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134B1 - 고강도 저합금 내열강 - Google Patents

고강도 저합금 내열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134B1
KR100386134B1 KR10-2000-0046385A KR20000046385A KR100386134B1 KR 100386134 B1 KR100386134 B1 KR 100386134B1 KR 20000046385 A KR20000046385 A KR 20000046385A KR 100386134 B1 KR100386134 B1 KR 10038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resistant steel
low alloy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263A (ko
Inventor
고마이노부요시
마스야마후지미쓰
요꼬야마도모미쓰
히라다히로유끼
가와노가오리
간다까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2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9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other elements as next major constitu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우수한 내재열균열성을 가진 고강도W함유저합금내열강을 제공한다.
질량%으로서 C: 0.03∼0.15%, Si: 1%이하, Mn: 2%이하, P: 0.03%이하, S: 0.03%이하, Ni: 0.5%이하, Cu: 0.5%이하, Cr: 1.8∼2.8%, V: 0.1∼0.3%, Nb: 0.01∼0.08%, Mo: 0.05∼0.35%, W: 1.2∼1.8%, Ti: 0.001∼0.05%, B: 0∼0.02%, Al: 0.1%이하, O: 0.1%이하를 함유하여, N함유량이 하기의 (1)식을 충족하고 나머지가 불가피한 불순물로 되며 또한 평균결정입경이 110㎛이하인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저합금내열강
[%N]

Description

고강도 저합금 내열강{HIGH STRENGTH LOW ALLOY HEAT RESISTANT STEEL}
본 발명은, 용접후의 열처리 시에 발생하는 균열(crack)에 대하여 감수성이 낮고, 소위 내재열(耐再熱) 크랙성이 우수한 고강도 저합금 내열강(耐熱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보일러, 화학장치등의 내열, 내압배관에 사용되는 고온재료로서는, 수%의 Cr을 함유하는 저합금 내열강, 9∼12%의 Cr을 함유하는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 18%Cr-8%Ni강으로 대표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2.25%Cr-1%Mo강(이른바, 2 1/4%Cr-1%Mo강)에 대표되는 저합금 내열강은, 값이 싸기때문에 사용환경에 따라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의 Cr를 함유하는 저합금 내열강은, 일반적으로 소려된 베이나이트(tempered bainite), 소려된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등의 소위 페라이트계(ferrite)의 조직으로 되며, 고Cr계 내열강이나 오스테나이트조직으로 되는 강에 비해서 고온강도가 낮다. 이때문에, 근년 이의 저합금강을 베이스로 하여 Mo, W, Nb, V 등을 첨가하여 고온강도를 높인 저합금 내열강 또는 그 제조방법이 하기와 같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1) Cr: 0.7∼3%, Mo: 0.3∼1.5%, V:0.05∼0.35%, Nb:0.01∼0.12%, N:0.01∼0.05%을 함유하고, 또 W:0.5∼2.4%, B:0.0005∼0.015%, Al:0.1%이하, Ti:0.05∼0.2%로 조정한 강을, 1100℃ 이상의 온도에 가열한 후 상온까지로 냉각하고, 상온 혹은 가공중 또는 냉각도중에 있어서 재결정을 발생하지 않는 온도 역에서 소성가공을 시행하고, 최후에 1100℃ 보다도 낮은 온도로 소준(燒準= normalizing)및 Acl온도이하에서의 소려처리를 행하는것에 의하여, 용접열영향부의 연화의 정도를 경감하고, 또한 모재의 충격성질을 개선한 후에, 약 600℃까지의 온도로 사용 할 수 있는 강의 제조방법(일본국 특허 제2,659,813호 공보, 참조).
(2) Cr:1.5∼3.5%, W:1∼3%, V:0.1∼0.35%, Nb:0.01∼0.1%, B:0.0001∼0.02%, N:0.005% 미만, Al:0.005%미만, Ti:0.001∼0.1%를 함유하고, 필요에 응해서 각각 0.01∼0.2%의 La, Ce, Y, Ca, Zr 와 Ta 및 0.0005∼0.05%의 Mg 중의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Mo:0.01∼0.4%를 함유하고, Ti와 N의 함유량이「0.080Ti(%)-(48/14)N(%)0.003」을 충족하는 크리프강도(creep strength)와 인성(toughness)이 우수한 저합금내열강(일본국 공개 특허 헤이세이4-268040호 공보,참조).
(3) Cr:1.5∼3.5%, W:1.0∼3.0%, V:0.10∼0.35%, Nb:0.01∼0.10%, B:0.0001∼0.02%, N:0.005% 미만, Al:0.005 미만, Ti:0.001% 이상 0.050% 미만, Cu:0.10∼2.50%로 되고, 필요에 응해서 Mo:0.01∼0.40%, 그리고 0.01∼0.20%의, La, Ce, Y, Ca, Zr 와 Ta 및 0.0005∼0.05%의 Mg가운데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불순물중의 P:0.03%이하, S:0.015%이하인 인성과 크리프강도에 우수한 저Cr 페라이트계내열강(일본국 공개 특허 헤이세이 5-345949 호 공보, 참조).
