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536B1 -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536B1
KR100390536B1 KR10-2001-0035123A KR20010035123A KR100390536B1 KR 100390536 B1 KR100390536 B1 KR 100390536B1 KR 20010035123 A KR20010035123 A KR 20010035123A KR 100390536 B1 KR100390536 B1 KR 10039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radio
unit
computer
sla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345A (ko
Inventor
심필하
박일규
강병훈
김주상
이승준
오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Priority to KR10-2001-003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536B1/ko
Priority to PCT/KR2001/001294 priority patent/WO2002103933A1/en
Publication of KR2002009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무선모국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다수의 무선자국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자국장치를 무선 제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무선모국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자국장치를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국장치가, 컴퓨터와 연결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부와;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국 무선통신부와; 무선모국장치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키버튼부와; 상기 무선모국장치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무선자국장치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자국 무선통신부와; 무선 제어신호로부터 아이디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아이디 식별부와; 무선자국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Wireless Controlling System in Short Distanc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무선모국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다수의 무선자국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자국장치를 무선 제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통신이 무선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 들어, 짧은 반경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ethooth)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면 그동안 사용되고 있던 수 많은 유선들이 사라지게 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공간적인 제약을 비교적 적게 받으며 편리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적외선 통신의 경우에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만 통신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송신부와 수신부가 서로 보이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근래에 개발된 블루투스 기술의 경우에는 통신할 수 있는 신호에 대한 제약은 없으나, 복잡한 회로 구성을 가지며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가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의 경우에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를 끼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컴퓨터 사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컴퓨터 주변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와 연동하여 근거리 무선 제어를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그 중의 하나이다. 근거리 무선 제어에 대한 기술 내용은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해 일정한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관련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제어 기술을 이용하면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무선 제어되는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제어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지능형 완구에도 적용되어 판매되고 있다.
종래 근거리 무선 제어 기술은 컴퓨터와 연동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컴퓨터의 전원이 꺼지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무선 제어 또한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컴퓨터에 종속되어 작동하므로 근거리 무선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사용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근거리 무선 제어 기술은 하나의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고 다수인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수신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근거리 무선 통신에사용되던 적외선 통신과 블루투스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컴퓨터와 연동 가능하고 또한 컴퓨터와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하나의 무선모국장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무선자국장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무선 제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무선자국장치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로 즉시 전송하거나 무선모국장치에 저장한 후 컴퓨터로 업로드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용도를 도시한 것.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모국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것.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국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블력도를 도시한 것.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무선모국장치 200 : 무선자국장치
300 : 컴퓨터 110 : 컴퓨터 인터페이스
120 : 메모리부 130 : 모국 무선통신부
140 : 키버튼부 160 : 음성데이터 처리부
210 : 자국 무선통신부 220 : 아이디 식별부
230 : 구동부 250 : 마이크
400 : 무선통신부 410 : 무선송신부
420 : 무선수신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무선모국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자국장치를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국장치가,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부와; 컴퓨터 또는 상기 무선자국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국 무선통신부와; 외부로부터 무선모국장치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키버튼부와; 상기 무선모국장치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자국장치가,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자국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의 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무선모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제어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아이디 식별부와; 상기 무선모국장치로부터의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자국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모국 무선통신부 및 자국 무선통신부가 각각 무선송신부와 무선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송신부가, 송신데이터를 오류정정 부호화하는 오류정정 부호화부와; 상기 오류정정 부호화된 송신데이터를 대역 확산하는 대역 확산부와; 상기 대역확산된 송신데이터를 직교위상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직교위상변조된 송신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수신부가,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수신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수신데이터를 대역 역확산하는 대역 역확산부와; 상기 역확산된 수신데이터를 