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727B1 -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727B1
KR100385727B1 KR10-2000-0058745A KR20000058745A KR100385727B1 KR 100385727 B1 KR100385727 B1 KR 100385727B1 KR 20000058745 A KR20000058745 A KR 20000058745A KR 100385727 B1 KR100385727 B1 KR 10038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ii
parts
resin composition
flame retard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937A (ko
Inventor
이승호
황용연
남기영
이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0-005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7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22Halogen fre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a) 투명 ABS 수지; 및 b) ⅰ) 할로겐으로 치환되지 않은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포스페이트; 및 ⅱ) 디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 내화학성, 가공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연소될 때 유독성 가스의 방출이 적은,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FIREPROOF PROPERTIES COMPRISING HALOGEN FREE FIREPROOF AGENT}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충격성, 내화학성, 가공성 및 표면 광택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연소될 때 유독성 가스의 방출이 적은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최근, 플라스틱 소재에 투명성 등과 같은 고기능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컴퓨터 모니터, PCS 투명창, 전자렌지 투명창, 오디오 투명창, 게임기 하우징(housing), 사무기기 투명창 등 최근에 많이 생산, 소비되는 제품에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이 있으나, 물리적 특성과 가공성이부족하여 사용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성과 상온 내충격성은 우수하나 내약품성, 저온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부족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충격강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을 받는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방법(미국특허 제3,787,522호), 및 스티렌계 수지에 투명성을 부여하는 방법(유럽공개특허공보 제703252A3호)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불투명한 소재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이하 ABS 수지라 함)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함께 중합하고 굴절률을 조절하여 내충격성, 내약품성, 가공성 등을 유지하면서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기전자 부품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물리적 특성 및 투명성 뿐만 아니라, 화재에 대한 안전성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난연성을 보유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며, 난연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투명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가진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투명하면서 난연성을 지닌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있으나 가공성이 나빠서 대형 구조물을 만들기 힘들고 내약품성과 저온 내충격성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난연성이 없는 열가소성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할로겐계 화합물을 난연제로 사용하지만, 상기 난연제를 투명한 소재에 사용할 때 굴절률의 차이 때문에 투명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ABS 수지에 투명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방법으로 폴리브로미네이티드디페닐에테르를 난연제로 사용하는 방법(미국특허 제4,581,403호)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극히 투명한 수지를 얻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할로겐계 난연제는 수지 조성물이 연소될 때 분해되어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사용의 규제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비할로겐 화합물을 난연제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투명한 수지에 적용하여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비할로겐 난연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투명도, 내충격성, 내화학성, 및 가공성 등의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연소될 때 유독성 가스의 방출이 적은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ⅰ)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 3 내지 15 중량부, 및 대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 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라텍스 혼합물 8 내지 25 중량부;ⅱ)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40 내지 70 중량부;ⅲ) 방향족 비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ⅳ)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20 중량부;ⅴ) 유화제 0.2 내지 0.6 중량부;ⅵ) 중합개시제 0.05 내지 0.3 중량부; 및ⅶ) 분자량 조절제 0.2 내지 0.6 중량부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제조되며,상기 ⅰ)의 라텍스 혼합물의 굴절율, 및 ⅱ)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ⅲ)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ⅳ) 비닐시안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굴절율 차이가 0.004 이내인 투명 ABS 수지; 및
b) ⅰ) 할로겐으로 치환되지 않은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 포
스페이트; 및
ⅱ)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포스페이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할로겐 난연제
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r1내지 Ar4는 각각 페닐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 개인 알킬기로 1 내지 3 개 치환된 아릴기이고,
R은 페닐 또는 비스페놀 에이이며,
n은 중합도로 1 내지 5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작 용]
본 발명은 a)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에 b) ⅰ) 할로겐으로 치환되지 않은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포스페이트; 및 ⅱ)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할로겐 난연제 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미만을 혼합하여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a) 투명 ABS 수지는
ⅰ)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 3 내지 15 중량부 및 대구경 폴리부타
디엔 고무라텍스 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 8 내지 25 중량
부;
ⅱ)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40
내지 70 중량부;
ⅲ) 방향족비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ⅳ)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20 중량부;
ⅴ) 유화제 0.2 내지 0.6 중량부;
ⅵ) 중합개시제 0.05 내지 0.3 중량부; 및
ⅶ) 분자량 조절제 0.2 내지 0.6 중량부
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투명 ABS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a) 투명 ABS 수지의 투명도는 굴절율에 의해 좌우되는데, 굴절율은 단량체의 사용량과 혼합비에 의해서 조절된다. 즉, 투명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라프트할 때 시이드(seed)로 사용되는 상기 ⅰ)의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및 대구경 고무라텍스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굴절율과 여기에 그라프트 되는 상기 ⅱ)의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ⅲ)의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ⅳ)의 비닐시안 화합물의 혼합물의 굴절율이 유사하게 되어야 조성물이 우수한 투명도를 나타내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혼합물의 굴절율 차이가 0.004 이하일 때 투명 열가소성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그라프트 중합 반응시킬 때, 각 성분의 그라프트 첨가 방법은 각 성분을 일괄 투여하는 방법과 일부분씩 연속 투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괄 투여와 연속 투여 방법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복합형태를 사용한다.
