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759B1 - 자동차의내연기관으로저장탱크로부터연료를반송하기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내연기관으로저장탱크로부터연료를반송하기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759B1
KR100387759B1 KR1019970023321A KR19970023321A KR100387759B1 KR 100387759 B1 KR100387759 B1 KR 100387759B1 KR 1019970023321 A KR1019970023321 A KR 1019970023321A KR 19970023321 A KR19970023321 A KR 19970023321A KR 100387759 B1 KR100387759 B1 KR 100387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sing
conveying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드짜크 슈타니슬라브
마예르 한슈페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mechan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the pumps being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 F04C11/005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of dis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20/00Application
    • F04C2220/10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tary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고, 저장 탱크로부터 내연 기관으로의 반송 도관 내에 접속된 반송 펌프(3), 특히 치차 펌프를 갖고, 이 반송 펌프(3)가 펌프 케이싱(1)내에 적어도 하나의 펌프실(23)을 가지며, 회전 구동되는 변위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변위 부재가 연료를 저장 탱크에 접속 가능한 흡입실(29)로부터 내연 기관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접속 가능한 압력실(31)로 반송하는 형식의 장치에 있어서, 제작 비용 및 구성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반송 펌프(3)가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5)와 하나의 구성 유니트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펌프(5)의 흡입측(65)이 부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제동력 보강기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반송 펌프(3)와 상기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5)는 동축적으로 나란하게 하나의 공통 케이싱(1) 내에 배치되어 있고, 공통의 구동축(15)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기 반송 펌프(3)의 공통 케이싱(1) 내에 배치된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는 베인 펌프(5)로서 구성되고, 케이싱(1) 내에 지탱된 회전 구동되는 로우터(51)를 갖고, 그 로우터(51)에 다수의 베인(61)을 수용하는 안내 슬릿(59)이 설치되어 있고, 그 베인(61)의 축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단부가 로우터 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 베인 펌프(5)의 펌프실(7)의 벽을 따라서 긴밀하게 활주 운동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저장 탱크로부터 내연 기관으로의 반송 도관 내에 접속된 반송 펌프, 특히 치차 펌프를 갖고, 이 반송 펌프가 펌프 케이싱 내에 적어도 하나의 펌프실을 가지며, 회전 구동되는 변위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변위 부재가 연료를 저장 탱크에 접속 가능한 흡입실로부터 내연 기관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접속 가능한 압력실로 반송하는 형식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식의 장치는 연료를 저장 탱크로부터 흡입해서 내연 기관 또는 내연 기관에 설치된 고압 분사 펌프로 반송하는, 유리하게는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연료 반송 펌프에 의해 형성된다. DE 2709913C2호 명세서에 의해 공지된 바와 같이 저장 탱크로부터 내연 기관으로 연료를 반송하는 데에 적합한 치차 반송 펌프는 케이싱 내에 펌프실을 갖고, 그 펌프실 내에 회전 구동되고 또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치차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치차가 반송 매체(예를 들어, 연료)를 흡입실로부터 치차의 단부면과 펌프실의 벽 사이에 형성된 반송 통로를 따라서 압력실로 반송한다. 또한, 자동차의 내연 기관을 위해서는 자동차의 제동력 보강기를 위해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자동차에 부압 펌프를 설치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 부압 펌프는 유리하게는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되고 마찬가지로 내연 기관 또는 고압 펌프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지의 시스템은 분리된 구성 그룹으로 구성되고, 나아가서는 현저한 구성 공간과 제작 비용은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 설명한 장치에 있어서 구성 공간과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반송 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반송 장치의 한 쪽 측면도.
도3은 도1의 반송 장치의 다른 쪽 측면도.
도4는 베인 펌프의 구성 부분을 도시한, 도2에 상당하는 측면도.