오류정정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오류정정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동부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화면상으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를 물리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무선자국장치가 상기무선모국장치로부터의 무선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의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작동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출력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키버튼부가,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외부로부터 저장신호를 입력받는 저장버튼과; 상기 무선모국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구동버튼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로 전송하는 업로드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업로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동버튼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자국장치로 무선 송신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무선자국장치가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마이크가 상기 무선모국장치로부터의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무선모국장치가,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의 사용 상태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상기 무선자국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모국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사용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은 무선모국장치(100)와 무선자국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모국장치(100)는 컴퓨터(30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모국장치(100)는 컴퓨터(300)와 연결되어 컴퓨터(300)로부터 무선 제어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무선자국장치(200)를 제어하거나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컴퓨터(300)의 구동과 별도로 무선자국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모국장치(100)는 컴퓨터(300)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모국장치(100)가 컴퓨터(300)와 범용 직렬 버스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공급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컴퓨터(300)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 예를 들어 컴퓨터(30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하므로 전원공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모국장치(100)는 컴퓨터(300)로부터 무선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무선자국장치(200)로 무선 송신하여 무선자국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컴퓨터(300)와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컴퓨터(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무선 제어신호를 호출하여 무선자국장치(200)로 무선 송신하여 독립적으로 무선자국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제어신호는 음성데이터, 문자데이터, 영상데이터 등 무선자국장치(200)를 통하여 출력 가능한 모든 데이터와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의 식별정보, 무선자국장치(200)의 구동부(230)에 포함된 다수의 구동수단의 구동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제어신호는 컴퓨터(300)에서 생성되거나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컴퓨터(3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웹 상에서 전송되는 무선 제어신호, 예를 들어, 전자우편의 수신을 통보하는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제어신호에는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 중 해당 무선 제어신호를 전송할 무선자국장치(200)를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무선자국장치(200)의 아이디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무선자국장치(200) 아이디 식별정보는 무선모국장치(100)에서 선택되어 무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컴퓨터(300)와 독립적으로 무선모국장치(100)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무선 제어신호를 전송할 무선자국장치(200) 아이디 식별정보를 무선모국장치(100)에서 무선 제어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제어신호에는 무선자국장치(200)의 구동부(230)에서 어느 장치를 구동시킬 것인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232)를 통하여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것인지, 디스플레이부(233)를 통하여 문자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 등에 대한 정보와 해당 장치의 온/오프 제어신호도 포함될 수 있다.
무선자국장치(200)는 각각 고유의 아이디, 즉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무선모국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제어신호로부터 아이디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아이디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아이디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을 하지 않고 버림으로써 구동을 하지 않는다.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는 예를 들어, 음성데이터의 출력, 문자데이터의 표시, 물리적인 작동 등과 같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자국장치(200)는 예를 들어, 동물의 형상을 가지는 완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자국장치(200)를 이용하여 일정한 데이터를 무선모국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자국장치(200)를 통하여 음성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무선모국장치(100)로 무선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모국장치(100)가 컴퓨터(3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즉시 컴퓨터(3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며, 컴퓨터(300)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모국장치(100)에 저장하고 컴퓨터(300)와 연결시 컴퓨터(3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무선자국장치(200)를 통하여 무선모국장치(100)로 일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무선자국장치(200)의 구동을 무선모국장치(100)에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예에서 무선자국장치(200)에 구비된 마이크(250)의 온/오프를 무선모국장치(100)에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자국장치(20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는 무선모국장치(100)를 거쳐 컴퓨터(300)로 전송되고, 컴퓨터(3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모국장치(100)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모국장치(100)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부(110), 메모리부(120), 모국 무선통신부(130), 키버튼부(140), 제어부(150), 음성데이터 처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수단이 부가되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컴퓨터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선모국장치(100)와 컴퓨터(300)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무선모국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110)에 대한 기술은 본 건 출원 전 다양한 공지 기술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부(120)는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즉 무선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무선 제어신호를메모리부(120)에 저장하고 컴퓨터(300)의 사용과 독립적으로 저장된 무선 제어신호를 무선자국장치(200)로 무선 송신하여 무선자국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전술한 무선 제어신호와 더불어 무선자국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는 무선모국장치(100)가 컴퓨터(300)와 연결되었을 때 컴퓨터(300)로 전송될 수 있다.
