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302B1 - 전력증폭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증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302B1
KR100394302B1 KR10-1998-0046349A KR19980046349A KR100394302B1 KR 100394302 B1 KR100394302 B1 KR 100394302B1 KR 19980046349 A KR19980046349 A KR 19980046349A KR 100394302 B1 KR100394302 B1 KR 10039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amplifier
output amplifier
curre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539A (ko
Inventor
겐이찌 고꾸보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33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e.g. bootstrapping the voltage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81Duplicated single-ended push-pull arrangements, i.e. bridg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BTL 구동형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의 효율화를 도모한다.
출력 직류 레벨이 어스 레벨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된 반파 신호로 부하를 BTL 구동하는 전력 증폭 장치에 있어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는 가산 회로(10)에서 가산되고, 2개의 출력 신호 중 높은 쪽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신호 c로서 발생한다. 출력 신호 c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증폭기(2)의 가변 전류원(8),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가변 전류원(9)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여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를 변화시킨다. 제1 출력 증폭기(1) 및 제2 출력 증폭기(2)의 출력 신호가 증대되었을 때에만, 상기 동작 전류를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전력 증폭 장치{POWER AMPL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를 저감시키도록 실시한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폭기의 중점(中点)전압을 전원 전압의 1/2로 설정하지 않고 어스에 매우 가까운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증폭기의 고효율화를 달성한 기술에 대해, 특개평6-338738호 공보에 개시되는 전력 증폭 장치가 있다. 이러한 전력 증폭 장치는 도 5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입력 신호는 제1 차동 증폭기(1)의 마이너스 입력 단자에 인가되고, 제1 차동 증폭기(1)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출력 단자로부터 상호 역상의 출력 신호가 발생한다. 제1 차동 증폭기(1)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출력 신호는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에서 증폭된다.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는 BTL 증폭기를 이루고,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에 의해 부하 RL이 BTL 구동된다.
또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는 비선형 가산 회로(4)에서 비선형 가산된다. 비선형 가산 회로(4)는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의 시가산(時加算) 회로로서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일 때 클램프 회로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비선형 가산 회로(4)의 출력 신호는 제2 차동 증폭기(5)의 마이너스 입력 단자에 인가되고, 플러스 입력 단자의 기준 전압 Vr과의 차에 따른 출력 신호가 제1 차동 증폭기(1)의 공통 단자 C에 인가된다. 상기 공통 단자 C는 제1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직류 전압을 정하기 위한 단자이고,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직류 전압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직류 전압이 어스 레벨에 가까운 전압으로 설정되고,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 a 및 b는 도 3의 (가) 및 (나)와 같은 반파 출력 신호가 된다.
또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 a 및 b는 가산 회로(6)에서 가산된다. 가산 회로(6)의 출력 신호 c는 스위칭 전원(7)에 인가되고, 가산 회로(6)의 출력 신호의 레벨에 따른 스위칭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에 추종하는 전원 전압 Vx가 발생한다. 즉, 도 3의 (다)와 같이, 전원 전압 Vx는 스위칭 전원(11)으로부터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 a 및 b의 상사형(相似形)이 된다. 그리고, 전원 전압 Vx는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에 인가된다.
