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232B1 -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및 부직포조의장성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및 부직포조의장성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232B1
KR100376232B1 KR10-2000-0014197A KR20000014197A KR100376232B1 KR 100376232 B1 KR100376232 B1 KR 100376232B1 KR 20000014197 A KR20000014197 A KR 20000014197A KR 100376232 B1 KR100376232 B1 KR 100376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fiber pil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965A (ko
Inventor
콘도마사키
야마구찌이사무
미즈노마사키
토다카노부히코
Original Assignee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86With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93Composition of pile or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10T428/249942Fibers are aligned substantially parallel
    • Y10T428/249943Fiber is nonlinear [e.g., crimped, sinusoid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10T428/249942Fibers are aligned substantially parallel
    • Y10T428/249945Carbon or carbonaceous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펠릿화할 수 있고, 무착색수지펠릿에 배합해서 성형한 경우에, 기계적 성질과 장기내구성이 뛰어나고, 온화함과 깊이감이 풍부한 부직포조의장을 가지는 동시에, 리사이클성이 좋은 성형품을 부여할 수 있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또는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상기 수지조성물을 무착색수지와 혼합하여, 성형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지조성물을 사용해서 제조된 성형품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및 부직포조의장성 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resin composition for nonwoven-tune design and process for producing resin molding article for nonwoven-tune design}
본 발명은, 부직포조의장용(不織布調意匠用)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펠릿화할 수 있고, 무착색수지펠릿에 배합하여 미세요철(凹凸)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성형한 경우에, 기계적 성질과 내후성, 내열성이 뛰어나고, 온화함과 깊이감이 풍부한, 부직포조의장을 가진 성형품을 부여할 수 있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이나 옥내의 내장재로서,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부직포는 섬유의 뒤엉킴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때문에, 온화함과 깊이감이 풍부한 뛰어난 의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부직포를 내장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계적 강도와 고정된 형상을 가진 기재(基材)를 설치하고, 그 위에 부직포를 붙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공정이 길어지고, 고코스트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 차량 등의 내장재로서 접착제를 사용해서 부직포를 붙이고, 장기간 방치하면, 휘발물 때문에 창유리면에 흐림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내장재로서 플라스틱성형품을 사용하면, 강도와 형상은 상당히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성형품에, 부직포와 같은 온화함과 깊이감이 있는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착색한 플라스틱성형품을 제조할 경우, 고농도의 착색제를 이겨서 속에 넣은 수지조성물을 미리 제조해 두고, 성형시에 5~100배의 무착색수지펠릿과 혼합해서 성형하는 경우가 많으나, 고농도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안정적으로 펠릿화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그런데, 최근, 환경오염의 문제나 자원유효이용 등의 관점에서, 각종 제품의 리사이클화가 요망되고 있고,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에 대해서도, 그것을 사용한 성형품이 리사이클가능한 것이 중요해진다.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펠릿화할 수 있고, 무착색수지펠릿에 배합해서 성형한 경우에, 기계적 성질과 장기내구성이 뛰어나고, 온화함과 깊이감이 풍부한 부직포조의장을 가지며, 또한 리사이클성이 양호한 성형품을 부여할 수 있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이나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이, 안정적으로 펠릿화할 수 있고, 이 수지조성물과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해서 성형한 경우에, 뛰어난 부직포조의장을 가지는 동시에, 리사이클성이 양호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중 어느 한쪽의 섬유파일 혹은 양쪽 모두의 섬유파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2) 섬유파일의 굵기가 1~15데니어이고, 길이가 0.1~2mm인 제 (1)항 기재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3) 섬유파일의 함유량이 5~20중량%인 제 (1)항 또는 제 (2)항 기재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4) 폴리프로필렌 15~40중량%, 폴리에틸렌 15~40중량%,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 10~30중량%, 산변성폴리프로필렌 1~10중량% 및 섬유파일 5~20중량%를 함유하는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기재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기재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성형품, 및,
