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916B1 -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916B1
KR100389916B1 KR10-2000-0050164A KR20000050164A KR100389916B1 KR 100389916 B1 KR100389916 B1 KR 100389916B1 KR 20000050164 A KR20000050164 A KR 20000050164A KR 100389916 B1 KR100389916 B1 KR 10038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ignal
delay
delay contro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080A (ko
Inventor
정태성
송원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916B1/ko
Priority to US09/941,091 priority patent/US7246250B2/en
Publication of KR20020017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89Synchronisation and timing concer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위상동기 루프나 지연동기 루프의 사용없이 메모리 장치의 위치에 따른 신호의 전달지연시간의 차이와 유사한 신호간의 스큐등을 감소시켜 높은 메모리 동작주파수 대역을 구현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 메모리 컨트롤러, 데이터 독출 /기입방법이 제공된다. 메모리 모듈은 상기 메모리 모듈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및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이 장착되는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일련정보 저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모듈의 외부로부터 입력되고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지연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입력 버퍼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module and memory controller}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그래머블 지연 버퍼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 상기 메모리 모듈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상기 메모리 모듈로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메모리 시스템들은 여러개의 메모리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각 메모리 장치간의 신호전달시간은 각각의 메모리 장치들의 위치에 따라 다르고 또한 유사한 신호들간의 스큐(skew)의 발생으로 각 메모리 장치간의 신호전달시간은 다르다. 이러한 스큐는 최대 동작가능 주파수를 결정하는 유효 데이터 창(Valid data window)을 축소시키고, 설정시간(Setup time)과 유지시간(hold time)을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큐를 보상하기 위하여 종래의 메모리 장치 및 컨트롤러는 위상 동기루프 (Phase Locked Loop; PLL) 또는 지연 동기 루프(delay Locked Loop; DLL)를 구비한다. 이것은 메모리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조 프로세스(process), 전압 또는 온도의 영향을 덜 받으며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PLL 또는 DLL의 설계는 메모리 장치의 개발에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도 1은 다수개의 메모리 장치가 장착된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간에 있어서, 각 모듈간 또는 각 메모리 장치간의 신호의 도달 지연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락도이다. 도 2는 각 모듈간 또는 각 메모리 장치간의 도달 지연시간의 차이로 발생하는 스큐와 상기 스큐로 인한 유효 데이터 창이 축소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컨트롤러(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110, 130 및 150)로 구성되는 메모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메모리모듈(110, 130 또는 150)과 상기 메모리컨트롤러(100)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은 상기 메모리 모듈들(110, 130 또는 150)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예컨데, 상기 메모리모듈(110)과 상기 메모리컨트롤러(100)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은 t0이고, 세번째 메모리모듈(150)과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00)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은 t10이다.
하나의 메모리 모듈(110)에는 다수개의 메모리 장치(111, 113, 115 및 117)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모리 모듈(110)에 장착된 메모리장치(111, 113, 115 및 117)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모리컨트롤러(100)와 각각의 메모리 장치(111, 113, 115 또는 117)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이 다르다.
예컨데 상기 메모리 장치(111)과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00)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은 t1이고, 메모리 장치(117)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00)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은 t4이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00)와 상기 각각의 메모리모듈(110, 130 또는 150)의 신호의 전달시간은 메모리모듈의 위치에 따라 다르며, 하나의 메모리모듈(110)상에서 상기 각각의 메모리장치(111, 113, 115 또는 117)의 위치에 따라 신호의 전달시간도 다르다.
도 2를 참조하면, ts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00)와 각 메모리 모듈간(110, 130 및 150) 또는 각 메모리장치(111, 113, 115 및 117)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의 차이 또는 스큐등으로 인하여 낭비되는 데이터 셋업(data setup)시간을 나타내고, tth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00)와 각 메모리 모듈(110, 130 및 150)간 또는 각 메모리장치(111, 113, 115 및 117)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의 차이 또는 스큐등으로 인하여 낭비되는 데이터 홀드(data hold)시간을 나타낸다. tw는 상기 ts 및 tth로 인하여 축소된 유효데이터 창(valid data window)을 나타낸다.
