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634B1 -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634B1
KR100380634B1 KR10-2000-0061676A KR20000061676A KR100380634B1 KR 100380634 B1 KR100380634 B1 KR 100380634B1 KR 20000061676 A KR20000061676 A KR 20000061676A KR 100380634 B1 KR100380634 B1 KR 10038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ate
index
deoxyshandrin
compound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642A (ko
Inventor
김영중
성상현
이미경
김소라
구경아
정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0-0061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63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Priority to AU2002214336A priority patent/AU2002214336A1/en
Priority to AT01982877T priority patent/ATE437636T1/de
Priority to US10/168,394 priority patent/US6653344B2/en
Priority to EP01982877A priority patent/EP1326596B1/en
Priority to JP2002535655A priority patent/JP3996505B2/ja
Priority to CNB018032176A priority patent/CN1171585C/zh
Priority to DE60139409T priority patent/DE60139409D1/de
Priority to PCT/KR2001/001765 priority patent/WO2002032417A1/en
Publication of KR2002003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 I )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킬기이며, R2, R3, R4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콕시기이거나, 또는 R2와 R3및 R4와 R5는 각각 함께 결합하여 -OCH2O-기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a dibenzocyclooctane lignan derivativ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본 발명은 다음의 일반구조식 ( I )로 표시되는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I)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킬기이며, R2, R3, R4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콕시기이거나, 또는 R2와 R3및 R4와 R5는 각각 함께 결합하여 -OCH2O-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중 R1이 수소원자이고, R2, R3, R4및 R5가 각각 메톡시기인 화합물이 데옥시쉬잔드린(Deoxyschizandrin : 화합물 1)이며, R1이 수소원자이고, R2및 R3가 함께 결합하여 -OCH2O-기이고 R4및 R5가 각각 메톡시기인 화합물이 고미신 N(Gomisin N : 화합물 2)이며, R1이 수소원자이고, R2및 R3, 그리고 R4및 R5가 각각 함께 결합하여 -OCH2O-기인 화합물인 화합물이 우웨이지수 C (Wuweizisu C : 화합물 3)이다.
상기의 성분들은 오미자에 함유되어 있는 기지의 물질들이다.
현대사회의 인구분포는 고령화 추세로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화와 관련된 질병, 예를들면 뇌졸중이나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뇌신경계 질환은 그 사망률이 매년 증가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의 사망원인을 분석하여 볼 때 암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사망원인의 2-3위를 차지하는 심각한 질환이다. 그러나 이를 치료할 수 있는 뚜렷한 의약품이나 치료방법이 아직까지도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으로 그 사회적, 경제적인 손실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은 노화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구조적 퇴화, 순환기 장애 등 다른 성인병에 기인한 2차적 증상, 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일산화탄소 중독 등 다양한 물리적, 기계적 요인에 의하여 뇌가 손상을 입으면 일어날 수 있다 ( Rothman SM, Thurston JH and hauhart RE (1987) Delayed neurotoxicity of excitatory amino acids in vitro. Neuroscience 22: 1884-1891; and Weiloch, T. (1985) Hypoglycemia-induced neuronal damage prevented by an NMDA antagonists. Science 230: 681-683).
뇌조직이 손상되면 뇌신경세포의 사멸이 초래되는데, 신경세포 사멸의 기전은 크게 2가지로 대별된다. 첫째, 뇌 안에 존재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glutamate)에 의한 것이다. 글루타메이트(Glutamate)는 정상상태에서는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과다하게 분비되면 신경세포의 사멸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글루타메이트(glutamate)에 의한 신경독성은 급성독성과 만성독성으로 나누어진다 (Choi DW (1988) Glutamate neurotoxicity and disease of the nervous system. Neuron 1: 623-634). 급성독성은 세포 외에 있는 Ca2+이 세포 내로 과량으로 유입됨으로써 시작되며, 세포의 삼투압 유지를 위해 Na+, K+및 Cl-등의 이온들의 유입이 뒤따라 세포는 부풀게 되고 결국은 터져 죽는 형태로 나타난다. 만성독성은 글루타메이트수용체인 N-메틸-D-아스파테이트(N-methyl-D-aspartate : NMDA)와 non-NMDA 수용체가 활성화되어 Ca2+이 세포 내로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세포 내 칼슘의존성(calcium-dependent) 효소들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결국은 세포가 죽게 되는 형태이다 (Rothman SM, Thurston JH and hauhart RE (1987) Delayed neurotoxicity of excitatory amino acids in vitro. Neuroscience 22: 1884-1891; Strijbos PJLM, Leach MJ and Garthwaite J (1996) Vicious cycle involving Na+channels, glutamate release and NMDA receptors mediates delayed neurodegeneration through nitric oxide formation. J. Neurosci. 16: 5004-5013; and Coyle JT and Purrfarcken P (1993) Oxidative stress, glutamat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ce 262: 689-695). 둘째, 직접적인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손상이다. 