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379B1 -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 Google Patents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379B1
KR100382379B1 KR10-2000-7009566A KR20007009566A KR100382379B1 KR 100382379 B1 KR100382379 B1 KR 100382379B1 KR 20007009566 A KR20007009566 A KR 20007009566A KR 100382379 B1 KR100382379 B1 KR 10038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doll
head
m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2189A (ko
Inventor
오바가즈오
우에노다까히로
와따나베아끼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라
오바 가즈오
우에노 다까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7183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30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743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06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888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2614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라, 오바 가즈오, 우에노 다까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라
Publication of KR2001005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56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moulds or parts thereof
    • B29C2049/4858Exchanging mould parts, e.g. for changing the mould size or geometry for making different products in the same mould
    • B29C2049/4861Neck portions of bottle produc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29C2049/5837Plural independent 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29C2949/0721Tangentially varying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11Wall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9Height,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1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several blow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2Sports equipment ; Games; Articles for amusement; Toys
    • B29L2031/5209Toys
    • B29L2031/5218Dolls, pup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oy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탄성을 갖는 인형용 두부를 안전한 성형재료에 의하여 두께가 균일하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성형하는 성형방법이다. 분할금형 (2,3) 은, 인형용 두부 (A) 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2a,3a) 이 형성되어, 퍼팅라인 (18) 이 이마 상부 (27) 와 양 귀의 뒷측 (28) 과 목뒷부분 (29) 를 연결하고, 두부를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을 가열하여 이간배치된 분할금형 (2,3) 의 사이에 파리손 (13) 으로서 떨어뜨려 넣은 후, 분할금형 (2,3) 을 닫아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다. 블로 성형시에 목구멍부 (75) 도 형성한다.

Description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ELASTOMERIC DOLL HEAD, MOLDING METHOD AND MOLD THEREFOR}
종래, 탄성을 갖는 인형용 두부는 염화비닐을 용융하여 슬러쉬 성형법 및 회전성형법에 의하여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양 방법은, 블로 성형과 같은 성형품의 표면에 퍼팅라인이 형성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마감처리가 좋다는 이점이 있다. 또 후자의 방법에 의하면 값싸게 양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염화비닐은 염소를 포함하며, 또 상기 성형법에서는, 성형품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염화비닐에 가소제로서 프탈산에스테르를 첨가해야만 하였다. 최근에는 염화비닐도 프탈산에스테르도 안전성이 의문시되어, 각 분야에서 염화비닐의 사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인형용 두부에서도, 더욱 문제가 없는 안전한 성형재료에 의하여 성형할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염화비닐이외의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슬러쉬성형 및 회전성형을 행하려고 해도, 소재가 겔화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이 불가능하다. 블로 성형에 의하면 성형 자체는 가능하지만, 이 성형법에서는 퍼팅라인이 얼굴표면에 나타나는한편, 퍼팅라인에서 먼 부위에는 성형재료가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도 30 에 나타나듯이 전체적으로 두꺼워지고, 요철이 많은 눈, 코, 입 등은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아져 색이 비치거나, 간단히 패이기 쉬워져 파손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인형용 두부에 관해서는, 얼굴표면의 마감처리, 즉 표면의 매끄러움과 얼굴 각부의 요철의 정교함 외에,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하다는 것도 중요하여, 블로 성형은 상기점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 블로 성형에서는, 성형시에 금형내에 공기를 불어넣기 때문에 공기를 불어넣는 구멍이 성형품에 남게 된다. 공기를 머리 정상부 (頭頂部) 에서 불어넣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경우에는, 성형품의 머리 정상부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한편, 두부에는 그 후 식모 (植毛) 가 행해지기 때문에, 식모시에 상기 구멍 또는 그 주변에 식모가 행해지면, 식모가 빠지기 쉬워지고, 인형 머리카락을 빗으로 빗었을 때 등 간단히 머리카락이 빠져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한쪽 분할금형에는 눈, 코, 귀 등의 복잡한 요철이 있는 얼굴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이 형성되고, 다른쪽 분할금형에 요철이 적은 매끄러운 후두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성형후에 금형을 열었을 때, 성형품은, 양 분할금형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성형품은 얼굴부가 있는 분할금형에 남기 쉽다. 금형을 개봉한 후에는 성형품이 급속히 경화하기 때문에, 힘의 가감 및 힘의 방향에 주의하여 성형품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얼굴에 손상이 생기기도 하여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 인형용 두부는 사람의 피부와 같은 부드러운 감촉의 탄성을 갖는 것이어야 하므로, 이 요구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염화비닐 이외의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블로 성형에 의하여 두께가 편향됨이 적고, 또 탄성을 갖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및 그 성형방법, 및 이 성형방법에 공급되는 성형금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형의 두부의 주요한 외관부분에 성형시의 퍼팅라인 및 공기주입구의 구멍을 남기지 않고, 식모처리를 문제없이 행할 수 있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금형을 개봉할 때 성형품을 확실하게 양 금형에서 분리할 수 있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블로성형에 의하여 성형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에 제공되는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성형장치에 사용되는 인형용 두부의 성형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성형금형내에 파리손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성형금형에 공기를 불어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성형금형내에 성형재료가 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 는, 성형된 인형용 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 은, 성형된 인형용 두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인형용 두부의 퍼팅라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A 는, 파리손의 두께를 횡단면에 있어서 조정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B 는, 파리손의 두께를 상하방향에서 조정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 은, 성형금형내에 성형재료가 고르게 퍼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는, 파리손의 두께를 종단면에 있어서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B 는, 파리손의 두께를 횡단면과 종단면에 있어서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한 인형용 두부의 성형에 제공되는 성형금형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에 제공되는 성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성형장치에 사용되는 인형용 두부의 성형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성형금형내에 파리손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성형금형에 공기를 불어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목구멍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 는, 성형된 인형용 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관한 인형용 두부의 성형에 제공하는 성형금형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A, 도 20B, 도 20C 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A 내지 도 20C 에 나타내는 인형용 두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는, 성형금형내에 파리손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성형금형을 닫아 공기를 불어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 는, 각각 성형금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요부횡단면도이다.