종래의 메모리 시스템은 여러개의 반도체 메모리장치(111, 131, 또는 150)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111, 131, 또는 151)의 위치에 따라서 메모리 컨트롤러(100)와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111, 131, 또는 151)간의 신호의 전달시간에 차이와 스큐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시간의 차이와 스큐는 데이터 셋업시간 및 데이터 홀드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메모리 시스템의 최대 동작가능 주파수를 결정하는 상기 유효데이터 창(valid data window)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큐나 상기 전달시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내부에 PLL이나 DLL을 사용한다. 이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와 상기 메모리컨트롤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전압 또는 온도에 영향을 덜 받고 안정적이며 효과적인 PLL또는 DLL의 설계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LL이나 DLL의 사용없이 메모리장치의 위치에 따른 신호의 전달시간의 차이와 스큐를 최소화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 및/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달시간의 차이와 스큐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들이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로 출력되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출력신호를 조절하여 메모리장치의 위치에 따른 신호의 전달시간의 차이와 스큐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들과 상기 메모리 모듈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간의 신호을 조절하여 메모리장치의 위치에 따른 신호의 전달시간의 차이와 스큐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메모리 컨트롤러와 메모리모듈간의 신호의 도달지연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달지연시간의 차이로 발생하는 스큐와 이로인한 유효 데이터창의 축소를 나타내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메모리 시스템의 유효데이터 창을 비교하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모듈은 상기 메모리 모듈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및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이 장착되는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일련정보 저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모듈의 외부로부터 입력되고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입력 버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각각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는 클락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메모리 모듈을 선택하는 모듈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모듈선택부; 상기 메모리 모듈들 각각에 장착된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모듈선택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명령신호, 내부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들 각각으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버퍼부의 지연시간은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응답하여 조절된다.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의 내부로 출력하는 입력버퍼부를 더 구비한다.상기 모듈선택신호는 소정의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메모리모듈을 선택하는 제1신호와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는 메모리모듈을 선택하는 제2신호를 구비한다.상기 출력버퍼부는 상기 지연 제어레지스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제어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명령신호를 지연시키는 명령 출력버퍼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1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지연시키는 내부 어드레스 출력버퍼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데이터를 지연시키는 출력버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각각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들과 상기 메모리 모듈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메모리 모듈은 상기 메모리 모듈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일련정보 저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일련정보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명령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지연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입력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메모리 모듈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소정의 지연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일련정보 저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일련정보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지연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명령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지연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부를 구비한다.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제1지연시간을 두고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제2지연시간을 두고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사이에 스큐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제2지연시간을 상기 제1지연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으로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메모리 모듈에 장착된 메모리 장치의 입력버퍼가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시간동안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메모리 모듈에 장착된 메모리 장치의 입력버퍼가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시간동안 버퍼링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2시간을 상기 제1시간보다 길게 설정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컨트롤러(200) 및 복수개의 메모리 모듈들(210, 230 및 25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모듈들(210, 230 및 250) 각각은 복수개의 메모리 장치(211, 213, 215 및 217 등) 및 일련정보 저장장치(serial presence detect; 이를 SPD라 한다, 220A, 220B 또는 220C)를 포함한다.
예컨데, 하나의 일련정보저장장치(220A)는 상기 메모리모듈(210)에 장착된 각각의 메모장치(211, 213, 215, 및 217)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SPD(220A)에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설계시에 특정 모듈(210)상의 각 메모리장치(211,213,215, 및 217)에 대하여 신호별로 배선 및 거리 그리고 거리에 따른 동작조건(예컨데 동작전압, 배선물질의 전도도의 차이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설계사양) 등이 기록된다.
메모리시스템의 초기화시 각 메모리 모듈(210, 230 및 250)에 대한 정보는 시리얼버스(serial bus)를 통해 상기 SPD(220A, 220B 또는 220C)로부터 컨트롤러 (200)로 보내진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00)는 메모리 버스상의 상기 메모리 모듈(210, 230 및 250)들 및 상기 각각의 메모리장치(211, 231, 251 등)의 위치를 알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컨트롤러(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는 지연제어 레지스터(400), 출력버퍼부(410) 및 모듈선택부(430)를 구비한다.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400)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메모리 모듈들(210, 230 및 250)의 각각에 장착되는 일련정보 저장장치들(SPD1, SPD2 및 SPDn)로부터 설계명세에 따른 지연제어정보(DSP)를 수신한다.