모국 무선통신부(130)는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제어신호 또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무선 제어신호를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로 무선 송신하고, 무선자국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모국 무선통신부(130) 및 자국 무선통신부(210)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수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이 이 건 출원전 2001년 2월 13일 자로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06975 호에 자세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서 이 건의 내용이 본 건의 일부분으로 편입된다. 모국 무선통신부(130)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기재된 무선 통신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키버튼부(140)는 무선모국장치(100)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을 위한 수단이다. 키버튼부(140)는 저장버튼(141), 구동버튼(142), 업로드버튼(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버튼이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버튼(141)은 컴퓨터(300)로부터 무선모국장치(100)로 전송되는 무선 제어신호를 전술한 메모리부(120)에 저장하는 수단이다. 저장버튼(141)을 누르면 저장신호가 제어부(150)로 전달되고 현재 컴퓨터(3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제어신호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
구동버튼(142)은 컴퓨터(300)와 무선 모국장치의 연결과 무관하게 무선모국장치(100)를 구동시켜 전술한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무선 제어신호를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로 무선 송신하는 수단이다. 구동버튼(142)은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다수의 무선 제어신호를 선택하여 무선자국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컴퓨터(300)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무선모국장치(100)를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모국장치(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무선모국장치(10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다수의 무선 제어신호 중 무선자국장치(200)로 무선 송신을 원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무선 제어신호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로드버튼(143)은 무선자국장치(200)로부터 무선모국장치(100)로 무선 송신되어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30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자국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그 외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무선모국장치(100)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전용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데이터 처리부(160)는 무선자국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컴퓨터(300)로 즉시 전송할 것인지 메모리부(120)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음성데이터를 처리하는 수단이다. 무선자국장치(200)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음성데이터 처리부(160)는 무선모국장치(100)와 컴퓨터(3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컴퓨터(300)와 연결 상태가 정상이고 컴퓨터(300)가 사용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컴퓨터(300)로 즉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300)와의 연결이 비정상이거나 컴퓨터(300)가 사용 불가능한 경우에는 음성데이터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는 컴퓨터(300)와의 연결이 정상으로 되는 시점에 컴퓨터(300)로 전송 가능하다. 음성데이터 처리부(160)가 수행하는 작업은 전술한 제어부(150)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음성데이터 처리부(160)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국장치(200)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자국 무선통신부(210), 아이디 식별부(220), 구동부(230), 제어부(240), 마이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국 무선통신부(210)는 무선모국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전술한 모국 무선통신부(1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국무선통신부(1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국 무선통신부(210)를 통하여 무선모국장치(100)로부터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25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무선모국장치(100)로 수신한다.
아이디 식별부(220)는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별로 설정된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무선모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제어신호에 포함된 아이디 식별정보로부터 아이디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수신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이다.
다시 말해, 무선 제어신호에 포함된 아이디 식별정보와 해당 무선자국장치(200)의 아이디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버린다. 그러므로, 무선모국장치(100)로부터 브로드 캐스팅된 무선 제어신호는 다수의 무선자국장치(200) 중 제어를 원하는 무선자국장치(200)에만 수신이 가능하다.
구동부(230)는 무선모국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자국장치(200)에서 실제 작업이 수행되는 수단으로, 구동제어부(231), 스피커(232), 디스플레이부(233), 작동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수단들이 추가되어 사용 가능하다.
구동제어부(231)는 무선모국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제어신호에 포함된 구동 아이디에 따라 구동부(230)에 포함된 스피커(232), 디스플레이부(233), 작동부(23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동시킨다. 구동제어부(231)가 수행하는 작업은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구동제어부(231)는 생략 가능하다.
스피커(232)는 무선 제어신호가 음성데이터인 경우 이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단이고, 디스플레이부(233)는 무선 제어신호가 문자데이터나 영상데이터 종류인 경우 이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작동부(234)는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자국장치(200)를 물리적으로 작동하는 수단이다.