뇌에는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과 산소의 소비량이 높아 산소래디칼(oxygen radical)의 생성이 높으나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항산화 효소의 양이 적어 산소래디칼(oxygen radical)을 포함하는 후리래디칼(free radical)에 의한 손상의 위험성이 높으며, 이는 허혈 후 재관류가 일어날 때의 손상기전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에 관련된 신경세포 사멸기전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이를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로부터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있는 물질을 찾고자 글루타메이트(glutamate)로 신경독성을 유발시킨 일차배양한 흰쥐의 대뇌피질세포를 이용하여 천연물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검색하던 중 오미자의 추출물이 유의성 있는 보호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예로부터 민간에서 강장이나 간장보호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오미자는 디벤조사이클로옥탄 리그난(dibenzocyclooctane lignan)계 성분이 주를 이루며 그 활성에 대하여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Nakajima K, Taguchi H, Ikeya Y, Endo Y and Yosioka I (1983)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XIII.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in the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Yakugaku Zasshi 103: 743-749; Liu GT (1985) In: Advances in Chinese medical materials research (Chang HM et al. Eds) pp.257-268,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Singapore).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디벤조사이클로옥탄 리그난(dibenzocyclooctane lignan)계 성분의 중요한 활성으로 간장보호 작용 ( Hikino H, Kiso Y, Taguchi H and Ikeya Y (1984) Antihepatotoxic actions of lignoids from Schizandra chinensis Fruits. Planta Med. 50: 213-218; Kiso Y, Tohkin M, Hikino H, Ikeya Y and Taguchi H (1985) Mechanism of antihepatotoxic activity of wuweizisu C and gomisin A. Planta Med. 51: 331-334; and Yamada S, Murawaki Y and Kawasaki H (1993) Preventive effect of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ra frui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Biochem. Pharmacol. 46: 1081-1085), 그 외 항암 (Yasukawa K, Ikeya Y, Mitsuhashi, Iwasaki M, Abursda M,Nakagawa S, Takeuchi M and Takido M (1992) Gomisin A inhibits tumor promotion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 two-stage carcinogenesis in mouse skin. Oncology 49: 68-71), 항염 (Wang JP, Raung SL, Hsu MF and Chen CC (1994) Inhibitory by gomisin C (a lignan from Schizandra chinensis) of the respiratory burst of rat neutrophils. Brit. J. Pharmacol. 113: 945-953), 항바이러스 작용 (Fujihashi T, Hara H, Sakata T, Mori K, Higuchi H, Tanaka A, Kaji H and Kaji A (1995) Anti-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activities of halogenated gomisin J derivatives, new nonnucleotide inhibitors of HIV type 1 reverse transcriptase.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9:2000-2007)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신경계에 대한 생리활성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오미자의 대표적인 디벤조사이클로옥탄 리그난(dibenzocyclooctane lignan) 성분들의 신경보호작용 및 그 작용기전을 밝힘으로써 뇌졸중이나 노인성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의약제의 후보물질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음에 실험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방법
1. 실험동물 : Sprague-Dawley계 흰쥐를 서울대학교 동물사육장에서 공급받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실험동물실에서 사육하였다. 사육장의 환경은 실내온도를 22 ± 5 ℃로 유지하고 조명시간을 아침 7시에서 저녁 7시로 고정하였으며, 사료는 조단백 23.2 %, 조지방 4.0 %, 조섬유 6.0 %, 조회분 10.0 %, 조칼슘 0.6 %, 조인 0.4 %등이 함유된 고형사료 (서울, 삼양사)를 사용하였다.2. 흰쥐의 대뇌피질세포의 분리 및 배양 : 흰쥐 태자의 대뇌 부분만을 적출하여 해부현미경 밑에서 조심스럽게 뇌막(meninges)을 제거한 후 대뇌조직을 0.25 % 트립신으로 30분 동안 처리하여 조직을 연화시켜 개개의 세포로 유리되도록 하였다. 분리한 대뇌피질세포를 1.0 × 106cells/㎖이 되도록 콜라겐으로 도포한 배양 용기에 이식하였다. 배양액은 DMEM 90 %, 소태아혈청 10 %로 구성된 것에 1 mM 소듐 피루베이트(sodium pyruvate), 페니실린 100 IU/㎖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세포의 배양은 3-4일 마다 새로운 배양액으로 갈아주고 37 ℃ 배양기에서 공기 (95 %)와 CO2(5 %)의 혼합기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수행하였다 ( Kim YC, Kim SR, Markelonis GJ and Oh TH (1998) Ginsenosides Rb1 and Rg3 protect cultured rat cortical cells from glutamate-induced neurodegeneration. J. Neurosci. Res. 53: 426-432).
3. 화합물의 투여 : 뇌신경세포 보호활성의 유무를 검색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DMSO (최종농도 0.1 % 이내)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밀리포어 막(millipore membrane) (0.22 μm, Millex-GV, U.S.A.)을 통과시켜 무균상태로 만든 후 농도를 달리하여 배양하고 있는 뇌신경세포에 투여하였다.
4.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의 유도 : 흰쥐의 태자에서 직접 분리한 대뇌피질세포를 14일간 배양한 후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농도별로 배양세포에 처리한 다음 1시간 후에 100 μM의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하여 신경세포에 독성을 유도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세포에 대하여 MTT assay로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함으로써 시료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판단하였다.
5. MTT assay : 배양 중인 대뇌피질세포의 배양액에 MTT (5 mg/㎖)를 배양액의 10 %가 되도록 가하고 계속하여 3시간 더 배양한 후 생성된 포마즌(formazan)을 DMSO로 녹여낸 다음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 Methods 65: 55-61).
