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391A -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391A
KR20010090391A KR1020000015335A KR20000015335A KR20010090391A KR 20010090391 A KR20010090391 A KR 20010090391A KR 1020000015335 A KR1020000015335 A KR 1020000015335A KR 20000015335 A KR20000015335 A KR 20000015335A KR 20010090391 A KR20010090391 A KR 2001009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accompaniment
song
video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917B1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00-001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9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1/00Writing implement receptacles functioning as, or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s
    • B43K31/005Distributors for leads, cartridges and the like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능입력수단에서 영상가요 반주음악의 선택 및 설정과, 오락게임의 실행설정이 이루어지고, 게임조작 감지수단에서 게임진행자의 신체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게임조작수단의 조작상태에 따라 중량 및 충격량을 감지하하게 되면, 제어수단에서 상기 기능입력수단의 기능입력에 따라 선택된 곡목의 반주음악 데이터를 재생출력시킴과 더불어, 상기 게임조작수단의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따라 오락게임의 진행 및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에 대한 가변출력을 제어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게임진행자의 노래에 대한 점수와 게임점수를 종합적으로 산정하여 최종적인 점수를 산출하게 되는 한편, 반주음악 출력수단에서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와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데이터에 대해 상기 게임조작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추종적으로 음량을 가변하여 재생출력하게 되고, 비디오 출력수단에서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의 가사자막과 오락게임의 진행화면을 재생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Game System For Body Motion Combined With Karaoke Funtion}
본 발명은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가요방식과 운동용 게임방식을 상호 결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영상가요 및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특정한 노래의 반주음악과 모니터상에서 재생되는 배경화면 및 가사 자막을 시청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영상가요 반주장치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 영상가요 반주장치는 롬(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CD(Compact Disc)와 같은 디스크형의 기록매체에 다수 곡의 노래 반주데이터 및 가사 자막데이터를수록하여 저장하였다가 노래연습자의 노래선택을 위한 조작에 따라 해당되는 노래의 반주데이터를 독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재생함과 동시에, 모니터상에 특정 노래의 가사 자막데이터가 화면표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영상가요 반주장치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노래연습자의 음성에 대한 음량과 박자 및 가사의 추종도를 고려하여 해당 노래연습자가 부르는 노래에 대한 점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영상가요 반주장치에 있어서는 스피커와 모니터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가요의 노래를 노래연습자가 단지 피동적으로 따라서 진행하는 정도의 것으로서, 해당 노래연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도가 배제된 채로 일방적인 노래정보만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치부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이러한 종래의 영상가요 반주장치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노래연습자의 음성만을 의존하여 특정한 노래에 대한 점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노래연습자의 율동 등과 같이 신체를 사용하는 오락점수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어서 보다 입체적이고 능동적인 오락진행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종래의 영상가요 반주장치에 대한 영상가요 반주기능과 더불어 노래연습자의 신체를 사용한 오락방식을 접목하여 게임의 진행 및 그에 대한 적정한 점수의 산정을 수행함에 의해, 보다 능동적이고 입체적인 오락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락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영상가요의 반주기능과 더불어 노래연습자의 신체를 활용하는 오락 게임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을 적용하여 반주와 외부 조명장치와의 동작 동기화 및 MP3방식의 반주곡 연주, 노래연습 및 오락 게임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게임진행자의 동화상을 촬영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수록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멀티 작업이 가능한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요 반주/재생장치의 회로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가요와 더불어 게임이 진행되는 상태가 화면재생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표시모니터, 4:마이크로폰,
6:스피커, 8:조작판,
10A:키입력부, 10B:반주선택부,
14:비디오 카메라, 16:디스크 기록/재생부,
18:드럼머신, 20:조명장치,
22A,22B:조작감지부, 24:드럼감지부,
26:입출력 포트, 28:시스템 메모리,
30:데이터 메모리, 32:프로그램 메모리,
34:메인 제어부, 36:비디오 처리부,
38:조명조절부, 40:MPEG 엔코더/디코더,
100:가요 반주/재생장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가요 반주음악의 선택 및 설정과, 오락게임의 실행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갖춘 기능입력수단과, 게임진행자의 신체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게임조작수단, 상기 게임조작수단의 조작상태에 따라 게임진행자의 신체운동에 따른 중량 및 충격량을 감지하는 게임조작 감지수단, 게임진행자의 신체운동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오락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데이터 메모리수단, 다수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와, 다수의 가상 전자악기에 대한 음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데이터 메모리수단, 상기 기능입력수단의 기능입력에 따라 상기 음악데이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선택된 곡목의 반주음악 데이터를 재생출력시킴과 더불어, 상기 게임조작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게임조작수단의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따라 오락게임의 진행 및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에 대한 가변출력을 제어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게임진행자의 노래에 대한 점수와 게임점수를 종합적으로 산정하여 최종적인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와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데이터에 대해 상기 게임조작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추종적으로 음량을 가변하여 재생출력하는 반주음악 출력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의 가사자막과 오락게임의 진행화면을 재생출력하는 비디오 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기능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체를 사용한 오락게임기능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하고, 그 오락게임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반주되는 영상가요 음악의 음량가변과 가상의 전자악기에 대한 음원의 음량가변이 가능하도록 하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게임진행자의 노래와 게임진행장면을 촬영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수록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보장되는 입체적인 복합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의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가요의 노래에 대한 가사 자막과 동화상/정지화상의 배경화면이 화면표시되는 표시모니터(2)와 더불어, 노래연습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4) 및, 영상가요의 반주음이 음성재생되는 스피커(6)가 탑재된다.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는 영상가요 반주기능에 관련된 화면표시기능 이외에, 운동용 게임기능에 관련된 게임실행 데이터가 동시에 화면표시된다.
