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372B1 -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372B1
KR100389372B1 KR10-2000-0011346A KR20000011346A KR100389372B1 KR 100389372 B1 KR100389372 B1 KR 100389372B1 KR 20000011346 A KR20000011346 A KR 20000011346A KR 100389372 B1 KR100389372 B1 KR 100389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exercise
user
amount
exercis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560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림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림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림비젼
Priority to KR10-2000-001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3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measuring devices
    • A63F2250/1021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measuring devices for weig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1Score computation

Abstract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조작판의 조작에 따라 오락과 신체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게임의 난이도모드의 지정과 게임의 실행 및 취소를 사용자 입력하는 기능입력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조작판의 조작력을 감지하여 운동량을 감지하는 운동량 감지수단, 상기 운동량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데이터화하여 출력하는 운동량데이터 발생수단,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운동량에 따라 게임의 진행상태와 점수산정을 가변하여 적용하는 게임프로그램과, 게임의 실행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수단, 상기 운동량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난이도모드에서 결정된 운동량의 설정치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연산하여 게임의 진행상태와 점수산정을 가변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게임의 진행 및 점수의 산정 결과를 출력하는 게임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Game System For Body Motion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과 오락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게임의 방식을 변경하여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락성이 가미된 게임에 대해 사용자가 오락과 더불어 신체적인 운동까지 겸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게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바, 대표적으로는 디디알(DDR; Dance Dance Revolution) 게임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디디알 게임시스템은 표시모니터상에 나타나는 화살표 모양의 캐릭터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발의 모션을 변화시킴으로써, 운동과 게임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게임시스템으로서 디디알(DDR) 게임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디알 게임시스템은 다수의 화살표 모양의 캐릭터(P)를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모니터(2)와,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화살표 모양 캐릭터(P)의 방향을 추종하여 사용자가하체 특히, 발을 움직여서 조작시키기 위한 조작판(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판(4)은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살표 캐릭터(P)의 화살표 방향이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랜덤(Random)하게 순차적으로 변화되는 상태를 추종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4개의 4방향 조작버튼(6)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반(4)의 4방향 조작버튼(6)은 각각 그 버튼 하부에 전기적으로 결선된 단자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조작버튼에 접촉되면 그 접촉상태를 감지하여 소정 전압이 유기된다.
그에 따라, 해당 게임시스템의 제어프로세서에서는 그 4방향 조작버튼(6)의 조작에 따라 유기되는 전압신호를 입력받음에 의해,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 표시되는 화살표 캐릭터(P)의 방향에 부합하는 타이밍으로 조작버튼이 조작되면 게임의 점수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시키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디알 게임시스템은 유료로 운영되는 전자오락 게임업소의 비치용으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디디알 게임시스템의 관련부품을 소형화 및 간소화하고, 시스템 내부의 하드웨어에 의해 처리되는 게임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게임프로그램으로서 제작한 가정용 디디알 게임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정용 디디알 게임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에 게임프로그램을 인스톨(Install)하여 저장하고, 소형화된 조작판과 같은 관련부품을 프린터포트와 같은 시리얼 데이터포트에 연결하고서,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업소용의 대형 디디알 게임시스템과 동일한 게임효과로서 오락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 때, 이러한 가정용 디디알 게임시스템 역시도 조작판에 설치된 4방향 조작버튼을 사용자가 발로 터치하게 되면, 그 접촉상태를 감지하여 전압을 유기하게 되고, 그 유기된 전압신호가 컴퓨터내에 입력되어 점수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업소용과 가정용 디디알 게임시스템에 따르면, 게임의 오락성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체적인 운동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게임상황에 맞추어서 사용자가 발을 