6. 세포 내 Ca2+농도 측정 : 일차배양한 대뇌피질세포 내의 Ca2+농도는 활성을 측정하려는 화합물을 투여하고 1시간 후에 글루타메이트로 신경독성을 유도한 다음 Fura-2 A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Grynkiewicz G, Poenie M and Tsien RY (1985) A new generation of calcium indicators with greatly improved fluorescence properties. J. Biol. Chem. 260: 3440-3450).
7. 아질산염(Nitrite)의 정량 : 일차배양한 대뇌피질세포로부터 배양액 중으로 유리되는 아질산염의 양은 그리스(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Dawson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Dawson VL, Brahbhatt HP, Mong JA and Dawson TM (1994)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auses delayed neurotoxicity in primary neuronal-glial cortical cultures. Neuropharmacology 33: 1425-1430).
8. 세포 상징액의 제조 : 일차배양한 대뇌피질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H 7.4)을 가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세포를 20초동안 소니케이션한 후 4 ℃에서 3,000 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상징액을 얻었다.
9. 글루타치온-퍼옥시데이즈(Glutathione-peroxidase: GSH-px)의 활성 측정 : 시험관에 100 m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H 7.4), 1 mM 환원된 글루타치온(reduced glutathione: GSH), 0.2 mM NADPH, 0.5 mM H2O2및 1.5 units/㎖의 GSSG-리덕테이즈(GSSG-reductase: GSSG-r)가 포함된 반응액 1 ㎖을 준비한 다음 세포 상징액 100 ㎕를 가하여 반응을 시키고 340 nm에서 1분간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여 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GSH-px의 활성은 흡수계수(absorption coefficient) (6.22 μmol-1cm-1)를 이용하여 μmol NADPH oxidized/mg protein/min으로 나타내었다 (Flohe L, Gunzler WA, 1984, Assays of glutathone peroxidase, Methods Enzymol 105: 114-121).
10. 총 GSH (GSH + GSSG)양의 측정 : 시험관에 0.3 mM NADPH 및 5 mM DTNB가 담긴 반응액 700 ㎕를 준비한 후 세포 상징액 100 ㎕를 가하였다. 여기에 GSSG-R를 최종농도 5 units/㎖로 가하여 반응을 시키고, 412 nm에서 1분간 흡광도의 증가를 측정하였다. GSH의 양은 표준품의 GSH로 GSH 표준곡선을 구하여 환산하였다 (Tietze F, Enzymatic method for quantative determination of nanogram amounts of total and oxidized glutathione, Anal Biochem 27: 502-522).
11. 말론다이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 양의 측정 : 세포상징액 500 ㎕에 10 %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500 ㎕를 가하고 10분동안 방치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마이크로스핀(microspin)을 이용하여 침전된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상징액에 티오바비트르산(thiobarbitric acid)을 최종농도 0.2 %로 가하여 1 ㎖의 반응액을 준비한 후 100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흡광도를 535 nm에서 측정한 후 1,1,3,3-테트라에톡시프로판을 표준으로 이용하여 MDA의 양으로 환산하였다 (Yagi KA, 1976, Simple fluorometric assay for lipoperoxide in blood plasma, Biochem Med 15: 212-216).
12. 칼페인(Calpain) 저해활성 측정 : 칼페인 II (m-calpain)은 정제된 것을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기질은 0.2 % 카세인(casein)을 사용하였다. 시험관에 0.01 unit 칼페인, 0.2 % 카세인, 50 mM Tris-HCl (pH 7.4) 100 mM EGTA, 10 mM DTT, 활성을 평가하고자하는 시료를 넣고 잘 섞은 후 4 mM 칼슘을 가하여 25 oC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10 % TCA를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분해되지 않은 카세인을 최대 4000 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상징액을 취하여 27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의 칼페인의 저해활성을 판단하였다 (Jiang S-T, Wang J-H, Chang T and Chen C-S (1997). A continuous method for measuring calpain activity. Anal. Biochem. 244: 233-238).
(A-C) + (D-B)
칼페인 저해율 (%) = ----------------- X 100
A-B
A: OD with Ca2+
B: OD without Ca2+
C: OD of Sample with Ca2+
D: OD of Sample without Ca2+
13. 통계처리 : 통계적 유의성 검토는 각 실험군의 수를 3으로 하였으며 (n=3) 대조치로부터의 변동을 "ANOVA test"로 하였다. P값이 5 % 미만일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14. 결과 및 고찰 :
오미자의 중요한 디벤조사이클로옥탄 리그난(dibenzocyclooctane lignan)계 성분인 데옥시쉬잔드린(Deoxyschizandrin), 고미신 N(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Wuweizisu C)의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글루타메이트(glutamate)로 신경독성을 유발시킨 일차배양한 흰쥐의 대뇌피질세포를 검색계로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표 1 참조). 즉, 흰쥐의 대뇌피질세포를 14일 동안 배양한 후 화합물을 각각 농도별로 투여하고 1시간 후에 다시 100 μM 글루타메이트로 신경세포 독성을 유발하였으며, 24시간동안 더 배양한 후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은 세포 내 존재하는 석시네이트 데하이드로지네이스(succin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측정하는 MTT assay로 판단하였다. 세포가 독성을 입으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가 손상을 입게 되며, 미토콘드리아 내에 존재하는 석시네이트 데하이드로지네이스의 활성 또한 감소되어 생성되는 포마즌의 양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생존률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계를 이용하여 상기 리그난(lignans)의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유의성있는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즉,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은 각각 1 μM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가장 뛰어난 뇌신경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내어 정상상태 때의 각각 46.2 %, 51.3 % 및 63.9 %의 수준까지 뇌신경세포를 유지시켰다.
