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035B1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035B1
KR100392035B1 KR10-2001-0045806A KR20010045806A KR100392035B1 KR 100392035 B1 KR100392035 B1 KR 100392035B1 KR 20010045806 A KR20010045806 A KR 20010045806A KR 100392035 B1 KR100392035 B1 KR 10039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wheel
paper sheet
bankno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984A (ko
Inventor
모찌즈끼아끼라
사또다다시
니이오까야스나리
가또리이찌
가이이미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21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8Feeding articles stored in rolled or folded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지엽류(紙葉類)의 방출을 행하는 지엽류 방출 기구에 있어서, 지엽류를 방출할 때 지엽류가 스크레이퍼를 빠져나가서 잼의 원인이 되는 장애가 있었다.
스크레이퍼를 제1 스크레이퍼와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제2 스크레이퍼에 의해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레이퍼와 휠 사이를 지엽류가 빠져나가는 장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상기의 빠져나감에 의한 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잼이 적은 고성능의 지엽류 수납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SHEET MATERIA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류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에 감겨진 지엽류를 방출하는 지엽류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272913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휠에 테이프와 지폐를 감음으로써 지폐를 수납하고, 반대로 되돌려 감음으로써 지폐를 방출한다. 휠로부터 지폐를 방출할 때는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에 의해서, 테이프와 함께 휠에 감겨진 지폐를 그 협지부로부터 박리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예는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가 변형함으로써, 휠 또는 휠에 감겨진 테이프의 외주면에 추종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스크레이퍼에 지폐가 충돌하여 재밍된 경우는 상기 탄성 부재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다. 본 과대한 힘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가 휠의 지폐 방출시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변형된 경우는, 탄성 부재의 선단부는 테이프와 함께 휠에 감겨진 지폐를 그 협지부로부터 박리하도록 지폐에 충돌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스크레이퍼의 본래의 목적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또, 상기 탄성 부재가 소성 변형하여 휠 또는 휠에 감겨진 테이프와의 접촉에 간극이 발생하거나 하는 점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또, 본 과대한 힘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가 변형되거나, 또는 파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탄성 부재의 강성을 강하게 하면, 휠에 감겨진 테이프의 외주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려는 추종성이 악화되어, 본래의 목적을 다하지 못한다.
또, 지폐의 스택 장수에 비례하여, 휠에 감겨진 테이프의 외주 반경은 커진다. 상기 외주 반경이 커지면 탄성 부재의 변형이 커지고, 상기 탄성 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 버린다.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와 상기 외주면은 항상 접촉하고 있지 않으면, 테이프와 함께 휠에 감겨진 지폐를 그 협지부로부터 박리시키는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보다 전체 스크레이퍼의 스프링 탄성을 작게 하면 항상 선단부가 접촉할 수 있지만, 이 경우는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초래하는 스크레이퍼의 효과가 없어져 버린다.
또, 선단부가 탄성 부재로 구성된 스크레이퍼에서는 휠에 감겨진 테이프의외주면에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요철의 지폐 방출시에 있어서의 휠의 회전 방향 하류측 근방에서는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와 휠에 감겨진 테이프의 외주면이 충분히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본 스크레이퍼는 지폐를 휠로부터 박리시킬 목적으로 구비되어 있지만, 본 스크레이퍼가 지엽류 방출시의 휠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변형되거나, 소성 변형되거나, 또는 휠에 감겨진 테이프의 외주면에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는 스크레이퍼 본래의 역할인 스크레이퍼 선단부가 휠에 감겨진 테이프의 외주면에 항상 접촉하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크레이퍼 선단부가 휠과의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하면서, 지엽류와의 잼 등의 경우에도 그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음으로써, 고성능의 지엽류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지폐 취급 장치에 적용한 일 실시예에 관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측면도(지폐 수납의 초기 상태).
도2는 본 발명을 지폐 취급 장치에 적용한 일 실시예에 관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측면도(지폐 수납의 완료 상태).
도3은 본 발명을 지폐 취급 장치에 적용한 일 실시예에 관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사시도(지엽류 수납의 초기 상태).
