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546B1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546B1
KR100389546B1 KR10-2000-0045059A KR20000045059A KR100389546B1 KR 100389546 B1 KR100389546 B1 KR 100389546B1 KR 20000045059 A KR20000045059 A KR 20000045059A KR 100389546 B1 KR100389546 B1 KR 10038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ray
state
cup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207A (ko
Inventor
고가미미츠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2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컵홀더의 전체 두께를 억제하고, 대소의 컵류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같이 컵류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이 낙하하기 어렵게 한 차량용 컵홀더를 실현한다.
(해결수단) 케이스(1)내에 넣어지는 수납상태와 전면 개구부(1a)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컵류(k)가 삽입되며 삽입된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2b)을 형성한 홀더(2)와, 홀더(2)에 후단측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홀더(2)와 일체적으로 케이스(1)내에 수납되며 또한 사용상태에서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홀더(2)에서 수하되어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트레이(3)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홀더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트레이(3)를 개량하여, 내측에 개구부(4c)를 형성하고 전방측에 컵류(k)의 하면 앞측부분을 받치는 제 1 재치부(4a)를 형성한 외측 트레이(4)와, 외측 트레이(4)에 상대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외측 트레이(4)의 개구부(4c)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컵류(k)의 하면 후측부분을 받치는 제 2 재치부(5a)를 형성한 내측 트레이(5)로 구성하고, 제 1, 제 2 재치부 (4a,5a)는, 수납상태에서는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고, 사용상태에서는 대략 평면상으로 접근한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음료수가 담긴 캔, 컵, 종이팩 등의 음료용기(이하, 이것을 총칭하여 "컵류"라 한다)를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컵홀더는 각종의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고급차등에는 외관이나 스페이스 등을 중시한 절첩식이나 인출식이 채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절첩식 과 인출식 중, 일본국 공개특허 평9-48273호, 공개특허 평8-192669호 등에 예시된 인출식의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공개특허 평8-192669호의 컵홀더를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이 컵홀더는, 전면에 개구부(50a)를 형성한 케이스(50)와, 케이스(50)내에 넣어지는 수납상태{도 6의 (a)}와 케이스(50)내에서 인출된 사용상태{도 6의 (b)}로 전환되는 홀더(51)와,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트레이(5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0)는 그 전면 개구부(50a)를 통해서 홀더(51)가 내부로 압입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차실내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측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홀더(51)는 그 전면에 조작부(51a)가 형성되며, 삽입되는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51b)을 형성하고 있다. 트레이(52)는 그 후단측이 홀더(5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홀더(51)와 일체적으로 케이스(50)내에 수납됨과 아울러, 사용상태에서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홀더(51)에서 수하(垂下)되어 유지구멍(51b)에 삽입된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대소의 컵류(k2,k1)가 홀더(51)의 유지구멍(51b)에 상측에서 삽입되면, 홀더(51)의 하측으로 수하된 트레이(52)의 재치부(52a)에 의해서 컵류(k)의 하면이 받쳐짐과 아울러 컵류(k)의 상부가 유지구멍(51b)의 내주면에 의해서 구속되어 쓰러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컵류 (k)로서는 유지구멍(51b)의 내경치수 이하의 것 또한 트레이(52)의 재치부(52a)에 받쳐지는 크기의 것이라면 일단 유지되는 것이 된다.
