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826B1 - 타이어 가황설비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826B1
KR100382826B1 KR10-2000-0059934A KR20000059934A KR100382826B1 KR 100382826 B1 KR100382826 B1 KR 100382826B1 KR 20000059934 A KR20000059934 A KR 20000059934A KR 100382826 B1 KR100382826 B1 KR 10038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tation
mold assembly
opening
tir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967A (ko
Inventor
미타무라히사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1005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B29D2030/0651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the moulds being arranged side by side, or in a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가황설비는 가황 스테이션, 개폐 스테이션 및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가황 스테이션은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에 가황/가열매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배관을 가진 재치부를 수직방향으로 복수대 가진 수납선반을 가지고 있다. 개폐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이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반출장치, 및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다. 이송 스테이션은 가황 스테이션의 수납선반을 따르는 승강동작에 의해 수납선반의 재치부의 임의의 단과 개폐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설비{TIRE VULCANIZING EQUIPMENT}
본 발명은 가황을 위한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으로부터 가황 타이어로서의 반출까지의 일련의 처리동작을 행하는 타이어 가황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 가황 프레서에 있어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여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 성형, 및 가황된 타이어의 적하를 행하는 작업시간은 가황시간과 비교하면 대단히 짧다. 따라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타이어 금형 개폐장치나 타이어 반출입장치 1대에 대해 타이어 가황장치의 대수를 많게 하여 이들 장치의 가동율을 향상시킨 여러가지의 설비들이 제안되고 실시되어 왔다.
제l 구성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금형 조립체(M)을 위치시키는 복수의 금형대(101)를 원주방향으로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가황 스테이션(100)을 구비하고 있다. 금형대(101)는 내압공급장치(타이어 내부에 가열 및 가압 매체를 공급하는 장치)(102) 또는 외압공급장치(타이어 금형 외주부에 가열매체를 공급하는 장치)(103) 및 가황 스테이션(100)의 위쪽에 위치된 제2 플로어상에 배치되는 가황 타이어 및 미가황 타이어를 위한 저장대를 구비하고 있다.
가황 스테이션(100)의 중심위치에는 하나의 개폐 스테이션(120)이 배치되어 있다. 개폐 스테이션(120)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M)의 배급기구 및 개폐기구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M)와 저장대 사이의 가황 타이어의 반출장치 및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장치와, 이들 각 기구와 함께 개폐 스테이션 자체를 임의의 조립체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구성에 의하면, 개폐 스테이션(120) 자체는 의도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M)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단일의 개폐 스테이션의 사용에 의해 복수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M)의 적하동작과 개폐동작뿐만 아니라 타이어 금형 조립체(M)로부터의 가황 타이어의 반출동작과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동작이 수행되어질 수 있다.
제2 구성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금형 조립체(M)를 위치시키는 재치부(130a)를 플로어 표면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 수납선반(130)를 가진 가황 스테이션(131)을 구비하고 있다. 가황 스테이션(131)의 측방에는 가황 타이어 및 미가황 타이어를 위치시키는 타이어 지지장치(135)와, 미가황 타이어를 공급하는 반송 라인(134)과, 가황 타이어를 다음 공정으로 반송시키는 타이어 반출장치(136)이 가황 스테이션(13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황 스테이션(131)과 타이어 지지장치(135)의 사이에는 가황 스테이션(131)에 대하여 평행이동하도록 하나의 개폐 스테이션(132)이 구비되어 있다. 개폐 스테이션(132)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M)의 배급기구 및 개폐기구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M)에 대한 가황 타이어의 반출기구 및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기구와, 배급기구를 임의의 높이위치에 위치결정시키는 승강기구와, 이들 각 기구와 함께 개폐 스테이션 자체를 가황 스테이션(131)을 따라 진퇴이동시키는 진퇴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구성에 의하면, 개폐 스테이션(132) 자체는 의도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M)의 방향으로 진퇴이동되고, 그런다음 배급기구가 승강되어, 이에 의해 상술한 제1 구성과 같이 하나의 개폐 스테이션(132)의 사용에 의해 복수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M)의 적하작동이 수행되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제1 구성 및 제2 구성으로서는, 개폐기구 및 반송기구를 포함하는 개폐 스테이션(120,132)의 회전 및 진퇴이동은 자체적으로 이하의문제점을 발생시킨다.
(1) 그와같은 이동이 개폐 스테이션(120,132)의 각 기구에 접속된 배관 및 배선을 착탈시키거나 빠지지 않도록 배열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들 배관 및 배선 부재에 의해 개폐 스테이션(120,132)이 복잡화하여, 비용증가를 초래한다.
(2) 개폐 스테이션(120,132)이 각 기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당한 중량물이 된다. 따라서, 회전이동 또는 진퇴이동에 사용되는 회전기구 또는 진퇴이동기구는 충분히 큰 강도 및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여, 결과로서 이들 이동기구의 대형화 및 비용증가를 초래한다.
(3) 개폐 스테이션(120,132)이 중량물일 뿐만 아니라 높이가 높기 때문에, 진퇴이동이나 회전이동시 전도나 진동 등의 위험성을 회피하도록 이동 속도가 제한되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개폐 스테이션(120,132)이 의도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M)로 이동하기까지의 공전시간과 타이어 금형 조립체(M)의 적재로부터 스테이션들로의 반송까지의 반송시간이 길어져, 생산의 사이클 타임을 장기화시킨다.
(4) 제1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가황 타이어를 공급하고 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대를 가황 스테이션(100)과 같이 원형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제어장치 및 물류장치를 포함하여 타이어 가황설비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초래한다. 상기의 저장대를 하나의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대형화 및 복잡화를 해소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매회 그 위치로 미가황 타이어의 픽업 및 가황 타이어의 반출이 실시되어져만 하므로 개폐 스테이션(120)의 가외의 회전이 필요하여, 사이클 타임을 더 장기화시킨다.