도4는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잼 제거 방법의 설명도.
도5는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스크레이퍼 거동의 제1 설명도.
도6은 지폐 수납 방출 기구의 스크레이퍼 거동의 제2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지폐 취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스크레이퍼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스크레이퍼의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
도10은 요철 형상의 단차와 튀어오름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 입구
2 : 감별 장치
3 : 지엽류 수납 방출 기구
4a : 장전 카세트
4b : 장전 리젝트고
5 : 환류 카세트
6 : 반송로
7 : 취출 망각 회수고
8 : 2장 검지 기구
9 : 운용 리젝트고
10 : 지엽류 취급 장치
11, 22 : 휠
12, 21 : 탄성 부재
13 : 공전 롤러
14 : 반송 롤러
15 : 스크레이퍼
16 : 보조 롤러
17 : 테이프
18 : 릴
19 : 가이드 롤러
20 : 지폐 가이드
23, 30 : 지폐
26 : 제1 스크레이퍼
27 : 회전 방향
28 : 제2 스크레이퍼
29 : 탄성 부재
31 : 가장 외주부
32 : 제2 스크레이퍼의 회전 각도
40 : 제1 각도
41 : 제2 각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휠에 감겨진 지엽류를 방출하는 지엽류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지엽류 방출 기구는 지엽류 방출시에 상기 휠에 감겨진 지엽류를 상기 휠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2단계 이상의 동작을 행하여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엽류 방출 기구는 지엽류 방출시에 상기 휠에 감겨진 지엽류를 상기 휠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 스크레이퍼와, 상기 제1 스크레이퍼의 다른 쪽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2 스크레이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지폐 취급 장치에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지폐 수납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폐 취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고객에 의한 입금 거래시의 지폐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객에 의해 치수가 다른 각종 혼재 지폐가 입출금 입구(1)에 일괄 투입되면, 입출금 입구(1)에서 한 장씩 분리되어 반송로(6)로 보내진다. 보내진 지폐는 2장 검지 기구(8)에 의해 한 장인지 또는 복수장 중합되어 있지는 않은지를 판단하고, 감별 장치(2)로 지폐 종류의 진위 등의 판별 후에 지폐 수납 방출 기구(3)에 각종 지폐가 혼재된 상태로 일시 수납된다.
고객에 의해 금액 확인이 얻어져서 입금 거래가 성립되면, 지폐 수납 방출 기구(3) 내의 각종 혼재된 지폐를 방출하여, 반송로(6)를 거쳐서 각종 지폐마다의 환류 카세트(5) 또는 입금 카세트(4)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 수납 방출 기구(3)는 지폐 취급 장치의 일시 스태커로서 사용되고 있다.
출금시에, 고객이 지폐를 꺼내는 것을 잊은 경우는 입출금 입구(1)에 있는 지폐를 분리 반송하여, 취출 망각 회수고(7)에 수납한다. 장전 카세트(4a) 또는 환류 카세트(5)로부터 분리 반송된 지폐가 2장 검지 기구(8) 또는 감별 장치(2)에 의해 사용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는 운용 리젝트고(9)에 수납된다. 4b는 장전리젝트고이며, 지폐를 장전했을 때 감별 이상이나 반송 이상이라고 판정된 지폐를 수납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지폐 수납 방출 기구(3)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지폐 수납 방출 기구(3)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2는 지폐 수납 방출 기구(3)에 있어서 지폐를 수납했을 때의 측면도, 도3은 지폐 수납 방출 기구(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를 릴(18)에 고정시키고, 감겨진 테이프(17)의 다른 일단부는 중간 롤러(35)(도3에 도시)의 외주면을 거쳐서 휠(11)에 부착되어 있다. 이 테이프의 폭은 지폐의 협지력, 수납 지폐의 면외(面外) 변형의 구속력, 테이프 강도 등으로부터 필요한 치수로 결정된다.