이 강은, 크리프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N함유량 및 Al함유량을 0.005% 미만으로 제한하고, Ti을 첨가하여서 N을 고정한 후에 B를 첨가한 것이다. 또, 용접부의 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Ti, Cu 및 W를 첨가하고, 또한, 내산화성 및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Cu을,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V, Nb 및 W를 첨가한 강이다.
(4) Cr:0.8∼3.5%, W:0.01∼3.0%, V:0.1∼0.5%, Nb:0.01∼0.20%, Al:0.001∼0.05%, Mg:0.0005∼0.05, B:0.0020∼0.02%, N:0.005% 미만, P:0.03% 이하, S:0.015% 이하를 포함하며, 필요에 응해서 Mo:0.01∼1.5%, 그리고 0.01∼0.2%의 La, Ce, Y, Ca 및 Ta 중에서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B함유량이 하기(a)식을 충족시키는 고온강도에 우수한 극저Mn 저Cr 페라이트 내열강 (일본국 공개특허 헤이세이 8-325669호 공보, 참조).
(14/11)B>N-N(V/51)/{(C/12)+(N/14 )}-N(Nb/93)/{(C/12)+(N/14)} ‥‥(a)
이 강은 W를 첨가하여 고온 크리프(creep)강도를 높여 장시간 사용후에 W에 의한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Mn을 0.1% 미만으로 제한하고 B를 첨가하여 강도저하, 인성저하를 방지하며 고온 크리프강도를 높인 것이다. B의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B함유량이 상기의 N,V,C 및 Nb의 관계식으로 규제되고 있다.
(5) Cr:0.3∼1.5%, W:0.1∼3%, V:0.01∼0.5%, Nb:0.01∼0.2%, Al:0.001∼0.05%, B:0.0001∼0.02%, N:0.001∼0.03%, P:0.025% 이하, S:0.015% 이하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Mo: 0.01∼3%, 그리고 각각 0.01∼0.2%의 Ca, Ti, Zr, Y, La, Ce, Ta 및 0.0005∼0.05%의 Mg 가운데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용접성 및 고온강도가 우수한 페라이트(ferrite)강(일본국 공개특허 헤이세이 10-8194호 공보 참조).
이 강은 450℃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고온크리프강도가 개선되고 또한 인성, 가공성, 용접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저합금강과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지며 고Cr 페라이트강에 대치 가능한 저Cr 페라이트강이다.
상기와 같은 저합금내열강을 용접 시공하는 경우에는 용접저온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용접저온균열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용접 전에 예열한다던지 용접 후에 열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저합금내열강은 「용접후 열처리기준과 그의 해설」(일본고압력기술협회, 응력소둔위원회편, 일간공업신문사, 1994. 9. 26발행)의 p.10, 22∼23, 100, 15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용접후의 열처리 시에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소위 재열균열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열균열은 용접저온균열과는 다른 기구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예열온도의 관리로는 방지할 수 없다.
저합금내열강의 재열균열에 관한 보고는 다수 있었다. 예컨대 용접학회지, 제41권(1972), 제1호 p.59에는 재열균열감수성지수(PSR)가 제안되어 있으며 1.5%이하의 Cr양의 범위에서 재균열감수성이 Cr, Cu, Mo, V, Nb, Ti의 증가에 수반하여 높아지게 되며 특히 V, Nb, Ti는 그의 영향이 크다는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용접학회지 제49권(1980), 제3호, p.203에는 재열균열감수성이 강중의 불순물원소인 P, Sb, Sn 및 As의 증가에 의하여 크게되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쇼와 59-80755호 공보에는 내소려취성(resistance to temper brittleness)에 우수한 저합금내열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의 재균열에 관한 보고 또는 발명은 모두 W를 함유하지 않은 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자의 조사에 의하여 W를 함유하는 강의 경우는 고온에서 강도가 높기 때문에 재열균열감수성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는 것이 명확히 되었다.
먼저 제시한 선행문헌에는 일본국 공개특허 헤이세이 7-268040호 공보 및 동 5-345949호 공보를 제외하고는 용접균열에 관한 기재가 없다.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 헤이세이 7-268040호 공보 및 동 5-345949호 공보에는 예열온도관리에 의한 용접저온균열방지에 관한 기재가 되어 있는 바 W첨가강에서 큰 문제가 되는 재열균열성에 대해서는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현재의 경우 W를 함유하고 또한 충분한 내재열균열성을 가진 고강도내열강은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W를 함유하는 Cr-Mo계 고강도저합금내열강이면서 우수한 내재열균열성을 가진 내열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기 위한 수단)본 발명은 W를 함유하는 저합금내열강을 용접하여 그 후의 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이하 「용접후 열처리」 또는 「후열처리」라 한다)에 의하여 발생한 균열을 상세히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균열은 후열처리도중에 용융선 부근의 결정입이 조대화(粗大化)한 열영향부에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의 파면의 형태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보니 파면에는 용융흔적(액상을 수반한 균열)이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분석의 결과에서는, 파면상에는 N의 현저한 농화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에 의하여 균열부근의 입내(粒內)의 미세한 V, Nb의 탄화물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여졌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용접재균열은 다음과 같은 요인의 중첩효과에 의하여 균열이 개구하는 현상이라고 사료되었다.