상기 ⅰ)의 혼합물의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는 1,3-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 1 내지 4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0.6 중량부, 전해질 0.1 내지 1.0 중량부, 분자량조절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90 내지 130 중량부를 일괄투여하여 7 내지 12 시간 동안 50 내지 65 ℃에서 반응시킨 다음 분자량 조절제 0.05 내지 1.2 중량부를 추가로 일괄투여하여 5 내지 15 시간 동안 55 내지 70 ℃ 에서 반응시켜 제조한다.
이때 얻어진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의 평균 입자경은 600 내지 1500 Å이고 겔함량은 70 내지 95 %이며 팽윤지수는 12 내지 30이다.
상기 ⅰ)의 혼합물의 대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는 상기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 100 중량부에 아세트산 수용액 3 내지 4 중량부를 1 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투여하여 입자를 비대화시킨 다음 교반을 중단하여 제조한다.
이때 얻어진 대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의 평균 입자경은 2600 내지 5000 Å이고 겔함량이 70 내지 95 %이며 팽윤지수가 12 내지 30이다.
상기 a) ⅱ)의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 ⅲ)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또는 비닐톨루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 ⅳ)의 비닐시안 화합물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 ⅴ)의 유화제는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카리메틸알킬설페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에스테르, 지방산 비누, 또는 로진산염 등이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 ⅵ)의 중합개시제는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또는 과황산염 등이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b) ⅰ)의 모노포스페이트와 ⅱ)의 디포스페이트는 투명 ABS 수지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난연성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연소될 때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난연제이다.
상기의 모노포스페이트와 디포스페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5 중량부 미만을사용할 때에는 난연효과가 부족하고, 40 중량부를 이상을 사용할 때에는 가공성과 투명도가 저하된다.
상기 b) ⅰ)의 모노포스페이트는 할로겐이 치환되지 않은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및 트리옥틸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일포스페이트 및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및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와 같은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노포스페이트는 트리아릴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며,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4-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b) ⅱ)의 디포스페이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든 난연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 및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상기 투명 ABS 수지((주)LG화학 제조 TR-557) 100 중량부에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인 트리페닐포스페이트(일본 다이하찌사 제조) 1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중량부, 활제 0.7 중량부, 및 적하방지제 0.1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으로 제조하고 다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투명도 및 난연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투명도는 ASTM D1003 시험방법에 의해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으며, 난연도는 UL-94 VB 시험 방법에 의해 판정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연제로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인 CR-733S(일본 다이하찌사 제조, 이하 동일 회사 제품),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인 PX-200(일본 다이하찌사 제조), 및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인 CR-741(일본 다이하찌사 제조)을 각각 15 중량부 사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투명도 및 난연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난연제로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5 중량부와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인 CR-733S(일본 다이하찌사 제조) 10 중량부를 함께 사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투명도 및 난연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비교예 1에서는 난연제로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인 트리페닐포스페이트를 3 중량부 사용하였고, 비교예 2에서는 난연제로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인 CR-733S를 40 중량부 사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투명도 및 난연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구 분(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비교예 1 비교예 2
투명 ABS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난연제 트리페닐포스페이트 15 - - - 5 3 -
디포스페이트 CR-733S - 15 - - 10 - 40
디포스페이트 PX-200 - - 15 - - - -
디포스페이트 CR-741 - - - 15 - - -
[표 2]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광 투과율(%) 85.5 82.3 86.9 81.5 82.6 87.3 41.2
난연도 1/8" V-2 V-2 V-2 V-2 V-2 - V-2
실시예 1∼5에서와 같이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로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 방향족 디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5 중량부 첨가하여 사용하면 고투명도를 유지하면서 V-2 등급의 난연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에서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를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난연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비교예 2에서와 같이 방향족 디포스페이트를 4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난연도는 유지되지만, 투명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난연제로 모노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미만 첨가할 경우 우수한 투명성과 V-2 등급의 난연도를 보이는 투명 수지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충격성, 내화학성, 가공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연소될 때 유독성 가스의 방출이 적은,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Claims (17)

  1. (정정)
    a)ⅰ)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 3 내지 15 중량부, 및 대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 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라텍스 혼합물 8 내지 25 중량부;
    ⅱ)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40 내지 70 중량부;
    ⅲ) 방향족 비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ⅳ)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20 중량부;
    ⅴ) 유화제 0.2 내지 0.6 중량부;
    ⅵ) 중합개시제 0.05 내지 0.3 중량부; 및
    ⅶ) 분자량 조절제 0.2 내지 0.6 중량부
    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제조되며,
    상기 ⅰ)의 라텍스 혼합물의 굴절율, 및 ⅱ)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ⅲ)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ⅳ) 비닐시안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굴절율 차이가 0.004 이내인 투명 ABS 수지; 및
    b) ⅰ) 할로겐으로 치환되지 않은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 포스페이트; 및
    ⅱ)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포스페이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할로겐 난연제
    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r1내지 Ar4는 각각 페닐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 개인 알킬기로 1 내지 3 개 치환된 아릴기이고,
