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404B1 -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404B1
KR100375404B1 KR10-1999-0062335A KR19990062335A KR100375404B1 KR 100375404 B1 KR100375404 B1 KR 100375404B1 KR 19990062335 A KR19990062335 A KR 19990062335A KR 100375404 B1 KR100375404 B1 KR 10037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atabase
websit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873A (ko
Inventor
천명규
Original Assignee
잇이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잇이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잇이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4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사이트를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이용자별로 사이트 정보 검색 내용을 자동적으로 추적(automatic trace)하여 이용자의 정보 이용에 대한 형태(click behavior)를 매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자동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해주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이트를 방문함으로써 발생하는 정보 검색 형태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재 접속할 때 원하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맞추어 검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이-메일(E-mail)을 통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달해 주기도 한다.

Description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Th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uited Information Based On Using History of Website User}
본 발명은 웹사이트를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이용자별로 사이트 정보 검색 내용을 자동적으로 추적(automatic trace)하여 이용자의 정보 이용에 대한 행태(click behavior)를 축적, 분석 및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를 자동적으로 추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를 분석하여 이용자에게 자동으로 원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웹사이트 이용자에 대한 파악은 초보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가장 흔한 방법으로 인터넷 홈페이지에 카운터(Counter)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방문자의 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웹서버(Web Server)에서 제공하는 로그 데이터(Log Data)를 분석하는 로그분석기(Log Analyzer)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로그분석기는 카운터 프로그램보다 다양한 분석 정보를 제공해 준다. 즉, 일정주기(시간, 일, 월)별 히트(Hit)수, 페이지 뷰(Page View), 및 접속한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등과 같은 다양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지만, 접속한 이용자의 실체를 파악하기에는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불특정 다수에 대한 이용현황이 발생되는 이용자 로그 데이터는 웹사이트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현상을 파악하는 정도 이상의 활용도는 가지지 못한다.
한편, 인터넷의 활용이 활성화되면서 국내 웹사이트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늘어나고 있는데, 특히 전자 상거래를 구현하는 인터넷 쇼핑몰, 각 금융 기관을 중심으로 인터넷 뱅킹 서비스, 증권사를 중심으로 사이버 트레이딩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각 사이트에서는 회원 수 증대에 많은 노력(무료 계정 서비스, 경품 서비스, 사이버 머니 등)을 하며, 일부 사이트는 수십만에서 많게는 수백만 회원을 확보하고 있다. 각 사이트는 이렇게 많은 회원을 확보하였지만, 등록 회원에 대한 단순한 분석과 이용자들이 입력하는 정보(상품 구매정보, 게시물 검색횟수, 금융거래 발생건수 등)를 분석할 뿐이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등록 회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등록되어 있는 각 이용자의 개인별 방문 횟수, 방문 주기, 검색한 정보의 종류와 주요 관심 정보, 이용자에게 발송한 E-메일과 이에 대한 반응,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 활동에 대한 결과 분석 등 보다 풍부한 이용자 분석이 필요하며, 이용자를 세분화하여 각 개인의 다양한 성향에 맞추어진 개인 서비스(Personal Service)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또한, 각 개인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좀 더 빠르고 간편하게 자동으로 제공해주는 사이트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이용자들의 이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체계와 사이트의 모든 정보에 정보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이용자의 이용 정보를 추적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웹사이트에서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들의 사용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며, 상기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 추적시스템에 의해 추적된 이용자의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이용한 정보의 형태를 분석하고, 이 이용자의 형태 분석정보와 사이트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연동시켜 이용자 관심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이용자 관심정보에 따라 각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의 모든 정보에 정보 분류 고유번호를 자동적으로 부여 해주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이용자의 정보 검색내용을 자동적으로 추적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의 전체 동작 수행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 추적 분석 및 부가서비스제공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웹브라우져
102 : 메일 수신기
103 : 인터넷
104 : 웹서버
105 : 이용자 관리 정보시스템
106 : 이용자 데이터베이스
107 : 이용자 추적 수집시스템
108 : 수집 데이터베이스
109 :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
110 : 분석 데이터베이스
111 : 이용자 관심정보 분석시스템
112 : 웹페이지 생성시스템
113 : E-메일 발송시스템
114 : 메일서버
115 : 정보 내용 분류 시스템
116 : 색인/분류 데이터베이스
117 : 정보 내용 분석 시스템