①용접후 열처리에 의하여 N의 입계편석이 가속되어 입계고착력의 저하,
②V, Nb탄화물에 의한 석출강화, W에 의한 고용(固溶)강화에 의한 입내의 강화,
③용접열싸이클에 의한 조대화한 평활한 입계면에 열응력에 의한 변형의 집중.
이러한 결과로부터 용접재열균열을 방지하는데는 Ti 또는 / 및 B에 의하여 N의 함유형태를 조정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Ti 및 B는 N과의 친화력이 강하여 안정한 질화물을 형성하여 입계고착력을 저하시키는 입계의 탈 N을 감소시킨다.
Ti는 TiN으로서 강의 제조시에 주로 입계에 생성하여 피닝(peening)효과에 의하여 용접열싸이클에 의한 결정입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발휘토록 하자면 Ti는 적어도 0.001%이상을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B는 편석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N과 결합하지 않는 B는 탈B로서 입계에 존재하여 편석사이트를 점하고 N등의 입계약화원소의 편석을 억제하고 입계고착력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용접재열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당연한 것이지만 Ti 및 B에 의한 균열방지효과는 입계취화원소인 N량(量)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다량의 N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균열방지에 필요한 Ni 및 B의 양도 많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의 데이터로부터 N함유량을 횡축으로 하고 「%Ti + 5 ×%B + 0.004」를 종축으로 하여 용접재열균열이 간파되지 않는 것을 오픈 서클(open circle)(), 균열이 간파되는 것을 솔리드 서클(solid circle)()로 하여 프롯트하면 도 5와 같이 된다. 이 도로부터 N함유량 [%N]과 [%Ti] + 5 [%B] + 0.004 와의 관계가 하기 (1)식을 만족하면 용접재열균열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Ti] + 5 [%B] + 0.004 ‥‥‥ (1)
그러나, 용열(溶熱)영향부의 평균 결정입경이 150㎛을 초과하면, 상기 (1)식을 충족하여도 용접재열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을 150㎛이하로 하기위하여는, 모재의 평균결정입경을 110㎛이하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가능성을 기본으로 완성시킨 것으로서 그의 요지는 하기의저합금내열강에 있다.
질량%로 C: 0.03∼0.15%, Si: 1%이하, Mn: 2%이하, P: 0.03%이하, S: 0.03%이하, Ni: 0.5%이하, Cu: 0.5%이하, Cr: 1.8∼2.8%, V: 0.1∼0.3%, Nb: 0.01∼0.085%, Mo: 0.05∼0.35%, W: 1.2∼1.8%, Ti: 0.001∼0.05%, B: 0∼0.02%, Al: 0.1%이하, O: 0.1%이하를 함유하며 N함유량이 하기의 (1)식을 충족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되며 평균결정입경이 110㎛이하인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저합금내열강.
「%N」「%Ti」+ 5 「%B」+ 0.004 ‥‥‥ (1)
더구나 상기 평균입경이란 현미경 관찰시야의 사진등에 있어서 기준길이당의 결정입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의 수로 기준길이를 나누어 구한 것이다.
도 1은 시험재의 용접모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구속용접시험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크리프 시험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용접입열량과 용접열경향부를 포함한 평균결정입경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N함유량과 [%Ti] + 5 [% B] + 0.004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평판, 2; 기판, 3; 용접부,
4; 구속시험체, 5; 모따기, 6; 용접부
다음에 각 화학성분의 작용과 그의 한정이유를 기술한다. 화학성분의 %는 질량 %를 의미한다.
C: 0.03∼0.15%
C는 탄화물을 형성 고온강도를 높이데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오스테나이트(austenite)형성원소로서 작용하며 δ페라이트(ferrite)의 생성을 억제한다. 그러기 위하여서는 적어도 0.03%이상의 함유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용접열영향부의 경도를 증가시켜 용접저온균열감수성 및 용접후의 재열균열감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C함유량이 높은 강은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되면 취화(brittle)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C함유량의 상한은 0.15%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12%이다.
Si: 1%이하
Si는 제강시에 탈산원소로서 첨가되는 바 강의 내산화성, 내고온부식성의 개선에도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고온에서의 장시간사용시에는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Si함유량의 상한은 1% 로 한다. 바람직한 상한은 0.8%이다. 또한 하한은 불가피한 불순물레벨도 괜찮지만 탈산의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0.0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2%이하
Mn은 Si와 같이 제강시 탈산원소로서 첨가된다. 그러나 과잉으로 함유하면 고온 장시간사용시에 강도의 저하 및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Mn함유량은 2%이하로 하지만 바람직한 것은 1.5% 이하이다. 더욱이 바람직한 것은 0.35% 미만이다. 또한 하한은 불가피한 불순몰의 레벨도 괜찮지만 탈산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0.0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3%이하
P는 강중에 잔존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원소이며 다량을 함유하면 용접재열균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P함유량은 0.03%이하로 한다. P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므로 하한은 특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극도의 감소는 코스트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0.0005%정도를 하한으로 한다.