도5는 귀환 통로와 압력 통로 사이에 배치된 압력 제한 밸브를 도시한, 도4의 부분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펌프 케이싱
3: 치차 펌프
5: 베인 펌프
7: 펌프실
9: 단부면
11: 케이싱 웨브
13: 관통 구멍
15: 구동축
17: 연행 원판
19: 끼워맞춤 키이
21: 단부면
23: 펌프실
25: 치차
27: 핀
29: 흡입실
31: 압력실
33: 흡입 구멍
35: 압력 통로
37: 웨브
39: 귀환 통로
41: 접속 구멍
43: 케이싱 덮개
45: 압력 구멍
47: 귀환 구멍
49: 축 밀봉 링
51: 로우터
53: 내벽면
55: 클러치 원판
56: 케이싱 덮개
57: 외벽면
59: 슬릿
61: 베인
63: 펌프실 벽
65: 흡입 범위
67: 접속 구멍
69: 접속관편
71: 체크 밸브
73: 도출 구멍
75: 윤활제 구멍
77: 구멍
79: 링 홈
81: 관통 구멍
83: 압력 제한 밸브
85: 귀환 도관
87: 밸브 부재
89: 밸브 스프링
91: 밸브 시트
93: 인장 슬리브
본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 설명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펌프가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와 하나의 구성 유니트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펌프의 흡입측이 부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제동력 보강기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반송 펌프와 상기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는 동축적으로 나란하게 하나의 공통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있고 공통의 구동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기 반송 펌프의 공통 케이싱 내에 배치된,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는 베인 펌프로서 구성되고, 케이싱 내에 지탱된, 회전 구동되는 로우터를 갖고, 그 로우터에 다수의 베인을 수용하는 안내 슬릿이 설치되어 있고, 그 베인의 축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단부가 로우터 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 베인 펌프의 펌프실의 벽을 따라서 긴밀하게 활주 운동함으로써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은 명세서, 도면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개시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에는, 연료를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저장 탱크로부터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 또는 고압 분사 펌프로 반송하는 장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펌프 케이싱(1)을 갖고, 펌프 케이싱(1) 내에는 치차 펌프(3)로서 구성된 연료 반송 펌프와 베인펌프(5)로서 구성된,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이하 부압 펌프라고 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반송 펌프는 택일적으로 다른 용적형 펌프, 예를 들면 롤러 펌프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펌프 케이싱(1)은 내부에 원형의 절결부를 갖고, 그 절결부는 펌프 케이싱(1)의 한 쪽 단부면(9)을 향해 개방된 베인 펌프(5)의 펌프실(7)을 형성하고, 반경 방향 내측에서 펌프실(7)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 원통형의 케이싱 웨브(11)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이 케이싱 웨브(11) 내에는 축방향의 관통 구멍(13)이 설치되고, 이 관통 구멍(13) 내에는 구동축(15)이 회전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이 구동축은 단부면(9)과는 반대 방향으로 펌프 케이싱(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구동축(15)의, 펌프 케이싱(1)으로부터 돌출한 자유 단부 상에는 연행 원판(17)이 억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연행 원판(17)에는 끼워맞춤 키이(19)의 형태를 한 탄성적인 연속 부재를 수용하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연행 원판(17)으로부터 돌출한 끼워맞춤 키이(19)의 단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연 기관의 캠축의 대응하는 절결부 내에 형상에 의한 결합을 이루고 걸어 맞춤되어 있다. 캠축의 자유 단부는 구동축에 정합되어 배치되어 있고, 캠축의 회전 운동은 탄성적인 연결 부재(19)와 연행 원판(17)을 거쳐 구동축(15)에 전달된다.