이에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독성에 대하여 보호 활성을 나타낸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지수 C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고자 투여시기 및 투여기간을 달리하여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신경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즉, 흰쥐의 대뇌피질세포에 글루타메이트로 투여하기 1시간 전부터 글루타메이트로 작용시키기 직전까지만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전투여(pre-treatment)라 하였으며, 배양액을 DMEM으로 교환하고 24시간 더 배양한 다음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흰쥐의 대뇌피질세포에 글루타메이트를 15분 동안 처리한 후 배양액을 DMEM으로 갈아주면서 이들을 다시 투여하고 24시간 더 배양한 다음 뇌신경세포 보호활성을 측정하는 것을 후투여(post-treatment)라 하였다. 그 결과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참조). 우웨이지수 C는 전투여하였을 때에는 유의성있는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후투여하였을 때에는 그 보호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데옥시쉬잔드린은 전투여하였을 때보다는 후투여하였을 때 더 뛰어난 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고미신 N은 전투여와 후투여하였을 때 모두 그 활성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부터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는 각기 서로 다른 기전으로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에 대하여 보호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우웨이지수 C는 글루타메이트에 의해 독성이 유발되는 초기단계에 작용하여 보호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데옥시쉬잔드린은 글루타메이트의 수용체의 과발현 후 매개되는 일련의 반응에 대하여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한편, 고미신 N은 우웨이지수 C와 데옥시쉬잔드린의 뇌신경세포 보호작용기전을 모두 가지는 것으로 일단은 추정할 수 있었다.
글루타메이트의 수용체는 작용제(agonist)에 따라 크게 대별되어 NMDA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NMDA 수용체와 α-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4-이속사졸 프로피오네이트(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 propionate) 및 카이닌산 (kainic acid : KA)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non-NMDA 수용체로 나뉜다. 이에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신경독성에 대하여 유의성 있는 보호 활성을 나타낸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들이 각기 다른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작용제로 유발시킨 독성에 대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즉, 일차배양한 대뇌피질세포에 이들 화합물을 각기 처리한 후 NMDA 수용체 작용제로 NMDA를 non-NMDA 수용체 작용제로 KA를 사용하여 독성을 유발시킨 후 각 화합물의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우웨이지수 C는 NMDA로 유발시킨 독성에 대하여, 데옥시쉬잔드린은 KA로 유발시킨 독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택적인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고미신 N은 KA로 유발시킨 독성보다는 NMDA로 유발시킨 독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보호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선택성은 데옥시쉬잔드린이나 우웨이지수 C보다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참조).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은 글루타메이트수용체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한 Ca2+의 유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세포 내 Ca2+양의 증가, 후리래디칼 및 NO의 축적 등을 수반한다 (Peter et al, 1995; Krieglstein, 1997). 세포 내 Ca2+은 세포의 신호 전달과 세포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Ca2+의 항상성은 체계적으로 조절되며 Ca2+의 항상성의 파괴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신경세포의 Ca2+항상성을 깨는 주 원인중의 하나가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세포 내 Ca2+의 증가이다. 글루타메이트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Ca2+이 세포 내로 유입되고 세포 내 Ca2+의 양의 증가는 Ca2+-의존성 효소들인 나이트릭 옥사이드 신세이즈(nitiric oxide synthase : NOS), 프로테인 키네이스 C(protein kinase C), 포스포리페이스(phospholipase) 및 프로테아제(protease) 등을 활성화시킨다 (Choi, 1985; Lipton and Rosenberg, 1994). 이러한 효소들이 활성화되면 일련의 반응을 통하여 다양한 독성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가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Ca2+의 유입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았다. 고미신 N과 우웨이지수 C는 글루타메이트로 인하여 세포 내로 유입되는 Ca2+의 농도를 유의성 있게 저하시켰다. 고미신 N과 우웨이지수 C는 각각 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글루타메이트에 의하여 증가되는 세포 내 Ca2+의 양을 각각 60.3 % 및 67.9 %까지 감소시켰다. 그러나 데옥시쉬잔드린은 Ca2+의 유입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참조). 이러한 결과는 우웨이지수 C와 고미신 N은 세포 독성 유발 초기단계에 작용하여 보호활성을 나타낼 것이라는 것과 데옥시쉬잔드린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과발현 후 일어나는 일련의 반응에 작용하여 그 활성을 나타낼 것이라는 상기의 추정을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세포 내 Ca2+양의 증가는 Ca2+-의존성 효소들을 활성화시킨다. Ca2+-의존성 효소중의 하나인 NOS의 활성화는 NO의 생성을 증가시켜 독성을 나타내며 이는 글루타메이트 독성기전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Masanori et al, 1998). 또한 포스포리페이즈(phospholipase) A2가 활성화되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생성되며 아라키돈산의 대사과정에서 다양한 후리래디칼이 생성된다. 따라서 산화적 스트레스는 글루타메이트의 또다른 독성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계에는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를 위한 다양한 항산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항산화기전으로는글루타치온 퍼옥시데이스(glutathione peroxidase),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스(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스(catalase)와 같은 항산화효소와 글루타치온으로 대표되는 항산화물질이 있다. 이에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독성에 대하여 보호 활성을 나타낸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에 대하여 항산화 기전 및 NO의 생성에 미치는 영항을 살펴보았다.