상기 모듈 선택부(430)는 클락신호(CLK)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들 (210, 230 및 250)중에서 특정의 메모리 모듈(210, 230 또는 250)을 선택하는 모듈선택신호(MODS1 또는 MODS2)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버퍼부(410)는 상기 모듈선택부의 출력신호(MODS1 또는 MODS2)에 응답하여 내부 명령신호(COMI), 내부 어드레스 신호(ADDI) 및 기입데이터(DATI)를 지연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모듈들(210, 230 또는 250)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버퍼부(410)의 지연시간은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40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된다.
상기 출력버퍼부(410)는 지연제어부(417), 명령출력버퍼부(411), 어드레스 출력버퍼부(413) 및 데이터 출력버퍼부(415)를 구비한다.
상기 지연제어부(417)는 상기 지연 제어레지스터(400)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2신호(MODS2)를 수신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명령출력버퍼부( 411)는 상기 지연제어부(417)의 출력신호 및 상기 모듈선택신호(MODS1)에 응답하여 내부 명령신호(COMI)를 지연시킨다.
상기 어드레스출력버퍼부(413)는 상기 지연제어부(417)의 출력신호 및 상기 모듈선택신호(MODS1)에 응답하여 내부 어드레스신호(ADDI)를 지연시킨다.
상기 데이터 출력버퍼부(415)는 상기 지연제어부(417)의 출력신호 및 상기 모듈선택신호(MODS1)에 응답하여 기입데이터(DATI)를 지연시킨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는 입력버퍼부(42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입력버퍼부(420)는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40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211 내지 257)로부터 수신되는 독출데이터(read data)를 지연시켜 내부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버퍼부(420)는 지연제어부(421) 및 데이터 입력버퍼부(423)를 포함한다. 상기 지연제어부(421)는 인에이블 신호(EN) 및 상기 지연제어레지스터(40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데이터 입력버퍼부 (423)는 상기 지연제어부(42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들 (211 내지 257)로부터 수신되는 독출데이터를 지연시켜 내부로 출력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장치(211 내지 257)들이 장착된 상기 메모리 모듈(210, 230 및 250)이 8개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의 각각의 지연제어 레지스터 (400)는 상기 메모리시스템의 초기화시에 활성화된 모듈들(210, 230 또는 250)의 상기 SPD(220A, 220B, 또는 220C) 값을 읽어들여, 바이오스 (Basic Input/Output System; BIOS)에서 각 모듈(210, 230 또는 250)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각각 설정된 설계사양(specification)에 따라 적당한 지연값을 설정한다.
데이터 기입(write data)의 경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 부터 가장 멀리있는 8번째 메모리 모듈(250)의 메모리장치(251 또는 257)를 선택하는 어드레스(MOD)가 상기 모듈선택부(430)에 입력이되면, 상기 모듈선택부(430)은 클락신호 (CLK)에 응답하여 상기 8번째 모듈(250)의 상기 메모리장치(251, 253, 255 또는 257)를 선택하는 모듈선택신호인 제 1신호(MODS1)을 출력한다. 상기 제 1신호 (MODS1)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연제어부(417)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명령신호(COMI), 내부 어드레스신호(ADDI) 및 기입데이터(DATI) 지연없이 상기 특정의 메모리장치(251, 253, 255 또는 257)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첫번째 메모리 모듈(210)의 메모리장치(211, 213, 215 또는 217)를 선택하는 어드레스(MOD)가 상기 모듈선택부(430)에 입력되면, 상기 모듈선택부(430)은 클락신호(CLK)에 응답하여 상기 첫번째 모듈(210)의 상기 메모리장치((211, 213, 215 또는 217)를 선택하는 모듈선택신호인 제 2신호(MODS2)을 출력한다. 이경우 상기 제 1신호(MODS1)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지연제어부(417)는 상기 제 2신호(MODS2) 및 상기 지연제어레지스터(400)에 저장되어있는 상기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상기의 지연시간은 상기 일련정보저장장치(SPD)에 저장된 값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값으로 각각의 상기 메모리 장치간 또는 메모리 모듈간의 스큐(skew)나 신호지연의 차를 최소화하는 값이다.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은 상기 명령출력버퍼부 (411), 상기 어드레스 출력버퍼부(413) 및 상기 데이터출력버퍼부(415)의 지연시간에 상응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명령신호(COMI), 내부 어드레스신호(ADDI) 및 기입데이터 (DATI)는 소정의 지연시간만큼 지연되어 상기 메모리장치(211 내지 257)로 출력된다. 두번째 내지 7번째 메모리 모듈의 경우도 첫번째 메모리 모듈을 선택하는 동작과 동일하다.