118 : 정보 데이터베이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은, 이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이용자 쿠키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웹서버와;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기 등록된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관리 정보시스템과; 정보 입력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자동으로 색인하고 분류하여 색인/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내용 분류시스템과; 상기 색인/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분류 정보를 읽어들여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내용 분석시스템과; 이용자로부터 정보 검색 요청에 따른 정보 검색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정보의 분류 고유번호와 상기 이용자 정보를 수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자 추적 수집시스템과; 상기 수집 데이터베이스 및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용자별 이용 정보의 형태를 분석한 후, 상기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들의 사용에 관계없이 분석 정보를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과; 상기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분석 정보를 읽어들여 일정기간 동안 축적된 정보 이용 형태를 통해 이용자별 관심 정보를 분석하는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과, 해당 이용자의 접속 시마다 상기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에서 분석되어진 이용자별 관심 정보에 따른 새로 갱신되는 관심 정보를 포함하는 활성화 창을 생성하는 웹페이지 생성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은, 정보 입력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자동으로 색인하고 분류한 후, 분류된 정보에 자동으로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내용 분석 및 분류단계와; 이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이용자 정보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기 등록된 이용자를 인증하는 이용자 인증단계와; 상기 인증된 이용자의 관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별로 개별화된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의 관심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화된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 디스플레이단계와; 이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검색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분류 고유번호와 상기 이용자의 신원정보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자 추적 수집단계: 및 상기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를 일정기간동안 수집하여 상기 이용자의 관심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정보 내용 분석단계는, 정보 입력자가 입력한 정보의 제목과 정보의 내용 중 반복되는 문장과 단어를 중심으로 중심 문장과 단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단어를 정보 색인으로 추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정보 색인이 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는 지를 검색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 내용 분류단계로 진행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정보 색인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정보 색인을 분류하여 정보 분류가 확정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상기 정보 내용 분류단계로 진행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상기 웹페이지 생성단계는 이용자의 관심정보가 새로 갱신이 되면 이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는 갱신된 관심정보에 따른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접속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이용자에게 갱신된 관심정보를 E-메일로 발송하는 부가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이용자 추적 수집단계는,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이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정보의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정보의 분류 고유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이용자의 신원정보와 상기 추출한 분류 고유번호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이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상기 검색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이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 후, 이용자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에서 분석되어진 이용자별 관심정보에 따라 새로 갱신되는 이용자별 관심정보를 포함한 E-메일을 생성하여 메일서버를 통해 해당 이용자에게 발송하는 E-메일 발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생성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인터넷 이용자는 웹브라우저(101)를 이용해서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때, 웹서버(104)는 이용자의 정보를 이용자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쿠키(Cookies)정보를 이용해서 접속한 이용자의 신원을 파악한다. 웹사이트에 처음 접속하게 되는 이용자는 쿠키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등록 이용자이며, 미등록 이용자는 이용자 관리 정보시스템(105)을 통해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06)에 등록한다. 이용자 관리 정보시스템(105)에서는 이용자 등록과 동시에 이용자 컴퓨터에 쿠키정보를 저장하고 이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등록된 이용자의 경우,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06)에서 읽어들인 쿠키정보를 이용해 이용자 인증 과정을 마치면, 등록한 이용자만이 이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이용자는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 추적 수집시스템(107)은 이용자가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이용자의 신원정보와 함께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기록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 내용 분류시스템(115)은 사이트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어 있는 모든 정보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정보 색인과 분류체계를 생성하여 색인/분류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한다. 정보 내용 분석시스템(117)은 이렇게 분류된 정보에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한다. 이용자 추적 수집시스템(107)은 이용자가 임의의 정보를 검색하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저장된 해당 정보의 분류 고유번호와 이용자의 신원정보를 함께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기록한다.