휠(11)과 동축에, 휠(11)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공전하는 보조 휠(11a)이 구비되어 있다(이점 쇄선으로 도3에 표시). 중간 롤러(35)와 동축에 반송 롤러(14)가 배치되고, 반송 롤러(14)는 축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 롤러(14)와 지폐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반송 롤러(14)에 압접되는 공전 롤러(13)가 배치되어 있다. 공전 롤러(13)와 반송 롤러(14)로 지폐를 협지하여 반송한다. 중간 롤러(35)의 상부에는 지엽류 박리 수단으로서 공전 롤러(13)의 축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2단계 구조의 스크레이퍼(15)가 배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15)는 공전 롤러(13)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12)(이하, 제1 탄성 부재)로 휠(11)에 압박되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는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가장외주부(31)(도2에 표시)에 접촉하고 있다.
또, 스크레이퍼(15)의 중간 위치에는 공전하는 보조 롤러(16)가 고정되어 있고, 보조 롤러(16)와 테이프(17), 또는 테이프(17)와 함께 휠(11)에 감겨지는 지폐는 접촉한다.
그리고, 지폐 수납시에 지폐를 휠(11)에 무리없이 따르게 하기 위한 지폐 가이드(20)가 요동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형상의 일부는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폐의 수납에 의한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외주면(31) 보다도 큰 원호 형상이다.
이 지폐 가이드(20)는 휠(11)에의 테이프(17)의 감김점 근방이며 또한 휠(11)의 양측면 근방에서 수납 지폐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19)를 구비하고, 지폐 가이드(20)가 지폐 가이드용 스프링(21)으로 상방, 즉 휠(11)의 방향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가이드 롤러(19)는 수납 지폐의 외주면에 압접된다.
휠(11), 릴(18)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릴축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토크 리미터를 구비하고, 테이프 장력이 대략 일정해지도록 제어하면서 회전 구동되어, 휠(11), 릴(18)의 각각에 테이프의 감기 및 되감기를 행할 수 있다.
테이프(17)의 두께는 매우 얇고, 또 테이프의 폭을 좁게 구성하며, 그리고 공전하는 보조 휠(11a)의 채용에 의해 휠(11) 축의 관성 부하를 저감하여, 지폐의 처리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2단계 구조의 스크레이퍼(15)의 동작을 설명한다.
휠(11)에 테이프(17)와 함께 감겨진 지폐(36)를 방출하는 경우, 지폐가 평탄한 상태이면 가이드 롤러(19)에 의해 지폐에 파형 변형이 부여되어, 통상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와 접촉하지 않고 휠로부터 박리되며, 보조 롤러(16)와 테이프(17)로 협지되어 지폐는 방출된다.
지폐의 강성이 현저하게 낮은 경우나, 잘려짐이나 접힘이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는 파형 변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19)의 변형력보다 변형 저항이 큰 경우 등에도 지폐에 대하여 파형 변형을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파형 변형은 스크레이퍼(15) 하면의 지폐 반송면을 향해서 지폐를 방출시키기 위해, 휠(11)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부여하는 변형이므로, 변형을 부여하지 못하거나 또는 유지할 수 없는 경우는 스크레이퍼(15)를 향해서 지폐가 진행하여, 스크레이퍼(15)와 지폐가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제2 스크레이퍼(28)는 강체이고, 또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지폐(36)와의 충돌에 의해 선단부가 변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지폐(36)는 스크레이퍼(15)와의 충돌후 진로를 바꾸어 스크레이퍼(15)의 하면, 즉 테이프(17)와 대향하는 면이 가이드로 되며, 상기 보조 롤러(16)와 상기 테이프(17)로 협지되어 방출된다(도4).
도5와 같이 휠(11)에 지폐(30)를 다수장 감은 경우, 휠에 감겨진 테이프(17)의 가장 외주부(31)의 형상은 적어도 원형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지폐에 접힘이나 잘려짐이 있는 경우나, 지폐의 반경 방향의 밀도의 차이로부터, 가장 외주부(31)에 요철 형상(37)이 생긴다.
