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105B1 -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7105B1 KR100397105B1 KR10-2000-0028542A KR20000028542A KR100397105B1 KR 100397105 B1 KR100397105 B1 KR 100397105B1 KR 20000028542 A KR20000028542 A KR 20000028542A KR 100397105 B1 KR100397105 B1 KR 1003971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s
- detection
- electrode
- drive
- vibra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01C19/5607—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using vibrating tuning f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자(1Ou, 1Ov 및 1Ow)의 표면 및 이면에 한 쌍의 전극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유전분극을 표면으로부터 이면방향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중앙의 진동자(1Ov)의 검출전극(11c, 11d)에 연산증폭기로 이루어지는 I/V 변환수단(20, 21)을 접속하면 검출전극(11c, 11d)은 I/V 변환수단(20, 21)의 가상단락을 거쳐 기준전위(Vref)에 접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어스전극없이 자이로스코프를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의 전극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구동전극사이 또는 검출전극사이의 간격치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충분한 유전분극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자이로스코프 및 그 구동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수의 감소와 유전분극의 간소화를 도모하여 제조를 용이게 할 수 있는 압전진동자를 사용한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진동형 자이로스코프의 일례로서 삼각음차형의 압전진동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9-1011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종류의 것이다. 도 5a는 도 4에 나타내는 압전진동자를 5화살표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 b는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압전진동자는 전체가 압전세라믹 등 압전재료로 형성된 탄성판의 앞부분에 서로 평행하게 분리된 3개의 진동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전진동자에서는 양측의 진동자가 같은 위상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이 양측의 진동자를 동일한 부호"1"로 나타내고 있다. 또 중앙의 진동자는 양측의 진동자와 다른 위상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양측의 진동자(1)와는 다른 부호"2"로 나타내고 있다.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양측의 진동자(1)의 표면(1a)에는 전극 (5a, 5b, 5c)이, 이면(1b)에는 전극(6a, 6b, 6c)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진동자(2)에서는 표면(2a)에 전극(7a, 7b, 7c)이 형성되고, 이면(2b)에 전극(8a, 8b, 8c)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극은 Z축방향을 따라 각 진동자(1, 2)의 장축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각 진동자(1, 2)의 진동구동방향은 X 방향(제 1 방향)이다. 각 진동자(1, 2)에 있어서 진동구동방향인 X 방향(제 1 방향)을 폭방향으로 하였을 때, 전극(5a, 5c, 6a, 6c, 7a, 7c, 8a, 8c)는 각각 진동자(1, 2)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전극(5b, 6b, 7b, 8b)은 각 진동자(1, 2)의 폭방향(X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도 5a는 압전재료에 유전분극을 실시할 때의 인가전계의 극성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전극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와 -로 나타내고, 그라운드전위를 G로 나타내고 있다. 양측의 진동자(1)에서는 표리양면에서 폭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전극 (5b, 6b)이 그라운드전위이다. 표면(1a)에서는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전극(5a, 5c)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면(1b)에서는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전극(6a, 6c)에 양의 전압이 인가된다. 중앙의 진동자(2)에서는 중앙에 위치하는 전극(7b, 8b)이 그라운드전위이다. 표면(2a)에서는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전극(7a, 7c)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면(2b)에서는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전극(8a, 8c)에 양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5a에 나타내는 화살표는 이 때의 전극사이에 주어지는 전계의 방향으로, 이 전계방향을 따라 유전분극이 실시된다.
이 압전진동자에서는 각 진동자(1, 2)의 전극(6b, 8b)이 검출전극으로서 사용된다. 이 검출전극(6b, 8b)은 진동자(1, 2)에 있어서 X 방향(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lb, 2b)에 형성되며, 또한 X 방향의 폭방향의 중심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자(1)에서는 검출전극(6b)의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X 방향의 좌우에서의 유전분극방향이 대칭이다. 마찬가지로 진동자(2)에서는 검출전극(8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X 방향의 좌우에서 유전분극방향이 대칭이다.
도 5b에서는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교류구동전압의 위상을 +와 -로 나타내고 있다. 한쪽 전극에 +의 표시가, 다른 전극에 -의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 이 두개의 전극에는 180도(π) 위상차의 교류구동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도 5b에 있어서의표는 압전효과에 의한 +의 왜곡(신장)를 나타내고, × 표는 -의 왜곡(수축)을 나타내고 있다.
도 5b의 구동방법에서는 전극(5b, 6a, 6c, 7b, 8a, 8c)을 그라운드 전위로 하고 있다. 또 각 진동자(1, 2)의 표면(1a, 2a)에 위치하는 전극(5a, 5c, 7a, 7c)이 구동전극이며, 이면(1b, 2b)의 중앙에 위치하는 전극(6b, 8b)이 검출전극이다.