상기한 종래의 컵홀더에서는, 컵류(k)를 홀더에서 수하되는 트레이(52)의 재치부(52a)로 받치는 구성이기 때문에, 컵류(k)를 보다 안정하게 받치기 위해서는 선재보다도 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더 안정한 것과 같이 재치부(52a)의 폭치수(L0)를 크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종래에는 트레이(52)를 판재로 구성하고 있으며, 재치부(52a)가 지지암부(52b)의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 종래의 구조에서는 경사진 지지암부(52b)에 큰 개구부(52c)를 재치부(52a)에 접근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재치부(52a) 위에 놓여지는 컵류(k)에 대한 안정한 랩값을 확보하도록 고안되고 있다. 이것은, 트레이(52)가 홀더(51)와 함께 케이스(50)내로 삽입되는 것이므로, 재치부(52a)의 폭치수(L0)를 크게 하면 케이스(50)의 개구부(50a)도 이것에 비례하여 높이를 크게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컵홀더 전체가 두껍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그 배경에는, 이러한 종류의 컵홀더 중 인스트러먼트 패널측에 조립되는 것은 오디오등의 다른 기계류와 함께 설치되는 관계상 설치 스페이스가 극히 제한되기 때문에, 소형이면서 특히 두께를 얇게 하고 싶다는 사정이 있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개구부(52c)를 형성하여 컵류(k)에 대한 재치부(52a)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수법은 재치부(52a)의 판폭치수를 넓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큰 컵류(k2)의 경우는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작은 컵류(k1)의 경우는 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 재치부(52a)에 접근하여 형성된 개구부(52c)를 통해서 컵류(k)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곧바로 낙하되기 때문에,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등의 다른 기기류등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컵홀더의 전체 두께를 억제하고, 대소의 컵류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같이 컵류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이 낙하하기 어렵게 한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설명과 함께 분명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낸 도 3의 B-B선 종단 측면도
도 2는 상기 컵홀더의 수납상태에서의 측면 및 사용상태에서의 도 3의 A-A선 종단 측면도
도 3은 상기 컵홀더의 상면도
도 4는 상기 컵홀더의 트레이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5는 상기 트레이를 분해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를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나타낸 종단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개구부
2 - 홀더 2b - 유지구멍
3 - 트레이 3a - 재치부
4 - 외측 트레이 4a - 재치부(제 1 재치부)
4c - 개구부 5 - 외측 트레이
5a - 재치부(제 2 재치부) 6 - 서브 홀더
7,9 - 지지축 k,k1,k2 - 컵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내에 넣어지는 수납상태와 상기 케이스(1)의 전면 개구부(1a)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컵류(k)가 삽입되며 삽입된 컵류(k)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2b)을 형성한 홀더(2)와; 상기 홀더(2)에 후단측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홀더(2)와 일체적으로 케이내(1)에 수납되며 또한 상기 사용상태에서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홀더(2)에서 수하되어 상기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트레이(3);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3)는, 내측에 개구부(4c)를 형성하며 또한 전방측에 상기 컵류(k)의 하면 앞측부분을 받치는 제 1 재치부(4a)를 형성한 외측 트레이(4)와, 상기 외측 트레이(4)에 상대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외측 트레이(4)의 개구부(4c)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컵류(k)의 하면 후측부분을 받치는 제 2 재치부(5a)를 형성한 내측 트레이(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제 2 재치부(4a,5a)는, 상기 수납상태에서는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 사용상태에서는 대략 평면상으로 접근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구조의 수법은, 트레이(3)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외측 트레이(4) 및 내측 트레이(5)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에 부가하여 외측 트레이(4)의 개구부(4c)에 내측 트레이(5)의 제 2 재치부(5a)를 수납가능하게 함으로써, 양 제 1, 제 2 재치부(4a,5a)가 수납상태에서는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어 케이스(1)내로 콤팩트한 상태로 수납되고, 동시에 사용상태에서는 대략 평면상으로 접근하여 양자의 폭치수 (L1+L2=L)를 일체적으로 하여 폭이 넓은 재치면을 얻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서는, 케이스(1)의 두께를 크게 하지 않고서도 트레이(3)의 재치부(3a)를 구조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전체 두께를 얇게 하고 싶은 