도 5의 전력 증폭 장치에서는, 전원 전압 Vx를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레벨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시키고 있었으므로, 전력 절감화를 실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는 각각 정전류원의 정전류로 하고 있으므로, 전원 전압 Vx를 변화시키더라도, 전력 절감화를 크게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부하를 BTL 구동하는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와; 상기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비선형 가산하는 비선형 가산 회로와; 입력 신호를 증폭시킴과 동시에, 출력 직류 전압이 상기 비선형 가산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비선형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가산 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산 회로는 전압-전류 변환 회로를 포함하며, 출력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를 직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이 높아지면, 상기 동작 전류를 크게 하고, 상기 출력 레벨이 낮아지면 상기 동작 전류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산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전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산 회로는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고, 가산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가 제어된다. 특히,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이 높아지면 동작 전류를 크게 하고, 그 출력 레벨이 낮아지면 동작 전류를 작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가산 회로(10)의 구체 회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4는 가산 회로(10)의 다른 구체 회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종래 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차동 증폭 회로
2 : 제1 출력 증폭기
3 : 제2 차동 증폭기
4 : 비선형 가산 회로
5 : 제2 차동 증폭 회로
6, 10 : 가산 회로
7 : 스위칭 전원
8, 9 : 가변 전류원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참조 번호 8 및 참조 번호9는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가변 동작 전류를 발생하는 가변 전류원이고, 참조 번호 10은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고, 스위칭 전원(7)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를 발생시키는 가변 전류원(8 및 9)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산 회로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도 5의 종래 예와 동일한 소자에 대해서는 도 5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우선, 도 1의 전력 증폭 장치의 증폭 동작은 도 5의 종래예와 동일하며,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가산 회로(10)는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를 가산한다. 특히, 가산 회로(10)는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 a 및 b 중 출력 레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신호 a 및 b 중 한쪽의 출력 신호를 출력 신호 c로서 발생한다. 따라서, 가산 회로(10)의 출력 신호 c는 도 3의 (다)와 같이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 중 한쪽 출력 신호에 맞추어 레벨이 변화하는 신호로 된다.
가산 회로(10)의 출력 신호 c는 가변 전류원(8 및 9)에 인가되고, 가변 전류원(8 및 9)으로부터 발생하는 동작 전류의 크기는 출력 신호 c에 따라 변화한다. 가변 전류원(8 및 9)은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가 입력 신호가 없을때 최소 동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 최소한의 아이들링(idling) 전류를발생시킨다. 또한, 가변 전류원(8) 및 가변 전류원(9)의 출력 전류는 도 3의 (라)와 같이 출력 신호 c가 크면 커지고, 출력 신호 c가 작으면 작아진다.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레벨이 도 3의 (가) 및 (나)와 같이 변화하면,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는 도 3의 (라)와 같이 출력 신호 a 및 출력 신호 b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시키면, 입력 신호 레벨이 높고, 레벨이 높은 증폭 출력을 발생하는 경우,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입력 신호를 충분히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 레벨이 낮고 큰 증폭 능력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동작 전류를 낮게 하여 불필요한 동작 전류의 공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를, 그 출력 신호 a 및 b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동작 전류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가산 회로(10)의 출력 신호 c는 스위칭 전원(7)에 인가되고, 출력 신호 c에 따라서 스위칭 전원(7)은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전원(7)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원 전압 Vx는 도 3의 (다)와 같은 파형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전원 전압 Vx는, 도 3 (다)와 같이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한쪽 출력 신호의 레벨 변화에 맞추어 변화한다. 즉,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가 높은 경우 전원 전압 Vx가 높아지고, 출력 신호 a 및 출력 신호 b가 낮아지면 전원 전압 Vx도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소비 전력은 전원 전압 Vx와,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증폭기(3)에 흐르는 전류 즉 동작 전류와의 곱으로 정해진다. 도 1의 회로에서는,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레벨이 높으면 동작 전류 및 전원 전압 Vx의 양쪽이 높아져서 소비 전력은 증대하지만, 상기 출력 레벨이 낮으면 동작 전류 및 전원 전압 Vx의 양쪽이 낮아지므로 소비 전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동작 전류의 제어와 전원 전압 Vx의 제어를 조합시킴으로써, 더욱 낮은 소비 전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는 가산 회로(10)의 구체 회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참조 번호 21는 제1 출력 증폭기(2)의 출력 신호 a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 참조 번호 22는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 b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 참조 번호 23 및 24는 베이스가 트랜지스터(21 및 22)의 에미터에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에미터 및 콜렉터가 각각 공통 접속되는 트랜지스터, 참조 번호 25는 트랜지스터(23 및 24)의 콜렉터 전류를 반전하는 전류 미러 회로, 참조 번호 26은 베이스가 트랜지스터(21 및 22)의 에미터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 참조 번호 27은 전류 미러 회로(25)와 트랜지스터(26)의 에미터 간에 접속된 복수의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 참조 번호(28 및 29)는 전류 미러 회로(25)와 미러 접속된 트랜지스터, 참조 번호(30 및 31)는 각각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아이들링 전류를 발생시키는 정전류원, 참조 번호32 및 33은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콜렉터 전류를 반전시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에 공급하는 전류 미러 회로이다.
