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166B1 -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166B1
KR100498166B1 KR10-2002-0027345A KR20020027345A KR100498166B1 KR 100498166 B1 KR100498166 B1 KR 100498166B1 KR 20020027345 A KR20020027345 A KR 20020027345A KR 100498166 B1 KR100498166 B1 KR 10049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foot
tetris
button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230A (ko
Inventor
조진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성가이저
조진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성가이저, 조진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성가이저
Priority to KR10-2002-002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166B1/ko
Priority to PCT/KR2003/000976 priority patent/WO2003097195A1/en
Priority to AU2003235250A priority patent/AU2003235250A1/en
Publication of KR2003008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63F13/1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1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involving bio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limb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94Unusual game types, e.g. virtual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오락게임의 실행을 발판을 이용하여 족동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오락성의 배가 및 운동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게임 상의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물을 게임 진행자의 조작에 의해 전환적으로 조종하여 진행하는 방식의 전자식 오락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식 오락게임의 게임 진행상의 목적물 조종을 위한 입력기능을 수행하는 족동 조작수단과, 상기 족동 조작수단을 통한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한 조작에 의해 목적물의 전환적인 조종에 의해 진행되는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게임프로그램 저장수단, 상기 게임프로그램 저장수단으로부터의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에 의한 입력기능을 통해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게임 진행상의 목적물 조종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게임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을 통한 목적물의 조종에 의한 게임 진행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가시적으로 출력하도록 비디오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게임 시스템의 게임 진행상의 목적물은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서만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Foot movement control type gam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오락 게임의 조작을 발판의 족동 조작을 통해서 진행함에 의해 오락성과 더불어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오락 게임은 별도의 게임기나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경우에는 키보드의 키값을 입력하여 게임 진행상태를 컨트롤하거나, 컨트롤 레버 및 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한 전자식 오락 게임 중에서, 대중화된 아케이드형 오락 게임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테트리스(Tetris) 게임의 경우에는 7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가상적인 퍼즐 블록을 원하는 위치로 컨트롤하여 적재적소에 쌓도록 함에 의해,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적재라인이 자동적으로 소멸되도록 하여 득점을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테트리스 게임은 게임 진행자가 키보드 또는 컨트롤 레버 및 버튼을 수시로 수동 조작하여 게임을 진행해야 하므로, 게임 진행자의 순간적인 판단력이 요구됨과 더불어 눈과 손의 협동 반응을 통해서 게임이 진행되는 두뇌 개발형의 게임이다.
그러나, 이러한 테트리스 게임과 같은 아케이드형 오락게임의 경우에는 게임기의 키보드나 컨트롤 레버 및 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신체의 극히 일부분만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게임조작을 수행함으로 인해 장시간의 게임 진행시에는 오락성이 반감될 뿐만 아니라, 게임을 통한 신체의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자식 오락게임의 실행을 발판을 이용하여 족동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오락성의 배가 및 운동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트리스 게임에 있어서 퍼즐 블럭의 조종 조작을 발판의 족동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트리스 게임의 퍼즐 블록 조정 조작시에, 발판의 답력 조작버튼에 대해 각각의 퍼즐 블록을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오락성과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트리스 게임의 퍼즐 블록 조정 조작시에, 각 퍼즐 블록의 형상에 따라 발판의 답력 조작위치를 변경시켜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오락성과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게임 상의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물을 게임 진행자의 조작에 의해 전환적으로 조종하여 진행하는 방식의 전자식 오락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전자식 오락게임의 게임 진행상의 목적물 조종을 위한 입력기능을 수행하는 족동 조작수단과, 상기 족동 조작수단을 통한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한 조작에 의해 목적물의 전환적인 조종에 의해 진행되는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게임프로그램 저장수단, 상기 게임프로그램 저장수단으로부터의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에 