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069B1 -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 Google Patents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069B1
KR100388069B1 KR10-1999-0041044A KR19990041044A KR100388069B1 KR 100388069 B1 KR100388069 B1 KR 100388069B1 KR 19990041044 A KR19990041044 A KR 19990041044A KR 100388069 B1 KR100388069 B1 KR 10038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phase
test
right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937A (ko
Inventor
기타노미키오
우라가미다카츠구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이찌 고오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이찌 고오쇼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Abstract

검사신호발생기(10)는 백색잡음신호로부터 고역성분을 제거하여 얻은 검사신호를 출력한다. 신호절환기(18)는 조작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검사신호의 동상신호(positive-phase signal)와 역상신호(negative-phase signal)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선택기(16)는 검사신호와 음악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 단자(26, 28)로 출력한다. 선택기(16)가 검사신호 측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검사신호가 재생된다. 이때 한 쪽 채널로부터는 검사신호가 그대로 출력된다. 다른 쪽 채널로부터는 검사신호를 동상신호 및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얻은 신호가 출력된다. 검사신호가 동상이고,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음이 정립하면, 좌우의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정합하고 있다. 한편, 검사시호가 역상이고,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음이 정립되면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정합은 달성되지 않게 된다(즉, 한쪽의 스피커의 접속극성을 반대로 된다).

Description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POLARITY DETERMINING CIRCUIT FOR LOUDSPEAKERS, AN AUDIO CIRCUIT HAVING A FUNCTION OF DETERMINING POLARITIES OF LOUDSPEAKERS, AND AN AUDIO CIRCUIT HAVING FUNCTIONS OF DETERMINING POLARITIES OF LOUDSPEAKERS AND SWITCHING THE POLARITIES}
본 발명은, 스테레오 앰프(stereo amplifier) 등에 접속된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상기 스테레오 앰프의 접속극성과 정합(coincident)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및 접속극성이 부정합인 경우에 극성을 절환하는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에 관한 것이다.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에서는,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스테레오 앰프의 스피커단자의 그것과 정합하여야 한다.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정합하는 상태란, 좌우 스피커의 양극 및 음극 단자 각각이 앰프 등의 좌우 채널의 양극 및 음극 스피커 출력단자들 각각과 완전히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되거나, 완전히 반대 방법으로 접속된 경우를 말한다. 또한,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부정합하는 상태란, 좌우 스피커 중 한 쪽 스피커의 양극 및 음극단자가 앰프 등의 좌우 채널의 양극 및 음극 스피커출력단자들 각각은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좌우 스피커 중 다른 쪽 스피커의 양극 및 음극단자가 앰프 등의 좌우 채널의 양극 및 음극 스피커출력단자들 각각과 반대로 접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의 정합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는, 1개의 검사신호를 좌우 스피커로부터 공통으로 재생하는 방법이 있다. 즉, 재생음이 좌우 양 스피커의 중간에서 위치 정립하면, 양 스피커의 재생음은 서로 동상(positive-phase)이기 때문에, 양 스피커의 접속극성은 정합하고 있고, 따라서 접속상태를 바꿀 필요가 없다. 한편, 재생음이 좌우 양 스피커의 바깥쪽에 위치 정립하면, 양 스피커의 재생음은 서로 역상(negative-phase)이기 때문에, 양 스피커의 접속극성은 부정합으로 판정된다. 이때, 한 쪽 채널의 스피커 접속극성을 반대로 해야 한다.
전술한 종래의 판정방법에 의하면, 다음의 이유로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의 정합 여부를 판정하기 어려웠다.
(a) 절대평가에 따른 문제: 1개의 음만이 동상인가 역상인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고, 그러므로 판정은 절대평가를 기초로 한다. 이 경우는, 비교하는 기준이 없으므로 판정을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이 요청된다.
(b) 정재파(standing wave)에 따른 문제: 1개의 주파수성분만을 가진 검사신호가 사용되는 경우, 그 주파수가 방의 정재파의 주파수에 가까우면, 검사신호와 정재파의 간섭으로 정확하게 극성을 판정할 수 없다.
