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539B1 - 스티렌계수지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티렌계수지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539B1
KR100387539B1 KR1019960707071A KR19960707071A KR100387539B1 KR 100387539 B1 KR100387539 B1 KR 100387539B1 KR 1019960707071 A KR1019960707071 A KR 1019960707071A KR 19960707071 A KR19960707071 A KR 19960707071A KR 100387539 B1 KR100387539 B1 KR 100387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r
styrene
screw
vent
styr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838A (ko
Inventor
쓰토무 오노데라
가즈요시 후카다
다카시 사에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08F6/005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 중에 잔류하는 모노머 등의 휘발성분을 저감시키고, 잔류 휘발성분이 적어지며, 조립·성형시의 악취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형태의 성형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을,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성형 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조건, 압출량이 Q/ (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에 의하면,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 중에 잔류하는 모노머 등의 휘발성분을, 조립시에 경제적이고도 효율좋게 저감시키고, 잔류 휘발성분이 적어지며, 조립·성형시의 악취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형태의 성형용재료를 효율 좋고 안정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을 제조할 때, 그 중합체 분말로부터 반응되지 않은 미반응 모노머(monomer) 등의 잔류 휘발성분을 경제적이고도 효율이 좋게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어택틱(atactic)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를 개량한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렌계 중합체(이하, SPS이라 함)는, 내열성, 내약품성에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의 그룹(group)은, 전번에 신디오택틱서티(syndiotacticity)가 높은 스티렌계 중합체를 개발하는 데에 성공하여, 다시 또 티탄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축합제와의 접촉생성물(알킬알루민옥산)이나, 양이온(cation)과 복수의 기(group)가 금속에 결합된 음이온(anion)으로 된 배위 착화합물 등으로 된 촉매를 이용함으로서 SPS가 얻어지는 것을 개시한 바있다.(특개소 62-187708 호공보, 특개평 04-249503 호공보).
상기의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용매없이 중합시키는 방법 혹은 슬러리(slurry)법 등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얻어지는 중합체 중에는 미반응된 모노머 등의 잔류 휘발성분이 0.1 ~ 50 중량%정도 함유되어 있다. 제품중에 다량의 미반응 모노머 등이 잔류하는 경우, 성형불량을 유발시키고, 필름(film) 등에 있어서는 투명성을 저하시키거나, 식품포장에 부적당한 성형품이 되거나 한다. 따라서, 중합 후의 후처리로서, 건조기에 의한 건조 탈휘발처리를 행하여, 이 모노머 성분 등의 잔류휘발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잔류 휘발성분의 제거시 건조기를 사용하여 행한 경우에는, 체류 시간이 길어서 경제적이지 않다.
한편, 압출기를 이용하여 탈휘발·조립을 행하는 경우에도, 다량의 휘발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탈휘발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것은, 원료 분말체중에 포함되는 휘발성분에 의해, 외관상의 점도가 저하하여 압출기 내에서의 전단발열이 부족하여,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아 휘발성분의 효율적인 제거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온도를 상승시키는 수단으로서, 압출기의 스크루우(screw)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스크루우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것 만으로는, 휘발성분이 제거되어 외관상의 점도가 상승한 부분에서는, 전단발열에의해 현저하게 온도가 상승하여, 수지의 분해 등을 일으킬 수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그리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 중에 잔류하는 모노머 등의 휘발성분을, 조립(造粒)시에 경제적인 동시에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잔류 휘발성분이 감소하며, 조립(造粒)·성형시의 악취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형태의 성형용 재료를 효율이 좋고,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위해 예의연구를 거듭하였다.
이 결과, 조립시 압출기를 이용하여, 특정한 압출 조건으로 행함으로서, 상기의 과제가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을, 벤트(vent)내 압력이 0 ∼ 760 torr 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성형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조건, 압출량이, Q/ (D×H×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 (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하여, 잔류 휘발성분이 현저히 저감한 스티렌계 수지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출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성형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조건, 적어도 한 대의 압출기에 대해서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 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이며, 적어도 벤트가 부착된 압출기에서의 압출량이, Q/ (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직경 (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하여, 잔류 휘발성분이 현저하게 저감한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도 제공하는것이다.