제어부(240)는 무선자국장치(200)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수단이며 범용 마이크(250)로 프로세서나 전용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도 2 의 무선모국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마이크(250)는 무선자국장치(2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입력받는 수단이다.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무선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모국장치(100)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이크(250)의 온/오프를 컴퓨터(300) 또는 무선모국장치(100)에서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무선자국장치(200)에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400)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모국 무선통신부(130)와 자국 무선통신부(210)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400)는 무선송신부(410)와 무선수신부(420)로 구분될 수 있다.
무선송신부(410)를 통한 데이터 무선 송신을 설명하면, 오류정정 부호화부(411)에서 송신데이터의 오류정정 부호화를 수행한다. 오류정정 부호화된 송신데이터는 대역 확산부(412)에서 대역확산되고 변조부(413)에서 직교위상변조되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414)로 전달된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송신데이터는 듀플렉서(430)를 거쳐 안테나(440)를 통하여 무선 송신된다.
무선수신부(420)를 통한 데이터 무선 수신은 전술한 데이터 무선 송신의 역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안테나(440)를 통하여 수신되어 듀플렉서(430)로 전달된 아날로그 수신데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21)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복조부(422)에서 복조과정을 거쳐 대역 역확산부(423)에서 대역 역확산되어 오류정정 복호화부(424)에서 오류정정 복호화되면 수신데이터의 개략적인 무선 수신이 완료된다.
전술한 수단들 이 외에 다양한 수단들이 부가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수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필터들과 같이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부의 대표적인 요소들만을 도시하고 개략적인 작동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사용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자국장치를 동물의 캐릭터로 구성하여 음악파일의 출력과 이메일의 디스플레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동물 캐릭터를 한 무선자국장치를 물리적으로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각 무선자국장치별로 다른 움직임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이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이메일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세지를 무선자국장치로 무선 송신하여 해당 이메일의 메세지를 동물 캐릭터의 무선자국장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를 통하여 예를 들어, 엠피쓰리(MP3)와 같은 음악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경우에도 해당 음악파일을 무선자국장치로 전송하여 무선자국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음악파일이 출력됨과 동시에 동물 캐릭터의 무선자국장치를 물리적으로 작동시켜 춤을 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자국장치의 물리적인 작동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 역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컴퓨터와 연동하여 다수의 무선자국장치를 무선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가 사용 불가능할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무선 제어를 수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무선모국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무선자국장치를 개별적으로 각각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자국장치별로 각각 서로 다른 구동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무선자국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무선모국장치 또는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므로 인체에 해를 끼칠 염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변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이 모두 디지털 신호로 이루어지므로 왜곡이나 손상의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무선모국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자국장치를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국장치가,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부와;
    컴퓨터 또는 상기 무선자국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국 무선통신부와;
    외부로부터 무선모국장치의 구동과 관련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키버튼부와;
    상기 무선모국장치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자국장치가,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자국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의 식별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무선모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제어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아이디 식별부와;
    상기 무선모국장치로부터의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자국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모국 무선통신부 및 상기 자국 무선통신부가,
    각각 무선송신부와 무선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송신부가,
    송신데이터를 오류정정 부호화하는 오류정정 부호화부와;
    상기 오류정정 부호화된 송신데이터를 대역 확산하는 대역 확산부와;
    상기 대역확산된 송신데이터를 직교위상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직교위상변조된 송신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수신부가,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수신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수신데이터를 대역 역확산하는 대역 역확산부와;
    상기 역확산된 수신데이터를 오류정정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오류정정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화면상으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무선자국장치를 물리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국장치가,
    상기 무선모국장치로부터의 무선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의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작동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출력하는 구동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가,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외부로부터 저장신호를 입력받는 저장버튼과;