S: 0.03%이하
S는 P와 같이 강중에 잔존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원소로 다량으로 함유되면 용접재열균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S함유량은 0.03%이하로 한다. S도 적을수록 바람직하므로 하한은 특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P와 같이 정련비용면에서 볼 때 0.0005%정도를 하한으로 한다.
Ni: 0.5%이하
Ni는 오스테나이트생성원소이며, δ페라이트상(相)(phase)의 생성을 억제하고 조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하여도 좋다.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의 함유량을 0.01%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고온에서 사용중에 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Ni함유량의 상한은 0.5%로 한다.
Cu: 0.5%이하
Cu는 Ni와 같이 오스테나이트생성원소이고, δ페라이트상의 생성을 억제 조직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는 원소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다.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의 함유량은 0.01%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고온 장시간의 사용중에는 연성을 극단으로 저하시킴으로 Cu함유량은 0.5%이하로 한다. 또한 0.1%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미만으로 하는 것이 더한 층 바람직하다.
Cr: 1.8∼2.8%
Cr은 고온에서 내산화성 내고온부식성 및 고온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수의 원소이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탄화물의 조대화를 초래하여 오히려 고온강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Cr함유량은 1.8∼2.8%로 한다.
V: 0.1∼0.3%
V는 강중에 미세한 탄화물 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크리프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용접후열처리시의 입내탄화물(粒內炭化物)의 석출밀도를 증가시켜 재열균열감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고온에서 사용중에는 급속한 탄화물의 응집, 조대화를 초래하여 도리어 크리프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V함유량은 0.1∼0.3%로 한다.
Nb: 0.01∼0.08%
Nb는 강중에서 미세한 탄화물 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크리프강도를 증가시켜주는 데 기여하는 원소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0.01%이상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용접후열처리시의 입내탄화물의 석출밀도를 증가시켜 재열균열감수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Nb함유량은 0.01∼0.08%로 한다.
Mo: 0.05∼0.35%
Mo는 강의 매트릭스(matrix)를 고용강화함과 동시에 탄화물로 되어 석출되어 크리프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P와의 친화력이 강하여 입계에 편석하는 P량을 감소시킴으로 용접재열균열감수성의 감소에 기여한다.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자면 적어도 0.05%이상의 함유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장시간의 사용 후에 인성을 감소시킴으로 그의 상한은 0.35%로 한다.
W: 1.2∼1.8%
W는 Mo와 같이 강의 매트릭스를 고용 강화함과 동시에 탄화물을 생성하여 크리프강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는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자면 적어도 1.2%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매트릭스가 대단히 강화됨으로하여 N가 입계에 편석하는 경우 취화한 입계와 매트릭스와의 강도차가 커지기 때문에 재열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과잉의 첨가는 인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그의 상한은 1.8%로 한다.
Al: 0.1%이하
Al은 강의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원소이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강의 청정도를 저하시켜서 가공성을 저해함과 동시에 고온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Al함유량은 0.1%이하로 한다. 특히 하한은 정하지 않았지만 극도의 저감은 강의 탈산이 불충분하게 됨으로 0.000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 (산소): 0.1%이하
O (산소)는 강중의 불순물원소로 주로 산화물로서 존재하여 가공성, 모재의 강도 또는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입계의 산화물로서 존재하면 입계고착력의 저하를 초래하여 재열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O함유량은 0.1%이하로 하지만 0.06%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3%이하로 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산소의 함유량은 적을수록 바람직한데 특히 하한은 정하지 않았지만 극도의 저감은 정련비용의 상승을 초래함으로 실제 생산에서의 하한은 0.0005%정도이다.
Ti: 0.001∼0.05%
Ti는 용접재열균열감수성을 저감시키는데 필수적인 원소이다. Ti는 N과 결합하여 TiN을 형성하고 용접열영향부에서의 입계고착력을 저하시키는 탈-N량(量)을 저감시킨다. 또한 피닝효과에 의하여 용접열싸이클에 의한 용접열영향부에서의 결정입조대화를 억제하여 재열균열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한 효과를 얻으려면 적어도 0.001%이상의 함유가 필요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B, N과의 (1)식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인성의 극단적인 저하를 초래함으로 0.05%이하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한 것은 0.04%이하이다.
B: 0∼0.02%
B는 Ti를 함유하고 있으면 특별히 첨가하지 않아도 좋지만 N과의 친화력이 강하기 때문에 Ti와 같이 질화물을 형성하여 입계의 탈-N량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N과 결합하지 않는 나머지 B는 탈-B로서 입계에 존재하여 편석사이트(site)를 점유하여 N등이 입계약화원소의 편석을 억제하고 입계고착력을 증대시켜서 용접재열균열을 방지한다. 이러한 효과는 Ti와 복합첨가에 의하여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하기(1)식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모재의 취화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B함유량의 상한은 0.02%로 한다. 첨가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02∼0.006%이다.