(c) 스피커 배치에 따른 문제:
검사신호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 파장은 짧게 된다. 좌우 각 스피커로부터 판정자까지의 거리가 다른 경우, 1파장 어긋나면 서로 동상이 되고, 반파장 어긋나면 서로 역상이 된다. 예컨대 1kHz의 신호는 1msec의 파장을 가진다. 음속은 340m/sec이기 때문에, 이를 거리로 환산하면 34cm가 된다. 이 정도 거리의 차이는 스피커의 설치나 듣는 위치 등에 따라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노래반주장치의 경우, 스피커의 배치는 좌우 대칭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의 정합 여부를 판정하기 어렵고, 숙련자들만이 정확히 판정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의 정합 여부를 용이하고도 또한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의극성판정회로 및 극성판정기능이나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검사신호발생기 12: 백색잡음발생기
14: 저역통과필터 16: 선택기
18: 신호절환기(제1신호절환기) 26, 28: 스피커단자
32, 34: 신호절환기(제2신호절환기) 36: 신호절환기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는,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 및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가 상기 좌우 스피커단자의 한 쪽으로부터 출력되며,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 및 역상신호 중 하나가 상기 좌우 스피커단자의 다른 쪽으로부터 고정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극성판정회로에 의하면,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좌우채널 중 한 쪽 채널에 대해서 검사신호를 동상 또는 역상으로 절환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동상과 역상의 시험신호를 비교해서 상대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립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인가(즉,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정합됨) 이 좌우 스피커의 바깥인가(정합되지 않음)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는,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상기 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와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역상신호 중 어느 한 쪽의 고정출력과 좌우 채널 중 다른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및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오디오회로에 의하면, 검사신호와 음악신호는 상기 선택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신호를 사용한 극성판정에서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정합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좌우채널 중 한 쪽의 스피커단자와 좌우채널 중 한 쪽의 스피커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는(즉, 접속극성을 반대로 한다) 것에 의해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에 대한 정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는,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상기 제1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와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역상신호 중 어느 한 쪽의 고정출력과 좌우 채널 중 다른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출력신호의 동상신호와 상기 출력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신호절환기; 및 상기 제2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 중 다른 하나 채널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오디오회로에 의하면, 선택기로부터 검사신호와 음악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가 있다. 그리고, 검사신호를 사용한 극성판정에서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선택기 출력측에서 제2신호절환기에 의해 동상/역상 절환이 수행됨으로써, 스피커단자에 대한 스피커의 접속을 변경하지 않고,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을 정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는,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좌우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의 동상신호와 음악신호의 역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제2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 즉,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 및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인 고정출력을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에 연동하여 상기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음악신호와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 및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인 고정출력 즉, 상기 제1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를 상기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및 상기 선택기의 좌우채널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오디오회로에 의하면, 선택기로부터 검사신호와 음악신호를 바꿔 출력할 수가 있다. 