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596B1 - 틸트힌지 - Google Patents

틸트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596B1
KR100388596B1 KR10-2000-0042095A KR20000042095A KR100388596B1 KR 100388596 B1 KR100388596 B1 KR 100388596B1 KR 20000042095 A KR20000042095 A KR 20000042095A KR 100388596 B1 KR100388596 B1 KR 10038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torque
bearing plate
precushion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741A (ko
Inventor
가네코다카유키
타지마히데야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820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66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128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41228A/ja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힌지에 토크차를 설치하기 위해 장치본체측으로 취부되는 취부플레이트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절곡한 축받침플레이트부를 지니는 취부부재와, 개폐체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와 대경부와 소경부를 지니며 상기 취부부재의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축받침공으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침된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대경부와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던가, 또는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계지시켜서 설치한 제1프리쿠션와셔와,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소경부를 삽입,관통시키면서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고정시키던가 또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제2프리쿠션와셔와, 그 제2프리쿠션와셔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와셔, 접시스프링, 웨이브 와셔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그 탄성수단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변형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 계합시키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가압와셔와, 상기 소경부의 가압와셔에서 돌출한 측에 설치한 코킹부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의 어느 일측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프리쿠션토크를 창출시키는 토크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틸트힌지{tilt hinge}
본 발명은, 특히 노트북 컴퓨터, 또는 랩탑형 컴퓨터 등의 OA기기의 디스플레이체의 개폐체용으로서 채용되기에 적합한 틸트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OA기기용 틸트힌지에 있어서, 개폐체(디스플레이장치)를 중간 개방각도에서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리쿠션기구만을 이용한 것으로서, 장치본체측으로 취부되는 취부플레이트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절곡한 축받침플레이트부를 지니는 취부부재와, 그 취부부재의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축받침공으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침된 개폐체측으로 취부되는 취부부를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대경부와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던가, 또는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계지시켜 설치한 제1프리쿠션와셔와, 그 축받침플레이트부의 타측면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에 변형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 계합키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제2프리쿠션와셔와, 그 제2프리쿠션와셔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변형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와셔, 접시스프링, 웨이브 와셔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그 탄성수단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변형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 계합시키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가압와셔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변형소경부의 가압와셔에서 돌출한 측을 코킹하여 상기 제1프리쿠션와셔와 상기 대경부 및 /또는 축받침플레이트부 또는 스프링와셔와의 사이에 각각 프리쿠션토크가 발생하도록 구성한 것이,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의 특개평9(1997)-62399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 공지된 종래의 틸트힌지는,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개폐체를 중간개방 각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어, 많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OA기기에 채용되고 있지만, 개폐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중간개방 각도이외의 개방각도에서도 같은 조작력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공지된 종래의 틸트힌지는, 프리쿠션토크가 개폐체의 전 개방각도에서 일정하기 때문에 개폐체를 폐쇄시킨 때에 별도로 로크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체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개방각도이외의 개방각도에서는 가벼운 조작력으로 개폐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더욱, 로크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반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틸트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틸트힌지의 정면단면도,
도 2는 도 1의 틸트힌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틸트힌지의 회전축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틸트힌지의 제2프리쿠션와셔와 토크플레이트의 각도를 변화시켜 본 사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틸트힌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틸트힌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단면도,
도 7은 도 6의 틸트힌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틸트힌지의 토크플레이트의 좌측면도,
도 9는 도 8의 토크플레이트의 돌출부의 부분확대설명도,
도 10은 도 6 및 도 7의 틸트힌지의 제2프리쿠션와셔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제2프리쿠션와셔의 돌출부의 부분확대설명도,
도 12는 도 6 및 도 7의 틸트힌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틸트힌지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틸트힌지의 일부확대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틸트힌지의 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선 A-A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틸트힌지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4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확대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틸트힌지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1,21: 취부부재 1a,11a,21a: 취부플레이트부
1b,11b,21b: 축받침플레이트부 1c,11c: 축받침공
2,12,22: 회전축 2a,12a,22a: 취부부
2b,12b,22b: 대경부 2c,12c,22d: 변형소경부
3,13,24: 제1프리쿠션와셔 4,14: 스페이서
5,15,25: 토크플레이트 5b,15b: 요홈부
