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044B1 - 가교된식물성폴리페놀벽을갖는마이크로캡슐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교된식물성폴리페놀벽을갖는마이크로캡슐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044B1
KR100382044B1 KR1019950704261A KR19950704261A KR100382044B1 KR 100382044 B1 KR100382044 B1 KR 100382044B1 KR 1019950704261 A KR1019950704261 A KR 1019950704261A KR 19950704261 A KR19950704261 A KR 19950704261A KR 100382044 B1 KR100382044 B1 KR 10038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apsules
vegetable
polyphenols
aqueous phase
cross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크리스틴르비
마리-크리스틴앙드리
Original Assignee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쎄엔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쎄엔알에스) filed Critical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쎄엔알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6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 B01J13/14Polymerisation; cross-linking
    • B01J13/16Interfacial polymer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 A23L27/72Encap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52Proteins, e.g. alb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63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84Microcapsule with fluid core [includes liposo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에 기초한 마이크로캡슐이 설명된다. 이 마이크로캡슐들은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류를 접촉면 가교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화장용, 제약, 식이 또는 식품 조성물과 같은 조성물에 혼입될 경우, 이들 마이크로캡슐들은 이 조성물들의 품질 저하, 특히 색상 변화와 관련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한편,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류의 활성, 특히 항-자유 래디칼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유지한다.

Description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 및 그를 화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에 의한, 식물성 폴리페놀에의 접촉면 가교 (interfacial crosslinking) 적용,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마이크로캡슐,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용, 제약, 식품 및 식이 조성물과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폴리페놀은 잘 알려진 항-자유 래디칼 및 항산화 특성을 갖는 중요한 천연 물질의 한가지이다 (예컨대: "Polyphenolic Phenomena", A. SCALBERT, Editor, INRA Editions, Paris, 1993 참조). 예컨대, 특히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procyanidolic oligomer) 또는 PCO와 같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이러한 화합물들은, 특히 그의 항-자유 래디칼 활성과 관련된 가치있는 생물학적 특성을 보유한다. 예컨대, 이들은 피부에 미치는 자유 래디칼의 해로운 효과를 예방할 수 있음으로 해서 태양광 및 피부 노화에 대한 보호작용 및 항암 역할을 한다. 이들은 또한 홍반과 농진 (膿疹)도 예방한다. 또한, 이들은 특히 피부과 분야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특성 및 항염 특성, 혈관 보호 특성과 같은 점막에의 적용 [출혈반(ecchymoses), 점상출혈(petechiae), 치육출혈(gingivorrhagia), 비출혈(epistaxis) 등] 및 항알레르기, 항궤양,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암 특성을갖는다. 마지막으로, 식품이나 식이 제품에 첨가되면, 이들은 그의 항산화작용에 의해, 이들이 포함된 제품을 보존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항-자유 래디칼 물질의 가치있는 공급원이 됨으로 해서, 암과 같은, 자유 래디칼에 기인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특히 화장품, 약품, 식품 및 식이제품의 분야에서 유용한 용도를 갖는다. 그러나, 비교적 불안정한 이 물질들은, 특히 화장품이나 피부약 용도의 제품과 같은 특정 용도의 제품에 함유될 경우 이 제품들을 어두운 색상으로 만들기 때문에, 그 혼입이 때때로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역시 플라보노이드군에 속하는 유색 폴리페놀계 물질인 안토시아닌 유도체 (F.J. Francis, Crit. Rev. Food Sci. Nutri., 1989. 28, 273-314) 역시 항-자유래디칼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모발의 침투성과 강도에 가치있는 생물학적 특성을 미친다. 그러나, 이들은 착색 강도가 높아 화장품이나 피부용 용도의 제품에 일반적으로 혼입시킬 수 없다.
고분자 폴리머들은 합성 디페놀, 즉 비스페놀 A와 이가산클로라이드 (diacid chloride)의 접촉면 중축합 (interfacial polycondensa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 M. Eareckson, J. Polymer Sci., 1959, 40, 399-406).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S. Suzuki 등 (Chem. Pharm. Bull., 1968, 6, 1629-1631)은 비스페놀 A와 세바코일 클로라이드와의 중축합 반응을 유제에 적용시킴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그러나, 어떠한 종래기술 문헌에서도 식물성 폴리페놀의 접촉면 가교에 의한마이크로캡슐의 제조에 관해서는 설명되어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라, 예기치 않게도, 식물성 폴리페놀류, 특히 플라보노이드를 바람직하게는 이가산 할라이드, 특히 이가산 클로라이드와 같은 가교제를 이용하여, 접촉면 가교시키면 수성 매질 존재 하에 특히 안정하면서, 동시에 이들 식물성 폴리페놀들의 초기 활성, 특히 생물활성, 특히 주목받을만한 항-자유 래디칼 활성을 유지하는 마이크로캡슐이 얻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예기치 않게도, 식물성 폴리페놀의 페놀기의 접촉면 아실화가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여 가교 폴리페놀의 막을 부여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충분한 수의 페놀기를 이탈시켜 식물성 폴리페놀의 특성, 특히 이들의 항-자유 래디칼 활성 및 항산화 특성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이 조성물에 혼입될 경우, 이 조성물의 불안정성, 특히 그의 착색과 관련한 위험 (조성물 중 분해되기 쉬운 식물성 폴리페놀류, 특히 플라보노이드의 존재와 연관된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주요한 목적은 조성물 중에 혼입될 경우, 그의 안정성, 특히 그의 색상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로부터 생성물을 개조하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특히 용해된 상태에서의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가 이들이 혼입되어 있는 조성물 전체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특히 시간 경과에 따른, 색상 변화와 관련한 여하한 악영향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 그 중에서도 안토시아닌 유도체로부터 피부에 착색을 일으키지 않는 생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화장품 또는 피부나 점막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품 또는 의약 제품에 이들을 혼입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로부터 품질 안정성, 특히 안정한 색상을 잘 유지할 수 있는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상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화장품 또는 약품, 특히 피부과 약품, 식품 또는 식이제품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의 특이적인 초기 활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의 안정한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으로 되는 새로운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로부터, 이들 식물성 폴리페놀, 특히 플라보노이드의 초기 활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적합한 경우, 한가지 이상의 활성물질을 용액, 현탁제 또는 유제 형태로서 캡슐화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제품 또는 이들 마이크로캡슐의 생물활성을 개선시키는, 안정한 제품, 특히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으로되는, 새로운 기술상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업규모, 특히 화장품, 약품, 식품 또는 식이제품 산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간단한 제조공정에 의해 상술한 새로운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해결책은 크기를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는, 특히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크기로부터 1밀리미터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크기 조정이 가능한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유제, 특히 "유중수 (water in oil)"형 유제와 계면에서 식물성 폴리페놀과 가교제, 바람직하게는 이가산 할라이드, 특히 이가산 염화물과의 중축합 반응을 개시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이 얻어질 수 있음이 전혀 예기치 않게 발견되었다. 이 경우, 먼저 식물성 폴리페놀의 수용액을 소수성상에서 유화시킨 후 가교제의 용액을 이 유제에 첨가한다. 이어서, 식물성 폴리페놀의 가교된 분자로 구성된 막이 가교제와 식물성 폴리페놀의 페놀기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의 형성 결과로서 수적(水滴)의 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응 후, 따라서 이들 분자들은 반응 매질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세척시켜 막에 결합되지 않은 식물성 폴리페놀을 제거한다.
또한, 이 마이크로캡슐들은 그의 구조가 파괴되지 않고서도 동결건조를 수행하고, 재수화 (rehydration) 후, 구형 모양을 복원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안정적인데,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결정적인 기술상의 장점을 구성한다.
또한 마이크로캡슐들은 "수중유 (oil-in-water)"형 유제에서 중축합 반응을 개시시켜 얻을수도 있다. 이 경우, 가교제, 바람직하게는 이가산 할라이드, 특히이가산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소수성상을 연속상으로서 사용하여, 식물성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수성상 중에서 유화시킨다. 이 반응을 접촉면에서 일어나게하고, 적당한 기간 동안 계속 교반시킨다. 분산된 소수성 방울 주위에 막이 형성되는 것이 보이며, 소수성 성분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이 형성된다.