    R은 페닐 또는 비스페놀 에이이며,
    n은 중합도로 1 내지 5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 및
    b) ⅰ) 할로겐으로 치환되지 않은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 포
    스페이트; 및
    ⅱ)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포스페이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할로겐 난연제 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미만
    을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소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는 평균 입자경이 600 내지 1500 Å이고, 겔함량이 70 내지 95 %이며, 및 팽윤지수가 12 내지 30인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대구경 폴리부타디엔 고무라텍스는 평균 입자경이 2600 내지 5000 Å이고, 겔함량이 70 내지 95 %이며, 및 팽윤지수가 12 내지 30인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ⅱ)의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ⅲ)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ⅳ)의 비닐시안 화합물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ⅴ)의 유화제가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카리메틸알킬설페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에스테르, 지방산 비누, 및 로진산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ⅵ)의 중합개시제가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과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ⅰ)의 트리알킬포스페이트가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및 트리옥틸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ⅰ)의 트리아릴포스페이트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일포스페이트, 및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ⅰ)의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가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인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ⅱ)의 디포스페이트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a]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ⅱ)의 디포스페이트가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b]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ⅱ)의 디포스페이트가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c]
KR10-2000-0058745A 2000-10-06 2000-10-06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8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745A KR100385727B1 (ko) 2000-10-06 2000-10-06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745A KR100385727B1 (ko) 2000-10-06 2000-10-06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937A KR20020027937A (ko) 2002-04-15
KR100385727B1 true KR100385727B1 (ko) 2003-05-27

Family

ID=1969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745A KR100385727B1 (ko) 2000-10-06 2000-10-06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9218A (zh) * 2016-01-18 2016-03-23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无卤阻燃增强型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630B1 (ko) * 2012-06-04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용 난연제를 이용한 투명 난연 수지 조성물
KR102200285B1 (ko) 2018-12-06 2021-01-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향상된 난연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폴리에틸렌 파이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9154A2 (en) * 1990-05-30 1991-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blends of polycarbonate, ABS and a terpolymer
JPH06100712A (ja) * 1992-09-21 1994-04-12 Mitsubishi Rayon Co Ltd 難燃性アクリル樹脂シート
JPH06228426A (ja) * 1992-11-27 1994-08-16 Asahi Chem Ind Co Ltd 樹脂組成物
JPH0753876A (ja) * 1992-08-06 1995-02-28 Asahi Chem Ind Co Ltd 樹脂組成物
JP2000129076A (ja) * 1998-10-27 2000-05-09 Shin Etsu Polymer Co Ltd カレンダー加工用abs系樹脂組成物
JP2000154298A (ja) * 1998-11-18 2000-06-06 Denki Kagaku Kogyo Kk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010036714A (ko) * 1999-10-11 2001-05-07 성재갑 이형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9154A2 (en) * 1990-05-30 1991-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blends of polycarbonate, ABS and a terpolymer
JPH0753876A (ja) * 1992-08-06 1995-02-28 Asahi Chem Ind Co Ltd 樹脂組成物
JPH06100712A (ja) * 1992-09-21 1994-04-12 Mitsubishi Rayon Co Ltd 難燃性アクリル樹脂シート
JPH06228426A (ja) * 1992-11-27 1994-08-16 Asahi Chem Ind Co Ltd 樹脂組成物
JP2000129076A (ja) * 1998-10-27 2000-05-09 Shin Etsu Polymer Co Ltd カレンダー加工用abs系樹脂組成物
JP2000154298A (ja) * 1998-11-18 2000-06-06 Denki Kagaku Kogyo Kk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010036714A (ko) * 1999-10-11 2001-05-07 성재갑 이형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9218A (zh) * 2016-01-18 2016-03-23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无卤阻燃增强型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937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593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EP1654315B1 (en)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007520572A (ja) 難燃性ゴム強化ポリスチレン樹脂組成物
EP1497365A1 (en) Thermoplastic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KR20110078238A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1651716B1 (en)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385727B1 (ko)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80001716A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JPH05239338A (ja) 難燃加工した塩素および臭素不含の成形材料
KR100373213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난연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1486630B1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용 난연제를 이용한 투명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385726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19118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37535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9980071544A (ko) 방염성 스티렌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조성물
KR100379658B1 (ko)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454024B1 (ko) 내열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24582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05299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29446B1 (ko) 인-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한 난연성이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08855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40027104A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00344994A (ja) 透明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439331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572738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