제2 구성 또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제2 구성에 있어서, 개폐 스테이션(132)의 이동위치에 미가황 타이어를 공급하고 이 이동위치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할 수 있도록, 타이어 지지장치(135), 반송라인(134) 및 타이어 반출장치(136)가 가황 스테이션(131)을 따라 구비된다. 라인(134)과 장치(135,136)의 이와 같은 배치는 가황설비를 대형화, 복잡화시키고 있다.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는, 중앙에 설치된 1개의 개폐 스테이션(120)이 고장나면, 타이어 금형 조립체(M)는 가황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도망갈 장소가 없어, 모든 이동이 정지된다. 이런 경우에는, 가황 스테이션(100)에 남겨진 많은 타이어가 가황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금형에서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에 과도한 경화에 의한 불량품으로 된다.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에서는, 높이가 높은 개폐 스테이션(132)이 진퇴이동하기 때문에, 적어도 진퇴이동하는 영역에서는 적어도 수직방향으로 큰 이동공간이 필요하여, 건물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의 사이클 타임의 단시간화, 타이어 가황설비의 소형화 및 저렴한 비용을 실현시킬 수 있는 타이어 가황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
도 4는 도 3의 타이어 가황설비의 X-X 라인을 따라 취해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
도 6은 도 5의 타이어 가황설비의 Y-Y 라인을 따라 취해진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
도 8은 종래의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 및
도 9는 상기 종래의 타이어 가황설비의 정면배치도.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장치는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와 재치부를 수직방향으로 복수대 가진 수납선반을 가지고 있는 가황 스테이션;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상기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하는 반출장치, 및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는 개폐 스테이션; 및 가황 스테이션의 수납선반을 따르는 승강동작에 의해 수납선반의 임의의 재치부와 개폐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가황설비는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에 가황/가열매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배관을 가진 재치부를 수직방향으로 복수대 가진 수납선반을 가지고 있는 가황 스테이션;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이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반출장치, 및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에의 반출라인과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 스테이션; 및 가황 스테이션의 수납선반을 따르는 승강동작에 의해 수납선반의 임의의 재치부와 개폐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이송 스테이션의 중량은 타이어 금형의 이송 기능과 같은 전기능을 가진 종래의 개폐 스테이션과 비교하여 대폭 경량화될 수 있고, 이송 스테이션은 경량화에 상응한 작은 강도 및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구로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송 스테이션을 소형화하고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이송이 이송 스테이션의 승강동작에 의해 수행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이 중량물의 진퇴이동에 의한 이송과 비교하여 전도 또는 진동의 위험성이 대폭 저감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동작의 속도가 증대될 수 있어, 의도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이송 스테이션이 이동할 때까지의 공전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적재하여 다른 장소로 반송하기까지의 반송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는 것으로 인해, 생산의 사이클 타임의 단시간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개폐 스테이션과 가황 스테이션 사이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이 이송 스테이션의 승강동작에 의해 수행되어지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 및 가황 스테이션은 고정되어질 수 있다. 개폐 스테이션은 그에따라 개폐 스테이션의 각 기구로 접속된 배관 및 배선의 이동을 전제로 한 종래의 배열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간소화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에서는 배관 및 배선의 수가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구에 상응한 것으로 억제될 수 있어, 배관 및 배선의 배열에 수반되는 복잡화가 최소화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배선의 배열에 의한 복잡화가 타이어 가황설비 전체에 걸쳐 충분히 저감되어질 수 있다.
개폐 스테이션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을 위한 이동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건물 내부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가황 타이어의 반출 및 비가황 타이어의 반입이 한 장소에서 행하여질 수 있기 때문에, 반출라인 및 반입라인의 물류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가황설비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와 이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지고 있는 예비 스테이션을 더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개폐 스테이션이 임의의 트러블로 인해 정지하더라도, 설비 전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예비 스테이션에서 가황 타이어의 반출동작이 수행되어질 수 있어, 과도한 경화로 인해 제품이 불량품 또는 폐품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예비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반출장치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송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거나,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에의 반출라인과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예비 스테이션은 금형 교체/유지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비 스테이션이 상기 구성에 의한 개폐 스테이션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반출라인과 반입라인으로의 반입 및 반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금형의 교체가 행해질 수 있다.
상기 가황설비에서는, 이송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고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제1 배급기구, 제1 배급기구에 의해 수용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및 제1 배급기구와 재치부를 수납선반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가지고 있는 승강이송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이 상기 구성에 따르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서 만들어질 수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와 조립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고장이 거의 없는 높은 신뢰성이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는 제2 배급기구, 제2 배급기구에 의해 수용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및 제2 배급기구에 의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가능한 턴테이블을 가지고 있는 회전이송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르게는, 타이어 가황설비는 복수의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여,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이 각각의 이송 스테이션 사이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이 상기 구성에 따르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와 조립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고장이 거의 없는 높은 신뢰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승강이송장치와 회전이송장치를 조합함으로써 설비 레이아웃의 설계에 있어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타이어 가황설비는 폐쇄상태에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에 대하여 가황/가열매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배관을 가진 금형대를 원주상에 복수대 배치하여 이루어진 가황 스테이션; 가황 스테이션의 금형대와 동일한 원주상에 배치된 금형대, 금형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계폐하는 개폐장치,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하는 반출장치, 및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으로의 반출라인과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 스테이션; 및 상기 동일 원주의 중심에 배치되어,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동일 원주상에 있어서의 상기 가황 스테이션의 금형대와 상기 개폐 스테이션의 금형대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다르게는, 타이어 가황설비는 재치부를 원주상에 복수대 배치한 가황 스테이션과 상기 동일 원주의 중심에 배치된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어,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을 원주상에 배치된 재치부와 개폐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이송 스테이션의 중량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 기능과 같은 전기능을 가진 종래의 개폐 스테이션과 비교하여 대폭 경감될 수 있으며, 높이 또한 감소되어 무게중심을 낮추어, 이송 스테이션은 중량의 경감에 상응하는 작은 강도 및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송 스테이션이 결과적으로 소형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테이션의 무게중심이 낮아지면 회전운동시 전도 또는 진동의 위험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이동 스피드의 고속화가 가능하게 되어, 이송 스테이션이 의도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이동할때까지의 공전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적재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이동까지의 반송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어, 생산의 사이클 타임의 단시간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개폐 스테이션과 가황 스테이션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이 이송 스테이션의 회전동작에 의해 수행되어지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 및 가황 스테이션은 동일원주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스테이션의 각 기구로 접속되는 배선 및 배관의 이동을 전제로 하는 종래의 배열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에서는, 배관 및 배선의 수가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구에 상응한 것으로 억제될 수 있어, 배관 및 배선의 배열에 수반되는 복잡화가 최소화되어 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선의 배열에 의한 복잡화가 타이어 가황설비 전체에 걸쳐 충분히 저감되어질 수 있다.