상기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일정기간(주간, 월간)동안의 정보가 축적되면,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109)은 이 일정기간동안 축적된 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분석 데이터베이스(110)에 기록한다. 이때 상기 웹서버(104)와 데이터베이스들의 사용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이용자가 반복적으로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남기는 정보는 이후에 해당 이용자가 웹사이트를 재 방문할 때 웹페이지에 반영되는 바, 추후 생성되는 웹페이지에는 이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검색하는 정보가 기본 정보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용자가 최근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가 새로이 갱신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웹페이지에 반영되며, 만약 이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하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개별화된 E-메일을 생성하여 해당 이용자에게 발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의 모든 정보에 정보의 분류 고유번호를 자동적으로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웹사이트에서 검색되는 모든 정보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분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저장된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각 정보마다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단계는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를 추적, 분석하여 자동 맞춤정보 생성이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간이 된다.
색인/분류 데이터베이스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보 입력자가 수집된 정보를 입력하면(202), 정보 내용 분석시스템(117)은 입력된 정보의 내용을 분석한다(203). 즉, 정보 내용 분석 시스템(117)은 입력된 정보의 제목을 중심으로 한 중심 문장과 단어를 분석한다(204). 중심 문장과 단어는 정보의 내용 중 반복되는 문장과 단어를 중심으로 추출 및 분석되며, 분석된 단어는 정보 색인으로 추출된다(205). 추출된 정보 색인은 정보 색인들이 등록되어 있는 색인 데이터베이스(116)를 참조하여 정보 색인 검색과정(206)을 거친다. 이 정보 색인 검색과정(206)에서 현재 추출된 정보 색인이 정보 색인 데이터베이스(116)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정보 색인인 지를 확인한다(208).
이때, 기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정보 색인은 정보 색인 자동 추가단계(209)를 통해 정보 색인 데이터베이스(116)에 등록되며, 정보 분류를 부여하기 위해 대기된다. 다음, 정보 분류 관리자는 정보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 중 분류되지 않은 정보를 검색하여 적절한 정보 분류를 정의하여 입력하고(211), 이를 정보 분류 데이터베이스(116)에 등록한다. 위의 과정을 통해 정보 분류가 확정되며 정보 분류가 확정된 정보는 정보 색인 검색단계(206)로 다시 연결된다. 단계 206에서 정보 색인이 정보 색인 데이터베이스(116)에 존재하면 이미 정보 분류가 확정된 정보 색인이므로 정보 분류 데이터베이스(116)를 참조하여 정보 분류 고유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한다(213). 정보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등록하는데(215), 이때 정보 식별자(Primary Key)로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등록한다. 등록되어진 정보의 분류 고유번호는 이용자가 정보 검색시 참조되어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111)에서 이용자가 검색한 정보의 내용 중 이용자 관심정보를 분석할 때 활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이용자의 정보 검색 내용을 자동적으로 추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용자 추적 수집과정(301)은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302)하여 정보 검색을 하면 먼저 이용자 쿠키정보를 확인하여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한다(303). 이때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111)은 분석 데이터베이스(110)와 정보 데이터베이스(118)를 참조하여 각 이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보 조회 페이지(307)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부터 이용자는 웹사이트 정보 검색이 가능하게 되며 웹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취하는 형태에 대한 추적이 가능해진다. 이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링크(Link)를 마우스로 클릭(308)하는 방법과 검색하고자 하는 주제어(316)를 입력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단계 308에서 이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정보 데이터베이스 검색과정(309)을 통해 웹페이지가 생성되며,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 분류가 추출된다(310). 이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서 검색하고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면서(311), 이용자가 선택한 정보의 분류 고유번호도 추출한다(313). 이렇게 추출된 이용자 신원 정보와 분류 고유번호는 이용자 추적 과정(314)을 통해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다(315).