이 경우, 요철 형상(37)에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가 접촉하면, 스크레이퍼(15)를 구성하는 제1 스크레이퍼(26)는 접촉시의 충격력으로 휠(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면 중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2 스크레이퍼(28)는 휠(11)의 가장 외주부(31)에 접촉하도록, 도면 중 회전 방향(B)으로 회전한다. 제2 스크레이퍼(28)가 휠(11)의 가장 외주부(31)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회전 방향(B)으로 회전함으로써, 후속 지폐를 방출할 수 있다(도6).
제2 스크레이퍼(28)가 없는 경우, 즉 스크레이퍼(15)가 2단계 구조가 아니라 일체 구조인 경우는 요철 형상(37)에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가 접촉했을 때, 그 충격력으로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와 가장 외주부(31)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며, 이 간극을 지폐가 빠져나가 버리는 장애의 원인이 된다.
또, 종래 기술과 같이 제2 스크레이퍼가 제1 스크레이퍼(26)의 선단부에 고정한 탄성 부재인 경우, 상기 제2 스크레이퍼에는 통상 초기적으로 변형이 부여되어 있다. 상술한 요철 형상(37)에 상기 제2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접촉한 경우는 그 충격력으로 제1 스크레이퍼(26)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초기 변형 반력으로 변형으로부터 복원되는 힘에 의해서 회전 방향(B)으로 복귀한다.
상기 제2 스크레이퍼가 변형으로부터 복원되고 있는 거동중에 지폐가 상기제2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에 돌입하면, 상기 제2 스크레이퍼가 탄성 부재이므로 변형하여 회전 방향(B)으로 구부러진 상태가 되어, 가장 외주부(31)와 통상 접촉하고 있었던 면의 이면이 가장 외주부(31)와 접촉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퍼 선단부의 탄성 부재의 강성을 크게 하면, 요철에 대한 추종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제시한 바와 같은 2단계 이상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크레이퍼(1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8 및 도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15)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레이퍼(15)의 제1 스크레이퍼(26)는 반송용 공전 롤러(13)로 회전 방향(27)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 등의 제1 탄성 부재(12)로 도면 중 상방, 즉 휠(11)에 밀어붙여지는 상태로 압박되어 탄성 지지되어 있다.
제2 스크레이퍼(28)의 회전 중심은 제1 스크레이퍼(26)의 선단부에 있고, 제1 스크레이퍼(26)와 제2 스크레이퍼(28)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29)(이하, 제2 탄성 부재)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탄성 결합되어 있다. 또, 제1 스크레이퍼(26)는 지폐 반송용 보조 롤러(1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크레이퍼(26)와 제2 스크레이퍼(28)는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소정 각도라 함은 제1 접촉 각도(40)와 제2 접촉 각도(41) 사이의 각도(32)이다. 즉, 제2 스크레이퍼(28)는 소정 각도(32) 내를 회전 가능하다. 통상, 각도(40)의 상태, 즉 도8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제2 스크레이퍼(28)와 휠(11)은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2 스크레이퍼(28)의 선단부는 테이프(17)의 폭방향으로 벌어진 2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테이프(17) 내의 폭방향으로 요철 및 경사가 있을 때도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스크레이퍼(15)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단계 구조의 스크레이퍼(15)는 그 선단부가 휠(11)의 가장 외주부에 접촉한다. 이 때, 제1 스크레이퍼(26)는 스프링 등의 제1 탄성 부재(12)에 의해서 휠(11) 방향으로 압박된다. 한편, 제1 스크레이퍼(26)의 선단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제2 스크레이퍼(28)는 스프링 등의 제2 탄성 부재(29)에 의해서 휠(11) 방향, 즉 가장 외주부와 접촉하도록 압박된다.
제2 탄성 부재(29)에 비해 제1 탄성 부재(12)의 강성이 커지도록 설정하고, 제2 스크레이퍼(28)의 선단부가 휠(11)의 가장 외주부에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제1 스크레이퍼(26)와 제2 스크레이퍼(28)의 각도는 도8에 도시한 각도(40)가 된다. 즉, 제1 스크레이퍼(26) 및 제2 스크레이퍼(28)는 모두 휠(1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서 힘이 작용되고 있다.