그리고, 검사신호를 사용한 극성판정에서,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이 정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는, 선택기 입력측의 제2신호절환기에 의해 동상/역상 절환을 수행함으로써, 스피커단자와 스피커 사이의 접속을 변경하지 않고 좌우스피커의 접속극성을 정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음악신호의 동상/역상 절환을 위한 제2신호절환기를 검사신호의 동상/역상 절환을 행하는 제1신호절환기와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제1신호절환기가 동상이라면 제2신호절환기도 동상, 제1신호절환기가 역상이면 제2신호절환기도 역상이 되도록 연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검사신호를 사용하여 제1신호절환기에 의해 좌우 스피커의 극성을 정합시키면 좌우채널의 신호는 음악신호로 절환되어 스피커를 그대로 한 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 회로는,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와;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와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역상신호 중 어느 한 쪽의 고정출력과 좌우 채널 중 다른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선택기의 좌우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출력신호의 동상신호와 상기 출력신호의 역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 및 상기 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 중 다른 하나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오디오회로에 의하면, 선택기의 출력측의 1개의 신호절환기로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검사신호발생기는 예를 들면, 백색잡음신호를 발생하는 백색잡음발생기와, 상기 백색잡음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백색잡음신호의 저주파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저주파성분을 검사신호로서 출력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개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검사신호가 사용되기 때문에, 방의 정재파의 영향받기 어렵게 되며, 또한, 높은 주파수성분을 제거한 검사신호가 사용되기 때문에, 스피커배치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극성판정에서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고 있는지 바깥에 위치정립하고 있는 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가 있다. 저역통과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는, 스피커 배치나 듣는 위치의 영향을 받기 더욱 어렵도록, 예컨대 300Hz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수 10Hz 이하의 낮은 주파수는 인간이 감지하기 어려우므로, 검사신호를 수 10Hz 이상의 신호에 한해서 발생시키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제1실시예는 노래반주장치 등의 오디오 앰프로서 구성한 것이다. 검사신호발생기(10)에서 백색잡음발생기(12)는 백색잡음신호를 발생한다. 이 백색잡음신호는 저역통과필터(14)를 통과하며, 그 저역성분이 추출된다. 저역통과필터(14)는 예컨대 컷오프 주파수가 220Hz인 2차, 2단의 필터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저역통과필터(14)로부터 출력되는검사신호는, 그대로(요컨대 동상신호로서) 선택기(16)의 한 쪽 절환기(16a)의 한 쪽 접점(a)으로 입력된다. 또한, 검사신호는 신호절환기(18)를 통해 선택기(16)의 다른 쪽 절환기(16b)의 한 쪽 접점(c)으로 입력된다. 신호절환기(1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회로(2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역상신호를 절환하여 출력한다. 역상신호는 동상신호를 반전 증폭기 등으로 극성반전함에 의해 작성할 수가 있다.
좌측 채널의 음악신호는, 선택기(16)의 한 쪽의 절환기(16a)의 다른 쪽 접점(b)에 입력되며, 우측 채널의 음악신호는, 선택기(16)의 다른 쪽 절환기(16b)의 다른 쪽 접점(d)에 입력된다. 선택기(16)의 절환기(16a, l6b)는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는 제어회로(20)부터의 명령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절환됨으로써, 검사신호와 음악신호를 절환하여 출력한다. 선택기(16)의 절환기(16a)의 출력(좌측 채널출력)과 절환기(16b)의 출력(우측 채널출력)은 증폭기(22, 24)에서 각각 증폭되어 좌우의 스피커단자(26, 28)에 이르게 된다. 스피커단자(26)에는 좌측 채널의 스피커가 접속되고, 스피커단자(28)에는 우측 채널의 스피커가 접속된다.
제어회로(20)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패널 등의 조작에 의해, 검사음/음악 선택명령과 동상/역상 절환명령이 입력된다. 그리고, 검사음/음악 선택명령에 따라서, 검사가 지시되었을 때는 선택기(l6)를 검사신호측(접점 a, c)에 접속하며, 음악이 지시되었을 때는 선택기(16)를 음악신호측(접점 b, d)에 접속한다. 또한, 검사시에는 동상/역상 절환명령에 따라서, 동상이 지시되었을 때는 신호절환기(18)로부터 동상신호를 출력하고, 역상이 지시되었을 때는 신호절환기(18)로부터 역상신호를 출력한다. 신호절환기(18) 및 선택기(16)의 설정상태(명령내용)는 표시장치(조작패널을 겸할 수 있다)(30)에 표시된다.
도 1의 회로에서, 극성판정을 할 때는 선택기(16)를 검사신호측(접점 a, c)에 접속하며, 검사신호발생기(10)에서 검사신호를 발생시켜 스피커단자(26, 28)에 접속된 좌우 스피커로부터 재생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상/역상 절환명령을 부여하여, 신호절환기(18)로부터 출력하는 검사신호의 동상/역상을 절환한다. 이 절환에 의한 재생음을 듣고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는지 바깥에서 위치정립하는 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검사신호가 동상이고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은 정합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스피커접속은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다. 한편, 검사신호가 역상이고,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 사이에 위치 정립하면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은 정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한 쪽 스피커의 접속을 변경한다(극성을 반대로 한다). 검사가 종료되면, 선택기(16)를 음악신호측(접점 b, d)으로 절환하여 음악을 재생한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 제2실시예는, 선택기(16)의 한 쪽 출력과 스피커단자(28)와의 사이에 신호절환기(32: 제2신호절환기)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회로(20)부터의 명령에 의해 스피커의 극성이 절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신호절환기(3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회로(2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선택기(16)의 절환기(16b)의 출력신호 그대로의 신호(동상신호)와 상기 출력신호의 역상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역상신호는 반전증폭기 등에 의해 동상신호를 극성반전하여 생성할 수 있다.