도 2에 있어서, 트랜지스터(21 및 22) 중, 예를 들면, 제1 출력 증폭기(2)의 출력 신호 a에 의해 트랜지스터(21)가 도통하면, 출력 신호 a에 대응한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21 및 23)의 베이스- 에미터 간 전압 Vbe 분만큼 낮아지고, 트랜지스터(23 및 24)의 공통 에미터에 (출력 신호 a - 2·Vbe)의 전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6) 및 복수의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27)가 온(on)하고 있으므로, 트랜지스터(23)의 에미터 전압은 트랜지스터(26 및 27)의 5배분의 베이스-에미터 간 전압 Vbe만큼 더 승압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 A로부터 제1 출력 증폭기(2)의 출력 신호 a를 레벨 시프트한 출력 전압 c가 발생하고, 출력 전압 c는 스위칭 전원(7)에 인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21)의 도통에 의해,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 전압이 상승하여, 트랜지스터(23)가 도통한다. 트랜지스터(23)의 콜렉터 전류는 전류 미러 회로(25)에서 반전된다. 트랜지스터(28 및 29)는 전류 미러 회로(25)에 미러 접속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출력 전류도 트랜지스터(23)의 콜렉터 전류를 반전시킨 전류가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콜렉터 전류는 전류 미러 회로(32 및 33)에서 각각 반전된다. 전류 미러 회로(32) 및 전류 미러 회로(33)의 출력 전류는 정전류원(30 및 31)의 아이들링 전류와 가산된 후,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로 흐른다. 따라서, 제1 출력 증폭기(2)의 출력 신호의 증대에 따라,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가 증가한다.
한편,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 b가 증대하여 트랜지스터(22)가 도통하면, 트랜지스터(22 및 24)의 Vbe에 의해 강압된 후, 트랜지스터(26 및 27)의 Vbe로 승압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 A로부터 출력 신호 b에 대응한 출력 전압 c가 발생한다. 또한, 트랜지스터(22)의 도통에 의해 다시 트랜지스터(23)가 도통하면, 트랜지스터(24)의 콜렉터 전류가 전류 미러 회로(25) 및 이것에 미러 접속된 트랜지스터(28 및 29)에서 반전된 후, 또 전류 미러 회로(32 및 33)에서 반전된다. 그 때문에,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가 증대한다.
또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가 낮을 때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콜렉터 전류도 작으므로, 정전류원(30 및 31)의 출력 전류는 입력이 없을때 맞추어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도 4는 가산 회로(10)의 다른 회로예이고, 참조 번호 34 및 35는 전원 전압측 Vcc로부터 출력 증폭기(2 및 3)에 일정한 동작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원이다.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로, 정전류원(34 및 35)의 출력 전류와,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콜렉터 전류와의 가산 전류가 공급된다.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가 증대하면,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콜렉터 전류도 증대하므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동작 전류가 증대하여,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을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증폭기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작을 때에는, 상기 동작 전류는 낮아져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제1 출력 증폭기(2) 및 제2 출력 증폭기(3)의 출력 신호가 낮을 때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콜렉터 전류도 작아지므로, 정전류원(34 및 35)의 출력 전류는 무입력 시에 맞추어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에 따라,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를 제어한다. 특히, 출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이 증대하면 동작 전류를 증대시키고, 출력 레벨이 감소하면 동작 전류를 감소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한 증폭 능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불필요 시에는 동작 전류를 삭감하여 소비 전류의 효율화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출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에 따라 출력 증폭기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면, 소비 전력의 효율화를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제1 및 제2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부하를 BTL 구동하는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비선형 가산하는 비선형 가산 회로와; 입력 신호를 증폭시킴과 동시에, 출력 직류 전압이 상기 비선형 가산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비선형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가산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회로는, 전압-전류 변환 회로를 포함하며, 출력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동작 전류를 직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이 높아지면 상기 동작 전류를 크게 하고, 상기 출력 레벨이 낮아지면 상기 동작 전류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의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전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장치.