휠(11)에 지폐가 감겨져서 직경이 커질 때는 2단계 구조의 스크레이퍼(15)는 제1 스크레이퍼(26)의 제1 탄성 부재(12)에 의해서 휠의 가장 외주부에 추종하고, 제2 스크레이퍼(28)는 제1 스크레이퍼(26)와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제1 스크레이퍼(26)와 함께 회전한다.
이 때, 제1 스크레이퍼(26)는 제1 탄성 부재(12)의 신축에 의해서 휠(11)의 외주면에 추종한다. 제1 스크레이퍼(26)와 제2 스크레이퍼(28)를 접속하는 제2 탄성 부재(29)는 신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스크레이퍼(28)는 제1 스크레이퍼(26)에 대한 회전 가능한 범위의 한도, 즉 도8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를 유지한다.
스크레이퍼(15)를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가장 외주부(31)에 요철 형상(37)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대처 가능하다.
도10은 요철 형상(37)의 단차와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의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가장 외주부(31)로부터의 튀어오름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1단계 구조의 스크레이퍼와 2단계 구조의 스크레이퍼의 튀어오름량의 크기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는 지폐 2장분에 상당하는 단차, □는 지폐 3장분에 상당하는 단차, ◇는 지폐 4장분에 상당하는 단차이다. 이와 같이 요철의 단차가 커지면,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와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가장 외주부(31)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데, 스크레이퍼(15)를 2단계 구조로 함으로써, 튀어오름량은 작게 억제되고 추종성이 높아진다.
또, 탄성 부재의 종류에 있어서의 추종성의 차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장 외주부(31)에 요철 형상(37)이 존재하고, 이 요철 형상(37)에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가 접촉하면, 그 충격에 의해 제1 스크레이퍼(26)는 휠(11)로부터멀어지는 방향, 즉 도3에 도시한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서, 제2 스크레이퍼(28)는 그 선단부와 가장 외주부(31)의 접촉이 분리되므로, 제2 탄성 부재(29)의 작용에 의해 휠(11) 방향으로, 즉 도3에 도시한 회전 방향(B)으로 회전하여, 다시 가장 외주부(31)와 접촉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요철 형상(37)의 휠(11)의 회전 방향 하류측 근방에 존재하는 지폐라도 휠(11)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2단계 이상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크레이퍼를 설치함으로써, 요철 형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외주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높은 확실성으로 지폐를 방출할 수 있다.
다음에, 탄성 부재의 종류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퍼(15)의 추종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스크레이퍼(26)와 제2 스크레이퍼(28) 사이를 접속하는 제2 탄성 부재(29)는 강성이 너무 높으면,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가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가장 외주부(31)에 접촉할 때, 도8에 도시한 실선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제2 탄성 부재(29)의 강성은 도8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와 같이, 제2 스크레이퍼(28)가 휠(11) 방향으로 가동이 되는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가장 외주부(31)와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아야 한다.
한편으로, 요철 형상에 대한 추종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2 스크레이퍼(28)의선단부와 가장 외주부(31)의 접촉이 분리되었을 때의 응답 속도를 높이려면 강성이 높은 편이 좋다.