검사를 할 때는, 신호절환기(32)를 동상 쪽에 접속하고, 선택기(16)를 검사신호 쪽(접점 a, c)에 접속하며, 신호절환기(18: 제1신호절환기)를 동상/역상으로 절환시키고, 그 후에 검사를 시작한다. 이 때, 검사신호가 동상이고,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은 정합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검사종료 후에 신호절환기(32)의 접속은 변경될 필요가 없으며, 검사후에도 동상인 상태 그대로 놓이게 된다. 한편, 검사신호가 역상이고,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검사 중 또는 검사종료 후에 신호절환기(32)를 역상쪽으로 변경한다. 검사가 종료되면, 선택기(16)를 음악신호 쪽(접점 b, d)으로 절환하고, 음악을 재생한다.
제3실시예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2와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 제3실시예는,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입력과 선택기(16)와의 사이에 신호절환기(34: 제2신호절환기)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회로(20)부터의 명령에 의해 스피커의 극성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신호절환기(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회로(20)부터의 명령에 의해 한 쪽 채널의 입력음악신호 그대로의 신호(동상신호)와 상기 입력음악신호의 역상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역상신호는 반전증폭기 등에 의해 동상신호를 극성반전하여 생성할 수가 있다. 신호절환기(18, 34)의 절환은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신호절환기(18, 34)를 연동시킬 때는, 한편이 동상인 때는 다른 쪽도 동상으로 되도록 한다. 또한, 한 쪽이 역상일 때는 다른 쪽도 역상이 되도록 설정한다.
검사를 수행할 때는, 선택기(16)를 검사신호측(접점 a, c)에 접속하며, 신호절환기(18)는 동상과 역상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한다. 그 후에 검사를 시작한다. 이때 검사신호가 동상이고,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신호절환기(34)를 동상쪽에 접속한다. 한편, 검사신호가 역상이고, 검사음이 좌우의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신호절환기(34)를 역상쪽에 접속한다. 검사가 종료하면, 선택기(16)는 음악신호쪽(접점 b, d)으로 절환되고, 그후 음악을 재생한다.
또한, 신호절환기(18, 34)를 상호 연동시키는 경우에, 신호절환기(18)를 동상 및 역상 중 어느 한 쪽으로 절환된 때 다음의 방법으로 검사를 수행한다. 검사신호가 동상인 때,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신호절환기(18)가 동상쪽에 접속되어 유지되는 동안(이때, 신호절환기(34) 역시 동상쪽에 접속되도록 연동되어 있다) 선택기(16)는 음악신호쪽(접점 b, d)에 설정되고, 그후 음악을 재생한다. 검사신호가 역상인 때,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의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신호절환기(18)가 역상쪽에 접속되어 유지되는 동안(이때, 신호절환기(34) 역시 역상쪽에 접속되도록 연동되어 있다) 선택기(16)는 음악신호쪽(접점 b, d)에 설정되고, 그후 음악을 재생한다.
제4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2, 도 3과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 제4실시예는, 선택기(16)의 한 쪽 출력과 스피커단자(28)와의 사이에 신호절환기(36)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회로(2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극성판정과 극성절환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신호절환기(3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회로(20)부터의 명령에 의해 선택기(16)의 절환기(16b)의 출력신호 그대로의 신호(동상신호)와 출력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역상신호는 반전증폭기 등에 의해 동상신호를 극성반전하여 생성할 수 있다.