신속하게 움직임에 의해 조작버튼을 수시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디알 게임시스템은 사용자가 단지 발을 4방향 조작버튼에 살짝 닿기만 하여도 그 접촉상태가 정상적으로 감지되어 게임점수에 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정도의 신체운동을 달성하기가 어렵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 그러한 요인에 의해 본래의 오락성도 반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조작에 의해 조작부에 가해지는 운동량에 따라 게임의 진행 및 점수의 산정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조작에 의해 조작부에 가해지는 운동량에 따라 게임의 진행 및 점수의 산정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게임시스템으로서 디디알(DDR) 게임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상에 게임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기능입력부, 12:운동량 감지부,
22:신호증폭부, 24:신호변환부,
26:입력포트, 28:메모리모듈,
30:제어프로세서, 32:제어프로그램 메모리,
36:외부저장매체 재생부, 38:출력포트,
40:표시구동부, 42:표시모니터,
44:음성처리부, 46:스피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조작판의 조작에 따라 오락과 신체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게임의 난이도모드의 지정과 게임의 실행 및 취소를 사용자 입력하는 기능입력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조작판의 조작력을 감지하여 운동량을 감지하는 운동량 감지수단, 상기 운동량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데이터화하여 출력하는 운동량데이터 발생수단,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운동량에 따라 게임의 진행상태와 점수산정을 가변하여 적용하는 게임프로그램과, 게임의 실행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수단, 상기 운동량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난이도모드에서 결정된 운동량의 설정치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연산하여 게임의 진행상태와 점수산정을 가변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게임의 진행 및 점수의 산정 결과를 출력하는 게임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량 감지수단은 상기 조작판에 내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량 및 중량을 감지하여 전압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량데이터 발생수단은 상기 운동량 감지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전압신호의 전압치에 따라 데이터치가 가변된 디지털 데이터를 발생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조작판의 조작에 따라 오락과 신체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게임의 난이도모드가 설정되는 단계와,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신체 조작에 따른 운동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운동량이 상기 설정된 난이도모드에서 결정된 운동량의 설정치에 도달 또는 미달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이 난이도모드에서 결정된 설정치에 도달 또는 미달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게임의 진행상태 및 점수의 산정을 가변하여 적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조작에 의해 오락성과 운동성을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는 게임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작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량 및 중량의 변화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난이도모드에서 결정된 충격량 및 중량의 설정치에 도달 또는 미달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게임의 진행상태 및 점수의 산정을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의 오락성과 신체의 운동성을 더욱 강화시켜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동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운동용 게임시스템은 디디알 게임시스템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게임시스템은, 기능입력부(10)와, 운동량 감지부(12), 신호증폭부(22), 신호변환부(24), 입력 및 출력포트(26)(38), 메모리모듈(28), 제어프로세서(30), 외부저장매체 재생부(36), 표시구동부(40), 표시모니터(42), 음성처리부(44) 및, 스피커(46)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기능입력부(10)는 게임난이도의 설정과 게임의 실행 및 취소를 명령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버튼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게임시스템이 유료로 운영되는 시스템인 경우에, 상기 기능입력부(10)는 정액의 동전을 입력받는 동전수납부까지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운동량 감지부(12)는 상기 조작판(4)에 설치된 4개의 조작버튼(6)(도 1 참조)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제 1∼제 4센서(14,16,18,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제 4센서(14,16,18,20)는 사용자가 발로 조작버튼(6)을 조작하는 정도에 따른 운동량 즉, 중량 및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 1∼제 4센서(14,16,18,20)는 가속도센서나, 스트레인게이지(Straingage) 센서 또는 압전센서나, 홀소자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충격량 센서 및 중량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동량 감지부(12)는 4개의 센서(14,16,18,20)를 채용하고 있지만, 해당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조작버튼(6)을 6개 또는 9개로 증가시키는 경우에 그 조작버튼(6)의 증가된 갯수에 대응하여센서의 갯수도 증가시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조작버튼(6)의 갯수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그 감소된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의 센서를 구비하게 된다.