(6)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하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중 어느 한쪽의 섬유파일 혹은 양쪽 모두의 섬유파일을 5~20중량% 함유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5~50중량배의 무착색수지를 혼합하여, 성형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성 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은,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또는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함유한다.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에 내염화(耐炎化)처리와 탄화처리를 실시해서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로 하고, 얻어진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를 절단하여, 파일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는, 질소 26.4중량%를 함유하고, 내염화처리에 의해 질소함유량은 약간 상승하나, 탄화처리를 진행하면 질소함유량은 차차로 저하하여, 질소함유량 4~7중량%의 고강도타입탄소섬유로부터, 또 질소를 거의 함유하지 않는 고탄성률타입탄소섬유가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는, 탄소섬유가 되기 이전의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단계에서 탄화처리를 멈춤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은, 질소함유량이 15중량%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은, 수지조성물의 매트릭스수지, 섬유파일, 안료,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등을 혼합하여, 압출가공을 행하는 펠릿화공정과, 얻어진 수지조성물과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해서 사출성형을 행하는 성형공정의 2공정을 거쳐도, 용융되는 일도 절손(折損)되는 일도 없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한다. 또, 압출가공을 행하는 펠릿화공정에 있어서, 매트릭스수지속에 균일하게 분산해서, 스트랜드조각 등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사출성형공정에 있어서도 균일하게 분산해서, 성형품의 표면에 흑색의 섬유파일로서 나타나, 부직포조의장의 발현에 기여한다.
한편,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은, 펄프를 수산화나트륨수용액에 침지, 압착해서 알칼리셀룰로오스로 하고, 분쇄, 노성한 후 2황화탄소와 반응해서 셀룰로오스크산틴산염으로 하고, 수산화나트륨수용액에 용해해서 얻어지는 비스코스원액에 안료를 배합하여, 여과, 숙성탈포해서 방사함으로써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로 하고, 또 얻어진 비스코스레이온섬유를 절단하여, 파일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의 안료함유량은, 0.01~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3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스코스레이온섬유의 착색에 사용하는 안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산화티탄, 아이언블랙, 벵갈라, 군청, 카본블랙 등의 무기안료나, 폴리아조옐로우, 폴리아조레드, 이소인돌리논옐로우, 디케토피롤로피롤, 프탈로시아닌블루, 프탈로시아닌그린, 퀴나크리돈, 페릴렌, 안트라퀴논 등의 유기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비스코스레이온섬유는, 염료에 의해 원액착색 또는 후염색착색할 수 있으나, 염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은, 상기의 본 발명에 관한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에 비해서, 내열성 및 내후성이 현저하게 뒤떨어져, 단독 사용은 실용적이지 않다.
또, 상기의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이나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성형품은, 리사이클사용을 반복해도, 상기 섬유파일의 절단이 일어나기 어렵고, 섬유형상의 유지성이 좋으며, 양호한 리사이클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이나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 대신에, 카본섬유파일을 사용한 경우, 얻어지는 성형품의 내열성 및 내후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으나, 상기 성형품은, 리사이클사용한 경우, 카본섬유파일이 절단되고, 의장성이 손상되는 동시에 기계물성도 저하하며, 리사이클성이 극히 나빠, 카본섬유파일의 단독 사용은 실용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염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이나 카본섬유파일은,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소망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또는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에 소량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내열성 및 내후성의 점에서, 염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은 사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고, 또, 리사이클성의 점에서, 카본섬유파일은 사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섬유파일의 굵기가 1~15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1~4데니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섬유파일의 굵기가 1데니어 미만이면, 성형품표면에 있어서 두드러지지 않아, 양호한 부직포조의장을 얻을 수 없는 염려가 있다. 섬유파일의 굵기가 15데니어를 넘으면, 필요로 하는 섬유파일의 함유량이 많아져서, 경제성이 손상되는 동시에, 성형품표면에 있어서 너무 두드러져서, 양호한 부직포조의장을 얻을 수 없는 염려가 있다. 또, 섬유파일의 길이는 0.1~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2~1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섬유파일의 길이가 0.1mm미만이면, 치수관리가 어렵고, 절단코스트가 높아 경제성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성형품표면에 있어서 두드러지지 않아, 부직포조의장을 얻을 수 없는 염려가 있다. 