도 25 는, 성형금형을 닫고 공기를 불어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 은, 성형금형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 은, 성형금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의 성형금형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 는, 도 27 의 성형금형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 은, 통상의 블로 성형에 의한 경우의 인형용 두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은, 인형용 두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이 형성된 분할금형을 준비하여, 상기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이 인형용 두부를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과,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을 가열하여 이간 배치된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파리손으로서 떨어뜨려 넣은 후, 해당 분할금형을 닫아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상기 분할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인형용 두부의 이마 상부와 양 귀의 뒷측과 목뒷부분을 연결하는 퍼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상기 분할금형의 캐버티 및 맞춤면을 형성하고, 상기 분할금형의 한쪽에는 목구멍부 (首穴部) 성형수단을 상기 캐버티내로 출몰 가능하게 형성하여, 상기 목구멍부 형성수단에는 상기 캐버티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노즐을 형성하여 블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은, 인형용 두부의 형상에 다른 내면형상이 형성된 분할금형을 준비하여, 상기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이 인형용 두부를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과,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을 가열하여 이간배치된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파리손으로서 떨어뜨려 넣은 후, 그 분할금형을 닫아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상기 분할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퍼팅라인의 인형용 두부의 귀부분에 관련되는 부분이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를 따르도록 상기 분할금형의 캐버티 및 맞춤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은, 인형용 두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이 형성된 분할금형을 준비하여, 상기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이 인형용 두부를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과,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을 가열하여 이간배치된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파리손으로서 떨어뜨려 넣은 후, 그 분할금형을 닫아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상기 분할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파리손의 한쪽을 두껍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노즐에 의하여 성형되는 구멍은 인형동체부에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블로 성형시에 프리블로를행한다. 혹은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고정핀을 배치하고, 상기 분할금형의 고정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나머지 두께부를 형성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성형시에 상기 성형공간내에 들어간 나머지 두께부내에 상기 고정핀을 매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분할금형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 인형용 두부의 돌출부의 적어도 1 개소로부터 상기 분할금형의 캐버티내의 공기를 배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은 다수의 미세한 공극 (空隙) 을 구비하여 전체가 포러스인 통기구조의 금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파리손의 한쪽을 두껍게 한다. 파리손은 횡단면 혹은 종단면에 있어서 한쪽을 두껍게 하여도 되고, 또 횡단면 및 종단면에 있어서 한쪽을 두껍게 하여도 된다. 파리손은 편경 다이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의 목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로드가 캐버티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를 불어넣은 후에 상기 로드를 그 캐버티내에 돌출시켜, 상기 분할금형을 열기 전에 상기 로드를 상기 캐버티에서 퇴피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는,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한 성형재료로 블로 성형에 의하여 성형되어, 이마 상부와 양 귀의 뒷측과 목뒷부분을 연결하는 퍼팅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목부분에 블로 성형시에 형성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멍은 인형 동체부와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는,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한 성형재료로 블로 성형에 의하여 성형되고, 두부를 대략 전후로 등분하도록 퍼팅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그 퍼팅라인의 귀부분에 관련되는 부분은,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두부에는 목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퍼팅라인이,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의 하방에서 턱부분의 하면을 따라서 목구멍부의 앞부분을 감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예로서, 두부의 크기가 높이 약 40 ㎜, 폭 약 30 ㎜ 이고, 상기 목구멍부의 개구단에서 그 안쪽 단부까지의 길이가 약 4 ㎜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금형은,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한 성형재료로 탄성체 인형용 두부를 블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금형으로서, 해당 성형금형은 2 개의 분할금형으로 구성되고,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이마 상부와 양 귀의 뒷측과 목뒷부분을 연결하는 퍼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캐버티 및 맞춤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할금형의 한쪽은 목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그 관통구에는 목구멍부 성형수단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춤되고, 그 목구멍부 성형수단의 선단에는 공기주입 노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 분할금형에는 프리블로용 프리핀치재를 부착하여, 용수철로 상기 맞춤면에서 돌출하도록 힘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각 분할금형의 프리핀치재와 상기 캐패티의 사이에는 상기 퍼팅라인에 얇은 부분을 통하여 연속하는 나머지 두께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2 개의 분할금형의 사이에 고정핀을 배치함과 동시에, 각 분할금형에는 상기 고정핀에 대응하는 부위에 나머지 두께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중, 동일부호는 유사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1 에서 도면부호 1 은 성형금형을 나타낸다. 이 성형금형 1 은 블로 성형법에 제공되는 것으로, 2 개의 분할금형 (2,3)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나듯이, 한쪽 분할금형 (2) 에는 인형의 얼굴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2a) 이, 다른쪽의 분할금형 (3) 에는 해당 얼굴부를 제외한 인형의 두부후측부분 (이하 「두(頭)」라고 함) 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3a) 이 형성되어, 양 내면형상 (2a 및 3a) 에 의하여 성형공간인 캐버티가 구성되고, 퍼팅라인이 얼굴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맞춤면 (4)(퍼팅라인을 구성한다) 은 두부를 전후로 나누도록, 두부의 상부의 대략 중심과 좌우양측의 귀부분 (7) 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 나아가서는 목구멍부의 대략 중심을 통하여 두부를 대략 전후로 등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분할금형 (2,3) 에는, 코부분 (5), 턱부분 (60), 귀부분 (7), 머리 (8) 를 구성하는 돌출부에 공기배출구멍 (9) 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구멍 (9) 의 직경은 0.1 ㎜ ∼ 0.3 ㎜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부분 (5) 과 턱부분 (6) 과 머리 (8) 의 공기배출구멍 (9) 은 분할금형 (2,3) 의 맞춤면 (4) 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의 분사구멍 (10) 은 머리 (8) 의 최상부의맞춤면 (4) 에 개구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용 공기배출구멍 (9) 은 분할금형 (2,3) 의 돌출부에 형성되며, 공기배출 개소는 1 개소 이상이면 된다. 통상은 코부분 (5) 및 입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란 코부분 (5), 턱부분 (6) 과 같이 표면에서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분뿐 아니라, 입술 및 볼, 이마 등과 같이, 움푹 들어가지 않은 부분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머리 (8) 및 턱부분 (6) 의 공기배출구멍 (9) 의 부분과 같이, 분할금형 (2,3) 의 이음매에서 멀어 공기가 잔류하기 쉬운 부분도 포함된다. 그리고 귀부분 (7) 은 분할금형 (2,3) 의 이음매에 가깝기 때문에, 공기는 잔류하기 어려우므로, 반드시 공기배출구멍 (9) 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성형금형 (1) 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블로 성형기 (11) 에 의하여 성형재료가 공급된다. 블로 성형기 (11) 는, 용융된 성형재료를 압출기 (12) 에 의하여 튜브상의 파리손 (13) 으로 하여 상기 성형금형 (1) 내에 압출하는 것이나, 블로 성형기 (11) 에는 외측의 다이 (14) 와, 스파이더 (15) 에 의하여 유지된 내측의 노즐 (16) 과, 노즐 (16) 의 중심을 통하는 공기분사관 (17)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 (14) 와 노즐 (16) 의 사이에서 파리손 (13) 이 압출됨과 동시에, 중앙 공기분사관 (17) 에서 공기가 분출된다. 다이 (14) 와 노즐 (16) 에 의하여 파리손 (13) 의 두께가 결정된다. 높이 약 40 ㎜, 폭 약 30 ㎜ 정도의 인형용 두부를 만들 경우, 파리손 (13) 의 외경은 14 ㎜, 내경은 6 ㎜ 정도로 하고, 두께를 약 4 ㎜ 로 설정하면 된다.
다음은, 인형용 두부를 성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성형재료로, 이것은 성형품으로서의 인형용 두부가 인간의 피부와 동일한 유연한 탄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으므로,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가소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한다. 이와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스티렌-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계 엘라스토머 등이 있다. 이와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가소제를 첨가하여 염화비닐과 같이 겔상이 되지는 않으나, 블로 성형용 성형재료로서는 사용가능하다. 가소제의 선택폭도 크다. 따라서 염소계의 엘라스토머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 가소제로서 프탈산에스테르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성형재료로서는, 엘라스토머 외에,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성형재료중, 미쯔이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올레핀게 엘라스토머인, 타프마 (상표) 를 사용한다.
상기 성형재료를 가열하여, 도 3 과 같이 이간된 2 개의 분할금형 (2,3) 의 사이에 통형상의 파리손 (13) 으로서 떨어뜨려 넣고, 도 4 에 나타나듯이 분할금형 (2,3) 을 닫고 분사관 (17) 과 공기분사구멍 (10) 에서 공기를 불어넣는다. 분할금형 (2,3) 에 의한 퍼팅라인은, 대략 구형인 두부를 전후로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파리손 (13) 은 전후좌우에 균형있게 배치된다.
그리고, 공기를 불어넣는 것은 머리 정상부로부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목부분에서 불어넣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성형재료의 온도는 140 ℃ ∼ 180 ℃ (최적온도는 160 ℃) 로 하고, 공기의 불어넣는 압은 4 ㎏f/㎠ ∼ 5 ㎏f/㎠ 로 한다.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파리손 (13) 은 팽창하고, 금형 (1) 의 내면에 부착된다.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대략 동시에, 금형 (1) 의 캐버티내에 본래 존재하고 있던 공기의 일부를 배제하기 위하여, 공기 배출구멍 (9) 에서 상기 잔류공기를 뺀다. 이렇게 함으로써, 잔류공기에 의한 일종의 벽이 형성되지 않고, 도 5 에 나타나듯이, 금형 (1) 의 내면전체에 성형재료 (13a) 가 밀착한다.
