로는 알 쯔하이머병이 절반을 웃돌고 뇌혈관성이 30-40%정도이다. 알쯔하이머는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신경퇴행성 질병으로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에 이상을 초래하여 기억력과 사고력 및 행동에 손상을 가져오는 치매의 한 종류이다. 현재 알쯔하이머의 발생 원인과 그 치료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획기적인 발병 원인이나 치료법에 관한 보고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뇌에서 관찰되는 특징은 β-아밀로이드(amyloid)가 축적된 부위의 뇌 내 콜린성 신경계 말단에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감소라는 병리 조직학적 특징이 나타난다. 치매환자의 뇌 내 아세틸콜린의 농도는 정상인에 비해 50%정도의 손실을 보인다. 이에 따라 치매 치료법으로 시냅스에서의 아세틸콜린의 농도룰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알쯔하이머 환자의 시냅스에서의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증진시키기 방법으로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억제하여 시냅스 틈(synaptic cleft)으로부터 아세틸콜린의 제거를 막아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타크린(tacrine, tetrahydroaminoacridine)이 미국 FDA에서 알쯔하이머병의 치료제로 허가되어 시판되고 있다. 타크린은 강력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이나, 부티릴콜린에스터라제에도 강한 억제 활성을 가져 간 독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부티릴콜린에스터라제 억제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간 독성이라는 부작용이 없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티릴콜린에스터라제는 저해하지 않으면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강력히 저해하는 선택적 아세틸콜린에스터 라제 저해제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는 근본적인 치매 치료제가 아니고 단지 증상을 완화시켜 준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뚜렷한 치매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치매 치료제 시장에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 시장은 매년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매우 최근에 부티릴콜린에스터라제 저해활성이 낮아 부작용이 적은 아리셉(Aricept)™이 에자이-화이자사에 의해 개발 시판되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활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선택성이 낮아 안전한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굴채 추출물,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베르베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이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S1) 건조된 백굴채를 준비하는 단계; (S2) 건조된 백굴채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에탄올 추출물 중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 (S4) 상기 (S3) 단계의 수득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5) 상기 클로로포름 추출물 중 클로로포름을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 및 (S6) 상기 (S5) 단계의 수득물을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백굴채의 활성분획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백굴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백굴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자원으로부터 새로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esterase) 저해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식물 추출물로부터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활성물질을 스크리닝하던 중 백굴채 추출물이 강력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활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 활성물질을 순수 분리하여 구조규명한 결과,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및 베르베린이 강력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활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고, 그 제조방법을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백굴채(Chelidoni Herba)는 애기똥풀(애기똥풀과) Chelidonium major L.의 전초를 말린 것으로, 백굴채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효율적으로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성분을 추출 및 정제할 수 있다. 건조된 백굴체에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가하고 교반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에탄올 등을 증발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용매추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클로로포름 용매층을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30:1-5:1인 용매를 사용한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활성분획을 메탄올을 용매로한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정제한 후, 재차 HPLC를 하여서 순수한 본 발명의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S1) 건조된 백굴채를 준비하는 단계; (S2) 건조된 백굴채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에탄올 추출물 중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 (S4) 상기 (S3) 단계의 수득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5) 상기 클로로포름 추출물 중 클로로포름을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 및 (S6) 상기 (S5) 단계의 수득물을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백굴채의 활성분획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백굴채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방법이 (S7) 백굴채의 활성분획을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백굴채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정제된 본 발명의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8-hydroxydihydrochelerythrine),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8-hydroxydihydrosanguinarine) 및 베르베린(berberine)의 이화학적 특성 및 화학구조는 다음과 같다.