N: 하기식(1)을 충족하는 범위
N은 강의 제조시 또는 용접후열처리시에 탈-N으로 입계에 편석하여 입계고착력을 저하시켜서 용접재열균열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위하여서는 Ti 또는 Ti 와 B를 첨가함에 의하여 N의 고정이 유효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얻을 있도록 하자면 강중의 N이 하기의 (1)식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N」「%Ti」+ 5 「%B」+ 0.004 ‥‥‥(1)
본 발명의 내열강의 용접재열균열방지는 ① Ti, B첨가에 의한 입계의 탈-N을저감시키는 것, ② TiN의 피닝효과에 의하여 결정입이 조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및 ③ 탈-B에 의하여 입계의 고착력을 증가시키는 것의 중첩효과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하여 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자면 Ti, B 및 N가 상기의 (1)식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N의 과잉함유는 다량의 질화물생성을 초래하여 인성저하를 야기하는 한편 N가 지나치게 적으면 상기 TiN에 의한 피닝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N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05%를 초과하여 0.01%까지이다.
평균결정입경: 110㎛ 이하
용접재열균열은 전기 ①, ② 및 ③을 충족하여도 완전히 방지할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용접열싸이클에 의하여 조대화한 평활한 입계면에 열응력에 의한 변형이 집중함에 의하여 용접재열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용접열영향부를 포함하는 평균결정입경을 15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용접입열량과 용접열영향부를 포함하는 평균결정입경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이 도는 평균결정입경이 109㎛의 강판을 모재로 하여 서브머지 아크용접법(submerged arc welding method)에 의하여 입열량(入熱量)을 변화시켜서 구속용접시험을 행하여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이다. 이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을 150㎛이하로 하기 위하여서는 모재의 평균결정입경을 110㎛이하, 용접입열량을 70kJ/cm이하로 하면 좋다. 더욱이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은 적을수록 좋으므로 용접입열량은 50kJ/cm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모재의 평균결정입경은 모재제조시에 소준(normalizing)처리에 있어서 900∼1100℃로 5시간이내의 열처리를 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은 적을수록 좋으며 이의 평균결정입경은 모재의 결정입경이 작을수록 작아지므로 내재열균열성을 한 층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모재의 평균결정입경을 7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5㎛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세결정입의 조직으로 하는 데는 720∼800℃에서 소려(tempering)와 900∼110℃에서의 소준(normalizing)과 720∼800℃에서의 두 번째 소려로 된 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합금원소성분범위를 충족하면 얻을 수 있지만 더 한층의 재열균열감수성저감을 위하여서는 불가피한 불순물인 Sn, As, Sb, Pb는 합계 0.04%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간가공성의 개선, S의 고착에 의한 가일층의 재열균열감수성저감을 위하여 Ca: 0.02%이하, Mg: 0.02%이하, REM(희토류원소): 0.02%이하를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표 1∼3에 제시한 화학조성으로 조정한 강(불순물로서의 Sn, As, Sb 및 Pb의 합계로 0.04% 이하이다)을 용제(溶劑)하여 열간단조, 열간압연, 열처리공정을 거쳐서 두께 40mm 강판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건은 모재의 평균결정입경이 약 30∼109㎛로 되도록 선정하였다. 단 강부호 A7, A10, A18, A19, A23, A27∼29, B3, B4, B9 및 B15에 있어서는 열처리시의 소려온도를 조정함으로서 평균결정입경을 크게 하였다.
[표 1]
[표 2]
[표 3]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두께 40mm, 폭 50mm, 길이 100mm의 평판1을 절단하여 한측에 모따기(beveling)하여 두께 80mm, 일변의 길이가 200mm의 기판2의 표면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주(四周)를 용접(3)한 구속시험체(4)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구속시험체의 모따기부(5)에 표 4에 제시한 화학조성을 가진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TIG 용접법(GTAW, 용접입열 약 18kJ/cm), 피복아크용접법 (SMAW, 용접입열약 25kJ/cm) 및 서브머지아크용접법(SAW, 용접입열 약 50kJ/cm)에 의하여 다층용접을 행하였다.
[표 4]
용접재료는 모두 용제, 열간가공, 선인가공(drawing)을 행한 통상의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직경 1.2mm의 선재이다.
용접후 715℃로 가열하여 5시간 유지하는 용접후열처리를 행한 후 용접부의 5개소의 횡단면을 검사하고 용접열영향부의 균열유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5개소의 단면의 모두에 균열이 보이지 않은 것을 합격(O), 1단면이라도 균열이 보이면 불합격(X)으로 하였다.
균열평가에서 합격한 시험체로부터 크리프시험편과 충격시험편을 채취하였다.