교류구동전력으로서는 전극(5c, 7a)에 동위상의 전압이 인가되고, 전극(5a, 7c)에 동위상(상기와 역위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좌우양쪽의 진동자(1)의 표면(1a)에서는 어느 시점에 전극(5a, 5b)의 사이에서는 +의 왜곡()이 되고, 전극(5b, 5c)의 사이에서는 -의 왜곡(×)이 된다. 중앙의 진동자(2)에서는 표면(2a)에 있어서, 전극(7a, 7b)사이에서는 -의 왜곡(×)이 되고, 전극(7b, 7c)의 사이에서는 +의 왜곡()이 된다. 따라서 도 5b에 나타내는 어느 시점에서는 양쪽의 진동자 (1, 1)의 진폭방향이 +X 방향이 되고, 중앙의 진동자(2)의 진폭은 -X 방향이 되도록 굽힘진동을 발생한다. 즉, 양쪽의 진동자(1, 1)와 중앙의 진동자(2)는 서로 역위상으로 X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 압전진동자가 Z축 주위의 회전계내에 놓여지면, 코리올리력에 의해 진동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제 2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좌우의 진동자(1, 1)와 중앙의 진동자(2)는 X 방향으로 역위상으로 진동구동되어 있기 때문에 코리올리력에 의한 진동성분은 양쪽의 진동자(1, 1)와 중앙의 진동자(2)로 역위상이 되고, 예를 들어 양쪽의 진동자(1, 1)의 어느 시점에서의 진폭방향이 +Y 방향일 때, 중앙의 진동자(2)의 진폭방향은 -Y 방향이다.
상기 코리올리력에 의한 진동성분은 각 진동자(1, 2)의 이면(1b, 2b)의 폭방향의 중앙에 설치된 검출전극(6b, 8b)으로부터 얻어진다.
코리올리력에 의한 각 진동자의 진동성분에 있어서는 어느 시점에서 진동자 (1, 1)의 진폭방향이 +Y 방향인 경우, 검출전극(6b, 6b) 부분에서의 압전재료는「신장」이 되고, 중앙의 진동자(2)의 진폭방향은 -Y 방향이 되어 검출전극(8b)의 부분에서 압전재료는「수축」이 된다. 각 검출전극(6b, 8b, 6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유전분극방향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진동자의 Y 방향으로의 진동성분으로서 전극(6b, 6b)의 전류출력(I1, I2)이 같은 위상이 된다. 이것에 대하여 전극(8b)의 전류출력(I3)은 상기 전류출력(I1, I2)과는 역위상으로서 검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압전진동자에서는 각 진동자(1, 1, 2)의 표면(1a, 2a)및 이면(1b, 2b)의 각각에 한 쌍의 구동용 전극(5a, 5c, 7a, 7c) 및 출력전극(6a, 6c) 및 출력전극(8a, 8c)을 설치하고, 또 상기 각 한 쌍의 구동전극사이에 그라운드용 전극(5b, 7b) 및 검출전극(6b, 8b)을 설치한 구성으로, 1개의 진동자에는 표리양면에서 6개의 전극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유전분극 및 전극의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또한 각 전극에 대한 배선도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또 각 진동자의 표면(1a, 2a) 및 이면(1b, 2b)에 형성된 각 전극사이의 간격치수(연면거리)가 매우 접근한 구조로 된다.
그런데 상기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진동자내의 유전분극은 각 전극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전극사이의 간격치수가 가깝고 전극의 형상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상기 균일하지 않은 부분에 절연파괴에 의한 방전이 생겨 전극이 파괴된다는 제조상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는 이와 같은 전극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전압으로 유전분극을 생성하면 유전분극이 충분히 행하여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즉, 각 전극을 형성할 때의 공차에 의해 각 전극이 X 방향으로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각 전극의 양쪽의 유전분극을 완전히 대칭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검출전극이 어느방향으로 치우치게 될지 예측할 수 없으며, 또 유전분극방향의 대칭성에 관해서도 그 오차를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각 검출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X 방향으로의 진동성분의 극성은 랜덤 하며, 어떠한 극성으로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검출전극으로부터의 전류출력(I1, I2, I3)이 상기한 검출회로에 인가된 경우, X 방향으로의 진동성분이 가산되어 증폭되는 일도 있으며, 또는 감산되어 작아지는 일도 있다. 즉, 검출전극의 형성위치에 오차가 있는 것 같은 경우에 실제로 동작시켜 보지 않으면 어느 정도의 X 방향으로의 진동성분이 검출출력에 포함되는 것인지 예측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코리올리력의 검출정밀도가 낮아져 Z축 주위의 각속도(ω)의 검출감도도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전극수를 줄인 압전진동자를 구동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유전분극을 용이하게 생성한 각 진동자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진동자의 전극수를 줄였을 때 진동자의 진폭방향으로의 진동성분을 상쇄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이로스코프에 있어서의 압전진동자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실시형태로서, 분극방향과 구동계의 전기배선을 나타내는 압전진동자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중앙의 진동자와 검출계의 회로구성과의 접속도,
도 3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실시형태로서, 분극방향과 구동계의 전기적 배선을 나타내는 압전진동자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중앙의 진동자와 검출계의 회로구성과의 접속도,
도 4는 종래의 압전진동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도 4에 나타내는 압전진동자를 5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
도 5b는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0, 10B : 압전진동자 10u, 10v, 10w : 진동자
10a, 10b, 11a, 11b : 전극(구동전극)
10c, 10d, 11c, 11d : 전극(검출전극)
20, 21, 40, 41 : I/V(전류/전압)변환수단
E, E1, E2 : 교류구동신호원 Ic, Id : 전류출력