1.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1) 물질의 성상 : 노란색 분말
2) 분자량 : 365
3) 분자식 : C21H19NO5
4) 핵자기 공명(NMR) 흡수스펙트럼 : 1H-NMR (600 MHz, CDCl3): 7.80 (1H, d, J = 8.6, H-6), 7.70 (1H, s, H-5), 7.67 (1H, d, J = 8.6, H-12), 7.50 (1H, d, J = 8.6, H-5), 7.14 (1H, s, H-4), 7.10 (1H, d, J = 8.6, H-11), 6.08 (2H, d, J = 1.6, -OCH2O-), 5.57 (1H, s, H-8), 3.97 (3H, s, -OMe), 3.96 (3H, s, -OMe), 2.78 (3H, s, -NCH3), 13C-NMR (125MHz, CDCl3): 152.8 (C-10), 148.4 (C-2), 147.8 (C-3), 146.8 (C-9), 138.5 (C-14), 131.4 (C-4a), 127.0 (C-14a), 125.5 (C-8a), 125.2 (C-12a), 123.9 (C-5), 122.8 (C-13), 120.2 (C-6), 119.4 (C-12), 113.5 (C-11), 104.9 (C-4), 101.4 (-OCH2O-), 100.8(C-1), 86.4 (C-8), 61.9 (-OMe), 56.2 (-OMe), 40.8 (-NCH3)
5) 화학구조식
Figure 112006073624114-pat00001
2.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1) 물질의 성상 : 노란색 분말
2) 분자량 : 349
3) 분자식 : C20H15NO5
4) 핵자기 공명 (NMR) 흡수스펙트럼 : 1H-NMR (600MHz, CDCl3): 7.76 (1H, d, J = 8.6, H-6), 7.69 (1H, s, H-1), 7.48 (1H, d, J = 8.6, H-5), 7.41 (1H, d, J = 8.2, H-12), 7.13 (1H, s, H-4), 6.95 (1H, d, J = 8.2, H-11), 6.12 (1H, d, J = 1.6, -OCHaO-), 6.06 (1H, d, J = 1.6, -OCHbO-), 6.07 (2H, d, J = 1.5, -OCH2O-), 5.38 (1H, s, H-8), 2.79 (3H, s, -NCH3), 13C-NMR (125MHz, CDCl3): 148.2 (C-2), 147.5 (C-3), 147.3 (C-10), 145.4 (C-9), 138.2 (C-14), 131.2 (C-4a), 126.9 (C-14a), 125.8 (C-12a), 123.8 (C-5), 122.8 (C-13), 120.2 (C-6), 116.4 (C-12), 113.1(C-8a), 109.0 (C-11), 104.7 (C-4), 101.8 (-OCH2O-), 101.2 (-OCH2O-), 100.6 (C-1), 85.9 (C-8), 40.9 (-NCH3)
5) 화학구조식
Figure 112006073624114-pat00002
3. 베르베린
1) 물질의 성상 : 노란색 분말
2) 분자량 : 334
3) 분자식 : C20H18NO4
4) 핵자기 공명 (NMR) 흡수스펙트럼 : 1H-NMR (600MHz, CDCl3): 9.90 (1H, s, H-12), 8.72 (1H, s, H-7), 8.00 (1H, m, H-9), 7.99 (1H, m, H-8), 7.64 (1H, s, H-1), 6.92 (1H, s, H-4), 6.14 (2H, s, -OCHaO-), 4.99 (2H, t, J = 5.6, H2-6), 4.21 (3H, s, OMe), 4.12 (3H, s, OMe), 3.25 (2H, t, J = 5.6, H2-5), 13C-NMR (125MHz, CDCl3): 150.6 (C-2), 150.4 (C-10), 148.3 (C-3), 145.1 (C-12), 144.2 (C-11), 137.9 (C-14), 133.5 (C-7a), 129.9 (C-4a), 126.7 (C-9), 123.4 (C-8), 121.8 (C-11a), 120.6 (C-7), 120.2(C-14a), 108.4 (C-4), 105.5 (C-1), 102.2 (-OCH2O-), 62.0 (OMe), 57.0 (OMe), 55.7 (C-6), 27.2 (C-5)
5) 화학구조식
Figure 112006073624114-pat00003
따라서, 본 발명은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베르베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 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의 3가지 화합물 중에서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활성이 보다 높으며,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 대비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 더욱 안전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백굴채로부터 분리 및 정제하여 얻는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화학합성법을 통하여 합성되어 제조된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또는 베르베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갖는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은 물론 이들의 무기 또는 유기염, 에스테르 유도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단독으로 혹은 어떤 편리한 운반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또는 베르베린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또는 베르베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치료해야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예를 들어, 근육주사, 복강주사, 정맥주사, 주입(infusion), 피하주사, 임플란트), 흡입제, 비강투여제, 질제, 직장투여제, 설하 제, 트랜스더말제, 토피칼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비히클을 포함하는 적당한 투여 유닛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데포(depot) 제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또는 베르베린은 매일 약 1 mg/kg 내지 약 0.5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10 mg/kg 내지 약 0.05 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사용된 유효 성분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베르베린 또는 백굴채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의 분리와 정제
건조된 백굴채 2 Kg에 에탄올 4 Kg을 가하고 교반하여 3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다시 클로로포름 500 g으로 1시간 동안 용매추출하였다.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클로로포름 용매층을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클로로포름:메탄올이 30:1-5:1인 용매를 사용하는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활성분획을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정제한 후, 재차 메탄올:물=90:10인 용매조건에 옥타도데실실리카젤(ODS) 컬럼을 사용하는 HPLC를 하여서 순수한 본 발명의 물질들인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을 얻었다.
<실시예 2> 백굴채 추출물 및 그 활성성분인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활성 측정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효소저해활성은 Ellman's coupled enzyme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로는 전기 뱀장어(electric eel)로부터 정제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또는 8-10주된 수컷 SD계 쥐의 뇌 호모게네이트(brain homogenate)를 사용하였고, 기질로는 아세틸티오콜린(acetylthiocholine)을 사용하 였다. 가수분해물인 티오콜린의 커플링 시약으로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익 산)을 사용하여 인산염 완충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7.3) 조건에서 반응시켜 412nm에서 60초 동안의 초기속도를 측정하였다.