섬유파일의 길이가 2mm를 넘으면, 압출펠릿화공정에 있어서 섬유파일의 분산이 나빠져, 안정적인 펠릿화가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합성수지매트릭스의 조성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과 혼합해서 성형하는 무착색수지펠릿의 재료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무착색수지펠릿이 폴리프로필렌인 경우는, 폴리프로필렌 15~40중량%, 폴리에틸렌 15~40중량%,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 10~30중량%, 산변성폴리프로필렌 1~10중량% 및 섬유파일 5~20중량부를 함유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15중량%미만이면, 무착색수지펠릿과의 혼화성이 부족할 염려가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40중량%를 넘으면, 섬유파일의 분산성이 불량으로 될 염려가 있다.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15중량%미만이면, 무착색수지펠릿과의 혼화성이 부족할 염려가 있다.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40중량%를 넘으면, 섬유파일의 분산성이 불량으로 될 염려가 있다.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10중량%미만이면, 성형품의 충격강도가 부족해질 염려가 있다.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30중량%를 넘으면, 성형품의 열변형온도가 저하될 염려가 있다. 산변성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1중량%미만이면,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펠릿화공정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스트랜드를 압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다. 산변성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10중량%를 넘으면, 성형품의 내후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섬유파일의 함유량이 5중량%미만이면, 성형품표면에 나타나는 섬유파일의 양이 적고, 양호한 부직포조의장을 얻을 수 없는 염려가 있다. 섬유파일의 함유량이 20중량부를 넘으면,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펠릿화공정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스트랜드를 압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또, 성형품표면에 나타나는 섬유파일의 양이 많아, 부직포조로서 오히려 부자연스럽게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이소택틱, 어택틱 또는 신디오택틱프로필렌단독중합체, 에틸렌단위의 함유량이 적은 에틸렌-프로필렌랜덤공중합체, 프로필렌단독중합체로 이루어진 호모부와 에틸렌단위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에틸렌-프로필렌랜덤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공중합부로 구성된 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 또한 상기 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각 호모부 또는 공중합부가, 또 부텐-1 등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고밀도, 중밀도, 저밀도폴리에틸렌이나 직사슬형상 저밀도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EPDM)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산변성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말레산모노에틸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말레산모노아미드, 메타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나트륨 등,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수말레산과, 라디칼발생제의 존재하에 가열처리하여, 변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에는, 또 필요에 따라서, 안료, 분산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난연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과 무착색수지펠릿의 혼합비율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5~50중량배의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30중량배의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조성물에 대한 무착색수지펠릿의 혼합비율이 5중량배 미만이면, 고코스트가 되어 경제성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색조가 농후하게 되어 부직포조로서 부자연스럽게 될 염려가 있다. 수지조성물에 대한 무착색수지펠릿의 혼합비율이 50중량배를 넘으면, 성형품표면에 나타나는 섬유파일의 양이 적어져, 양호한 부직포조의장을 얻을 수 없는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은,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또는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이 양호한 분산상태를 유지하므로, 섬유파일의 용융이나 파손을 발생하는 일이 없어, 안정적으로 펠릿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과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하여, 미세요철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성형한 성형품은, 표면에 섬유파일이 나타나고, 부직포와 마찬가지의 온화함과 깊이감이 풍부한 의장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세요철모양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유자주름모양(감귤계 과실의 표면을 본뜬 표면형상의 주름모양임), 미세바둑판무늬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과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해서 성형한 성형품은, 내후성이 뛰어나고, 장기간 옥외에 폭로해도 색상의 변화가 적고, 기계적, 열적 성질이 양호하고, 무착색수지펠릿만을 사용해서 성형한 성형품과 거의 동등한 강도와 열안정성, 내후안정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성형품은, 리사이클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여러 특성을 구하였다.
(1) 내후성
얻어진 성형품에 대해서, 크세논내후도시험기[일본국, 스가시험기(주), XEL-2WNT]를 사용해서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조사 400시간후 및 1000시간후의 ΔE값을 구하였다.