또한 가황 타이어의 반출 및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이 개폐 스테이션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반출라인 및 반입라인의 물류장치를 간소화할 수가 있고, 상기 두 라인에 대한 연결이 원활화될 수가 있다.
상기 타이어 가황설비는 상기 동일 원주상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와 이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진 예비 스테이션을 구비하여, 이송 스테이션은 이 예비 스테이션의 재치부와 가황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도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을 수행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개폐 스테이션이 임의의 트러블로 인해 정지하더라도, 설비 전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예비 스테이션에서 가황 타이어의 반출동작이 수행되어질 수 있어, 과도한 경화로 인해 제품이 불량품 또는 폐품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타이어 가황설비에 있어서는, 상기 동일 원주상 배열에 상응하는 2개 이상의 스테이션군이 병렬설치될 수 있고, 그것들 사이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동일원주의 스테이션군에서의 개폐 스테이션이 어떤 트러블로 정지할 때에, 가황 타이어의 반출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가 가이드 레일을 통해 동일 원주상의 다른 스테이션군에 반송될 수 있기 때문에 설비전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동일원주의 스테이션군의 각 개폐 스테이션은 동일원주의 다른 스테이션군의 예비 스테이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가황설비에서는, 이송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는 배급기구와 이 배급기구에 의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상기 동일 원주상에 배열된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회전가능한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이송 스테이션이 상기의 구성에 따르는 간단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와 조립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고장이 거의 없는 높은 생산성이 실현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회전속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l은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설비는 가황 스테이션(C), 이송 스테이션(D), 개폐 스테이션(A) 및 예비 스테이션(B)을 구비하고 있다. 가황 스테이션(C)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금형대(2)를 복수대 구비하고 있고, 개폐 스테이션(A) 및 예비 스테이션(B)은 유사한 금형대(재치부)(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션(C,A,B)의 각금형대(2)는 이송 스테이션(D)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주(원호)위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 스테이션(A)에 반입된 미가황 타이어는 개폐 스테이션(A)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내에 장착된다. 개폐 스테이션(A)에서 클램핑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l)는 이송 스테이션(D)을 거치어 비어 있는 가황 스테이션(C)의 금형대(2)로 이송된다. 가황 스테이션(C)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가황작업의 종료가 가까워지면, 타이어 금형 조립체(1)는 이송 스테이션(D)을 지나서 개폐 스테이션(A)에 되돌려진다. 이 시점에서 가황작업을 종료하는 시간이 되기 때문에, 금형이 개방되어 가황 타이어는 꺼집어 내어지고, 꺼집어 내어진 가황 타이어는 다음의 냉각공정으로 반출라인으로 반출된다.
가황 스테이션(C)은 복수의 금형대(2)를 이송 스테이션(D)에서 방사상으로 배치한 형태로 구비하고 있다. 각 금형대(2)에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이송 스테이션(D)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l3)의 상부 표면상에는 프리 롤러(free roller)가 마련되고 있어 안내방향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각 금형대(2)에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타이어 내부에 가열·가압 매체(가황/가열 매체)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내압공급장치(배관)와, 타이어 금형 외주부에 가열 매체(가황/가열 매체)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압공급장치(배관)이 구비되어 있다. 내압공급장치는 금형대(2)상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연결되어, 가열·가압매체가 타이어 내부에 공급되어 개폐 스테이션(A)에서의 클램핑 형성시에 일시적으로 타이어 내부에 봉입된 가열·가압매체를그것과 교체한다. 후술하는 이송 스테이션(D)의 급속한 회전에 의하여 개폐 스테이션(A)으로부터 가황 스테이션(C)까지 빠르게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이동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봉입된 가열·가압 매체는 지극히 단시간에 교환될 수 있으며, 이는 타이어 품질관리상에서도 바람직하다.
가황 스테이션(C)에서의 금형대(2)의 대수는 도 1에 있어서 6대이지만, 이것에 한정됨이 없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몇대라도 좋다.
이송 스테이션(D)은 상술한 가황 스테이션(C)과 유사하게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3) 앞뒤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밀고 당기어 이송하는 금형 이송 아암과 그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가이드 레일(3)은 턴테이블(5)상에 마련되어 있다. 턴테이블(5)은 그 하면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판이고, 회전축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면에는 턴테이블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여러 세트의 롤러에 대응하는 원형의 레일이 부설되어 있고, 여러 세트의 롤러는 이들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하여, 턴테이블의 외주부를 지지한다. 턴테이블의 회전구동장치로서는 모터와 같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회전수단을 채용할 수가 있고, 그것은 회전축에 연결된다.
개폐 스테이션(A)에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개폐하는 개폐장치(6)와,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라인으로부터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 반입하는 로더(7)와, 미가황 타이어를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부터 반출라인으로 반출하는 언로더(8)가 부설되어 있다.
개폐장치(6)는 금형대(2)의 윗쪽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상부금형부를 현수하여 상하운동시키는 상부가동판(9)과, 상부가동판(9)을 상하운동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하고 안내하는 프레임(10)과, 하부중심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하부중심기구는 금형대(2)의 중앙에 위치하여, 금형대(2)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하부금형부의 중앙으로 아래쪽으로부터 블래드(bladder)를 조작한다. 프레임(10)은 금형대(2)의 측면에 세워설치되어 있고, 상부가동판(9)의 중앙에는 분할금형조작 실린더가, 그 외주부에는 금형연결장치가 각각 구비되고, 프레임(10)에는 상부가동판(9)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개폐 스테이션(A)의 일련의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1) 가황작업 종료에 근접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는 가황 스테이션(C)으로부터 이송 스테이션(D)으로 인입장치로서 기능하는 금형이송아암에 의해 이송되고, 회전되고, 압입장치로서 기능하는 금형이송아암에 의해 개폐 스테이션(A)으로 옮겨지고, 개폐장치(6)내로 배급된다.