다시 또, 본 발명은 압출기를 한대 또는 복수를 직렬로 접속한 최하류측에 기어펌프(gear pump)를 설치하여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성형 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조건, 적어도 한대의 압출기에 대하여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 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이며, 적어도 벤트가 부착된 압출기에서의 압출량이 Q/ (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 (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하여, 잔류 휘발성분이 현저하게 저감된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도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스티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구조라는 것은, 입체화학구조가 신디오택틱구조, 즉 탄소-탄소 결합으로 형성되는 주사슬에 대하여 곁사슬인 페닐기나 치환페닐기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입체구조를 갖는 것이며, 이 택틱시티(tacticity)는 동위체 탄소에 의한 핵자기공명법(13C-NMR법)에 의해서 정량된다.13C-NMR법에 의해 측정되는 택틱시티는, 연속하는 복수개의 구성단위의 존재의 비율, 예를 들면, 2개의 경우는 다이아드(diad), 3개의 경우는 트리아드(triad), 5개의 경우는 펜타드(pentad)로 나타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이란 것은, 통상은 라세믹(racemic)다이아드로75%이상, 바람직하게는 85%이상, 혹은 라세믹펜타드로 30%이상,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의 신디오택틱시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스티렌계 중합체」란, 스티렌; p-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3,4-디메틸스티렌, 3,5-디메틸스티렌 및 p-t-부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o-클로로스티렌, m-클로로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o-브로모스티렌, m-브로모스티렌, p-플루오로스티렌, o-플루오로스티렌, m-플우오로스티렌 및 o-메틸-p-플루오로스티렌 등의 할로겐화 스티렌; 디비닐벤젠, p-이소프로페닐스티렌, 4-비닐비페닐, 3-비닐비페닐 및 2-비닐비페닐 등의 알케닐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및 에톡시스티렌 등의 알콕시스티렌; 디메틸아미노스티렌 및 디페닐아미노스티렌 등의 아미노스티렌, 등의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모노머로하여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 이들의 방향족비닐 화합물 2종 이상을 코모노머로하여 공중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안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스티렌계 중합체는,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중량 평균분자량이 10,000이상 3,000,000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0,000이상 1,500,000이하의 것이 적당하다. 또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도 그 폭은 제약이 없고, 다양한 것을 충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녹는점이 160~310℃이며, 종래의 아택틱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에 비하여 내열성이 대단히 우수하다.
이와 같은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않으나, 예를 들면, (a) 천이금속 화합물 및 (b) 복수의 기가 금속에 결합된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이루어지는 배위 착화합물 또는 알루민옥산 및 필요에 따라서 (c) 알킬기를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공지의 촉매를 이용하여, 스티렌계 단량체(상기 스티렌계 중합체에 대응하는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서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압출기에 의해서 조립할 때에 탈휘발처리하여, 그 중합체 중에 잔류하는 미반응의 모노머 등의 휘발성분을 제거한다. 통상은, 중합체 중에 0.1∼50중량% 정도 포함되어 있는 모노머 등의 휘발성분을 탈휘발처리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3,000ppm 이하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압출량을 적게 설정한 경우나 예비 건조한 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1000ppm 이하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 탈휘발처리에 사용하는 압출기로서는, 한 개 또는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벤트를 갖는 벤트식의 것이 이용되나, 단일축압출기, 이물림형 동일방향 회전 2축압출기, 이물림형 압출기, 비이물림형 다른(異)방향 회전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를 한 대 또는 2대 이상 임의로 직렬로 조합시켜 사용하거나, 압출기의 하류측에 기어펌프를 설치하여도 좋다. 벤트내 압력은 0 ∼ 대기압, 바람직하게는 0 ∼ 200 torr, 더 바람직하게는 0 ∼ 50 torr 이다. 탈휘발시의 벤트내 압력이 너무 높으면 충분한 탈휘발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조립은, 성형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하, 압출량이, Q/(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 (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행한다. 또한, 압출량 Q의 바람직한 범위는, Q/ (D x H x V) = 6.0x104~ 6.0x105이며, 더 바람직한 범위는 Q/(D x H x V) = 1.0x105~ 5.0x105이다. 상기의 관계식에 나타내는 수치가 2.0x104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처리 능력이 불충분하게 되는 수가 있고, 한편, 6.0x105보다도 큰 경우에는, 잔류 휘발성분의 제거가 불충분하게 되는 수가 있다.