Vc, Vd : 전압출력
본 발명은 한쪽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구동전극과 다른쪽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검출전극을 가지며, 상기 한쪽 면과 다른쪽면의 사이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유전분극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구동전극을 서로 역상이 되는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계와, 상기 한 쌍의 검출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전류출력을 전압출력으로 각각 변환하는 한 쌍의 I/V 변환수단 및 상기 각 I/V 변환수단의 각 전압출력끼리를 가산하는 가산수단을 구비한 검출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진동자의 한쪽 면(표면)에 한 쌍의 검출전극을, 다른쪽 면(이면)에 2개의 검출전극을 생성한 구성이기 때문에 적어도 3개의 전극을 형성하는 종래와 비교하여 각 전극사이의 거리치수(연면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극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도 전극파괴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설계대로 각 유전분극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 1개의 진동자에 형성하는 전극의 수는 4개로 충분하게 된다. 또는 양쪽의 진동자의 검출전극을 직접 기준전위에 접속하는 것에서는 검출측의 전극이 1개로 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이 경우 양쪽의 전극에 한하여 전극수를 적어도 3개 가지고 있으면 좋다. 이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전극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각 전극의 배선처리가 복잡하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유전분극방향이 일 방향으로 좋은 것에서는 한쪽 면(표면측)으로부터 다른쪽 면(이면측)을 향하여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유전분극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각 진동자사이의 유전분극의 상태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는 이미 일 방향에 유전분극이 형성되어 있는 압전재료를 압전진동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검출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출력도 진폭차가 적은 대략 균일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코리올리력의 검출정밀도도 높아져 Z축 주위의각속도(ω)의 검출감도도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한쪽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제 1 및 제 2 구동전극과다른쪽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제 1 및 제 2 검출전극을 가지며, 상기 한쪽면과 다른쪽 면의 사이에 유전분극이 실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전극에 서로 동상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계의 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전극으로부터 검출되는 각 전류출력을 전압출력으로 각각 변환하는 한 쌍의 I/V 변환수단 및 상기 각 I/V 변환수단의 각 전압출력끼리의 감산을 행하는 차동증폭수단을 구비한 검출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압전진동자가 상기 제 1 구동전극과 제 1 검출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과, 상기 제 2 구동전극과 제 2 검출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이 서로 역상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제 1 구동전극과 제 2 구동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과, 상기 제 1 검출전극과 제 2 검출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이 서로 역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접하는 진동자의 유전분극방향이 서로 역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1개의 교류구동신호에 의해, 양쪽 끝의 진동자와 중앙의 진동자를 교대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계의 회로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진동자의 한쪽 면이 구동전극만으로 이루어지고, 다른쪽 면이 검출전극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계와 검출계를 명확하게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리드선의 컬러표시에 의해 오배선을 바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이로스코프에 있어서의 압전진동자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실시형태로서, 분극방향과 구동계의 전기배선을 나타내며, 도 1의 압전진동자의 2화살표방향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중앙의 진동자와 검출계의 회로구성과의 접속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압전진동자(10)는 전체가 압전세라믹 등 압전재료로 형성된 탄성판의 앞부분(+Z측)에 서로 평행하게 분리된 3개의 진동자(10u, 10v, 1Ow)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양쪽의 진동자(10u, 10w)의 표면 (+Y 측)에는 구동전극(10a, 10b)이, 이면(-Y 측)에는 전극(10c, 1Od)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앙의 진동자(1Ov)의 표면에는 전극(1la, 11b)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면에는 전극(11c, 1ld)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전극은 압전진동자(10)의 길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각 진동자(1Ou, 1Ov, 1Ow)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설치되어 있다.