공기를 불어넣은 후에 금형 (1) 을 열어 내부의 인형용 두부를 취출함으로써,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나듯이, 인형용 두부의 성형이 완료하고, 두부성형품 (A) 을 얻을 수 있다. 금형 (1) 을 열고 상기 두부를 취출할 때, 성형품의 귀부분 (7) 이 걸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성형품을 파손하지 않고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형을 닫았을 때도, 퍼팅라인에 가까운 귀부분 (7) 에는 공기가 잔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공기배출구멍 (9) 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공기배출구멍 (9) 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그만큼 성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품 (A) 의 경우는, 두부의 크기가 높이 약 40 ㎜, 폭 약 30 ㎜ 이고, 도 7 에 나타나듯이, 목구멍부 (25) 의 개구단에서 그 안의 단부 (26) 까지의 길이치수 (L) 가 약 4 ㎜ 이다. 상기 치수 (L) 는 종래는 약 6 ㎜ 였다. 이것은 슬러쉬 성형에 의한 것으로, 블로 성형에서는 공기주입 후, 목구멍부 (25) 를 성형하기 때문에, 종래의 슬러쉬 성형과 같이 치수 (L) 를 6 ㎜ 정도로 하면, 목구멍부 (25) 의 주변이 얇아지는 것을 4 ㎜ 정도로 하는 것으로 해소되었다.
그리고, 도 8 에 나타나듯이, 분할금형 (2,3) 에 의한 퍼팅라인 (18) 은, 귀부분 (7) 의 바깥 테두리의 하방에서의 턱부분 (6) 의 하면을 따라서 목부분 (목구멍부 25 로서 형성되어 있다) 의 앞부분을 감듯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리손은 요철이 많은 코 (5) 및 턱부분 (6) 측으로 기울기 때문에, 성형재료의 퍼짐이 좋고, 다른 부분과의 두께의 균일성은 더욱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예는 파리손의 두께가 거의 동일한 경우이지만, 이 파리손을 두껍게 성형함으로써, 동일하게 성형된 인형용 두부의 전체의 두께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은, 그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에 나타낸 블로 성형기 (11) 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파리손 (13) 은 한쪽이 두꺼운 상태, 즉 인형용 두부의 전후에 대응하는 부분을 다른 것에 비하여 두껍게 하여 압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다이 (14) 와 노즐 (16) 과의 사이에서 파리손 (13) 이 압출됨과 동시에, 중앙의 공기분사관 (17) 에서 공기가 불어넣어지지만, 다이 (14) 와 노즐 (16) 에 의하여 파리손 (13) 의 두께가 결정된다. 두꺼운 파리손 (13) 은, 도 9A 와 같이, 편경 다이 (14), 즉 내면형상을 대략 타원형으로 한 다이 (14) 에 의하여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노즐 (16) 의 외면형상을 대략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같이, 파리손 (13) 을 그 횡단면에 있어서 한쪽을 두껍게 공급하는데,높이 40 ㎜, 폭 30 ㎜ 정도의 인형을 만드는 경우는, 파리손 (13) 의 좌우의 치수는 26 ㎜ ∼ 32 ㎜, 전후의 치수는 28 ㎜ ∼ 34 ㎜ 정도로 하고, 좌우방향에서의 두께는 약 10 ㎜ ∼ 12 ㎜, 전후방향에서의 두께는 11 ㎜ ∼ 13 ㎜ 정도로 하는 것을 대략 그 기준으로 하면 된다.
성형재료는 상술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클라레 주식회사 제조의 셉톤 (상표) 을 사용한다.
상기 성형재료를 가열하여, 상술한 도 3 및 도 4 의 예와 동일하게, 이간된 2 개의 분할금형 (2,3) 의 사이에 통형상의 파리손 (13) 으로서 떨어뜨려 넣고, 분할금형 (2,3) 을 닫고 분사관 (17) 에서 공기를 불어넣는다. 분할금형 (2,3) 에 의한 퍼팅라인은, 대략 구형의 두부를 대략 전후에 대략 등분하도록 성형하였기 때문에, 파리손 (13) 은 전후 좌우에 균형있게 잘 배치된다.
성형재료의 가열온도는 170 ℃ ∼ 190 ℃ (최적온도는 180 ℃) 로 하고, 공기압은 4 ㎏f/㎠ ∼ 6 ㎏f/㎠ 로 한다.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파리손 (13) 은 팽창하고, 금형 (1) 의 내면에 부착된다. 성형재료의 온도는 170 ℃ ∼ 190 ℃ 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리손 (13) 은 균일하게 팽창된다. 한편, 파리손 (13) 과 금형 (1) 의 내면의 사이에는 캐버티내에 본래 존재하고 있던 공기의 일부가 잔류한다. 그리하여 공기가 불어넣어지면 거의 동시에 공기배출구멍 (9) 에서 상기 잔류공기를 뺀다. 이것으로써, 잔류공기에 의한 일종의 벽이 형성되지 않고, 금형 (1) 의 내면전체에 성형재료 (13a) 가 밀착된다.
또 분할금형 (2,3) 내에 떨어뜨려 넣어진 파리손 (13) 은 두꺼운 파리손으로, 퍼팅라인에서 분리된 전후의 부위에는 파리손 (13) 의 두꺼운 부분이 공급되기 때문에, 도 10 에 나타나듯이, 인형용 두부의 전후에 대응하는 코, 턱, 입, 후두부 등을 구성하는 부분에 충분한 양의 성형재료 (13a) 가 고르게 분포된다. 따라서 돌출부분의 두께만이 얇아지는 일은 없다.
공기를 불어넣은 후에 금형 (1) 을 열어 내부의 인형용 두부를 취출함으로써, 상술한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나듯이, 두부의 성형이 완료되고, 두께가 거의 균일한 두부 성형품 (A) 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성형품을 파손하지 않고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귀부분에 공기배출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한쪽이 두꺼운 파리손 (13) 에 의하여 인형용 두부 전체를 거의 균일한 두께로 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하였듯이, 파리손 (13) 을 횡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상태로 하는 것 외에, 도 9B 에 나타나듯이, 파리손 콘트롤에 의하여 파리손 (13) 을 종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상태로 하여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두께의 조정은 동일 도면과 같이, 노즐 (16) 을 미세하게 상하로 이동시켜 성형재료의 통로의 폭 (P,Q) 을 바꿈으로써도 행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에 의하면, 도 11A 와 같이 예컨대 코부분 (5) 및 턱부분 (6) 의 파리손 부분을 이마부분 및 입부분의 파리손 부분보다도 두껍게 할 수 있다.
또 편경 다이와 파리손 콘트롤에 의하여, 파리손 (13) 을 횡단면과 종단면에 있어서 두꺼운 상태로 하여 공급하도록 하면, 11도 B 와 같이, 전후 좌우에서의 두께의 조정뿐 아니라, 상하의 두께도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전후의 두께를 두껍게 함과 함께, 나아가서는 코부분 (5), 귀부분 (7) 및 턱부분 (6) 에 대응한 파리손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두께가 균일한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수 있다.
상술한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에 의하면, 한쪽 분할금형 (2) 에는 인형의 얼굴부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2a) 이, 다른쪽 분할금형 (3) 에는 인형 머리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3a)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형용 두부로서 가장 중요한 얼굴의 부분에 퍼팅라인이 나타나는 일이 없다.