KR10-1998-0046349A 1997-10-31 1998-10-30 전력증폭장치 KR100394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00564 1997-10-31
JP9300564A JPH11136039A (ja) 1997-10-31 1997-10-31 電力増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539A KR19990037539A (ko) 1999-05-25
KR100394302B1 true KR100394302B1 (ko) 2003-09-19

Family

ID=1788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349A KR100394302B1 (ko) 1997-10-31 1998-10-30 전력증폭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7888A (ko)
EP (1) EP0913928B1 (ko)
JP (1) JPH11136039A (ko)
KR (1) KR100394302B1 (ko)
DE (1) DE698336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4841B (en) * 1998-02-27 2002-11-20 Clive William Warder Read Power amplifier
JP3881448B2 (ja) * 1998-03-31 2007-02-14 株式会社東芝 電力増幅回路
US6476674B2 (en) * 2001-01-24 2002-11-05 Momentum Data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rrection of amplifier
KR20030005783A (ko) * 2001-07-10 2003-01-23 테크노전자산업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고효율 전력증폭기
US6731165B1 (en) 2003-01-06 2004-05-04 Daniel J. Marz Electronic amplifier
WO2004077661A1 (en) * 2003-02-25 2004-09-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amplifying device
JP4747862B2 (ja) 2006-02-07 2011-08-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出力回路
JP2008236542A (ja) * 2007-03-22 2008-10-02 Sanyo Electric Co Ltd 電力増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919A (en) * 1986-12-22 1988-01-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ass G bridge amplifier with unipolar supplies
JPH0821819B2 (ja) * 1990-08-30 1996-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増幅回路
US5471171A (en) * 1990-10-09 1995-11-28 Kabushiki Kaisha Toshiba Amplifier device capable of realizing high slew rate with low power consumption
JP3459442B2 (ja) * 1993-03-29 2003-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差動増幅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増幅装置
US5479134A (en) * 1993-09-20 1995-12-26 Rohm Co., Ltd. Power amplifier circuit for audio signal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US5451907A (en) * 1994-05-16 1995-09-19 Eni, Div. Of Astec America, Inc. Active bias for a pulsed power amplifier
JP3986105B2 (ja) * 1996-10-31 2007-10-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力増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3928A2 (en) 1999-05-06
DE69833619T2 (de) 2006-11-09
KR19990037539A (ko) 1999-05-25
JPH11136039A (ja) 1999-05-21
EP0913928B1 (en) 2006-03-01
EP0913928A3 (en) 2000-02-02
US6127888A (en) 2000-10-03
DE69833619D1 (de)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0410A (ko) 선형성 및 대역폭이 개선된 가변 이득 증폭기
KR100394302B1 (ko) 전력증폭장치
KR900013705A (ko) 회로 입력 신호의 차동 증폭용 전자회로
JPH02162812A (ja) 相補形カレント・ミラー回路を用いたダイアモンド・フォロワ回路及びゼロ・オフセットの増幅器
US4706039A (en) Amplifier arrangement
JPH0878975A (ja) コンパレータ回路
US5977829A (en) Low distortion current feedback amplifier with dynamic biasing
KR0160572B1 (ko) 저 전원 전압의 출력 구동기
KR100325900B1 (ko) 증폭회로
US4433307A (en) Power supply changeover type power amplifier
US3739292A (en) Amplifier circuit using complementary symmetry transistors
US4366447A (en) Push-pull amplifier circuit
JPS6228887B2 (ko)
US4451802A (en) Power amplifier
US4366448A (en) Power-amplifying circuit
JPH06276037A (ja) オーディオ用パワーアンプ
JPH09294033A (ja) 電力増幅装置
US4476444A (en) Power amplifier circuit
KR970013808A (ko) 무선송신기용 전력증폭기
JP3338334B2 (ja) 増幅回路
US5015887A (en) A-B buffer circuit with TTL compatible output drive
JP2568690B2 (ja) 定電流回路
JPS6214726Y2 (ko)
TW361009B (en)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KR900702645A (ko) 개선된 가변 손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