의한 입력기능을 통해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게임 진행상의 목적물 조종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게임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을 통한 목적물의 조종에 의한 게임 진행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가시적으로 출력하도록 비디오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게임 시스템의 게임 진행상의 목적물은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서만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게임 상의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물을 게임 진행자의 조작에 의해 전환적으로 조종하여 진행하는 방식의 전자식 오락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오락게임의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고서, 족동 조작수단을 이용한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상태에 대응하여 목적물의 전환적인 조종을 수행함에 의해 게임을 진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족동 조작수단을 통한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에 의해 전자식 오락게임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게임의 종료조건이 형성되면 게임을 종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족동식 게임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족동식 게임 시스템은 시스템 본체의 정면에는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게임화면을 제공하는 대형의 모니터(2)가 구비되고, 본체의 양 측면에는 전자식 오락 게임의 진행시에 동반되는 오디오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2)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면에는 해당 모니터(2)를 통해 진행되는 전자식 오락 게임의 조작을 게임 진행자의 발조작에 의해 족동식으로 수행하기 위한 발판(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6)은 해당 시스템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되고서, 게임 진행자의 발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본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해당 발판(6)과 본체 측에 각각 무선 전송수단과 무선 수신수단을 구비하여 게임 진행자의 발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동 도면에서는 상기 발판(6)이 시스템 본체에 대해서 단일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적어도 2인 이상의 게임 진행자가 동일한 모니터(2)를 통해 게임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2개 이상을 구비하여 본체와 연결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족동식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족동식 발판의 버튼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6)은 전자식 오락 게임의 진행을 위한 모드 설정과, 게임 진행시의 입력키 값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키 값의 발생을 위해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이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은 게임 진행자가 양발을 모두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자유롭도록 9분할된 3×3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바, 이는 중상 발판 버튼(BT1)과, 중하 발판 버튼(BT2), 좌중 발판 버튼(BT3), 우중 발판 버튼(BT4), 정중 발판 버튼(BT5), 좌상 발판 버튼(BT6), 우상 발판 버튼(BT7), 좌하 발판 버튼(BT8) 및, 우하 발판 버튼(BT9)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판(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이 부착되어 있는 상판(6a)과, 상판(6a)의 하부에 부착되어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에 의해 상판(6a)과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예컨대 고무 등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판(6b), 상판(6a)의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의 개별적인 버튼 조작이 가능하도록 9분할된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구분판(6c) 및, 9개의 감지센서가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의 배치위치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는 하판(6d)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6a)에 배치된 각각의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의 내측에는 각 발판 버튼의 작동방향 즉, 중상, 중하, 좌중, 우중, 정중,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 및 엔터기호 형태를 갖는 표시램프(LP)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표시램프(LP)는 해당 발판 버튼(BT1∼BT9)이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에 의해 버튼 입력되면 점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판(6d)에 배열되어 있는 9개의 감지센서(SS)는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의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에 의한 답력으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족동식 게임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족동식 게임 시스템은 동전투입 감지부(10)와, 데이터 변환부(12), 표시 구동부(14),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 마이크로 프로세서(18), 비디오 처리부(20), 비디오출력 구동부(22), 오디오 처리부(24), 오디오 증폭부(26)로 구성된다.