퍼팅라인 (18) 은 두부의 상부에서 귀부분 (7) 과 턱부분 (6) 의 뒤를 거쳐 목아래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러나, 도 6 에 나타나듯이, 인형용 두부의 상부와 귀부분 (7) 에서 위의 측두부의 퍼팅라인 (18a) 은 식모 및 가발에 의한 두발로 덮이기 때문에, 상기 퍼팅라인 (18a) 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노출되는 일은 없다. 또 측두부의 퍼팅라인 (18) 중 귀부분 (7) 에 관련되는 부분 (18b) 은, 귀부분 (7) 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서 나타나기 때문에, 대부분 눈에 띄지 않는다. 또 턱부분 (6) 의 뒷부분 (18c) 도, 두발이 긴 인형의 경우에는 두발로 덮이는 부분이고, 두발이 비교적 짧은 인형의 경우에도 눈에 띄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외관상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퍼팅라인 (18) 에 의하여 인형의 두부외관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성형시에 공기흡입과 거의 동시에 코부분 (5) 과 턱부분 (6) 과 귀부분 (7) 과 머리 (8) 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 (9) 에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이들 부분에도 성형재료가 양호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코부분 (5) 의 끝이나 코구멍에 금형의 형상에 충실하고 샤프한 형상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높이가 40 ㎜, 폭이 30 ㎜ 정도의 치수의 인형인 경우는, 공기배출구멍 (9) 의 직경은 0.2 ㎜ 정도가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그리고 성형품에 발생한 불필요한 부분이 0.3 ㎜ 이상이면, 후처리작업도 간단하기 때문에, 큰 치수의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때는, 공기배출구멍 (9) 의 직경을 0.3 ㎜ 보다 크게 하고, 발생한 필요없는 부분을 트리밍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캐버티에서 잔류공기를 빼는 방법으로서, 분할금형 (2,3) 에 미소한 공기배출구멍 (9) 을 형성하는 것을 대신하여, 도 12 에 나타나듯이, 분할금형 (2,3) 에 다공질체 (24) 를 관통시켜, 이 다공질체 (24) 의 캐버티측의 단면에 상기 코부분 (5) 및 귀부분 (7) 등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공질체 (24) 의 세공은 구멍지름은 0.03 ㎜ ∼ 0.1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금형전체를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구비한 포러스인 통기구조의 금속재료, 예컨대 신토고교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포세락스 (상표) 를 이용하여 만들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일부러 공기배출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성형시의 공기를 불어넣는 것에 수반하여 파리손이 팽창함으로써 압출된 캐버티내의 공기는 금형의 공극에서 외부에 자연배기되기 때문에, 잔류공기가 벽을 만드는 경우가 없고, 금형에 충실한 형상을 가짐과 함께 충분한 탄성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다공질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기에서 강제적으로 캐버티내의 공기를 빼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종류가 많고, 각각에서 성형온도, 파리손의두께가 변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퍼팅라인은 두부의 상부에서 측두부와 턱부분의 뒤를 거쳐 목아래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러나, 인형용 두부의 두부상부와 귀부분에서 위의 측두부의 퍼팅라인은 식모 및 가발에 의한 두발로 덮이기 때문에, 상기 퍼팅라인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노출되는 일은 없다. 또 측두부의 퍼팅라인중 귀부분에 관련되는 부분은,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서 나타나기 때문에,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또 턱부분 (6) 의 뒷부분 (18c) 도, 두발이 긴 인형의 경우에는 두발로 덮이는 부분이고, 두발이 비교적 짧은 인형의 경우에도 눈에 띄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외관상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퍼팅라인 (18) 에 의하여 인형의 두부외관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 성형재료로서 염화비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환경 호르몬 등의 걱정도 없고, 인체에 의하여 안전한 인형용 두부를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의 피부와 같은 부드러운 감촉의 탄성을 갖는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 및 어린이의 놀이에 있어서 유사체험에 제공되는 도구로서 최적의 인형을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성형재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혹은 실리콘수지이기 때문에, 성형된 인형용 두부는 사람의 피부와 같은 부드러운 감촉의 탄성을 갖는다.
그리고, 성형시에 있어서,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은, 대략 구형의 두부를 전후로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파리손은 전후 좌우로 균형있게 배치된다. 따라서, 성형시에 성형재료가 전체적으로 잘 들어가, 두께에 그다지 편차가 없는 양호한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퍼팅라인이,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의 하방에서 턱부분의 하면을 따라서 목구멍부의 앞부분을 감듯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블로 성형을 할 때 파리손은 요철이 많은 코 및 턱부분측으로 몰리기 때문에, 성형재료의 퍼짐이 좋고, 다른 부분과의 두께의 균일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두부의 크기가 세로 약 40 ㎜, 가로 약 30 ㎜ 정도의 통상의 옷바꿔입히기 인형의 두부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로, 목구멍부의 개구단에서 그 안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약 4 ㎜ 이기 때문에, 목구멍부 부분이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품이 탄성을 가짐으로써, 금형에서 원활히 취출할 수 있고, 코부분 및 턱 등의 언더커트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없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파리손을 두껍게 하였기 때문에, 성형시 전체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정하여 통상의 블로 성형에서는 두께가 얇아지기 쉬운 퍼팅라인으로부터 먼 부분에도 충분한 양을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된 인형용 두부의 두께를 비교적 균일한 두께로 할 수 있고, 색이 비치거나 손가락 등으로 표면을 만졌을 때 일부만이 함몰되기 쉽다는 부자연스러움이 없고, 인형용 두부로서의 상품성이 손상되지 않는, 매우 자연스러운 인형용 두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리손은 편경 다이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고 또 낮은 비용으로 두꺼운 파리손을 얻을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나아가서는, 상기 분할금형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 코부분 등의 돌출부의 적어도 1 개소에서 캐버티내의 공기를 빼서 금형의 형상에 충실하고 샤프한 형상을 얻도록 하였기 때문에, 두꺼운 파리손에 의하여 두께가 비교적 균일해지는 효과와 맞물려, 의장적으로 우수하고, 외관체재도 양호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또한 상기 분할금형이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구비하여 전체가 포러스인 통기구조의 금형이기 때문에, 격별한 공기배출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금형내에 공기가 잔존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양호한 성형이 얻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리손을 횡단면에 있어서 두껍게 하였기 때문에, 두부의 전후부분을 좌우부분보다도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블로 성형에서는 두께가 얇아지기 쉽고, 퍼팅라인에서 먼 부분에도 충분한 양을 퍼지게 할 수 있고, 전체로서 균일한 두께의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리손을 종단면에 있어서 두껍게 하였기 때문에, 통상의 블로 성형에서는 두께가 얇아지기 쉽고, 코부분 및 턱부분 등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마부 및 입부분보다도 두껍게 하여 전체로서 균일한 두께의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리손을 횡단면과 종단면에 있어서 두껍게 하였기 때문에, 전후좌우에서의 두께의 조정뿐 아니라, 상하의 두께도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효율적으로 두께가 균일한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3 내지 도 1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3 에 있어서 도면부호 1 은 인형용 두부의 성형금형, 도면부호 11 은 블로 성형기를 나타낸다. 성형금형 (1) 은 블로 성형법에 제공되는 것으로, 2 개의 분할금형 (2,3)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분할금형 (2) 에는 인형의 얼굴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2a) 이, 다른쪽의 분할금형 (2) 에는 머리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3a) 이 형성되어, 양 내면형상 (2a 및 3a) 에 의하여 성형공간인 캐버티가 구성되어, 퍼팅라인이 얼굴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맞춤면 (4) 이 인형용 두부의 두발이 나오기 시작하는 부분이나 또는 그 근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 에 상세히 나타나듯이, 상기 분할금형 (2,3) 에는, 코부분 (5), 턱부분 (6), 귀부분 (7), 머리 (8) 를 구성하는 돌출부에는 공기배출용 공기배출구멍 (9) 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배출구멍 (9) 의 직경은 0.1 ㎜ ∼ 0.3 ㎜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부분 (5) 과 턱부분 (6) 과 머리 (8) 의 공기배출구멍 (9) 은 분할금형 (2) 의 맞춤면 (4) 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귀부분 (7) 의 공기배출구멍 (9) 은 정면에서 보아 중심이 되는 면 (도시생략) 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의 분사구멍 (10) 은 머리 (8) 의 최상부의 맞춤면 (4) 에 개구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쪽 분할금형 (2) 에는, 목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에 통형상의 관통구 (20) 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 (20) 에는 로드 (21) 가 슬라이딩하여 성형금형 (1) 의 캐버티내에 출몰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로드 (21) 의 선단측의 주면 (周面) 에는 링형상의 홈 (22)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 (21) 는 금형 (1)의 외부에 설치된 에어실린더장치, 유압실린더장치 등 (도시 생략) 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다음은, 블로 성형기 (11) 는, 도 13 에 나타나듯이, 용융된 성형재료를 압출기 (12) 에 의하여 튜브상의 파리손 (13) 으로 하여 상기 성형금형 (1) 내에 압출하는 것으로, 상기 파리손 (13) 은 두꺼운 파리손으로서 압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인형용 두부의 전후에 대응하는 부분을 다른 곳에 비하여 두껍게 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블로 성형기 (11) 에는 외측의 다이 (14) 와 스파이더 (15) 에 의하여 유지된 내측의 노즐 (16) 과 노즐 (16) 의 중심을 통하는 공기분사관 (17)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 (14) 와 노즐 (16) 의 사이에서 파리손 (13) 이 압출됨과 동시에, 중앙의 공기분사관 (17) 에서 공기가 불어넣어진다. 다이 (14) 와 노즐 (16) 에 의하여 파리손 (13) 의 두께가 정해진다. 따라서, 한쪽이 두꺼운 파리손 (13) 으로서, 도 9A 혹은 도 9B 에 나타나듯이, 편경 다이 (14) 혹은 편경노즐을 사용함으로써, 혹은 파리손콘트롤에 의하여, 전후좌후에서의 두께 및/또는, 상하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서, 성형에 최적인 파리손이 얻어진다.
