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465B1 - 전주류형펌프 - Google Patents

전주류형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465B1
KR100381465B1 KR1019950043467A KR19950043467A KR100381465B1 KR 100381465 B1 KR100381465 B1 KR 100381465B1 KR 1019950043467 A KR1019950043467 A KR 1019950043467A KR 19950043467 A KR19950043467 A KR 19950043467A KR 100381465 B1 KR100381465 B1 KR 10038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outer cylindrical
pump casing
pump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256A (ko
Inventor
고바야시마꼬또
야마모또마사까즈
미야께요시오
이세모또고지
우와이게이따
미야자끼요시아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6001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5/00Pumps with circumferential or transverse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6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2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04D13/14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the pumps being all of centrifug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6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made of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자, 고정자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장학되며 상기 고정자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고정자주위에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통, 상기 외측 프레임통의 주위에 위치되어 상기 외측프레임통과의 사이에 환상공간부를 형성하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 상기 샤프트의 일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환상 공간부내로 유체를 펌프하거나 상기 환상 공간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펌프하는 펌프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주류형 펌프를 제공한다.상기 전주류형 펌프는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 제공되며 상기 임펠러를 구비하는 내측케이싱, 및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 및 상기 내측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펌프된 유체가 상기 임펠러의 흡입측 쪽으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밀봉부재를 더욱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주류형 펌프
본 발명은 전주류형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모터를 둘러싸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 및 모터의 고정자 주위에 마련된 모터 프레임통과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부를 갖는 전주류형 펌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판을 프레스하여 디프드로잉처리에 따라 펌프케이싱을 형성하며, 프레스된 펌프케이싱에 흡입 또는 배출플랜지를 용접 또는 다른 방법으로 체결한다. 이렇게 제조된 펌프케이싱은 펌프케이싱 자체에 발생된 내압, 및 또한 펌프케이싱에 연결된 파이핑에서 펌프케이싱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변형되기 쉽다. 펌프케이싱에 발생하는 어떠한 변형은, 펌프케이싱에 수용되는 임펠러와 펌프케이싱이 접촉하지 않게 되면 어느 정도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프레스된 펌프케이싱은 연결된 파이핑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 및 펌프케이싱에 발생되는 내압을 포함하는 베어링부하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 및/또는 라이너 링(liner ring)과 임펠러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강성을 가져야한다.
프레스된 펌프케이싱은 가해진 부하에 대해 비교적 유연한 구조이므로, 프레스된 펌프케이싱 자체가 기계적 강도 및 강성 모두를 만족하기는 불가능하다. 소정 수준의 강성을 얻기 위하여, 종래의 프레스된 펌프케이싱은 내부에 발생된 내압을 견디도록 요구되는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강판, 또는 펌프케이싱에 부착되는 복잡한 형태의 보강부재를 사용하였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펌프케이싱 또는 그 라이너 부분(liner portion)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펌프케이싱내에 발생된 내압을 잘 견디도록 요구되는 두께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강판, 또는 펌프케이싱에 부착되는 복잡한 형태의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펌프케이싱의 강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두께가 증가된 강판은 프레스성형하기 어렵고, 복잡한 형태의 보강부재는 펌프케이싱의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이 방지되며 펌프케이싱에 가해지는 외력 및 펌프케이싱애서 발생되는 내압을 견디는데 필요한 두께보다 크지 않은 두께의 판금으로 만들어진 라이너 부분을 가지며, 펌프케이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없는 전 주류형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정자, 샤프트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자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를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통을 포함하는 모티와; 상기 외측 프레임통의 주위에 위치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통과의 사이에 환상공간부를 형성하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과; 상기 샤프트의일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환상 공간부내로 유체를 펌프하거나 상기 환상 공간부로부터 유체를 펌프하는 하나이상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펌프조립체와;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 제공되어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내측케이싱 ; 및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 및 상기 내측케이싱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펌프된 유체가 상기 임펠러의 흡입측 쪽으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케이싱은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 수용되며, 내측케이싱 및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 사이에 삽입된 탄성밀봉부재에 의해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로부터 이격된다. 