(2) 내열성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해서, Ioz사출성형기로, 성형온도 200℃, 220℃ 및 240℃의 조건에서, 실린더내 체류시간을 0분(연속성형), 15분 및 30분으로 변화시키고, 200℃, 체류 0분의 조건에서 얻어진 성형플레이트와의 색차ΔE를 측정하여, ΔE값이 1이하를 ○(합격), 1을 넘는 것을 ×(불합격)로 하였다.
(3) 기계물성 및 열변형온도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해서 시험조각을 성형하고, 일본국, 토요타자동차규격 TSM0501G플라스틱성형재료표준시험방법에준해서 인장강도, 인장신장, 구부림강도, 구부림탄성률, 아이조드충격강도 및 열변형온도를 측정하였다.
(4) 리사이클성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해서, 가공온도 210℃에서 30mmø의 압출기를 통과하여, 얻어진 샘플을 「압출기 1패스」로 한다. 다음에, 이 샘플로부터 필요한 양을 빼낸 잔량을 다시 압출기를 통과하여, 얻어진 샘플을 「압출기 2패스」로 한다. 이하, 마찬가지의 수단으로, 「압출기 5패스」까지의 샘플을 제작하고, 각 샘플에 대해서, 이겨서 속에 넣어져 있는 섬유파일의 길이를 측정하는 동시에, 기계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에 내염화처리와 탄화처리를 실시해서, 굵기가 2데니어이고, 질소함유량 20중량%의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를 얻었다. 이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를 절단해서, 평균길이 0.5mm의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28.3중량부, 선형상 저밀도폴리에틸렌 28.3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 2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무수말레산화물 3.0중량부, 상기의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12.0중량부, 배합색의 그린계 안료 6.3중량부, 분산제 1.7중량부, 대전방지제 0.3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중량부를 텀블러를 사용해서 혼합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스트랜드형상으로 압출하여, 펠레타이저를 사용해서 펠릿화하였다. 안정적으로 압출하고, 펠릿화를 행하여,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출성형기와 유자주름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사출성형을 행하였다. 얻어진 성형품의 유자주름모양면은, 미세한 요철을 가진 그린색의 표면에, 흑색의 섬유파일이 점재하고, 부직포와 마찬가지의 온화함과 깊이감이 있는 의장을 가지고 있었다. 이 성형품에 대해서,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내후성을 구하였다.
또, 따로 상기 수지조성물과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특성을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2
비스코스원액에, 카본블랙을 배합해서 방사하여, 굵기가 3데니어이고 안료함유량 2.0중량%의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를 얻었다. 이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를 절단해서, 평균길이 0.5mm의 안료에 의해 흑색으로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얻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대신에, 상기의 안료에 의해 흑색으로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사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펠릿형상의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출성형기와 유자주름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사출성형을 행하였다. 얻어진 성형품의 유자주름모양면은, 미세한 요철을 가진 그린색의 표면에, 흑색의 섬유파일이 점재하고, 부직포와 마찬가지의 온화함과 깊이감이 있는 의장을 가지고 있었다. 이 성형품에 대해서,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내후성을 구하였다.
또, 따로 상기 수지조성물과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특성을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3
비스코스원액에, 안료[일본국, 다이니치세이카코교(주), 피그먼트옐로우 95, 피그먼트브라운 25 및 카본블랙의 중량비 75:25:5의 혼합물]를 배합해서 방사하여, 굵기가 3데니어이고 안료함유량 2.0중량%의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를 얻었다. 이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를 절단해서, 평균길이 0.5mm의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28.8중량부, 선형상 저밀도폴리에틸렌 28.8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 2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무수말레산화물 3.0중량부, 상기의 안료에 의해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 8.0중량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4.0중량부, 배합색의 아이보리계 안료 5.6중량부, 분산제 1.4중량부, 대전방지제 0.3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중량부를 텀블러를 사용해서 혼합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스트랜드형상으로 압출하여, 펠레타이저를 사용해서 펠릿화하였다. 안정적으로 압출하고, 펠릿화를 행하여,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출성형기와 유자주름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사출성형을 행하였다. 얻어진 성형품의 유자주름모양면은, 미세한 요철을 가진 아이보리색의 표면에, 브라운색과 흑색의 섬유파일이 점재하고, 부직포와 마찬가지의 온화함과 깊이감이 있는 의장을 가지고 있었다. 이 성형품에 대해서,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내후성을 구하였다.