상기 표시모니터(2)와 스피커(6)가 설치되는 위치의 전방에는 노래연습자를 포함하는 게임실행자의 발조작에 의해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제 1운동 조작부로서 조작판(8)이 설치되는 바, 동 도면에 도시된 상기 조작판(8)은 해당 노래연습자의 게임조작과 더불어 노래연습을 대기하는 타인의 게임조작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 2세트의 제 1 및 제 2조작판(8A,8B)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조작판(8A,8B)은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 화면표시되는 화살표 형상의 캐릭터가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게임진행 상황에 추종적으로 노래연습자가 발을 사용하여 게임조작을 수행하도록 각각 다수개의 제 1 및 제 2조작버튼(PA,PB)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제 1 및 제 2조작버튼(PA,PB)은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 나타나는 캐릭터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상/하/좌/우의 방향과 상좌/상우/하좌/하우 방향을 포함하는 8개의 조작버튼을 각각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모니터(2)와 마이크로폰(4) 및 스피커(6)가 탑재된 위치 부근에는 키입력부(10A)와, 반주선택부(10B), 액정표시부(12), 디스크 기록/재생부(16)를 포함하는 오락게임 처리용 컴퓨터장치가 탑재되고, 상기 표시모니터(2)의 상부에는 노래연습자의 게임진행 장면을 촬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14)가 탑재된다.
한편, 상기 오락게임 처리용 컴퓨터장치에서, 상기 키입력부(10A)는 게임의 난이도 및 배경화면 설정과, 상기 비디오 카메라(14)를 통해 촬영되는 노래연습자의 게임진행 장면을 CD-ROM 등과 같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수록시키기 위한 조작 및, 반주되는 노래의 음량과 조명의 변화를 제어하는 모드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갖추고 있다.
상기 반주선택부(10B)는 반주할 노래의 예약, 실행 및 중지 선택과, 반주되는 노래의 키(Key) 및 템포의 설정 및, 후술하는 드럼머신(18)으로 연주되는 가상 전자악기의 악기종류 및 음색을 선택적으로 절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운동조작부로서 채용되는 조작판(8)과 더불어 노래연습자 및 노래연습 대기자 이외의 타인이 동시적으로 게임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 2운동조작부로서 드럼머신(18)이 제공되는 바, 상기 드럼머신(18)은 별도의 드럼스틱이나 사용자의 손을 사용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전자드럼(DR)이 비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스템이 설치되는 실내의 조명을 위한조명장치(20)는 상기 오락게임 처리용 컴퓨터장치에 의한 제어에 의해 소정의 반주되는 노래에 대한 음색 및 템포에 동기적으로 온/오프정도와 조도량이 가변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게임시스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판(8A,8B)에 구비된 다수의 제 1 및 제 2조작버튼(PA,PB)에 대한 조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는 각각의 제 1조작버튼(PA)과 제 2조작버튼(PB)의 버튼갯수에 대응하여 각각 8개씩의 제 1 및 제 2조작 감지센서(PAS)(PBS)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조작 감지센서(PAS,PBS)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버튼(PA,PB)의 하부에 취부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게임진행자의 발조작에 따른 중량 및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조작 감지센서(PAS,PBS)는 가속도센서나, 스트레인게이지(Straingage) 센서 또는 압전센서나, 홀소자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충격량 센서 및 중량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머신(18)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전자드럼(DR)의 조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그 전자드럼(DR)의 갯수에 대응하는 수의 드럼 감지센서(DRS)를 갖춘 드럼 감지부(24)가 구비되는 바, 그 다수개의 드럼 감지센서(DRS)는 각 전자드럼(DR)의 하부에 취부 구성되어 게임진행자의 드럼스틱이나 손의 조작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드럼 감지센서(DRS)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 감지센서(PAS,PBS)와 동일한 종류의 충격량 감지센서를 적용하거나, 다른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게임시스템에서, 시스템 메모리(28)는 노래반주와 오락게임의 진행모드를 전반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데이터와 각종의 파라미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메모리(30)는 노래반주와 오락게임의 모드설정 상태와 게임의 진행상태에 대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비디오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되는 동화상신호를 일시 저장하게 된다.
