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575B1 -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575B1
KR100375575B1 KR10-2000-0021177A KR20000021177A KR100375575B1 KR 100375575 B1 KR100375575 B1 KR 100375575B1 KR 20000021177 A KR20000021177 A KR 20000021177A KR 100375575 B1 KR100375575 B1 KR 10037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amide
copolymer
polyeth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760A (ko
Inventor
힐게르스헤르만요세프
라크루와크리스또프
리네만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아토피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피나 filed Critical 아토피나
Publication of KR2000007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이고, 더 특정하자면 열가소성 중합체(A) 및, 폴리아미드 블록과 폴리에테르 블록 - 필수적으로 에틸렌 옥시드 단위체-(C2H4-0)- 를 포함함 - 을 함유하는, 녹는점 80 내지 150 ℃의 공중합체(B)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것은 열-민감성 또는 저온에서 가공되는 중합체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 {ANTISTATIC POLYMER COMPOSITIONS}
본 발명은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이고 더 특정하자면 열가소성 중합체(A) 및,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 블록 - 필수적으로 에틸렌 옥시드 단위체-(C2H4-0)- 를 포함함 - 을 함유하는 녹는점 80 내지 150 ℃, 유리하게는 90 내지 135 ℃ 의 공중합체(B)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열가소성 중합체(A) 에 항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플라스틱 표면에서 정전 전하의 형성과 보유는 알려져 있다. 열가소성 필름 상에 정전기가 있으면, 예컨대 필름이 서로 붙어서 서로 떨어지기 어렵게 된다. 포장 필름 상에 정전기가 있으면 포장할 제품 상에 먼지를 쌓이게 하고 따라서 그 사용을 어렵게 한다. 정전기는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전자 회로 구성체를 손상시킬 수 있다. 정전기는 또한 가연성 물질, 예컨대 펜탄을 포함하는 팽창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연소나 폭발을 야기한다.
선행기술은 항정전제, 예컨대 중합체에 첨가되는, 에톡시화 아민 또는 술포네이트 형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중합체의 항정전 특성은 주위의 습도에 의존하며 영구적이지도 않다. 왜냐하면, 상기 제제는 중합체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어서 친수성 폴리에테르 블록 및 폴리아미드 블록을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항정전제로서 제공되었다. 상기 제제는 이동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따라서 영구적, 나아가 주위 습도에 무관한, 항정전 특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민감성 중합체(A) 에 대해 영구적 항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출원 회사는 낮은 녹는점을 갖는 공중합체(B) 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선행기술은 그러한 계를 개시한 적이 없다.
특허 EP 525 365 는 PVC 100 부 및,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블록을 포함하는 공중합체(i) 5 내지 15 부를 포함하는 항정전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공중합체(i) 는 폴리아미드 블록이 폴리아미드-12 (PA 12) 로 구성될 경우는 155.6 ℃, 폴리아미드 블록이 PA-6 로 구성될 경우는 195 ℃ 의 녹는점을 갖는다.
특허 EP 829 520 은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PVC,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ABS, 및 섬유상에 침착된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블록을 포함하는 공중합체(i) 를 포함하는 항정전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i) 의 녹는점은 구체화하지 않고 있으나 (i) 의 정의에 대해서는 특허 613 819 를 언급하고 있다. 후자에서, 폴리아미드 블록 (i) 는 PA-6 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는 녹는점이 195 ℃ 이상임을 암시하고 있다.
1993년 11월 22일 공개된 특허 출원 JP 05 311 022 A (우선권 92JP-143 633) 는 PVC, 일산화탄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그리고 알칼리 금속 퍼클로레이트 및 알칼리 금속 티오시아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 염의 혼합물들을 개시하고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녹는점이 없으나 쉽게 이동하며 따라서 항정전 특성이 사라진다.
선행기술은 과도하게 높은 녹는점을 갖는 중합체나 이동하는 중합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계를 개시한 적은 없다.