크리프시편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부6이 시험편평행부의 중앙부가 되도록 채취하였다. 크리프시험은 응력을 온도를 550℃로해서 행하였다. 응력 196MPa는 모재의 550℃에서의 크리프 파단수명(破斷壽命)(creep failure life)이 약 3000시간이 되는 응력이다. 그리하여 파단하기까지의 시간은 2400시간 이상이 되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충격시험편은 JIS Z2202에 규정된 4호충격시험편으로 하여 노치(notch)부의 용접열영향부를 포함하도록 채취하였다. 시험은 0℃에서 행하였다. 그리하여 흡수에너지가 40줄(Joule)이상을 합격 그 이하를 불합격으로 하였다.
모재 및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은 광학현미경의 관찰시야(100배)내의 단위길이당 점하는 결정입의 개수로부터 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표 5~7에 제시하였다.
[표 5]
본 발명예의 부호 (A1∼A31)의 강은 Ti함유량이 0.001∼0.033%, [%Ti] + 5 [%B] + 0.004 가 모두 N함유량보다도 많고, 또한 평균결정입경이 33∼109㎛의 범위 안에 있다. 그러므로 용접재열균열시험에서는 표 5 및 6에서 명백한바와 같이 발명강에 의한 계수(시험번호 AJ1-AJ35)는 용접법에 관계없이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크리프파단강도은 파단까지의 시간이 2493∼2896시간의 범위내에 있어 샤르피(Charpy)충격치는 41~65줄의 범위내에 들어 양호하다.
이에 대비하여 비교예의 부호 B1의 강은 N함유량이 0.018%로 [%Ti] + 5 [%B] + 0.004 보다도 많다. 즉 상기(1)식을 충족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표 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시험번호BJ1의 계수에는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검출되었다. 비교예의 부호 B2의 강은 모재의 평균결정입경이 38㎛이다. 그러나 Ti를 함유하지 않은 계수로 한 경우 시험번호BJ2로 제시한 바와 같이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이 152㎛로 되어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검출되었다.
비교예의 부호B3 및 B4의 강은 평균결정입경이 124㎛ 및 140㎛로 크다. 그러므로 시험번호BJ3∼BJ7의 계수는 용접열영향부의 평균결정입경이 154∼173으로 커서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검출되었다.
비교예의 부호B5의 강은 N함유량이 0.020%으로 [%Ti] + 5 [%B] + 0.004는 0.019%이므로 상기(1)식을 충족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시험번호BJ8의 계수에는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검출되었다.
비교예의 강부호B6은 상기(1)식을 충족함으로 균열이 발생하지 않지만 Ti를 0.053%로 과잉 함유함으로 계수로 한 경우 시험번호BJ9에 제시한 바와 같이 샤르피충격치의 흡수에너지가 11줄로 낮다.
비교예의 강부호B7은 Ti 및 B를 함유하지 않음으로 시험번호BJ10의 계수에서는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검출되었다.
비교예의 부호B8∼B14의 강은 모두 N함유량이 「%Ti + 5 ×%B + 0.004」보다 많으며 (1)식을 충족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험번호 BJ11∼17의 계수에는 모두 용접열영향부에 균열이 검출되었다.
비교예의 부호B15 및 B16의 강은 모두 N함유량이 [%Ti] + 5 [%B] + 0.004보다 많으며 또한 Ti가 피닝효과의 발휘에 필요한 0.001보다 적다. 따라서 시험번호 BJ18 및 BJ19의 계수에는 모두 균열이 검출되었다.
상기의 시험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은 화학조성이 적절하게 선정되어 N함유량이 (1)식을 충족하고 또한 평균결정입경이 작기 때문에 용접재열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충분한 크리프강도와 충격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내열강은 화학조성이 최적범위로 결정되어 그중 N함유량을 [%Ti] + 5 [%B] + 0.004보다 적게하고 또한 평균결정입경을 110㎛이하로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내열강을 용접한 계수부는 후열처리시의 재열균열감수성이 낮음과 동시에 우수한 크리프강도와 충격특성을 갖는다.

Claims (9)

  1. 질량%로 C:0.03∼0.15 %, Si:1%이하, Mn:2%이하, P:0.03%이하, S:0.03%이하, Ni:0.5%이하, Cu:0.5%이하, Cr:1.8∼2.8%, V:0.1∼0.3%, Nb:0.01∼0.08%, Mo: 0.05∼0.35%, W:1.2∼1.8%, Ti:0.001∼0.05%, Al:0.1%이하, O:0.1%이하를 포함하며, N함유량이 하기의 (1)식을 충족하고, 나머지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되며 평균결정입경이 1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강도저합금내열강.
    [%N][%Ti] + 5 [%B] + 0.004 ‥‥(1)
  2. 질량%로 C:0.03∼0.15 %, Si:1%이하, Mn:2%이하, P:0.03%이하, S:0.03%이하, Ni:0.5%이하, Cu:0.5%이하, Cr:1.8∼2.8%, V:0.1∼0.3%, Nb:0.01∼0.08%, Mo: 0.05∼0.35%, W:1.2∼1.8%, Ti:0.001∼0.05%, B:0.02%이하, Al:0.1%이하, O:0.1%이하를 포함하며, N함유량이 아래의 (1)식을 충족하고, 나머지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되며 평균결정입경이 1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강도저합금내열강.