또한, 메인 제어부(34)는 해당 시스템의 노래 반주기능과 오락 게임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키입력부(10A)의 키조작에 의한 게임의 난이도모드의 설정과, 상기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에 의한 게임진행자의 발조작 감지여부와 드럼 감지부(24)에 의한 게임진행자의 손조작 감지여부에 기초하여 가요반주 및 게임의 진행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와 드럼 감지부(24)의 조작상태에 대한 게임점수를 산정하고, 상기 마이크로폰(4)을 통해 입력되는 노래연습자의 노래에 대해 산정된 노래점수와의 평균치를 취하여 최종적인 점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그러한 게임의 진행과 점수의 연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32)를 갖추고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와 드럼감지부(24)의 감지동작에 기초하여 영상가요의 반주음악에 대한 음량을 가변함과 더불어, 상기 조명장치(20)의 조도치를 가변적으로 적용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34)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에 의해 감지되는 게임진행자의 발조작에 따른 답력의 중량 및 충격량이나, 상기 드럼 감지부(24)에 의해 감지되는 게임진행자의 드럼스틱이나 손의 타력에 따른 중량 및 충격량에 따라 반주음악의 음량과 조명장치(20)의 조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게임진행자의 조작력에 따라 반주음악의 음량과 조명장치(20)의 조도를 가변하는 기능은 상기 키입력부(10A)에 의해 선택되는 제 1조작판(8A)이나 제 2조작판(8B) 또는 드럼머신(18)의 조작에 한정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키입력부(10A)에 의한 화상 녹화조작에 따라 상기 비디오 카메라(14)로부터 촬영되는 게임진행자의 동화상을 MPEG2(Moving Picture Expert Group 2) 형식의 동화상파일로 제작되어 CD-ROM과 같은 디스크형의 외부기록매체에 수록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키입력부(34)의 키입력에 의한 배경화면의 선택조작에 따라 외부의 화상 재생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동화상/정지화상신호를 표시모니터(2)상에 재현시키거나, 상기 비디오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되는 게임진행자의 동화상 촬영분을 그 표시모니터(2)상에 재현시키도록 한다.
또한, 비디오 처리부(36)는 입출력 포트(26)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34)로부터의 제어신호와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비디오신호처리하여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서 소정의 배경화면과 더불어 영상가요의 반주가사 자막과 게임의 실행화면이구현되도록 한다.
조명조절부(38)는 상기 입출력 포트(26)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34)에 의해 제어되어 게임진행자의 게임조작상태에 추종적으로 상기 조명장치(20)의 점등 조도치 및 동작정도(즉, 사이키조명의 경우에는 그 회전정도)를 수시로 가변시키기 위한 조도조절동작을 수행한다.