또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진동자(10) 내부의 유전분극방향은 모든 진동자(10u, 10v, 10w)에 있어서 동일방향, 즉 표면(+Y 측)으로부터 이면(-Y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Y 측)으로부터 표면(+Y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자(10u, 10v, 10w)의 표면측 전극(10a, 1lb)은 교류구동신호원(E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극(10b, 11a)은 교류구동신호원(E2)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전극(1Oa, 10b, 11a, 1lb)은 구동측의 전극으로 되어 있다. 한편 진동자(1Ou, 1Ov, 1Ow)의 이면측 전극(1Oc, 1Od, 11c, 11d)은 모두 검출측의 전극으로서 사용된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계는 상기 교류구동신호원(E1, E2)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위상이 180도 다른 역상의 신호원이다. 한편 검출계는 2개의 I/V 변환수단(20, 21)과 1개의 가산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I/V 변환수단(20, 21)은 오피앰프 등의 연산증폭기(20A, 21A)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연산증폭기(20A, 21A)는 반전단자(- 단자)(20a, 21a), 비반전단자(+ 단자)(20b, 21b) 및 출력단자(20c, 21c)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앙의 진동자 (10v)의 전극(11d, 11c)이 연산증폭기(20A, 21A)의 반전단자(20a, 21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연산증폭기(20A, 21A)의 반전단자(- 단자)(20a, 21a)와 출력단자(20c, 21c)의 사이에는 저항(Rl, R2)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또 비반전단자(+ 단자)(20b, 21b)는 그라운드 등의 기준전위(Vref)에 접속되어 있다. 단, 반드시 비반전단자(+ 단자)(20b, 21b)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불변적인 전위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연산증폭기(20A, 21A)의 반전단자(20a)와 비반전단자(20b)의 사이 및 반전단자(21a)와 비반전단자(21b)의 사이는, 연산증폭기의 특성상 입력임피던스가 매우 높다. 그 한편 상기 반전단자(21a)와 비반전단자(20b)의 사이 및 반전단자 (21a)와 비반전단자(21b)의 사이에는 각각 가상접지(가상단락)상태가 되기 때문에 반전단자(20a, 21a)의 전위는 기준전위(Vref)로 설정된다. 즉, 전극(11C, 11d)과 기준전위(Vref)의 사이는 임피던스가 매우 높아 그 사이에 전류는 흐르기 어려우나, 서로의 전위는 동전위로 설정된 상태에 있다.
한편, 가산수단(30)은 반전단자(- 단자)(30a), 비반전단자(+ 단자)(30b) 및 출력단자(30c)를 가지는 오피앰프 등의 연산증폭기(30A)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전단자(30a)와 출력단자(30c)의 사이에는 저항(R5)이 설치되어 있다. 또 비반전단자(30b)는 기준전위(Vref)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증폭기(20A)의 출력단자(20c)와 연산증폭기(30A)의 반전단자(30a)가 저항(R4)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연산증폭기(21A)의 출력단자 (21c)와 연산증폭기(30A)의 반전단자(30a)가 저항(R3)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양쪽의 진동자(1Ou, 1Ow)의 각 전극(1Oc, 1Od)은 상기 중앙의 진동자 (10v)와 같이 I/V 변환수단(20, 21) 및 가산수단(30)으로 이루어지는 검출계를 구성하더여도 좋고, 또는 각 전극(lOc, 1Od)을 기준전위(Vref)에 접속하여 두어도 좋다.
이하에 있어서는 양쪽의 진동자(1Ou, 1Ow)의 각 전극(1Oc, 1Od)은 기준전위(Vref)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교류구동신호원(E1, E2)으로부터 교류구동신호(S1 및 S2)가 압전진동자 (10)의 전극(1Oa, 11b) 및 전극(1Ob, 11a)에 공급된다. 양쪽의 진동자(10u, 10w)에서는 교류구동신호원(El, E2)은 교류구동신호원(El, E2) →전극(10a, 10b) →진동자(10u, 10w) →전극(10c, 10d) →기준전위(Vref) →교류구동신호원(El, E2)의 루프를 각각 형성한다. 한편, 중앙의 진동자(10v)에서는 교류구동신호원(El, E2) →전극(11b, 11a) →진동자(10v) →전극(11d, 11c) →연산증폭기(20A)의 반전단자 (20a), 연산증폭기(21A)의 반전단자(21a) →연산증폭기(20A)의 비반전단자(20b), 연산증폭기(21A)의 반전단자(21b) →기준전위(Vref) →교류구동신호원(El, E2)의 루프가 된다.
여기서 어느 시점의 교류구동신호(S1, S2)의 위상을(+) 및 (-)로 나타내고, 이것을 구동측의 전극에 부착하기로 한다. 즉, 어느 전극에 (+)가 부착되어 잇는 경우에는 그 전극은 기준전위(Vref)와 비교하여 전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준전위(Vref)와 비교하여 그 전극의 전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와 마찬가지로표를 압전효과에 의한 +의 왜곡(신장), ×표를 -의 왜곡(수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시점에 있어서 교류구동신호(S1)가 (+),S2가 (-)라고 하면, 전극(1Oa, 11b)이 (+)가 되고, 전극(1Ob, 11a)이 (-)가 된다.