    [%N][%Ti] + 5 [%B] + 0.004 ‥‥(1)
  3. 제1항에 있어서, Cu가 0.1질량% 미만인, Mn이 0.35질량% 미만인 고강도저합금내열강.
  4. 제2항에 있어서, Cu가 0.1질량%미만이고 Mn이 0.35질량%미만인 고강도저합금내열강.
  5. 제1항에 있어서, Cu가 0.05질량%미만이고 Mn이 0.30질량%미만인 고강도저합금내열강.
  6. 제2항에 있어서, Cu가 0.05질량%미만이고 Mn이 0.30질량%미만인 고강도저합금내열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이 0.005질량%을 초과하여 0.01질량%까지이고 Ti가 0.001~0.4질량%인 고강도저합금내열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가 0.002~0.006질량%인 고강도저합금내열강.
  9. 제7항에 있어서, B가 0.002~0.006질량%인 고강도저합금내열강.
KR10-2000-0046385A 1999-08-18 2000-08-10 고강도 저합금 내열강 KR100386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97299 1999-08-18
JP1999-231972 1999-08-18
JP2000226955A JP3565331B2 (ja) 1999-08-18 2000-07-27 高強度低合金耐熱鋼
JP2000-226955 2000-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263A KR20010021263A (ko) 2001-03-15
KR100386134B1 true KR100386134B1 (ko) 2003-06-02

Family

ID=2653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385A KR100386134B1 (ko) 1999-08-18 2000-08-10 고강도 저합금 내열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79611B1 (ko)
EP (1) EP1081244B1 (ko)
JP (1) JP3565331B2 (ko)
KR (1) KR100386134B1 (ko)
CN (1) CN1103380C (ko)
AT (1) ATE243779T1 (ko)
DE (1) DE60003501T2 (ko)
ES (1) ES2202017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67B1 (ko) 2006-04-26 2008-06-13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인성 및 내sr 크래킹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4715B (en) 2000-07-13 2004-06-30 Toshiba Kk Heat resistant steel cas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955719B2 (ja) * 2000-07-27 2007-08-08 株式会社東芝 耐熱鋼、耐熱鋼の熱処理方法および耐熱鋼部品
AR027650A1 (es) * 2001-03-13 2003-04-09 Siderca Sa Ind & Com Acero al carbono de baja aleacion para la fabricacion de tuberias para exploracion y produccion de petroleo y/o gas natural, con mejorada resistencia a lacorrosion, procedimiento para fabricar tubos sin costura y tubos sin costura obtenidos
JP4254483B2 (ja) * 2002-11-06 2009-04-15 東京電力株式会社 長寿命な耐熱低合金鋼溶接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15084A1 (en) * 2002-12-12 2004-06-17 Borgwarner Inc. Method of producing powder metal parts
US7074286B2 (en) * 2002-12-18 2006-07-11 Ut-Battelle, Llc Wrought Cr—W—V bainitic/ferritic steel compositions
CN100426609C (zh) * 2004-12-24 2008-10-15 金莹 同步多发火帽火花塞
CA2604428C (en) * 2005-04-18 2013-07-16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Low alloy steel
US20070048169A1 (en) * 2005-08-25 2007-03-01 Borgwarner Inc. Method of making powder metal parts by surface densification
FR2902111B1 (fr) 2006-06-09 2009-03-06 V & M France Soc Par Actions S Compositions d'aciers pour usages speciaux
WO2008156526A1 (en) * 2007-06-18 2008-12-2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Low alloy steels with superior corrosion resistance for oil country tubular goods
US20090041632A1 (en) * 2007-08-08 2009-02-12 Novapure Systems Inc. Air Purifier System and Method
WO2009123076A1 (ja) * 2008-03-31 2009-10-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継手部の耐再熱脆化性と靭性に優れた耐火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RU2463374C2 (ru) * 2010-08-09 2012-10-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еверсталь-Проект" (ООО "Северсталь-Проект") Сталь и издел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нее
CN102031452B (zh) * 2010-10-26 2012-06-06 攀钢集团钢铁钒钛股份有限公司 合金钢及其制造方法
CN102001442B (zh) * 2010-11-16 2013-09-18 宝鼎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铸造成型的桨叶导向架及铸造成型方法
CN102001441B (zh) * 2010-11-16 2013-04-10 宝鼎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铸造成型的桨叶导向架及铸造成型方法
CN102337476B (zh) * 2011-10-25 2013-07-24 华洪萍 一种耐热钢
CN102554506A (zh) * 2012-01-28 2012-07-11 孟庆连 一种热轧钎焊用钎料
CN102615450B (zh) * 2012-04-17 2014-05-21 武汉科技大学 一种超级马氏体不锈钢用实芯焊丝及其制备方法
CN104981319B (zh) * 2013-02-15 2018-04-24 新日铁住金株式会社 气体保护电弧焊接用实心焊丝、气体保护电弧焊接金属、焊接接头、焊接部件、焊接方法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CN104033666A (zh) * 2014-06-30 2014-09-10 张家港华程机车精密制管有限公司 耐热异形钢管