따라서, 첫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류와 가교제, 바람직하게는 이가산 할라이드, 특히 이가산 클로라이드와의 접촉면 가교 수단에 의해 가교된 한가지 이상의 식물성 폴리페놀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이다.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이들 마이크로캡슐들은 단백질, 다당류,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 물질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이 마이크로캡슐 벽은 상술한 식물성 폴리페놀과 공동-가교된 단백질 및/또는 다당류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가지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술한 단백질이 효소 활성, 예컨대 카탈라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또는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와 같은 특이적인 생물활성을 가지며, 이 때, 그 활성은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류, 특히 플라보노이드나 플라보노이드류의 고유한 활성에 유용하게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슬한 마이크로캡슐들은 예컨대 과즙 또는 식물 추출물 또는 식물의 일부와 같은 식물성 폴리페놀류를 함유하는 천연 또는 비천연 기원의 혼합물이나 단일의 식물성 폴리페놀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술한 식물성 폴리페놀들이 플라보노이드류, 이소플라보노이드류, 네오플라보노이드류, 갈로탄닌류 및 엘라고탄닌류, 카테콜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DL-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또는 DL-DOPA, 카테콜아민류, 예컨대, 3-히드록시티라민 또는 도파민, 플로로글루시놀, 페놀산, 예컨대, 카페인산, 디히드로카페인산, 프로토카테츄인산, 클로로겐산, 이소클로로겐산, 겐티신산, 호모겐티신산, 갈산, 헥사히드록시디페닌산, 엘라진산, 로즈마린산 또는 리토스펌산, 페놀산 유도체, 특히 그들의 에스테르류 또는 그들의 헤테로사이드류, 쿠르쿠민, 폴리히드록실화된 쿠마린류, 폴리히드록실화된 리그난류 또는 네오리그난류와 같은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식물성 폴리페놀류, 또는 실리마린과 같이 한가지 이상의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이고 상술한 모든 폴리페놀류가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 예컨대, 추출물, 정기류, 과즙 또는 과실주로부터 얻어진 조제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히 유리한 식물성 폴리페놀류는 다음 속에 속하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것들이다: 은행나무(Ginko), 싸리류(Lespedeza), 파씨플로라 (passiflora), 씰리붐(Silybum), 감귤류(Citrus), 하마멜리스(Hamamelis), 씨머스(Thymus), 카마멜룸(Chamaemelum), 아킬레아(Achillea), 쇠뜨기(Equisetum), 괴화(Sophora), 모밀(Fagopyrum), 유칼립투스(Eucalyptus), 접골목(Sambucus), 동록(Betula), 머루(Vitis), 피누스(Pinus), 산사자(Crataegus), 케츠커스(Quercus), 라탄히아(Ratanhia), 리쓰룸(Lythrum), 아카시아(Acacia), 큐프레서스(Cupressus), 백시니움(Vaccinium), 까치밥나무(Ribes), 수레국화(Centaurea), 로자(Rosa), 무궁화류(Hibiscus), 아윽(Malva), 포도필럼(Podophyllum), 오미자(Schizandra), 가이아름(Gaacum), 악토스타필로스(Arctostaphylos), 시나라(Cynara), 로즈마리누스(Rosmarinus), 오르쏘시폰(Orthosiphon), 솔리다고(Solidago), 자근(Lithospermun), 쿠르쿠마(Curcuma), 칠엽수(Aesculus), 멜리로투스(Melilotus), 암미실(Ammi), 히에라시움(Hieracium), 안젤리카(Angelica), 아스퍼룰라(Asperula).
한가지 바람직한 변형예로, 상술한 식물성 폴리페놀류는 아피게놀이나 루테올롤과 같은 플라본, 케르세틴이나 켐페롤과 같은 플라보놀, 루틴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플라본 또는 플라보놀 헤테로사이드, 플라바논, 나린제닌 또는 헤스페레틴과 같은 플라바논, 나린진, 헤스페리딘 또는 디오스민과 같은 플라바논 헤테로사이드, 디오스모사이드, 아비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플라바논 유도체, 아민토플라본과 같은 플라본 또는 플라바논 이량체, 이소리퀴르티제닌 또는 헤스페리딘 메틸칼콘과 같은 칼콘, 택시폴리올, 또는 택시폴리올로부터 유도된 물질과 같은 플라바논올, 예컨대 실리빈, 실리크리스틴 또는 실리디아닌, 예컨대 (+)-카테콜 또는 (-)-에피카테콜과 같은 플라반-3-올, 일반적으로 "프로안토시아니딘"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거나 또는 "중합된 탄닌"이라는 표현으로 알려진 플라반-3-올의 기본 구조 단위로 형성된 폴리머, 특히, 이들 단위 2 내지 8개로 이루어진, 일반적으로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PCO: procyanidolic oligomer)"로 불리우는 올리고머, 또는 말보사이드와 같은 안토시아노사이드, 또는 한가지 이상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 특히 식물의 과실 추출물 또는 식물의 추출물 또는 식물의 일부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술한 플라보노이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여러가지 감귤류(Cytrus) (루타세아에:Rutaceae)로부터 추출된 시트로플라보노이드류의 혼합물, 실리붐 마리아눔 (Silybum marianum) (콤포지타에:Compositae), 또는 실리마린으로부터 추출된 플라보노이드류의 혼합물,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징코아세아에: Gingkoaeae), 안토시아노사이드가 풍부한 블루베리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 열매, 포도껍질 또는 적포도잎, 포도 또는 까막까치밥나무 열매의 과즙 자체 또는 분쇄 또는 동결건조에 의해 농축 또는 탈수된 형태, 또는 그의 다양한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술한 단백질은 혈청알부민, 오브알부민 또는 알파-락트알부민과 같은 알부민류, 글로불린류, 피브리노겐, 카제인, 식물성 단백질, 예컨대, 콩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분해된 것이 좋은 글루테인류, 용해된 경질 단백질, 콜라겐, 아텔로콜라겐, 젤라틴, 젤라틴 가수분해물, 펩톤, 헤모글로빈, 효소, 예컨대, 카탈라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또는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 친수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혼합물, 예컨대 전유 또는 탈지유 또는 부분 탈지유, 분유 또는 농축우유, 유청 단백질, 콩가루 및 아텔로콜라겐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술한 다당류는 덱스트란, 알긴산 및 그의 수용성염, 특히 소듐 알기네이트, 식물성 검류, 카라기난류, 펙틴류, 가용성 전분 유도체, 가용성 셀룰로스 유도체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류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술한 마이크로캡슐은 그의 수성상이 수성상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의 식물성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유제를 접촉면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술한 단백질 및/또는 다당류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중 한가지가 존재하면, 수성상 중 이 물질 또는 이 물질들의 농도는 수성상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범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술한 마이크로캡슐들은 캡슐화될, 그의 분산상이 용액, 현탁액 또는 유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태양광을 반사하는 불용성 미네랄 물질, 식물성 오일 또는 친유성(lipophilic)활성물질, 예컨대 지용성 태양 필터의 형태로 혼입된 한가지 이상의 수용성, 지용성 또는 불용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유제를 접촉면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렇게 얻어진 마이크로캡슐들은 상기 수용성, 지용성 또는 불용성 물질들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한가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에 혼입된 활성물질들은 산화철,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탈크 또는 카올린과 같은 태양광을 반사하는 미네랄 물질, 곡물의 배아유, 탈취된 생선의 간유, 또는 비타민 A, 비타민 D2, 비타민 E 또는 토코페롤과 같은 지용성물질의 유성 용액, 리놀레산, 리놀렌산, 또는 아라키돈산과 같은 필수지방산, 세라미드, 지유성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예컨대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또는 지용성 태양 필터, 예컨대 신남산 에스테르,파라아미노벤조산 에스테르, 살리실산 에스테르, 벤조페논, 벤질리덴캄포 및 그의 유도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벤즈이미다졸 또는 베르갑텐과 또는 기타 그밖의 소랄렌(psoralen) 유도체와 같은 광활성 물질, 또는 몇가지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그밖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두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유중수(water-in-water)형 유제를 다음 단계로 이루어지는 접촉면 가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a) 가교될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식물성 폴리페놀류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성상을 제조하고,
b) 적절한 경우, 한가지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소수성상을 제조한 다음,
c) 상기 수성상을 상술한 소수성상에서 유화시킴으로써 수성상이 분산상을 형성하도록 소수성상으로 하여금 연속적인 상을 형성하게 하고,
d) 소수성상과 혼화되는 액체중에 용해된 가교제를 교반하면서 상기 유제에 첨가하여, 가교제와 수성상에 함유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류와의 접촉면 가교를 수행한 다음,
e) 적절한 반응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켜 가교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류로 이루어진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키고,
f) 이렇게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을 여하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집한다.
세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중유형 (oil-in-water) 유제를 다음 단계로 이루어지는 접촉면 가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a) 가교제가 용해되어 있는 소수성상을 제조하고,
b) 가교될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식물성 폴리페놀류의 혼합물, 및 적절한 경우, 한가지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상을 제조하고,
c) 상기 소수성상을 상술한 수성상에서 유화시킴으로써 소수성상이 분산상을 형성하도록 수성상으로 하여금 연속적인 상을 형성하게 하고,
d) 전체를 적절한 반응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켜 가교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류로 이루어진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킨 다음,
e) 이렇게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을 여하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집한다.
상기 두가지 공정중 어느 하나의 유화 단계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에 의해, 특히, 수성상과 소수성상의 해당 비율을 변화시키고 및/또는 소수성상 및/또는 수성상에 분산될 한가지 이상의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유중수형 유제는 Span 85 ⓡ와 같은 소르비탄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와 같은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에틸렌글리콜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함으로써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종유형 유제는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탄의 폴리에톡실화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Tween ⓡ, 특히 Tween 20 ⓡ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정범위에서 계면활성제가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유화 단계는 적절한 수단에 의한 교반, 특히, 기계적 교반이나 초음파교반, 또는 기타 고압 균질기, 예컨대, 700 bar 까지에서 작동하는 시판하는 균질기에 의한 교반과 함께 수행된다. 특히 미세한 방울들을 얻고자 할 경우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면 특히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과량의 가교제 및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마이크로캡슐 내에 캡슐화되지 않은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을 가교 후에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캡슐들을 원심분리, 따라내기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반응매질로부터 분리시킨다. 유중수형 유화단계를 거치는 경우, 초기 유제의 소수성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액체 중 한가지와 같은 소수성 액체 중에서 연속적으로 현탁시킴으로써 마이크로캡슐들을 세척한 다음, 순수한 또는 물로 희석한 에탄올이나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 이어서 물로 세척한다. 수중유형 유화단계를 거치는 경우, 마이크로캡슐을 물이나 적당한 수용액 중에서 세척한다.