펌프 케이싱(1)은 연행 원판(17)을 향한 제2 단부면(19)에 치차 펌프(3)의 펌프실(23)을 형성하는 타원형의 절결부를 갖고 있다. 이 절결부는 케이싱 중간벽에 의해 펌프실(7)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구동축(15)이 이 절결부를 관통하고 있다. 이 경우우, 구동축(15) 상에 있는, 단부면에서 서로 맞물려 있는 치차 쌍의제1 치차(25)는 펌프실(23) 내에서, 구동축(15) 내로 억지 끼워맞춤된 핀(27)을 사용해서 형상에 의한 구속으로 구동축과 결합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2 치차는 측면도(도2, 도3)에서 보아, 제1 치차(25)에 대해 경사져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치차의 축도 마찬가지로 펌프 케이싱(1) 내에 지탱되고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치차를 지탱하기 위해 축 대신에 원통형의 케이싱 웨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맞물림부의 높이에서 치차에 반경 방향으로 접속하는 상부쪽의 펌프실 구획부는 치차 펌프(3)의 흡입실(29)을 형성하고, 맞물림부에 있어서 흡입실(29)을 마주 향한 하부쪽의 펌프실 구획부는 치차 펌프(3)의 압력실을 형성한다. 흡입실(29)에는 펌프 케이싱에 있는 흡입 구멍(33)이 개구하고 있다. 이 흡입 구멍(33)은 저장 탱크로부터의 연료 도관과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흡입 구멍(33)도 최대 용적류를 "흡입 교축"에 의해 제한하기 위해 협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실(31)로부터는 압력 통로(35)가 연장되어 있고, 이 압력 통로(35)는 펌프 케이싱(1)의 단부면(21)에 있는 압입 변형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또 펌프 케이싱(1)의 웨브(37)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압력 통로(35)에 대해 평행하게 마찬가지로 압입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귀환 통로(39)가 배치되어 있다. 이 귀환 통로(39)는 접속 구멍(41)을 통해 압력 통로(35)와 접속되어 있고, 또 접속 구멍으로부터 거의 압력 통로(35)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펌프실(23), 압력 통로(35) 및 귀환 통로(39)는 케이싱(1)과는 반대측에서, 펌프 케이싱(1)의 단부면(21) 상에 긴밀하게 나사 결합된 제1 케이싱 덮개(4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케이싱 덮개(43)에는 압력 통로(35)로부터 연장된 압력 구멍(45)과 귀환 통로(39)로부터 연장된 귀환 구멍(17)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싱 덮개(43) 자체는 연료를 공급하고자 하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헤드에, 압력 구멍(45)과 귀환 구멍(47)이 실린더 헤드에 있는 대응하는 연료 통로에 직접적으로 개구하도록 플랜지 결합되어 있다. 치차 펌프(3)의 펌프실(23)을 내연 기관과 베인 펌프(5)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서는, 케이싱 덮개에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밀봉 링 이외에 두 개의 축 밀봉 링(49)이 구동축(15)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축 밀봉 링(49)은 펌프실(23)을 구동축(15)에 두고 폐쇄한다. 도1과 도4에 있어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베인 펌프(5)는 펌프실(7)에 배치된 원통형의 로우터(51)를 갖고 있다. 이 로우터(51)는 축방향의 구멍을 갖고, 원통형의 내벽면(53)에서 미끄럼 베어링의 형태를 이루고 원통형의 케이싱 웨브(11)의 주위면 상에서 안내되고 있다. 로우터(51)는 구동축(15)의, 치차 펌프(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억지 끼워맞춤된 클러치 원판(55)을 거쳐 형상에 의한 구속으로 구동축(15)과 결합되어 있다. 클러치 원판(55)은 다른 쪽에서는 베인 펌프(5)의 펌프실(7)을 폐쇄하는 제2 케이싱 덮개(56)에 지지되어 있다. 이 케이싱 덮개(56)는 펌프 케이싱(1)의 단부면(9)에 긴밀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펌프실(7)을 반경 방향 내측에서 제한하는 로우터(51)의 원통형 내벽면(57)에는 베인(61)을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유리하게는 3개의 슬릿(59)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슬릿(59)은 로우터(51)의 회전 방향으로 로우터(51)의 반경면으로부터 경사져 있다. 로우터(51)는 일부 그 외벽면(57)에서 펌프실(7)의 반경 방향의 펌프실 벽(63)에 접하도록 펌프실(7)에 편심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슬릿(59)은 그 슬릿(59)이 베인(61)의 완전한 침입및 베인(61)의 최대 주출(走出) 시의 충분한 안내를 가능하게 하고, 또 윤활제에 의해 로우터(51)내에 있는 베인 단부가 압력 부하가 걸린 경우에, 베인(61)이 흡입 기간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고, 나아가서는 케이싱(1)에 있어서의 베인(61)의 압착력과 밀봉 작용을 특히 저회전수에서 개선하기 위해, 베인(61)에 대한 밀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펌프실(7)의 상방 범위는 로우터(51)가 반시계 방향(도4)으로 회전한 경우에, 베인 펌프(5)의 흡입 범위(65)를 형성한다. 이 흡입 범위(65)에는 접속 구멍(67)이 개구하고 있고, 그 접속 구멍(67)에는 접속관편(69)이 삽입되어 있고, 그 접속관편(69) 상에는 자동차의 제동력 보강기로부터의 호스 도관을 끼워 넣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동력 보강기에 있어서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접속관편(69)의 상류측에서, 펌프실(7)을 향해 개방된 체크 밸브(71)가 구멍(67)에 설치되어 있다. 베인 펌프(5)로부터의 압력 도출은 베인 펌프(5)의 펌프실(7)의 최소 횡단면 범위로부터 연장되고, 또 출구측에서 내연 기관의 윤활제 회로에 접속된 실린더 헤드에 있는 플랜지에 접속된 도출 구멍(73)을 사용해서 행해진다.