본 발명의 두번째 형태에 따르면, 공중합체 (B) 의 폴리아미드 블록은 하나이상의 α,ω-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락탐), 하나 이상의 디아민 및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을 축합하여 얻어지는 코폴리아미드이다. 이러한 형태의 이점은 (A) 및 (B) 의 배합성을 개선시키는 코폴리아미드의 공단량체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 조성물의 또 다른 이점은 열에 민감하지 않으면서 저온에서 가공되는 중합체 (A) 에 관한 것이다. 공중합체 (B) 를 녹이기 위한 이유만으로 높은 온도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는 폴리에테르 블록이 때로는 고온에 민감하고 (B) 의 착색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 조성물의 또 다른 이점은 제조상의 용이성이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일축 스크류 압출기 또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 부스 혼합기 (Bussⓡ mixer) , 혼련기 또는 기타 열가소성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여하한 기기내에서 (A) 및 (B) 를 혼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녹는점은 (A) 및 (B) 의 혼합을 용이하게 한다.
발명을 이제 구체적으로 개시할 것이다.
중합체 (A) 의 예로,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불화 중합체, 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스티렌 수지, PMM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PVC,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EVA), 에틸렌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ABS, SAN, 폴리아세탈 및 폴리케톤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 내의 의미상 "폴리올레핀" 이라는 용어는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또한 나타낸다. 중합체 (A) 의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공중합체 (B) 에 관해 말하자면, 용액 내 그것의 고유 점도 (intrinsic viscosity) 는 유리하게는 0.8 내지 1.75 dl/g 이다. 상대 점도는 오스트왈드 점도계 (Ostwald viscometer) 를 이용하여 메타-크레졸 내에서 0.5 % 용액으로서 측정된다.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포함하는 중합체는 특히 다음과 같은, 활성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서열과 활성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서열을 공중축합함으로써 유발된다:
1) 디카르복실 사슬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 서열과 디아민 사슬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서열.
2) 폴리에테르디올로 알려진, 지방족 α,ω-디히드록실화 폴리옥시알킬렌 서열의 시아노에틸화 및 수소화로써 얻어지는 디아민 사슬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 서열과 디카르복실 사슬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서열.
3) 폴리에테르디올과 디카르복실 사슬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서열 (이러한 특정한 경우에 수득되는 반응산물은 폴리에테르에스터아미드임).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유리하게는 3) 에서 개시된 것이다.
디카르복실 사슬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서열은 예컨대, 사슬-제한 디카르복실산의 존재하에 α,ω-아미노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의 축합으로부터 비롯된다.
본 발명의 첫번 째 형태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서열은 4 내지 12 의 탄소수를 갖는 디카르복실산 존재 하에, 하나이상의 α,ω-아미노카르복실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락탐 (6 내지 12 의 탄소수를 가짐) 의 축합으로부터 유발되며, 낮은 질량, 말하자면 Mn (평균) 400 내지 1000, 및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800 을 갖는다. α,ω-아미노카르복실산의 예로서, 아미노운데카노산 및 아미노도데카노산을 언급할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의 예로서, 아디프산, 세바크산, 이소프탈산, 부탄디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술포이소프탈산의 소듐 또는 리튬염, 이량체 지방산 (이 이량체 지방산은 98 % 이상의 이량체 함량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되어 있음) 및 도데칸디오산 HOOC-(CH2)10-COOH 를 언급할 수 있다.
락탐의 예로서, 카프롤락탐 및 라우릴락탐을 언급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가 그 안에 용해되어 있는 카프롤락탐 단량체로부터 정제되지 않는 한, 카프롤락탐은 피해야 한다.
아디프산 또는 도데칸디오산 존재하에서 라우릴락탐의 축합으로 얻어지는 질량 Mn (평균) 750 의 폴리아미드 서열은 녹는점이 127 - 130 ℃ 이다.
본 발명의 두번 째 형태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서열은 하나 이상의 α,ω-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락탐), 하나 이상의 디아민 및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을 축합하여 얻어진다. α,ω-아미노카르복실산, 락탐 및 디카르복실산은 상기한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디아민은 6 내지 12 의 탄소수를 가진 지방족 디아민일 수 있다. 그것은 아릴 및/또는 포화환일 수 있다.