또한 압출기의 스크루우 원주속도는, 스크루우 직경, 처리량 등의 규모에 따라 다르나, 벤트부에서의 표면갱신을 효율이 좋게 촉진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0.1 ∼ 4.5 m/s. 더 바람직하게는 0.2 ∼ 4.0 m/s,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0.5 ∼ 3.5 m/s이다. 원주속도가 4.5 m/s를 초과하면 이상 발열이 일어나는 수가 있고, 또한 요구되는 동력비도 증가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대, 바람직하게는 2대의 압출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는, 모든 압출기에 있어서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하에서 조립이 행해진다. 그리고, 적어도 한대의 압출기, 바람직하게는 최상류에 접속된 압출기 이외의 모든 압출기에 있어서는,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이며, 적어도 벤트 부착 압출기에서의 압출량, 바람직하게는 모든 압출기에서의 압출량이, Q/ (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 (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을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립시의 수지 온도는, 대상으로 하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녹는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의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온도가 400℃를 초과하면 스티렌계 중합체가 분해할 우려가 있다. 수지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녹는점 ∼ 370℃의 범위이다. 이때의 압출기의 실린더(cylinder) 온도의 설정 값은, 바람직하게는 실온 ∼ 400℃, 다시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점 ∼ 400℃,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지의 녹는점 ∼ 370℃로 한다. 또한 압출시의 전단응력은 통상 1x106Pa 이하, 바람직하게는 5x105Pa 이하이다. 전단응력이 너무 크면 멜트프렉쳐(melt fracture)가 발생하여, 압출성형되는 펠릿(pellets)의 형태가 이상하게 되는 수가 있고, 다음의 성형 공정에 지장을 초래할 수가 있다.
또한, 탈휘발의 효율을 보다 높게하기 위해서는, 질소, 아르곤, 헬륨, 이산화탄소 등의 불활성 가스 또는 물 등의 불활성 액체 등을 주입할 수가 있다. 특히 물을 공급하는 것은 미반응성 모노머를 저감한다는 의미에서 바람직하다. 불활성 가스의 주입량은, 그 종류나 처리속도 등에 따라 다르나, 통상은 중합체 1kg당 1mℓ ∼ 10ℓ의 범위가 적당하다. 또한, 물 등의 불활성 액체 등의 주입량도 그 종류나 처리속도 등에 따라 다르나, 통상은 중합체 원료당 0.05 ∼ 2.5 중량%의 범위가적당하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중량평균 분자량 330,000, 평균입자직경 160㎛, 잔류 모노머로서 스티렌을 습윤 기준으로 30중량% 포함하는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파우더(powder)를, 일본제강소(주)제 2축 압출기 [TEX 44-XCT (L/D = 38.5, D = 47 mm, H = 9.0 mm, 벤트수 - 2)]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90℃, 성형온도 300 ∼ 320℃, 제1벤트내 압력 200 torr, 제2벤트내 압력 20 torr, 스크루우 원주속도 0.5 m/s (동일회전방향), 압출량 = 28 kg/h 의 조건에서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Q/ (D x H x V)는 1.32x105이며, 전단응력은 2X104Pa이었다.
펠릿상태로서 회수된 폴리머 중의 잔류 모노머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900 ppm 의 스티렌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었다.