상기 측면들의 한가지 또는 다른 방법들의 한가지 변형예에서, 단백질 및/또는 다당류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그의 제조시에 수성상에 첨가하는데, 이것에 의해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의 벽이 가교제에 의해 상기 단백질및/또는 상기 다당류 및/또는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공동-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들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폴리알킬렌 글리콜류,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마이크로캡슐의 수성상으로 혼입하면 이들 마이크로캡슐들의 친수성 (특히,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폴리페놀계 생성물이 비교적 소수성인 경우)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은 혼입된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성 매질 중에 존재할 경우, 이들 마이크로캡슐들은 구상(球狀)을 신속히 회복하여 매우 쉽게 분산가능한 침전물을 낸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교환이 용이하게 되어, 특히, 이로 인해, 외부 매질의 성분들이 막의 내면에 담지된 광능기와 보다 쉽게 접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알킬렌 글리콜,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마이크로캡슐 중에 존재하면 캡슐화된 수용성 분자의 체류가 개선될 수 있다.
이 방법들의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가교제는 이가산 할라이드, 특히 이가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며, 특히 세바코일 클로라이드, 석시닐 클로라이드, 아디포일 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또는 글루타릴 클로라이드와 같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가산 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가산 할라이드의 농도는 반응 매질의 총 중량에 대해 0.2 내지 10중량% 범위에 드는 것이 좋다.
또한, 반응시간은 사용된 반응물, 특히 이가산 할라이드, 그 중에서도 이가산 클로라이드의 특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할 수 있다. 반응시간은 일반적으로 5분 내지 2 시간이고 15분 내지 60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의 pH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범위인 것이 좋다. 이 반응 pH는 완충용액 또는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성 시약을 사용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액상 물질을 소수성상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바람직한 소수성 액상물질은 시클로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같은 할로겐화 또는 비-할로겐화된 탄화수소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또는 에틸 올리에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DRAGOCO사가 시판하는 상표명 Dragoxat ⓡ와 같은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올리브유, 스윗-아몬드유 또는 낙화생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 파라핀유와 같은 미네랄 오일, 및 이들 소수성 액상 물질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방법들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는, 특히 용액, 현탁액 또는 유제 형태의 한가지 이상의 활성 물질, 특히 태양광을 반사하는 불용성 미네랄 물질, 지용성 태양 필터와 같은 지용성 물질의 유성 용액 또는 오일을 분산될 상으로 혼입시켜 캡슐화된 액상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마이크로입자의 크기를 특히, l 마이크로미터 미만으로부터 1 밀리미터 이상의 크기 범위까지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0.1 μm(마이크로미터) 내지 3 mm 범위 내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갓 제조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은 수성상 또는 소수성 분산상을 함유하므로, 이들이 친수성 또는 각각, 소수성 담체에 혼입되는 것이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술한 마이크로캡슐들은 그 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친수성 담체를 함유하는 조제물 내로 직접 혼입될 수 있는 수성 현탁액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류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들은, 특히 동결건조에 의해 제조된 탈수된 형태를 취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신뢰할 수 있다.
따라서, 한가지 구체예에서, 상술한 마이크로캡슐들은 동결건조 분말 형태를 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교된 폴리페놀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은 재수화 후에 구형 모양을 쉽게 회복하는 동시에, 그의 초기 활성을 유지한다.
네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 특히 화장품 또는 제약 조성물, 특히 피부용 조성물, 식이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도 관계되며, 이들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의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폴리페놀의 마이크로캡슐의 농도는 최종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종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 범위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벽을 갖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은 식물성 폴리페놀의 초기활성을 보유한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그의 항-자유 래디칼 활성으로 인해 자유 래디칼포착제 (스캐빈저: scavenger)로서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이들 마이크로캡슐은 피부노화, 특히 화학작용에 의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 특히, 피부용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따라서, 다섯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자유 래디칼에 의한 피부노화, 특히, 화학작용에 의한 노화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인체의 화장용 또는 제약학적 치료방법, 특히, 피부과적 방법에도 관련되는 것으로서, 이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의 유효량을 임의로 화장용 또는 제약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운반체에 포함시켜, 자유 래디칼, 특히 화학적 노출의 결과 생기는 자유 래디칼의 작용에 민감한 피부 또는 모발 부위에 적용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치료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의 농도는 보통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범위가 될 것이다.
물론, 이들 조성물은 화장품, 약품, 식품 또는 식이제품에서 허용가능한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형태들은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진 형태들이다. 예컨대, 크림, 연고, 로션, 특히 헤어 로션, 젤, 밀크, 현탁액, 분말 및 젤라틴 캡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여섯번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한가지 이상의 식물성 폴리페놀을 혼입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도 관하며, 이 방법은 특히 시간 경과에따른 조성물의 여하한 색상변화와 관련한 해로운 작용을 방지하는 한편, 동시에 식물성 폴리페놀의 활성, 특히 항-자유 래디칼 및/또는 항산화 활성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술한 폴리페놀을 상술한 방법 증 한가지를 수행함으로써 얻어지거나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캡슐의 형태로 상기 조성물에 혼입시킨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특성의 범위 내에서 상이한 변형은 반복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모든 변형예를 포괄함과, 본 발명의 여러 특성들에 관한 설명이 반드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특성 및 장점들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제시된 모든 백분율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가교된 소나무 겁질의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PB PCO: pine bark procyanidolic oligomers)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a) 수성상의 제조
PB PCO (SARPAP) 300mg을 pH 11의 탄산염 완충액 3 ml에 용해시켰다.
b) 유화처리
이 용액 3 ml를 5% Span 85 ⓡ이 첨가된 시클로헥산 15 ml중에서 3000 rpm으로 교반함으로써 유화시켰다.
c) 가교제의 첨가
5분 후, 1:4 (v/v) 클로로포름/시클로헥산 혼합물 중의 TC (Janssen Chimica)의 5% (w/v) 용액 20 ml를 이 유제에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d) 세정
마이크로캡슐들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해내고 시클로헥산, 2% Tween 20ⓡ이 첨가된 95% 에탄올, 및 이어서 95% 알코올, 마지막으로 증류수 중에서 연속적으로 재현탁시킴으로써 세정하였다.
베이지 색의 마이크로캡슐 침전물이 얻어졌다. 이를 광학현미경으로 검사하자, 5 내지 20 μm 크기의 둥글고 투명하며 매혹적인, 매우 독립적인 마이크로캡슐이 관찰되었다. 이 마이크로캡슐은 동결건조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검사하자 연속적인 막을 갖는 분명히 구별되는 입자들이 보였다.
안정성: 수성 현탁액의 형태에서, 이 마이크로캡슐들은 +4℃에서 적어도 7개월, 20℃에서 적어도 3 1/2 개월, 그리고 +45℃에서 적어도 3 1/2 개월 저장될 수 있었다: 즉, 이 기간 동안 마이크로캡슐들은 고유하게 유지되고 그의 색상 역시 변하지 않고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동결건조된 마이크로캡슐들의 항-자유 래디칼 활성:
항-자유 래디칼 활성은 실시예 37에 설명된 활성 테스트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 테스트의 결과를 자유 래디칼 스캐빈져를 함유하지 않는 콘트롤 샘플에 대한 자유래디칼의 백분율 포착으로 표시한다. 또한, 항-자유 래디칼 활성의 보존, 즉, 자유 래디칼 포착 활성 역시 비-가교 플라보노이드류, 즉, 이 경우, 포도씨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 grape seed procyanidolic oligomers)의 경우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상세한 설명 말미의 표 Ⅱ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 실시예의 마이크로캡슐의 항-자유 래디칼 활성은 81 ± 4%로서, 이것은 GS PCO의 항-자유 래디칼 활성인 91 ± 2%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이것은 플라보노이드류의 초기 활성이 가교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2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가교된 소나무 껍질의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PB PCO: pine bark procyanidolic oligomers)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a) 수성상의 제조
PB PCO (SARPAP) 300mg을 pH 9.8의 탄산염 완충액 3 ml에 용해시켰다.
b) 유화처리
이 용액 3 ml를 5% Span 85ⓡ이 첨가된 시클로헥산 15 ml 중에서 3000 rpm으로 교반함으로써 유화시켰다.
c) 가교제의 첨가
5분 후, 1:4 (v/v) 클로로포름/시클로헥산 혼합물 중의 TC (Janssen Chimica)의 2.5% (w/v)용액 20 ml를 이 유제에 첨가하고 30분간 교반시켰다.
평균 직경이 30 μm인 투명한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담황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이 마이크로캡슐들은 20℃에서 수성 현탁액으로서 1년 저장한 후에도 그 활성을 유지하였다. 이들의 색상은 변하지 않았으며 상등액은 완전히 무색이었다.
실시예 3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공동-가교된 소의 혈청알부민 (BSA: bovine serum albumin)과 소나무 껍질의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PB PCO: pine bark procyanidolic oligomers)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pH 11의 완충액 중 10% PB PCO와 5% BSA(Fraction V, Sigma)를 함유하는 용액을 이용함으로써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내지 10 μm인 친화적이고(attractive) 독립적인 마이크로캡슐로 형성된 베이지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안정성: 마이크로 입자들은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4℃에서 적어도 7개월, 20℃에서 적어도 1개월, 그리고 +45℃에서 적어도 3주일간 저장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은 고유하게 유지되었고, 그 색상은 변치않고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동결건조된 마이크로캡슐에 미치는 항-자유 래디칼 활성의 측정 결과: 포착은 51 ± 1%였다 (표 Ⅱ 참조).