한편, 한쪽이 두꺼운 파리손 (13) 의 두께는, 높이 40 ㎜, 폭 30 ㎜ 정도의 인형두부를 만드는 경우는, 파리손의 좌우의 치수는 13.5 ㎜ ∼ 14.5 ㎜, 전후의 치수는 15 ㎜ ∼ 16 ㎜ 정도로 하고, 좌우방향에서의 두께는 약 4 ㎜, 전후방향에서의 두께는 좌우방향에서의 두께보다도 약 10 ∼ 30 % (바람직하게는 20 % 정도) 증가 정도로 하는 것을 대략 그 기준으로 하고, 이것을 적정 증감하면 된다.
다음은, 인형용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성형재료에서는,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가소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한다. 본 예에서는, 클라레 주식회사 제조의 셉톤 (상품명) 을 사용한다. 또, 성형재료로서는, 엘라스토머 외에,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재료를 가열하여, 도 13 및 도 15 와 같이 이간배치된 2 개의 분할금형 (2,3) 의 사이에 통상의 파리손 (13) 을 떨어뜨려 넣어, 도 16 과 같이 분할금형 (2,3) 을 닫고 분사관 (17) 및 분사구멍 (10) 에서 공기를 불어넣는다.
성형재료의 가열온도는 210 ℃ ∼ 220 ℃ 로 하고, 공기압은 4 ㎏f/㎠ ∼ 6 ㎏f/㎠ 로 한다.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파리손 (13) 은 팽창하고, 금형 (1) 의 내면에 부착된다. 성형재료의 온도는 210 ℃ ∼ 220 ℃ 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리손 (13) 은 균일하게 팽창된다.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거의 동시에, 금형 (1) 의 캐버티내에도 본래 존재하고 있던 공기의 일부를 배제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구멍 (9) 에서 그 잔류공기를 뺀다. 이것으로써, 금형 (1) 의 내면전체에 성형재료 (13a) 가 밀착한다.
또, 분할금형 (2,3) 내에 떨어뜨려 넣은 파리손 (13) 은 한쪽이 두꺼운 파리손으로, 퍼팅라인에서 떨어진 전후의 부위에는 파리손 (13) 의 두꺼운 부분이 공급되기 때문에, 인형용 두부의 전후에 대응하는 코, 턱, 입, 후두부 등을 구성하는 부분에 충분한 양의 성형재료 (13a) 가 고르게 퍼진다. 따라서 돌출부분의 두께만이 얇아지는 경우는 없다.
다음은, 금형 (1) 내에 공기를 불어넣은 후, 도 17 에 나타나듯이 상기 로드 (21) 를 캐버티내에 돌출하고, 분할금형 (2,3) 을 열기전에 로드 (21) 를 성형금형 (1) 에서 퇴피시킨다. 로드 (21) 의 돌출에 의하여, 분할금형 (2) 내에 성형재료 (13a) 가 부분적으로 압출되어, 목구멍 (25) 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드 (21) 를 빼내었을 때 목구멍 (25) 의 주면에는 돌기링 (23) 이 형성된다.
로드 (21) 를 퇴피이동시킨 후, 분할금형 (2,3) 을 열면, 성형품은 양분할금형 (2,3) 에서 분리되어 낙하하고, 도 18A 및 도 18B 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탄성을 갖는 인형용 두부 (A) 가 취출된다. 퍼팅라인 (18) 은 머리가 나오는 부분을 따라서 나타난다.
상술한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에 의하면, 한쪽의 분할금형 (2) 에는 인형의 얼굴부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2a) 이, 다른쪽 분할금형 (3) 에는 머리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3a)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형용 두부 (A) 로서 가장 중요한 얼굴 부분에 퍼팅라인 (18) 이 나타나는 경우는 없다.
퍼팅라인 (18) 은 두부의 머리를 심는 부분의 근방에 형성되는데, 인형용 두부의 머리 (8) 는 식모 및 가발에 의한 두발로 덮이기 때문에, 퍼팅라인 (18) 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노출되는 일은 없다. 그리하여, 퍼팅라인 (18) 을 후처리할 필요는 없고, 무시할 수 있다.
성형시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거의 동시에 코부분 (5) 과 턱부분 (6) 과 귀부분 (7) 과 머리 (8) 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 (9) 에서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이들 부분에도 성형재료가 양호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귀부분의 끝 및 코구멍 혹은 귓바퀴 에 금형형상에 충실하고 샤프한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멍 (9) 은 직경이 0.1 ㎜ ∼ 0.3 ㎜ 로 매우 작고, 공기배출구멍 (9) 에 성형재료가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성형품에 수염과 같은 불필요한 부분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미소한 불필요한 부분을 트리밍하여 제거하는 후처리작업이 불필요해진다. 그리고, 큰 치수의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때는, 공기배출구멍 (9) 의 직경을 0.3 ㎜ 이상으로 하여, 성형품에 발생한 불필요한 부분을 후처리작업으로 트리밍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구멍 (9) 은 분할금형 (2,3) 의 맞춤면 (4) 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배출효율이 좋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시 공기를 불어넣어 파리손 (13) 이 팽창한 후에, 분할금형 (2) 의 통형상의 관통구 (20) 에 로드 (21) 를 출몰시킴으로써 목구멍 (25) 을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목구멍 (25) 이 다른 부분의 성형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로드 (21) 를 처음부터 금형 (1) 의 내부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성형하면, 로드 (21) 가 성형재료가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여 턱 등의 부분에 충분히 성형재료가 공급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로드 (21) 의 선단측의 주면에는 링형상의 홈 (22)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된 인형용 두부 (A) 의 목구멍 (25) 의 주면에는 고리형상의 돌기 (23) 가 형성된다. 따라서 목구멍 (25) 에 동체측의 목부분을 끼워넣을 때의 분리방지로서 유효하다. 그리고 링형상의 홈 (22) 은 나선상의 홈을 포함하는 것으로한다.