일차배양한 흰쥐의 대뇌피질세포에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하면 NO 생성이 증가된다. 고미신 N과 우웨이지수 C는 글루타메이트로 인하여 과다 생성되는 NO의 양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정상상태 때의 60.2 % 및 65.8 % 수준까지 감소시켰다. 데옥시쉬잔드린도 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글루타메이트로 인하여 증가된 NO의 양을 감소시켰으나 그 효과는 정상상태 때의 40.2 % 수준으로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에 비하여 떨어졌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참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이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NO의 생성을 저하시키는 효과는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Ca2+의 유입 억제에 따른 NOS의 활성화를 차단시키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데옥시쉬잔드린은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Ca2+의 유입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NO의 생성을 저하시킨 것으로 보아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와는 다른 기전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겠다.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은 또한 글루타메이트로 독성을 유발시킨 일차배양한 대뇌피질세포에 1 μM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글루타메이트로 인하여 감소되는 GSH-px의 활성 및 글루타치온의 양을 정상상태 때의 약 50 % 수준까지 유지시켜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도 보호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6 및 7에 나타내었다 (표 6 및 표 7 참조).
글루타메이트로 인하여 과다 생성된 NO와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음이온은 서로 결합하여 퍼옥시나이트라이트(peroxynitrite)를 형성한다 (Almeida et al, 1998). 이렇게 생성된 퍼옥시나이트라이트는 글루타메이트 독성으로 인하여 생성된 후리래디칼과 함께 신경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는 결국 세포의 지질과산화를 유발한다. 이에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가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웨이지수 C는 1 μM의 농도에서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지질과산화를 68.7 %까지 억제시켰다. 고미신 N과 데옥시쉬잔드린도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지질과산화를 유의성 있게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참조).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는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신경독성에 유의성있는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 작용기전으로 우웨이지수 C는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초기 Ca2+의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NO의 생성 및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켜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데옥시쉬잔드린은 Ca2+의 유입을 억제시키지는 못하였으나 Ca2+에 의하여 매개되는 반응을 차단시킴으로써 NO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방어체계를 유지시켜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고미신 N은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Ca2+의 유입을 억제시키고 항산화 방어체계에도 작용하여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신경독성의 기전으로 Ca2+-의존성 효소의 활성화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소 중 하나인 칼페인(calcium activated protease)은 정상상태에서는 세포막 단백질의 조절 및 신경세포의 시냅스 유연성(synaptic plasticity)에 관여하며, 또한 시토졸(cytosol)내 존재하는 전사성 인자(c-jun, c-fos etc.)의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quier et al, 1994; Martin et al, 1995). 그러나,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 세포골격(cytoskeletal) 단백질들을 과도하게 분해함으로써 세포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ohnson et al, 1991). 따라서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신경독성을 유의성 있게 차단시킨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이 칼페인의 활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고미신 N은 IC50가 0.112 μM로 뛰어난 칼페인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고미신 N의 칼페인 저해효과가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뇌신경 세포사멸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또 하나의 기전임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참조).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일차배양한 흰쥐의 대뇌피질세포를 이용하여 오미자의 3종 리그난(lignans) 즉, 우웨이지수 C, 데옥시쉬잔드린 및 고미신 N의 뇌신경세포 보호활성을 처음으로 밝혔으며 그 작용기전을 제시하였다.
표 1. 글루타메이트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 대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세포 생존능(viability) 효과
농도 생존능
(μM) (%)
콘트롤 100.0 ± 1.4
글루타메이트 처리 0.0 ± 6.4
데옥시쉬잔드린 0.1 11.6 ± 5.1
1.0 46.2 ± 6.3**
5.0 45.6 ± 3.1**
고미신 N 0.1 25.2 ± 4.4
1.0 51.3 ± 8.3**
5.0 49.2 ± 9.5**
우웨이지수 C 0.1 30.2 ± 6.3*
1.0 63.9 ± 5.9***
5.0 60.9 ± 9.6***
(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00μM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하기 1시간전에 화합물을 처리하고, 24시간 유지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에세이로 측정하였다. 콘트롤과 글루타메이트 처리군의 OD(optical density)는 각각 1.18 ± 0.09 및 0.75 ± 0.07이었다. 생존능은 100 x (글루타메이트 + 화합물-처리군의 OD - 글루타메이트 처리군의 OD) / (콘트롤의 OD - 글루타메이트 처리군의 OD)로 계산하였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5, **p<0.01, ***p<0.001)
표 2. 글루타메이트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 대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전·후처리에 의한 세포 생존능 효과
생존능 (%)
전처리 후처리
콘트롤 100.0 ± 1.5 100.0 ± 2.1
글루타메이트 처리 0.0 ± 5.9 0.0 ± 4.7
데옥시쉬잔드린 20.1 ± 3.1 45.9 ± 5.5**
고미신 N 45.5 ± 9.8** 39.6 ± 6.2*