5c,15c: 돌출부 6,16,26: 제2프리쿠션와셔
6b,16b: 돌출부 7,27: 탄성수단
8,18,28: 가압와셔 21d: 돌출부
22c: 변형중경부 23: 지지부재
26b: 계지편 30: 소경부
31: 체결나트 A,C: 장치본체
B,D: 개폐체 E: 흡입기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치본체측으로 취부되는 취부플레이트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절곡한 축받침플레이트부를 지니는 취부부재와, 개폐체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와 대경부와 소경부를 지니며 상기 취부부재의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축받침공으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침된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대경부와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던가, 또는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계지시켜서 설치한 제1프리쿠션와셔와,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소경부를 삽입,관통시키면서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고정시키던가 또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제2프리쿠션와셔와, 그 제2프리쿠션와셔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와셔, 접시스프링, 웨이브 와셔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그 탄성수단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변형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 계합시키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가압와셔와, 상기 소경부의 가압와셔에서 돌출한 측에 설치한 코킹부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의 어느 일측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프리쿠션토크를 창출시키는 토크제어수단을 설치하고, 그 토크제어수단을, 제2프리쿠션와셔에 설치한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요홈부를 지니며, 삽입관통공으로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토크플레이트와, 그 토크플레이트에 요홈부를 설치함으로써 반대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삽입시키는 절결부를 지니는 스페이서와로 구성하고, 상기 개폐체의 개폐각도에 의해 강한 프리쿠션 토크와 약한 프리쿠션 토크를 창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상기 토크제어수단은, 상기 제1프리쿠션와셔에 설치한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요홈부를 지니며, 삽입관통공으로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토크플레이트와, 그 토크플레이트에 요홈부를 설치함으로써 반대측으로 돌출한 돌출부에 의해 강한 플리쿠션 토크와 약한 프리쿠션 토크를 창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토크제어수단을,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요홈부 또는 돌출부와, 그 요홈부 또는 돌출부에 대향하는 돌출부 또는 요홈부를 설치한 상기 제1 또는 제2프리쿠션와셔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상기 제1 또는 제2프리쿠션와셔에 설치한 돌출부와 접하는 요홈부가 설치되는 경우에, 그 요홈부의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수용시키는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크제어수단을,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돌출부 또는 요홈부와 결합하는 요홈부 또는 돌출부가 설치된 꼬리부분을 지니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이 구속되어 취부된 탄성을 지니는 토크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전축의 소경부에 설치한 코킹부에 대신하여 체결나트를 취부할 수 있고, 회전축의 회전시에 상기 제1 및 제2프리쿠션와셔와 마찰하면서 회동하는 부재와의 사이에 윤활유를 도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1은 도시가 생략된 장치본체측으로 취부되는 취부부재이고, 취부플레이트부(1a)와 축받침플레이트부(1b)를 서로 L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지만, 그 형상에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축받침플레이트부(1b)는 취부플레이트부(1a)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는, 원형의 축받침공(1c)과, 그 축받침공(1c)의 하방에 위치하여 핀(1d)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는 취부부(2a), 대경부(2b) 및 단면이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인 변형소경부(2c)를 축방향으로 설치한 회전축이다. 취부부(2a)는 그 편면이 제거되고, 그곳에 취부공(2d)이 설치하어 있다. 대경부(2b)에는 그 외연에 계지홈(2e)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은,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소경부(2c)가 취부부재(1)의 축받침플레이트부(1b)의 축받침공(1c)에 회전 가능하게 축받침되어 있다. 또, 그 변형소경부는 단면이 원형인 소경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3은, 제1프리쿠션와셔로서, 회전축(2)의 대경부(2b)와 축받침플레이트부(1b)와의 사이에 그 중심부에 설치된 원형상의 삽입관통공(3a)에 변형소경부(2c)를 삽입, 관통시켜 개재되어 있으며, 그 외연에 설치된 계지편(3b)을 대경부(2b)에 설치된 계지홈(2e)에 결합시켜 회전축(2)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그 제1프리쿠션와셔(3)는, 삽입관통공(3a)을 변형소경부(2c)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계지편(3b)을 계지홈(2e)에 결합시킴이 없이도 회전축(2)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1프리쿠션와셔(3)는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계지되는 경우도 있다.
4는 스페이서로서, 절결부(4a)를 지니며, 그 절결부(4a)의 원형부분에 회전축(2)의 소경부(2c)를 삽입, 관통시켜, 축받침플레이트부(1b)의 편측에 접촉되고, 계지공(4b)에 핀(1d)을 삽입하여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회전이 구속되고, 그 축받침플레이트부(1b)와 일체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5는, 토크플레이트로서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편측을 스페이서(4)에 접촉시키고, 그곳에 설치된 원형의 삽입관통공(5a)을 회전축(2)의 변형소경부(2c)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 토크플레이트(5)에는, 특히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관통공(5a)을 사이에 두고 대향위치에 요홈부(5b,5b)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그 요홈부(5b,5b)를 설치함으로써 반대측에 돌출한 돌출부(5c,5c)를 스페이서(4)의 절결부(4a)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삽입관통공(5a)의 하방에 설치된 계지공(5d)으로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설치된 핀(1d)을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축받침플레이트(1b), 그리하여 취부부재(1)에 회전이 구속되고 있다.
또, 스페이서(4)와 토크플레이트(5)는, 각각 계지공(4b)(5d)으로 핀(1d)을 삽입시킴으로써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고정시키고 있지만, 스페이서(4)와 토크플레이트(5)의 하단부를 취부부재(1a)에 접촉시킴으로써,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고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스페이서(4)는, 토크플레이트(5)에 요홈부(5b,5b)를 설치한 때에, 반대측으로 돌출부(5c,5c)가 돌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6은, 제 2 프리쿠션와셔로서, 그 편측을 토크플레이트(5)에 접촉시키고, 그 중심부 설치된 평면상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6a)을 변형소경부(2c)로 삽입, 관통시켜 결합시키며, 회전축(2)에 회전이 구속되어 그 회전축(2)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제 2 프리쿠션와셔(6)에는, 특히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삽입관통공(6a)을 사이에 두고, 회전축(2)의 회전각도에 따라 토크플레이트(5)의 요홈부(5b,5b)로 삽입되는 돌출부(6b,6b)가 설치되어 있다.