상기 동전투입 감지부(10)는 상기 동전 투입구(8)를 통한 동전의 투입 상태를 감지하여 게임의 개시를 위한 동전투입 감지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12)는 상기 발판(6)의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이 버튼 조작됨에 의해 감지센서(SS)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조작감지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 구동부(14)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표시제어에 따라, 상기 발판(6)의 9분할된 발판 버튼(BT1∼BT9)에 각각 갖추어진 표시램프(LP)를 버튼 조작 상태에 대응적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구동을 수행한다.
동 도면에서, 상기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는 상기 모니터(2)와 스피커(4)를 통해서 출력이 가능한 전자식 오락 게임으로서 테트리스 게임을 진행시키기 위한 테트리스 게임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동전투입 감지부(10)로부터 동전투입을 감지한 결과로 발생되는 동전투입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의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에 대한 모드설정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12)를 통해 입력받은 발판(6)으로부터의 조작감지신호에 의해 게임의 조건 형성을 위한 모드설정을 수행하고,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모드설정에 의해 형성된 게임의 조건에 대응하는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가 모니터(2) 및 스피커(4)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테트리스 게임의 진행이 상기 발판(6)의 터치조작상태에 대응하여 추종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2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의 비디오 처리제어에 따라 테트리스 게임에 따른 비디오신호가 상기 모니터(2)를 통해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게 되고, 상기 비디오출력 구동부(22)는 상기 비디오 처리부(20)의 비디오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모니터(2) 상에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화면이 재현되도록 수직/수평 출력구동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4)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의 오디오 처리제어에 따라 테트리스 게임에 따른 오디오신호가 상기 스피커(4)를 통해 가청적으로 재생 가능하도록 오디오 신호처리하고, 상기 오디오 증폭부(26)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24)에 의해 오디오신호 처리된 테트리스 게임의 오디오신호를 재생출력가능하게 증폭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일반모드에 따른 족동식 테트리스의 실행화면 상태를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서는 동전투입 감지부(10)에 의해 동전 투입구(8)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로부터의 테트리스 게임 프로그램에 대한 게임 개시모드의 초기화면이 모니터(2)를 통해 재현되도록 함과 더불어, 스피커(4)를 통해 테트리스 게임의 개시를 요청하는 안내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가 재생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모니터(2) 상에는 상기 발판(6)의 정중 발판 버튼(BT5)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시작버튼 이미지(30)와, 동전투입의 요청메시지가 포함된 동전투입 안내이미지(32)가 표시되고, 발판(6)의 조작방식을 안내하는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가 표시된다. 단, 상기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에서는 시작버튼 이미지(30)의 활성화 조작이 가능한 발판(6)의 정중 발판 버튼(BT5)과 동일한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지시 이미지(34a)가 다른 버튼의 이미지와 구별되도록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동전투입 감지부(10)에 의해 동전 투입구(8)로부터 투입되는 동전이 감지되고, 데이터 변환부(12)를 통해 상기 발판(6)의 정중 발판 버튼(BT5)의 조작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선택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모니터(2) 상에 일반 테트리스 게임의 설정을 요청하는 일반테트리스 선택버튼 이미지(34)와, 제 1변형 테트리스의 설정을 요청하는 변형 테트리스Ⅰ 선택버튼 이미지(36) 및, 제 2변형 테트리스의 설정을 요청하는 변형 테트리스Ⅱ 선택버튼 이미지(38)가 표시되도록 하는 한편, 발판의 조작방식을 안내하는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선택버튼 이미지(34,36,38)는 게임 선택모드에 따른 게임방식의 선택상태가 가시적으로 표현되도록 이동표시 이미지(40)가 발판(6)의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에는 이동표시 이미지(40)를 이용한 각 선택버튼 이미지(34,36,38)의 이동 및 게임선택을 위한 발판(6)의 버튼조작을 안내하도록 발판(6)의 중상/정중/중하 발판버튼(BT1,BT5,BT2)과 동일한 위치에 조작지시 이미지(34b)를 형성하게 된다.
도 5b에서 일반 테트리스 선택버튼 이미지(34)의 선택에 의해 일반 테트리스 게임이 선택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게임 매치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모니터(2) 상에 1인의 게임진행에 따른 싱글모드의 선택을 위한 싱글 선택버튼 이미지(42)와, 2인의 게임진행에 따른 게임더블모드의 선택을 위한 더블 선택버튼 이미지(44), 3인 이상의 게임진행에 따른 멀티모드의 선택을 위한 멀티 선택버튼 이미지(46)가 표시되도록 하고, 이동표시 이미지(40)를 이동시켜서 각 선택버튼 이미지(42,44,46) 중에서 원하는 버튼조작을 안내하도록 조작지시 이미지(34c)를 갖춘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 선택버튼 이미지(44) 또는 멀티 선택버튼 이미지(46)의 선택에 의해 실행이 가능한 더블모드 또는 멀티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게임 시스템에 대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발판(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서 각 발판(6)의 조작상태를 개별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 5c에서 싱글 선택버튼 이미지(42)의 선택에 의해 싱글모드가 설정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난이도 선택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모니터(2) 상에 초보모드의 선택을 위한 초보용 선택버튼 이미지(48)와, 중급모드의 선택을 위한 중급용 선택버튼 이미지(50), 고급모드의 선택을 위한 고급 선택버튼 이미지(52)가 표시되도록 하고, 이동표시 이미지(40)를 이동시켜서 각 선택버튼 이미지(48,50,52) 중에서 원하는 버튼조작을 안내하도록 조작지시 이미지(34d)를 갖춘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가 형성된다.