검사가 수행될 때, 선택기(16)를 검사신호측(접점 a, c)에 접속하고, 신호절환기(36)를 동상 및 역상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한다. 그후에 검사가 시작된다. 이 때, 검사신호가 동상이고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신호절환기(36)를 동상측에 접속한 채 선택기(16)를 음악신호쪽(접점 b, d)에 설정한다. 그리고 음악을 재생한다. 한편, 검사신호가 역상이고 검사음이 좌우 스피커 사이에 위치정립하면, 신호절환기(36)를 역상측에 접속한 채 선택기(16)를 음악신호쪽(접점 b, d)에 설정한다. 그리고 음악을 재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의 정합 여부를 용이하고도 또한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스피커단자에 대한 스피커의 접속을 변경하지 않고도, 좌우 스피커의 접속극성을 정합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백색잡음신호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제거한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 및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가 상기 좌우 스피커단자의 한 쪽으로부터 출력되며,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 및 역상신호 중 하나가 상기 좌우 스피커단자의 다른 쪽으로부터 고정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신호발생기는 백색잡음신호를 발생하는 백색잡음발생기와, 상기 백색잡음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백색잡음신호의 저주파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저주파성분을 검사신호로서 출력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3.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상기 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와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역상신호 중 어느 한 쪽의 고정출력과 좌우 채널 중 다른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및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회로.
  4.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상기 제1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와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역상신호 중 어느 한 쪽의 고정출력과 좌우 채널 중 다른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출력신호의 동상신호와 상기 출력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신호절환기, 및
    상기 제2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 중 다른 하나 채널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5.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검사신호의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좌우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의 동상신호와 음악신호의 역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신호절환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제2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 즉,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 및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인 고정출력을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에 연동하여 상기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음악신호와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 및 역상신호 중 어느 하나인 고정출력 즉, 상기 제1신호절환기의 출력검사신호를 상기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및
    상기 선택기의 좌우채널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6. 검사신호를 발생하는 검사신호발생기와,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상기 검사신호와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과 연동하여, 상기 검사신호의 동상신호와 역상신호 중 어느 한 쪽의 고정출력과 좌우 채널 중 다른 한 쪽 채널의 음악신호 중 어느 하나를 좌우 채널 중 다른 쪽 채널의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기,
    사용자의 절환조작에 따라, 상기 선택기의 좌우채널 중 한 쪽 채널의 출력신호의 동상신호와 상기 출력신호의 역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 및
    상기 신호절환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선택기의 좌우 채널 중 다른 하나의 출력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좌우 스피커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KR10-1999-0041044A 1998-09-22 1999-09-22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KR100388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6085 1998-09-22
JP28608598A JP3286603B2 (ja) 1998-09-22 1998-09-22 スピーカの極性判別回路、スピーカの極性判別機能を備えたオーディオ回路、スピーカの極性判別および極性切換機能を備えたオーディオ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937A KR20000034937A (ko) 2000-06-26
KR100388069B1 true KR100388069B1 (ko) 2003-06-18

Family

ID=1769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044A KR100388069B1 (ko) 1998-09-22 1999-09-22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1019B1 (ko)
JP (1) JP3286603B2 (ko)
KR (1) KR100388069B1 (ko)
CN (1) CN1227949C (ko)
SG (1) SG81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201B1 (en) * 2000-10-31 2006-05-02 Leetronics Corporation Audio signal phas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DE10120461A1 (de) * 2001-04-26 2002-12-05 Bosch Gmbh Robert System und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Phasenlage