(2)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정지되어, 상부가동판(9)이 하강하여 상부가동판(9)의 금형연결장치와 분할금형조작장치가 타이어 금형조립체(1)의 상부금형부에 연결되고, 가황작업 종료후, 상부가동판(9)의 상승에 따라 상부금형부가 개방된다.
(3) 하부금형부상에 남겨진 가황 타이어는 하부중심기구에 의해서 하부금형부로부터 벗겨내진다.
(4) 언로더(8)가 하부금형부상으로 이동하고 가황 타이어의 비드부를클로(claw)로 파지하여 반출라인으로 반출한다.
(5) 한편, 미가황 타이어가 반입라인으로부터 반입되고 로더(7)로 파지되어 개방상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하부금형부상에 위치된다.
(6) 하부중심기구가 작동하여 블래드를 미가황 타이어내로 삽입시킨다. 금형 클램핑 공정중에 성형이 수행되고 상하금형부가 닫혀진 후, 타이어 금형 조립체가 가압되어 타이어내로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 밀봉된다.
(7) 상하금형부가 닫히면, 블래드가 금형내에 남겨진 상태로 하부중심기구는 아래쪽으로, 상부가동판(9)은 윗쪽으로 각각 후퇴한다.
(8) 타이어 금형 조립체(1)는 이송 스테이션(D)을 지나서 비어있는 가황 스테이션(C)으로 반송된다.
예비 스테이션(B)은 가황 스테이션(C)의 금형대(2)에 부착된 개폐 스테이션(A)과 같은 개폐장치(6)를 구비하고 있어, 가황작업에 더하여 금형대(2)의 개폐를 할 수 있다. 개폐장치(6)만을 구비하여 가황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비 스테이션(B)은 개폐 스테이션(A)에 트러블이 생길 때 후퇴장소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금형 교환/유지 스테이션으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비 스테이션(B) 측에는 금형 교환/유지대(11)가 부설된다.
개폐 스테이션(A)의 트러블이 있을 때에는,
(1) 가황작업의 종료에 근접하여 타이어 금형 조립체(1)는 이송 스테이션(D)로부터 예비 스테이션(B)으로 이송된다.
(2) 예비 스테이션(B)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상부금형부를 개방하여가황 타이어를 꺼낸다. 그 후,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상부금형부를 닫고 이송 스테이션(D)을 거쳐 가황 스테이션(C)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이송하여, 금형 조립체(1)가 식지 않도록 가열하여 온도를 유지하고 제어한다.
(3) 개폐 스테이션(A)이 회복될 때까지 상기 (1), (2)의 공정을 되풀이한 후, 개폐 스테이션이 재기동되면 통상의 운전으로 복귀한다.
예비 스테이션(B)을 구비함으로써, 개폐 스테이션(A)에서 트러블이 발생하더라도 가황 스테이션(C)에서 과도한 경화가 일어나는 일없이 예비 스테이션(B)에서 가황 타이어를 꺼낼 수 있다. 따라서, 과경화에 의한 불량품은 생기지 않는다.
금형교환시에는 개폐 스테이션(A)과 가황 스테이션(C)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배급하는 일반적인 타이어 제조공정 중에, 예비 스테이션(B)과 가황 스테이션(C) 사이에서 금형교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배급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황작업을 중단시킬 필요 없이 시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고 생산계획에 아무런 영향이 생기지 않는다. 금형교환시에는 그 금형(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따라 상응하는 블래드로 교환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위치시키고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l)에 가황/가열매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배관을 구비한 금형대(2)를 동일 원주상에 복수대 배치하여 이루어진 가황 스테이션(C); 상기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금형대(2)와, 금형대(2)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개폐하는 개폐장치(6)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하는 언로더(반출장치)(8)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하는 로더(반입장치)(7)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으로의 반출라인과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 스테이션(A); 및 상기 동일 원주의 중심에 배치되어,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동일 원주상에 있어서의 상기 가황 스테이션(C)의 금형대(2)와 상기 개폐 스테이션(A)의 금형대(2)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 스테이션(D)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이송 스테이션(D)은 가황 스테이션(C)과 개폐 스테이션(A)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이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개폐 스테이션(A)은 상기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개폐 스테이션(A) 자체를 가황 스테이션(C)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송이 행해진다(도 7 참조). 그러므로, 이송 스테이션(D)은 종래의 개폐 스테이션(A)으로부터 일부를 얻어낸 것과 같은 구조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중량은 종래의 전기능을 가진 개폐 스테이션(A)과 비교하여 대폭 경량화될 수 있고, 그 높이 또한 감소될 수 있어 무게중심을 낮춘다.
따라서, 이송 스테이션(D)의 경량화에 상응하는 작은 강도 및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로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송 스테이션(D)을 결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테이션(D)의 높이가 감소되어 무게중심을 낮추면, 회전운동시에 있어서의 전도나 진동의 위험성이 감소되어 이동속도의 고속화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도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l)로 이송 스테이션(D)이 이동하기까지의 공전시간과 타이어 금형 조립체(l)의 적재로부터 개폐 스테이션(A)으로 반송할 때까지의 반송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생산의 사이클 타임의 단시간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D)의 회전동작에 의해 개폐 스테이션(A)과 가황 스테이션(C)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이송이 행해지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A)의 금형대(2)를 동일 원주상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스테이션(A)의 각 기구에 접속되는 배선 또는 배관의 이동을 전제로 한 종래의 배열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A)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테이션(D)에서는 배선 및 배관의 수가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이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구에 상응한 것으로 억제될 수 있어, 배관 및 배선의 배열에 수반되는 복잡화가 최소화되어 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선의 배열에 의한 복잡화가 타이어 가황설비 전체에 걸쳐 충분히 저감되어질 수 있다.