예컨대, 헥사메틸렌디아민, 피페라진, 테트라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5-디아미노헥산, 2,2,4-트리메틸-1,6-디아미노헥산, 폴리올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IPD), 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MPDM), 비스(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BACM) 또는 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BMACM) 을 언급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서열의 다양한 구성물과 그것의 비율은 녹는점이 150 ℃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35 ℃ 가 되도록 선택한다.
폴리에테르 블록은 (B) 의 5 내지 85 중량 % 를 나타낼 수 있다. 폴리에테르 블록은 에틸렌 옥시드 단위체와는 다른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이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사슬을 유발한다) 같은 것이다. 동시에 PEG 블록 (말하자면 에틸렌 옥시드 단위체로 구성된 것), PPG 블록 (말하자면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체로 구성된 것), 및 PTMG 블록 (말하자면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단위체로 구성된 것,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블록으로 또한 공지되어 있음) 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비스페놀 A 와 같이, 비스페놀을 옥시에틸렌화시켜 얻는 블록 또는 PEG 블록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의 산물은 특허 EP 613 919 에 개시되어 있다. (B) 내의 폴리에테르의 양은 유리하게는 (B) 의 10 내지 55 중량 %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중량 % 이다.
낮은 녹는점을 갖는 코폴리아미드는 특허 US 4 483 975, DE 3 730 504 및 US 5 459 230 에 개시되어 있다. (B) 의 폴리아미드 블록에 대한 구성물의 비율은 동일하게 사용한다. (B) 도 또한 US 5 489 667 에 개시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 블록과 폴리에테르 블록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면 어떤 수단을 통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실제로, 두 가지 공정, 즉 이단계 공정으로 알려진 것과 일단계 공정으로 알려진 것을 이용한다.
이단계 공정은 우선 사슬-제한 디카르복실산 존재하에서 폴리아미드 전구체를 축합하여 카르복실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블록을 제공하고 이어서, 두번 째 단계에서, 폴리에테르 및 촉매를 첨가하는 것이다. 만일 폴리아미드 전구체가 단지 락탐 또는 α,ω-아미노카르복실산이면, 디카르복실산이 첨가된다. 만일 전구체가 이미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면, 디아민의 화학양론에 관련하여 그것을 과량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18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60 ℃ 에서 수행한다. 반응기 내에서 압력은 5 내지 30 bar 에서 안정하게 되고 약 2 시간동안 유지된다. 압력은 반응기를 대기 중에 열면서 서서히 감소되고 이어서 남는 물은, 예컨대 한두시간 동안 증류하여 제거한다.
카르복실산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가 제조된 후, 이어서 폴리에테르와 촉매를 첨가한다. 폴리에테르는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으며 촉매도 마찬가지이다. 한가지 유리한 형태에 따르면, 폴리에테르는 처음에 첨가하고, 폴리에테르의 OH 말단과 폴리아미드의 COOH 말단의 반응은 에스테르 결합의 형성 및 물의 제거와 함께 시작하는데, 증류로써 반응 혼합물로부터 가능한한 많은 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촉매를 주입하여 폴리아미드 블록과 폴리에테르 블록 간 결합이 완성되도록 한다. 상기 두번 째 단계는 교반하면서, 바람직하게는 5 mm Hg (650 Pa) 이상의 진공하, 반응물과 수득한 공중합체가 용융된 상태에 있는 온도에서 수행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온도는 100 내지 400 ℃ 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200 내지 300 ℃ 이다. 반응은 교반기 상에서 용융된 중합체에 의한 토셔날 커플 (torsional couple) 을 측정하거나 교반기가 소비한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모니터한다. 반응 종료는 목표하는 전력값이나 커플값으로 결정한다. 촉매는 에스테르화에 의해 폴리아미드 블록과 폴리에테르 블록 간 결합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산물이든 될 수 있다. 촉매는 유리하게는 티타늄, 지르코늄 및 하프늄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 금속 (M) 의 유도체이다.