우웨이지수 C 59.6 ± 5.1*** 19.2 ± 7.8(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00μM 글루타메이트를 처리(15분)하기 1시간전에 1 μM의 화합물을 처리하고, DMEM내에서 화합물 없이 24시간 유지하였다(전처리). 일부 코티칼 배양물을 글루타메이트로 15분간 처리하고, 세척하고 화합물의 존재하에 DMEM내에서 24시간 유지하였다(후처리).세포 생존능은 MTT 에세이로 측정하였다. 콘트롤과 글루타메이트 처리군의 OD는 각각 1.18 ± 0.09 및 0.75 ± 0.07이었다. 생존능 측정은 표 1과 같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5, **p<0.01)
표 3. NMDA- 또는 KA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 대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세포 생존능 효과
생존능 (%)
NMDA 처리 KA 처리
콘트롤 100.0 ± 1.4 100.0 ± 1.9
NMDA 또는 KA-처리 0.0 ± 6.6 0.0 ± 5.6
데옥시쉬잔드린 11.0 ± 3.5 38.2 ± 4.2*
고미신 N 45.5 ± 6.8** 25.5 ± 4.5
우웨이지수 C 52.1 ± 7.1** 15.0 ± 3.9
(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 μM의 화합물로 1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배양물을 50 μM NMDA 또는 50 μM KA로 처리하고, 추가적으로 24시간 유지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MTT 에세이로 측정하였다. 콘트롤과 NMDA-처리군 및 KA 처리군의 OD는 각각 1.20 ± 0.10, 0.77 ± 0.05 및 0.85 ± 0.08이었다. 생존능 측정은 표 1과 같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5, **p<0.01)
표 4. 글루타메이트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세포내 Ca2+([Ca2+]i)에 대한 효과
[Ca2+]i 보호율
(nM) (%)
콘트롤 85.6 ± 15.9 100.0
글루타메이트 처리 419.0 ± 21.3 0.0
데옥시쉬잔드린 350.7 ± 18.2 20.5
고미신 N 218.0 ± 11.9*** 60.3
우웨이지수 C 192.6 ± 9.1*** 67.9
(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 μM의 화합물로 1시간동안 처리하고, 100 μM의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한 후, 24시간 유지하였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01)
표 5. 글루타메이트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에 대한 효과
일산화질소 보호율
(nM) (%)
콘트롤 90.2 ± 3.7 100.0
글루타메이트 처리 141.8 ± 5.7 0.0
데옥시쉬잔드린 121.9 ± 3.1** 40.2
고미신 N 111.4 ± 3.3*** 60.2
우웨이지수 C 107.6 ± 2.9*** 65.8
(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 μM의 화합물로 1시간동안 처리하고, 100 μM의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한 후, 24시간 유지하였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01)
표 6. 글루타메이트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GSH-px 활성에 대한 효과
GSH-px 보호율
(μmol NADPH consumed/ (%)
min/mg protein)
콘트롤 18.7 ± 2.7 100.0
글루타메이트 처리 9.2 ± 3.3 0.0
데옥시쉬잔드린 15.3 ± 3.0** 62.1
고미신 N 14.6 ± 4.1** 56.8
우웨이지수 C 13.9 ± 3.9* 49.5
(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 μM의 화합물로 1시간동안 처리하고, 100 μM의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한 후, 24시간 유지하였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5, **p<0.01)
표 7. 글루타메이트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GSH 함량에 대한 효과
GSH 보호율
(μmol/mg protein) (%)
콘트롤 6.9 ± 1.7 100.0
글루타메이트 처리 2.6 ± 0.7 0.0
데옥시쉬잔드린 4.7 ± 1.1** 48.8
고미신 N 4.8 ± 1.3** 51.2
우웨이지수 C 4.4 ± 0.9** 41.9
(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 μM의 화합물로 1시간동안 처리하고, 100 μM의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한 후, 24시간 유지하였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1)
표 8. 글루타메이트로 손상된 1차 배양된 래트의 코니칼 세포에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MDA 함량에 대한 효과
MDA 보호율
(nmol/mg protein) (%)
콘트롤 70.2 ± 4.9 100.0
글루타메이트 처리 198.2 ± 15.0 0.0
데옥시쉬잔드린 135.4 ± 10.7** 49.2
고미신 N 125.6 ± 11.1*** 57.0
우웨이지수 C 110.5 ± 9.0*** 68.7
(래트 코티칼 배양물을 1 μM의 화합물로 1시간동안 처리하고, 100 μM의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한 후, 24시간 유지하였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 p < 0.01, *** p < 0.001)
표 9. m-칼페인 활성에 대한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및 우웨이지수 C의 저해효과
농도 저해율 IC50
(μM) (%) (μM)
콘트롤 100.0 ± 0.0
대조군 (Ca2+-비처리) 0.0 ± 0.0
고미신 N 0.01 13.5 ± 1.4
0.1 44.3 ± 3.0** 0.112 ± 0.006
1.0 83.4 ± 5.2***
우웨이지수 C 0.1 4.1 ± 2.6
1.0 10.3 ± 0.3
데옥시쉬잔드린 0.1 0.0 ± 1.8
1.0 0.0 ± 3.1
루펩틴 0.01 63.0 ± 5.9*** 0.026 ± 0.003
0.1 85.2 ± 7.4***
(콘트롤은 Ca2+를 처리한 값이다. 대조군은 Ca2+를 처리하지 않은 값이다. 콘트롤과 대조군의 칼페인 활성은 각각 0.247±0.01 및 0.07±0.00 OD이다. 루펩틴(Leupeptin)은 공지의 프로티에이즈 저해제(protease inhibitor)이다. 저해율은 100 × (콘트롤의 OD - 화합물 처리군의 OD) + (샘플의 OD - 대조군의 OD)/(콘트롤의 OD - 대조군의 OD)로 계산하였다. 값은 평균 ± SD (n=3)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p<0.05, **p<0.01, ***p<0.001)
따라서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뇌신경세포 사멸억제제 및 뇌졸중과 뇌허혈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일일 1mg 내지 200mg을 1 내지 3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환자의 체중, 성별, 나이 및 질병의 정도에 따라서 그 사용량을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뇌신경세포 사멸억제제 및 뇌졸중과 뇌허혈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 화합물은 통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통상으로 하용되는 약학적 제제, 예를들면 주사제, 액제, 시럽제, 정제, 캡슐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약학적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제제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제실시예 1
데옥시쉬잔드린 10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pH조절제 적량
데옥시쉬잔드린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 조절제로 pH약 7.6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2ml로 한후 2ml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2
고미신 N 2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pH조절제 적량
고미신 N을 주사용 멸균증류수에 용해하고 pH조절제로 pH약 7.2로 조절하고 전체를 2ml로 한다음 2ml용량의 앰플에 충진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3
우웨이지수 C 10mg
유당 100mg