탄성밀봉부재는 가해진 외력으로 인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변형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이러한 변형은 내측케이싱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내측케이싱은 압력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은 지나치게 강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은 펌프케이싱에 발생된 내압을 견디는데 필요한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질 필요가 없으며, 특수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될 필요가 없다. 라이너 부분을 구비하는 네측케이싱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라이너 부분과 임펠러 사이에 틈새를 유지하기 용이하다. 내측케이싱은 또한 외력으로 인한 부하에 상관없는 감소된 두께도 가능하다. 따라서, 내측케이싱은 높은 정밀도를 갖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프레스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내측케이싱은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 대해 이격되어 캔드모터에 의해 지지되므로, 캔드모터의 진동 및 노이즈는 내측케이싱을통하여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 전달되지 않는다, 펌프케이싱의 이러한 구조는 캔드모터의 진동 및 노이즈의 전파를 예방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케이싱은 펌프된 유체가 보유되는 내측주변부를 외측주변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펌프케이싱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로부터 이격된다. 이로써, 충격력을 포함하는 외력이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 가해 지더라도, 탄성밀봉부재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변형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이러한 변형은 내측케이싱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내측케이싱이 라이너 부분을 지지하고 있어, 라이너 부분과 임펠러 사이에 틈새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캔드모터의 진동 또는 노이즈는 내측케이싱을 통하여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 전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으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 l실시예에 따른 전주류형 펌프가 제 1 및 제 2도에 도시된다.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류형 펌프는 이중흡입식이며, 중앙으로 배치된 캔드모터(6)를 구비한다. 캔드모터(6)는, 축의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흡입구를 각각 구비하는 각각의 임펠러쌍(8A, 9A 및 8B, 9B)이 고정장착되어 있는 대향 단부를 갖는 샤프트(7)를 포함한다. 이로써, 두 펌프조립체는 캔드모터(6)의 대향측상에 각각 배치된다. 캔드모터(6) 및 임펠러(8A, 9A, 8B, 9B)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한 쌍의 이격된 단부커버(63 및 63)를 포함하는 펌프케이싱(1)내에 수용된다. 단부커버(63)는 각각의 플랜지(51, 52)에 의해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각 축방향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단부 커버(63)는 판금으로 만들어진다. 임펠러(8A, 9A, 8B, 9B)는 판금으로 만들어진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캔드도터(6)는 고정자(13), 고정자(13)를 둘러싸는 거의 원통형의 외측 프레임통(14), 외측 프레임통(14)의 축방향의 개방단부에 각각 부착된 한 쌍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측부 프레임부재(15, 16), 및 고정자(13)에 고정되어 측부 프레임부재(15, 16)에 용접된 원통형 캔(17)을 포함한다. 고정자(13)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릭 회전자(18)는 샤프트(7)상에 지지된다. 환상 공간부 또는 환상유로(40)는 외측 프레임통(14) 및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사이에 형성된다. 단자케이스(20)는 외측 프레임통(14)에 용접된다. 캔드모터(6) 및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은 그 사이에 개재된 단자케이스(20) 및 지주(4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케이스(77)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에 용접되어 내부에 주파수변환기(76)를 수용한다. 리드는 단자케이스(20)를 통하여 외측 프레임통(14)의 모터코일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주파수변환기(7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는 각각의 축방향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흡입창(2a, 2b)을 구비하며, 흡입케이스(55)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외주면상에 장착되어 흡입창(2a, 2b)을 서로 연결한다. 흡입케이스(55)는 흡입구(55a)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유체를 유입한다. 흡입포트(56a)가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노즐(56)은 출입구(55a)주위의 흡입케이스(55)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제 l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이격된 두 내측케이싱(65)은 외측 원통형 펌프캐이싱(2)에 배치되어, 각각의 임펠러(8A, 9A, 8B, 9B)쌍을 수용한다.내측케이싱(65)은 원통형부재(65a), 및 원통형 부재(65a)의 개방단부를 커버하는 커버(65b)를 각각 포함하며, 원통형 용기형상이다. 내측케이싱(65)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각각의 밀봉부재(75)가 고착되어 있는 각각의 축방향의 개구부를 가지며, 각 내부에 흡입구(65c)가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저부를 포함한다.