실시예 2 및 3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중의 미반응 모노머량을 각각 1.8중량%, 1000ppm으로 하고, 압출량 = 55kg/h 로 한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얻어진 펠릿 중의 잔류 모노머량은 제 1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Q/ (D x H × V)는 2.60x105이며, 전단응력은 3.5x104Pa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원료중의 미반응 모노머량을 37중량%로 하고, 압출량 = 200 kg/h 로 한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하여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얻어진 펠릿 중의 잔류 모노머량은 제 1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Q/ (D x H x V)는 9.46x105이었다.
제 1 표
실시예 4
중량 평균분자량 340000, 잔류 모노머로서 스티렌을 습윤기준으로 17 중량% 포함하는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파우더를, 일본제강소(주)제 2축압출기 [TEX 65 (D - 69 mm, II - 12.5 mm)]를 2대 직렬로 접속하고, 실린더 온도 290℃ ~ 320℃, 하류측 압출기에는 3개의 벤트를 설치하여, 성형온도 310℃, 제1벤트내 압력 700 torr, 제2벤트내 압력 10 torr, 제3벤트내 압력 10 torr, 스크루우 원주속도 1.1 m/s (제1압출기), 0.55 m/s (제2압출기), 압출량 = 166 kg/h의 조건으로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Q/ (D x H x V)는 1.75x105(제1압출기), 3.50x105(제2압출기)이고, 전단응력은 6.9x104Pa이었다.
펠릿상으로서 회수된 폴리머 중의 잔류 모노머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1200 ppm의 스티렌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 스크루우 원주속도 1.64 m/s(제1압출기), 0.73 m/s(제2압출기), 압출량 = 250 kg/h의 조건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하여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Q/ (D x H x V)는 1.76x105(제1압출기), 3.97x105(제2압출기), 전단응력은 77x104Pa이고, 얻어진 펠릿 중의 잔류 모노머량은 2500 ppm이었다.
실시예 6
중량 평균분자량 350,000, 잔류 모노머로서 스티렌을 습윤 기준으로 24중량% 포함하는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파우더를, 도시바 머신(주)제 2축압출기 TEM 48 (D - 48 mm, II - 8.7 mm) 및 TEM 58 (D = 58 mm, H = 10.5 mm)을 2대 직렬로 접속하여, 실린더 온도 250℃ ∼ 320℃, 하류측 압출기에는 4개의 벤트를 설치하여, 성형온도 325℃, 제1벤트내 압력 200 torr, 제2벤트내 압력 100 torr, 제3벤트내 압력 20 torr, 제4벤트내 압력 50 torr, 스크루우 원주속도 0.88 m/s (제1압출기), 0.49 m/s (제2압출기), 압출량 = 135 kg/h 의 조건으로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Q/ (D x H x V)는 3.67x105(제1압출기), 4.52x105(제2압출기)이고, 전단응력은 5.4x104Pa이었다.
펠릿상으로 회수된 폴리머 중의 잔류 모노머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2800 ppm의 스티렌 모너머를 포함하고 있었다.
참고예 1
실시예 6에 있어서, 스크루우 원주속도 1.13 m/s (제1압출기), 0.82 m/s(제2압출기), 압출량 = 323 kg/h 의 조건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Q/ (D x H x V)는 6.84x105(제1 압출기), 6.49x105(제2압출기), 전단응력 1.2x106Pa이고, 얻어진 펠릿 중의 잔류 모노머량은 4000 ppm이었다.
실시예 7
중량 평균분자량 300,000, 잔류 모노머로서 스티렌을 습윤 기준으로 20중량% 포함하는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파우더를, 일본제강소(주)제 2축압출기 TEX 65 (D - 69 mm, II - 12.5 mm)의 하류측에 기어펌프를 접속하여, 실린더 온도 100℃ ∼ 320℃, 압출기에는 4개의 벤트를 설치하여, 성형온도 340℃, 제1벤트내 압력 360 torr, 제2벤트내 압력 10 torr, 제3벤트내 압력 10 torr, 제4벤트내 압력 10 torr, 스크루우 원주속도 0.72 m/s, 압출량 = 160 kg/h 의 조건으로 탈휘발·조립을 행하였다. Q/ (D x H x V)는 2.58x105이고, 전단응력은 6.8x104Pa 이었다.