전분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4
데옥시쉬잔드린 10mg
유당 100mg
전분 5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5
고미신 N 5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6
데옥시쉬잔드린 5mg
유당 100mg
전분 93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7
우웨이지수 C 5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ml 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8
데옥시쉬잔드린 1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ml 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1.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글루타메이트로 신경독성을 유발시킨 일차배양한 흰쥐의 대뇌피질세포에서 유의성있는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2.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글루타메이트로 인하여 세포 내로 과다하게 유입되는 Ca2+의 농도를 유의성 있게 저하시켰다.
3.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글루타메이트로 인하여 감소된 글루타치온 퍼옥시데이즈의 활성 및 글루타치온의 양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또한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NO의 과다한 생성을 억제시켰으며, 지질과산화 또한 억제하였다.
4.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Ca2+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칼페인의 활성을 유의성있게 저해하였으며 IC50은 각각 0.112 μM이었다.
5. 이상의 실험결과로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뇌졸중 및 노화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구조적 퇴화, 순환기 장애 등 다른 성인병에 기인한 2차적 증상, 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일산화탄소 중독 등 다양한 물리적, 기계적 요인에 의한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의약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다음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I)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킬기이며, R2, R3, R4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콕시기이거나, 또는 R2와 R3및 R4와 R5는 각각 함께 결합하여 -OCH2O-기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구조식 ( I )의 화합물은 데옥시쉬잔드린, 고미신 N 또는 우웨이지수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0-0061676A 2000-10-19 2000-10-19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38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676A KR100380634B1 (ko) 2000-10-19 2000-10-19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T01982877T ATE437636T1 (de) 2000-10-19 2001-10-19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die ein dibenzocyclooctanlignanderivat enthalten zur vorbeugung und behandlung neurodegenerativer erkrankungen
US10/168,394 US6653344B2 (en) 2000-10-19 2001-10-19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a dibenzocyclooctane lignan derivative f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EP01982877A EP1326596B1 (en) 2000-10-19 2001-10-19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a dibenzocyclooctane lignan derivativ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AU2002214336A AU2002214336A1 (en) 2000-10-19 2001-10-19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a dibenzocyclooctane lignan derivativ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JP2002535655A JP3996505B2 (ja) 2000-10-19 2001-10-19 ジベンゾシクロオクタン系リグナン化合物を含有する退行性脳神経系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効果を有する薬剤学的製剤
CNB018032176A CN1171585C (zh) 2000-10-19 2001-10-19 用于预防和治疗神经变性疾病的含二苯并环辛烷木酚素衍生物的药物制剂
DE60139409T DE60139409D1 (de) 2000-10-19 2001-10-19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die ein dibenzocyclooctanlignanderivat enthalten zur vorbeugung und behandlung neurodegenerativer erkrankungen
PCT/KR2001/001765 WO2002032417A1 (en) 2000-10-19 2001-10-19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a dibenzocyclooctane lignan derivativ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676A KR100380634B1 (ko) 2000-10-19 2000-10-19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642A KR20020030642A (ko) 2002-04-25
KR100380634B1 true KR100380634B1 (ko) 2003-04-26

Family

ID=1969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676A KR100380634B1 (ko) 2000-10-19 2000-10-19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53344B2 (ko)
EP (1) EP1326596B1 (ko)
JP (1) JP3996505B2 (ko)
KR (1) KR100380634B1 (ko)
CN (1) CN1171585C (ko)
AT (1) ATE437636T1 (ko)
AU (1) AU2002214336A1 (ko)
DE (1) DE60139409D1 (ko)
WO (1) WO20020324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306B1 (ko) 2005-03-31 2007-02-06 아미코젠주식회사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뇌신경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81581B1 (ko) 2006-05-11 2007-12-03 김호철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고미신 a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7767B2 (ja) * 2000-10-19 2008-10-01 エルコム バイオ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退行性脳神経系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効果を有するハンゲショウ抽出物
KR100569089B1 (ko) * 2002-07-20 2006-04-10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752750B1 (ko) * 2005-07-11 2007-08-29 최영환 오미자로부터 추출된 쉬산드렌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한 항산화제 조성물
EP2025335A1 (en) * 2007-08-16 2009-02-18 InterMed Discovery GmbH Extracts with liver-X-receptor modulators, compounds and their use in weight control and treatment of disorders of lipid metabolism