베인 펌프(5)의 윤활은, 도1에 상세하게 도시된, 경사지게 배치된 윤활제 구멍(75)을 통해 행해진다. 이 윤활제 구멍(75)은 제1 케이싱 덮개(43)에 있는 적당한 구멍(77)을 통해 내연 기관의 윤활제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또 로우터(51)의 단부면의 높이에서 펌프실(7)에 개구하고 있다. 이 경우, 로우터(51)는 윤활제(오일)를 안내하기 위해, 단부면에 있는 링 홈(79)과 내벽면(53)에 있는 압입 변형부 및 선택적으로 동축의 관통 구멍(81)을 갖고 있다. 이들을 통해 윤활제는펌프실(7)에 도달하고, 그곳으로부터 윤활제는 도출 구멍(73)을 통해 내연 기관의 윤활 회로로 귀환한다. 이 경우, 상기 관통 구멍(81)은 본 실시예에서는 로우터(5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인(61)을 수용하는 안내 슬릿(5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구동축(15)을 윤활하기 위해서는 관통 구멍(13)의 벽에 압입 변형부가 설치되어 있다.
치차 반송 펌프(3)로부터 반송된 연료의 압력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압력 제한 밸브(83)가 압력 통로(35)와 귀환 통로(39) 사이의 접속 구멍(41)에 배치되어 있다. 도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상기 압력 제한 밸브(83)는, 내연 기관의 저장 탱크로의 귀환 도관(85)에 접속되고, 압력 통로(35)와 귀환 통로(39)의 개구 사이에 밸브 부재(87)를 갖고 있다. 이 밸브 부재(87)는 밸브 스프링(89)에 의해 구멍 계단부에 형성된 밸브 시트(91)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밸브 스프링(89)은 다른 쪽에서는 인장 슬리브(93)에 지지된다. 접속 구멍(41)에 있는 이 인장 슬리브(93)의 위치를 통해 밸브 스프링(89)의 바이어스, 나아가서는 압력 제한 밸브(83)의 개방 압력이 조절 가능하다. 이 압력 제한 밸브(83)는 비례적으로 발생하는 대응 압력(對歷)을 거쳐 최대 용적량을 연속적으로 제한하는 압력 조정 밸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송 장치는 이하의 형식으로 작동한다.
내연 기관의 운전중, 내연 기관의 캠축은 반송 장치의 구동축(15)을 연행 원판(17)에 있는 탄성적인 연결 장치를 통해 회전 구동한다. 구동축(15)의 이 회전 운동은 치차 반송 펌프(3)의 치차(25)에 전달된다. 이 치차(25) 자체는 그치차(25)와 맞물리는 제2 치차를 구동한다. 이 경우에 공지의 형식으로, 연료는 흡입 구멍(33)을 통해, 저장 탱크로부터 치차 펌프(3)의 흡입실(29) 내로 흡입된다. 이 경우, 치차 펌프(3)는 공기를 흡입하고, 또 반송할 수도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치차 펌프는 연료 도관이 비워져 있는 경우에는 자기 배기할 수가 있다. 상기 연료는 다음에 치차의 맞물리는 단부면의 사이를 거쳐 압력실(31)로 반송된다. 이 압력실(31)로부터 연료는 압력 통로(35)를 통해 압력 구멍(45)으로, 또 내연 기관 또는 그 내연 기관에 설치된 고압 분사 펌프를 향해 흐른다.