7은, 6매의 접시스프링(7a∼7f)으로 되는 탄성수단으로서, 제2프리쿠션와셔(6)에 접촉하고, 접시스프링(7a∼7f)을 3매씩 동일 방향을 향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된 원형 삽입관통공(7a'∼7f')에 변형소경부(2c)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8은, 가압와셔로서, 탄성수단(7)에 접촉하고, 그 중심부에 설치된 평면상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8a)에 변형소경부(2c)를 삽입, 관통시켜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축(2)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소경부(2c)의 가압와셔(8)에서 돌출한 측을 코킹 또는 리벳팅하여 리벳머리부 또는 코킹부(2f)를 형성시킴으로써, 제2프리쿠션와셔(6)는 토크플레이트(5)에, 제1프리쿠션와셔(3)는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각각 압접시켜 회전축(2)을 회전시키면, 제2프리쿠션와셔(6)와 토크플레이트(5)와의 사이, 제1프리쿠션와셔(3)와 축받침플레이트부(1b)사이에 프리쿠션토크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상의 실형태 이외에 제1프리쿠션와셔(3)를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계지시켜, 제1프리쿠션와셔(3)와 대경부(2b)와의 사이에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하거나, 제1프리쿠션와셔(3)를 대경부(2b), 축받침플레이트부(1b)의 어느 쪽에도 계지시킴이 없이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는 부위를 특정하지 아니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토크플레이트(5)와 스페이서(4)는, 축받침플레이트부(1b)에 요홈부를 설치한 경우에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요홈부는 이를 홈부 또는 구멍부로 할 수 있다. 또, 프리쿠션토크의 발생부분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지만, 축받침플레이트부(1b), 제1프리쿠션와셔(3), 토크플레이트(5) 및 제2프리쿠션와셔(6)의 편면부에 윤활유를 저류시키는 단수 또는 복수의 요홈부 또는 소공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회전축(2)의 회전각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2프리쿠션와셔(6)의 돌출부(6b,6b)가 토크플레이트(5)에 설치된 요홈부(5b,5b)내에 떨어져 들어가는 사이, 회전축(2)의 프리쿠션토크는 낮은 것으로 되지만, 제2프리쿠션와셔(6)의 돌출부(6b,6b)가 토크플레이트(5)의 요홈부(5b,5b)를 타고 넘어간 회전각도 20도 내지 80도의 범위에서는 높은 프리쿠션토크를 창출하게 된다.
제2프리쿠션와셔(6)의 돌출부(6b,6b)와, 토크플레이트(5)의 요홈부(5b,5b)의 설치위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의 취부부(2a)에 취부된 개폐체(디스플레이체) B는,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0도 내지 20도의 개폐각도사이에서는, 낮은 회전토크(실시형태의 것에서 20Kgf·㎜)에서 개폐되고, 20도 내지 80도의 개폐각도사이에서는 높은 회전토크(실시형태에서는 40Kgf·mm)에서 개폐되는 것으로 된다.
도 6 내지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의하면, 11은 도시가 생략된 장치본체측으로 취부되는 취부부재이고, 취부플레이트부(11a)와 축받침플레이트부(11b)를 서로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지만, 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축받침플레이트부(11b)는 취부플레이트부(11a)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는 원형의 축받침공(11c)과 상단에 계지홈(11d)이 설치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는, 취부부(12a), 대경부(12b), 및 단면이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인 변형소경부(12c)가 축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이다. 취부부(12a)는 편면을 제거하여 그곳에 취부공(12d)을 설치하고 있다. 대경부(12b)에는 그 외연에 계지홈(12e)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2)은, 그 변형소경부(12c)를 취부부재(11)의 축받침플레이트부(11b)의 축받침공(11c)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침시키고 있다.
13은, 제1프리쿠션와셔로서, 회전축(12)의 대경부(12b)와 축받침플레이트부(11b)와의 사이에서 그 중심부에 설치된 원형형상의 삽입관통공(13a)으로 변형소경부(12c)를 삽입, 관통시켜 개재시키고 있고, 그 외연에 설치된 계지편(13b)을 개폐체에 설티된 계지홈(12e)으로 계합시키며, 회전축(12)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제제1프리쿠션와셔(13)는, 삽입관통공(13a)을 변형소경부(12c)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계지편(13b)을 계지홈(12e)에 계합시킴이 없이도, 회전축(12)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그 제제1프리쿠션와셔(13)는,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 계지되는 경우도 있다.
14는, 스페이서로서, 그 중심부에 설치된 삽입관통공(14a)의 부분에 회전축(12)의 소경부(12c)와 후술하는 토크플레이트(15)의 돌출부(15b)를 삽입, 관통시켜 축받침플레이트부(11b)의 편측에 접촉시키고 있다.