결국 프로그램된 상기 출력버퍼부(410)의 턴온(turn-on)시간은 상기 메모리 모듈간(210, 230 또는 250) 또는 상기 메모리장치(211 내지 257)간의 신호의 지연시간과 스큐(skew)를 최소화한다.
데이터 독출(read data)의 경우에,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8번째 메모리 모듈(250)의 메모리장치(251, 253, 255 또는 257)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 독출하는 경우는 지연없이 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첫번째 메모리모듈(210)의 메모리장치(211, 213, 215 또는 217)의 데이터는 가장 멀리있는 8번째 메모리 모듈(250)의 메모리장치(251, 253, 255 또는 257)의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에 도달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입력버퍼부(420)의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독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 장치(211)은 지연제어 레지스터(500), 입력버퍼부(510) 및 메모리 셀 어레이(5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500)는 상기 메모리컨트롤러(200)로부터 지연 제어정보(DS)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지연제어레지스터(500)는 상기 지연제어정보(DS)를 수신하여 메모리 시스템 초기화시에 각 메모리장치에 대한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입력버퍼부(510)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명령 신호(COM), 어드레스 신호(ADD)및 기입데이터(DAT)를 수신하여 지연시키며, 상기 입력버퍼부 (510)의 지연시간은 상기 지연 제어 레지스터(50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된다.
상기 입력버퍼부(510)는 명령입력버퍼부(511), 어드레스 입력버퍼부(513), 데이터 입력버퍼부(515) 및 지연제어부(517)를 구비한다. 상기 지연제어부(517)는 인에이블신호(EN)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500)에 설정된 상기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입력버퍼부(511)는 상기 지연제어부(517)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데이터(DAT)를 상기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버퍼링하며, 상기 어드레스 입력버퍼부(513)는 상기 지연제어부(517)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 (ADD)를 상기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버퍼링한다.
상기 명령입력 버퍼부(511)는 상기 지연제어부(517)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 신호(COM)를 상기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버퍼링한다.
상기 메모리 장치(211 내지 257)로의 데이터 기입(write data)의 동작을 좀더 설명한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가장 긴 도달지연시간을 갖는 메모리 장치(257)를 기준으로 나머지 메모리 장치(211, 213, 215)들에 대하여 입력버퍼의 지연시간이 조절된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멀리있는 메모리장치(257)로 데이터를 기입할 경우 상기 입력버퍼의 버퍼링시간은 짧으나,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가까이 있는 메모리장치(211)로 데이터를 기입할 경우에는 상기 입력버퍼의 버퍼링시간은 길어진다.
데이터 독출( read data)의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장치(257)에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에서 지연시간을 조절한다. 도 4에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에서 가장 멀리 있는 메모리장치(257)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도 6은 종래의 기술(a)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b)를 적용한 메모리 시스템의 유효데이터 창을 비교하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도달시간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큐와 이로인한 유효 데이터 창의 축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s은 지연시간의 차이와 스큐등으로 데이터 셋업(data setup)시에 낭비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tth은 지연시간의 차이와 스큐등으로 데이터 홀드(data setup)시에 낭비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tw은 ts 및 tth로 인하여 축소된 유효 데이터창을 나타낸다.