반송된 연료의 압력 제한은 접속 구멍(41)에 배치된 압력 제한 밸브(83)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이 압력 제한 밸브(83)는 압력 통로(35)에 있어서의 소정의 압력으로부터 개방되므로, 연료를 귀환 도관(85)에 유출시킬 수 있다. 이 귀환 도관(85)은 내연 기관에 있어서 필요로 하지 않았던 연료를 귀환시키기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내연 기관의 귀환 도관은 반송 장치의 귀환 통로(39)에 개구하고 있고, 귀환 통로(39)는 접속 구멍(41)을 통해 항상 탱크로의 귀환 도관(85)에 접속되어 있다. 클러치 원판(55)을 통해 회전 구동된 베인 펌프(5)의 로우터(51)는 펌프실(7)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 접속관편(69)을 통해 공기를 제동력 보강기로부터 흡출한다. 이 때문에 개개의 실(室)의, 베인(61)에 의해 제한된 용적은 로우터(51)가 회전 운동하는 사이에, 접속 구멍(67)의 개구로부터 출발해서 확대되므로 공지의 형식으로 부압이 발생된다. 회전 운동이 진행되면, 각 실이 접속 구멍(67)과 합치되는 범위로부터 밖으로 이동한 후에, 각 실의 용적은 감소하므로, 폐쇄된 공기는 펌프실(7)을 관류하는 윤활제와 일제히, 압력에 의해 도출 구멍(73)에 반송되고, 그곳으로 부터 이 혼합체는 다시 내연 기관의 윤활 회로로 공급된다. 이 경우, 체크 밸브(71)는 특히 내연 기관이 차단된 후에, 공기가 제동력 보강기로 귀환하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반송 장치에 의해서는 종래 분리되어 있던, 연료를 반송하는 장치와 부압을 형성하는 장치를 구성적으로 간단한 형식으로 하나의 공통 케이싱 내에 배치하고, 양 쪽의 장치를 공통의 구동축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제작 비용과 필요한 구성 공간은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펌프가 구성 유니트를 이루고, 연료 반송 펌프와 부압 펌프로서 작용하는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가 공통의 펌프 케이싱 내에 유리한 형식으로 배치됨으로써 필요한 구성 공간이 현저히 작아진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작 비용과 펌프 유니트의 중량은 감소된다. 왜냐 하면, 이 경우에는 하나의 공통 펌프 케이싱밖에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특히 유리한 것은, 유리하게는 치차 펌프 및 베인 펌프로서 구성되어 있는 펌프 장치가 축방향으로 서로 전후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구성 치수를 작게 하는 것 외에, 유일한 공통의 구동축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는, 이 구동축은 캠축에 대한 결합밖에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결합은 유리한 형식에서 홈-끼워맞춤 원판(탄성적인 끼워맞춤 원판)결합의 형태를 한 탄성적인 연결 부재를 사용해서 행해진다. 이 연결 부재는 축단부 간의 위치 오차를 보상하고 게다가 내연 기관의 캠축과 펌프의 구동축 간의 진동의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치차 반송 펌프는 베인펌프의 로우터와 캠축 간의 별도의 유압식 완충 부재로서 작용한다. 게다가, 캠축과 구동축 간의 결합은 한 쪽의 펌프 또는 구동축이 급격하게 로크된 경우의 목표 파단 부위로서 작용하므로 펌프 또는 구동축이 기계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축과 베인 펌프의 로우터가 펌프 케이싱의 원통형의 웨브에 유리한 형식으로 지탱됨으로써, 구동축은 구동 모멘트만을 베인 펌프에 전달하지만, 그 횡방향 힘은 전달하지 않으므로, 구동축은 이에 상응해서 가는 몸체로 설계할 수 있다. 게다가, 원통형의 케이싱 웨브의, 로우터용의 미끄럼 베어링으로서 역할을 하는 외부면과, 베인 펌프의 베인 주행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펌프실 벽을 하나의 작업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것은 제작 비용을 저감하고, 또한 발생하는 위치 오차를 감소시킨다. 이 경우, 베인 펌프의 로우터와 케이싱은 알루미늄 디이캐스트 주조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중량을 저하시키는 것 외에, 양쪽의 구성 부분이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고, 케이싱에 설치된 압입 변형부와 구멍이 주조 기술적으로 한번에 성형된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마모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는, 알루미늄 구성 부분은 경질 양극 산화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베인의 유효 길이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로우터의 슬릿 내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안내된 베인은 유리한 형식에서 로우터의 반경 평면에 대해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이점은, 펌프 케이싱 내부의 연료 통로와 윤활제 통로를 압입 변형부의 형태로 형성하고, 펌프 케이싱, 나아가서는 펌프실과 통로를 박판으로 된 케이싱 덮개에 의해 폐쇄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에는, 연료를 공급하려고 하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헤드에 장치를 플랜지 결합하고, 내연 기관으로부터 연료를 귀환 접속하고 그리고 내연 기관으로 연료를 공급 접속하기 위한 접속 구멍(압력측)이 직접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부가적인 호스 결합이 생략되도록 되어 있으면 특히 유리하다.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귀환은 반송 장치를 거쳐 저장 탱크로 행해진다. 반송 장치의 압력 제어는 구성적으로 간단한 형식으로 압력 제어 밸브에 의해 행해진다. 이 압력 제한 밸브는 귀환 도관에 개구된, 압력 통로와 귀환 통로 사이의 접속 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다.