도10의 스프링 1, 스프링 2, 스프링 3은 제2 탄성 부재(29)의 강성이 다른 것이며, 스프링 1이 가장 강성이 낮은 탄성 부재이고, 스프링 3은 가장 강성이 높은 탄성 부재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의 수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반송로로부터 지폐(23)가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어 오면, 휠(1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릴(18)에 감겨져 있는 테이프(17)를 휠(11)에 감는다. 또, 중간 롤러(35)는 자신의 외주면에 감겨진 테이프(17)와의 마찰력으로 회전 구동하며, 중간 롤러(35) 축에 고정되어 있는 반송 롤러(14)와 공전 롤러(13)가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반송되어 오는 지폐(23)는 반송 롤러(14)와 공전 롤러(13)로 협지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고, 보조 롤러(16)와 테이프(17)로 협지되어 휠(11)의 외주면에 테이프(17)와 함께 감겨져 수납된다. 수납될 때 지폐를 휠(11)의 외주면에 무리없이 따르게 하도록 지폐 가이드(20)가 안내한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반송로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각종 혼재 지폐를, 휠(11)의 외주면에 지폐(30)가 테이프(17)와 함께 감겨짐으로써 순차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의 방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릴(18) 축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휠(11)에지폐(30)와 함께 감겨진 테이프(17)를 릴(18)에 되돌려 감음으로써, 화살표 방향으로 휠(11)의 외주면에 테이프(17)와 함께 감겨진 지폐(30)를 방출시킨다. 방출할 때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에 의한 협지력이 개방된 지폐(36)의 선단부에 2개의 가이드 롤러(19)에 의해서 파형 변형을 부여하고, 휠(11)에 감겨진 테이프(17)의 외주면으로부터 지폐(36)의 선단부를 박리시킨다.
완전히 박리하지 못한 지폐(36)는 스크레이퍼(15)의 선단부에 의해 박리한다. 박리된 지폐는 스크레이퍼(15)의 하방, 즉 스크레이퍼(15)와 테이프(17)로 협지된 공간으로 안내되고, 지폐(36)는 순조롭게 보조 롤러(16)와 테이프(17)의 협지점을 지나서, 반송 롤러(41)와 공전 롤러(13)에 의해 지폐 수납 방출 기구(3)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지폐 수납 방출 기구(3)는 지폐의 크기가 다른 각종 혼재 지폐를 짧은 변 방향으로 반송하여 한 장씩 고속으로 휠(11)에 감거나 되돌려 감음으로써, 수납,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확실성으로 지엽류를 방출할 수 있는 지엽류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휠에 감겨진 지엽류를 상기 휠로부터 박리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서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지엽류 박리 수단을 갖춘 지엽류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박리 수단은 그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2단계 이상의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 휠에 감겨진 지엽류를 상기 휠로부터 박리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휠과 접촉 분리되는 방향으로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스크레이퍼를 갖춘 지엽류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제1 스크레이퍼와 제2 스크레이퍼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스크레이퍼는 상기 휠과 접촉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상기 휠의 외주면을 향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며,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1 스크레이퍼 상에 상기 휠과 접촉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을 향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레이퍼를 상기 휠을 향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스크레이퍼를 상기 휠을 향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크레이퍼가 상기 휠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제2 스크레이퍼가 상기 제1 스크레이퍼에 대하여 상기 휠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방출 기구는 상기 휠에 지엽류를 감음으로써 지엽류를 수납하는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수납 방출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휠에 감겨진 지엽류를 상기 휠로부터 박리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휠과 접촉 분리되는 방향으로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스크레이퍼를 갖춘 지엽류 수납 방출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제1 스크레이퍼와 제2 스크레이퍼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스크레이퍼는 상기 휠과 접촉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1 스크레이퍼에 상기 휠과 접촉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휠의 외주면을 향해서 압박되며,
    휠에 지엽류가 감겨져서 휠의 직경이 커질 때는 상기 제1 스크레이퍼는 휠의 직경에 추종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1 스크레이퍼와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스크레이퍼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레이퍼를 상기 휠을 향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스크레이퍼를 상기 휠을 향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크레이퍼가 상기 휠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그 선단부가 상기 제1 스크레이퍼에 대하여 상기 휠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1 스크레이퍼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상기 제1 스크레이퍼에 대한 회전 가능한 범위 한도의 각도에서 상기 제1 스크레이퍼와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스크레이퍼와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01-0045806A 2000-09-18 2001-07-30 지엽류 취급 장치 KR100392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86856 2000-09-18