유도체의 예로서, 화학식 M(OR)4의 테트라알콕시드를 언급할 수 있는데, 여기서 M 은 티타늄, 지르코튬 또는 하프늄을 나타내고 R 기는 동일 또는 상이한 1 내지 24 탄소수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에서 촉매로 사용되는 테트라알콕시드의 R 라디칼이 선택되는 C1내지 C24알킬 라디칼들은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에틸헥실, 데실, 도데실 또는 헥사도데실 같은 것들이다. 바람직한 촉매는 테트라알콕시드인데, 여기서 R 라디칼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C1내지 C8알킬 라디칼이다. 그러한 촉매의 예는 특히 Zr(OC2H5)4, Zr(O-이소C3H7)4, Zr(OC4H9)4, Zr(OC5H11)4, Zr(OC6H13)4, Hf(OC2H5)4, Hf(OC4H9)4또는 Hf(O-이소C3H7)4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정에 사용되는 촉매는 오로지 하나 이상의 상기 정의된 화학식 M(OR4) 의 테트라알콕시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것은 하나 이상의 상기 테트라알콕시드와 하나 이상의 화학식 (R1O)pY 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알코올레이트 (식 중, R1은 유리하게는 C1내지 C24, 바람직하게는 C1내지 C8알킬 잔기인 탄화수소 포함 잔기를 나타내고, Y 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을 나타내며 p 는 Y 의 원자가임) 의 조합으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혼합된 촉매를 구성하기 위해 조합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알코올레이트, 및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 테트라알콕시드의 양은 넓은 제한 범위 내에서 가변적이다. 그러나, 알코올레이트의 몰비가 실질적으로 테트라알콕시드의 몰비와 같도록 알코올레이트의 양과 테트라알콕시드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가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 금속 알코올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때, 촉매의 중량비, 말하자면 테트라알콕시드(들)의 중량비, 또는 그 밖에 촉매가 하기 두 형태의 화합물의 조합으로 형성된 때, 테트라알콕시드(들)의 원자단의 중량비 및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알코올레이트(들)의 중량비는 유리하게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디카르복실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의 0.01 내지 5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 로 변화한다.
다른 유도체의 예로서, 금속 (M) 의 염, 특히 (M) 과 유기산의 염, 및 (M) 의 산화물 및/또는 (M) 의 수산화물 및 유기산 간의 복합염을 언급할 수 있다. 유기산은 유리하게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페닐아세트산, 벤조산, 살리실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및 크로톤산일 수 있다. 아세트산 및 프로피온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M 은 유리하게는 지르코늄이다. 상기 염은 지르코닐 염으로 공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출원사는 , 상기 설명에 구애받지 않고, 이러한 지르코늄과 유기산의 염 또는 상기 언급한 복합 염이 공정 중에 ZrO++를 방출한다고 믿는다. 지르코닐 아세테이트의 이름 하에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한다. 사용할 양은 M(OR)4유도체에 대한 경우와 같다.
상기 공정 및 상기 촉매들은 특허 US 4,332,920, US 4,230,838, US4,331,786, US 4,252,920, JP 0714368A, JP 06287547A 및 EP 613 919 에 개시되어 있다.
일단계 공정에 관해서는, 이단계 공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반응물, 말하자면 폴리아미드 전구체, 사슬 제한 (chain limiting) 디카르복실산, 폴리에테르 및 촉매가 혼합된다. 그것은 상기한 이단계 공정에서와 같은 반응물 및 같은 촉매에 관한 것이다. 만일 폴리아미드 전구체가 락탐뿐이라면, 물을 소량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공중합체는 필수적으로 같은 폴리에테르 블록 및 같은 폴리아미드 블록을 갖지만 무작위로 반응한 다양한 반응물을 작은 비율로 또한 갖는 바, 이것은 통계상 중합체의 사슬을 따라 분포하는 것이다.
반응기는 상기 이단계 공정의 첫번째 단계에서와 같이, 닫고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압력은 5 내지 30 bar 에서 안정하게 된다. 그것이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 용융된 반응물을 왕성하게 계속 교반하는 가운데 반응기를 감압하에 둔다. 반응기는 이단계 공정에서 상기한 바대로 모니터한다.
일단계 공정에서 사용하는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M) 과 유기산의 염, 또는 (M) 의 산화물 및/또는 (M) 의 수산화물 및 유기산 간의 복합염이다.