그러나, 상기 단계 316에서 이용자가 검색 엔진(Search Engine)을 사용하기 위하여 주제어를 입력하면(316), 검색엔진은 정보 데이터베이스(118)를 검색하는 주제어 검색 처리 과정(317)을 통해 검색되어진 결과를 이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318), 입력된 주제어에 대한 검색결과(입력한 주제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 주제어와 일치된 정보의 건수)를 검색결과 처리 과정(319)및 이용자 추적과정(314)을 통해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이용자 신원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상기의 과정은 이용자가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반복적인 과정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며, 정보 페이지를 검색하는 각 과정과 주제어 검색을 하는 각 과정을 세분화하여 추적하여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의 전체 동작 수행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용자 접속단계에서, 이용자가 웹사이트를 접속하면(401), 이용자 등록 여부와 이용자 정보 확인을 위해 쿠키정보를 확인하여(402) 이용자가 등록 이용자인지 혹은 미등록 이용자인지를 확인한다(403). 미등록 이용자의 경우에는 이용자 등록을 안내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404), 이용자가 등록하기를 원하여(405) 이용자 등록 버튼을 누르면 이용자 등록화면(408)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이용자는 웹사이트 접속에 사용할 사용자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 이름, E-메일 주소, 생년월일, 직무, 경력 등 개인 신상 정보와 근무처, 근무처 주소, 근무처 전화번호, 회사 규모 등 자신이 근무하는 회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 등을 입력한다(409). 이렇게 등록된 이용자에 대한 정보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된다(410). 이용자 등록이 완료되면 단계 402 및 403을 통해 단계 411로 진행하여, 이용자 인증, 승인과정인 이용자 인증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용자가 인증되면 등록된 이용자들만이 검색 가능한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405에서 이용자가 웹사이트의 회원으로 등록할 의사가 없어서 취소버튼을 누르면, 미등록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웹 페이지로 이동한다(406). 기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웹 페이지는 이용자 인증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 웹 페이지로 구성되며 기본정보만 검색할 수 있다(407).
한편, 단계 403에서 등록된 이용자는 이용자 인증 처리과정(411)을 통해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109)의 분석 데이터베이스(110)의 각 이용자별로 분석된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한다(412). 이용자가 이전에 해당 웹사이트를 접속하여 이용한 정보의 형태를 분석한 분석정보가 존재하면, 웹페이지 생성시스템(112)에서 해당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가장 관심 있게 이용한 분야의 정보를 먼저 보여주는 개별화된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416). 그러나, 등록한 지 일주일이 되지 않은 이용자나 이용자 등록 후 웹사이트 접속이 많지 않은 이용자는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109)에서 분석할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분석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며(412), 이때에는 별도의 개별화된 웹페이지를 생성하지 않고 등록된 이용자들이 검색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며(413), 사용자는 해당 웹페이지를 검색한다(414).
즉, 상기에서 개별화된 웹페이지에 대한 생성은 웹사이트를 반복적으로 방문할 때 축적되는 이용자의 관심 정보 분석결과에 따라 웹페이지 생성시스템(112)에서 행해지며, 이용자는 자신의 주요 관심 정보에 따라 개별화된 웹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조회한다(416). 이 개별화된 웹페이지는 이용자 등록 시 입력한 주요 관심정보를 반영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추적 수집시스템(107)은 이용자 추적 정보 즉, 이용자 아이디와 검색한 정보에 대한 내역 및 순서, 검색에 사용한 검색키와 검색에 대한 결과, 검색일시 등의 정보를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한다(418).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 추적 분석 및 부가서비스제공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이용자가 이용자 등록한 후 반복적으로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정보를 조회하면 이 이용자의 이용 정보에 대한 행태는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다(502). 이 수집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이용자 추적 정보와 이용자가 등록시 입력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된 이용자 신상 정보는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109)으로 제공된다(504). 이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109)은 두 데이터베이스(106, 108)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분석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505).
즉,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109)은 각 이용자별로 일정기간(주간, 월간) 동안의 이용자의 정보 이용 형태를 분석하여 방문 횟수, 방문 주기, 최종 방문일, 요일별 방문 횟수(어느 요일에 주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지에 대한 분석), 시간대별 방문횟수(어느 시간대에 주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지에 대한 분석), 정보 검색량, 정보 검색 종류, 가장 많이 이용한 서비스, 가장 많이 검색한 정보 등을 분석하고(504), 분석 결과를 분석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505).
이렇게 분석된 이용자 분석 정보는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111)으로 제공된다(507). 이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111)은 상기 분석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분석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웹페이지 생성시스템(112)을 통해 개별화된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활성화한다(509).
