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142B1 -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142B1
KR100377142B1 KR10-2000-0074414A KR20000074414A KR100377142B1 KR 100377142 B1 KR100377142 B1 KR 100377142B1 KR 20000074414 A KR20000074414 A KR 20000074414A KR 100377142 B1 KR100377142 B1 KR 10037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reinforcement
airbag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107A (ko
Inventor
금우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1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강성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도어 표면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30)이 설치되는 하우징(40)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10)상에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도어(20) 내측면에 금속재의 보강판(100)과, 이 보강판(100)과 함께 도어(20) 내면에 용접 고정되는 보조 보강판(200)을 순차적으로 마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STRUCTURE FOR REINFORCEING AN AIRBAG DOOR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객의 보호를 위하여 크래쉬 패드상에 마련되는 에어백 도어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은 추돌 사고시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핸들에 부딪쳐 심각한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상에 마련하는 것이 통상적인 바, 근래에 들어와서는 탑승자까지 보호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탑승자와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10)의 전면에 에어 백을 내장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 백은 핸들(1)상에 마련하고,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 백은 탑승자의 전면측 크래쉬 패드(10)상에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백은 커버의 결합 방법에 따라 크게 컨벤셔널타입(conventional type)과, 심리스 하드 패널 타입(seamless hard panel type)로 대별된다.
컨벤셔널 타입은, 크래쉬 패드상에 도어의 외곽라인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에 의해 근래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외곽라인이 노출되지 않는 심리스 하드 패널 타입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심리스 하드 패널 타입의 에어백 장착구조를 보면,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는 에어백(30)이 설치되는 하우징(40)이 위치되며, 이 하우징(40)의 내부를 밀폐시키며, 크래쉬 패드(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도어(door;20)가 설치된다.
도어(20)의 내측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것으로서, 금속으로 성형된 커버 플레이트(50)가 마련되며, 하우징(40)을 크래쉬 패드(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쉬트(chute;60) 마련된다.
전술한 커버 플레이트(50)와 도어(20)간의 결합 구조를 보면,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도어(20) 내측면에 복수의 보스(boss;21)를 일체로 마련하고, 커버 플레이트(50)에는 관통구멍(51)을 형성한 뒤, 보스(21)를 관통구멍(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한 뒤 이를 가열하여 관통구멍(51)의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호간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어(20)와 커버 플레이트(50)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에어백(30)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커버 플레이트(50)와 도어(20)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보스(21)가 에어백(30)의 강한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비산됨으로써 탑승객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가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통상적으로 커버 플레이트(50)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하여 도어(20)의 내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보스(21)의 두께가 1㎜정도이기 때문에 강한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보스(21)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성형하지 못하는 것은, 보스(21)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할 경우에는 도어(20)의 사출 성형시 보스(21)와 도어 (20)간의 수축률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도어(20)의 표면이 오목하게 변형됨으로써 미관을 해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강성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도어 표면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백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상에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도어 내측면에 금속재의 보강판과, 이 보강판과 함께 도어 내면에 용접 고정되는 보조 보강판을 순차적으로 마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에어 백이 장착되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심리스 하드 패널 타입의 에어백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 에어 백 장착구조에 있어서, 도어와 커버 플레이트간의 결합 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크래쉬 패드 20 : (에어백)도어
30 : 에어백 40 : 하우징
100 : 보강판 110 : 장방형 구멍
200 : 보조 보강판 210 : 용접리브
도 1에 참조되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는 에어백(30)이 설치되는 하우징(40)이 위치되며, 이 하우징(40)의 내부를 밀폐시키며, 크래쉬 패드(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도어(door;20)가 설치된다.
도어(20)의 내측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것으로서, 금속으로 성형된 보강판 (100)과, 이 보강판(100)과 함께 도어(20) 내측면에 고정되는 보조 보강판(200)이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이때 보강판(100)과 보조 보강판(200)은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 경량의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압금으로 성형된다.
또한 하우징(40)을 크래쉬 패드(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쉬트(chute;60) 마련된다.
전술한 보강판(100)과 보조 보강판(200)을 커버 플레이트(50)와 도어(20)간의 결합 구조를 보면, 보강판(100)상에는 폭 방향으로 장방형 구멍(110)이 소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보강판(200)에는 장방형 구멍(110)에 끼워 삽입되어 도어(20) 내측면에 밀착 접촉되는 용접리브(210)가 마련된다.
따라서 보강판(100)의 장방형 구멍(110)에 보조 보강판(200)의 용접리브 (210)를 결합시키고, 이들을 도어(20) 내측면에 밀착 접촉시킨 상태에서, 보조 보강판(200)의 용접리브(210)를 융착시키게 되면, 용접리브(210)가 융착되면서 보강판(200)과 도어(20) 내측면상에 밀착되어 이들을 일체로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용접리브(210)를 융착시키는 방법으로써는, 도어(20)에 변형을 주지않는 진동용접(vibration welding) 방식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즉, 용접리브(210)상에 소정 주파수 범위내의 진동을 가하게 되면, 도어(20) 내측면과 보강판(100)의 내면 그리고 용접리브(210) 상호간에 마찰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상호간의 접촉부위가 융착되면서 상호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 내측에 보강판과 보조 보강판이 순차적으로 개재됨으로써 도어의 강성이 충분히 보강되는 것이어서, 에어백의 팽창시 파손에 의한 탑승객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강판과 보조 보강판 및 도어가 진동용접되는 것이어서, 열 융착에 의한 종래 도어 표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에어백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상에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도어 내측면에 금속재의 보강판과, 이 보강판과 함께 도어 내면에 용접 고정되는 보조 보강판을 순차적으로 마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상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의 장방형 구멍이 형성되고, 보조 보강판상에는 장방형 구멍에 끼워 삽입되는 용접리브를 마련하여, 상기 용접리브가 장방형 구멍 내측에서 융착되는 것에 의해 보강판과 보조 보강판이 도어 내측에서 용접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리브는 진동 마찰에 의해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KR10-2000-0074414A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KR10037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414A KR100377142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414A KR100377142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107A KR20020045107A (ko) 2002-06-19
KR100377142B1 true KR100377142B1 (ko) 2003-03-26

Family

ID=2768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414A KR100377142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1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107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470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の製造方法及びカバー体本体
JP3321531B2 (ja) エアバッグドアを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04066955A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US6264238B1 (en) Reactive surface rib cartridge countermeasure for vehicle interior hard trim applications
JP3959673B2 (ja)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KR100491207B1 (ko) 차량용에어백장치
EP1393990B1 (en) Air-bag-door-equipped vehicle interior trim art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80466B1 (ko) 슬라이딩 힌지를 적용한 이음매가 없는 승객용 에어백의전개 구조
JP4533558B2 (ja) エアバッグドア一体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98407A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3463510B2 (ja) 側突センサの取付構造
KR100377142B1 (ko) 자동차의 에어백 도어 보강구조
JPH0761310A (ja) エアバッグ装置の蓋材
JP3937308B2 (ja) 車両内装部材
JP4089723B2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476267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JP4593757B2 (ja) エアバッグドア一体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910018B2 (ja) エアバッグドア付車両用内装部材
JP3799528B2 (ja) 振動溶着部材の剥離防止構造
JP4139245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付車両用内装品の製造方法
JP4113791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ドア
JP2002200957A (ja) エアバッグドア一体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436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KR0124483Y1 (ko) 차량의 프론트 필러패널 보강구조
KR100445175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