(A) 및 (B) 의 비율에 있어서, (B) 의 양은 요구되는 항정전성의 정도 및 (B) 내 폴리에테르의 비율에 의존적이다. (A) 및 (B) 의 비율은 (A) 98 내지 60 부 당 (B) 2 내지 40 부로 다양하다. 유리하게는 (A) 98 내지 80 부 당 (B) 2 내지 20 부가 이용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하는 첨가물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 충전제 (무기성, 난연제, 및 유사제제),
- 섬유,
- 무기성 및/또는 유기성 및/또는 고분자전해질 염,
- 염료,
- 색소,
- 형광증백제,
- 항산화제,
- UV 안정제.
실시예
14/14/42/30 비율로 6-6/6-10/12/PEG.6 공중합체의 제조. "PEG.6" 는 폴리에테르가 PEG 이고 아디프산이 사슬 제한제이다. 사슬 제한제의 비율은 전체 폴리에테르 및 사슬 제한제 100 몰 당 5 내지 20 몰이다.
하기 단량체는 교반기를 갖춘 오토클레이브로 도입된다: 라우릴락탐 16,800 g, 세바크산 (C10) 3557 g, 아디프산 5408 g 및 헥사메틸렌디아민 (73.1 % 수용액 형태) 6188 g.
그렇게 형성된 혼합물을 비활성 기체 환경 하에 두고 반응물이 녹은 시간으로부터 왕성한 교반을 계속하면서 온도가 290 ℃ 에 이르기까지 가열한다. 조건을 290 ℃ 및 25 bar 압력에서 2 시간동안 유지한다 (예비축합,precondensation). 이어서, 압력을 서서히 (1.25 h) 25 bar 로부터 대기압까지 그리고 온도는 290 으로부터 245 ℃ 까지 감소시킨다. 이제 물/아세트산 내에서 디히드록시화 폴리옥시에틸렌 (Mn = 600) 9711 g 및 지르코닐 아세테이트 용액 70 g (지르코닐 아세테이트의 총전하 0.625 % ; pH용액= 3.0 - 3.5) 의 미세한 분산이 도입되어 있다.
수득한 혼합물은 30 mbar 의 감압 하에 둔다. 반응은 3 시간동안 계속한다. 산물은 물중탕으로 압출되고 입제화된다. 수득한 산물은 1.12 dl/g 와 같은 고유점도를 갖는다; 녹는점 (광학적 결정): 120 - 130 ℃.
본 발명은 항정전적 특성이 주위의 습도에 의존하며, 영구적이지도 않았던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즉, 본 발명을 통하여 항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중합체의 녹는점이 상대적으로 낮고, 주위 습도에 무관하면서도 영구적 항정전 특성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녹는점이 낮은 것은 고온에 민감한 중합체를 저온에서 가공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라, 성분의 배합성을 개선시키는 공단량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조상의 용이성도 뛰어나 기존의 열가소성 분야의 여하한 기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Claims (5)

  1. 열가소성 중합체(A) 및, 폴리아미드 블록과 폴리에테르 블록 (필수적으로 에틸렌 옥시드 단위체-(C2H4-0)- 를 포함함) 을 함유하는 녹는점 80 내지 150 ℃의 공중합체(B) 를 포함하는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A) 가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불화 중합체, 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스티렌 수지, PMM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PVC,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EVA), 에틸렌과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ABS, SAN, 폴리아세탈, 폴리케톤 또는 상기 중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B) 의 폴리아미드 블록이 하나 이상의 α,ω-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락탐), 하나 이상의 디아민 및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을 축합하여 얻어지는 코폴리아미드인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블록이 (B) 의 5 내지 85 중량 % 를 나타내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의 녹는점이 90 내지 135 ℃ 인 조성물.