또, 따로 상기 수지조성물과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특성을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비교예 1
굵기가 3데니어인 비스코스레이온섬유를, 흑색염료[상품명:미쯔이수퍼블랙B, 일본국, 미쯔이카가쿠사제]로 후염색해서 흑색의 비스코스레이온섬유를 얻은 후, 절단해서, 평균길이 0.5mm의 염료에 의해 흑색으로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얻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대신에, 상기의 염료에 의해 흑색으로 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사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펠릿형상의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출성형기와 유자주름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사출성형을 행하였다. 얻어진 성형품의 유자주름모양면은, 미세한 요철을 가진 그린색의 표면에, 흑색의 섬유파일이 점재하고, 부직포와 마찬가지의 온화함과 깊이감이 있는 의장을 가지고 있었다. 이 성형품에 대해서,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내후성을 구하였다.
또, 따로 상기 수지조성물과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특성을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대신에, 평균길이 0.7mm의 카본섬유파일을 사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펠릿형상의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조성물 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출성형기와 유자주름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사출성형을 행하였다. 얻어진 성형품의 유자주름모양면은, 미세한 요철을 가진 그린색의 표면에, 흑색의 섬유파일이 점재해 있었으나, 잘게 절단되어 있어 의장성은 실시예 1에 비해서 뒤떨어져 있었다. 이 성형품에 대해서,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내후성을 구하였다.
또, 따로 상기 수지조성물과 폴리프로필렌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특성을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후성 ΔE 400시간후 0.45 0.50 0.20 3.50 0.42
1000시간후 0.80 1.28 0.50 6.50 0.65
기계물성 인장강도 (MPa) 23.2 23.2 23.2 23.2 20.5
인장신장 (%) 300< 300< 300< 300< 120
구부림강도 (MPa) 34.6 34.0 34.7 34.0 33.0
구부림탄성률 (MPa) 2135 2085 2126 2088 1900
아이조드충격강도(J/m) 346 320 323 320 180
열변형온도(℃) 81.8 79.2 79.7 79.2 75.0
내열성 220℃, 0분
220℃, 15분
220℃, 30분 ×
240℃, 0분
240℃, 15분 ×
240℃, 30분 ×
리사이클성 파일평균 길이 (mm) 압출기1패스 0.48 0.48 0.48 0.48 0.32
압출기3패스 0.45 0.46 0.45 0.46 0.1미만
압출기5패스 0.44 0.45 0.44 0.45 0.1미만
(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사용한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의 평균길이는 0.5mm이고,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카본섬유파일의 평균길이는 0.7mm였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것은, 모두, 내후성, 내열성 및 리사이클성이 다같이 양호하다. 이에 대해, 비교예 1의 염료로 후염색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을 사용한 것은, 리사이클성은 양호하나, 내후성 및 내열성이 뒤떨어지고, 비교예 2의 카본섬유파일을 사용한 것은, 내후성 및 내열성은 양호하나, 리사이클성이 현저하게 뒤떨어져, 리사이클함으로써, 의장성 및 기계물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은,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또는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이 양호한 분산상태를 유지하므로, 예를들면 성형용융에 있어서의 가소화에 있어서도 섬유파일의 용융이나 파손을 발생하는 일이 없어, 안정적으로 펠릿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과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하여, 미세요철모양을 가진 금형을 사용해서 성형한 성형품은, 표면으로부터 섬유파일이 보이기 때문에, 부직포와 마찬가지의 온화함과 깊이감이 풍부한 의장이 된다. 또, 본 발명의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과 무착색수지펠릿을 혼합해서 성형한 성형품은, 내후성이 뛰어나고, 장기간 옥외에 폭로해도 색상의 변화가 적고, 기계적, 열적 성질이 양호하며, 무착색수지펠릿만을 사용해서 성형한 성형품과 거의 동등한 강도와 열안정성을 가지는 동시에, 리사이클성도 양호하다.