밀봉부재(75)는, 임펠러(9A, 9B)로부터 배출되는 펌프된 유체가 각각 임펠러(8A, 8B)의 흡입측쪽으로 누출하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케이싱(65)은 볼트(66)에 의해 측부 프레임부재(15, 16)에 각각 고정된다. 각각의 내측케이싱(65)에는, 각각의 라이너 링(45), 제 1단 임펠러(8A 또는 8B)에서 제 2단 임펠러(9A 또는 9B)로 유체를 안내하는 반송블레이드(47) 및 제 2단 임펠러(9A 또는 9B)로부터 환상 공간부(40)쪽으로 배출된 유체를 안내하는 안내장치(48)를 구비하는 두 리테이너(retainer ; 46)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 공간부(40)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모터프레임통(14) 사이에 형성된다.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는 그 원주형상의 벽에 형성되어 환상공간부(40)와 연통하도록 유지되는 배출구(2c)를 갖는다. 내부에 배출포트(68a)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노즐(68)은 배출구(2c) 주위에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상에 고정장착되며, 배출플랜지(69)는 배출노즐(68) 상에 고정장착된다.
베어링하우징(21)은 측부 프레임부재(16)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동시에,탄성 0-링(29)은 베어링하우징(21)과 측부 프레임부재(16) 사이에 개재된다. 베어링하우징(21) 및 측부 프레임부재(16)는, 내부에 0-링(29)이 배치되어 있는 틈새 고정구를 구비한 소켓-마개조인트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베어링하우징(21)은 또한 측부 프레임부재(16)에 고정된 판에 의해 측부 프레임부재(1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30)는 베어링하우징(21) 및 측부 프레임부재(16) 사이의 축방향 갭에 배치된다. 베어링하우징(21)은 반지름방향으로 내측면에 방사상 베어링(22)을, 축방향으로 외측면에 고정 스러스트베어링(23)을 지지한다. 샤프트(7)상에 고정된 샤프트슬리브(31)는 레이디일 베어링(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두 스러스트디스크(26, 27)는 샤프트(7)상에 고정장착되며 베어링하우징(21)을 축방향으로 개재한다. 스러스트디스크(26)는, 샤프트(7)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고정 스러스트베어링(23)의 축방향의 외측 단부면과 마주하는 스러스트베어링(24)을 보유한다 스러스트디스크(27)는, 샤프트(7)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고정 스러스트 슬라이딩면을 제공하는 레이디얼 베어링(22)의 축방향의 내측 단부면과 마주하는 스러스트베어링(25)을 보유한다.
베어청하우정(32)은 측부 프레임부재(15)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동시에,탄성 0-링(37)이 베어링하우징(32)과 측부 프레임부재(15) 사이에 삽입된다. 베어링하우징(32)은 반지름방향의 내측단부에 레이디얼 베어링(33)을 보유한다. 샤프트(7)상에 고정된 사프트슬리브(34)는 레이디얼 베어링(3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리브(34)는 임펠러(9A), 슬리브(42) 및 임펠러(8A)를 통하여 이중너트(36)에 의해 샤프트(7)에 고정되는 워셔(35)와 접촉한다.
다음에, 제 1도 및 2도의 전주류형 이중흡입펌프의 작동을 설명한다.
흡입포트(56a) 및 흡입구(55a)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흡입케이스(55)애 의해, 흡입창(2a, 2b)를 통하여 펌프조립체내로 유입되는 두 개의 유체흐름으로 나뉜다. 유체흐름은 흡입구(65c)를 통하여 내측케이싱(65)내로 통과하여, 임펠러(8A,8B)로 각각 유입된다. 임펠러(8A, 8B)에서 배출된 유체는 각각 임펠러(9A, 9B)로 흐른다. 임펠러(9A, 9B)에서 배출된 유체는 안내장치(48)에 의해 안내되어, 외측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모터 프레임통(14)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부 또는 환상통로(40)내로 유입된다. 환상통로(40)를 통과하는 유체흐름은 환상통로(40)의 중앙부에서 합쳐져,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배출구(2c) 및 배출노즐(68)를 통하여 배출포트(68a)로부터 배출된다.
앞의 실시예에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내측케이싱(65)은 밀봉부재(75)에 의해 서로 밀봉되며, 이러한 밀봉부재를 가로질러 흡입 및 배출압력 사이의 차압이 가해진다. 밀봉부재(75)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변형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이러한 변형은 내측케이싱(65)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내측케이싱(65)은 실질적으로변형되지 않으며, 각 라이너 링(45)과 각 임펠러(8A, 9A, 8B, 9B) 사이의 틈새가 유지되어, 각 라이너 링(45)이 각각의 임펠러(8A, 9A, 8B, 9B)와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내측케이싱(65)은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커버(63)에 이격된 관계로 캔드모터(6)에 의해 지지되므로, 캔드모터(6)의 진동 및 노이즈는 내측케이싱(65)을 통하여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커버(63)에 전달되지 않는다. 펌프케이싱의 이러한 구조는 캔드모터(6)의 진동 및 노이즈의 전파를 예방하는데 적합하다.