    상기 무선모국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구동버튼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로 전송하는 업로드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업로드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구동버튼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자국장치로 무선 송신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국장치가,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가,
    상기 무선모국장치로부터의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국장치가,
    상기 무선모국장치와 연결된 컴퓨터의 사용 상태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상기 무선자국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모국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KR10-2001-0035123A 2001-06-20 2001-06-20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KR10039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23A KR100390536B1 (ko) 2001-06-20 2001-06-20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PCT/KR2001/001294 WO2002103933A1 (en) 2001-06-20 2001-07-30 Short-distance radio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23A KR100390536B1 (ko) 2001-06-20 2001-06-20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45A KR20020097345A (ko) 2002-12-31
KR100390536B1 true KR100390536B1 (ko) 2003-07-07

Family

ID=1971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123A KR100390536B1 (ko) 2001-06-20 2001-06-20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90536B1 (ko)
WO (1) WO2002103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359B1 (ko) 2015-07-22 2017-01-13 (주)쿠첸 주변조도에 따라 표시상태를 제어가능한 전기밥솥 및 주변조도에 따라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CN111356062B (zh) * 2018-12-20 2023-09-01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采集方法、麦克风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440A (ja) * 1993-12-10 1995-06-23 Canon Inc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局管理方式
JPH1013460A (ja) * 1996-06-20 1998-01-16 Sony Corp 電子メールシステム、コンピユータ装置及び着信通知方法
US6067076A (en) * 1994-08-25 2000-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king system with docking port for establishing secur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computer devices
KR20000049348A (ko) * 1999-11-25 2000-08-05 장응순 엠피3 재생 기능을 가진 에프알에스
KR200230383Y1 (ko) * 2001-02-27 2001-07-19 김종용 무선망 연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8936A3 (en) * 1997-05-12 2001-01-24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Communication system and circuit controller
JP3408746B2 (ja) * 1998-06-25 2003-05-19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0295245A (ja) * 1999-04-12 2000-10-20 Nec Mobile Commun Ltd 中継接続無線システムおよび中継接続無線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440A (ja) * 1993-12-10 1995-06-23 Canon Inc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局管理方式
US6067076A (en) * 1994-08-25 2000-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king system with docking port for establishing secur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computer devices
JPH1013460A (ja) * 1996-06-20 1998-01-16 Sony Corp 電子メールシステム、コンピユータ装置及び着信通知方法
KR20000049348A (ko) * 1999-11-25 2000-08-05 장응순 엠피3 재생 기능을 가진 에프알에스
KR200230383Y1 (ko) * 2001-02-27 2001-07-19 김종용 무선망 연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45A (ko) 2002-12-31
WO2002103933A1 (en) 200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3631B (zh) 对隐藏的多媒体内容进行解锁的系统和方法
JP3324671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0702309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Way Remote Control and Cradle or Adaptor to Control an A/V Media Player
HK10504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and/or data available on a wide area computer network
EP2018724A1 (en) Method of transferring application data from a first device to a second device, and a data transfer system
CN101221692B (zh) 语音可编程和语音触发的基于车辆的设备遥控器
JP2001160770A (ja) デジタルデータ伝送装置
JP2007329859A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機能設定変更方法
KR100390536B1 (ko) 근거리 무선 제어 시스템
KR20010024338A (ko) 정보 전송 방법
EP1092825A3 (en)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portable transmitter in which ID code is registered after manufacture
US20070298743A1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wireless microphone
WO2002080478A3 (en) Qpsk modulator connected to an ask modulator
JP2008124776A (ja) 電子機器
JP2004289454A (ja) ワイヤレスマイクシステム、レシーバー、ワイヤレスマイク、充電架台
KR2003007104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mp3 데이터를 전송/재생하는장치
CN201725284U (zh) 具多重识别的蓝牙输入装置
KR100420661B1 (ko) 원격 컴퓨터 단말기 제어 장치
KR100683353B1 (ko)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JP6292675B2 (ja) 携帯無線システム
JP280737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EP1069753A2 (e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8207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파일 입/출력 방법
CN201536366U (zh) 配套无线输入设备的通信设备和系统
JP2003018681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