15는, 토크플레이트(15)로서 그 편측을 스페이서(14)에 접촉시키고, 그곳에 설치된 원형의 삽입관통공(15a)을 회전축(12)의 변형소경부(12c)로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그 토크플레이트(15)에는, 특히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통공(15a)의 주위에 평면상 대략 C형상의 요홈부(15b)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그 요홈부(15b)의 절단된 부분은 돌출부(16c)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홈부(15b)를 설치함으로써 반대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5d)를 스페이서(14)의 삽입관통공(14a)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외연에서 돌출, 설치된 계지편(15e)을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 설치된 계지홈(11d)에 삽입,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축받침플레이트부(11), 그리하여 취부부재(11)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또, 토크플레이트(15)는, 계지편(15e)을 축받침플레이트부(11b)의 계지홈(11d)에 삽입, 계지시킴으로써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 고정시키고 있지만, 토크플레이트(15)의 하단부를 취부플레이트부(11a)에 접촉시킴으로써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 고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스페이서(14)는, 토크플레이트(15)에 요홈부(15b)를 설치한 때에, 반대측으로 돌출부(15d)가 돌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16은, 제2프리쿠션와셔로서, 그 편측을 토크플레이트(15)에 접촉시키고, 그 중심부에 설치된 평면상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16a)에 변형소경부(12c)로 삽입, 관통시켜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축(12)에 회전이 구속되어 그 회전축(12)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제2프리쿠션와셔(16)에는 특히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부에 회전축(12)의 회전각도에 따라 토크플레이트(15)의 요홈부(15b) 또는 돌출부(15c)와 접촉하는 돌출부(16b)가 설치되어 있다.
17은, 6매의 접시스프링(17a∼17f)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으로, 제2프리쿠션와셔(16)에 접촉하고, 3매씩 동일 방향을 향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된 원형 삽입관통공(17a'∼17f')에 변형소경부(12c)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18은, 가압와셔로서, 탄성수단(17)에 접촉하고, 그 중심부에 설치된 평면상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18a)에 변형소경부(12c)를 삽입, 관통시켜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축(2)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소경부(12c)의 가압와셔(18)에서 돌출한 부분을 코킹 또는 리벳팅하여 리벳머리부 또는 코킹부(12f)를 형성시킴으로써, 제2프리쿠션와셔(16)는 토크플레이트(15)에, 제1프리쿠션와셔(13)는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 각각 압접시켜 회전축(12)을 회전시키면, 제2프리쿠션와셔(16)와 토크플레이트(15)와의 사이, 제1프리쿠션와셔(13)와 축받침플레이트부(11b)사이에 프리쿠션토크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상의 실형태 이외에 제1프리쿠션와셔(13)를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 계지시켜, 제1프리쿠션와셔(13)와 대경부(12b)와의 사이에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하거나, 제1프리쿠션와셔(13)를 대경부(12b), 축받침플레이트부(11b)의 어느 쪽에도 계지시킴이 없이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는 부위를 특정하지 아니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토크플레이트(15)와 스페이서(14)는, 축받침플레이트부(11b)에 요홈부와 돌출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어느 쪽인가 일방 또는 쌍방이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프리쿠션토크의 발생부분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지만, 축받침플레이트부(11b), 제1프리쿠션와셔(13), 토크플레이트(15) 및 제2프리쿠션와셔(16)의 편면부에 윤활유를 저류시키는 단수 또는 복수의 요홈부 또는 소공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회전축(12)의 회전각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2프리쿠션와셔(16)의 돌출부(16b)가 토크플레이트(15)에 설치된 요홈부(15b)내에 떨어져 들어가는 사이에는, 회전축(12)의 프리쿠션토크는 낮은 것으로 되지만, 제2프리쿠션와셔(16)의 돌출부(16b)가 토크플레이트(15)의 요홈부(15b)를 타고 넘어가서 돌출부(15c)와 접촉하는 회전각도의 범위에서는 높은 프리쿠션토크를 창출하게 된다.
제2프리쿠션와셔(16)의 돌출부(16b)와, 토크플레이트(15)의 요홈부(15b)의 설치위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해짐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의 취부부(12a)에 취부된 개폐체(디스플레이체)는, 100도의 개폐각도범위사이에서는 높은 회전토크(실시형태에서는 40Kgf·mm)에서 개폐되고, 260도의 개폐각도사이에서는, 낮은 회전토크(실시형태의 것에서 8Kgf·㎜)에서 개폐되게 된다. 그리고, 실제 사용각도는 100도 범위 중 48도범위이다.
또한, 상기 2가지의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토크플레이트를 제1프리쿠션와셔 측에 설치하고, 그 토크플레이트와 제1프리쿠션와셔와의 사이에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프리쿠션토크가 발생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제1프리쿠션와셔와 토크플레이트의 각 형상이나 구성은, 앞의 각 실시의 형태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도 필요한 각 형상이나 구성은, 앞의 실시형태의 것을 채용하여도 된다. 토크플레이트가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고정된 경우에는, 제1프리쿠션와셔는, 회전축에 구속되고, 토크플레이트가 회전축에 구속된 경우에는, 제1프리쿠션와셔는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될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21은, 장치본체(C)측으로 취부되는 취부부재이고, 취부플레이트부(21a)와 축받침플레이트부(21b)를 서로 L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지만, 그 형상에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축받침플레이트부(21b)는 취부플레이트부(21a)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는,원형의 축받침공(21c)과, 그 축받침공(21c)의 주위에 위치하여 핀(21d)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22는 취부부(22a), 대경부(22b) 및 단면이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인 변형중경부(22c)와 길이가 긴 변형소경부(22d)를 축방향으로 설치한 회전축이다. 취부부(22a)는 그 일단부의 편면이 제거되고, 그곳에 개폐체(C)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3)를 취부하고 있다. 회전축(22)은, 그 변형소경부(22d)가 취부부재(21)의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설치된 축받침공(21c)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침되어 있다.