도 6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유효이터 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ts'은 지연시간의 차이와 스큐등으로 데이터 셋업(data setup)시에 낭비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tth'은 지연시간의 차이와 스큐등으로 데이터 홀드(data setup)시에 낭비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tw'은 ts' 및 tth'로 인하여 축소된 유효 데이터창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6 (b)는 ts' 및 tth'가 감소하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발명과 비교하여 더 작은 주기내에 유효 데이터 창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메모리장치 또는 메모리 시스템을 높은 동작주파수대역에서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211 내지 257)들이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210, 230 또는 250)로 출력되는 메모리 컨트롤러(200)의 출력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상기 메모리모듈들(210, 230 및 250) 각각에 장착되는 일련정보저장장치들 (SPD1 SPD2 또는 SPDn)로부터 상기 각각의 메모리 모듈(210, 230 및 250)의 설계사양에 따른 지연제어정보(DSP)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다음에 클락신호(CLK)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들(210, 230 및 250)을 선택하는 모듈선택신호(MODS1 또는 MODS2)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된 지연제어정보 및 제 1신호(SPD1)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모듈선택신호 (MODS1 또는 MODS2)는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메모리모듈(250)을 선택하는 제 1신호(MODS1) 및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는 메모리모듈 (210, 230)을 선택하는 제 2신호(MODS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연시간만큼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211 내지 257)장치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출력신호는 명령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연시간 조절방법은 상기 지연시간만큼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1 내지 257)로부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 입력되는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컨트롤러(200)에 의하여 제어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11 내지 257)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이 좀 더 설명된다.
우선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00)로부터 지연제어 정보(DS)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다음에 상기 저장된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만큼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입력되는 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명령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리장치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내에 지연시간을 설정한 지연 제어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각 메모리장치간 또는 메모리 모듈간에 보상이 필요한만큼 시간을 지연하여 입출력 버퍼를 턴온함으로써 각 메모리 장치간의 지연시간의 차이를 최소화한다. 또한 각 메모리장치간의 스큐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메모리장치와 메모리 컨트롤러가 포인트 대 포인트로 데이터를 주고 받느 것처럼 구현하여 메모리 장치의 동작주파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장치나 메모리컨트롤러 및 메모리 시스템은 입출력버퍼에 프로그램가능한 지연시간을 추가하여, 상기 지연시간이 입출력버퍼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므로 상기 메모리장치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사이의 위치에 따른 신호의 전달시간의 차이와 스큐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메모리시스템이나 특정 메모리 모듈상의 특정위치에 있는 메모리 장치와 메모리컨트롤러는 마치 포인트 대 포인트(point-to-point)전송과 같이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어 높은 메모리 동작주파수 대역을 구현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메모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모듈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및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이 장착되는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일련정보 저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모듈의 외부로부터 입력되고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입력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2. 삭제
  3.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각각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있어서,
    클락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메모리 모듈을 선택하는 모듈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모듈선택부;
    상기 메모리 모듈들 각각에 장착된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모듈선택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명령신호, 내부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들 각각으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버퍼부의 지연시간은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응답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의 내부로 출력하는 입력버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선택신호는 소정의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메모리모듈을 선택하는 제1신호와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는 메모리모듈을 선택하는 제2신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버퍼부는,
    상기 지연 제어레지스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2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제어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명령신호를 지연시키는 명령 출력버퍼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어드레스신호를 지연시키는 어드레스 출력버퍼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 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데이터를 지연시키는 출력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7. 삭제
  8.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각각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들과 상기 메모리 모듈들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메모리 모듈은,
    상기 메모리 모듈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일련정보 저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일련정보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명령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지연시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지연제어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입력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지연제어 레지스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독출데이터를 지연기켜 내부로 출력하는 입력버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퍼부는,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지연제어레지스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제어부; 및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독출데이터를 지연시켜 내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입력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버퍼부는,
    상기 지연 제어레지스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메모리 모듈들 중에서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는 메모리 모듈을 선택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제어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메모리 모듈들 중에서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메모리 모듈을 선택택하는 제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명령 출력버퍼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출력버퍼부;
    상기 지연제어부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데이터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대응되는 메모리 모듈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량을 설정하기 위한 지연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지연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의 출력되는 명령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기입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연시키는 입력버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버퍼부의 지연시간이 상기 지연 제어 레지스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3. 삭제
  14.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제1지연시간을 두고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제2지연시간을 두고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사이에 스큐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제2지연시간을 상기 제1지연시간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독출방법.