실시예 4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가교된 오브알부민 및 소나무 껍질의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PB PCO)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탄산염 완충액 중 10% PB PCO와 5% 오브알부민 (Sigma)을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10 내지 80 μm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5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가교된 포도 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pH 11와 완충액 중 포도씨앗 프로시아니돌계 폴리머(GS PCO, SARPAP)의 10%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 25 μm의 친화성있는, 구형의 투명한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담황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주사전자현미경 검색 결과 연속적인 막을 갖는 독립적인 입자들로 관찰되었다.
안정성: 마이크로입자들은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4℃에서 적어도 6개월, 20℃에서 적어도 1개월, 그리고 +45℃에서 적어도 3주일간 저장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은 고유하게 유지되었고, 그 색상은 변치않고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동결건조된 마이크로캡슐에 미치는 항-자유 래디칼 활성의 측정 결과: 포착은은 71 ± 2%였다 (표 Ⅱ 참조).
실시예 6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공동-가교된 유장(乳漿) 단백질 및 포도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pH 11의 완충액 중 5% 유장 단백질 농축물(Prosobel S65E, Bel Industries)과 10% 포도 씨앗 프로시아니돌계 폴리머 (GS PCO, SARPAP)를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 20 μm의 구형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부피가 큰 담황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주사전자현미경 검색 결과 연속적인 막을 갖는 독립적인 입자들로관찰되었다.
안정성: 마이크로 입자들은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4℃에서 적어도 7개월, 20℃에서 적어도 1개월, 그리고 +45℃에서 적어도 3주일간 저장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은 고유하게 유지되었고, 그 색상은 변치않고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동결건조된 마이크로캡슐에 미치는 항-자유 래디칼 활성의 측정 결과: 포착은 83 ± 1%였다 (표 Ⅱ 참조).
실시예 7
세바코일 클로라이드 (SC: sebacoyl chloride)와 가교된 포도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a) 수성상의 제조
2M 수산화나트륨 3 ml 중 GS PCO (SARPAP) 300 mg을 용해시켰다.
b) 유화
이 용액 3 ml를 5% Span 85ⓡ이 첨가된 시클로헥산 15 ml 중에서 3000 rpm에서 교반시킴으로써 유화시켰다.
c) 가교제 첨가
5분 후, 1:4 (v/v) 클로로포름/시클로헥산 혼합물 중 SC (SIGMA)의 5% (v/v) 용액 20ml를 유제에 첨가하고 30분간 계속 교반시켰다.
d) 세정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세정하였다.
직경 5 - 15 μm의 마이크로캡슐이 얻어졌다. 주사 전자현미경 검색 결과 연속적인 막을 갖는 독립적인 입자들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8
세바코일 클로라이드(SC)와 공동-가교된 유장 단백질 및 포도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2M의 수산화나트륨 중 5% 유장단백질 농축물(Prosobel S65E, Bel Industries)과 10% GS PCO를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7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10 - 20 μm의 친화성있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부피가 큰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9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가교된 카테콜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2M의 수산화나트륨 중 10% 카테콜 ((+)-카테콜, SIGM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 15 μm의 친화성있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황토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안정성: 마이크로입자들은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20℃에서 적어도 1개월, 그리고 +45℃에서 적어도 3주일간 저장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은 고유하게 유지되었고, 그 색상은 변치않고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동결건조된 마이크로캡슐에 미치는 항-자유 래디칼 활성의 측정 결과: 포착은 79 ± 3%였다 (표 Ⅱ 참조).
실시예 10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공동-가교된 오브알부민 및 카테콜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2M의 수산화나트륨 중 2% 알부민 (SIGMA)와 10% 카테콜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10 - 20 μm의 독립적인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11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와 공동-가교된 유장 단백질 및 카테콜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2M의 수산화나트륨 중 3% 유장 단백질 농축물(Prosobel S65E, Bel Industries)과 10% 카테콜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 20 μm의 친화성있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부피가 큰 황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안정성: 마이크로입자들은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20℃에서 적어도 1개월, 그리고 +45℃에서 적어도 3주일간 저장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은 고유하게 유지되었고, 그 색상은 변치않고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동결건조된 마이크로캡슐에 미치는 항-자유 래디칼 활성의 측정 결과: 포착은 64 ± 5%이었다.
실시예 12
세바코일 클로라이드 (SC)와 가교된 카테콜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2M의 수산화나트륨 중 10% 카테콜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7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 15 μm의 마이크로캡슐이 얻어졌다.
실시예 13
세바코일 클로라이드 (SC)와 공동-가교된 오브알부민 및 카테콜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2M의 수산화나트륨 중 2% 오브알부민과 10% 카테콜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7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 20 μm의 친화적인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부피가 큰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14
세바코일 클로라이드(SC)와 공동-가교된 유단백질 및 카테콜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의 제조:
우유(Viva, CANDIA) 4 ml를 6M 수산화나트륨 2 mL와 혼합하였다. 카테콜을 10% 농도로 하여 이 용액에 용해시킨다.
얻어진 용액 3 ml를 실시예 7에 설명된 조건 하에서 유화시키는데 이용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교 및 세정시켰다.
직경 5 - 25 μm의 친화성있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부피가 큰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15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C)와 가교된 포도 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pH 11의 완충액 중 포도 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Leucocianidine, INDENA)의 10% 용액을 사용하고 5000 rpm의 교반 속도로 교반시켜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마이크로캡슐들을 시클로헥산, 2% Tween 20 ⓡ이 첨가된 95% 에탄올, 메탄올 및 마지막으로 증류수에서 세정하였다.
친화성있는 구형의 투명한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황갈색의 침전물이 얻어졌다. Coulter LS 100 그래뉼로미터 (Coultronics)로 측정된 평균직경은 6.57 μm ± 0.25 였다.
안정성: 마이크로입자들은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4℃, 20 및 45℃에서 적어도 5개월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은 고유하게 유지되고, 그 색상은 변치않고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증류수에 현탁된 갓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에 미치는 항-자유 래디칼 활성의 측정(마이크로캡슐의 건조 중량 약 0.7%의 농도): 표 Ⅱ 참조.
실시예 16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C)와 공동-가교된 덱스트란 및 포도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수성상으로서 pH11의 완충액 중 5% 덱스트란 (평균 분자랑 41,600, Sigma) 및 10% GS PCO (Leucocianidine, INDENA)를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5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5 - 15 μm의 친화성있고, 독립적이며, 투명하고 두꺼운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황갈색의 침전물이 얻어졌다. 수성 현탁액으로서, 이 마이크로캡슐들은 20℃에서 적어도 6주일간 저장될 수 있다. 상등액은 무색으로 남아있었다.
실시예 17
건조한 블루베리 추출물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로부터의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안토시아니딘 (INDENA) 15%에 해당하는 양으로 안토시아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건조한 수성-알코올성 블루베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수성상으로서 pH 11의 완충액 중 이 추출물의 10%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맑아 보이는 막을 갖는, 직경 2 내지 15 μm의 친화성있는 투명한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적자색 침전물을 얻었다. 마이크로캡슐들은 물에 매우 쉽게 녹아 균질한 색상의 현탁액이 되었다. 이것은 피부에 적용될 때 얼룩을 남기지 않았다. 침강 후, 현탁액은 무색의 상등액을 남겼다. 20℃ 또는 45℃에서 15일 저장 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적포도즙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로부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1 ml를 포도즙 ("Raisin rouge, pur jus", BONNETRERE) 2ml에 첨가하였다.
수성상으로서 이 혼합물을 이용하고 5000 rpm의 속도에서 교반시켜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롤을 적용하였다.
직경 1 내지 4 μm의 얇은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회백색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19
적포도즙 동결건조물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로부터의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포도즙 ("Raisin rouge, pur jus", BONNETERRE)의 동결건조물을 제조하였다. pH 11의 완충액 중 이 동결건조물의 15%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투명해 보이는 막을 갖는, 직경 10 내지 30 μm의 친화성있는 투명한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베이지색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20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C)와 까막까치밥나무 즙으로부터의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1 ml를 까막까치밥나무 즙("Nectar de cassis", EDEN) 2 ml에 첨가하였다.
수성상으로서 이 혼합물을 사용하여 5000 rpm에서 교반시켜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시켰다.
얇은 벽을 갖는 직경 2 내지 5 μm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엷은 핑크색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21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 및 적포도주로부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1 ml를 적포도주(Bordeaux: Chateau Grave de Blanquet, 1989) 2ml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고 5000 rpm의 속도에서 교반시켜 실시예 1에 설명진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1 내지 3 μm의 매우 작은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옅은 핑크색 잔사를 얻었다.
실시예 22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분말화된 포도껍질 추출물로부터의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중 분말화된 포도 껍질 추출물 ("Biocon grape skin extract powder", QUEST Intemational)의 10% 용액을 제조하였다.
2.5% TC용액과 이 혼합물을 수성상으로서 이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5 내지 30 μm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짙은 보라색의 잔사를 얻었다. 이 마이크로캡슐들은 물에 쉽게 분산되어 피부에 얼룩을 남기지 않는 균질한 적자색 현탁액으로 되었다. 침강 후, 현탁액은 무색의 상등액을 남겼다.
4℃ 또는 45℃에서 1개월 후, 마이크로캡슐의 수성 현탁액의 상등액은 여전히 무색이었고 마이크로캡슐의 잔사를 여전히 짙은 자주색이었다.