용도,예를 들면 많은 기기류가 설치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용으로서 최적한 것이 되며, 동시에 다음과 같은 전개 내지는 이점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첫째로, 상기 외측 트레이(4) 및 내측 트레이(5)는 공통의 지지축(7)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는, 양 트레이(4,5)의 상대적인 동작을 적은 부품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제품의 신뢰성도 얻을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제 1, 제 2 재치부(4a,5a)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전후로 연속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제 2 재치부(5a)가 상기 외측 트레이(4)의 내측 개구부(4c)를 거의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경우는, 개구부(4c)를 통해서 컵류(k)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이 직접 낙하하기 어렵게 되므로, 예를 들면 하측에 설치된 오디오등의 다른 기기류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품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로, 상기 홀더(2)는, 홀더(2)의 하면측에 지지축(9)을 통해서 조립되며, 이 지지축(9)을 지지점으로 하여 대략 수평하게 회동됨으로써 상기 유지구멍(2b)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서브 홀더(6)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 경우는, 서브 홀더(6)에 의해서 유지구멍(2b)의 내경을 작게 규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컵류(k1)라 하더라도 간단하게 또한 용이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재치부(3a)를 넓게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나, 이 서브 홀더(6)를 추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점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최적한 예로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의 제한이 부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컵홀더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 및 (b)는 도 3의 B-B선을 따른 개략 종단면도로서 컵홀더의 수납상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 및 (b)는 컵홀더의 수납상태에서의 측면 및 도 3의 A-A선을 따른 사용상태에서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컵홀더를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모식적 상면도이고, 도 4는 컵홀더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는 트레이를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트레이를 분해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각 단면도에 있어서 내측 트레이는 작도상 단면의 해칭을 생략하여 외측 트레이와 구별하기 쉽게 하였다.
도면에 나타낸 차량용 컵홀더는 주 부재로서 케이스(1), 홀더(2), 외측 트레이(4) 및 내측 트레이(5)를 조립한 트레이(3) 및 서브 홀더(6)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수지성형품이다. 다만, 재질적으로는 수지 이외의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컵홀더는 자동차의 센터 콘솔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P)(도 3 참조)에 조립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개발되었으나, 예를 들면 차실내에 설치되는 각종의 콘솔이나 좌석측 등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케이스(1)와 홀더(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홀더(2)가 케이스(1)에 대하여 압입된 수납상태와 인출된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하게 배치되는 관계로 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케이스(1)는 전면에 개구부(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1a)를 통해서 홀더(2)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크기의 용기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11), 하면(12), 후면(13), 양 측면 (14)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상면(11)은 후측이 크게 결여되어 있으며, 그 후단면에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1a)를 좌우에 형성하고 있다. 후면(13)의 외측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P)의 부착 오목부내에 위치결정되는 돌기부(15)가 대략 중간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후면(13)의 내측에는 볼록부(16)가 좌우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측면(14)에는 외측 전방측에 부착편(17)이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측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부(18)가 형성되고, 또 도 2의 (a)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14a)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14a)에 판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다.