도 5d에서 특정한 난이도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해 발판(6)의 조작에 의해 각 선택버튼 이미지(48,52,52) 중에서 소정의 선택버튼 이미지가 선택되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의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상기 모니터(2) 및 스피커(4)를 통해서 선택된 난이도에 따른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 화면과 오디오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로부터의 테트리스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상기 모니터(2) 상에 테트리스 블록(56)의 조작에 의해 게임이 실행되는 게임박스(54)가 형성되도록 하고, 다음 테트리스 블록의 표시와, 현재 게임단계의 표시, 게임점수의 표시, 게임선택모드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게임 박스(54) 내에서의 테트리스 블록(56)의 조작을 안내하는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게임 박스(54) 내에서 각 테트리스 블록(56)의 조작이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발판(6)의 좌중/우중 선택버튼(BT3,BT4)에 의해 좌/우 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중하 선택버튼(BT2)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정중 선택버튼(BT5)에 의해 하측으로 빨리 이동되도록 하고, 중상 선택버튼(BT1)에 의해 테트리스 퍼즐블록(56)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 1변형모드에 따른 테트리스 게임의 실행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b에서 상기 발판(6)의 조작에 의해 변형 테트리스Ⅰ 선택버튼 이미지(36)가 선택되면, 도 5c에서 게임 매치모드가 선택되고 도 5d에서 난이도 선택모드에 따른 난이도가 선택된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서는 상기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의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모니터(2) 및 스피커(4)를 통해 제 1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화면 재생과 오디오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모니터(2) 상에 제 1변형 테트리스 게임에 따라 테트리스 퍼즐블록(60)의 조작을 수행하는 게임박스(58)가 표시되도록 하는 바, 그 게임박스(48) 내에서 진행되는 제 1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진행방식은 테트리스 퍼즐블록(60)의 출현시에 해당 퍼즐블록(60)의 종류에 대해 미리 지정된 발판(6)의 선택버튼을 적정한 시기에 버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퍼즐블록의 확인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그 퍼즐블록(60)이 이미 적재된 블록에 닿기 이전에 발판(6)의 지정된 선택버튼이 조작되지 못하면, 적재블록의 1줄 또는 2줄의 증가형성 등과 같은 페널티를 부여하도록 진행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서는 상기 모니터(2) 상에 발판조작 안내이미지(34)를 형성하여, 상기 게임박스(58) 내에서 출현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60)의 종류에 대해 미리 지정된 선택버튼을 활성화하여 안내하는 조작지시 이미지(34e)가 각각의 퍼즐블록 마다 변경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각 테트리스 퍼즐블록에 대해 발판(6)의 선택버튼을 지정한 일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변형 테트리스 게임에서는 제 1∼제 7테트리스 퍼즐블록(BL1∼BL7)을 갖춘 7가지의 퍼즐블록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하고, 상기 발판(6)의 정중 선택버튼(BT5)은 제 1테트리스 퍼즐블록(BL1)이 지정되고, 우하 선택버튼(BT9)은 제 2테트리스 퍼즐블록(BL2)이 지정되며, 좌상 선택버튼(BT6)은 제 3 및 제 4테트리스 퍼즐블록(BL3,BL4)이 지정되고, 우상 선택버튼(BT7)은 제 5 및 제 6테트리스 퍼즐블록(BL5,BL6)이 지정되며, 좌하 선택버튼(BT8)은 제 7테트리스 퍼즐블록(BL7)이 지정된다.
한편, 상기 발판(6)의 중상 선택버튼(BT1)은 퍼즐블록의 회전을 위해 조작되도록 하고, 좌중/우중 선택버튼(BT3,BT4)은 각각 퍼즐블록의 좌/우 이동을 위해 조작되도록 하며, 중하 선택버튼(BT2)은 퍼즐블록의 하측 이동을 위해 조작되도록 하게 되는 바, 퍼즐블록을 회전시키거나 좌/우 이동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 1∼제 7테트리스 퍼즐블록(BL1∼BL7)이 각각 지정된 선택버튼(BT5,BT9,BT6,BT7,BT8) 중에서 게임박스(58) 상에서 제시된 퍼즐블록에 대해 지정된 선택버튼을 조작한 상태에서 회전 또는 이동을 위한 선택버튼을 동시에 조작해야 한다.
다음에, 도 8과 도 9a 내지 도 9g를 참조하여 제 2변형모드에 따른 테트리스 게임의 실행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b에서 상기 발판(6)의 조작에 의해 변형 테트리스Ⅱ 선택버튼 이미지(38)가 선택되면, 도 5c에서 게임 매치모드가 선택되고 도 5d에서 난이도 선택모드에 따른 난이도가 선택된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서는 상기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의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모니터(2) 및 스피커(4)를 통해 제 2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화면 재생과 오디오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모니터(2) 상에 제 2변형 테트리스 게임에 따라 테트리스 퍼즐블록(64)의 조작을 수행하는 게임박스(62)가 표시되도록 하는 바, 상기 게임박스(62) 내에서 진행되는 제 2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진행방식은 7가지의 퍼즐블록(BL1∼BL7)에 대한 7개의 기본형상과 각 퍼즐블록(BL1∼BL7)의 회전에 따라 변형되는 8개의 변형형상을 포함하는 총 15가지의 퍼즐블록에 대한 형상에 대응하여 지정된 발판(6)의 선택버튼을 조작함에 의해, 퍼즐블록의 확인기능 및 이동기능이 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게임박스(62) 내에 제시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64)의 형상에 대응하여 발판(6)의 선택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모니터(2) 상에 복수의 발판조작 안내이미지(66,68)를 형성하게 되는 바, 이러한 복수의 발판조작 안내이미지(66,68)는 게임박스(62) 내에서 제시되는 퍼즐블록(64)의 기본형상과 회전에 의해 변형되는 형상에 대응하는 발판(6)의 선택버튼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복수개가 제시되고, 각각 테트리스 퍼즐블록(64)의 형상에 대해 미리 지정된 선택버튼을 활성화하여 안내하는 조작지시 이미지(66a,68a)가 표시된다.