실시예 23
건조한 블루베리 추출물,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C)로부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안토시아니딘(INDENA) 15%에 해당하는 양으로 안토시아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건조한 수성-알코올성 블루베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pH 11의 완충액 중 GS PCO(Leucocianidine, INDENA) 5% 및 이 추출물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수성상으로서 이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물에 쉽게 분산되어 균질한 색상을 갖는 현탁액으로 되는, 직경 5 내지 15 μm의 라스베리-적색 마이크로캡슐의 잔사를 얻었다. 침강 후, 상등액은 무색이었다,
실시예 24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가교된 포도 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 구성되고, 오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중 GS PCO (SARPAP)의 10% 용액을 제조하였다. 5000 rpm에서 2분간 교반시킴으로써 이 용액 12 ml 중에 올리브유 2ml를 유화시켰다.
이어서 교반 속도를 3000 rpm으로 저하시키고 5% Span 85ⓡ을 함유하는 시클로헥산 60 ml을 첨가하였다.
3분간 교반한 후, 1:4 (v/v) 클로로포름/시클로헥산 혼합물 중 TC의 5% (w/v) 용액을 유제에 첨가하여 30분간 교반시켰다.
반응 매질을 시클로헥산 50ml를 첨가함으로써 희석시킨 다음 원심분리에 의해 마이크로캡슐을 분리하고 시클로헥산, 2% Tween 20ⓡ이 첨가된 물, 마지막으로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수면 위에 부유하는 황갈색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현미경 검사 결과 밝은 굴정성 방울들을 함유하는 구형의 소포(小胞)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25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카탈라제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C)로부터의 마이크로캡슐 제조
pH 11의 완충액 중 GS PCO (Leucocianidine, INDENA) 10% 및 카탈라제(소의 간으로부터, C-10, SIGMA) 3%를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1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10 내지 30μm의 친화성있는 황갈색의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갓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소량을 주걱으로 제거하여 110배 부피의 과산화수소와 접촉시키면, 풍부한 거품이 즉시 관찰되는데, 이는 마이크로캡슐에 함유된 카탈라제가 효소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실시예 26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C)와 가교된 카페인산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카페인산 (Sigma) 600mg을 pH 9.8의 완충액 6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5% Span 85ⓡ이 첨가된 30ml의 시클로헥산 중, 5000 rpm에서 교반시킴으로써 유화시켰다. 5분 후, 1:4 (v/v) 클로로포름/시클로헥산 혼합물 중 TC의 5% (w/v) 용액 40ml를 이 유제에 첨가하고 30분간 교반시켰다. 이어서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시클로헥산 40ml를 반응 매질에 첨가하였다.
세정 후, 직경 2 - 10μm, 맑은 내용물 및 날카롭게 정의된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크림빛이 도는 흰색의 침전물을 얻었다. 동결건조 후 백색 분말이 얻어졌다. 재수화된 분말을 현미경으로 검사하자 고유의 구형 마이크로캡슐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7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와 가교된 플로로글루시놀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중 플로로글루시놀 (Sigma)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이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과립상 내용물을 갖는, 직경 2 - 10μm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백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28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와 가교된 프로토카테츄인산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중 프로토카테츄인산(Sigma)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2 내지 10μm의, 맑은 내용물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백색의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29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와 가교된 DL-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DL-DOPA)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9.8의 완충액 중 DL-DOPA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2 - 10 μm의, 과립상 함유물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카키색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30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와 가교된 쿠르쿠민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1M 수산화나트륨 중 10% 쿠르쿠민을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맑은 내용물을 갖는, 직경 2 - 10μm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밝은 황색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31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와 가교된 엘라진산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중 엘라진산(Sigma)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10 - 15μm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녹갈색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32
실리마린으로부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3M 수산화나트륨 중 실리마린(Silimarina/S, Indena)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2 - 8μm의 불규칙한 모양을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밝은 오렌지색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33
1M 수산화나트륨 중 10% 루틴(rutin) (삼수화물, Sigma)을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서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직경 3 - 5 μm의 구형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오렌지색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34
은행나무 추출물로부터의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3M 수산화나트륨 중 건조한 은행나무(Gingko biloba) 추출물(INDENA)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평균 직경이 10.79 μm (Coulter LS 100ⓡ 그래뉼로미터, Coultronics)인 불규칙한 형상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로우 벌크 (lowbulk)의 베이지색의 콤팩트한 침전물을 얻었다.
실시예 35
폴리에틸렌 글리콜 첨가와 함께 은행나무 추출물로부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5% v/v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200, Sigma]을 함유하는 3M 수산화나트륨 중 건조한 은행나무 추출물 (Indena) 10%를 함유하는 용액을 수성상으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26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평균 직경 27.94 μm (Coulter LS 100ⓡ 그래뉼로미터로 측정, Coultronics)인 완전히 구형인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부피가 큰 베이지색 침전물을 얻었다.
이 실시예는 수성상에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하면 마이크로캡슐의 친수성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6
오일을 함유하고 세바코일 클로라이드와 자교된 포도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GS PCO)로부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H 11의 완충액 중 GS PCO 15%를 함유하는 수성상을 제조하였다. 올리브유 6ml에 세바코일 클로라이드 0.3ml를 첨가함으로써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5000 rpm 에서 교반시킴으로써, 분산상으로서 사용된 이 오일상 3ml 수성상 10ml에서 유화시켰다.
반응을 60분간 계속시켰다.
증류수 100ml를 첨가함으로써 매질을 희석하였다. 이어서 마이크로캡슐을 분리하고 물로 세정하였다.
직경 10 - 30 μm의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크림빛이 도는 백색의 상등액득 얻었다. 현미경 검색 결과 각각의 기름 방울이 막에 갇혀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물에 분산될 경우, 마이크로캡슐들은 45℃의 오븐에서 적어도 2개월간 안정하였으며; 마이크로캡슐은 고유하게 유지되고 물은 무색이었다.
실시에 37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항-자유래디칼 활성의 입증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마이크로캡슐들의 자유래디칼을 포착하는(scavange)하는 능력을 시험하였다.
이용된 테스트법은 소위 "NBT"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륨: nitro blue tetrazolium)테스트로서, 그 원리는 효소적 하이포잔틴-잔틴 옥시다제계로부터 형성된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O2 -와의 반응에 의해 NBT가 푸른색 염료, 즉 포르마잔 블루로 환원되는 것을 이용한다. 잔틴 옥시다제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의 형성과 함께 하이포잔틴이 잔틴으로, 이어서 요산으로 산화되는 것을 촉매한다. 반응 매질에 도입된 시험 화합물이 항 자유 래디칼 활성을 갖는다면, 이것은 수퍼 옥사이드 음이온을 "포착"함으로써, 푸른색 염료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이 테스트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며 특히 DE LAMIRANDEE. 외, Fertility and Sterility, 1993, 59 (6) 1291-5; Ramesh Chander 외, Biochemical Pharmacology, 1992, 44 (1), 180-183에 설명되어 있다.
포르마잔 블루의 형성은 비색적으로, 즉, 560nm 파장에서의 UV-가시 광도계를 사용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시간에 대한 함수로서의 이 염료의 형성은 최초 5분간 선형이다. 따라서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의 환원활성은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로서 표시될 것이다. 이 기울기와 자유래디컬 "스캐빈저"를 함유하지 않는 콘트롤의 기울기와를 비교함으로써 테스트 물질의 포착 효과의 효능을 확립할 수 있다.
공정
1 - 시약:
[T]: Tris-HCl 완충액, 0.05M, pH 7.4 (TRIZMA PRE-SET pH 결정, SIGMA)
[N]: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10-3M (Ⅲ 등급, SIGMA), [T] 중에서 제조됨.
[H]: 하이포잔틴, 0.5.10-2M, [T] 중에서 제조됨
[X.O]: 잔틴 옥시다제, 1.67 U/ml, [T] 중에서 제조됨
하이포잔틴과 잔틴 옥시다제 용액을 제조 즉시 사용하였다; NBT 용액은 암실의 +4℃ 냉장고 중에서 수일간 저장할 수 있다.
2 - 샘플의 제조:
테스트 제품, 즉, 본 발명에 따라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의 마이크로캡슐들을 완충액 1 ml 당 제품 1 mg의 농도로 하여 용액 [T]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사용된 마이크로캡슐들을 동결건조시켜 완충액 용액에 직접 분산시키거나,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갓 제조된 현탁액으로부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비교 실험으로서, 동일한 식물성 폴리페놀 (그러나 가교되지는 않은)을 [T] 중 1mg/ml의 농도의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3 - 장치:
기록기에 연결된 UV-가시광 타잎의 광도계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파장은 560nm로 하였다.
4 - 수행
각각의 제품 분석을 위해, 상술한 시약 및 테스트 제품의 분산제 및 용액으로부터 세가지 광도계 셀을 준비하였다. 이 셀들의 내용물을 다음 표 I에 요약하였다. 표에서 제품 또는 시약의 양은 ml 단위이다.
표 1
[E]: 연구대상 샘플.
균질화 후 이 용액들을 25 ± 1℃에서 20분간 주변 공기로 평형시켰다. 20분 후, 각 셀들을 5분동안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셀 0은 직접 기록하였다.
셀 1과 셀 2의 기록은 잔틴 옥시다제 용액 0.1 ml가 반응 매질에 첨가되기 직전까지 개시하지 않았다.
더욱 정확히는, 셀 2는 정확한 시간에, 예컨대 효소 도입 후 2, 3, 4, 또는 5분 후에 기록한다. 광도측정을 하기 전에, 셀 내에 함유된 용액으로부터 예컨대원심분리에 의해 마이크로캡슐을 제거하는데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실험 개시 당시, 서로 다른 소망 시간대에 광도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셀 2를 충분한 수만큼 준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셀 0의 광도 기록은 평균 기울기 P0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0에 매우 가까운 값이다. 셀1의 값은 평균 기울기 P1이었고 100%, 즉,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O2 -의 최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셀 2의 경우는 평균 기울기 P2로서, 이 값은 P0과 P1의 중간값이었다. 이 기울기는 분석된 물질의 "포착 효과"에 기인한 저해를 나타내는 것이다.