그 결과, 좌우양쪽의 진동자(1Ou, 1Ow)의 표면에서는 어느 시점에서 전극 (1Oa)측이 +의 왜곡()이 되고, 전극(1Ob)측이 -의 왜곡(×)이 된다. 중앙의 진동자(1Ov)의 표면에서는 전극(11a)측이 -의 왜곡(×)이 되고, 전극(11b)측이 +의 왜곡()이 된다. 따라서 도 2a에 나타내는 어느 시점에서는 양쪽의 진동자(10u, 1Ow)의 진폭방향이 +X 방향이 되고, 중앙의 진동자(1Ov)의 진폭은 -X 방향이 되도록 굽힘진동을 발생한다. 즉, 양쪽의 진동자(1Ou, 1Ow)와 중앙의 진동자(1Ov)는 서로 역위상으로 X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 이때 검출측의 전극(11c, 11d)에서는 전류출력(Ic, Id)이 검출된다. 즉, 어느 시점에서 중앙의 진동자(1Ov)의 진폭방향이 -X 방향으로 진동하면 전극(11c)측이 -의 왜곡(×)이 되고, 전극(11d)측이 +의 왜곡()이 되며, 또한 좌우에서 분극방향이 같기 때문에 전극(11c)의 전류출력(Ic)과 전극(11d)의 전류출력(Id)은 서로 역상이 된다.
또 전극(11c, 11d)은 같은 진동자(1Ov)에 설치되기 때문에 진동자(1Ov)가 X 방향으로 구동되면 전류출력(Ic, Id)에는 X 방향의 동상의 구동성분이 겹쳐진다.
이 자이로스코프가 Z축 주위의 회전계내에 놓여지면, 코리올리력이 진동방향 (X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제 2 방향)으로 작용한다. 양쪽의 진동자(10u, 1Ow)와 중앙의 진동자(1Ov)는 X 방향으로 역위상으로 진폭되어 있기 때문에 Y 방향에 생기는 코리올리력에 의한 진동성분은 양쪽의 진동자(10u, 10w)와 중앙의 진동자(1Ov)에 의해 역상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어느 시점에서의 양쪽의 진동자 (10u, 10w)의 진폭방향이 +Y 방향일 때 중앙의 진동자(10v)의 진폭방향은 -Y 방향이 된다.
따라서 어느 회전계에 놓여진 압전진동자(10)에 +Y 방향으로 코리올리력이 작용하고 있는 시점에 있어서, 중앙의 진동자(1Ov)의 진폭방향이 -X 방향으로 진동하면 전극(11c)측에는 -X 방향으로의 수축에 의한 -의 왜곡(×)과 +Y 방향으로의 신장에 의한 +의 왜곡()이 생긴다. 한편, 전극(11d)측에는 -X 방향으로의 신장에 의한 +의 왜곡()과 +Y 방향으로의 신장에 의한 +의 왜곡()이 생긴다. 즉, 전류출력(Ic, Id)에는 X 방향으로의 진폭성분과 Y 방향으로의 코리올리력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전극(11c, 11d)의 전류출력(Ic, Id)는 I/V 변환수단(20, 21)에 의해 전압출력(Vc, Vd)으로 변환된다. 연산증폭기(20A, 21A) 자체의 입력임피던스는 매우 높기 때문에 전류출력(Ic, Id)은 저항(R1, R2)으로 모두 흘러든다. 따라서 I/V 변환수단(20, 21)에서는 전류출력(Ic, Id)이 전압출력(Vc, Vd)으로 변환되어, Vc = -Ic·R2, Vd = -Id·R1로 표시된다. 또 R1 = R2 = R이라 하면, Vc = -Ic·R, Vd = - Id·R가 된다.
그리고 이들 전압출력(Vc, Vd)은 가산수단(30)에 있어서 가산증폭되나, 그 출력(Vout)은,
Vout = (Vc + Vd) ·R5/R4
= ((-Ic·R) + (-Id·R))·R5/R4
= -(Id + Ic) ·R·R5/R4
가 된다.
단, 전류출력(Id)과 전류출력(Ic)의 위상은 서로 위상이 180도 다르기 때문에 결국 출력(Vout)은 전류출력(Id)과 전류출력(Ic)의 차를 증폭((R·R5/R4)배) 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 가산수단(30)으로 전류출력(Id)과 전류출력(Ic)을 가산함으로써 전류출력(Ic, Id)에 포함되어 있는 X 방향의 진동에 의한 동상의 구동성분을 상쇄할 수 있다.
또 압전진동자(10)의 유전분극방향은 일 방향에 모여 있으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수정 등의 자발분극을 가지는 재료를 그대로 진동자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실시형태로서 분극방향과 구동계의 전기적배선을 나타내는 압전진동자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중앙의 진동자와 검출계의 회로구성의 접속도이다.