양 쪽의 펌프에 공통인 윤활제 공급 장치는 펌프 케이싱에 있는 접속 구멍을 통해 내연 기관의 윤활제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이 윤활제 구멍은 케이싱에 경사지고, 또 플랜지에 있는 윤활제 구멍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되며, 윤활제 공급이 교축되도록 되어 있다. 윤활제는 미끄럼 베어링면에 있는 압입 변형부 및/또는 로우터에 있는 구멍을 거쳐 베인 펌프의 펌프실을 통해 펌프 케이싱의, 캠축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도달하고, 여기서 구멍으로부터 다시 내연 기관의 윤활제 회로로 유출된다.
다른 이점은 구동축과 반송 펌프의 구동된 치차 간의 형상에 의해 구속된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이 결합은 구동축의 횡방향 구멍에 삽입된 핀, 구동축 상에 부착된 형상 결합에 의한 이음부, 전조 또는 플라이스 절삭된 형상 결합에 의한 치 또는 끼워맞춤 키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연료 반송 펌프로의 연료의 공급, 나아가서는 반송 펌프의 최대 반송량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선택적으로 교축 지점, 예를 들어 흡입 도관, 예를 들어 흡입 구멍에 협착부를 설치해 둘 수가 있다.
더욱 유리한 것은 구동축 상의 매체, 연료와 윤활제를 분리하는 축 밀봉링에 홈을 설치하고, 이 홈을 연료측을 향해 압력차가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에 의해, 축 밀봉 링에 있어서 밀봉성이 손상된 경우에 윤활제만이 연료 시스템에 도달하지만, 연료는 결코 윤활제 회로에 도달하지 않게 되고, 윤활제 회로에 있어서 윤활제가 엷어지지 않게 된다.

Claims (18)

  1.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저장 탱크로부터 내연 기관으로의 반송 도관 내에 접속된 반송 펌프(3), 특히 치차 펌프를 갖고, 이 반송 펌프(3)가 펌프 케이싱(1) 내에 적어도 하나의 펌프실(23)을 가지며, 회전 구동되는 변위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변위 부재가 연료를 저장 탱크에 접속 가능한 흡입실(29)로부터 내연 기관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접속 가능한 압력실(31)로 반송하는 형식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펌프(3)가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5)와 하나의 구성 유니트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펌프(5)의 흡입측(65)이 부압을 생성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제동력 보강기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반송 펌프(3)와 상기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5)는 동축적으로 나란하게 하나의 공통 케이싱(1) 내에 배치되어 있고, 공통의 구동축(15)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기 반송 펌프(3)의 공통 케이싱(1) 내에 배치된 공기를 반송하는 펌프는 베인 펌프(5)로서 구성되고, 케이싱(1) 내에 지탱된 회전 구동되는 로우터(51)를 갖고, 그 로우터(51)에 다수의 베인(61)을 수용하는 안내 슬릿(59)이 설치되어 있고, 그 베인(61)의 축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단부가 로우터 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 베인 펌프(5)의 펌프실(7)의 벽을 따라서 긴밀하게 활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치차 반송 펌프(3)로서 구성된 상기 반송 펌프와 상기 베인 펌프(5)가 축방향으로 서로 전후해서 배치되어 있고, 반송 펌프(3)의 구동된 치차(25)와 베인 펌프(5)의 로우터(51)가 공통의 구동축(15)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공통의 상기 구동축(15)이 탄성적인 연결 부재를 거쳐 내연 기관의 캠축의 축방향의 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탄성적인 상기 연결 부재가 탄성적인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끼워맞춤 키이(19)로 이루어지고, 이 끼워맞춤 키이(19)가 캠축의 단부면과, 구동축(15) 상에 억지 끼워맞춤된 연행 원판(17)의 단부면에 설치된 홈 내로 돌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캠축으로의 연결 부재(17, 19)와는 반대측에서 구동축(15)에 클러치 원판(55)이 억지 끼워맞춤되어 있고, 그 클러치 원판(55)이 베인 펌프(5)의 로우터(51)와 형상에 의한 구속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펌프 케이싱(1) 내에 원통형의 케이싱 웨브(11)가 설치되어있고, 그 케이싱 웨브(11)의 주위면에 베인 펌프(5)의 로우터(51)가 활주 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고, 또 케이싱 웨브(11)에 로우터(51)에 대해 동축으로 관통 구멍(13)이 배치되며, 그 관통 구멍(13) 내에 구동축(15)이 활주 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베인 펌프(5)의 반경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베인(61)이 로우터(51)의 회전 방향으로 로우터의 반경 평면으로부터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동력 보강기로의 호스 접속을 위한 접속관편(69)을 수용하는 접속 구멍(67)이 베인 펌프(5)의 펌프실(7)에 개구해 있고, 상기 접속관 편(69)의 상류측에 펌프실(7)을 향해 개방된 체크 밸브(71)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펌프 케이싱(1)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내연 기관의 윤활제 회로에 접속된 윤활 구멍(75)이 캠축을 향한 측에서 로우터(51)의 단부면에 개구하고 있고, 그 개구 영역에 있어서 로우터(51)의 단부면에 링 홈(79)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링 