제 3 및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주류형 펌프를 도시한다.제 2실시예에 따른 전주류형 펌프는 이중흡입식이며, 제 1 및 제 2도에 도시된 제 l실시예에 따른 전주류형 펌프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 및 2도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제 3 및 제 4도에 도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며 아래에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것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및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류형 펌프는내부에 중앙으로 배치된 캔드모터(6)를 갖는다. 캔드모터(6)는, 각각 축방향으로 내측으로 개방된 흡입구를 갖는 각각의 임펠러(8C, 9C, 8D, 9D)쌍이 고정장착되는 대향단부를 갖는 샤프트(7)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두 펌프조립체는 각각 캔드모터(6)의 대향측부에 배치된다. 캔드모터(6) 및 임펠러(8C, 9C, 8D, 9D)는 판금으로 만들어진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판금프로 만들어진 한쌍의 이격된 단부커버(63)를 포함하는 펌프케이싱(1)에 수용된다. 단부커버(63)는 각각의 플랜지(51, 52)에 의해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각 축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임펠러(8C, 9C, 8D, 9D)는 판금으로 만들어진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캔드모터(6)는 제 1도의 제 1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부가적으로 측부 프레임부재(15, 16)에 부착되며 각각 방사상 유로를 갖는 안내부재(8())를 포함한다. 임펠러(8C, 9C, 8D, 9D)를 수용하는 내측케이싱(85)은 각각 일체의 원통-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한다. 내측케이싱(85)은 각각 안내부재(80)상에 고정된다. 내측케이싱(85)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의 각 밀봉부재(75)가 고착되는 각각의 축방향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배출구(85a)가 내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저부를 포함한다. 밀봉부재(75)는 각각 임펠러(9C, 9D)로부터 배출된 펌프된 유체가 임펠러(8C, 8D)의 흡입측 쪽으로 누출하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지주(87)는 각 내측케이싱(85) 및 각 커버(63) 사이에 삽입된다. 고무와 같은 시트로 만들어진 탄성재료(88)는 지주(87) 및 커버(63) 사이에 개재된다. 각각의 내측케이싱(85)에는, 각각의 라이너 링(45), 제 1단 임펠러(8C 또는 8D)에서 제 2단 임펙러(9C 또는 9D)로 유체를 안내하는 반환블레이드(47), 및 제 2단 임펠러(9C 또는 9D)에서 배출구(85a) 쪽으로 배출된 유체를 안내하는 반환블레이드(48)를 구비하는 두 개의 리테이너(46)가 마련된다.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은 그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2e), 및 흡입구(2e) 주위에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상에 고정장착된 흡입포트(89a)를 구비하는 흡입노즐(89)을 포함한다. 흡입플랜지(90)는 흡입노즐(89)상에 고정장착된다.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은 그 내부에 각 축단부 근처에 형성되는 한 쌍의배출창(2f, 2g)을 구비하며, 배출케이스(91)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외주면상에 장착되어 배출창(2f, 2g)을 서로 연결한다. 배출케이스(91)는, 일 단부에 바닥부가 형성되고 타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컵형 케이스이다.
배출케이스(91)는 배출구(9la)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배출포트(92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노즐(92)은 배출구(9la) 주위에 배출케이스(91)상에 고정장착된다. 배출플랜지(93)는 배출노즐(92)상에 장착된다. 제 3 및 제 4도의 펌프의 다른 구성부는 제 1도 및 제 2도의 펌프의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제 3 및 제 4도의 전주류형 이중흡입펌프의 작동을 설명한다.
흡입구(2e)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환상통로(40)에 의해 안내부재(80)를 통하여 펌프조립체내로 유입되는 두 개의 유체흐름으로 나된다. 안내부재(80)를 통과하는 유체흐름은 각각 임펠러(8C, 8D)내로 유입된다. 임펠러(8C, 8D)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각각 반환블레이드(47)를 통하여 임펠러(9C, 9D)로 흐른다. 임펠러(9C, 9D)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반환블레이드(48)를 통과하여, 내측케이싱(85)의 개구부(85a) 및 배출창(2f, 2g)를 통하여 배출케이스(91)로 흐른다. 배출창(2f, 2g)을 통과한 유체흐름은 배출케이스(91)에서 합쳐진다. 그 후, 유체는 배출케이스(91)의 배출구(9la)를 통하여 배출노즐(92)의 배출포트(92a)에서 배출된다.