상기 도 2a의 압전진동자와 도 3a의 압전진동자는 그 유전분극 방향만이 다르다. 즉, 도 3a에 나타내는 압전진동자(10B)의 각 진동자(10u, 10v, 10w)의 표면 (+Y 측)에는 전극(10a, 10b, 11a, 11b, 10a, 10b)이 설치되고, 이면(-Y 측)에 전극(10c, 10d, 11c, 11d, 1Oc, 1Od)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쪽의 진동자(1Ou, 1Ow)의 유전분극은 전극(1Oa)으로부터 전극(1Ob)방향, 전극(1Oa)으로부터 전극 (1Oc)방향, 전극(10d)으로부터 전극(10b)방향 및 전극(10d)으로부터 전극(10c)방향의 4방향으로 각각 실시되어 있다. 또 중앙의 진동자(1Ov)의 유전분극은 전극(11b)으로부터 전극(11a)방향, 전극(11b)으로부터 전극(11d)방향, 전극(11c)으로부터 전극(11d)방향 및 전극(11c)으로부터 전극(11a)방향의 4방향으로 각각 실시되고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계는 교류구동신호원(E)뿐이며, 각 진동자(10u, 10v, 10w) 표면(+Y 측)의 모든 전극(10a, 1Ob, 11a, 11b)에는 상기교류구동전원(E)으로부터 동일한 구동신호(S)가 공급되고 있다.
또 각 진동자(10u, 10v, 10w)의 이면(-Y 측)의 전극(10c, 10d, 11c, 11d)은 검출전극으로서 사용된다. 도 3b에서는 각 진동자(1Ou, 1Ov, 1Ow)중, 상기와 마찬가지로 중앙의 진동자(1Ov)만이 나타나고, 중앙의 진동자(1Ov)의 전극(11c, 11d)이 검출전극으로서 나타나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자이로스코프의 검출계는 2개의 I/V 변환수단(40, 41)과 1개의 차동증폭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I/V 변환수단(40, 41)은 상기의 I/V 변환수단(20, 21)과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중앙의 진동자(1Ov)의 전극(11c, 11d)은 I/V 변환수단(40, 41)을 구성하는 연산증폭수단(40A, 41A)의 가상접지(가상단락)에 의해 기준전위(Vref)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양쪽의 진동자(1Ou, 1Ow)의 출력측의 각 전극(1Oc, 1Od)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I/V 변환수단(40, 41) 및 차동증폭수단(50)으로 이루어지는 검출계를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각 전극(10c, 10d)를 기준전위(Vref)에 직접 접속하여 두어도 좋다.
차동증폭수단(50)은 오피앰프 등의 연산증폭기(50A)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고, 연산증폭기(50A)의 반전단자(- 단자)(50a)와 출력단자(50c)의 사이에 저항(R5)이 설치되어 있다. 또 비반전단자(+ 단자)(50b)는 저항(R6)을 거쳐 기준전위(Vref)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I /V 변환수단(40)의 연산증폭기(40A)의 출력단자(40c)와 상기 연산증폭기(50A)의 반전단자(- 단자)(50a)의 사이가 저항(R3)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또 I/V 변환수단(41)의 연산증폭기(41A)의 출력단자(41c)와 상기 연산증폭기(50A)의 비반전단자(50b)의 사이가 저항(R4)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각 진동자(1Ou, 1Ov, 1Ow) 표면측의 전극(1Oa, 1Ob, 11a, 11b)에 구동신호 (S)가 공급되면 각 진동자(1Ou, 1Ov, 1Ow)가 진폭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진동자(10u, 10v, 10w)에서는 유전분극방향이 전극[1Oa(11a)]측과 전극[1Ob(11b)]측에서는 반대이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 (+)의 교류구동신호(S)가 각 전극에 인가되었을 때 진동자(1Ou, 1Ow)의 표면에서 전극(1Oa)측이 +의 왜곡()이 되면, 전극(1Ob)측은 -의 왜곡(×)이 된다. 또 중앙의 진동자(1Ov)의 표면에서는 전극(11a)측이 -의 왜곡(×)이 되고, 전극(11b)측이 +의 왜곡()이 된다. 따라서 도 3b에 나타내는 어느 시점에서는 양쪽의 진동자(1Ou, 1Ow)의 진폭방향이 +X 방향이 되고, 중앙의 진동자(1Ov)의 진폭은 -X 방향이 되도록 굽힘진동을 발생한다. 즉, 이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낸 압전진동자(10B) 에 있어서도 양쪽의 진동자(10u, 10w)와 중앙의 진동자(1Ov)는 서로 역위상으로 X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 이때 검출측의 전극(11c, 11d)으로부터 전류출력(Ic, Id)을 검출할 수 있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진동자(1Ov)에 있어서 유전분극방향이 전극[1Oa(11a)]측과 전극[1Ob(11b)]측에서는 반대이기 때문에 전극 (11c)의 전류출력(Ic)과 전극(11d)의 전류출력(Id)은 동상이 된다.
또한, 이 전류출력(Ic, Id)에도 진동자(1Ov)가 X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한 X 방향의 동상 구동성분이 겹쳐져 있다.