또한, 이용자의 관심 정보가 새로 갱신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상기 사이트에 접속하여 있는 경우에는 상기 웹페이지 생성시스템(112)을 통해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며, 만약 이용자가 접속해 있지 않은 경우에는 E-메일 발송시스템(113)을 이용하여 개별화된 E-메일을 메일서버(114)를 통해 발송한다(511).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을 인터넷 종합 쇼핑몰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이용자가 일정 기간동안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컴퓨터 매장에서 주로 인터넷 컴퓨터(PC)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였고, 도서 매장에서 인터넷 관련 서적 중 자바(JAVA)에 대한 서적을 검색하였으나 구매는 하지 않았으며, 자신의 취미는 여행이라고 이용자 등록 정보에 등록하였으면, 해당 이용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였을 때, 해당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별화된 웹페이지는 공지사항 중 인터넷 컴퓨터와 관련된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고, 서적 정보 중 자바에 대한 신간 서적이나 추천 도서에 대한 정보 및 여행 상품 중 최근 가장 인기 있는 여행 상품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정보와 연관성이 있는 컴퓨터 주변기기 정보 및 인터넷 관련 서적 정보, 국내, 외 여행지 소개 정보도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이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위의 정보를 중심으로 개별화된 E-메일을 발송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용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관심은 시간, 계절 등의 요인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이용자의 정보이용 형태를 분석하여 변화되는 이용자의 관심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한다(즉, 인터넷 쇼핑몰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고 새로운 상품에 대한 정보도 각 이용자의 특성에 맞추어 개별화된 웹 페이지와 E-메일을 통해 제공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그 동안 파악이 불가능하였던 개별 이용자들의 정보 검색에 대한 형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불필요한 검색행위를 줄이며, 원하지 않는 정보를 수록한 메일의 전송에 따른 이용자의 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다.또한,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비즈니스를 하는 많은 사이트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개별 이용자에 대한 관리가 쉬워지고, 인터넷에서 효과적인 대 고객 마케팅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전자 상거래 및 인터넷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6)

  1. 이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이용자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 정보시스템과;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분류 고유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로부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열람 또는 검색어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분류 고유번호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와서 상기 이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거나,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그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상기 이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이용자 추적 수집시스템과;
    이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분류 고유번호와 이용자 정보, 및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검색결과와 이용자 정보를 상기 이용자 추적 수집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수집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집 데이터베이스 및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용자별 이용 정보의 형태를 분석한 후 상기 분석 정보를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이용 추적 분석시스템과;
    상기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분석 정보를 읽어들여 일정기간 동안 축적된 정보 이용 형태를 통해 이용자별 관심 정보를 분석하는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과;
    해당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에서 분석된 이용자별 관심 정보를 포함하는 활성화 창을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웹페이지 생성시스템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자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컨텐츠를 자동으로 색인하고 분류하여 색인/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내용 분류시스템과;
    상기 색인/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입력 컨텐츠의 분류 정보를 읽어서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한 후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내용 분석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시스템에서 분석된 이용자별 관심정보를 포함한 E-메일을 생성하여 메일서버를 통해 해당 이용자에게 발송하는 E-메일 발송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10.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자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면, 입력 컨텐츠를 색인하고 분류한 후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내용 분석 및 분류단계와;
    이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이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용자 인증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의 관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별로 개별화된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의 관심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화된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 디스플레이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로부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열람 또는 검색어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분류 고유번호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와서 상기 이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거나,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그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상기 이용자 정보와 함께 수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자 추적 수집단계: 및