홈(79)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벽면(79)에 있는 압입 변형부 및/또는 로우터에 있는 동축의 관통 구멍(81)이 펌프 케이싱(1)의, 캠축과는 반대측의 단부면(9)을 통과하고 있고, 이로부터 내연 기관의 윤활제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윤활제 출구 개구(73)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항에 있어서, 치차 반송 펌프(3)의 구동된 치차(25)가 구동축(15)에 형상에 의한 구속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귀환 도관에 접속된 귀환 통로(39)와 치차 펌프(3)의 펌프실(23)의 압력실(31)로부터 연장된 압력 통로(35)가 펌프 케이싱(1)에 있어서 한 쪽의 케이싱 단부면(21)의 압입 변형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펌프 케이싱(1)이 구동축(15)의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단부면(21, 9)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케이싱 덮개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펌프 케이싱(1)을 캠축을 향한 측에서 폐쇄하는 제1 케이싱 덮개(43)가 치차 반송 펌프(3)의 펌프실(23)과 귀환 및 압력 통로를 폐쇄하고 있고, 펌프 케이싱(1)을 캠축과는 반대측에서 폐쇄하는 제2 케이싱 덮개(56)가 베인 펌프(5)의 펌프실(7)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 원판(55)이 제2 케이싱 덮개(56)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1 케이싱 덮개(43)에 귀환 통로(39)에 개구하는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귀환 구멍(47)과 압력 통로(35)에 개구하는 압력 구멍(45)이 설치되고, 이들 구멍에 제1 케이싱 덮개(43)의, 펌프 케이싱(1)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실린더 헤드에 있는 각 접속 구멍이 긴밀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저장 탱크로의 귀환 도관(85)과 접속되는, 귀환 도관(39)과 압력 통로(35) 간의 접소 통로(41)가 펌프 케이싱(1) 내에 배치되고, 그 접속 통로 내에 압력 통로(35)와 귀환 도관(85)에 항상 접속된 귀환 통로(39) 간의 접속을 개방제어하는 압력 제한 밸브(83)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치차 반송 펌프(3)의 펌프실(23)이 구동축(15) 상에 배치된 두 개의 축 밀봉 링(49)에 의해 베인 펌프(5)와 내연 기관에 대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반송 펌프(3)의 펌프실(23)에 개구된 연료 공급 도관(33)에 교축 지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매체, 연료와 윤활제를 분리하는 축 밀봉 링(49)이 펌프실(23)을 향해 압력차가 생기도록 홈에 의해 반송 펌프(3)의 펌프실(23)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23321A 1995-04-12 1997-06-05 자동차의내연기관으로저장탱크로부터연료를반송하기위한장치 KR100387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13822 DE19513822C2 (de) 1995-04-12 1995-04-12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19513822.8 1995-04-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927A Division KR100234613B1 (ko) 1995-04-12 1996-04-12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759B1 true KR100387759B1 (ko) 2003-11-20

Family

ID=77595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927A KR100234613B1 (ko) 1995-04-12 1996-04-12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장치
KR1019970023321A KR100387759B1 (ko) 1995-04-12 1997-06-05 자동차의내연기관으로저장탱크로부터연료를반송하기위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927A KR100234613B1 (ko) 1995-04-12 1996-04-12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반송하기 위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H08284771A (ko)
KR (2) KR100234613B1 (ko)
DE (2) DE19549507C2 (ko)
FR (2) FR2733008B1 (ko)
GB (1) GB22998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7052C2 (de) * 1996-11-14 1999-06-10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Arbeitsmedien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19647053C1 (de) * 1996-11-14 1998-04-30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19843827A1 (de) * 1998-09-24 2000-03-30 Volkswagen Ag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zu einem Verbrennungsmotor
US6579070B1 (en) * 1998-12-24 2003-06-17 Bosch Rexroth Ag Pump assembly comprising two hydraulic pumps
DE19927468A1 (de) * 1999-06-16 2000-12-21 Volkswagen Ag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in Kraftfahrzeugen mit Brennkraftmaschinen
DE19956520A1 (de) * 1999-11-24 2001-06-1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Reduzierung der Axialkraftbelastung einer ein Fluid fördernden Pumpe