그리고, 상기 캐버티에서 잔류공기를 빼는 방법으로서, 분할금형 (2,3) 에 미소한 공기배출구멍 (9) 을 형성하는 것을 대신하여, 도 19 에 나타나듯이, 분할금형 (23) 에 다공질체 (24) 를 관통시켜, 이 다공질체 (24) 의 캐버티측의 단면에 상기 코부분 (5) 과 귀부분 (7) 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공질체 (24) 의 세공의 공경은 0.03 ㎜ ∼ 0.1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분할금형내에 보내지는 파리손은 한쪽이 두꺼운 파리손이기 때문에, 통상의 파리손에서는 얇아지기 쉬운 퍼팅라인에서 먼 부분에 충분한 양의 성형재료가 고르게 퍼진다. 따라서 성형된 인형용 두부의 두께를 비교적 균일한 두께로 할 수 있고, 색이 비치거나, 손가락 등으로 표면을 만졌을 때 일부만이 함몰되기 쉽다는 부자연스러움이 없고, 인형 두부로서의 상품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은,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블로 성형에 의해서도 인형용 두부로서의 상품가치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성형시에 공기를 불어넣어 파리손이 팽창한 후에, 분할금형의 통형상의 관통구에 로드를 출몰시킴으로써 목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목구멍이 다른 부분의 성형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 성형재료로서 엘라스토머를 사용하고, 염화비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킬 걱정이 없고, 건강에도 무해하고 무독인 안전한 인형용 두부를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의 피부와 같은 부드러운 감촉의 탄성을 갖는 인형용 두부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 및 어린이의 놀이에서의 유사체험에 제공하는 도구로서 최적인 인형을 제공할 수 있다.
부가로, 성형품이 탄성체이기 때문에, 금형에서 부드럽게 취출할 수 있고, 코부분 및 턱 등의 언더커트부가 파손하는 등의 문제가 없다.
또, 상기 분할금형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 코부분 등의 돌출부가 적어도 1 개소에서 캐버티내의 공기를 빼서 금형의 형상에 충실하고 샤프한 형상을 얻도록 하였기 때문에, 한쪽이 두꺼운 파리손에 의하여 두께가 비교적 균일해지는 효과와 맞물려 의장적으로 우수하고, 외관체재도 양호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또한 상기 파리손은 편경 다이에 의하여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고 또 낮은 비용으로 한쪽이 두꺼운 파리손을 얻을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0A ∼ 도 20C 는 본 발명에 관한 탄성체 인형용 두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두부 (A) 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듯이 블로 성형에 의하여 성형된 것으로, 퍼팅라인 (18) 은, 이마 상부 (27) 와 양 귀의 뒷측 (28) 과 목뒷부분 (29) 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목구멍부 (75) 에만 구멍 (30) 이 관통형성되고, 머리 정상부를 포함하는 두부에는 구멍은 없다.
따라서, 상기 두부 (A) 에 의하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아가 인형을 빨아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고, 또 인형이 오래되어 폐기처리 및 소각처분을 해도 유해물질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안전하다. 또한 퍼팅라인 (18) 은 성형후에 식모처리할 때 머리카락에 의하여 감추어지고, 외부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퍼팅라인 (18) 을 나중에 제거처리하지 않아도 상품가치가 손상되지 않으며, 후의 식모처리의 가이드로 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정상부를 포함하는 두부에는 구멍이 없기 때문에, 성형후의 식모처리를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재료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이어도 된다.
다음은, 상기 두부 (A) 는 다음과 같이 블로 성형하면 된다. 즉, 도 21 에 나타나듯이, 성형금형 (1) 은 2 개의 분할금형 (2,3)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 분할금형 (2) 에는 인형 얼굴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 (2a) 이, 다른쪽의 분할금형 (3) 에는 머리의 형상을 따른 내면형상 (3a) 이 형성되어, 탄성체 인형용 두부 (A) 의 이마 상부 (27) 와 양 귀의 뒷측 (28) 과 목뒷부분 (29) 을 연결하는 퍼팅라인 (18) 이 형성되도록 캐버티 (31,32) 및 맞춤면 (4) 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분할금형 (2) 의 목구멍부 (75) 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관통구 (70) 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 (70) 에는 목구멍부 성형수단 (71) 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춤되고, 목구멍부 성형수단 (71) 의 선단에는 공기주입 노즐 (67) 이 배치되어 있다. 공기주입노즐 (67) 은 목구멍부 성형수단 (71) 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공급원 (도시생략) 에 접속하여, 목구멍부 성형수단 (71) 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분할금형 (2) 의 캐버티 (31) 내에 출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의 캐버티 (31,32) 에는,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귀부분 및 코부분, 입부분 등에 성형시에 성형재료와 캐버티의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작은구멍을 형성하여 공기배출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 다수의 세공이 형성된 성형금형을 사용할 수도 있고, 금형전체를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구비한 포러스인 통기구조의 금속재료, 예컨데 신토코오교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포세락스 (상표) 를 이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인형용 두부 (A) 를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도 22 와 같이 열린 분할금형 (2,3) 사이에 성형재료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통형상으로 한 파리손 (13) 을 내리고, 도 23 과 같이 분할금형 (2,3) 을 닫음과 동시에, 목구멍부 성형수단 (71) 을 슬라이딩 전진시켜, 목구멍부 (75) 를 성형하기 위한 형 내벽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공기주입 노즐 (67) 을 캐버티내에 진입시켜, 최종적으로는 공기주입노즐 (67) 의 선단을 파리손 (13) 을 관통시켜 그 내부에 넣는다. 그리고 공기주입노즐 (67) 에 의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성형재료 (13a) 는 팽창하여 금형의 캐버티 (31,32) 의 내벽에 부착된다. 그리고, 성형재료 (13a) 가 냉각되는 것을 기다려 분할금형 (2,3) 을 분리하여 열고, 내부의 성형품 (두부) (A) 을 취출하면 된다. 그리고, 분할금형 (2,3) 이 열리기 직전에 목구멍부 성형수단 (71) 을 후퇴시켜 공기주입 노즐 (67) 을 성형된 목구멍부 (75) 에서 퇴피시킨다. 이것으로써, 구멍 (30) 이 성형된다.
그리고, 목구멍부 성형수단 (71) 에 의하여 성형되는 목구멍부 (75) 는 직경이 약 10 ㎜ 정도의 크기가 되고, 주입노즐 (67) 은 성형시에는 목구멍부 (75) 의 중심에 오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하였듯이, 주입노즐 (67) 이 중심부를 벗어나거나, 후술하는 각도가 지나치게 예각 또는 둔각이면, 구멍 (30) (도 20 참조) 이 중심부에서 벗어나거나 이형이 된다. 물론, 구멍 (30) 은 후가공이 가능하지만, 그 경우에는 일체성형이 되지 않는다. 노즐 지름은 2 ㎜ 정도로 설정하면 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주입노즐 (67) 은 파리손 (13) 에 대하여 직각으로 가까워질수록 좋다. 통상의 경우, 주입노즐 (67) 의 각도는 도 21 에 나타나듯이, 관통구 (70) 의 벽면에 대한 각도 α가 15 ° ∼ 25 ° (바람직하게는 20 °)로, 관통구 (70) 의 수평에 대한 각도 β는 40 ° ∼ 50 ° (바람직하게는 45 °)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블로 성형에 의하면, 도 20 에 나타난 인형용 두부 (A) 가 성형된다. 퍼팅라인 (18) 은, 이마 상부 (27) 와 양귀의 뒷측 (28) 과 목뒷부분 (29) 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성형된 두부 (A) 에는, 목구멍부 (75) 에만 공기주입노즐 (67) 을 뺐을 때 구멍 (30) 이 형성되는데, 머리 정상부를 포함하는 두부에는 구멍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구멍 (30) 은 인형 동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목부분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구멍이 되는데, 드릴가공 등으로 후성형하여 구멍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블로 성형에 있어서는, 높이가 40 ㎜, 폭이 30 ㎜ 정도의 인형용 두부를 얻기 위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성형온도를 130 ℃ ∼ 170 ℃ 로 하고, 공기주입압력을 4 ㎏f/㎠ ∼ 5 ㎏f/㎠ 로 하고, 나아가서는 성형재료를 파리손 (13) 으로 하여 압출하는 다이의 직경은 14 ㎜ ∼ 15 ㎜ 이며, 다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노즐의 직경은 9 ㎜ 로 하고, 따라서 파리손 (13) 의 직경은 14 ㎜ ∼ 15 ㎜, 두께는 2.5 ㎜ ∼ 3 ㎜ 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 성형시에는 프리블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 24A 및 도 24B 에 나타나듯이, 상기 각 분할금형 (2,3) 의 캐버티 (31,32) 의 하부에 맞춤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오목홈 (33) 을 형성하고, 이 오목홈 (33) 에 프리블로용 프리핀치재 (34) 를 부착한다. 오목홈 (33) 에는 각각 용수철 (35) 이 배치되고, 프리핀치재 (34) 를 맞춤면에서 돌출하도록 힘을 인가하고 있다.