상기 전극(11c, 11d)에서 검출되는 전류출력(Ic, Id)은 I/V 변환수단(40, 41)에 의해 전압출력(Vc, Vd)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변환후의 전압출력(Vc, Vd)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각 Vc = -Ic·R2, Vd = -Id·R1로 표시된다. 또 R1 = R2 = R 이라 하면, Vc = -Ic·R, Vd = -Id·R 이다.
그리고 이들 I/V 변환수단(40, 41)의 전압출력(Vc, Vd)은 차동증폭수단(50)에 있어서 감산되어 더욱 증폭되나, 그 출력(Vout)은,
Vout = (Vc-Vd) ·R5/R3
= - ((-Ic·R) - (-Id·R)) ·R5/R3
= (Ic-Id) ·R·R5/R3
이 된다.
그리고 전류출력(Ic)과 전류출력(Id)의 위상은 서로 동상이기 때문에 출력 (Vout)은 전류출력(Ic)과 전류출력(Id)의 차를 증폭((R·R5/R3)배)한 것이 되고,이것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결과이다.
즉, 이 차동증폭수단(50)에서는 전류출력(Id)과 전류출력(Ic)이 감산됨으로써 X 방향의 진동에 의한 동상의 구동성분을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코리올리력에 비례한 각속도를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진동자의 표면 및 이면의 어스전극(중앙의 전극)을 제거하여도 진동시킬 수 있고, 또 코리올리력에 비례한 출력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의 제조공정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전극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진동자에 대한 배선이 번잡해지는 일이 없다.
또 중앙의 전극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각 전극사이의 간격치수(연면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극사이의 절연내압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각 전극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또한 고전압을 인가하여도 방전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충분한 유전분극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 판형상 진동자의 한쪽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구동전극과 다른쪽 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검출전극을 가지고, 상기 한쪽 면과 다른쪽 면의 사이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유전분극된 적어도 1개이상의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로서,상기 한 쌍의 구동전극에 서로 역상이 되는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계와, 상기 한 쌍의 검출전극으로부터 검출되는 각 전류출력을 전압출력으로 각각 변환하는 한 쌍의 I/V 변환수단 및 상기 각 I/V 변환수단의 각 전압출력끼리를 가산하는 가산수단을 구비한 검출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인접하는 진동자의 유전분극방향이 서로 역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각 진동자의 한쪽 면이 구동전극만으로 이루어지고, 다른쪽 면이 검출전극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판형상 진동자의 한쪽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제 1 구동전극과 상기 제 1 구동전극과 평행하게 연장설치된 제 2 구동전극과, 다른쪽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제 l 검출전극과 상기 제 1 검출전극과 평행하게 연장설치된 제 2 검출전극을 가지고, 상기 한쪽 면과 다른쪽면의 사이에 유전분극이 실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로서,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전극에 서로 동상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계 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전극으로부터 검출되는 각 전류출력을 전압출력으로 각각 변환하는 한 쌍의 I/V 변환수단 및 상기 각 I/V 변환수단의 각 전압출력끼리의 감산을 행하는 차동증폭수단을 구비한 검출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압전진동자가, 상기 제 1 구동전극과 제 1 검출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과 상기 제 2 구동전극과 제 2 검출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이 서로 역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구동전극과 제 2 구동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과 상기 제 1 검출전극과 제 2 검출전극 사이의 유전분극방향이 서로 역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인접하는 진동자의 유전분극방향이 서로 역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각 진동자의 한쪽 면이 구동전극만으로 이루어지고, 다른쪽 면이 검출전극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149806 | 1999-05-28 | ||
JP11149806A JP2000337881A (ja) | 1999-05-28 | 1999-05-28 | ジャイロスコープの駆動検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9745A KR20010029745A (ko) | 2001-04-16 |
KR100397105B1 true KR100397105B1 (ko) | 2003-09-06 |
Family
ID=1548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8542A KR100397105B1 (ko) | 1999-05-28 | 2000-05-26 |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288474B1 (ko) |
EP (1) | EP1055909B1 (ko) |
JP (1) | JP2000337881A (ko) |
KR (1) | KR100397105B1 (ko) |
DE (1) | DE60038204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0821B2 (ja) * | 1999-10-29 | 2004-04-1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振動ジャイロ用自己診断回路 |
JP2004101255A (ja) * | 2002-09-06 | 2004-04-02 | Toyo Commun Equip Co Ltd | 圧電体振動ジャイロセンサ |
US7293112B2 (en) * | 2002-11-12 | 2007-11-06 |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 Graphical program node for displaying acquired images |
US8185840B2 (en) | 2003-08-15 | 2012-05-22 |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 Mixed signal analysis system and method of use |