앞의 실시예에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내측케이싱(85)은 밀봉부재(75)에 의해 서로 밀봉되며, 이 밀봉부재(75)를 가로질러 흡입 및 배출압력 사이의 차압이 가해진다. 밀봉부재(75)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변형을흡수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의 이러한 변형은내측케이싱(85)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내측케이싱(85)은 거의 변형되지 않으며, 각 라이너 링(45) 및 각 임펠러(8C, 9C, 8D, 9D) 사이에 틈새가 유지되어, 각 라이너 링(45)이 각 임펠러(8C, 9C, 8D, 9D)와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내측케이싱(85)은 밀봉부재(75) 및 탄성재료(88)의 존재 때문에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커버(63)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캔드모터(6)의 진동 및 노 이즈는 내측케이싱(85)을 통하여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2) 및 커버(63)에 전달되지 않는다. 펌프케이싱의 이러한 구조는 캔드모터(6)의 진동 및 노이즈의 전파를 예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떤,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은 지나치게 단단해야할 필요가 없고, 펌프케이싱에서 발생된 내압을 견디는데 필요한 두께 보다 큰 두께를 가질 필요가 없으며, 특수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펌프케이싱의프레스형성을 용이하게 하며, 이로써 펌프케이싱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펌프케이싱의 부품들을 비교적 적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장치를 수용하는 내측케이싱이 제공되므로,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형상은 안내장치에 의해 영향받지 않아서 바람직한 유체역학적 실행이 달성되며, 이로써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윈통형 펌프케이싱의 중심을 같게 하거나 매우 정밀하게 가공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케이싱은 또한 외력으로 인한 부하에 상판없는 작은 두께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케이싱은 또한 높은 정밀성을 갖는 형상으로용이하게 프레스가능하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주류형 펌프의 단면도,
제 2도는 제 l도의 Ⅱ-Ⅱ선의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주류형 펌프의 단면도,
제 4도는 제 3도의 Ⅳ-Ⅳ선의 단면도이다.

Claims (9)

  1. 고정자,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자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자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를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통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외측 프레임통의 주위에 위치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통과의 사이에 환상 공간부를 형성하는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과;
    상기 샤프트의 일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환상 공간부내로 유체를 펌프하거나 상기 환상 공간부로부터 유체를 펌프하는 하나이상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펌프조립체와;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내에 제공되며,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내측케이싱; 및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 및 상기 내측케이싱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펌프된 유체가 상기 임펠러의 흡입측 쪽으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싱은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싱은, 펌프되는 유체가 보유되는 내측 주변부를 외측주변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펌프케이싱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은 판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5. 제 l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축단부에 고정된 펌프케이싱부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펌프케이싱부재는 판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펌프.
  6. 제 l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외측 프레임통의 축단부에 고정된 측부 프레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케이싱은 상기 측부 프레임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싱은,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내측케이싱 사이에 틈새를 유지하면서 상기 임펠러 주위로 연장하는 라이너 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외주면상에 장착되며, 유체를 유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케이스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은 유체를 유입하는 흡입창을 가지며, 펌프된 유체는 상기 흡입케이스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상기 흡입창을 통하여 상기 펌프조립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의 외주면상에 장착되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케이스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외측 원통형 펌프케이싱은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창을 가지며, 상기 펌프 조립체로부터 펌프된. 유체는 상기 외측 원통형 케이싱의 상기 배출창 및 상기 배출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류형 펌프.