또한 가황 타이어의 반출 및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이 개폐 스테이션(A)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반출라인 및 반입라인의 물류장치를 간소화할 수가 있어 설비전체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고, 상기 두 라인에 대한 반입 및 반출 작업이 원활화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 금형대(2)와, 금형대(2)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개폐하는 개폐장치(6)를 가진 예비 스테이션(B)를 구비하고 있고, 이송 스테이션(D)는 예비 스테이션(B)의 금형대(2)와 가황 스테이션(C)의 금형대(2) 사이에서도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이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스테이션(A)이 임의의 트러블로 정지하더라도, 설비전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예비 스테이션(B)에서 가황 타이어를 꺼집어내는 것을 행할 수 있어, 과도한 경화에 의해 제품이 불량품 또는 폐품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예비 스테이션(B)은 그것에 금형교환라인을 연결함으로써 금형교환 스테이션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금형교환 스테이션에서 금형을 교환하면서, 개폐 스테이션(A)과 가황 스테이션(C) 사이에서의 이송공정 또는 가황 스테이션(C)에서의 가황공정을 속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형교환작업을 제조공정을 중단시킴이 없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송 스테이션(D)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배급하는 금형이송 아암(배급기구)와, 금형이송 아암에 의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안내방향을 동일 원주상의 임의의 금형대(2)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회전가능한 턴테이블(5)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송 스테이션(D)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나 조립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고장이 거의 없는 높은 신뢰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D)의 무게중심을 낮게 하여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D)에는, 이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레일(3)상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금형이송 아암과 같은 별도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밀고 당기는 방식의 것 외에, 이동대차상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위치시키는 방식과 같은 공지의 각종의 방식을 채용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주상에 복수대의 금형대(2)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가황 스테이션(C)을 구성하여, 가황 스테이션(C)과 개폐 스테이션(A)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배급은 이송 스테이션(D)의 회전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사실상 후술하는 제3 실시예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복수단의 재치부를 가진 수납선반을 금형대(2)로서 비치함으로써, 복수대의 수납선반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가황 스테이션(C)을 구성하여, 각 수납선반의 임의의 단의 재치부와 개폐 스테이션(A)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배급을 이송 스테이션(D)의 회전동작과 승강동작에 의해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이송 스테이션(D)의 경량화 및 간단화에 의한 효과를 유지하면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3차원적으로 수납하여 가황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2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설비의 평면배치도이다. 이 도 2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설비는 도 1의 타이어 가황설비(21,22)를 2개를 한줄로 세워 배치하고, 가이드 레일(23)을 설치함으로써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쌍방의 설비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타이어 가황설비는 이송 스테이션(D)을 중심으로 하여 각 스테이션(A-C)을 원주에 배치한 원주상 스테이션군(개폐 스테이션(A), 예비 스테이션(B), 가황 스테이션(C), 이송 스테이션(D))을 2개 병렬설치하여, 이들 원주상 스테이션군끼리를 가이드 레일(23)을 통해 연결하여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쌍방 사이에서의 왕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스테이션군이란 개폐스테이션(A), 가황 스테이션(C) 및 이송 스테이션(D)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 필요한 경우에는 예비 스테이션(B)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구성을 뜻한다. 타이어 가황설비는 3개 이상의 스테이션군을 병렬설치한 구성도 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원주상 스테이션군에 있어서의 개폐 스테이션(A)가 임의의 트러블로 정지할 때에, 다른 원주상 스테이션군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가이드 레일(23)을 통해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전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가황 타이어를 꺼집어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주상 스테이션군의 각 원주상 개폐 스테이션(A)을 다른 원주상 스테이션군의 예비 스테이션(B)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스테이션군에 예비 스테이션(B)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개폐 스테이션(A) 중의 어느 하나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반송하여 트러블을 회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3 및 도 4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의 부재에는 동일의 부재번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도면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2기의 이송 스테이션(D')과, 이들 이송 스테이션(D')의 연결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개폐 스테이션(A) 및 예비 스테이션(B)과, 각 이송 스테이션(D')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 가황 스테이션(C')을 구비하고 있다.
가황 스테이션(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선반(31)을 구비하고 있다. 수납선반(31)은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위치시켜,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대하여 가황/가열매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구비한 재치부를 수직방향으로 3단 가지고 있다.
가황 스테이션(C')에 인접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스테이션(D')이 있다. 이송 스테이션(D')은 수납선반(31)의 임의의 단의 재치부(31a)에대하여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이송하는 승강이송장치(32)를 가지고 있다. 승강이송장치(32)는 수납선반(31)을 따라 제공된 지지 프레임(33)과,지지 프레임(33)내에 승강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위치시키는 승강 프레임(34)과, 지지 프레임(33)의 상부표면에 제공되어 승강 프레임(34)을 체인(35)을 통해 상하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현수하는 구동장치(36)를 가지고 있다. 승강 프레임(34)에는 제1 배급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배급기구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배급하고,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안내방향을 전후좌우의 4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인접하는 스테이션(A,B,C',D')의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안내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제1 배급기구로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레일상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금형이송 아암과 같은 별도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밀고 당기는 방식의 것 외에, 이동대차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위치시키는 공지의 각종의 이송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승강이송장치(32)에는, 체인(35) 및 구동장치(36)에 의해 승강 프레임(34)을 승강시키는 상술한 엘리베이터 방식 것 외에, 유압 실린더의 수직 또는 횡단 조합에 의한 승강 프레임(34)을 승강시키는 리프터 방식을 채용할 수가 있다.