KR10-2000-0021177A 1999-04-23 2000-04-21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 KR100375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5430 1999-04-23
FR9905430 1999-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760A KR20000071760A (ko) 2000-11-25
KR100375575B1 true KR100375575B1 (ko) 2003-03-10

Family

ID=954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177A KR100375575B1 (ko) 1999-04-23 2000-04-21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84257B2 (ko)
EP (1) EP1046675B1 (ko)
JP (1) JP3427261B2 (ko)
KR (1) KR100375575B1 (ko)
CN (1) CN1178988C (ko)
AT (1) ATE318866T1 (ko)
CA (1) CA2306336C (ko)
DE (1) DE60026262T2 (ko)
ES (1) ES225959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18866T1 (de) * 1999-04-23 2006-03-15 Arkema Antistatische polymerzusammensetzungen
WO2001029113A1 (fr) 1999-10-18 2001-04-26 Atofina Polyetheresteramides et compositions de polymeres antistatiques les contenant
FR2810988B1 (fr) * 2000-07-03 2002-08-16 Rhodianyl Compositions polyamides a antistaticite et hydrophilie ameliorees
FR2824329B1 (fr) * 2001-05-03 2003-06-13 Atofina Compositions de polymeres antistatique
DE60306144T2 (de) * 2003-07-24 2007-04-19 Arkema France Antistatische Elastomerzuammensetzungen
JP4222562B2 (ja) 2004-09-03 2009-02-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414991B2 (en) 2005-11-14 2013-04-09 Bridgestone Corporation Conductive endless belt
NL2000218C2 (nl) * 2006-09-07 2008-03-12 Bravilor Holding Bv Bereidingsinrichting.
WO2008031992A2 (fr) * 2006-09-13 2008-03-20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meres a conductivite et a proprietes antistatiques ameliorees
FR2905699B1 (fr) * 2006-09-13 2008-11-14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meres a conductivite et a proprietes antistatiques ameliorees
JP5182915B2 (ja) 2007-09-18 2013-04-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
JP4942119B2 (ja) 2008-01-25 2012-05-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
FR2927631B1 (fr) 2008-02-15 2010-03-05 Arkema France Utilisation d'un promoteur d'adherence dans une solution de nettoyage de la surface d'un substrat a base de tpe et/ou de pa, pour augmenter l'adherence dudit substrat avec les joints de colle aqueux.
JP4845944B2 (ja) 2008-04-10 2011-12-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
FR2936803B1 (fr) 2008-10-06 2012-09-28 Arkema France Copolymere a blocs issu de matieres renouvelab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polymere a blocs.
FR2941238B1 (fr) 2009-01-22 2012-06-08 Arkema France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transparente pour photobioreacteurs.
FR2941700B1 (fr) 2009-02-02 2012-03-16 Arkema France Procede de synthese d'un alliage de copolymere a blocs presentant des proprietes antistatiques ameliorees.
FR2954151B1 (fr) 2009-12-17 2012-03-16 Oreal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elastomere filmogene pour le traitement de la transpiration humaine
FR2958649B1 (fr) 2010-04-07 2012-05-04 Arkema France Copolymere a blocs issu de matieres renouvelab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polymere a blocs
FR2960773B1 (fr) 2010-06-03 2015-12-11 Oreal Procedes de traitement cosmetique utilisant un revetement a base d'un polymere polyamide-polyether
JP5399446B2 (ja) * 2010-06-30 2014-01-2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剤及び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WO2012084848A1 (de) 2010-12-23 2012-06-28 Bayer Materialscience Ag Antistatische polycarbonat-formmassen
FR2972351B1 (fr) 2011-03-09 2013-04-12 Oreal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de la transpiration humaine comprenant l'application d'un film polymerique anti-transpirant solubilisable
FR3018521B1 (fr) * 2014-03-17 2017-07-07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copolyamide a main souple
WO2016099878A1 (en) * 2014-12-15 2016-06-23 Zephyros, Inc. Epoxy composition containing copolyamide and block copolymer with polyamide and polyether blocks
TW201723140A (zh) * 2015-12-31 2017-07-01 安炬科技股份有限公司 透明抗靜電膜