또, MPEG 엔코더/디코더(40)는 상기 메인 제어부(34)의 녹화제어하에 상기 비디오 카메라(14)로부터 촬영되는 동화상신호를 MPEG2 방식의 동화상파일로 엔코딩하여 상기 디스크 기록/재생부(16)에서 디스크형의 기록매체에 수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재생제어에 의해 상기 디스크 기록/재생부(16)로부터 재생되는 기록매테로부터의 MPEG신호를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서 재현가능하게 디코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제어부(34)와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오락게임의 실행에 연동적으로 소정 곡의 영상가요에 대한 반주를 담당하는 가요 반주/재생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요 반주/재생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주선택부(10B)와, 마이크로폰(4), 음악데이터 입력단자(42), 음악데이터 메모리(44), 반주제어 메모리(46), 제어 프로세서(48), 출력앰프(50), 스피커(6), 표시구동부(52) 및, 액정표시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반주선택부(10B)는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곡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과, 그 선택된 반주곡의 재생과 종료 및 키와 곡빠르기 등의 설정, 상기 제 1 및 제 2조작판(8A,8B)과 드럼머신(18)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가상의 전자악기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악데이터 입력단자(42)는 MP3(즉, MPEG3)파일 형식의 데이터포맷으로 이루어진 음악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는 외부의 음악데이터 수록/재생장치(예컨대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등)를 연결하여 그 외부 음악데이터 수록/재생장치로부터의 음악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한다. 상기 음악데이터 입력단자(42)는 MP3 파일 형식의 데이터포맷을 갖는 음악데이터를 고속으로 입력받기 위해 USB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악데이터 메모리(44)는 다수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데이터가 MP3 파일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대용량의 메모리소자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반주제어 메모리(46)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판(8A,8B)과 드럼머신(18)의 게임진행자 조작에 따라 악기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자악기 음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48)는 상기 반주선택부(10B)에 의해 선택된 곡목의 반주음악데이터를 상기 음악데이터 메모리(44)나 음악데이터 입력단자(42)를 매개하여 외부의 음악데이터 수록/재생장치로부터 독출하여 스피커(6)를 통해 재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48)는 상기 메인 제어부(34)와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제 1조작판(8A)이나 제 2조작판(8B) 또는 드럼머신(18)의 조작에 따른 중량 및 충격량에 추종적으로 상기 스피커(6)를 통해 재생되는 소정 곡목의 반주음악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수시로 가변함과 더불어, 상기 반주선택부(10B)에 의해 선택된 가상의 전자악기의 음원이 음성출력되면서 그 전자악기 음원의 음량도 상기 반주음악데이터의 음량가변치와 동일하게 수시로 가변시키게 된다.
상기 출력앰프(50)는 상기 제어 프로세서(48)로부터 제어데이터와 소정 곡목의 반주음악데이터 및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데이터를 고음질로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6)를 통해 재생출력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앰프(50)는 상기 제어 프로세서(48)의 음량제어에 의해 반주음악데이터와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수시로 가변하여 출력한다.
상기 표시구동부(52)는 상기 제어 프로세서(48)의 제어하에 상기 반주선택부(10B)에 의한 기능선택상태가 상기 액정표시부(12)상에 표시되도록 구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가요와 더불어 게임이 진행되는 상태가 화면재생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는 별도의 외부 화상재생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동화상/정지화상신호를 재생하거나, 상기 비디오 카메라(14)로부터 촬영되는 게임진행자의 동화상신호를 재생하는 배경화면(60)이 형성되고, 그 배경화면(60)상에는 상기 제 1조작판(8A)의 다수의 제 1조작버튼(PA)에 대한 조작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형상의 제 1지시캐릭터(DPA)와 상기 제 2조작판(8B)의 다수의 제 2조작버튼(PB)에 대한 조작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형상의 제 2지시캐릭터(DPB)가 수시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발생된다.
또한, 상기 배경화면(60)상에는 상기 드럼머신(18)에 구비된 다수의 전자드럼(DR)에 대한 타격 타이밍을 표시하기 위한 드럼지시 캐릭터(64)가 화면표시되는 바, 상기 드럼지시 캐릭터(64)는 상기 드럼머신(18)의 전자드럼(DR)의 갯수에 대응하는 수의 타격지시 박스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타격지시 박스에는 타격도달 라인(64A)과 타격지시 이동바아(64B)가 표시된다.
한편, 게임진행자는 상기 타격지시 이동바아(64B)가 이동표시되어 타격도달 라인(64A)에 도달하는 순간에 드럼머신(18)의 해당되는 전자드럼(DR)을 타격하면 된다.
도 4에서,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 표시되는 배경화면(60)의 하단에는 소정 곡목의 반주음악에 대한 가사자막(62)이 표시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키입력부(10A)의 키입력에 의해 오락게임의 난이도가 설정되고, 해당 오락게임의 조작대상으로서의 제 1 및 제 2조작판(8A,8B)과 드럼머신(18)중에 반주음악의 음량과 조명장치(20)의 조도 및 동작정도를 제어할 조작부를 선택하고 나서, 반주선택부(10B)의 키입력에 의해 소정 곡목의 번호를 지정하고 가상의 전자악기를 선택하게 되면, 메인 제어부(34)에서는 시스템 메모리(28)로부터의 시스템데이터에 의해 상기 키입력부(10A)에 의해 선택된 난이도에 따른 게임을 실행시킨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표시모니터(2)상에 미리 설정된 게임의 난이도에 따라 화살표 형상의 제 1 및 2지시캐릭터(DPA,DPB)가 서로 다른 방향을 갖고서무작위로 발생되도록 하고, 드럼지시 캐릭터(64)내에 타격지시 이동바아(64B)가 이동하여 타격도달 라인(64A)으로 무작위적으로 도달되도록 표시된다.