24는, 제1프리쿠션와셔로서, 회전축(22)의 대경부(22b)와 축받침플레이트부(21b)와의 사이에 그 중심부에 설치된 단면이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24a)에 변형소경부(22d)를 삽입, 관통시켜 계합시킴으로써 개재되어 있으며, 회전축(22)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그 제1프리쿠션와셔(24)는, 삽입관통공(24a)을 원형으로 하고 그 외주에 설치된 계지편을 회전축(22)의 대경부(22b)에 설치된 계지홈 또는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계지홈 또는 계지공에 계지시켜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거나, 또는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25는, 평면상 대략 주걱형상의 토크플레이트로서, 탄성을 지니며, 그곳에 설치된 평면상 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25a)을 회전축(22)의 변형중경부(22c)에 삽입, 관통시켜 계합시키고 있다. 그 토크플레이트(25)에는, 꼬리부분(25b)에 홈(25c)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22)의 회전각도에 따라 홈(25c)으로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설치된 핀(21d)이 떨어져 들어가도록 구성됨으로써 흡입기구(E)가 구성된다. 또, 그 흡입기구(E)에 있어서, 토크플레이트(25)에 설치한 홈(25c)은 그것을 요홈 또는 구멍으로 할 수도 있고, 또, 토크플레이트(25) 측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그 돌출부가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설치된 요홈부 또는 구멍부로 떨어져 들어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설치된 핀, 또는 요홈부나 구멍 대신에 이들을 취부플레이트부(21a)의 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그 토크플레이트(25)는 그 주위에서 돌출,설치된 계지편을 회전축의 대경부에 설치된 홈부 쪼는 구멍부와 계합시킴으로써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26은, 제2프리쿠션와셔로서, 그 편측을 축받침플레이트부(21b)의 타측면에 접촉시키고, 그 중심부 설치된 평면상 원형상의 삽입관통공(26a)을 변형소경부(22d)로 삽입, 관통시키며, 그 외주에서 돌출, 설치된 계지편(26b)을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설치된 계지공(21e)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축받침플레이트부(21b), 그리하여 취부부재(21)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또, 그 제2프리쿠션와셔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프리쿠션토크가 축받침플레이트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27은, 스프링와셔로 되는 탄성수단으로서, 제2프리쿠션와셔(26)에 접촉하고, 그 중심부에 설치된 원형 삽입관통공(27a)에 변형소경부(22d)를 삽입,관통시키고 있다. 또, 그 탄성수단은, 그것을 복수로 하거나, 웨이브와셔, 접시스프링, 압축스프링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28은, 가압와셔로서, 탄성수단(27)에 접촉하고, 그 중심부에 설치된 평면상대략 장공형 또는 타원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28a)에 변형소경부(22d)를 삽입,관통시켜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변형소경부(22d)의 가압와셔(28) 측을 코킹 또는 리벳팅하여 리벳머리부 또는 코킹부(22f)를 형성시킴으로써, 제2프리쿠션와셔(26)는 탄성수단(27)에, 제1프리쿠션와셔(24)는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각각 압접시켜 회전축(22)을 회전시키면, 제2프리쿠션와셔(26)와 탄성수단(27)과의 사이, 및 제1프리쿠션와셔(24)와 축받침플레이트부(21b)사이에 프리쿠션토크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상의 실형태 이외에 제1프리쿠션와셔(24)를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계지시켜, 제1프리쿠션와셔(24)와 대경부(22b)와의 사이, 또는 토크플레이트(25)와의 사이에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하거나, 제1프리쿠션와셔(24)를 대경부(22b), 축받침플레이트부(21b)의 어느 쪽에도 계지시킴이 없이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는 부위를 특정하지 아니하는 방법도 있다. 또, 탄성수단으로서 압축스프링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제2프리쿠션와셔(26)는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프리쿠션토크가 축받침플레이트부(21b)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구성되지만, 스프링와셔, 접시스프링, 웨이브 스프링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토크플레이트(25)는, 이를 제2프리쿠션와셔(26) 측에 설치하거나, 제1프리쿠션와셔(24) 또는 제2프리쿠션와셔(26)를 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제1프리쿠션와셔(24)와 제2프리쿠션와셔(26)의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는 부분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지만, 이때, 제1프리쿠션와셔(23) 및 제2프리쿠션와셔(26)의 프리쿠션토크를 발생시키는 부분에 윤활유를 저류시키는 단수 또는 복수의 요홈부 또는 소공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장치본체(C)에 대해 폐쇄된 상태의 개폐체(D)를 개방시키면, 지지부재(23)를 개재하여 회전축(22)이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하는 토크플레이트(25)의 홈부(25c)에서 축받침플레이트부(21b)의 돌출부(21d)가 탈출함으로써 개폐체(C)는 개방된다. 그런 후, 회전축(22)과 함께 회전하는 탄성수단(27)과 제2프리쿠션와셔(26)과의 사이에 프리쿠션토크가 발생하고, 개폐체(C)는 임의의 개방각도에서 프리 스톱으로 정지가 유지되게 된다.