홀더(2)는 그 전면이 조작부(2a)가 되고, 그 바로 앞에 컵류(k)를 상측에서 삽입하는 유지구멍(2b)을 가지며, 케이스(1)에 수납된 상태에서 조작부(2a)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 점에서 종래의 것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구멍(2b)이 2개 형성되어 있으나, 좌우 유지구멍(2b)의 크기나 형상을 변경하거나 1개의 유지구멍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21)가 그 폭방향으로의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1)는 조작부(2a)를 전방에 일체화하고, 그 바로 앞에 직경 R의 유지구멍(2b)을 쌍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후측 상면에는 돌기(22)를 가지며, 수납상태에서 이 돌기(22)가 상기 오목부(11a)와 걸어맞춰진다. 단면 'ㄷ'자 형상의 내측, 즉 본체(21)의 하면에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용 부착부(25)가 대략 중간부에 2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23)에는 상기 볼록부(16)와 해제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26)가 형성되고, 측면(24)에는 상기 가이드부(18)를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가이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2)에는 서브 홀더(6)가 각 유지구멍(2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서브 홀더(6)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1)의 하면 전방측에 있어서, 조작부(2a)에 가장 가까운 유지구멍(2b)의 반원통형상 가장자리부 (29)에 부착되어 있다. 형식적으로는 선단을 둥굴게 한 돌출편 형상의 것이다. 그리고, 서브 홀더(6)는 가장자리부(29)에 형성된 부착홈에 대하여 지지축(9)에 의해서 대략 90도만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축(9)에 설치된 반전스프링에 의해서 도 1의 (b)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구멍(2b)내로 돌출되는 수평사용위치와 하측으로 쓰러진 수직사용위치의 2위치로 반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서브 홀더(6)는 지지축(9)을 지지점으로 하여 대략 수평사용위치로 회동됨으로써 유지구멍(2b)내로 돌출되며, 그 돌출량에 대응하여 유지구멍(2b)의 내경을 작게 한다. 따라서, 유지구멍(2b)은 삽입되는 컵류(k)가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서브 홀더(6)의 돌출량에 의해서 작은 컵류(k1)의 주위를 규제함으로써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구조에 있어서, 홀더(2)는 케이스(1)에 대하여 전면 개구부(1a)에서 판스프링(19)에 저항하여 약간만 압입되면, 그 후는 판스프링(19)의 정압력(定壓力)을 받으면서 가이드부(18,28)의 안내에 따라서 수납상태와 사용상태로 인출되거나 압입된다. 수납상태에서는 오목부(26)내에 볼록부(16)가 맞닿고, 사용상태에서는 돌기(22)가 오목부(11a)에 맞닿음으로써 위치가 규제된다. 홀더(2)는 판스프링(19)에 의해서 요동없이 양호하게 슬라이드 조작됨과 아울러, 케이스(1)내에서 불용의하게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다만, 홀더(2)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 평8-192669호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상태의 방향으로 항시 탄지되게 하고,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그 탄지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수납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거나, 상기 로크로서 푸시푸시 걸림기구, 즉 홀더(2)를 한번 누르면 로크되고 다시 누르면 로크를 해제하는 구조등이 필요에 따라서 추가되는 것이다.
트레이(3)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외관적으로는 외측 트레이(4)와 내측 트레이(5)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홀더(2)에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점과 케이스(1)내에 홀더(2)와 함께 수용되고 또한 사용상태에서 홀더(2)에서 수하되어 유지구멍(2b)에 삽입된 컵류(k)의 하면을 받치는 점에서는 종래의 것과 같으며, 상이한 구성은 외측 트레이 (4) 및 내측 트레이(5)에 의해서 트레이(3)로서의 재치부(3a)를 콤팩트화에 반하지 않으면서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즉, 외측 트레이(4)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에 평판형상의 재치부(4a)(제 1 재치부(4a)에 상당한다)를 가지며, 그 내측이 크게 결여된 개구부(4c)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개구부(4c)는 선단의 재치부(4a)와 후측의 후편부(4b) 및 양측의 측편부(4d)에 의해서 구획된다. 양 측편부(4d)의 후단측에는 축구멍(4e)이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4a)의 후단측에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4f)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내측 트레이(5)는 전체가 외측 트레이(4)의 양 측편부(4d) 사이에 배치되는 판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앞측이 개구부(4c)내에 수용되고 후측이 후편부(4b)에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즉, 앞측은 단면 대략 L자형을 이루며, 이 L자형의 수평측이 재치부(5a)(제 2 재치부(5a)에 상당한다)로서 사용되고 수직측이 컵류(k)의 하부 주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분(5b)으로서 사용된다. 