또, 상기 각 분할금형 (2,3) 의 프리핀치재 (34) 와 두부성형용 캐버티 (31,32) 와의 사이와는 상기 퍼팅라인 (18) 에 얇은 부분 (39) 를 통하여 연속하는 나머지 두께부 (38) 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 (36,37) 을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성형시에 분할금형 (2,3) 을 닫았을 때에는, 도 25 에 나타나듯이 나머지 두께부용 성형공간 (36,37) 내에도 성형재료가 공급되어 나머지 두께부 (38) 가 성형된다. 그리고, 이 성형재료 (13a) 의 나머지 두께부 (38) 에 서로 반대측에서 양 금형의 프리핀치재 (34) 가 접촉하고, 그 핀치재 (34) 는 용수철 (35) 의 용수철력에 대항하여 압입되어 있다. 성형후에 분할금형 (2,3) 을 열 때, 도 26 과 같이 양금형 (2,3) 의 맞춤면은 곧바로 분리하는데, 프리핀치재 (34) 는 용수철 (35) 에 의한 가압력이 없어 질때까지 서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프리핀치재 (34) 에 끼워진 나머지 두께부 (38) 는 분할금형 (2,3) 이 열리기 전의 위치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캐버티 (31,32) 내에서 성형된 두부 (A) 도, 분할금형 (2,3) 이 열려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두께부 (38) 에 의하여 닫힐때의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분할금형 (2,3) 내의 성형품 (A) 은 나머지 두께부 (38) 에 의하여 분할금형 (2,3) 에서 당겨져 나오기 때문에, 금형 개봉시에 성형품 (A) 을 양분할금형 (2,3) 에서 분리할 수 있고, 성형품 (A) 이 한쪽 금형내에 남게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머지 두께부 (38) 는 퍼팅라인의 얇은 부분 (39) 을 통하여 성형품 (A) 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후, 잡아당김으로써 간단히 성형품 (A) 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금형 개봉시에 성형품 (A) 을 양 분할금형 (2,3) 에서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으로서, 그밖에도 도 27 에 나타나듯이, 2 개의 분할금형 (2,3) 의 사이에 고정핀 (40) 을 배치해둠과 동시에, 상술한 같은 요령으로, 고정핀 (40) 에 대응하는 부위에 나머지 두께부용 성형공간 (41,42) 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8 과 같이 성형시에 분할금형 (2,3) 을 닫으면, 성형공간 (41,42) 내에도 성형재료가 들어가 나머지 두께부 (43) 가 성형됨과 동시에, 이 나머지 두께부 (43) 의 내부에 고정핀 (40) 이 매립된다. 이 상태에서 도 29 와 같이 분할금형 (2,3) 을 열면, 고정핀 (40) 은 분할금형 (2,3) 의 중간에 있어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두께부 (43) 에 접속한 성형품 (A) 도 중간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분할금형 (2,3) 내의 성형품 (A) 은 분할금형 (2,3) 에서 잡아당겨지기 때문에, 금형개봉시에 성형품 (A) 을 확실히 양분할금형 (2,3) 에서 분리할 수 있고, 성형품 (A) 이 한쪽 금형내에 남는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머지 두께부 (43) 는 퍼팅라인의 얇은 부분 (44) 을 통하여 성형품 (A) 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후, 잡아당김으로써 간단히 성형품 (A) 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의 경우, 상기 고정핀 (40) 은 보통의 성형재료 압출다이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분사관을 이용하면 된다.
한편, 상술하였듯이, 프리블로용의 프리핀치재와 고정핀에 의하여 성형품을 금형에서 꺼낼 수 있으나, 한쪽의 수단만으로 성형품의 금형에서의 분리가 충분하다면, 다른쪽 수단을 병용할 필요는 없다. 단, 한쪽의 수단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면, 양쪽 수단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퍼팅라인은 성형후에 식모처리할 때 머리카락에 의하여 감춰져, 외부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퍼팅라인을 후에 제거처리하지 않아도 상품가치가 손상되지 않는다. 또, 블로 성형시에 형성된 구멍은 목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 정상부를 포함하는 두부에는 구멍은 없고,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 성형후의 식모처리를 문제없이 행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인형 동체부와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 걸어맞춤구멍을 가공형성할 필요가 없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한쪽 금형에 형성된 목구멍부 성형수단의 공기주입 노즐에 의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블로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머리 정상부를 포함하는 두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 퍼팅라인도 두부의 이마 상부와 양귀의 뒷측과 목뒷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또 공기주입노즐은 캐버티내에 출몰이 자유롭기 때문에, 성형후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인형 동체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구멍이 일체성형되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생산효율이 향상된다.
또, 실시예에 의하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제조의 두부를 성형할 수 있기때문에, 유아가 인형을 빨아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고, 또 인형이 낡아서 폐기처리하거나 소각처분을 해도 유해물질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안전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로 성형시에 프리블로를 행하기 때문에, 성형후에 금형을 개봉했을 때, 프리핀치재에 의하여 성형품은 더욱 확실히 금형에서 분리되고, 한쪽 금형에 남는 일이 없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성형시에 2 개의 금형사이의 고정핀이 나머지 두께부 내에 매립되기 때문에, 금형을 열었을 때, 성형품은 고정된 나머지 두께부에 의하여 금형에서 꺼내지므로, 성형품은 보다 확실히 금형에서 분리되어, 한쪽 금형에 남는 일이 없다.

Claims (28)

  1. 인형용 두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이 형성된 분할금형을 준비하여, 상기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이 인형용 두부를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과,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을 가열하여 이간 배치된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파리손으로서 떨어뜨려 넣은 후, 해당 분할금형을 닫아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상기 분할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인형용 두부의 이마 상부와 양 귀의 뒷측과 목뒷부분을 연결하는 퍼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상기 분할금형의 캐버티 및 맞춤면을 형성하고,
    상기 분할금형의 한쪽에는 목구멍부 (首穴部) 성형수단을 상기 캐버티내로 출몰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목구멍부 형성수단에는 상기 캐버티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노즐을 형성하여 블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2. 인형용 두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이 형성된 분할금형을 준비하여, 상기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이 인형용 두부를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과,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을 가열하여 이간 배치된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파리손으로서 떨어뜨려 넣은 후, 해당 분할금형을 닫아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상기 분할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퍼팅라인의 인형용 두부의 귀부분에 관련되는 부분이,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를 따르도록 상기 분할금형의 캐버티 및 맞춤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3. 인형용 두부의 형상에 맞는 내면형상이 형성된 분할금형을 준비하여, 상기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이 인형용 두부를 대략 등분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과,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을 가열하여 이간 배치된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파리손으로서 떨어뜨려 넣은 후, 해당 분할금형을 닫아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상기 분할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파리손을 한쪽을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노즐에 의하여 성형되는 구멍은 인형 동체부에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 성형시에 프리블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의 사이에 고정핀을 배치하고, 상기 분할금형의 고정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나머지 두께부를 형성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성형시에 상기 성형공간내에 들어간 나머지 두께부내에 상기 고정핀을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 인형용 두부의 돌출부의 적어도 1 개소로부터 상기 분할금형의 캐버티내의 공기를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 인형용 두부의 돌출부의 적어도 1 개소에서 상기 분할금형의 캐버티내의 공기를 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이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구비하여 전체가 포러스인 통기구조의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의 한쪽을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은 횡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은 횡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은 종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은 종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은 횡단면 및 종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은 횡단면 및 종단면에 있어서 한쪽이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을 편경 다이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리손을 편경 다이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에 의한 퍼팅라인은,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임의의 개소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금형의 목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로드가 캐버티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를 불어넣은 후에 상기 로드를 해당 캐버티내에 돌출시켜, 상기 분할금형을 열기전에 상기 로드를 상기 캐버티에서 퇴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21.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한 성형재료로 블로 성형에 의하여 성형되어, 이마 상부와 양 귀의 뒷측과 목뒷부분을 연결하는 퍼팅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목부분에 블로 성형시에 형성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인형 동체부와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으로서 이용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23.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한 성형재료로 블로 성형에 의하여 성형되어, 두부를 대략 전후로 등분하도록 퍼팅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퍼팅라인의 귀부분에 관련되는 부분은,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24. 제 23 항에 있어서, 두부에는 목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퍼팅라인이, 귀부분의 바깥 테두리의 하방에서 턱부분의 하면을 따라서 목구멍부의 앞부분을 감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25. 제 24 항에 있어서, 두부의 크기가 높이 약 40 ㎜, 폭 약 30 ㎜ 이고, 상기 목구멍부의 개구단으로부터 그 안쪽 단부까지의 길이가 약 4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
  26. 합성수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수지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한 성형재료로 탄성체 인형용 두부를 블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금형으로서, 해당 성형금형은 2 개의 분할금형으로 구성되고,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이마 상부와 양 귀의 뒷측과 목뒷부분을 연결하는 퍼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캐버티 및 이음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할금형의 한쪽은 목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그 관통구에는 목구멍부 성형수단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그 목구멍부 성형수단의 선단에는 공기주입 노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금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금형에는 프리블로용 프리핀치재를 부착하여, 용수철로 상기 맞춤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힘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각 분할금형의 프리핀치재와 상기 캐버티의 사이에는 상기 퍼팅라인에 얇은 부분을 통하여 연속하는 나머지 두께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금형.