제 2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각 테트리스 퍼즐블록에 대해 발판(6)의 선택버튼을 지정한 일예는 도 9a 내지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테트리스 퍼즐블록(BL1)은 상기 발판(6)의 정중 선택버튼(BT5)에 의해 지정되고, 제 2테트리스 퍼즐블록(Bl2)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상(즉, 세워진 형태)인 경우에 발판(6)의 정중 선택버튼(BT5)을 생략하고 중상 선택버튼(BT1)과 중하 선택버튼(BT2)에 의해 지정됨과 더불어, 회전에 의한 변형형상인 경우에 발판(6)의 정중 선택버튼(BT5)을 생략한 좌중 선택버튼(BT3)과 우중 선택버튼(BT4)에 의해 지정된다.
또한, 제 3테트리스 퍼즐블록(BL3)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상(즉, 세워진 형태)인 경우에 발판(6)의 좌중/좌상 선택버튼(BT3,BT6)을 생략하여 중상 선택버튼(BT1)과 좌하 선택버튼(BT8)에 의해 지정됨과 더불어, 변형된 형상인 경우에 좌하/중하 선택버튼(BT8,BT2)을 생략하여 좌중 선택버튼(BT3)과 우하 선택버튼(BT9)에 의해 지정된다.
제 4테트리스 퍼즐블록(BL4)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상(즉, 세워진 형태)인 경우에 발판(6)의 우상/우중 선택버튼(BT7,BT4)을 생략하여 중상 선택버튼(BT1)과 우하 선택버튼(BT9)에 의해 지정됨과 더불어, 변형된 형상인 경우에 중하/우하 선택버튼(BT2,BT9)을 생략하여 우중 선택버튼(BT4)과 중하 선택버튼(BT8)에 의해 지정된다.
제 5테트리스 퍼즐블록(BL5)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상(즉, 세워진 형태)인 경우에 발판(6)의 좌중/정중 선택버튼(BT3,BT5)을 생략하여 좌상 선택버튼(BT6)과 중하 선택버튼(BT2)에 의해 지정됨과 더불어, 변형형상인 경우에 중상/정중 선택버튼(BT1,BT5)을 생략하여 우상 선택버튼(BT7)과 좌중 선택버튼(BT3)에 의해 지정된다.
제 6테트리스 퍼즐블록(BL6)은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상(즉, 세워진 형태)인 경우에 발판(6)의 정중/우중 선택버튼(BT5,BT4)을 생략하여 우상 선택버튼(BT7)과 중하 선택버튼(BT2)에 의해 지정됨과 더불어, 변형형상인 경우에 중상/정중 선택버튼(BT1,BT5)을 생략하여 좌상 선택버튼(BT6)과 우중 선택버튼(BT4)에 의해 지정된다.
제 7테트리스 퍼즐블록(BL7)은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상(즉, 세워진 형태)인 경우에 발판(6)의 좌중/우중 선택버튼(BT3,BT4)을 생략하여 중상 선택버튼(BT1)과 정중 선택버튼(BT5)에 의해 지정되고, 제 1변형형상(즉, 뒤집힌 형태)인 경우에 좌중/우중 선택버튼(BT3,BT4)을 생략하여 정중 선택버튼(BT5)과 중하 선택버튼(BT2)에 의해 지정되며, 제 2변형형상(즉, 좌측으로 회전한 형태)인 경우에 중상/중하 선택버튼(BT1,BT2)을 생략하고 좌중 선택버튼(BT3)과 정중 선택버튼(BT5)에 의해 지정되고, 제 3변형형상(즉, 우측으로 회전한 형태)인 경우에 중상/중하 선택버튼(BT1,BT2)을 생략하고 우중 선택버튼(BT4)과 정중 선택버튼(BT5)에 의해 지정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1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동전투입 감지부(10)에서 동전의 투입이 감지되지 않은 게임 대기상태에서(단계 S10),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동전투입 감지부(10)에서 동전 투입구(8)를 통해 동전의 투입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전투입 감지부(10)로부터 테트리스 게임의 진행을 위해 동전의 투입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2) 상에 일반 테트리스모드나 제 1변형 테트리스모드 또는 제 2변형 테트리스모드의 선택을 위한 게임 선택모드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12).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발판(6)의 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일반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판(6)의 중상/중하 선택버튼(BT1,BT2)과 정중 선택버튼(BT5)이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일반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게임 매치모드를 실행하여 싱글 모드와 더블 모드, 멀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치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고, 난이도 선택모드를 실행하여 초보모드와, 중급모드, 고급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난이도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단계 S14).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의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게임 매치모드와 난이도 선택모드에 따라 선택된 모드상태에 대응하는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화면 재생과 오디오출력이 모니터(2)와 스피커(4)를 통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5).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박스(54) 내에 제시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56)을 발판(6)의 좌중/우중 선택버튼(BT3,BT4)이 조작됨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중상 선택버튼(BT1)이 조작됨에 의해 회전시키거나, 중하 선택버튼(BT2)이 조작됨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 또는 정중 선택버튼(BT5)이 조작됨에 의해 하측으로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니터(2) 상의 게임실행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16).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일반 테트리스모드에 따른 테트리스 게임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적재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이 게임의 종료라인에 도달하면서 게임이 종료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7).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조작됨에 의한 게임의 진행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적재된 테트리스 퍼즐블록이 게임의 종료라인에 도달하여 게임이 종료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2) 상에 게임의 종료화면이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스피커(4)를 통해 게임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된 오디오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게임 종료에 따른 대기상태로 돌입한다(단계 S18).