DE19963719A1 (de) * 1999-12-29 2001-07-12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hybrid angetriebener Kraftstoffpumpe
DE10001060C1 (de) * 2000-01-13 2001-07-26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Unterdruck in einem Kraftfahrzeugsystem
DE10249953A1 (de) 2002-10-26 2004-05-19 Daimlerchrysler Ag Pumpeneinheit
WO2012000812A2 (de) * 2010-07-02 2012-01-05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Zahnradpumpe
DE102010041339A1 (de) 2010-09-24 2012-03-29 Robert Bosch Gmbh Kraftstoffförderpump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9443A (en) * 1954-02-27 1959-02-25 Heraeus Gmbh W 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tary high-vacuum pumps
GB809445A (en) * 1954-02-27 1959-02-25 Heraeus Gmbh W 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tary high vacuum pumps
DE2709913C2 (de) * 1977-03-08 1985-06-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ahnradpumpe
DE2833167A1 (de) * 1978-07-28 1980-02-14 Barmag Barmer Maschf Baueinheit, bestehend aus einer oelpumpe zur oelumlaufschmi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einer vakuumpumpe zur erzeugung eines vakuums fuer die bremskraftverstaerkung in kraftfahrzeugen
JPS5688979U (ko) * 1979-12-11 1981-07-16
DE3122336A1 (de) * 1980-06-06 1982-03-04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einheit aus luftunterdruckpumpe fuer bremskraftverstaerker und kraftstoffoerderpumpe in kraftfahrzeugen"
US4388893A (en) * 1980-08-04 1983-06-21 Cedco, Incorporated Diesel engine incorporating emulsified fuel supply system
DE3136917A1 (de) * 1980-09-27 1982-05-19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kraftstoffoerderpumpe"
US4497618A (en) * 1983-09-12 1985-02-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ined vacuum pump and power steering pump assembly
US4586468A (en) * 1984-10-05 1986-05-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Tandem pump assembly
DE3637229C2 (de) * 1985-11-13 1998-04-16 Barmag Barmer Maschf Baueinheit aus einer Hydraulikpumpe und einer Vakuum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33008B1 (fr) 1998-10-23
JPH1061520A (ja) 1998-03-03
DE19513822C2 (de) 1999-10-28
GB9606759D0 (en) 1996-06-05
GB2299831A (en) 1996-10-16
JPH08284771A (ja) 1996-10-29
FR2746447A1 (fr) 1997-09-26
KR960038098A (ko) 1996-11-21
DE19513822A1 (de) 1996-10-24
GB2299831B (en) 1998-10-14
KR100234613B1 (ko) 1999-12-15
DE19549507C2 (de) 2002-06-06
FR2746447B1 (fr) 1999-04-09
FR2733008A1 (fr) 199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921B2 (ja) 内燃エンジンのためのカムシャフト位相セッタおよび真空ポンプ
KR100387759B1 (ko) 자동차의내연기관으로저장탱크로부터연료를반송하기위한장치
CN100379991C (zh) 变量泵
JPS6343396Y2 (ko)
EP0789165A1 (en) Rotary shaft lubricating structure
US8961157B2 (en) Vane pump
JPH0762476B2 (ja) 調整可能な潤滑剤ポンプ
JP2009533598A (ja) 改良された真空ポンプ
JPH1172014A (ja) 燃料加圧用ポンプ
US20130274048A1 (en) Transmission unit
JPH0643286U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100288622B1 (ko) 유압식 밸브타이밍 조절장치
EP1800017B1 (en) Coupling
JP3643156B2 (ja) 潤滑油ポンプ
US6425747B2 (en) Gearing with mating internal and spur gears
JPH07507367A (ja) 内燃エンジンによって駆動される液圧ポンプ
JP4887917B2 (ja) オルダム継手の潤滑構造
JPS5821084B2 (ja) トロコイドコウゾウヨウシキカイテンピストンナイネンキカン
JPH076512B2 (ja) 真空ポンプ
US3976404A (en) Lubrication of compression seals in rotary engines
GB2047809A (en) Lubricating-oil gear pump for an I.C. engine
JPH10141165A (ja) 自動車のリザーバタンクから内燃機関に燃料を圧送するための圧送装置
US20040226532A1 (en) Oil pressure control valve by sliding camshaf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88391B2 (ko)
GB2317649A (en) Positive displacement fuel delivery pump combined with vacuum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