개방된 개폐체(C)를 폐쇄하는 때에는 특히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도의 폐쇄각도로부터 흡입기구(E)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축받침플레이트부(21b)의 돌출부(21d)가 토크플레이트(25)의 꼬리부분(25b)을 타고 넘어가 홈부(25c)로 떨어져 들어가는 때의 힘에 의해 흡입되어 폐쇄되므로, 반력이 제거되고, 로크기구를 생략하여도 폐쇄된 개폐체가 약간 개방하려고 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 도시된 실시형태이외에, 제1프리쿠션와셔(24)의 외부에서 설치된 계지부를 회전축(22)의 대경부(22b)에 설치된 계지홈에 계지시키거나 하는 대신에 토크플레이트(25)를 계지시켜도 좋다.
또한,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계지시켜서 프리쿠션토크가 회전축(22)의 대경부(22b)나 토크플레이트(25)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1프리쿠션와셔(24)의 회전을 회전축(22) 또는 축받침플레이트부(21b)에 구속시키지 아니하고, 제1프리쿠션와셔(24)의 양측면에서 프리쿠션토크가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프리쿠션와셔(26)에 대해서도, 회전축(22), 탄성수단(27) 또는 토크플레이트(25)(토크플레이트(25)을 제2프리쿠션와셔(26) 측에 설치한 경우)에 구속시켜서 프리쿠션토크가 축받침플레이트부(21b) 또는 토크플레이트(25)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하거나, 상기 어느 것에도 구속됨이 없이 필요에 따라 프리쿠션토크가 축받침플레이트부(21b), 토크플레이트(25), 또는 탄성수단(27)과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킹부에 대신하여 소경부(30)에 나사체결을 위한 체결나트(3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수단의 매수와, 각 프리쿠션와셔의 매수에 한정은 없다. 그것들은, 필요한 프리쿠션토크를 창출하기 위해, 기타의 이유에 의해 복수의 매수로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개폐체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개방각도이외의 개방각도에서는 가벼운 조작력으로 개폐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더욱, 로크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반력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장치본체측으로 취부되는 취부플레이트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절곡한 축받침플레이트부를 지니는 취부부재와, 개폐체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와 대경부와 소경부를 지니며 상기 취부부재의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축받침공으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침된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대경부와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던가, 또는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계지시켜서 설치한 제1프리쿠션와셔와,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소경부를 삽입,관통시키면서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에 고정시키던가 또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제2프리쿠션와셔와, 그 제2프리쿠션와셔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와셔, 접시스프링, 웨이브 와셔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그 탄성수단에 접하여 그 중심부에 설치한 삽입관통공에 상기 변형소경부를 삽입,관통시켜 계합시키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가압와셔와, 상기 소경부의 가압와셔에서 돌출한 측에 설치한 코킹부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축받침플레이트부의 어느 일측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프리쿠션토크를 창출시키는 토크제어수단을 설치하고, 그 토크제어수단을, 제2프리쿠션와셔에 설치한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요홈부를 지니며, 삽입관통공으로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토크플레이트와, 그 토크플레이트에 요홈부를 설치함으로써 반대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삽입시키는 절결부를 지니는 스페이서와로 구성하고, 상기 개폐체의 개폐각도에 의해 강한 프리쿠션 토크와 약한 프리쿠션 토크를 창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제어수단은, 상기 제1프리쿠션와셔에 설치한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받아들이는 요홈부를 지니며, 삽입관통공으로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시켜서 설치한 토크플레이트와, 그 토크플레이트에 요홈부를 설치함으로써 반대측으로 돌출한 돌출부에 의해 강한 플리쿠션 토크와 약한 프리쿠션 토크를 창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제어수단이,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요홈부 또는 돌출부와, 그 요홈부 또는 돌출부에 대향하는 돌출부 또는 요홈부를 설치한 상기 제1 또는 제2프리쿠션와셔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상기 제1 또는 제2프리쿠션와셔에 설치한 돌출부와 접하는 요홈부가 설치되는 경우에, 그 요홈부의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수용시키는 절결부를 지니는 스페이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제어수단을, 축받침플레이트부에 설치한 돌출부 또는 요홈부와 결합하는 요홈부 또는 돌출부가 설치된 꼬리부분을 지니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이 구속되어 취부된 탄성을 지니는 토크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6.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축의 소경부에 설치한 코킹부에 대신하여 체결나트를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7.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축의 회전시에, 상기 제1 및 제2프리쿠션와셔와 마찰하면서 회동하는 부재와의 사이에, 윤활유를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8. 삭제
KR10-2000-0042095A 1999-07-22 2000-07-21 틸트힌지 KR100388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20399A JP3856601B2 (ja) 1999-07-22 1999-07-22 チルトヒンジ
JP11-208203 1999-07-22
JP11-212830 1999-07-27
JP11212830A JP2001041228A (ja) 1999-07-27 1999-07-27 チルトヒ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741A KR20010039741A (ko) 2001-05-15
KR100388596B1 true KR100388596B1 (ko) 2003-06-19

Family

ID=2651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095A KR100388596B1 (ko) 1999-07-22 2000-07-21 틸트힌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21878B1 (ko)
KR (1) KR100388596B1 (ko)
TW (1) TW5065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99B1 (ko) 2021-12-28 2022-05-17 (주)동일정공 마찰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705B (fi) * 2000-06-29 2003-12-31 Nokia Corp Saranat
US6584645B2 (en) * 2000-09-18 2003-07-01 Agostino Ferrari S.P.A. Breaking device for furniture doors with a horizontal pivotal mounting
US7047599B2 (en) * 2000-12-11 2006-05-23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assembly
US6741456B2 (en) * 2001-04-18 2004-05-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ivotably securing display housing to computer system
US6671928B2 (en) * 2001-05-23 2004-01-06 Kuo-Cheng Huang Hinge assembly for monitor
KR100418205B1 (ko) * 2001-06-27 2004-02-1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축방향 디스크 압축식 힌지장치
KR100414670B1 (ko) * 2001-11-28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AU2002354507A1 (en) * 2001-12-24 2003-07-15 Lg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US7188391B2 (en) * 2001-12-24 2007-03-13 Lg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MXPA04003745A (es) * 2001-12-24 2004-07-23 Lg Electronics Inc Montaje de bisagra para aparato de visualizacion de tablero plano.