이송 스테이션(D')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테이션(A) 또는 예비 스테이션(B)이 인접되어 있다. 이들 스테이션(A,B) 양자는 수납선반(31)의 최하단(제 1단)에 대응한 높이위치에 설정되어,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위치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금형대로 이루어지는 재치부와, 재치부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개폐하는 개폐장치(6)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개폐 스테이션(A)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l)로 미가황 타이어(39)를 반입하는 로더(7)(반입장치)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대하여 가황 타이어(40)를 반출하는 언로더(8)(반출장치)를 가지고 있고, 미가황 타이어(39)의 반입라인(37)과 가황 타이어(40)의 다음공정으로의 반출라인(38)과 연결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설비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테이션(A)에서 개폐장치(6)에 의해 개방되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빈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로더(7)가 반입라인(37)방향으로 회전되고, 반입라인(37)의 대기위치에 반송되어 있던 미가황 타이어(39)가 로더(7)에 의하여 파지된다. 그런다음, 미가황 타이어(39)가 로더(7)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로 로더(7)의 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 운반되어 장착된다. 개폐장치(6)의 상부가동판(9)이 하강되는 것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l)가 미가황 타이어(39)를 수용한 상태로 클램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있어서의 미가황 타이어(39)의 장착 및 클램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개폐 스테이션(A)에 가까운 측(도면에서 아래쪽)의 이송 스테이션(D')에서 도 4의 구동장치(36)가 구동되어 승강 프렘임(34)이 최하단의 높이위치까지 하강되는 것에 따라, 승강 프레임(34)이 개폐장치(6)의 도시하지 않은 금형대(재치부)와 동일한 높이위치에 설정된다.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클램핑되면, 승강 프레임(34)상에 제공된 제1 배급기구가 개폐장치(6)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승강 프레임(34)방향으로 밀어넣어,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한편 측의 이송 스테이션(D')의 승강 프레임(34)상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각 가황 스테이션(C')에 있어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수납하고 있지 않은 재치부(31a)가 검출되어, 이 미수납의 재치부(31a)가 존재하는 가황 스테이션(C') 및 단수가 특정된다. 특정된 가황 스테이션(C)이 일방 측의 이송 스테이션(D')의 좌우방향에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정된 재치부(31a)의 단의 높이위치로 설정되도록 승강 프레임(34)이 승강되고, 도시하지 않은 제l 배급기구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승강 프레임(34)으로부터 당겨내어져 가황 스테이션(C')의 재치부(31a)로 이송된다. 한편, 특정된 가황 스테이션(C')이 일방 측의 이송 스테이션(D')의 좌우방향으로 인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방 측의 이송 스테이션(D')의 승강 프레임(34)으로부터 타방 측(도면에서 위쪽)의 이송 스테이션(D')의 승강 프레임(34)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이송된 후,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동에 의해서, 특정된 재치부(31a)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이송된다. 재치부(31a)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l)에 가황/가열매체가 공급되어 미가황 타이어(39)의 가황성형을 계속 수행한다.
가황작업의 종료에 근접하게 되면, 상술한 것과 반대의 작동에 의해서 가황 스테이션(C1)의 재치부(31a)로부터 이송 스테이션(D')의 승강 프레임(34)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이송된 뒤, 이송 스테이션(D')의 승강 프레임(34)으로부터 개폐 스테이션(A)의 도시하지 않은 금형대로 이송된다. 그런다음, 개폐 스테이션(A)의 개폐장치(6)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개방되어, 가황 타이어(40)가 언로더(8)에 의해 꺼집어내어지고 반출라인(38)상으로 이송된다. 개폐 스테이션(A)에 트러블이 있을 때에는, 다른 쪽의 이송 스테이션(D')을 통해 예비 스테이션(B)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이송되어 가황 타이어(40)를 꺼집어낸다. 개폐 스테이션(A) 및 예비 스테이션(B)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위치시켜,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대하여 가황/가열매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배관을 구비한 재치부(31a)를 수직방향으로 3단 가진 수납선반(31)을 구비하고 있는 가황 스테이션(C');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위치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금형대로 이루어진 재치부와, 재치부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l)를 개폐하는 개폐장치(6)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부터 가황 타이어(40)를 반출하는 언로더(8)(반출장치)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 미가황 타이어(39)를 반입하는 로더(7)(반입장치)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가황 타이어(40)의 다음공정으로의 반출라인(38)과 미가황 타이어(39)의 반입라인(37)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 스테이션(A); 및 가황 스테이션(C')의 수납선반(31)에 따르는 승강작동에 의해 수납선반(31)의 임의의 단의 재치부와 개폐 스테이션(A)의 재치부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이송을 수행하는 이송 스테이션(D')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납선반(31)에 있어서의 재치부(31a)의 단수가 3단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단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 스테이션(D')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가황 스테이션(C')을 배치하고 있지만, 이송 스테이션(D')의 좌우쪽 중 어느 한편에만 가황 스테이션(C')을 배치하거나, 이송 스테이션(D')의 4방향 중 3방향으로 가황 스테이션(C')을 배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2기의 이송 스테이션(D')을 전후방향으로 배열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산능력이나 설비 레이아웃에 따라 3기 이상의 이송 스테이션(D')을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이송 스테이션(D',D') 사이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배급하면서 개폐 스테이션(A) 또는 예비 스테이션(B)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반송할 수가 있다. 이송 스테이션(D')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하여, 1기의 이송 스테이션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종래의 개폐 스테이션을 이동시키는 경우보다도 이송 스테이션(D')을 대폭 경량화할 수가 있어, 이송 스테이션(D')을 소형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이송 스테이션(D')의 배선이나 배관의 수량이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이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구에 상응한 것으로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배선의 배열에 수반되는 복잡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테이션(D')에 의해 개폐 스테이션(A)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A)에 있어서의 배선의 배열에 수반되는 복잡화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테이션(D')은 승강동작에 의해 이송을 행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중량물의 진퇴이동에 의한 이송과 비교하여 전도 또는 진동의 위험성이 대폭 저감된다. 따라서, 승강동작의 고속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송 스테이션(D')가 의도된 타이어의 금형 조립체(1)로 이동하기까지의 공전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적재하여 개폐 스테이션(A)으로 반송하기까지의 반송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생산의 사이클 타임의 단시간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이송장치(32)와 회전이송장치(41)로 구성된 이송 스테이션(D')을 2기 구비하고 있다. 양 이송 스테이션(D')은 회전이송장치(41)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승강이송장치(32)를 배치함으로써, 1대의 회전이송장치(41)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각 이송 스테이션(D')의 승강이송장치(32)의 전후방향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황 스테이션(C')이 배치되어 있고, 회전이송장치(41)의 전후방향에는 개폐 스테이션(A) 및 예비 스테이션(B)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회전이송장치(41)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안내방향을 설정하는 가이드 레일(42)과, 가이드 레일(42)상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밀고 당기어 이송하는 금형이송 아암을 구비한 제2 배급기구를 가지고 있다. 제2 배급기구로서는, 이동대차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위치시킴으로써 이송하는 것과 같은 공지의 각종의 방식을 채용할 수가 있다.