그와 더불어, 제어 프로세서(48)는 상기 메인 제어부(34)와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반주선택부(10B)에 의해 선택된 곡목의 반주음악데이터 즉, MP3 파일 형식의 음악데이터를 음악데이터 메모리(44)나, 음악데이터 입력단자(42)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음악데이터 수록/재생장치로부터 로딩하여 출력앰프(50)에 인가함에 따라, 그 출력앰프(50)의 증폭처리를 통해서 스피커(6)에 의해 해당 반주음악이 재생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프로세서(48)는 상기 반주선택부(10B)에 의해 선택된 가상의 전자악기의 음원데이터를 반주제어 메모리(46)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스피커(6)를 통해 재생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모니터(2)의 화면 하단에는 상기 메인 제어부(34)와 제어 프로세서(48)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스피커(6)를 통해 반주되는 반주음악데이터에 해당되는 가사자막(62)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판(8A,8B)의 제 1 및 제 2조작버튼(PA,PB)이 조작되는 상태를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의 제 1 및 제 2조작감지센서(PAS,PBS)에 의해 감지함에 의해, 게임진행자의 발조작에 따른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드럼머신(18)의 전자드럼(DR)이 조작되는 상태를 드럼감지부(24)의 드럼 감지센서(DRS)에 의해 감지하여 게임진행자의 드럼스틱 또는 손조작에 따른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를 입력받는다.
그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제 1 및 제 2조작감지부(22A,22B)에 의해 감지되는 게임진행자의 발조작에 대한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와, 드럼감지부(24)에 의해 감지되는 게임진행자의 손조작에 대한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되는 게임의 점수를 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키입력부(10A)에 의해 예컨대, 제 1조작판(8A)이 반주음악의 음량가변 및 조명의 조도가변의 대상 조작부로서 설정되어 있으면, 그 제 1조작판(8A)이 조작되는 정도 즉,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따라 조명조절부(38)를 조정제어하여 조명장치(20)의 조도 및 동작정도가 수시로 가변되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제어 프로세서(48)와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제 1조작판(8A)이 조작되는데 따른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따라 출력앰프(50)의 출력음량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스피커(6)에 의해 재생출력되는 반주음악과 가상의 전자악기에 대한 음량이 상기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추종적으로 수시 가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 프로세서(48)는 마이크로폰(4)을 통해 입력받는 노래연습자(즉, 게임진행자)의 음성에 대한 음량과 템포 추종도에 따라 노래점수를 산정하게 된다.
또, 디스크 기록/재생부(16)에 디스크형의 기록매체가 수납되고 상기 키입력부(10A)에 의해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비디오 카메라(14)를 통해 촬영되는 게임진행자의 동화상신호가 MPEG 엔코더/디코더(40)에 의해MPEG2 방식으로 엔코딩되어 MPEG2 파일로서 디스크형의 기록매체에 수록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상기 메인 제어부(34)는 상기 노래점수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조작판(8A,8B)과 드럼머신(18)의 조작에 따라 산정된 게임점수와의 평균치에 의해 최종적인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모니터(2)상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가요의 음악반주기능과 동시에 신체의 운동조작을 이용하는 오락게임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노래연습자의 노래점수와 오락게임의 게임점수를 평균화하여 최종적인 점수가 산출하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능동적이고 입체적인 오락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5)

  1. 영상가요 반주음악의 선택 및 설정과, 오락게임의 실행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갖춘 기능입력수단과,
    게임진행자의 신체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게임조작수단,
    상기 게임조작수단의 조작상태에 따라 게임진행자의 신체운동에 따른 중량 및 충격량을 감지하는 게임조작 감지수단,
    게임진행자의 신체운동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오락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데이터 메모리수단,
    다수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와, 다수의 가상 전자악기에 대한 음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데이터 메모리수단,
    상기 기능입력수단의 기능입력에 따라 상기 음악데이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선택된 곡목의 반주음악 데이터를 재생출력시킴과 더불어, 상기 게임조작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게임조작수단의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따라 오락게임의 진행 및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에 대한 가변출력을 제어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게임진행자의 노래에 대한 점수와 게임점수를 종합적으로 산정하여 최종적인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와 가상의 전자악기 음원데이터에 대해 상기 게임조작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추종적으로 음량을 가변하여 재생출력하는 반주음악 출력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소정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의 가사자막과 오락게임의 진행화면을 재생출력하는 비디오 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조작수단은 게임진행자의 발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방향성을 