한편, 상기 단계 1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임 선택모드에서 일반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 1변형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9).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제 1변형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게임 매치모드를 실행하여 싱글 모드와 더블 모드, 멀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치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고, 난이도 선택모드를 실행하여 초보모드와, 중급모드, 고급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난이도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단계 S20).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의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게임 매치모드와 난이도 선택모드에 따라 선택된 모드상태에 대응하는 제 1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화면 재생과 오디오출력이 모니터(2)와 스피커(4)를 통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1).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박스(58) 내에서 제시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6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발판(6)의 선택버튼이 적정한 시기에 조작됨에 의해, 제시된 테트리스 퍼즐블록의 확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니터(2) 상의 게임 실행화면이 변경되도록 제어처리한다(단계 S22).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제 1변형 테트리스모드에 따른 테트리스 게임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적재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이 게임의 종료라인에 도달하면서 게임이 종료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조작됨에 의한 게임의 진행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적재된 테트리스 퍼즐블록이 게임의 종료라인에 도달하여 게임이 종료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18로 진행하여 상기 모니터(2) 상에 게임의 종료화면이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스피커(4)를 통해 게임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된 오디오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게임 종료에 따른 대기상태로 돌입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9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임 선택모드에서 제 1변형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 2변형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제 2변형 테트리스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게임 매치모드를 실행하여 싱글 모드와 더블 모드, 멀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치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고, 난이도 선택모드를 실행하여 초보모드와, 중급모드, 고급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난이도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단계 S25).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게임프로그램 메모리(16)의 테트리스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게임 매치모드와 난이도 선택모드에 따라 선택된 모드상태에 대응하는 제 2변형 테트리스 게임의 비디오화면 재생과 오디오출력이 모니터(2)와 스피커(4)를 통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6).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박스(62) 내에서 제시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64)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발판(6)의 선택버튼이 조작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테트리스 퍼즐블록의 확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모니터(2)의 게임 실행화면이 변경되도록 제어처리한다(단계 S27).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제 2변형 테트리스모드에 따른 테트리스 게임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적재되는 테트리스 퍼즐블록이 게임의 종료라인에 도달하면서 게임이 종료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8).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는 상기 발판(6)의 선택버튼이 조작됨에 의한 게임의 진행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적재된 테트리스 퍼즐블록이 게임의 종료라인에 도달하여 게임이 종료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18로 진행하여 상기 모니터(2) 상에 게임의 종료화면이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스피커(4)를 통해 게임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된 오디오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게임 종료에 따른 대기상태로 돌입한다.
상기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그 실시양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게임 시스템은 게임 진행의 대가로서 동전을 투입해야 테트리스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유료 게임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드웨어 장치로서 개인용 컴퓨터(PC)에 본 발명의 발판 조작기능이 포함된 게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인스톨하고, 발판을 연결하여 테트리스 게임을 진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테트리스 게임의 테트리스 퍼즐블록에 대한 이동 및 회전조작을 발판의 선택버튼의 터치조작에 의해 진행이 가능한 게임으로서 테트리스 퍼즐블록의 이동 및 회전이 수행되는 테트리스 게임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물을 상기 발판의 선택버튼을 선택적으로 터치 조작함에 의해 이동이나 회전, 도약, 발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아케이드게임 프로그램이나 슈팅게임 프로그램 또는 운행 시뮬레이션게임 프로그램(예컨대 비행시뮬레이션 게임이나 자동차 주행시뮬레이션 게임)에도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을 이용한 게임 진행자의 발조작에 의해 테트리스 게임과 같은 아케이드형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게임 진행자가 신체적으로 전체적으로 활용하여야 게임진행이 가능하게 됨에 의해 게임의 오락성이 배가될 뿐만 아니라, 체력단련이나 다이어트 등과 같은 운동 기능적인 요소를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족동식 게임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족동식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족동식 발판의 버튼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족동식 게임 시스템에 적용되는 족동식 발판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족동식 게임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일반모드에 따른 족동식 테트리스의 실행화면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변형모드에 따른 족동식 테트리스의 실행화면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변형모드에 의해 발판의 버튼에 테트리스 블록이 지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변형모드에 따른 족동식 테트리스의 실행화면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변형모드에서 각 테트리스 블록의 형상에 의해 발판의 버튼조작 위치가 지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모니터, 4:스피커,
6:발판, 8:동전 투입구,
10:동전투입 감지부, 12:데이터 변환부,
14:표시 구동부, 16:게임프로그램 메모리,
18:마이크로 프로세서, 20:비디오 처리부,
22:비디오출력 구동부, 24:오디오 처리부,
26:오디오 증폭부, BT1∼BT9:발판 버튼,
LP:표시램프, SS:압력센서,
BL1∼BL7:테트리스 퍼즐 블록.