JP2000286856 2000-09-18
JP2001010985A JP4051178B2 (ja) 2000-09-18 2001-01-19 紙葉類取扱装置
JPJP-P-2001-00010985 200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984A KR20020021984A (ko) 2002-03-23
KR100392035B1 true KR100392035B1 (ko) 2003-07-22

Family

ID=2660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806A KR100392035B1 (ko) 2000-09-18 2001-07-30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68673B2 (ko)
JP (1) JP4051178B2 (ko)
KR (1) KR100392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20167A1 (en) * 2000-12-28 2002-07-03 Mars Inc. Banknote store
JP4624163B2 (ja) * 2005-04-08 2011-02-0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葉類収納繰出装置
GB0525676D0 (en) * 2005-12-16 2006-01-25 Rue De Int Ltd Roll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GB0525870D0 (en) * 2005-12-20 2006-02-01 Rue De Int Ltd Document storage system
CN101809632A (zh) * 2007-08-10 2010-08-18 审视硬币公司 纸币传输单元
JP4888442B2 (ja) * 2008-06-11 2012-02-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収納排出装置
JP2010095340A (ja) 2008-10-16 2010-04-30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紙葉類収納繰出装置
EP2540650B1 (en) * 2011-06-27 2015-04-08 Glory Ltd. Banknote storing/feeding unit
JP5704027B2 (ja) * 2011-09-13 2015-04-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5821504B2 (ja) * 2011-10-12 2015-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CN102963782A (zh) * 2012-12-11 2013-03-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暂存装置
DE102014006253A1 (de) * 2014-04-28 2015-10-29 Giesecke & Devrient Gmbh Abstreif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24798A1 (de) * 1962-10-05 1968-10-17 Breuninger Kg A A 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ingabe von zusaetzlichen Informationen bei der Sammlung von Datentraegern
GB2122973B (en) * 1982-04-22 1986-04-09 Fuji Xerox Co Ltd Sheet supplying device for two-sided copying
CH657833A5 (de) * 1983-09-19 1986-09-30 Fer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lden von mehrlagigen wickeln aus in schuppenformation anfallenden flaechigen, biegsamen erzeugnissen, vorzugsweise druckprodukten.
DE68917612T2 (de) * 1988-02-09 1995-01-12 Canon Kk Bildfixiergerät.
US5735516A (en) * 1992-05-27 1998-04-07 Mars Incorporated Apparatus for handling sheets
US5836581A (en) * 1996-10-11 1998-11-17 Barco Graphics N.V.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 sheet-like medium
JP3848781B2 (ja) 1998-03-19 2006-11-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い自動機
US6186339B1 (en) * 1999-03-25 2001-02-13 Cashcode Company Combination bill accepting and bill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51178B2 (ja) 2008-02-20
US20020096818A1 (en) 2002-07-25
KR20020021984A (ko) 2002-03-23
US6568673B2 (en) 2003-05-27
JP2002160855A (ja)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9419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및 지폐 수납 방출 장치를 구비한지폐 취급 장치
KR100350857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지폐 자동 입출금기
US6565082B2 (en) Bill receiv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bill handling apparatus
KR100392035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RU2670879C9 (ru) Устройство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бумажных денег
JP4130887B2 (ja) 紙幣収納放出装置及び紙幣搬送装置
EP2933216B1 (en) Paper money temporary storage device
JP5617692B2 (ja) 収納繰出機構
JP2004030348A (ja) 紙幣収納放出装置及び紙幣自動入出金機
JP3848781B2 (ja) 紙葉類取扱い自動機
JP3591292B2 (ja) 媒体保留装置
JP3472689B2 (ja) 紙葉類堆積装置
JPH0798777A (ja) 紙葉類取扱装置
WO2024075493A1 (ja) 紙葉排出集積装置、及び還流式紙葉処理装置
JP2001118113A (ja) 紙幣収納放出装置
JP2002367013A (ja) 硬貨搬送装置および硬貨取扱装置
JP2024055358A (ja) 紙葉排出集積装置、及び還流式紙葉処理装置
JPH0881082A (ja) 媒体分離給紙機構
JP2906556B2 (ja) 排紙高さ検出装置
JPH01294157A (ja) 紙葉類の収納装置
JPH03102036A (ja) 紙葉類繰出し機構
JPS62146836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