US7567675B2 (en) * 2002-06-21 2009-07-28 Audyssey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ultiple listener room acoustic correction with low filter orders
JP2004297368A (ja) * 2003-03-26 2004-10-21 Yamaha Corp アレイスピーカ検査装置、アレイスピーカ装置、及びこの装置の配線判定方法
US20050286733A1 (en) * 2004-06-28 2005-12-29 Anthony Grimani Integrated loudspeaker and acoustic treatment system
CN2724339Y (zh) * 2004-07-29 2005-09-07 马希光 音场可变换式耳机
KR100608005B1 (ko) * 2004-09-06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US20060050891A1 (en) * 2004-09-07 2006-03-09 Sunil Bharitkar Method for automatic loudspeaker polarity determination through loudspeaker-room acoustic responses
US7720237B2 (en) * 2004-09-07 2010-05-18 Audyssey Laboratories, Inc. Phase equalization for multi-channel loudspeaker-room responses
US7826626B2 (en) * 2004-09-07 2010-11-02 Audyssey Laboratories, Inc. Cross-over frequency selection and optimization of response around cross-over
JP4240228B2 (ja) 2005-04-19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音響装置、接続極性判定方法および接続極性判定プログラム
US8831235B2 (en) * 2009-02-26 2014-09-09 Pioneer Corporation Speaker polarity determination device
CN101931851B (zh) * 2009-06-19 2014-06-25 中山市天键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喇叭极性测试装置
US8705764B2 (en) 2010-10-28 2014-04-22 Audyssey Laboratories, Inc. Audio content enhancement using bandwidth extension techniques
JP2012186594A (ja) * 2011-03-04 2012-09-27 Sony Corp 音響装置、音響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45991B2 (ja) * 2012-03-19 2016-01-20 富士通株式会社 スピーカ検査装置
US9524098B2 (en) 2012-05-08 2016-12-20 Sono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bwoofer calibration
CN104937955B (zh) * 2013-01-24 2018-06-12 杜比实验室特许公司 自动的扬声器极性检测
EP2874408B1 (en) * 2013-11-14 2016-05-25 Nxp B.V. Loudspeaker polarity detector
CN106019071A (zh) * 2016-07-11 2016-10-12 廖承建 一种蜂鸣器电极测试机构及其自动检测电极的方法
CN106028248B (zh) * 2016-08-08 2018-11-1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喇叭极性检测方法及装置
JP7417936B2 (ja) * 2020-03-27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能動騒音低減装置および能動騒音低減方法
CN113766407B (zh) * 2021-08-06 2024-03-08 安徽康佳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单片机的音频相位检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67A (ja) * 1982-07-13 1984-01-23 Sanyo Electric Co Ltd スピ−カの接続極性判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868A (en) * 1989-02-21 1990-03-13 Mctaggart James E Phase polarity test instrument and method
US5666424A (en) * 1990-06-08 1997-09-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Six-axis surround sound processor with automatic balancing and calibration
US5319714A (en) * 1992-09-23 1994-06-07 Mctaggart James E Audio phase polarity test system
JPH06311578A (ja) * 1993-04-19 1994-11-04 Clarion Co Ltd オーディオ装置におけるスピーカ極性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67A (ja) * 1982-07-13 1984-01-23 Sanyo Electric Co Ltd スピ−カの接続極性判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7949C (zh) 2005-11-16
JP2000102089A (ja) 2000-04-07
CN1248880A (zh) 2000-03-29
KR20000034937A (ko) 2000-06-26
US6681019B1 (en) 2004-01-20
JP3286603B2 (ja) 2002-05-27
SG81306A1 (en) 2001-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069B1 (ko)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US4694498A (en) Automatic sound field correcting system
KR100386919B1 (ko) 노래반주장치
KR100242235B1 (ko) 결합불량 테스트가 가능한 오디오장치
JP3834462B2 (ja) ミキシング装置
JP2506570Y2 (ja) ディジタルオ―ディオ信号処理装置
KR920005935Y1 (ko) 자동음성 절환회로
JP3948685B2 (ja) カラオケ装置
JPH0662500A (ja) ミューズデコーダ
KR960015874B1 (ko) 가변형 서라운드회로
JP3401926B2 (ja) 音声信号再生装置
JPH10143179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H10145899A (ja) 音響装置
JPH03268599A (ja) 音響装置
KR950005097B1 (ko) 자동 보컬 제어방법
JPH0247618Y2 (ko)
KR0132876B1 (ko)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JP2987961B2 (ja) 音響装置
KR19980042933U (ko)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한 가라오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JPH06225243A (ja) 音声出力切換回路
JPH08130797A (ja) 音響再生装置
JPH0530859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9162765A (ja) モニター装置
KR200500977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재생 장치
JPH07199920A (ja) 電子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