WO2012045400A1 (en) * 2010-10-05 2012-04-12 Cognis Ip Management Gmbh An extract of the fruit of the plant schisandra chinensis
CN104151373B (zh) * 2013-05-13 2017-01-18 四川万安石斛产业开发有限公司 一种木脂素苷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939009A (zh) * 2017-03-31 2017-07-11 牡丹江医学院 一种用于治疗脑震荡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147794B1 (ko) 2018-11-12 2020-08-2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마토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15919837A (zh) * 2022-08-17 2023-04-07 浙江中医药大学 戈米辛n在制备缺血性脑中风治疗药物中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714A (ja) * 1985-07-22 1987-01-30 Tsumura Juntendo Inc 脂質代謝促進剤
JPS6416721A (en) * 1987-07-09 1989-01-20 Tsumura & Co Antioxidant
JPS6442421A (en) * 1987-08-10 1989-02-14 Tsumura & Co Calcium antagonistic agent
JPH01316313A (ja) * 1988-03-17 1989-12-21 Tsumura & Co 脳機能改善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714A (ja) * 1985-07-22 1987-01-30 Tsumura Juntendo Inc 脂質代謝促進剤
JPS6416721A (en) * 1987-07-09 1989-01-20 Tsumura & Co Antioxidant
JPS6442421A (en) * 1987-08-10 1989-02-14 Tsumura & Co Calcium antagonistic agent
JPH01316313A (ja) * 1988-03-17 1989-12-21 Tsumura & Co 脳機能改善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약학회지, 김영중 et al., 1995, 39(4), p444-449 *
약학회지, 조정숙 et al., 2000, 44(1),p29-3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306B1 (ko) 2005-03-31 2007-02-06 아미코젠주식회사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뇌신경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81581B1 (ko) 2006-05-11 2007-12-03 김호철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고미신 a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53344B2 (en) 2003-11-25
DE60139409D1 (de) 2009-09-10
US20030050335A1 (en) 2003-03-13
EP1326596A1 (en) 2003-07-16
ATE437636T1 (de) 2009-08-15
WO2002032417A1 (en) 2002-04-25
CN1394137A (zh) 2003-01-29
EP1326596A4 (en) 2005-11-23
CN1171585C (zh) 2004-10-20
AU2002214336A1 (en) 2002-04-29
JP3996505B2 (ja) 2007-10-24
KR20020030642A (ko) 2002-04-25
JP2004511514A (ja) 2004-04-15
EP1326596B1 (en)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Oliveira et al. Resveratrol and the mitochondria: From triggering the intrinsic apoptotic pathway to inducing mitochondrial biogenesis, a mechanistic view
Kumbhare et al.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cytotoxicity and in–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tem bark of Moringa oleifera
EP1976506B1 (en) Cannabinoid-containing plant extracts as neuroprotective agents
Hu et al. Hydrogen sulfide inhibits rotenone-induced apoptosis via preserv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Zanoli Role of hyperforin in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St. John's Wort
RU2359689C2 (ru)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инсулинзависим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 гиперхолестеринемии
KR100380634B1 (ko) 디벤조사이클로옥탄계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obles et al. Cytotoxic effects of repin, a principal sesquiterpene lactone of Russian knapweed
CN109090611A (zh) 一种AGEs抑制组合物及其应用、制备方法、制剂
AU2005301315B2 (en) Insulin secretion by anthocyanins and anthocyanidins
Jang et al. Effect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fruits of Rumex japonicus on the protein glycation
KR100446089B1 (ko)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삼백초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0514076B1 (ko) 페닐에타노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04719B1 (ko) 디벤질부틸로락톤 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치료용 조성물
CN115120597A (zh) 一种新型Nrf2激活剂及用途
Eze et al. Effects of Lycopene on Liver Markers and Glucokinase Activity in Experimentally-induced Diabetes Mellitus Rat Model.
Widiyanti et al. Cytotoxicity of Justicia gendarussa Burm. f. Leaf Extracts on MOLT-4 Cell
KR20130005118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AU2017365116B2 (en)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beta-escin for reducing acetaldehyde toxicity
Krishnan et al. Ameliorative potential of Chrysoeriol, a bioactive flavonoid on oxidative stress and hepatic marker enzymes in STZ induced diabetic rats
Zhang et al. Effects of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Qing Nao Yi Zhi Fang, on glutamate excitotoxicity in rat fetal cerebral neuronal cells in primary culture
Moukette et al. Afrostyrax lepidophyllus Mildbr. and Monodora myristica (Gaertn.) dunal extracts decrease doxorubicin cytotoxicity on H9c2 cardiomyoblasts
KR100446090B1 (ko) 사우로락탐계 알카로이드의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ATHAPATHTHU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pinostrobin
Moukette et al. Research Article Afrostyrax lepidophyllus Mildbr. and Monodora myristica (Gaertn.) Dunal Extracts Decrease Doxorubicin Cytotoxicity on H9c2 Cardiomyobla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