BR112018071963A2 (pt) 2016-04-27 2019-02-05 Covestro Deutschland Ag compostos de moldagem de policarbonato termoplástico estável em luz e antiestático
CN109071930B (zh) * 2016-04-27 2023-07-14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抗静电热塑性模塑料
FR3096683B1 (fr) 2019-05-27 2022-03-04 Arkema France copolyesteramide auto-ignifugé
FR3096684B1 (fr) 2019-05-29 2022-03-04 Arkema France Copolymère à blocs à résistance améliorée au sébum
JP6807478B1 (ja) * 2020-05-28 2021-01-0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剤
JP6826687B1 (ja) * 2020-07-06 2021-02-03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剤
FR3125821A1 (fr) 2021-07-28 2023-02-03 Arkema France Composition polymérique transparente antistatique
CN113736225B (zh) * 2021-08-24 2023-02-28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树脂组合物、芳香族聚酯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786A (en) * 1979-10-02 1982-05-25 Ato Chimie Moldable and/or extrudable polyether-ester-amide block copolymers
EP0242158A2 (en) * 1986-04-14 1987-10-21 Toray Industries, Inc. Intrinsically antistat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JPS63280758A (ja) * 1987-04-29 1988-11-17 デグツ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耐衝撃性成形材料
JPH10310713A (ja) * 1997-03-13 1998-11-24 Sanyo Chem Ind Ltd 離型性に優れた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EP1046675A1 (fr) * 1999-04-23 2000-10-25 Atofina Compositions de polymères antistatiqu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9521A (en) * 1986-10-14 1990-02-13 W. R. Grace & Co. - Conn. Antistatic thermoplastic/polyamide-polyether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meric films made therefrom
JP2662158B2 (ja) * 1992-01-29 1997-10-08 バイエル・アントウエルペン・エヌ・ベー 熱可塑性ポリマー用帯電防止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786A (en) * 1979-10-02 1982-05-25 Ato Chimie Moldable and/or extrudable polyether-ester-amide block copolymers
EP0242158A2 (en) * 1986-04-14 1987-10-21 Toray Industries, Inc. Intrinsically antistat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JPS63280758A (ja) * 1987-04-29 1988-11-17 デグツ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耐衝撃性成形材料
JPH10310713A (ja) * 1997-03-13 1998-11-24 Sanyo Chem Ind Ltd 離型性に優れた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EP1046675A1 (fr) * 1999-04-23 2000-10-25 Atofina Compositions de polymères antistat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8866T1 (de) 2006-03-15
DE60026262T2 (de) 2007-02-15
ES2259596T3 (es) 2006-10-16
CN1178988C (zh) 2004-12-08
JP3427261B2 (ja) 2003-07-14
EP1046675A1 (fr) 2000-10-25
CA2306336A1 (fr) 2000-10-23
JP2000327922A (ja) 2000-11-28
KR20000071760A (ko) 2000-11-25
US20030139539A1 (en) 2003-07-24
CN1273256A (zh) 2000-11-15
CA2306336C (fr) 2006-04-11
EP1046675B1 (fr) 2006-03-01
DE60026262D1 (de) 2006-04-27
US6784257B2 (en)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575B1 (ko) 항정전 중합체 조성물
KR100629122B1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이를 함유하는 정전기 방지중합체 조성물
KR100470245B1 (ko) 대전방지성 고분자 조성물
JP2635259B2 (ja) ブロックポリエーテル―アミドの合成方法
US20050165210A1 (en) Transparent copolymers having polyamide blocks and polyether blocks
KR20000075607A (ko) 폴리아미드 블록 및 친수성 블록 공중합체로 피복된 물질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물
US6525134B1 (en) Antistatic acrylic polymer compositions
KR20010079995A (ko) 대전방지성 스티렌 중합체 조성물
KR100420389B1 (ko) 에톡시화 아민 기재 폴리아미드 블록 및 폴리에테르블록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US4689393A (en) Preparation of block polyetherester amide from carboxy terminated polyamide and dihydroxy polyether with tin compound catalyst
EP0434125B1 (en) Polyketone polymer composition
US5043389A (en) Blends of linear alternating polyketones, polyamides and olefin-carboxylic acid copolymers
EP0553581A2 (fr) Compositions amorphes transparentes à tenue aux agents chimiques élévée
EP1500684B1 (en) Antistatic elastomer compositions
WO2001068765A2 (en) Antistatic styrenic polymer compositions
JPH09272733A (ja) 生分解性ポリマー及びその製法
TH27981B (th) โพลีเอไมด์ที่มีความทนทานต่ออากาศ และวิธีการผลิต
JPH10259247A (ja) 生分解性ポリマー及びその製法
JPS58210926A (ja) ポリエ−テルエステルアミドエラスト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