백분율 저해 "A"를 다음 방정식으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분석에 대해 세가지 테스트를 수행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이들 평균치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Ⅱ
GS PCO = 포도씨앗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머
각주: 테스트된 모든 마이크로캡슐들은 갓 제조된 현탁액으로부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실시예 15의 마이크로캡슐의 경우를 제외하곤 모두 미리 동결건조시켜 테스트하였다.
이 결과는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들이 놀랍게도, 항-자유래디칼 활성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강도로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들은 이들이 유래된 식물성 폴리페놀의 활성을 유지하였으며 여러 조성물, 특히 화장품 또는 제약 조성물등의 여러 조성물에서 고도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목적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의 여러가지 조성물, 특히 피부용 조성물의 여러가지 조성예를 다음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8
화장품 또는 제약 조성물을 위한 기초 조성물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8, 15 또는 16 중 어느 한가지에 따라 재조된, 가교된 PCO의 동결건조된 마이크로캡슐들을 예컨대 Laboratoires Roche Posay사가 상표명 "천연 콜드 크림 (natural cold cream)"으로 시판하는 유성의 부형제와 같은 기름기 있는 부형제 중에 0.1%의 농도로 분산시켰다. 마이크로캡슐들은 부형제 중에 매우 쉽게 분산되어 매우 옅은 분홍색상을 띠는 균질한 외관을 갖는 조제물로 되었다.
이 조성물은 특히 안정하였다.
실시예 39
보호용 젤 형태의 조성물
이 조성물은 다음 중량백분율을 성분을 갖는다:
제조 공정:
첫번째 단계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방부제를 물, 이어서 Carbomer 940에 분산시킴으로써 Carbomer 940 겔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어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중화시켰다. 알코올을 첨가한 다음, 마지막으로 마이크로캡슐을 교반하면저 첨가하여 젤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이 젤을 예컨대 얼굴이나 손과 같은 피부에 적용한 다음 크림 및/또는 메이크-업하면 된다.
실시예 40
데이 크림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
이 조성물은 다음의 세가지 상 A, B 및 C로 구성된다:
제조 공정: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성상 (A상)을 제조하고 이 혼합물을 85℃로 가열하였다.
수성상 (B상)을 다음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 물을 85℃로 가열하고 방부제를 여기에 용해시킨 다음
- Carbomer 940을 분산시키고 온도를 85℃로 유지하였다.
수성상 B를 YSTRALⓡ 타잎의 교반 믹서 중에서 유성상A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온도가 70℃에 달하면, 혼합물을 C상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이어서 GS PCO (D상)의 마이크로캡슐 현탁액을 40℃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한편 계속 교반하고 향료를 35℃ (E상)에서 첨가하였다. 수중유형 유제가 실온에 달할 때까지 계속 교반시켰다.
이 크림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오븐에서 40℃로 유지시킬 경우, 1개월 후에도 색상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는데, 이는 A, B, C 및 E상 으로부터 제조되고 비-가교 PCO를 함유한 콘트롤 크림 샘플을 동일 조건에 처하게 한 경우와 대조적인 것이다.
피부, 예컨대 얼굴 또는 손에 직접 바를 수 있는 데이 크림을 이렇게 얻는다.

Claims (35)

  1.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들과 가교제 간의 접촉면 가교 수단에 의해 가교된 한가지 이상의 식물성 폴리페놀들로 이루어진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단백질, 다당류,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이 상술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들과 공동-가교된 단백질, 다당류,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술한 단백질이 효소 활성과 같은 특이적인 생물활성을 가짐으로 해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들의 고유한 활성에 이 활성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술한 식물성 폴리페놀들이 플라보노이드류, 이소플라보노이드류, 네오플라보노이드류, 갈로탄닌류 및 엘라고탄닌류, 카테콜 및 그의 유도체, 카테콜아민류, 플로로글루시놀, 페놀산, 페놀산유도체, 쿠르쿠민, 폴리히드록실화된 쿠마린류, 폴리히드록실화된 리그난류 또는 네오리그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식물성 폴리페놀류, 또는 한가지 이상의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이고, 상술한 모든 폴리페놀류가 식물, 또는 추출물, 정기류, 과즙 또는 과실주와 같은 식물의 일부로부터 얻어진 조제물 형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술한 플라보노이드류가 플라본, 플라보놀, 플라본 또는 플라보놀 헤테로사이드 및 그들의 유도체, 플라바논, 플라바논 헤테로사이드, 플라바논 유도체, 바이플라보노이드, 플라본 또는 플라바논 이량체, 칼콘, 플라바논올, 플라반-3-올, 일반적으로 "프로안토시아니딘"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거나 또는 "중합된 탄닌"이라는 표현으로 알려진 플라반-3-올의 기본 구조 단위로 형성된 폴리머, 또는 안토시아노사이드, 또는 한가지 이상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7. 제 6 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류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여러가지 감귤류(Cytrus)(루타세아에:Rutaceae)로부터 추출된 시트로플라보노이드류의 혼합물,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콤포지타에:Compositae) 또는 실리마린으로부터 추출된 플라보노이드류의 혼합물, 징코 빌로바(Ginsko biloba)(징코아세아에:Gingkoaceae), 안토시아노사이드가 풍부한 블루베리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 열매, 포도껍질 또는 적포도잎, 포도 또는 까막까치밥나무 열매의 과즙 자체 또는 분쇄 또는 동결건조에 의해 농축 또는 탈수된 형태, 또는 그의 다양한 혼합물로 된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이 알부민류, 글로불린류, 피브리노겐, 카제인, 식물성 단백질, 용해된 경질 단백질, 콜라겐, 아텔로콜라겐, 젤라틴, 젤라틴 가수분해물, 펩톤, 헤모글로빈, 효소, 친수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혼합물, 유청 단백질, 콩가루 및 아텔로콜라겐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당류가 덱스트란, 알긴산 및 그의 수용성염, 소듐 알기네이트, 식물성 검류, 카라기난류, 펙틴류, 가용성 전분유도체, 가용성 셀룰로스 유도체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술한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폴리에틸렌 글리콜류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의 수성상이 수성상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40 중량%의 식물성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유제를 접촉면 가교 처리함으로써 얻어지고, 여기서, 상술한 단백질, 다당류,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가 존재할 경우, 수성상 중의 이 물질 또는 물질들의 총 농도는 수성상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 중량% 범위인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가지 이상의 수용성, 지용성 또는 불용성 활성물질들을 용액, 현탁액, 또는 유제 형태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13. 제 12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에 혼입된 상술한 활성물질들이 태양광을 반사하는 미네랄 물질, 식물성 오일, 탈취된 생선의 간유, 또는 지용성 물질의 유성 용액, 필수지방산, 세라미드, 지용성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또는 지용성 태양 필터, 광활성 물질 또는 몇가지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그밖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이 0.1 ㎛ 내지 3 mm 범위인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15. 유중수(watwe-in-oil)형 유제를 다음의 필수 단계로 이루어지는 접촉면 가교 처리시키는 것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a) 가교될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식물성 폴리페놀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성상을 제조하고,
    b) 적절한 경우, 한가지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소수성상을 제조한 다음,
    c) 상기 수성상을 상술한 소수성상에서 유화시킴으로써 수성상이 분산상을 형성하도록 소수성상으로 하여금 연속적인 상을 형성하게 하고,
    d) 소수성상과 혼화되는 액체중에 유해된 가교제를 교반하면서 상기 유제에 첨가하여, 가교제와 수성상에 함유된 식물성 폴리패놀 또는 폴리페놀류와의 접촉면 가교를 수행한 다음,
    e) 적절한 반응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켜 가교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류로 이루어진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키고,
    f) 이렇게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을 여하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집한다.
  16. 수중유형(oil-in-water) 유제를 다음의 필수 단계로 이루어지는 접촉면 가교 처리시키는 것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a) 가교제가 용해되어 있는 소수성상을 제조하고,
    b) 가교될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식물성 폴리패놀류의 혼합물, 및 적절한 경우, 한가지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상을 제조하고,
    c) 상기 소수성상을 상술한 수성상에서 유화시킴으로써 소수성상이 분산상을 형성하도록 수성상으로 하여금 연속적인 상을 형성하게 하고,
    d) 전체를 적절한 반응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켜 가교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류로 이루어진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킨 다음,
    c) 이렇게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을 여하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집한다.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수성상 제조시 단백질, 다당류,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수성상애 첨가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과량의 가교제 및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되지 않은 식물성 폴리페놀 또는 플리페놀들을 제거하기 위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세정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9.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을 동결건조시키는 것이 특징인 방법.
  20.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이가산 할라이드인 것이 특징인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이가산 할라이드가 반응 매질의 총 중량에 대해 0.2 내지 10 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22.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반응의 pH가 8 내지 14 범위이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성 시약 용액 또는 완충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pH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23.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상과 혼합가능한 소수성상이 시클로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메탄 같은 할로겐화 또는 비-할로겐화된 탄화수소류,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에틸 올리에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상표명 Dragoxat?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혼합물, 올리브유, 스욋-아몬드유 또는 낙화생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 파라핀유와 같은 미네랄 오일, 및 이들 소수성 액상 물절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소수성 액상물질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24.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한가지 이상의 활성물질을 용액, 현탁액 또는 유제 형태로 하여 분산된 상에 혼입시켜, 캡슐화될 액상을 형성시키는 것이 특징인 방법.