  15. 삭제
  16.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각각으로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메모리 모듈에 장착된 메모리 장치의 입력버퍼가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시간동안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메모리 모듈에 장착된 메모리 장치의 입력버퍼가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시간동안 버퍼링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2시간을 상기 제1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0-0050164A 2000-08-28 2000-08-28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 KR10038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164A KR100389916B1 (ko) 2000-08-28 2000-08-28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
US09/941,091 US7246250B2 (en) 2000-08-28 2001-08-28 Memory device controls delay time of data input buffer in response to delay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position of a memory device received from memory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164A KR100389916B1 (ko) 2000-08-28 2000-08-28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080A KR20020017080A (ko) 2002-03-07
KR100389916B1 true KR100389916B1 (ko) 2003-07-04

Family

ID=1968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164A KR100389916B1 (ko) 2000-08-28 2000-08-28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46250B2 (ko)
KR (1) KR100389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343B2 (en) 2012-11-29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modules with reduced rank loading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532B1 (ko) * 2002-04-27 2005-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으로 명령신호 및 어드레스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85158B1 (ko) * 2004-09-13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Ecc 메모리 모듈
US9582449B2 (en) 2005-04-21 2017-02-28 Violin Memory, Inc. Interconnection system
CA2597692A1 (en) * 2005-04-21 2006-11-02 Violin Memory, Inc. Interconnection system
US9384818B2 (en) 2005-04-21 2016-07-05 Violin Memory Memory power management
KR101245380B1 (ko) * 2007-11-22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모듈
KR100897298B1 (ko) * 2007-12-27 2009-05-14 (주)인디링스 읽기 신호 타이밍을 조정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읽기 제어 방법
JP2009282721A (ja) 2008-05-21 2009-12-03 Nec Electronics Corp メモリコントローラ、メモリ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メモリ遅延量制御方法
EP2347417B1 (en) * 2008-09-03 2018-04-18 Marvell World Trade Ltd. Programming data into a multi-plane flash memory
US8255615B1 (en) 2009-01-08 2012-08-28 Marvell International Ltd. Flexible sequence design architecture for solid state memory controller
CN102473148A (zh) 2009-07-28 2012-05-23 拉姆伯斯公司 用于在线程化存储器模块中同步地址和控制信号的方法和系统
JP4861497B2 (ja) * 2010-05-31 2012-01-2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記憶装置及びメモリ調整方法
CN102707632B (zh) * 2012-02-03 2014-02-26 黄强 一种控制信号发生器
JP6160294B2 (ja) * 2013-06-24 2017-07-12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レージシステム、ストレージ装置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50116109A (ko) * 2014-04-04 2015-10-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US10241940B2 (en) * 2014-05-27 2019-03-26 Rambus Inc. Memory module with reduced read/write turnaround overhead
CN109885513B (zh) * 2019-03-22 2023-05-26 晶晨半导体(深圳)有限公司 一种存储系统的延迟控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2818A (ja) * 1997-01-23 1998-09-02 Hewlett Packard Co <Hp> メモリ・コントローラ
US5848025A (en) * 1997-06-30 1998-12-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emory device in a page mode
JPH1165624A (ja) * 1997-08-26 1999-03-09 Yokogawa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11110280A (ja) * 1997-10-02 1999-04-23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システム
US5946712A (en) * 1997-06-04 1999-08-31 Oak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data from synchronous memory
US6003118A (en) * 1997-12-16 1999-12-14 Acer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lock distribution of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0122969A (ja) * 1998-10-15 2000-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6808A (en) * 1990-04-18 1996-03-31 Rambus Inc Introductory / Origin Circuit Agreed Using High-Performance Brokerage
US5276858A (en) * 1991-12-26 1994-01-04 Intel Corporation Memory controller with integrated delay line circuitry
US5418924A (en) * 1992-08-31 1995-05-23 Hewlett-Packard Company Memory controller with programmable timing
JPH0784863A (ja) 1993-09-20 1995-03-31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適した半導体記憶装置
US5557782A (en) * 1994-07-12 1996-09-17 Zenith Data Systems Corporation Flexible deterministic state machine
JPH08123717A (ja) * 1994-10-25 1996-05-17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WO1996029652A1 (en) * 1995-03-22 1996-09-26 Ast Research, Inc. Rule-based dram controller
US5892981A (en) * 1996-10-10 1999-04-06 Hewlett-Packard Company Memory system and device