또, 상기 신호증폭부(22)는 상기 운동량 감지부(12)의 제 1∼제 4센서(14,16,18,20)의 감지동작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상기 신호변환부(24)는 상기 신호증폭부(22)를 통해 증폭된 전압신호를 예컨대 8비트와 같은 소정의 계조도로 샘플링 및 양자화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변환부(24)에 의해 디지털변환되는 운동량 데이터(즉, 전압데이터)는 사용자의 발이 조작되는 충격량 및 중량의 정도에 비례하는 전압레벨에 따라 데이터값이 가변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모듈(28)은 해당 게임시스템에 적용되는 게임프로그램과, 동화상/정지화상으로 이루어진 배경화상 데이터 및, 배경음악과 게임진행상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모듈(28)은 게임진행중의 상태데이터와 상기 제어프로세서(30)에 의해 연산처리된 결과에 따른 결과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모듈(28)은 상기 외부저장매체 재생부(36)의 재생동작에 의해 외부저장매체(34)의 기록내용으로부터 로딩된 게임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사용자의 발 조작에 따라 가해지는 충격량 및 중량의 정도에 따라 게임의 진행 및 점수의 산정을 제어처리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저장된 제어프로그램 메모리(32)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입력포트(26)를 통해 상기 기능입력부(10)로부터의 버튼입력신호를 입력받아 게임난이도의 설정과 게임의 실행 또는 취소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입력포트(26)를 통해 상기 제 1∼제 4센서(14,16,18,20)에서 각각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 조작에 따른 충격량 및 중량의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게임난이도에 따라 결정되는 충격량 및 중량의 설정치에 근접하거나 상회하는 데이터치 및 그 설정치에 미달되는 데이터치에 대해서 음성메시지 및 표시메시지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충격량 및 중량에 근거한 점수의 산정을 위한 연산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제 1∼제 4센서(14,16,18,20)에서 각각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 조작에 따른 충격량 및 중량의 감지치가 미리 설정된 게임난이도에 의해 결정되는 충격량 및 중량의 설정치에 근접하거나 미달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스피커(46)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음악의 음량(즉, 배경음악의 연주파트로서 베이스음이나 드럼음의 강약)을 증강시키거나 감소시켜서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저장매체 재생부(36)는 예컨대 CD-ROM으로 이루어진 외부저장매체(34)에 저장된 게임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저장매체(34)는 상기 메모리모듈(28)에 저장된 게임프로그램과, 동화상/정지화상 데이터 및, 배경음악과 음성메시지 데이터의 각 데이터내용이 업그레이드된 게임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표시구동부(40)는 출력포트(38)를 통해 상기 제어프로세서(30)로부터의 배경화상 데이터와, 게임의 난이도 설정 및 실행에 따른 캐릭터 데이터(예컨대 화살표 모양의 캐릭터 및 게임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숫자 캐릭터로 이루어진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모니터(42)상에 게임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기능입력부(10)의 버튼입력에 의해 게임의 난이도가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모니터(42)상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난이도 모드 예컨대 5KG의 충격량 및 중량의 설정치가 적용된 초보모드(M1)와, 10KG이 적용된 중급모드(M2) 및, 15KG이 적용된 숙련모드(M3)를 나타내는 문자메시지를 표시하여 상기 기능입력부(10)의 버튼조작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능입력부(10)의 버튼입력에 의해 다수의 난이도 모드중에 소정의 모드, 예컨대 중급모드가 선택되고 게임의 실행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표시모니터(42)상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모양의 캐릭터(P)가 그 난이도 모드에 따라 결정된 속도 및 갯수로 랜덤한 화살표 방향을 갖고서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또, 상기 표시모니터(42)상에는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한 답력이 상기 선택된 난이도 모드에 따라 결정된 충격량 및 중량의 설정치에 도달 또는 미달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문자메시지(MG1)가 표시되고, 설정치의 도달 또는 미달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에 의한 실제적인 충격량 및 중량의 숫자메시지(MG2)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처리부(44)는 상기 출력포트(38)를 통해 배경음악 데이터와, 