  2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분할금형의 사이에 고정핀을 배치함과 함께, 각 분할금형에는 상기 고정핀에 대응하는 부위에 나머지 두께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금형.
KR10-2000-7009566A 1998-12-28 1999-12-27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KR100382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183498A JP3193011B2 (ja) 1998-12-28 1998-12-28 弾性体人形用頭部の成形方法
JP98-371834 1998-12-28
JP99-34449 1999-02-12
JP3444999 1999-02-12
JP99-237430 1999-08-24
JP23743099A JP3300687B2 (ja) 1999-02-12 1999-08-24 弾性体人形用頭部の成形方法
JP99-294558 1999-10-15
JP29455899 1999-10-15
JP29888299A JP3326146B2 (ja) 1999-10-15 1999-10-20 弾性人形用頭体及びその成形方法ならびに成形金型
JP99-298882 1999-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189A KR20010052189A (ko) 2001-06-25
KR100382379B1 true KR100382379B1 (ko) 2003-05-09

Family

ID=2752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566A KR100382379B1 (ko) 1998-12-28 1999-12-27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64557B1 (ko)
EP (1) EP1057506A4 (ko)
KR (1) KR100382379B1 (ko)
CN (1) CN1303311A (ko)
GB (1) GB2350308B (ko)
HK (1) HK1033287A1 (ko)
TW (1) TW445166B (ko)
WO (1) WO2000038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5291B2 (ja) * 1998-12-01 2003-02-10 株式会社タカラ 弾性体人形用頭部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金型
TW446622B (en) * 1999-05-10 2001-07-21 Takara Co Ltd Arm for an elastic doll, its molding method and forming mold
AU2001254619A1 (en) * 2000-04-28 2001-11-12 Larsen, Torben A doll's head, manufacture of a doll's head, as well as an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method
CN100333813C (zh) 2002-05-31 2007-08-29 马特尔公司 可变形的玩偶和可摆姿势的动作人物造型
WO2004022189A2 (en) * 2002-09-03 2004-03-18 Emoff Michael J Doll with strechable head
US6826973B2 (en) 2002-12-20 2004-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ated mechanical arm
US6931951B2 (en) * 2002-12-20 2005-08-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chanical device with simulated skin substrate
US7037112B2 (en) * 2002-12-20 2006-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irtual arm for measurement of humidity, temperature, an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in materials
US6904820B2 (en) * 2002-12-20 2005-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using a simulated skin substrate and method for determining material dryness performance
CN101674868B (zh) * 2007-05-04 2011-11-16 美泰有限公司 注塑模制的玩具娃娃头部
EP2225059A1 (en) 2007-11-26 2010-09-08 Yale University Method of blow molding a bulk metallic glass
JP2017042267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アクセサリ作成玩具
ES2690865A1 (es) * 2017-05-22 2018-11-22 Clonfactory, S.L.U Procedimiento para la fijacion de pelo un cuerpo y dispositivo para llevar a cabo dicho procedimiento
ES2690863A1 (es) * 2017-05-22 2018-11-22 Clonfactory, S.L.U Procedimiento para la fijacion de pelo un cuerpo y dispositivo para llevar a cabo dicho procedimiento
US11986748B2 (en) * 2021-02-10 2024-05-21 Amy Lynn Welsh-Brockman Poseable and self-standing doll comprising internal wiring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220249966A1 (en) * 2021-02-10 2022-08-11 Amy Lynn Welsh-Brockman Poseable elf doll having a thermoplastic head/neck and cloth-body retrofitted with strands of wire to render same poseable and self-stand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3720A (en) * 1941-07-05 1941-11-25 Carlo Esquilio De Doll head
US4143453A (en) * 1977-03-03 1979-03-13 Taluba Anthony P Appendage such as a doll's head, a method for blow molding same of elastomer material, and a method for securing same to a body
US4659319A (en) * 1984-06-14 1987-04-21 Blair June L Image in three dimensions with picture covering and forming system
JPS6194717A (ja) * 1984-10-17 1986-05-13 Takara Co Ltd 合成樹脂製人形等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5780A (ja) * 1986-06-27 1988-01-11 株式会社 タカラ 人形用頭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596503A (en) * 1995-05-12 1997-01-21 Flint; Mary L. Process for making a doll's head looking like the head of a living person
US6099378A (en) * 1995-10-23 2000-08-08 The Lifelike Company Realistic doll head system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50308B (en) 2003-12-17
US6464557B1 (en) 2002-10-15
EP1057506A4 (en) 2005-02-16
GB0021104D0 (en) 2000-10-11
CN1303311A (zh) 2001-07-11
GB2350308A (en) 2000-11-29
WO2000038810A1 (fr) 2000-07-06
HK1033287A1 (en) 2001-08-24
EP1057506A1 (en) 2000-12-06
TW445166B (en) 2001-07-11
KR20010052189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379B1 (ko) 탄성체 인형용 두부, 그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KR100494209B1 (ko) 탄성체 인형용 두부의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JP2001145657A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EP1679104B1 (en) A mold and a method for using a mold
CN100513134C (zh) 热塑性模制方法
JP2004520964A (ja) 歯ブラシの製造方法
JP3193011B2 (ja) 弾性体人形用頭部の成形方法
JP3300687B2 (ja) 弾性体人形用頭部の成形方法
JP3326146B2 (ja) 弾性人形用頭体及びその成形方法ならびに成形金型
CN112936730A (zh) 一种软硬结合耳机耳塞、其制备方法和模具
JP3557549B2 (ja) 弾性人形用頭体の成形金型
JPH05185498A (ja) ブロー成形金型及びブロー成形金型の製造方法並びにブロー成形方法
JPH05245889A (ja) 蛇腹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JPH08294957A (ja) 布張り中空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25058A (ja) 中空成形品の孔形成方法
JP3569932B2 (ja) 筒状熱可塑性発泡樹脂成形品の成形用金型および製造方法
JP2002086547A (ja) 表皮材一体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ブロー型。
JP2000141459A (ja) 表皮付きプラスチック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084396A (ja) 成形体、金型及び製造方法
JP2005288722A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H0866955A (ja) 押出し成形用口金の構造
JPH1120012A (ja) 中空二重壁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