CN105568173B (zh) * 2014-10-15 2017-07-28 宝钢特钢有限公司 一种高强韧性低合金耐热钢及其制造方法
CN111344427B (zh) * 2017-11-15 2021-08-31 日本制铁株式会社 奥氏体系耐热钢焊接金属、焊接接头、奥氏体系耐热钢用焊接材料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CN109266971B (zh) * 2018-11-30 2020-10-13 武汉大学 一种抗再热裂纹的含w高强度低合金耐热钢
JP7502623B2 (ja) * 2019-08-13 2024-06-19 日本製鉄株式会社 低合金耐熱鋼及び鋼管
KR102326684B1 (ko) * 2019-09-17 2021-11-17 주식회사 포스코 크리프 강도와 고온 연성이 우수한 크롬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319469B (zh) * 2021-06-30 2022-09-02 桂林航天工业学院 高强度耐热钢气体保护焊丝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0375A2 (en) * 1992-03-12 1993-09-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ow-chromium ferritic heat-resistant steel with improved toughness and creep strength
JPH08225884A (ja) * 1995-11-06 1996-09-03 Sumitomo Metal Ind Ltd クリープ強度と靱性に優れた低合金耐熱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752A (ja) 1982-03-23 1983-09-29 Nippon Steel Corp フランジ加工性の優れた溶接罐用薄鋼板
JPS5980755A (ja) 1982-10-27 1984-05-10 Kawasaki Steel Corp 溶接熱影響部の耐焼きもどしぜい性の優れたクロム・モリブデン鋼
JP2967886B2 (ja) * 1991-02-22 1999-10-25 住友金属工業 株式会社 クリープ強度と靭性に優れた低合金耐熱鋼
JP3177633B2 (ja) 1995-06-01 2001-06-1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温強度に優れた極低Mn低Crフェライト耐熱鋼
JP3096959B2 (ja) * 1996-02-10 2000-10-1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温強度に優れた低Mn低Crフェライト耐熱鋼
JP3392639B2 (ja) 1996-06-24 2003-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溶接性及び高温強度に優れた低Crフェライト鋼
JPH11123553A (ja) 1997-10-20 1999-05-11 Natl Res Inst For Metals 溶接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0375A2 (en) * 1992-03-12 1993-09-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ow-chromium ferritic heat-resistant steel with improved toughness and creep strength
JPH08225884A (ja) * 1995-11-06 1996-09-03 Sumitomo Metal Ind Ltd クリープ強度と靱性に優れた低合金耐熱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67B1 (ko) 2006-04-26 2008-06-13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인성 및 내sr 크래킹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6317A (zh) 2001-03-07
JP2001131682A (ja) 2001-05-15
US6379611B1 (en) 2002-04-30
DE60003501D1 (de) 2003-07-31
ATE243779T1 (de) 2003-07-15
JP3565331B2 (ja) 2004-09-15
EP1081244B1 (en) 2003-06-25
EP1081244A1 (en) 2001-03-07
ES2202017T3 (es) 2004-04-01
KR20010021263A (ko) 2001-03-15
CN1103380C (zh) 2003-03-19
DE60003501T2 (de)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134B1 (ko) 고강도 저합금 내열강
KR100510979B1 (ko) 페라이트계 내열강
KR100918321B1 (ko) 내지연파괴특성이 우수한 고장력 강재
KR101846759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1736562A1 (en) Thick high strength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in welding heat affected zone caused by high heat input welding
JP5509923B2 (ja) レーザ溶接用またはレーザ・アークハイブリッド溶接用の引張強さが1100MPa以上の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4317384B2 (ja) 耐水素脆化、溶接性および穴拡げ性に優れた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WO2014103629A1 (ja) 降伏強度670~870N/mm2、及び引張強さ780~940N/mm2を有する鋼板
US11628512B2 (en) Clad steel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9980703593A (ko) 피로강도가 우수한 용접계수
JP7485929B2 (ja) 低合金耐熱鋼、及び低合金耐熱鋼の製造方法
JP4276576B2 (ja) 大入熱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厚手高強度鋼板
JP3733902B2 (ja) 低合金フェライト系耐熱鋼
JP3582463B2 (ja) 低合金耐熱鋼用溶接材料および溶接金属
JP4193308B2 (ja) 耐硫化物応力割れ性に優れた低炭素フェライト−マルテンサイト二相ステンレス溶接鋼管
JP2002224835A (ja) 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高靱性高張力鋼の溶接方法
JP2002339037A (ja) 低温継手靱性と耐ssc性に優れた高張力鋼とその製造方法
JP3336877B2 (ja) 脆性破壊伝播停止特性と溶接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RU2188109C2 (ru) Состав сварочной ленты и проволоки
JPH06240406A (ja) 高強度高靭性鋼板
JP3705161B2 (ja) 高張力鋼板
JP5458923B2 (ja) 耐脆性破壊特性に優れた溶接継手
JP3900086B2 (ja) 溶接材料及び溶接金属
RU2017858C1 (ru) Сплав на основе железа
RU2215814C1 (ru) Спла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