음성메시지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46)를 통해 게임실행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처리부(44)는 상기 제어프로세서(30)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한 충격량 및 중량이 미리 설정한 난이도에 따른 설정치에 근접하거나 미달되는 여부에 따라, 각 악기파트에 있어서 배경음악의 음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시스템은 일반적인 전자오락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서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서 기능입력부(10)와 운동량 감지부(12), 신호증폭부(22) 및, 신호변환부(24)를 소형화되고 휴대가 가능한 조작패드에 내장한 가정용 게임시스템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제어프로세서(30)의 구성을 개인용 컴퓨터의 메인보드상에 탑재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대체하고, 제어프로그램 메모리(32) 및 메모리모듈(28)의 구성을 하드디스크와 메모리장치로서 대체하는 한편, 표시구동부(40)를 VGA카드로, 또한 음성처리부(44)의 구성을 사운드카드로 대체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스템이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가정용 게임시스템에 적용가능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능입력부(10)가 게임난이도의 선택을 위한 버튼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프로세서(30)는 입력포트(26)를 통해 상기 기능입력부(10)로부터의 버튼입력신호를 입력받아 표시구동부(40)를 구동제어함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모니터(42)상에서 다수의 게임난이도에 따른 모드, 즉 5KG의 충격량 및 중량이 결정된 초보모드(M1)와, 10KG이 결정된 중급모드(M2) 및, 15KG이 결정된 숙련모드(M3)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기능입력부(10)의 버튼입력에 의해 다수의 난이도모드중에 소정의 모드, 예컨대 중급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난이도모드를 세팅하고 표시구동부(40)를 구동제어하여 표시모니터(42)상에 모드의 설정상태를 표시한다(단계 S10).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기능입력부(10)에 의해 상기 설정된 난이도모드에 따른 게임의 실행을 위한 버튼입력이 있게 되면, 메모리모듈(28)에 저장된 게임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하고, 동화상/정지화상의 배경화상 데이터와 배경음악/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모니터(42) 및 스피커(46)를 통해 출력시킨다(단계 S11).
이 때, 게임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상기 표시모니터(42)와 스피커(46)를 통해 게임화면 및 음성송출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판의 4방향 조작버튼을 발로 조작하게 되면, 운동량 감지부(12)의 제 1∼제 4센서(14,16,18,20)중에 조작이 이루어진 버튼측의 센서가 반응하여 발의 답력에 의한 충격량 및 중량에 대응하는 전압치의 운동량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 1∼제 4센서(14,16,18,20)중에 반응이 이루어진 센서로부터 발생된 운동량 감지신호는 신호증폭부(22)에 의해 증폭되어 신호변환부(24)에 의해 충격량 및 중량에 대응하는 전압치에 따라 데이터치가 결정된 디지털데이터로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신호변환부(24)로부터 입력받은 소정 센서측의 운동량 감지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난이도모드에 따른 충격량 및 중량의 설정치(예컨대 중급모드인 경우에 10KG의 설정치)와 비교하여 그 설정치에 도달하였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제 4센서(14,16,18,20)중에 소정 센서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답력에 따른 충격량 및 중량의 감지데이터가 해당 난이도모드에 따른 충격량 및 중량의 설정치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모니터(42)상에 설정치의 도달을 알리는 문자메시지(MG1)와 해당 난이도모드의 충격량 및 중량 설정치에 따른 숫자메시지(MG2)를 표시함과 더불어, 스피커(46)를 통해 음성메시지 형태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음성처리부(44)에 의해 음성처리되는 배경음악의 데이터에 대한 음량(즉, 각 악기파트에 있어서 베이스음이나 드럼음의 강약)을 증강시켜서 출력시키게 된다(단계 S13).
하지만, 상기 판단 결과, 소정 센서로부터 감지된 충격량 및 중량의 감지데이터가 설정치에 도달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표시모니터(42)상에 설정치에 미달됨을 알리는 문자메시지(MG1)와 사용자 발의 답력에 의해 산출된 실제적인 충격량 및 중량의 숫자메시지(MG2)를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스피커(46)를 통해 음성메시지 형태로 송출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음성처리부(44)에 의해 음성처리되는 배경음악의 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감소시켜서 출력시키게 된다(단계 S14).