효소억제 활성은 기준반응(control reaction)에 대한 억제반응의 초기속도비로 하였다.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 저해활성은 효소로는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 기질는 S-부틸릴티오콜린 아이오다이드(S-butyrylthiocholine iodide)을 사용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백굴채의 에탄올 추출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와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200 ug/mL 농도에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98% 저해한 반면,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는 13% 저해하여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선택적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백굴채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한 활성물질인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은 농도 의존적으로 강력하게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저해하였고 IC50(uM)는 각각 0.61, 1.37 및 1.85이었다.
이들 화합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선택적 저해활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저해활성능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C50 (uM) 선택성 (BuChE/AChE)
AChE BuChE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0.61 34.6 56.7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1.37 12.8 9.3
베르베린 1.85 78.9 42.6
타크린(tacrine) 0.12 0.006 0.05
상기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의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유효농도(IC50, uM)는 각각 34.6, 12.8 및 78.9이었고, 따라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대비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대한 선택성은 각각 56.7, 9.3, 42.6이었다. 따라서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은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비하여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에 각각 56, 9 및 42 배 이상의 강한 선택적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잘 알려진 치매 치료제 타크린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과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의 저해활성이 각각 0.12 및 0.006 uM로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에 강한 저해할성을 보여 매우 낮은 선택성을 보였다. 따라서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및 베르베린은 타크린에 비해 각각 1120, 186, 852배 이상의 선택적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활성이 있어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면서도 부틸릴콜린에스터라제 대비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에 대 한 선택성이 높아 안전한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치매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Claims (6)

  1.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상지나린, 베르베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8-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체르리쓰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3. 백굴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4. (S1) 건조된 백굴채를 준비하는 단계;
    (S2) 건조된 백굴채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에탄올 추출물 중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
    (S4) 상기 (S3) 단계의 수득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5) 상기 클로로포름 추출물 중 클로로포름을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 및
    (S6) 상기 (S5) 단계의 수득물을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백굴채의 활성분획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백굴채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S7) 백굴채의 활성분획을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백굴채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백굴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060099166A 2006-10-12 2006-10-12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82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166A KR100822887B1 (ko) 2006-10-12 2006-10-12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166A KR100822887B1 (ko) 2006-10-12 2006-10-12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887B1 true KR100822887B1 (ko) 2008-04-17

Family

ID=3957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166A KR100822887B1 (ko) 2006-10-12 2006-10-12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8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626A (en) 1985-03-11 1988-08-30 Theodore Cheng Remedy for anemia and arthritis
JPH0199907A (ja) * 1987-10-12 1989-04-18 Sanwa Jidoki Seisakusho:Kk 自立袋の製造装置
US5589182A (en) 1993-12-06 1996-12-31 Tashiro; Renki Compositions and method of treating cardio-, cerebro-vascular and alzheimer's diseases and depression
US6025365A (en) 1997-03-25 2000-02-15 Arch Development Corp. Chelerythrine and radiation combined tumor therapy
JP2006000829A (ja) * 2004-05-17 2006-01-05 Tosoh Corp 重金属処理剤の必要添加量決定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626A (en) 1985-03-11 1988-08-30 Theodore Cheng Remedy for anemia and arthritis
JPH0199907A (ja) * 1987-10-12 1989-04-18 Sanwa Jidoki Seisakusho:Kk 自立袋の製造装置
US5589182A (en) 1993-12-06 1996-12-31 Tashiro; Renki Compositions and method of treating cardio-, cerebro-vascular and alzheimer's diseases and depression
US6025365A (en) 1997-03-25 2000-02-15 Arch Development Corp. Chelerythrine and radiation combined tumor therapy
JP2006000829A (ja) * 2004-05-17 2006-01-05 Tosoh Corp 重金属処理剤の必要添加量決定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999.07)
논문(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0258A1 (zh) 伸筋草碱a-c、其制法和其药物组合物与用途
AU768712B2 (en) Antiprotozoal saponins
EP3777856B1 (en) Hydrophilic berberine-type derivative and application thereof in preparing drug
WO2010140734A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905281B (zh) 厚果崖豆藤中抑制乙酰和丁酰胆碱酯酶的黄酮类化合物及其用途
KR101755097B1 (ko)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1848565B (zh) 单萜基双香豆素类化合物、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2226077B1 (en) Extract of Lycoris chejuenis and/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 neurodegenerative disease
EP1222925B1 (en) Kavalactone as TNF-alpha production inhibitor
KR100822887B1 (ko)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US1109690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39;s disease
KR101970457B1 (ko) 목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5197190A (zh) 一种新型植物黄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78500B1 (ko) 불등가사리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알츠하이머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6571B1 (ko)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S6217598B2 (ko)
KR101781726B1 (ko) 오미자 추출물 유래 리그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0547253B1 (ko) 암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진세노사이드 유도체
US20050222245A1 (en) Pyranocoumarin derivatives
KR101373755B1 (ko) 아릴나프탈렌 리그난 유도체를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29714A (ko) 포도나무 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저해제
CN115073463B (zh) 一类苦参碱型二聚体生物碱类化合物、其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0839131B1 (ko) 오보바톨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0602683B1 (ko)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전이효소 저해활성을 갖는프탈레이트계 화합물
KR100615357B1 (ko) 인지력 향상효과를 갖는 신규 알칼로이드 유도체 화합물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