또, 재치부(5a) 및 규제부분(5b)에 의해서 구획되는 L자형의 내측에는 양측과 중앙에 대략 직각삼각형의 벽(5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벽(5c)은 재치부(3a)에 놓여지는 좌우 컵류(k)가 불용의하게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양측의 벽(5c)은 컵류(k)의 물방울이 이곳에서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한편, 후측은 중간이 절결된 개구부(5d)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에는 폭방향으로 축구멍(5e)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외측 트레이(4) 및 내측 트레이(5)는 상기 홀더(2)에 형성된 2개의 부착부(25)에 대하여 암(10)을 개재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부착요령은,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트레이(5)의 축구멍(5e)에 지지축(7)을 끼워붙일 때에 개구부(5d)내를 통과하는 지지축(7)의 부분이 암(10)의 하단측에 형성된 하측구멍(10a)에 끼워지도록 하여 부착한다. 그 후, 외측 트레이 (4)는 내측 트레이(5)를 아래에서 받치도록 배치되고, 양측의 축구멍(4e)에 지지축 (7)의 대응단부(7a)를 끼워맞추기 위해서 조작된다. 따라서, 외측 트레이(4)와 내측 트레이(5)는 지지축(7)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외측 트레이(4)와 내측 트레이(5)는, 예를 들면 양 부착부(25) 사이에 암(10)의 상단측을 배치한 상태에서 지지축(37)을 양 부착부(25)의 부착구멍(25a) 및 암(10)의 상단측에 형성된 축구멍(10b)에 끼워 축설치함으로써 홀더(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부착부(25)의 부착구멍(25a)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트레이(3)가 암(10)의 요동에 따라서 도 1의 (a)에 나타낸 수납상태와 도 1의 (b)에 나타낸 사용상태로 원활하게 회동전환되도록 처리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3)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7)의 축둘레에 설치된 스프링(8)에 의해서 탄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스프링(8)은 일단이 홀더(2)의 하면에 타단이 트레이(3)측에 각각 걸려 고정되어 있으며, 트레이 (3)가 홀더(2)의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항시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를 수납상태로 하는 과정에서는 트레이(3)가 스프링(8)의 탄지압에 저항하여 홀더(2)의 하면측으로 접근하고, 수납상태에서는 트레이(3)가 스프링(8)에 의해서 불용의하게 요동되지 않도록 규제된다.
이어서, 상기 차량용 컵홀더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나, 컵홀더 자체의 사용방법 등은 종래의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본 발명의 특유한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한 구조에서는, 홀더(2)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홀더(2)의 하측으로 수하된 트레이(3)가 다음과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트레이(3)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트레이(4)의 개구부(4c)에 내측 트레이(5)의 재치부(5a)를 수용한 상태가 되며, 양 재치부(4a,5a)가 대략 평면상으로 접근하여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치부(4a)의 후단측에 형성된 단차(4f)에 재치부(5a)의 선단이면(面)일치되게 겹쳐진다. 따라서, 트레이(3)의 재치부(3a)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개략적인 폭치수(L)가 재치부(4a)의 폭치수(L1)와 재치부(5a)의 폭치수(L2)를 더한 넓이로 된다. 한편, 홀더(2)의 수납상태에서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가 케이스(1)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내측 트레이(5)의 재치부(5a)가 외측 트레이(4)의 개구부(4c) 위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치부(4a)가 앞측에 위치하고, 재치부(5a)가 그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에서는 케이스(1)의 높이, 즉 개구부(1a)의 높이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서도 트레이(3)의 재치부(3a)를 구조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점은, 도 1의 (a)에 있어서의 우측에 비교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구조에 따라서 재치부(52a)를 이 형태와 같은 폭치수(L)로 확보할 경우, 개구부 (1a)의 높이도 이 폭치수(L)에 상당하는 크기로 하여야 하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컵홀더의 두께를 극히 얇게 하고 싶은 용도, 예를 들면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조립할 경우등에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조에서는 양 재치부(4a,5a)가 상기 단차(4f)의 존재에 의해서 사용상태에서 전후로 간격없이 배치되며, 동시에 벽(5c)등의 존재에 의해서 이것 위에 놓여진 컵류(k)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이 누출되더라도 개구부(4c)를 통해서 곧바로 낙하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조에서는 재치부(3)가 폭넓게 확보되는 것에 부가하여 서브 홀더(6)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유지구멍(2b)의 내경보다도 작은 컵류(k1)의 경우, 이 컵류(k1)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에 의하면, 홀더의 수납상태에서는 제 1, 제 2 재치부가 떨어진 상태로 되어 케이스내에 콤팩트한 상태로 수납되고, 동시에 사용상태에서는 제 1, 제 2 재치부가 대략 평면상으로 접근하여 양자의 폭치수를 충족한 넓은 재치면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케이스의 높이를 크게 하지 않고서도 트레이의 재치부를 넓게 함으로써 컵류를 보다 적확하고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넣어지는 수납상태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에서 인출되는 사용상태로 전환가능함과 아울러, 컵류가 삽입되며 삽입된 컵류의 주위를 구속하는 유지구멍을 형성한 홀더와; 상기 홀더에 후단측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홀더와 일체적으로 케이내에 수납되며 또한 