펠릿상으로서 회수된 폴리머 중의 잔류 모노머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2600 ppm의 스티렌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중합 후의 중합체 중에 잔류하는 모노머 등의 휘발성분을 효율좋게 단시간에 제거할 수가 있고, 얻어진 중합체나 그 성형품의 품질의 향상, 제조시의 운전의 안정화 등을 도모할 수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방법은,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실용적인 조립, 정제방법으로서 광범위하고도 유효한 이용이 기대된다.

Claims (12)

  1. 신디오택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을,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성형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 점 내지 400℃의 온도조건, 압출량이 Q/ (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 (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압출기가 2이상의 벤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의 평군 분자량이, 10,000이상 3,000,0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가, 실온 ∼ 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스티렌계수지의 제조방법.
  5. 복수대의 압출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성형 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조건, 적어도 1대기의 압출기에 대하여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 인 1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이며, 적어도 벤트가 부착된 압출기에서의 압출량이, Q/ (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대의 상기 압출기가운데, 최상류에 접속된 압출기 이외의 모든 압출기에 대하여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인 1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의 평균 분자량이, 10,000이상 3,000,0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가, 실온 ∼ 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9. 압출기를 한 대 또는 복수의 대를 직렬로 접속한 최하류측에 기어펌프를 설치하여 조립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 성형 온도가 그 중합체의 녹는점 내지 400℃의 온도조건, 적어도 한 대의 압출기에 대하여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 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이며, 최하류측에 접속된 압출기에서의 압출량이, Q/ (D x H x V) = 2.0x104~ 6.0x105(여기서, Q : 압출량 (kg/h), D : 스크루우 직경 (m), H : 스크루우 구심 (m), V : 스크루우 원주속도 (m/초))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대의 상기 압출기를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상류측에 접속된 압출기 이외의 모든 압출기에 대하여 벤트내 압력이 0 ∼ 760 torr 인 한 개 또는 복수의 벤트를 갖는 압출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 분말의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3,000,000 이하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가, 실온 ∼ 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9960707071A 1995-05-26 1996-05-23 스티렌계수지의제조방법 KR100387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27726A JPH08318529A (ja) 1995-05-26 1995-05-26 スチレン系樹脂の製造方法
JP95-127726 1995-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838A KR970703838A (ko) 1997-08-09
KR100387539B1 true KR100387539B1 (ko) 2004-09-08

Family

ID=1496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7071A KR100387539B1 (ko) 1995-05-26 1996-05-23 스티렌계수지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56658A (ko)
EP (1) EP0778113B1 (ko)
JP (1) JPH08318529A (ko)
KR (1) KR100387539B1 (ko)
DE (1) DE69623099T2 (ko)
TW (1) TW384253B (ko)
WO (1) WO1996037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88624B2 (en) * 1994-11-29 1998-03-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Styrene polymer and molded articles
WO1996037352A1 (fr) * 1995-05-26 1996-11-2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rocede de production de resine styrenique
CN1321793C (zh) * 1999-01-26 2007-06-20 三菱丽阳株式会社 脱挥挤压方法和螺杆式脱挥挤压装置
EP1752478A1 (en) 2005-08-08 2007-02-14 Basf Aktiengesellschaft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graft copolymer having a bimodal particle distribution.