  25. 제 1 항에서 정의되거나,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의 농도가 최종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27. 제 25 항에 있어서,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된 당시의 그대로의 마이크로캡슐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인 조성물.
  28. 제 25 항에 있어서,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이 탈수된 형태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29. 제 25 항에 있어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 것이 특징인 조성물.
  30. 화장용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매체에 함유된, 제 1항에서 정의된 가교된 식물성 폴리페놀 벽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의 유효량을 자유 래디칼의 작용에 민감한 피부 또는 모발 부위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피부노화를 예방하기 위한 화장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의 농도가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 보통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특징인 화장법.
  32. 식물성 폴리페놀의 활성을 보존하는 중시에, 모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페놀들을 제 1 항에서 정의되거나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마이크로캡슐 형태로 상기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가지 이상의 식물성 폴리페놀이 함유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 식이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식물성 폴리페놀에 의하여 보존되는 활성이 항-자유 래디칼, 항산화 활성 또는 상기 두 활성 모두인 것이 특징인 방법.
  35. 제 6 항에 있어서, 상술한 플라반-3-올의 기본 구조 단위로 형성된 폴리머가 2 내지 8 개의 플라반-3-올의 기본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프로시아니돌계 올리고(procyanidolic oligomer, PCO)"라고 칭해지는 올리고머인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캡슐.
KR1019950704261A 1994-02-02 1995-02-01 가교된식물성폴리페놀벽을갖는마이크로캡슐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KR100382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1146 1994-02-02
FR9401146A FR2715582B1 (fr) 1994-02-02 1994-02-02 Microcapsules à paroi de flavonoïde réticulée et compositions en cont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2044B1 true KR100382044B1 (ko) 2003-07-23

Family

ID=945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261A KR100382044B1 (ko) 1994-02-02 1995-02-01 가교된식물성폴리페놀벽을갖는마이크로캡슐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780060A (ko)
EP (1) EP0691886B1 (ko)
JP (1) JP3583133B2 (ko)
KR (1) KR100382044B1 (ko)
AU (1) AU690215B2 (ko)
CA (1) CA2159353C (ko)
DE (1) DE69509309T2 (ko)
ES (1) ES2130594T3 (ko)
FR (1) FR2715582B1 (ko)
GR (1) GR3030153T3 (ko)
MX (1) MX9504117A (ko)
WO (1) WO19950210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504A (ko) * 2002-10-22 2004-04-29 이환업 해독, 항산화 기능 작용, 흡연 억제 기능 작용을 하는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0515923B1 (ko) * 2002-10-22 2005-09-21 이환업 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1775727B1 (ko) * 2010-12-15 2017-09-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알킬렌글리콜-링커-폴리에스터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1719A (en) 1993-03-09 1999-11-09 Epic Therapeutics, Inc. Macromolecular microparticle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US6090925A (en) 1993-03-09 2000-07-18 Epic Therapeutics, Inc. Macromolecular microparticle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JP3625940B2 (ja) * 1996-01-29 2005-03-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系液の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SK35599A3 (en) * 1996-09-20 1999-08-06 Howard Foundation Dry composition with flavonol content, a beverage containing such composition and its use
US6238673B1 (en) 1996-09-20 2001-05-29 The Howard Foundation Method of producing high flavonol content polyphenol compositions
US6569446B1 (en) 1996-09-20 2003-05-27 The Howard Foundation Solubilization of flavonols
FR2755015B1 (fr) * 1996-10-25 1998-12-24 Sod Conseils Rech Applic Utilisation d'un extrait flavonoidique de ginkgo biloba substantiellement depourvu de terpenes, dans le domaine buccodentaire, et composition contenant un tel extrait
EP0993302B1 (en) * 1997-06-23 2006-11-02 Naturex Inc. Storage stable, citrus-flavored composi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FR2765106B1 (fr) * 1997-06-27 2000-12-15 Dior Christian Parfums Utilisation de tanins reticules en presence de proteines non reticulees avec les tanins comme agents cosmetiques pour ameliorer le lissage de la peau et/ou pour l'obtention d'un effet astringent
JP3547981B2 (ja) * 1997-07-15 2004-07-28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蛋白食品
FR2768927B1 (fr) * 1997-10-01 2000-01-21 Lvmh Rech Utilisation de l'acide ellagique, de ses sels, de ses complexes metalliques, de ses derives mono- ou poly-ethers, mono- ou poly-acyles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PT1032361E (pt) * 1997-11-19 2002-09-30 Flavone Sunproducts As Composicao compreendendo um ou mais flavonoides metodo para a obtencao dessa composicao e sua utilizacao como agente absorvente de uv
JPH11171722A (ja) * 1997-12-09 1999-06-29 Sunstar Inc 皮膚外用剤
FR2778102B1 (fr) * 1998-04-29 2001-04-06 Pharmascience Lab Utilisation d'oligomeres procyanidoliques (opc) ou d'anthocyanosides a titre d'agents anti-urease
FR2778663B1 (fr) 1998-05-15 2001-05-18 Coletica Nouveaux esters de flavonoides,leur utilisation en cosmetique, dermopharmacie, en pharmacie et en agro-alimentaire
BR9914814A (pt) 1998-10-30 2001-07-03 Merck Patent Gmbh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luteolina e derivados de luteolina
DE19850283C2 (de) * 1998-10-30 2003-04-03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uteolin und Luteolin-Derivaten, diese enthaltende Nahrungsmittel und kosmetische Formulierungen sowie Tri(hydroxyalkyl)luteoline
US20040228816A1 (en) * 1998-12-30 2004-11-18 Carine Nizard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ctive agent which stimulates synthesis of the protein HSP 32 in the skin
US6190716B1 (en) * 1999-02-17 2001-02-20 Scott O. Galbreath, Jr. Method for preparing a grape derived product
WO2000051562A1 (en) * 1999-03-03 2000-09-08 Shiseido Company, Ltd. Matrix metalloprotease inhibitor and utilization thereof
CA2266174A1 (en) * 1999-03-18 2000-09-18 Hemosol Inc. Hemoglobin-antioxidant conjugates
JP4082823B2 (ja) * 1999-05-06 2008-04-3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光毒性抑制剤
US6340478B1 (en) * 1999-06-07 2002-01-22 Bio Dar Ltd. Microencapsulated and controlled-release herbal formulations
WO2001011988A2 (en) * 1999-08-13 2001-02-22 Dry Creek Nutrition, Inc. Novel polyphenolic polymeric compositions, method of their isolation, and a method of altering and improving taste characteristics of edible consumables
IL131508A (en) 1999-08-19 2006-12-10 David Cohen Micronexulatory formulations and controlled dispersion of isoflavins from rich masses of sesame and other plants
JP3260134B2 (ja) * 1999-10-08 2002-02-25 信孝 鈴木 月経困難症、子宮内膜症の治療薬
JP2001122791A (ja) * 1999-10-20 2001-05-0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l Gmbh 下肢の慢性静脈不全の軽減および予防のための赤色ブドウ樹葉の水性抽出物よりなる食事補強剤
DE19962345B4 (de) * 1999-12-23 2005-03-17 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Kosmetische Mittel mit Pflanzenextrakten aus den Samenhäutchen von Arachis hypogaea L. und Verwendung der Pflanzenextrakte
US6994687B1 (en) * 2000-01-19 2006-02-07 Cordis Neurovascular, Inc. Inflatable balloon catheter with purge mechanism and method
JP2001199881A (ja) * 2000-01-19 2001-07-24 Pokka Corp アポトーシス誘導剤
FR2804864B1 (fr) * 2000-02-11 2003-04-04 Serobiologiques Lab Sa Extraits de residus issus de la fabrication du vin et leur utilisation en cosmetique ou pharmacologie
US7115297B2 (en) * 2000-02-22 2006-10-03 Suzanne Jaffe Stillman Nutritionally fortified liquid composition with added value delivery systems/elements/additives
US7892586B2 (en) 2001-02-22 2011-02-22 Suzanne Jaffe Stillman Water containing soluble fiber
US8178150B2 (en) 2000-02-22 2012-05-15 Suzanne Jaffe Stillman Water containing soluble fiber
EP1127572A3 (en) * 2000-02-25 2003-05-02 Basf Aktiengesellschaft Use of flavones for treating cycloxygenase-2 mediated diseases
FR2809008B1 (fr) * 2000-05-19 2006-07-28 Sarl I De Zica Composition cosmetique renfermant des ceramides associes a de la silymarine
EP1169922A1 (en) * 2000-07-03 2002-01-09 Instituut Voor Agrotechnologisch Onderzoek (Ato-Dlo) Method of enzymatically cross-linking proteins and phenolic polymers
US6780442B2 (en) * 2000-08-31 2004-08-24 Hauser, Inc. Efficient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ions enriched in anthocyanins
US7306815B2 (en) * 2000-08-31 2007-12-11 Phenolics, Llc Compositions enriched in phenolic compound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6960360B2 (en) * 2000-08-31 2005-11-01 Phenolics, Llc Efficient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ions enriched in total phenols
US6576248B1 (en) 2000-09-11 2003-06-10 Avon Products, Inc. Pigmented vitamin C composition
US6632459B2 (en) * 2000-12-11 2003-10-14 Nutricia N.V. Chlorogenic acid and an analog thereof for immune system stimulation
US6491902B2 (en) 2001-01-29 2002-12-10 Salvona Llc Controlled delivery system for hair care products
US6979440B2 (en) 2001-01-29 2005-12-27 Salvona, Ll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argeted controlled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and sensory markers onto hair, skin, and fabric
WO2002067965A1 (en) * 2001-02-22 2002-09-06 Purdue Research Foundation Compositions based on proanthocyanadin-catechin synerg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US6589922B1 (en) * 2001-03-08 2003-07-08 Dow Pharmaceutical Sciences Skin cleanser comprising a steareth, poloxamer, and a glyceryl monoester
WO2002080946A1 (en) * 2001-04-02 2002-10-17 Wakamoto Pharmaceutical Co.,Lt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oral diseases
EP1377182B1 (en) * 2001-04-04 2006-08-16 Unilever N.V. Use of lignans in foods
US6783754B2 (en) 2001-06-11 2004-08-31 Roy J. Mankovitz Plant-based non-toxic sunscreen products
ES2274842T3 (es) * 2001-08-18 2007-06-01 Cognis Ip Management Gmbh Mezclas de principios activos.