Claims (6)

  1.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상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중 어느 한쪽의 섬유파일 혹은 양쪽 모두의 섬유파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섬유파일의 굵기가 1~15데니어이고, 길이가 0.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섬유파일의 함유량이 5~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15~40중량%, 폴리에틸렌 15~40중량%, 에틸렌-프로필렌엘라스토머 10~30중량%, 산변성폴리프로필렌 1~10중량% 및 섬유파일 5~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5. 제 1항에 기재된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6. 질소함유량이 10중량%이하인 탄화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파일 및 안료에 의해 원액착색된 비스코스레이온섬유파일중 어느 한쪽의 섬유파일 혹은 양쪽 모두의 섬유파일을 5~20중량% 함유하는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에 대해서 5~50중량배의 무착색수지를 혼합하여, 성형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조의장성 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2000-0014197A 1999-03-29 2000-03-21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및 부직포조의장성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0376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85156 1999-03-29
JP8515699 1999-03-29
JP1999-225769 1999-08-09
JP22576999A JP3594516B2 (ja) 1999-03-29 1999-08-09 不織布調意匠用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65A KR20000062965A (ko) 2000-10-25
KR100376232B1 true KR100376232B1 (ko) 2003-03-15

Family

ID=2642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197A KR100376232B1 (ko) 1999-03-29 2000-03-21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및 부직포조의장성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660372B1 (ko)
EP (1) EP1041102B1 (ko)
JP (1) JP3594516B2 (ko)
KR (1) KR100376232B1 (ko)
CN (1) CN1122680C (ko)
CA (1) CA2302967C (ko)
DE (1) DE60014739T2 (ko)
TW (1) TW5729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28B1 (ko) * 2018-05-29 2019-12-18 정도영 알루미늄 복합 판넬 코어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복합 판넬 코어재 제조용 마스터 배치 칩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4516B2 (ja) * 1999-03-29 2004-12-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不織布調意匠用樹脂組成物
JP3857921B2 (ja) * 2001-02-21 2006-12-13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CN100441606C (zh) * 2005-12-22 2008-12-10 中国石化上海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阳离子染料和酸性染料均可染的聚丙烯腈树脂混合物
CN100441601C (zh) * 2005-12-22 2008-12-10 中国石化上海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阳离子、酸性染料均可染聚丙烯腈树脂混合物的制造方法
CN102672845A (zh) * 2012-05-24 2012-09-19 苏立平 纤维级热塑性弹性体的生产方法
CN112888739B (zh) * 2018-11-02 2024-02-09 普瑞曼聚合物株式会社 长纤维强化丙烯系树脂组合物和长纤维强化成型体
JP7385490B2 (ja) 2020-02-17 2023-11-22 東京インキ株式会社 成形体着色用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マスターバッチ
CN114031854B (zh) * 2021-11-30 2023-05-0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黑色熔喷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7831A (ko) 1972-06-09 1974-02-16
JPS51123248A (en) 1975-04-22 1976-10-27 Koji Murakami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fine macle pattern
US4868038A (en) * 1987-10-23 1989-09-19 The Dow Chemical Company Carbonaceous fiber reinforced composites
JPH0674550B2 (ja) 1988-08-30 1994-09-21 菱田 巌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模様現出用着色剤
JP2740963B2 (ja) 1989-06-09 1998-04-15 広島化成株式会社 着色短繊維が添加された模様を有する加硫ゴム組成物
JP2903420B2 (ja) 1990-04-27 1999-06-07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石目調乃至布目調の微細斑点模様を形成する方法
KR930019643A (ko) * 1991-06-27 1993-10-18 크누트 샤우에르테, 클라우스 대너 2-(4-치환된 페닐히드라지노)-2-티아졸린 및 2-(4-치환된 페닐아조)-2-티아졸린, 이들의 제조방법 및 외부기생층을 구제하기 위한 이들의 용도
WO1994001495A1 (en) * 1992-07-08 1994-01-20 Kawasaki Chemical Holding Co. Elastomer toughened, wear resistant compositions
US6019923A (en) 1992-08-25 2000-02-01 Hp-Chemie Pelzer Research & Development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decorable moulded parts
DE4228194A1 (de) * 1992-08-25 1994-03-03 H P Chemie Pelzer Res & De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korfähigen Formteilen