JP5298505B2 (ja) 2007-01-24 2013-09-25 三菱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WO2008090673A1 (ja) * 2007-01-24 2008-07-3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JP4289510B1 (ja) * 2008-12-22 2009-07-01 スターテクノ株式会社 合成樹脂ペレット乾燥装置及び合成樹脂ペレット乾燥方法
JP5916308B2 (ja) * 2011-07-20 2016-05-11 ウィンテックポリマー株式会社 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内装部品
WO2021240694A1 (ja) * 2020-05-27 2021-12-02 東洋スチレン株式会社 樹脂組成物
CN114174418A (zh) * 2019-08-27 2022-03-11 东洋苯乙烯股份有限公司 树脂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3798A (en) * 1965-05-04 1967-09-20 Lavorazione Mat Plast Apparatus for melt spinning textile fibers from linear thermoplastic polymers
US3684252A (en) * 1970-09-04 1972-08-15 French Oil Mill Machinery Desolventizing apparatus
JPS60157824A (ja) * 1984-01-26 1985-08-19 Sumitomo Chem Co Ltd 改良された農業用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1211013A (ja) * 1985-03-18 1986-09-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押出成形機
JPH07112699B2 (ja) * 1986-05-07 1995-12-06 出光興産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FR2621272B1 (fr) * 1987-10-06 1990-03-30 Mcneil Akron Repiquet Sarl Procede et machine pour la fabrication d'un produit fini par extrusion a partir d'une matiere thermoplastique extrudable de nature hygroscopique
JPH0676448B2 (ja) * 1988-06-25 1994-09-2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改質されたメタクリル系樹脂成形材料の製造方法
US5169893A (en) * 1988-09-01 1992-12-08 The Dow Chemical Company Mixtures containing stereoregular polystyrene
JP2812971B2 (ja) * 1989-01-24 1998-10-22 出光興産株式会社 押出成形用材料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H0356504A (ja) * 1989-07-26 1991-03-12 Idemitsu Petrochem Co Ltd スチレン系重合体の残留揮発分の除去方法
JP2723142B2 (ja) * 1989-08-02 1998-03-09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スチレン系重合体の残留揮発分の除去方法
JP2923337B2 (ja) * 1990-07-20 1999-07-2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スチレン系重合体の押出成形方法
JP3471846B2 (ja) * 1993-04-16 2003-12-02 東洋紡績株式会社 シンジオタクチック構造を有するスチレン系重合体の溶融押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56658A (en) 1998-05-26
TW384253B (en) 2000-03-11
WO1996037353A1 (fr) 1996-11-28
DE69623099T2 (de) 2003-01-02
JPH08318529A (ja) 1996-12-03
KR970703838A (ko) 1997-08-09
EP0778113B1 (en) 2002-08-21
EP0778113A1 (en) 1997-06-11
EP0778113A4 (en) 1997-11-26
DE69623099D1 (de)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539B1 (ko) 스티렌계수지의제조방법
US5145950A (en) Method of storing food or plant materials by wrapping with a stretched syndiotactic polystyrene film
JP2009068022A (ja) スチレン系重合体及び成形体
EP0380968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material for extrusion molding
US5565537A (en) Maleimide-based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EP0850739B1 (en) Process for making syndiotactic polystyrene containing pellets
EP1016677B1 (en) Process for preparing styrenic resin
US6031070A (en) Solid state devolatilization of syndiotactic vinyl aromatic polymers with catalyst deactivation
JP2723142B2 (ja) スチレン系重合体の残留揮発分の除去方法
JPH0356504A (ja) スチレン系重合体の残留揮発分の除去方法
CA1330699C (en) Styrene-based polymer molding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0324986B1 (ko) 중합체의정제방법
JP4156374B2 (ja) スチレン系樹脂粒状体の製造方法
JPH07112699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10195206A (ja) スチレン系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
CN100343287C (zh) 间同立构乙烯基芳族聚合物的多步骤固态脱挥发分
US6818737B2 (en) Method of producing articles from syndiotactic vinyl aromatic polymers
JP2007023116A (ja) スチレン系エラストマー樹脂ペレットのブロッキング防止方法
JPH10195130A (ja) スチレン系重合体の乾燥方法
JPS6042415A (ja) ゴム変性耐衝撃性樹脂の連続的製造方法
JPS6042414A (ja) ゴム変性耐衝撃性樹脂の連続的製造方法
JPH035980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