가이드 레일(42)은 수납선반(31)의 최하단의 높이위치에 설정되어, 타이어 금형 조립체(1)를 위치시키는 재치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42)은 턴테이블(43)상에 제공되어 있고, 턴테이블(43)은 안내방향을 임의의 재치부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설비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개폐 스테이션(A)에서 개폐장치(6)에 의해 개방되는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빈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로더(7)가 반입라인(37)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입라인(37)의 대기위치에 반송되어 있던 미가황 타이어(39)가 로더(7)에 의하여 파지된다. 그런다음, 미가황 타이어(39)가 로더(7)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로 로더(7)의 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1)로 운반되어 장착된다. 개폐장치(6)의 상부가동판(9)이 하강됨에 따라,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미가황 타이어(39)를 수용한 상태로 클램핑된다.
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있어서의 미가황 타이어(39)의 장착 및 클램핑이행해지는 동안에, 이송 스테이션(D')의 회전이송장치(41)에서는 턴테이블(43)이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 레일(42)의 안내방향이 개폐 스테이션(A)의 방향으로 설정된다. 도시하지 않은 제2 배급기구에 의하여 개폐장치(6)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가이드 레일(42) 방향으로 당겨진 후, 턴테이블(43)이 90。 회전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42)에 의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의 안내방향이 승강이송장치(32)방향으로 설정된다.
승강이송장치(32)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34)이 최하단의 높이위치까지 하강되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42)과 동일한 높이위치에 설정되면, 승강 프레임(34)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제1 배급기구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승강 프레임(34)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그런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수납의 재치부(31a)의 단의 높이위치로 승강 프레임(34)이 승강된 후, 제1 배급기구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승강 프레임(34)으로부터 당겨 내어지고 가황 스테이션(C')의 재치부(31a)로 이송된다. 재치부(31a)로 이송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1)에 가황/가열매체가 공급되어, 미가황 타이어(39)의 가황성형이 행하여진다.
가황작업의 종료에 가까워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것과 반대의 작동에 의해서 가황 스테이션(C1)의 재치부(31a)로부터 이송 스테이션(D')의 승강이송장치(32)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이송된 후, 회전이송장치(41)를 통해 개폐 스테이션(A)의 도시하지 않은 금형대로 이송된다. 그런다음, 개폐 스테이션(A)의 개폐장치(6)에 의해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개방되어, 가황 타이어(40)가 언로더(8)에 의해 꺼집어내어져 반출라인(38)으로 이송된다. 개폐 스테이션(A)에 트러블이 있을 때에는, 회전이송장치(41)를 통해 예비 스테이션(B)으로 타이어 금형 조립체(1)가 이송되어, 가황 타이어(40)가 꺼내어진다. 개폐 스테이션(A)과 예비 스테이션(B)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타이어 가황설비는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등한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이송 스테이션(D')이 승강이송장치(32)와 회 전이송장치(41)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이송장치(32)와 회전이송장치(41)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설비 레이아웃의 설계의 자유도를 보다 확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설비에 의하면, 이송 스테이션의 중량은 타이어 금형의 이송 기능과 같은 전기능을 가진 종래의 개폐 스테이션과 비교하여 대폭 경량화될 수 있고, 이송 스테이션은 경량화에 상응한 작은 강도 및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구로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송 스테이션을 소형화하고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이송이 이송 스테이션의 승강동작에 의해 수행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이 중량물의 진퇴이동에 의한 이송과 비교하여 전도 또는 진동의 위험성이 대폭 저감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동작의 속도가 증대될 수 있어, 의도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이송 스테이션이 이동할 때까지의 공전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적재하여 다른 장소로 반송하기까지의 반송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는 것으로 인해, 생산의 사이클 타임의 단시간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개폐 스테이션과 가황 스테이션 사이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이 이송 스테이션의 승강동작에 의해 수행되어지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 및 가황 스테이션은 고정되어질 수 있다. 개폐 스테이션은 그에따라 개폐 스테이션의 각 기구로 접속된 배관 및 배선의 이동을 전제로 한 종래의 배열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간소화될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에에서는 배관 및 배선의 수가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구에 상응한 것으로 억제될 수 있어, 배관 및 배선의 배열에 수반되는 복잡화가 최소화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배선의 배열에 의한 복잡화가 타이어 가황설비 전체에 걸쳐 충분히 저감되어질 수 있다.
개폐 스테이션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스테이션을 위한 이동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건물 내부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가황 타이어의 반출 및 비가황 타이어의 반입이 한 장소에서 행하여질 수 있기 때문에, 반출라인 및 반입라인의 물류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스테이션이 임의의 트러블로 인해 정지하더라도, 설비 전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일없이 예비 스테이션에서 가황 타이어의 반출동작이 수행되어질 수 있어, 과도한 경화로 인해 제품이 불량품 또는 폐품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반출라인과 반입라인으로의 반입 및 반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금형의 교체가 행해질 수 있다.