TW531019U (en) * 2001-12-31 2003-05-01 Hinge Basestrong Co Ltd Improved LCD seat
US20060090298A1 (en) * 2002-09-17 2006-05-04 Yoshiharu Kitamura Hinge device
US20040055114A1 (en) * 2002-09-19 2004-03-25 Lu Sheng-Nan Hinge assembly for supporting LCD display panel
JP2004138129A (ja) * 2002-10-16 2004-05-1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US6813813B2 (en) * 2003-01-06 2004-11-09 Shin Zu Shing Co., Ltd. Collapsible hinge bracket for a laptop computer
US7274564B2 (en) * 2003-06-23 2007-09-25 Jaco, Inc. Locking cradle for tablet computers
JP2005054867A (ja) * 2003-08-01 2005-03-03 Nhk Spring Co Ltd ヒンジ装置
JP2005108201A (ja) * 2003-09-12 2005-04-21 Makoto Kida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上扉開閉式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2005106139A (ja) * 2003-09-29 2005-04-2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TWM247160U (en) * 2003-12-03 2004-10-2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Shower screen shield
KR20050107206A (ko) * 2004-05-08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7055218B2 (en) * 2004-06-01 2006-06-06 Shin Zu Shing Co., Ltd. Hinge
US7082642B2 (en) * 2004-06-18 2006-08-01 Sinher Technology Inc. Hinge for anchoring and folding on a small pintle
US7565719B2 (en) * 2004-06-18 2009-07-28 Sinher Technology Inc. Hinge for anchoring and folding on a small pintle
US7082643B2 (en) * 2004-06-22 2006-08-01 Shin Zu Shing Co., Ltd. Hinge
TWI353503B (en) * 2004-07-24 2011-12-01 Southco Self-latching hinge assembly
JP4559816B2 (ja) * 2004-10-19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US7469448B1 (en) * 2004-12-07 2008-12-30 George Forester Tensioning hinge
US7222396B2 (en) * 2005-03-09 2007-05-29 Shin Zu Shing Co., Ltd Robust hinge
TWM273755U (en) * 2005-03-10 2005-08-21 Shin Zu Shing Co Ltd Pivot
TWM273759U (en) * 2005-03-31 2005-08-21 Shin Zu Shing Co Ltd Pivot
TWM278940U (en) * 2005-06-08 2005-10-21 Quanta Comp Inc Two-way auto-lock tablet PC hinge
US20090001782A1 (en) * 2005-06-13 2009-01-01 Lin A P Stepless adjustable seat post assembly
US7275286B2 (en) * 2005-07-13 2007-10-02 Shin Zu Shing Co., Ltd. Pivot device
CN100467891C (zh) * 2005-12-01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装置
JP4192175B2 (ja) * 2005-12-27 2008-12-0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TWM291682U (en) * 2005-12-28 2006-06-01 Shin Zu Shing Co Ltd Pivotal device with reinforced frictional stagnant force
JP2007193245A (ja) * 2006-01-23 2007-08-02 Funai Electric Co Ltd 表示画面支持機構
TWM296586U (en) * 2006-01-26 2006-08-21 Jarllytec Co Ltd Structure of rotary shaft with automatic latching function
US7669286B2 (en) * 2006-01-31 2010-03-02 Shin Zu Shing Co., Ltd. Pivotal hinge
US20070199179A1 (en) * 2006-02-28 2007-08-30 Ting-Hsien Wang Hinge with less noise
US20090271948A1 (en) * 2006-02-28 2009-11-05 Ting-Hsien Wang Hinge with less noise
WO2007106077A2 (en) * 2006-03-02 2007-09-20 Southco, Inc. Drop-in damped hinge module
US7464439B2 (en) * 2006-04-04 2008-12-16 Shin Zu Co., Ltd. Hinge
US7506408B2 (en) * 2006-05-10 2009-03-24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a limitation function
DE102006032749B3 (de) * 2006-07-14 2007-10-31 Dräger Medical AG & Co. KG Verschwenkbarer Tragarm
US20080040887A1 (en) * 2006-08-16 2008-02-21 Dickerson Harry L Friction hinge for electronic apparatus
CN100592429C (zh) * 2006-09-25 2010-02-24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的倾角转轴装置
US20080184529A1 (en) * 2007-02-05 2008-08-07 Itronix Corporation Hinge device with safety release
US20080229546A1 (en) * 2007-03-25 2008-09-25 Shin Zu Shing Co., Ltd. Position hinge
US7509709B2 (en) * 2007-04-17 2009-03-31 Shin Zu Shing Co., Ltd. Hinge
TW200914745A (en) * 2007-09-21 2009-04-01 Chen Ching Yau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bination-type male hinge
US20090089975A1 (en) * 2007-10-09 2009-04-09 Jr-Jiun Chern Hinge Assembly
US7823254B2 (en) * 2008-02-15 2010-11-02 Leohab Enterprise Co.,Ltd. Hinge assembly