KR1019950043467A 1994-11-25 1995-11-24 전주류형펌프 KR100381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5894A JPH08144997A (ja) 1994-11-25 1994-11-25 全周流型ポンプ
JP94-315894 1994-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56A KR960018256A (ko) 1996-06-17
KR100381465B1 true KR100381465B1 (ko) 2003-08-09

Family

ID=1807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467A KR100381465B1 (ko) 1994-11-25 1995-11-24 전주류형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16013A (ko)
EP (1) EP0713976B1 (ko)
JP (1) JPH08144997A (ko)
KR (1) KR100381465B1 (ko)
AT (1) ATE196345T1 (ko)
DE (1) DE6951881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8053A (en) * 1995-02-10 1999-03-30 Ebara Corporation Pump having first and second outer casing members
JPH08232884A (ja) * 1995-02-24 1996-09-10 Ebara Corp 全周流型ポンプ群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84579A (ja) * 1996-12-27 1998-07-14 Ebara Corp モータポンプ及びモータポンプ群
EP1035389A3 (en) * 1999-03-12 2001-10-04 The Electric Motor Company Limited Pumping assembly for a drinks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JP2001221199A (ja) * 2000-02-08 2001-08-17 Toshiba Tec Corp 電動ポンプ
KR20010109241A (ko) * 2001-10-31 2001-12-08 김경원 수중펌프
CN100489315C (zh) * 2003-12-16 2009-05-20 阳江市新力工业有限公司 冲压焊接成型立式多级离心泵
GB0411040D0 (en) * 2004-05-18 2004-06-23 Weir Pumps Ltd Pump assembly
CN102889241A (zh) * 2012-03-27 2013-01-23 上海阿波罗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pcs再循环泵的泵体
CN104963872B (zh) 2015-07-27 2017-09-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油分桶、螺杆压缩机及空调机组
EP3171033A1 (de) * 2015-11-19 2017-05-24 Grundfos Holding A/S Mehrstufige kreiselpumpe mit gehäuseöffnung zur wartung eines axialschub-kolbens
CN109139490B (zh) * 2018-06-13 2020-05-15 上海尧禹智能泵阀有限公司 一种无磁铁耐空转一体模块化耐温耐腐高扬程自吸泵
US11136997B2 (en) * 2019-07-23 2021-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pressor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2848A (en) * 1941-01-07 1943-03-02 Albert R Pezzillo Motor driven pump unit
US2375802A (en) * 1942-05-28 1945-05-15 Chain Belt Co Pump construction
US2857849A (en) * 1953-11-13 1958-10-28 Joseph R Smylie Motor driven pumping units
US2915978A (en) * 1956-04-10 1959-12-08 Edward J Schaefer Motor pump unit
AU522300B2 (en) * 1976-07-30 1982-05-27 Ebara Corporation Pump unit
JP2676450B2 (ja) * 1991-01-11 1997-11-1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
US5494403A (en) * 1992-04-14 1996-02-27 Ebara Corporation Full-circumferential flow pump
ATE177822T1 (de) * 1992-04-14 1999-04-15 Ebara Corp Seitenströmungspumpe
ATE196185T1 (de) * 1992-04-14 2000-09-15 Ebara Corp Pumpengehäuse in blechbauweise
EP0717195B1 (en) * 1992-04-14 2000-11-08 Ebara Corporation Pump casing made of sheet met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16013A (en) 1997-04-01
DE69518815T2 (de) 2001-04-19
DE69518815D1 (de) 2000-10-19
ATE196345T1 (de) 2000-09-15
JPH08144997A (ja) 1996-06-04
KR960018256A (ko) 1996-06-17
EP0713976A1 (en) 1996-05-29
EP0713976B1 (en) 200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063B1 (ko) 개선된유로를구비한펌프
KR100252682B1 (ko) 전주류형 펌프
KR100252683B1 (ko) 강판제 펌프케이싱과 이 펌프케이싱을 구비한 전주류형 펌프
JP3077490B2 (ja) ポンプ組立体
KR100381465B1 (ko) 전주류형펌프
KR100252684B1 (ko) 강판제 펌프케이싱
US5618168A (en) Circulating pump
KR100388157B1 (ko) 전주류형펌프
JP2886444B2 (ja) 全周流型ポンプ
JPH08177782A (ja) 両吸込ポンプ
US4277223A (en) Case construction for multi-stage pump
JP2886412B2 (ja)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及び該ポンプケーシングを備えた全周流型ポンプ
JP3238056B2 (ja) ポンプ組立体
JP2863756B2 (ja)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
JPH05302588A (ja) インラインポンプ
JPH0688589A (ja) インラインポンプ
JPH0688599A (ja)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
JP2002021766A (ja) ポンプ組立体
JPH08177793A (ja) ポンプ組立体
JPH07117056B2 (ja) 遠心ポンプ
JPH05332281A (ja) 2段型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