US5953263A (en) * 1997-02-10 1999-09-14 Rambus Inc. Synchronous memory device having a programmable regis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6104209A (en) * 1998-08-27 2000-08-15 Micron Technology, Inc. Low skew differential receiver with disable feature
US5877987A (en) * 1997-02-14 1999-03-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circuit for self-latching data read lines in the data output path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286062B1 (en) * 1997-07-01 2001-09-04 Micron Technology, Inc. Pipelined packet-oriented memory system having a unidirectional command and address bus and a bidirectional data bus
US6101197A (en) * 1997-09-18 2000-08-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signals over fine and coarse ranges
US6154821A (en) * 1998-03-10 2000-11-28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iz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by levelizing a read domain
US6438670B1 (en) * 1998-10-02 2002-08-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ory controller with programmable delay counter for tuning performance based on timing parameter of controlled memory storage device
US6289468B1 (en) * 1998-11-06 2001-09-11 Advanced Micro Devices, Inc. Technique for controlling system bus timing with on-chip programmable delay lines
US6111796A (en) * 1999-03-01 2000-08-29 Motorola, Inc. Programmable delay control for sense amplifiers in a memory
US5986945A (en) * 1999-04-20 1999-11-16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Memory device output circuit having multiple operating mod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2818A (ja) * 1997-01-23 1998-09-02 Hewlett Packard Co <Hp> メモリ・コントローラ
US5946712A (en) * 1997-06-04 1999-08-31 Oak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data from synchronous memory
US5848025A (en) * 1997-06-30 1998-12-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emory device in a page mode
JPH1165624A (ja) * 1997-08-26 1999-03-09 Yokogawa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11110280A (ja) * 1997-10-02 1999-04-23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システム
US6003118A (en) * 1997-12-16 1999-12-14 Acer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lock distribution of a data processing system
JP2000122969A (ja) * 1998-10-15 2000-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343B2 (en) 2012-11-29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modules with reduced rank loading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26600A1 (en) 2002-02-28
US7246250B2 (en) 2007-07-17
KR20020017080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916B1 (ko)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컨트롤러
US839109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read wait time adjustment method thereof, memory system, and semiconductor device
US20010054135A1 (en) Memory control technique
US6397312B1 (en) Memory subsystem operated in synchronism with a clock
EP12009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ntrol signal timing in a memory device
US8553475B2 (en) Memory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hase adjusting a write strobe and data to account for receive-clock drift
EP0709786B1 (en) Semiconductor memory with a timing controlled for receiving data at a semiconductor memory module to be accessed
US6611905B1 (en) Memory interface with programable clock to output time based on wide range of receiver loads
US6680866B2 (en) Clock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075393A (en) Clock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system and semiconductor devices used with the same
US200602006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synchronous data buffer having buffer write and read pointers
KR100640629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 동기 루프 회로 및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핀에 연결된 부하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US8406080B2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of a double data rate (DDR)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sponsive to a delay locked loop (DLL) clock and method thereof
US7692982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with write training function
US7227812B2 (en) Write address synchronization useful for a DDR prefetch SDRAM
US6404697B1 (en) Data output device for synchronous memory device
US20090168565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240495B1 (en) Memory control system and memory control method
US7366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command signal and address signal
KR100564596B1 (ko) 멀티비트 데이터의 지연 시간 보상이 가능한 반도체메모리 장치
US6967893B2 (en) Integrated synchronous memory and memory configuration having a memory module with at least one synchronous memory
US800948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19694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duced skew on data line
EP1156421B1 (en) CPU system with high-speed peripheral LSI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