CN101887294A (zh) * 2009-05-13 2010-11-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枢转机构
KR101487157B1 (ko) * 2010-05-21 2015-01-28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CN102454692B (zh) * 2010-10-21 2015-03-18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775155B1 (ko) * 2010-12-01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스위블 힌지 장치
WO2012092615A1 (en) 2011-01-01 2012-07-05 Southco, Inc. Detent hinge
CN202563381U (zh) * 2012-03-26 2012-11-28 基诺·安度坦 带内置打印机平板电脑保护壳
CN103362947B (zh) * 2012-03-27 2016-09-0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结构及使用该铰链结构的照明装置
WO2014087477A1 (ja) 2012-12-04 2014-06-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ンジ機構およびパネル装置
CN108533607B (zh) * 2017-03-03 2024-04-09 深圳市富世达通讯有限公司 扭力装置及扭力片
US11460237B2 (en) * 2020-04-22 2022-10-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assembly for an enclosure of a refrigerator applian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97B1 (ko) * 1971-04-30 1982-01-14
JPH07324552A (ja) * 1994-05-31 1995-12-12 Yamato Shiyoushiya:Kk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KR970064627U (ko) * 1996-05-16 1997-12-11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틸트힌지
US5702197A (en) * 1996-07-01 1997-12-30 Chih Ching Industry Ltd. Structure of pivot joint
KR980007479U (ko) * 1996-11-29 1998-04-30 가토오 치아키 틸트 힌지
KR980010079U (ko) * 1996-07-10 1998-04-30 가토오 치아키 틸트힌지
KR20010015153A (ko) * 1999-07-09 2001-02-26 야마다 미쯔요시 틸트힌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2102T2 (de) * 1990-03-07 1996-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Öffnungs- und Schliessmechanismus.
US5269047A (en) * 1992-06-10 1993-12-14 Lu Sheng N Hinge device for casings
US5208944A (en) * 1992-06-16 1993-05-11 Lu Sheng N Hinge device for casings
JP2984200B2 (ja) 1995-08-24 1999-11-29 加藤電機株式会社 チルトヒンジ
JPH09196048A (ja) * 1996-01-18 1997-07-29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JP3691630B2 (ja) * 1997-04-21 2005-09-07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体の開閉装置
JP3233066B2 (ja) * 1997-05-19 2001-1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経路案内装置
JP3937523B2 (ja) * 1997-09-25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のヒンジ及びヒンジを備える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97B1 (ko) * 1971-04-30 1982-01-14
JPH07324552A (ja) * 1994-05-31 1995-12-12 Yamato Shiyoushiya:Kk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KR970064627U (ko) * 1996-05-16 1997-12-11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틸트힌지
US5702197A (en) * 1996-07-01 1997-12-30 Chih Ching Industry Ltd. Structure of pivot joint
KR980010079U (ko) * 1996-07-10 1998-04-30 가토오 치아키 틸트힌지
KR980007479U (ko) * 1996-11-29 1998-04-30 가토오 치아키 틸트 힌지
KR20010015153A (ko) * 1999-07-09 2001-02-26 야마다 미쯔요시 틸트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99B1 (ko) 2021-12-28 2022-05-17 (주)동일정공 마찰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741A (ko) 2001-05-15
US6421878B1 (en) 2002-07-23
TW506549U (en)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596B1 (ko) 틸트힌지
KR100294295B1 (ko) 개폐체의개폐장치
US6163928A (en) Hinge device for casing
KR100722240B1 (ko)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US6038739A (en) Tilt hinge
KR200212843Y1 (ko) 틸트힌지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US20030097732A1 (en) Hinge device
KR20040034405A (ko) 틸트 힌지
JPH10299760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US6775884B2 (en) Clip-type friction hinge device
KR100216046B1 (ko) 틸팅 힌지
US20060064850A1 (en) Hinge mechanism
WO2011058615A1 (ja) ヒンジ装置
JP3856601B2 (ja) チルトヒンジ
KR20060052918A (ko) 힌지 장치
KR200212841Y1 (ko) 틸트힌지
JP2602161Y2 (ja) チルトヒンジ
KR102429508B1 (ko) 마찰 힌지장치
KR200212842Y1 (ko) 틸트힌지
JP2001041228A (ja) チルトヒンジ
JPH10246052A (ja) ドアチェック装置
US8677567B2 (en) Hinge and bracket for hinge
KR200349129Y1 (ko) 도어용 힌지장치
KR200190936Y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