이송 스테이션이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와 조립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고장이 거의 없는 높은 신뢰성이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이송장치와 회전이송장치를 조합함으로써 설비 레이아웃의 설계에 있어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와 재치부를 수직방향으로 복수대 가진 수납선반을 가지고 있는 가황 스테이션;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상기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하는 반출장치, 및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는 개폐 스테이션; 및
    가황 스테이션의 수납선반을 따르는 승강동작에 의해 수납선반의 재치부의 임의의 단과 개폐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고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제1 배급기구, 제1 배급기구에 의해 수용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및 제1 배급기구와 재치부를 수납선반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한 승강이송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또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는 제2 배급기구, 제2 배급기구에 의해 수용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및 제2 배급기구에 의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가능한 턴테이블을 구비한 회전이송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2. 폐쇄상태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에 가황/가열매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배관을 가진 재치부를 수직방향으로 복수대 가진 수납선반을 가지고 있는 가황 스테이션;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이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하는 반출장치, 및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에의 반출라인 및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 스테이션; 및
    가황 스테이션의 수납선반을 따르는 승강동작에 의해 수납선반의 임의의 단의 재치부와 개폐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고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제1 배급기구, 제1 배급기구에 의해 수용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및 제1 배급기구와 재치부를 수납선반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한 승강이송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또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는 제2 배급기구, 제2 배급기구에 의해 수용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 및 제2 배급기구에 의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가능한 턴테이블을 구비한 회전이송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와 이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지고 있는 예비 스테이션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 스테이션은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으로의 반출라인 및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5. 제 3 항에 있어서, 예비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하는 반출장치와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6. 제 3 항에 있어서, 예비 스테이션은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으로의 반출라인 및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7. 제 3 항에 있어서, 예비 스테이션에 1대의 금형 교체/유지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여,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이 각각의 이송 스테이션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11. 제 1 항에 있어서, 가황 스테이션은 원주상에 배치된 재치부를 복수대 가지고 있고, 이송 스테이션은 원주상으로 배치된 재치부와 동일한 원주의 중심에 배치되어, 원주상에 배치된 재치부와 개폐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이 이송 스테이션의 회전동작에 의해 수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재치부와 이 재치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진 1기의 예비 스테이션을 동일 원주상에 더 구비하여, 이송 스테이션은 이 예비 스테이션의 재치부와 가황 스테이션의 재치부 사이에서도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원주상 배열을 가진 2개 이상의 스테이션군이 병렬설치되고, 이들 원주상 스테이션군은 그것들 사이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이송 스테이션은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배급하는 배급기구와 이 배급기구에 의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안내방향을 원주상에 배치된 임의의 재치부의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가능한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15. 삭제
  16. 폐쇄상태에서 이동가능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에 대하여 가황/가열매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배관을 가진 금형대를 원주상에 복수대 배치하여 이루어진 가황 스테이션;
    동일원주상에 배치된 금형대, 금형대상에 위치된 타이어 금형 조립체를 계폐하는 개폐장치,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부터 가황 타이어를 반출하는 반출장치, 및 타이어 금형 조립체로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하는 반입장치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가황 타이어의 다음 공정으로의 반출라인과 미가황 타이어의 반입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 스테이션; 및
    동일 원주의 중심에 배치되어, 회전동작에 의하여 동일 원주상에 배열된 가황 스테이션의 금형대와 개폐 스테이션의 금형대 사이에서의 타이어 금형 조립체의 이송을 수행하는 이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설비.
KR10-2000-0059934A 1999-10-12 2000-10-12 타이어 가황설비 KR100382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918599A JP3569178B2 (ja) 1999-10-12 1999-10-12 タイヤ加硫設備
JP99-289185 1999-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967A KR20010050967A (ko) 2001-06-25
KR100382826B1 true KR100382826B1 (ko) 2003-05-09

Family

ID=1773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934A KR100382826B1 (ko) 1999-10-12 2000-10-12 타이어 가황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19549B1 (ko)
EP (1) EP1092530A3 (ko)
JP (1) JP3569178B2 (ko)
KR (1) KR100382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9802T3 (es) * 2001-08-10 2012-05-03 Bridgestone Corporation Método de fabricación de cubiertas para usarse en un sistema de vulcanización de cubiertas
WO2004048075A1 (ja) * 2002-11-25 2004-06-10 Bridgestone Corporation タイヤ成型システム、それを具えるタイヤ製造システムおよ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7210845A (ja) * 2006-02-10 2007-08-23 Ac Dc Kk レンズ成形装置
KR101526687B1 (ko) * 2013-09-24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패널 헤밍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73A (ko) * 1993-09-14 1995-04-15 오기노 카네오 타이어 가황설비 (tire vulcaniz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7011B (de) * 1960-07-27 1964-04-02 Eugen Siempelkamp Anlage mit nebeneinander angeordneten Etagenpressen fuer die Vulkanisation von in geteilten Formen befindlichem Vulkanisationsgut
JP3219618B2 (ja) * 1994-12-13 2001-10-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JP3798545B2 (ja) * 1998-03-02 2006-07-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73A (ko) * 1993-09-14 1995-04-15 오기노 카네오 타이어 가황설비 (tire vulcaniz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19549B1 (en) 2004-04-13
JP2001105433A (ja) 2001-04-17
EP1092530A3 (en) 2003-03-05
KR20010050967A (ko) 2001-06-25
EP1092530A2 (en) 2001-04-18
JP3569178B2 (ja)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469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ssembly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changing at least tool unit or a plasticizing and ejection unit
JP2686375B2 (ja) タイヤ製造装置
CN109016282A (zh) 一种高效液压硫化机组
JP3798545B2 (ja) タイヤ加硫設備
KR0145259B1 (ko) 타이어 가황설비
US4197065A (en) System for feeding raw elastomer products to vulcanizing autoclaves
KR100382826B1 (ko) 타이어 가황설비
CN208730123U (zh) 一种高效液压硫化机组
JP3219618B2 (ja) タイヤ加硫設備
EP1477295B1 (en) A mold opening/closing and tire vulcanizing station
JP3064153B2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CN212860194U (zh) 一种注塑上料机
JP3569141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H0222019A (ja) ロータリ式射出成形機
JP3569140B2 (ja) 加硫機およびこの加硫機を備えたタイヤ加硫設備
EP1052085B1 (en) Tyre vulcanizing system
JP4623892B2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3628889B2 (ja) タイヤ加硫設備
KR100315834B1 (ko) 타이어 가황처리 장치
EP3774257B1 (en) Post cure inflator for tires and corresponding method after vulcanisation
JP4400963B2 (ja) 未加硫タイヤの保管供給方法および保管供給設備
JP4773620B2 (ja) タイヤ加硫機、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方法
JP2003089119A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H08155959A (ja) タイヤ加硫設備
JP4073898B2 (ja) タイヤ加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