여기서,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상기 단계 S13과 단계 S14의 과정을 실행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충격량 및 중량의 입력치에 근거하여 해당 게임의 점수를 연산하는 처리가 함께 실행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실행되는 게임이 종료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상기 판단 결과, 실행되는 게임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12로부터 단계 S14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되지만, 게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프로세서(30)는 해당 난이도 모드에서 산출된 게임점수와, 그 게임점수에 근거하여 게임의 완전한 종료나 보너스게임의 적용 여부와 같은 게임 결과를 상기 표시모니터(42)상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S16).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오락과 운동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게임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작에 의한 충격량 및 중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그 충격량 및 중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난이도모드에서 결정된 설정치에 도달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게임의 진행상태 및 점수의 산정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게임시스템을 이용한 신체운동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운동량의 강화에 따라 오락성이 배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조작판의 조작에 따라 오락과 신체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게임의 난이도모드의 지정과 게임의 실행 및 취소를 사용자 입력하는 기능입력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조작판의 조작력을 감지하여 운동량을 감지하는 운동량 감지수단,
    상기 운동량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데이터화하여 출력하는 운동량데이터 발생수단,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운동량에 따라 게임의 진행상태와 점수산정을 가변하여 적용하는 게임프로그램과, 게임의 실행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수단,
    상기 운동량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난이도모드에서 결정된 운동량의 설정치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연산하여 게임의 진행상태와 점수산정을 가변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게임의 진행 및 점수의 산정 결과를 출력하는 게임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게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감지수단은 상기 조작판에 내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량 및 중량을 감지하여 전압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게임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데이터 발생수단은 상기 운동량 감지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전압신호의 전압치에 따라 데이터치가 가변된 디지털 데이터를 발생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게임시스템.
  4. 삭제
KR10-2000-0011346A 2000-03-07 2000-03-07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389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346A KR100389372B1 (ko) 2000-03-07 2000-03-07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346A KR100389372B1 (ko) 2000-03-07 2000-03-07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560A KR20010087560A (ko) 2001-09-21
KR100389372B1 true KR100389372B1 (ko) 2003-07-02

Family

ID=1965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346A KR100389372B1 (ko) 2000-03-07 2000-03-07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65Y1 (ko) * 2007-02-16 2010-10-05 후루츠샵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전자 장치의 보호 덮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774A (ja) * 1994-12-28 1996-07-16 Sugino Mach Ltd リハビリ用評価・訓練装置とそのリハビリ用評価・訓練方法
JP2000037491A (ja) * 1999-05-06 2000-02-08 Konami Co Ltd ダンスゲ―ム装置及びダンスゲ―ム用踏み台
KR200192175Y1 (ko) * 2000-01-14 2000-08-16 김양수 춤게임기용 공압식 발판스위치
KR20000072513A (ko) * 1999-10-01 2000-12-05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KR20010090391A (ko) * 2000-03-25 2001-10-18 김영대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774A (ja) * 1994-12-28 1996-07-16 Sugino Mach Ltd リハビリ用評価・訓練装置とそのリハビリ用評価・訓練方法
JP2000037491A (ja) * 1999-05-06 2000-02-08 Konami Co Ltd ダンスゲ―ム装置及びダンスゲ―ム用踏み台
KR20000072513A (ko) * 1999-10-01 2000-12-05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KR200192175Y1 (ko) * 2000-01-14 2000-08-16 김양수 춤게임기용 공압식 발판스위치
KR20010090391A (ko) * 2000-03-25 2001-10-18 김영대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560A (ko)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5169B2 (en) Music playing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a music playing control program and music playing control method
JP3547374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記憶媒体
US7618322B2 (en) Game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and game controlling method
US20070256541A1 (en) Musical video game console and methods therefor
KR100708411B1 (ko) 휴대용 제품의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JP3578273B2 (ja) キーボードゲームプログラムにおける汎用キーボード設定プログラム
WO2009104562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情報記録媒体、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630646B2 (ja) 息吹きかけ判別プログラム、息吹きかけ判別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2003000951A (ja) ゲーム進行プログラム、ゲーム進行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装置
JP3579042B1 (ja) ゲーム装置、ゲーム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H091143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167532A (ja) ビデオゲームプログラム、ビデオゲーム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制御方法
JP3103334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における制御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4673303B2 (ja) タイミング・オフセット許容型カラオケゲーム
KR100389372B1 (ko)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20120225715A1 (en) Game system and storage medium
JP3815938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1232060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2253848A (ja) ビデオ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601793B1 (ja) 移動時間算出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KR100404917B1 (ko)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JP3374484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
KR200203814Y1 (ko) 전자 오락기
JP4205109B2 (ja) サポート機能付ゲーム機
JP3712391B2 (ja) 音楽ゲーム装置、音楽ゲー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