Claims (20)

  1. 전자식 오락게임의 게임 진행상에 존재하는 목적물을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한 조작에 의해 이동되게 조종하기 위한 입력기능을 수행하는 족동 조작수단;
    상기 족동 조작수단을 통한 게임 진행자의 발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목적물의 전환적인 조종에 의해 진행되는 전자식 오락계임의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게임프로그램 저장수단;
    상기 게임프로그램 저장수단의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족동 조작수단에서의 발 조작에 의한 입력기능을 통해 전자식 오락게임의 게임 진행상의 목적물 조종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게임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족동 조작수단에서의 발 조작을 통해 진행되는 목적물의 조종에 의한 게임 진행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가시적으로 출력하도록 비디오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게임프로그램 저장수단의 게임프로그램은 목적물로서의 테트리스 퍼즐 블록을 전환적으로 조종하여 진행하는 테트리스 게임의 게임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에 의해 게임의 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모드설정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게임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게임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족동 조작수단은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이 가능하도록 9분할된 9개의 발판 버튼을 갖춘 발판, 상기 9개의 발판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지하는 조작 감지부, 및 상기 조작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디지털변환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중상, 중하, 좌중, 우중, 정중,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작동방향을 각각 갖는 9분할된 발판 버튼이 부착되어 있는 상판과, 상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판, 상판의 발판 버튼의 개별적인 버튼 조작이 가능하도록 9분할된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구분판 및, 9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조작 감지부가 9분할된 발판 버튼의 배치위치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는 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상판에 배치된 각각의 9분할된 발판 버튼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 발판 버튼의 작동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 및 엔터기호 형태를 갖는 9개의 표시램프와, 발판 버튼의 발 조작에 의한 버튼 입력에 따라 해당 발판 버튼에 대응하는 표시램프를 점등하기 위해 구동되는 표시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판의 발판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해당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해 표시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의 감지센서는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에 의한 답력으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판의 9분할된 발판 버튼을 목적물로서 테트리스 퍼즐블록의 좌/우 이동과, 하측 이동, 하측의 빠른 이동, 회전 조작을 위해 각각 개별적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목적물로서 테트리스 퍼즐블록의 종류 별로 상기 발판의 9분할된 발판 버튼을 각각 개별적으로 지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목적물로서 테트리스 퍼즐블록의 기본 형상과, 회전에 따른 변형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발판의 9분할된 발판 버튼을 지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족동 조작수단은 2인 이상의 동시 테트리스 게임 진행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발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발판에 구비된 발판 버튼의 버튼 입력상태를 각각 감지하여 동시에 테트리스 게임을 진행시키기 위한 제어처리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동전을 투입하는 동전 투입구와, 동전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을 감지하는 동전투입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동전투입 감지부로부터 동전투입이 감지되어야 전자식 오락 게임의 진행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시스템.
  14. 게임상의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물을 게임 진행자의 조작에 의해 전환적으로 조종하는 방식의 전자식 오락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오락게임의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고서, 족동 조작수단을 이용한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목적물의 전환적인 조종을 수행함에 의해 게임을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족동 조작수단을 통한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에 의해 전자식 오락게임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게임의 종료조건이 형성되면 게임을 종료시키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식 오락계임은 목적물로서의 테트리스 퍼즐 블록을 전환적으로 조종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테트리스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오락게임의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족동 조작수단을 이용한 게임 진행자의 발 조작상태를 감지하여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게임 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게임모드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중상, 중하, 좌중, 우중, 정중,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작동방향을 각각 갖는 9분할된 발판 버튼을 갖춘 족동 조작수단의 선택적인 발판 버튼 조작에 의해 테트리스 퍼즐 블록의 좌/우 이동, 하측 이동, 하측으로의 빠른 이동, 회전 조작을 실행하여 게임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중상, 중하, 좌중, 우중, 정중,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작동방향을 각각 갖는 9분할된 발판 버튼을 각각 테트리스 퍼즐 블록의 종류별로 개별적으로 지정하고서, 게임 진행상에서 특정 종류의 테트리스 퍼즐 블록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되는 테트리스 퍼즐 블록의 종류에 대해 지정된 발판 버튼의 버튼 조작상태를 감지하여 확인 처리함에 의해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발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족동 조작수단의 중상, 중하, 좌중, 우중, 정중,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작동방향을 각각 갖는 9분할된 발판 버튼을 각각 테트리스 퍼즐 블록의 기본 형상과 회전에 따른 변형 형상에 대응하여 지정하고서, 특정 형상의 테트리스 퍼즐 블록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되는 테트리스 퍼즐 블록의 기본 형상 또는 변형 형상에 따라 지정된 발판 버튼의 버튼 조작상태를 감지하여 확인 처리함에 의해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전자식 오락 게임의 게임 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게임모드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임모드는 1인 게임모드와 2인 게임모드 및 멀티게임모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게임 매치모드와, 게임의 난이도를 선택하기 위한 난이도 선택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동식 게임 제어방법.