JPH0674550A (ja) 1992-08-28 1994-03-15 Nec Kansai Ltd ガラリ
EP0596378A1 (de) * 1992-10-31 1994-05-11 Hoechst Aktiengesellschaft Kunststoff-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mit farblich abstimmbarem Dekoreffekt
JPH0718097B2 (ja) 1993-03-17 1995-03-01 巌 菱田 着色剤
JP3303442B2 (ja) 1993-06-30 2002-07-22 三菱化学株式会社 プリプレグ
RU2067597C1 (ru) * 1993-07-02 1996-10-10 Марк Евгеньевич Казаков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DE4324030A1 (de) * 1993-07-17 1995-01-19 Hoechst Ag Kunststoff-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mit Dekoreffekt
DE4332587C2 (de) 1993-09-24 1998-01-15 Color Plastic Chemie Albert Sc Faserenthaltender Kunst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Verwendung des Kunststoffs zur Herstellung eines Masterbatches bzw. eines Polymercompounds
JP3354233B2 (ja) 1993-10-20 2002-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外装部品用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8118516A (ja) 1994-10-21 1996-05-14 Meiwa Ind Co Ltd 装飾用樹脂製品
JP3535234B2 (ja) 1994-10-21 2004-06-07 盟和産業株式会社 装飾用樹脂製品
JP3177171B2 (ja) 1996-08-02 2001-06-18 東燃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製ホイール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DE19903701C5 (de) * 1999-01-30 2006-12-1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hermoplastischen Formkörpers, der Kohlefasern enthält
JP3594516B2 (ja) * 1999-03-29 2004-12-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不織布調意匠用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28B1 (ko) * 2018-05-29 2019-12-18 정도영 알루미늄 복합 판넬 코어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복합 판넬 코어재 제조용 마스터 배치 칩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5586A (zh) 2000-12-06
JP3594516B2 (ja) 2004-12-02
US20030203151A1 (en) 2003-10-30
JP2000344977A (ja) 2000-12-12
US6660372B1 (en) 2003-12-09
DE60014739D1 (de) 2004-11-18
EP1041102A1 (en) 2000-10-04
US7220474B2 (en) 2007-05-22
CA2302967A1 (en) 2000-09-29
CA2302967C (en) 2009-09-08
TW572941B (en) 2004-01-21
KR20000062965A (ko) 2000-10-25
DE60014739T2 (de) 2005-02-10
CN1122680C (zh) 2003-10-01
EP1041102B1 (en)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528B1 (ko) 수지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성형품
CA2123967C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high melt strength propylene polymer material
KR100376232B1 (ko) 부직포조의장용 수지조성물 및 부직포조의장성수지성형물의 제조방법
EP2159233A1 (de) Verfahren zum Einfärben von Polyolefine umfassenden Polymerzusammensetzungen.
WO2008065185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färbten textilen materialien umfassend polypropylenfasern
DE1993437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verstärkten Polypropylencompounds nach einer vorgegebenen Rezeptur
CN114351286A (zh) 一种高强聚乳酸熔喷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43017B1 (ko) 기계적 물성 및 컬링성이 우수한 시스-코어형 가발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065133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färbten textilen materialien umfassend polypropylen-fasern
US3337652A (en) Modification of stereoregular polyolefins
JP2003129329A (ja) 再生ポリプロピレン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607574A (zh) 一种高色牢度pps纤维及其制备方法
JP3428116B2 (ja) 着色用樹脂組成物
CN112831118B (zh) 一种聚丙烯熔喷料增韧母料及其制备方法
KR102073657B1 (ko) 기계적 물성 및 컬링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가발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28853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プロピレン樹脂成形品
JP2021127424A (ja) 成形体着色用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マスターバッチ
KR20190123127A (ko)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
JPS5941345A (ja) 可染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の製造法
KR20160080666A (ko) 염색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계 혼섬사 직물원단 및 이의 염색방법
JPH07216135A (ja) 着色用樹脂組成物
SK286580B6 (sk) Spôsob výroby polypropylénových vlákien vyfarbovaných z kúpeľ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