US20040142048A1 (en) * 2002-02-22 2004-07-22 Morre Dorothy M. Compositions based on proanthocyanadin-catechin synerg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E10225772A1 (de) * 2002-06-10 2003-12-24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Formulierungen zur Pflege der Haut nach einem Sonnenbad oder einer Rasur
US20040131749A1 (en) * 2002-08-29 2004-07-08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Phytochemicals from edible bean process streams
US20040151794A1 (en) * 2002-12-31 2004-08-0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of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US20040151769A1 (en) * 2002-12-31 2004-08-0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Film coated tablet containing an extract of red vine leaves
EP1454610A1 (de) * 2003-03-06 2004-09-08 Cognis France S.A. Kosmetische und/oder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mikroverkapselte Pflanzenextrakte enthaltend
US7431956B2 (en) 2003-06-20 2008-10-07 Sensient Imaging Technologies, Inc. Food grade colored fluids for printing on edible substrates
US20070184098A1 (en) * 2003-06-20 2007-08-09 Philippe Moussou Esters of flavonoids with w-substituted c6-c22 fatty acids
KR100581215B1 (ko) * 2003-11-18 2006-05-22 주식회사 태평양 플라보노이드/고분자 복합구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550450A1 (en) * 2003-12-29 2005-07-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 blood circulating-improv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ies
UA90668C2 (ru) * 2004-02-19 2010-05-25 Бёрингер Ингельхайм Интернациональ Гмбх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й венозной недостаточности, который содержит водный экстракт листьев красного винограда и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JP2008502370A (ja) 2004-06-10 2008-01-31 センシエント イメージ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食性基材への印刷に用いる食品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液
US20060073220A1 (en) * 2004-07-08 2006-04-06 Daugherty F J Cinnamon extract enriched for polyphenol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JP2007031417A (ja) * 2005-06-22 2007-02-08 L'oreal Sa 光学構造体
EP2368442B1 (en) 2005-07-27 2014-12-17 Symrise AG Use of hesperetin for enhancing the sweet taste
US7300912B2 (en) * 2005-08-10 2007-11-27 Fiore Robert A Foaming cleansing preparation and system comprising coated acid and base particles
ES2661728T3 (es) * 2005-10-03 2018-04-03 Pinksky, Mark A.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el cuidado mejorado de la piel
WO2007113007A2 (en) * 2006-04-04 2007-10-11 Dsm Ip Assets B.V. Package containing a polyphenol and their uses
BRPI0704096E2 (pt) * 2006-12-27 2009-09-15 Kraft Foods Holdings Inc método para reduzir significantemente os nìveis de adstringência e amargor em composições de polifenol, e, composição
US20080213441A1 (en) * 2006-12-27 2008-09-04 Cathy Jean Ludwig Reduction of Astringency in Polyphenol Compositions
US20100098752A1 (en) * 2007-01-18 2010-04-22 Pinsky Mark A Material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tioxidants into the Skin
ITRM20070109A1 (it) 2007-02-28 2008-09-01 Massimo Pizzichini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estratti nutraceutici raffinati dai residui del carciofo e da altre piante del genere cynara.
ES2710498T3 (es) 2007-12-26 2019-04-25 Mark A Pinsky Formulaciones de colágeno para la mejora del cuidado de la piel
US10531681B2 (en) 2008-04-25 2020-01-14 Sensient Colors Llc Heat-triggered color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113647B2 (en) 2008-08-29 2015-08-25 Sensient Colors Llc Flavored and edible colored waxes and methods for precision deposition on edible substrates
WO2011019654A1 (en) * 2009-08-10 2011-02-17 Stokely-Van Camp, Inc. Method for suspending a flavonoid in a beverage
US9549891B2 (en) 2012-03-19 2017-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and sunscreen actives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CA2988808C (en) 2015-06-29 2021-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waxes, oils, and starch powders for use in skincare compositions
WO2017131644A1 (en) * 2016-01-26 2017-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upture release microcapsule for skin care applications
US10731040B2 (en) 2016-07-12 2020-08-04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rosslinked phenolic compound, method of forming, and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T201800006058A1 (it) * 2018-06-06 2019-12-06 Micro- e nano- capsule o particelle a base di polifenoli e loro uso in campo cosmetico e come inchiostro.
CN109393482A (zh) * 2018-12-07 2019-03-01 吉林大学 一种蓝莓吡喃花青素苷元微胶囊及制备方法
US20220226797A1 (en) * 2019-04-12 2022-07-21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Sustainable core-shell microcapsules prepared with combinations of cross-linkers
WO2022016117A1 (en) * 2020-07-16 2022-01-20 Nanophase Technologies Corporation Particulates of polyphenolics and dispersions thereof
CN113083176B (zh) * 2021-03-31 2023-02-28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空心原花青素壁材微胶囊的制备方法及其应用
WO2023006234A1 (en) 2021-07-30 2023-02-02 Symrise Ag Biobased core-shell microcapsules
CN115595004B (zh) * 2022-10-17 2024-04-05 昆明理工大学 一种内画用植物颜料的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7438B1 (fr) * 1982-05-26 1985-08-09 Centre Nat Rech Scient Microcapsules a paroi constituee par des polyholosides reticule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504A (ko) * 2002-10-22 2004-04-29 이환업 해독, 항산화 기능 작용, 흡연 억제 기능 작용을 하는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0515923B1 (ko) * 2002-10-22 2005-09-21 이환업 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1775727B1 (ko) * 2010-12-15 2017-09-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알킬렌글리콜-링커-폴리에스터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90215B2 (en) 1998-04-23
DE69509309T2 (de) 1999-09-23
GR3030153T3 (en) 1999-08-31
CA2159353C (en) 2005-05-10
EP0691886B1 (fr) 1999-04-28
EP0691886A1 (fr) 1996-01-17
FR2715582A1 (fr) 1995-08-04
MX9504117A (es) 1997-06-28
AU1666595A (en) 1995-08-21
WO1995021018A1 (fr) 1995-08-10
JPH08508677A (ja) 1996-09-17
ES2130594T3 (es) 1999-07-01
DE69509309D1 (de) 1999-06-02
US5780060A (en) 1998-07-14
FR2715582B1 (fr) 1996-03-15
JP3583133B2 (ja) 2004-10-27
CA2159353A1 (en) 199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044B1 (ko) 가교된식물성폴리페놀벽을갖는마이크로캡슐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Nguela et al. Interactions of grape tannins and wine polyphenols with a yeast protein extract, mannoproteins and β-glucan
US6517818B1 (en) Lip or care stick which contains vitamins
US6303150B1 (en) Method for producing nanocapsules with crosslinked protein-based walls nanocapsules thereby obtained and cosmetic,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using same
US5961990A (en) Cosmetic particulate g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reparing complex gel particles
CA2225797C (en) Active principle carriers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s, and uses thereof, particularly in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US5703041A (en) Stable composition containing a water-sensitive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active agent
Yadav et al. Encapsulation of grape seed extract phenolics using whey protein concentrate, maltodextrin and gum arabica blends
US4847074A (en) Whitening cosmetic
EP1820538A1 (en) Cosmetic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20080175807A1 (en) Composition for hair
JP4723705B2 (ja) 酸化反応、または遊離基によって誘起される酸化反応を、化学的に減少させる方法
JP2004035440A (ja) くすみ抑制剤及び肌質改善用皮膚外用剤
Ghareaghajlou et al. Nano-liposomal system based on lyophilization of monophase solution technique for encapsulating anthocyanin-rich extract from red cabbage
EP1449509B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Wirkstoffen in Mikrokapseln
CN114652636A (zh) 一种抗皱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包含该组合物的化妆品
JP4236552B2 (ja) 伸縮性を有する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rsić et al. Influence of liposomes on the stability of vitamin A incorporated in polyacrylate hydrogel
CN114652619B (zh) 一种活性油溶花青素及其制备方法和应用
MX2011009851A (es) Proceso para obtener sustancias insolubles de precipitados de extracto de genipap, sustancias de precipitados de extracto de genipap y sus usos.
KR0150271B1 (ko) 화장료용 유용성분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함유된 키토산 마이크로 스피어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4308A (ko) 레시틴을 이용한 천연색소 미세캡슐 제조방법
KR102022067B1 (ko) 내부에 아가위 열매 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b Aziz et al. Jellyfish collagen hydrolysate-loaded niosome for topical application: Formulation development,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ndry et al. Proanthocyanidin microcapsules: preparation, propertie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