KR10-2002-0027345A 2002-05-17 2002-05-17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98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345A KR100498166B1 (ko) 2002-05-17 2002-05-17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3/000976 WO2003097195A1 (en) 2002-05-17 2003-05-16 Foot movement control type gam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03235250A AU2003235250A1 (en) 2002-05-17 2003-05-16 Foot movement control type gam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345A KR100498166B1 (ko) 2002-05-17 2002-05-17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151U Division KR200287043Y1 (ko) 2002-05-17 2002-05-17 족동식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230A KR20030089230A (ko) 2003-11-21
KR100498166B1 true KR100498166B1 (ko) 2005-07-01

Family

ID=2954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345A KR100498166B1 (ko) 2002-05-17 2002-05-17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98166B1 (ko)
AU (1) AU2003235250A1 (ko)
WO (1) WO2003097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126A (ko) * 2020-12-28 2023-09-26 스테파노스 라자리데스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521A (ja) * 2000-01-01 2000-11-28 Konami Co Ltd ダンス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ダンス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JP2001096060A (ja) * 1999-10-01 2001-04-10 Konami Co Ltd ダンスゲームシステム
KR20010051608A (ko) * 1999-11-11 2001-06-25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KR20010090391A (ko) * 2000-03-25 2001-10-18 김영대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789A (en) * 1985-10-31 1988-01-19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Video exercise or game floor controller with position indicating foot pads
JP2816837B2 (ja) * 1996-06-04 1998-10-27 コンビ株式会社 マットスイッチ
US6110073A (en) * 1999-02-03 2000-08-29 Tread Pad Partners, Llc Physical fitness device
JP3306021B2 (ja) * 1999-04-09 2002-07-24 コナミ株式会社 シート状フットスイッチ
KR20000030081A (ko) * 1999-10-22 2000-06-05 조석현 휴대용 스텝 댄스 게임장치
KR200192175Y1 (ko) * 2000-01-14 2000-08-16 김양수 춤게임기용 공압식 발판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060A (ja) * 1999-10-01 2001-04-10 Konami Co Ltd ダンスゲームシステム
KR20010051608A (ko) * 1999-11-11 2001-06-25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JP2000325521A (ja) * 2000-01-01 2000-11-28 Konami Co Ltd ダンス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ダンス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KR20010090391A (ko) * 2000-03-25 2001-10-18 김영대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97195A1 (en) 2003-11-27
KR20030089230A (ko) 2003-11-21
AU2003235250A1 (en) 200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931B2 (ja) 業務用ビデオゲーム機、ビデオゲーム機用サーバおよびビデオゲーム機システム
US7070500B1 (en) Musical player-motion sensing game system
JPH07112072A (ja) ゲーム装置
JP200730103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JP2003000951A (ja) ゲーム進行プログラム、ゲーム進行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装置
WO2003070341A1 (fr) Programme de jeu avec clavier et dispositif de jeu avec clavier
US6117014A (en) Video game machine, action scoring method in video game,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ction scoring program is recorded
JP2001246154A (ja) ゲーム装置、情報記憶媒体、ゲーム配信装置、ゲーム配信方法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KR100498166B1 (ko) 족동식 게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29681B1 (ko) 볼 패들 게임 장치
KR100347837B1 (ko) 리듬 앤드 댄스 게임 제어장치 및 풋 키
KR200287043Y1 (ko) 족동식 게임 시스템
JP2001232061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TWI387474B (zh) Interactive runner game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runner game device
JP5532374B2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JP4315454B2 (ja) 景品獲得ゲーム装置
JP3304877B2 (ja) ゲーム装置
JP2001062019A (ja) ダンスゲーム機及び記憶媒体
JP3825440B2 (ja) 電子玩具
JP2007181565A (ja) ビデオゲームプログラム、ビデオゲーム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制御方法
JP4779072B2 (ja) ボールパドルゲーム装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188987Y1 (ko) 댄스연습용 게임시스템
JP4205109B2 (ja) サポート機能付ゲーム機
KR100948013B1 (ko) 게임 조작 장치
JP2000070553A (ja) ゲ―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