갖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갖춘 조작판과, 게임진행자의 손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전자드럼을 갖춘 드럼머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데이터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다수 곡목의 영상가요 반주음악 데이터는 MP3 방식의 데이터포맷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게임진행자의 노래 및 오락게임 진행장면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화상신호를 MPEG2 방식의 데이터포맷으로 엔코딩하거나 MPEG 파일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MPEG엔코더/디코더 및, 상기 MPEG 엔코더/디코더로부터 엔코딩된 MPEG 파일을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수록된 동화상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크 기록/재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조작수단에 대한 중량 및 충격량의 변화치에 추종적으로 외부 조명장치의 조도 및 동작정도를 수시로 가변하는 조명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KR10-2000-0015335A 2000-03-25 2000-03-25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KR100404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335A KR100404917B1 (ko) 2000-03-25 2000-03-25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335A KR100404917B1 (ko) 2000-03-25 2000-03-25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391A true KR20010090391A (ko) 2001-10-18
KR100404917B1 KR100404917B1 (ko) 2003-11-07

Family

ID=1965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335A KR100404917B1 (ko) 2000-03-25 2000-03-25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9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372B1 (ko) * 2000-03-07 2003-07-02 주식회사 다림비젼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498166B1 (ko) * 2002-05-17 2005-07-01 주식회사 부성가이저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17991B1 (ko) * 2009-02-16 2009-09-18 주식회사 빅슨 화상회의 및 노래방 기능을 가진 셋탑박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9993B1 (ko) * 2008-04-23 2010-02-03 유한회사 모던엔시스 전통북을 이용한 게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582A (ko) * 1999-04-14 1999-08-05 송경태 춤추는 노래 반주기
KR100349323B1 (ko) * 1999-10-18 2002-08-21 주식회사 아싸 노래방 연주기의 드럼연주장치및 그 제어방법
KR200182151Y1 (ko) * 1999-11-23 2000-05-15 주식회사가람정보기술 댄스 게임 장치 및 가요반주기 기능을 가지는 댄스 게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372B1 (ko) * 2000-03-07 2003-07-02 주식회사 다림비젼 운동용 게임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498166B1 (ko) * 2002-05-17 2005-07-01 주식회사 부성가이저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39993B1 (ko) * 2008-04-23 2010-02-03 유한회사 모던엔시스 전통북을 이용한 게임장치
KR100917991B1 (ko) * 2009-02-16 2009-09-18 주식회사 빅슨 화상회의 및 노래방 기능을 가진 셋탑박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4917B1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3547B2 (en) Scheme for providing audio effects for a musical instrument and for controlling images with same
JP3260653B2 (ja) カラオケ装置
JP3053090B1 (ja) 音楽ゲ―ムシステム並びにそのゲ―ムシステムに適したゲ―ム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3320700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2007293042A (ja) 音楽演奏プログラムおよび音楽演奏装置
JP4059410B2 (ja)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1195054A (ja) 楽 器
JP3727275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KR20020062598A (ko)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배경 음악 발생 방법
JP2000245967A (ja) ゲーム機に装着可能なターンテーブルアダプタ
KR100404917B1 (ko)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JP2002006866A (ja) カラオケ装置
JP5486941B2 (ja)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KR200255782Y1 (ko) 악기 연주연습이 가능한 영상가요 반주장치
JP2016198536A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進行方法
WO2014174621A1 (ja) 記録媒体、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進行方法
JP3953064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KR200182151Y1 (ko) 댄스 게임 장치 및 가요반주기 기능을 가지는 댄스 게임장치
KR200182282Y1 (ko) 댄스연습용 프로그램이 수록된 동영상-오디오물 디스크의제조장치
JP3614049B2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装置の外部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349323B1 (ko) 노래방 연주기의 드럼연주장치및 그 제어방법
JP4069889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4069890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2009193082A (ja) カラオケ装置
JP3672178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