상기 사용상태에서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홀더에서 수하되어 상기 컵류의 하면을 받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내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또한 전방측에 상기 컵류의 하면 앞측부분을 받치는 제 1 재치부를 형성한 외측 트레이와, 상기 외측 트레이에 상대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외측 트레이의 개구부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컵류의 하면 후측부분을 받치는 제 2 재치부를 형성한 내측 트레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제 2 재치부는, 상기 수납상태에서는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 사용상태에서는 대략 평면상으로 접근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트레이 및 내측 트레이는 공통의 지지축에 의해서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재치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전후로 연속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재치부가 상기 외측 트레이의 내측 개구부를 거의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홀더의 하면측에 지지축을 통해서 조립되며, 이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대략 수평하게 회동됨으로써 상기 유지구멍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서브 홀더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홀더의 하면측에 지지축을 통해서 조립되며, 이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대략 수평하게 회동됨으로써 상기 유지구멍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서브 홀더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KR10-2000-0045059A 1999-08-20 2000-08-03 차량용 컵홀더 KR100389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384799A JP4338262B2 (ja) 1999-08-20 1999-08-20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233847 1999-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207A KR20010021207A (ko) 2001-03-15
KR100389546B1 true KR100389546B1 (ko) 2003-06-27

Family

ID=1696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059A KR100389546B1 (ko) 1999-08-20 2000-08-03 차량용 컵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38262B2 (ko)
KR (1) KR100389546B1 (ko)
TW (1) TW5340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757B2 (en) 2006-03-22 2008-04-01 Hyundai Mobis Co., Ltd. Push type cup hol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358B4 (de) * 2002-10-17 2011-08-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80809 Becherhalter
DE102010022442A1 (de) * 2010-06-01 2011-12-01 Volkswagen Ag Anbauvor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CN110356305A (zh) * 2019-05-05 2019-10-22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Ao级电动汽车的杯托结构
CN110013155B (zh) * 2019-05-10 2024-03-15 北京铁力山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台用水杯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757B2 (en) 2006-03-22 2008-04-01 Hyundai Mobis Co., Ltd. Push type cu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207A (ko) 2001-03-15
JP4338262B2 (ja) 2009-10-07
TW534019U (en) 2003-05-21
JP2001055076A (ja) 200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WO2011132754A1 (ja) カップホルダ
US20020050501A1 (en) Cup holding device for vehicle
US8573552B2 (en)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JP4015501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389546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100039266A (ko) 컵홀더
US20080083857A1 (en) Cup holder
JP2001199272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3339179B2 (ja) カップホルダー兼用小物入れ
JP2007055335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5138198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1733885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396060B1 (ko) 차량용 컵홀더
JP2000272401A (ja) ホルダー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JPH0826013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2022076539A (ja) 車両用収納容器構造
JP3646542B2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H0872600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4467420B2 (ja) 車両用内装品
KR20030022013A (ko) 컵홀더
JP3946085B2 (ja) 抽斗装置
JPH07291013A (ja) カッ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