KR100879156B1 (ko) * | 2004-01-20 | 2009-01-19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물리량 측정 장치 |
US7673512B2 (en) * | 2006-10-30 | 2010-03-09 | Sony Corporation | Angular velocity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
US8004165B2 (en) * | 2007-09-05 | 2011-08-23 | Seiko Epson Corporation | Tuning fork oscillating piece, tuning fork oscillator, and acceleration sensor |
JP5752441B2 (ja) | 2011-02-25 | 2015-07-2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駆動回路、物理量検出装置、角速度検出装置、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
JP5638419B2 (ja) | 2011-02-25 | 2014-12-1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信号処理回路、物理量検出装置、角速度検出装置、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
JP5975601B2 (ja) | 2011-02-25 | 2016-08-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検出回路、物理量検出装置、角速度検出装置、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
CN103620343B (zh) * | 2011-07-04 | 2016-06-08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振子及振动陀螺仪 |
JP5810685B2 (ja) * | 2011-07-05 | 2015-11-1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振動子および振動ジャイロ |
KR101354782B1 (ko) * | 2012-05-25 | 2014-01-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자이로 센서 신호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06965A (en) * | 1981-05-12 | 1983-09-27 | The Singer Company | Dither pick-off transducer for ring laser gyroscope |
JPH0783671A (ja) * | 1993-07-22 | 1995-03-28 | Yoshiro Tomikawa | 振動型ジャイロスコープ |
JP2780643B2 (ja) * | 1994-06-03 | 1998-07-3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振動ジャイロ |
US5708320A (en) * | 1994-10-28 | 1998-01-13 | Alps Electric Co., Ltd | Vibratory gyroscope |
US5719460A (en) * | 1994-11-28 | 1998-02-17 | Nippondenso Co., Ltd | Angular velocity sensor |
JPH08233578A (ja) | 1995-02-28 | 1996-09-13 | Alps Electric Co Ltd | 振動型ジャイロスコープ |
JP3369033B2 (ja) * | 1995-08-31 | 2003-01-2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振動型ジャイロスコープ |
US6018212A (en) * | 1996-11-26 | 2000-01-25 | Ngk Insulators, Ltd. | Vibrator, vibratory gyroscope, and vibration adjusting method |
JP3288597B2 (ja) * | 1997-01-27 | 2002-06-0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振動型ジャイロスコープ |
JPH1194554A (ja) * | 1997-09-17 | 1999-04-09 | Fujitsu Ltd | 音叉型圧電振動ジャイロ |
-
1999
- 1999-05-28 JP JP11149806A patent/JP2000337881A/ja not_active Withdrawn
-
2000
- 2000-05-24 DE DE60038204T patent/DE60038204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5-24 EP EP00304409A patent/EP105590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5-25 US US09/578,989 patent/US62884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5-26 KR KR10-2000-0028542A patent/KR1003971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0038204D1 (de) | 2008-04-17 |
EP1055909A3 (en) | 2003-10-22 |
JP2000337881A (ja) | 2000-12-08 |
US6288474B1 (en) | 2001-09-11 |
EP1055909A2 (en) | 2000-11-29 |
DE60038204T2 (de) | 2009-03-12 |
EP1055909B1 (en) | 2008-03-05 |
KR20010029745A (ko) | 2001-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7105B1 (ko) | 자이로스코프의 구동검출장치 | |
KR100267815B1 (ko) | 진동자이로스코프 | |
JP3739492B2 (ja) | 音叉型圧電振動ジャイロ | |
KR970002319A (ko) | 진동 자이로스코프 | |
US6205857B1 (en) | Angular velocity sensing device | |
JP2000205861A (ja) | 振動ジャイロ | |
KR100198308B1 (ko) | 진동 자이로스코프 | |
JP5041465B2 (ja) | 振動子駆動回路 | |
JP2996157B2 (ja) | 振動ジャイロ | |
JP2003114127A (ja) | 振動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振動ジャイロ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 |
JPH07139952A (ja) | 振動ジャイロ | |
EP0674152B1 (en) | Angular velocity detection circuit for vibratory gyroscopes | |
US7053534B2 (en) | Piezoelectric vibration gyro-sensor | |
KR100310140B1 (ko) | 진동자이로스코프 | |
JP3265840B2 (ja) | 圧電振動子の駆動検出回路 | |
JPH1123611A (ja) | 静電トルカ型加速度計 | |
JP3766730B2 (ja) |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振動ジャイロスコープ | |
JP3732602B2 (ja) |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振動ジャイロスコープ | |
KR100368719B1 (ko) | 압전진동자 및 이것을 이용한 신호검출장치 | |
JP2557286B2 (ja) | 圧電振動ジャイロ | |
JP3690448B2 (ja) | 圧電振動ジャイロ用圧電振動子 | |
JP3732601B2 (ja) |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振動ジャイロスコープ | |
JP2540098Y2 (ja) | 圧電振動ジャイロ装置 | |
JPH06265358A (ja) | 圧電振動ジャイロ用駆動検出回路 | |
JP3211183B2 (ja) | エネルギー閉込め振動モードを利用した圧電振動ジャイ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7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