    일정기간동안 상기 이용자 인증단계 내지 이용자 추적 수집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컨텐츠 정보와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이용자의 관심 정보를 분석하는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내용 분석단계는 정보 입력자가 입력한 컨텐츠의 제목과 내용 중 반복되는 문장과 단어를 중심으로 중심 문장과 단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단어를 정보 색인으로 추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정보 색인이 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되어 있는 지를 검색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 내용 분류단계로 진행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정보 색인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정보 색인을 분류하여 정보 분류가 확정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상기 정보 내용 분류단계로 진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내용 분류단계는 상기 분류된 정보에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추적 수집단계는,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이용자별로 개별화된 활성화 창 또는 일반화된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이용자가 컨텐츠의 열람을 요청하면 해당 컨텐츠의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분류 고유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이용자의 정보와 상기 추출한 분류 고유번호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이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상기 검색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이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검색어와 검색결과와 이용자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생성단계는
    이용자의 관심정보가 새로 갱신이 되면 이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는 갱신된 관심정보에 따른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접속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이용자에게 갱신된 관심정보를 E-메일로 발송하는 부가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
  15. 삭제
  16. 컴퓨터에,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자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면, 입력 컨텐츠를 색인하고 분류한 후 분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내용 분석 및 분류단계와;
    이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이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용자 인증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의 관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별로 개별화된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의 관심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화된 활성화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 디스플레이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로부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열람 또는 검색어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의 분류 고유번호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와서 상기 이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거나,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그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상기 이용자 정보와 함께 수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자 추적 수집단계:
    일정기간동안 상기 이용자 인증단계 내지 이용자 추적 수집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컨텐츠 정보와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이용자의 관심 정보를 분석하는 이용자 관심 정보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 정보 자동 생성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62335A 1999-12-24 1999-12-24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KR10037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335A KR100375404B1 (ko) 1999-12-24 1999-12-24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335A KR100375404B1 (ko) 1999-12-24 1999-12-24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73A KR20000017873A (ko) 2000-04-06
KR100375404B1 true KR100375404B1 (ko) 2003-03-10

Family

ID=1962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335A KR100375404B1 (ko) 1999-12-24 1999-12-24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4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051A (ko) * 2001-01-16 2001-08-04 최 건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 서비스 방법
KR20020061294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캐스포컴 온라인 역판매 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020069444A (ko) * 2001-02-26 2002-09-04 신하균 인터넷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이용자의 개인홈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030008232A (ko) * 2001-07-16 2003-01-25 주식회사 로커스디지털서비스 상품관련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888586B1 (ko) 2006-12-27 2009-03-12 유석호 검색 엔진이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기에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서버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959A (ko) * 1999-12-31 2001-07-06 최재혁 인터넷상의 맞춤정보 제공방법
KR20010076023A (ko) * 2000-01-24 2001-08-11 김태윤 인터넷에서의 사용자 프로파일 구축 방법 및 그를 이용한광고 방법, 인터넷에서의 사용자 프로파일 제공 방법
KR20020009263A (ko) * 2000-07-25 2002-02-01 박규헌 전자상거래에서의 개인 상점 구현방법
KR100371743B1 (ko) * 2000-04-10 2003-02-11 (주) 에이블클릭 인터넷 광고/웹 사이트 접속자 정보 획득 및 웹사이트회원 모집 방법
KR20010103303A (ko) * 2000-05-09 2001-11-23 안성태 등록 홈페이지의 북마크를 이용한 네티즌의 인터넷 이용성향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459264B1 (ko) * 2000-05-13 2004-12-03 주식회사에이메일 방문자 혹은 메일 수신자의 관심도 측정 방법
KR20010105043A (ko) * 2000-05-18 2001-11-28 김태완 배너 추적 장치
KR20000054081A (ko) * 2000-05-22 2000-09-05 홍완기 고객 맞춤 보험 상품 판매 방법
KR100692790B1 (ko) * 2000-06-30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별 맞춤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
KR20000058869A (ko) * 2000-07-03 2000-10-05 권혁도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의 수요공급 매개시스템
KR100411747B1 (ko) * 2000-07-12 2003-12-24 김시우 검색순위 결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위 결정방법
KR20020006810A (ko) * 2000-07-13 2002-01-26 장종옥 지능형 에이전트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48759B1 (ko) * 2000-07-14 2006-02-06 이상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검색 인덱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의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20010352A (ko) * 2000-07-29 2002-02-04 조동희 컨텐츠의 분철ㆍ분장을 통한 마케팅 장치
KR100353349B1 (ko) * 2000-08-29 2002-09-18 인포푸드(주) 맞춤형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장치
KR20020018321A (ko) * 2000-09-01 2002-03-08 김종우 인터넷 맞춤형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00072482A (ko) * 2000-09-06 2000-12-05 이재학 이용자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넷 검색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20095A (ko) * 2000-09-07 2002-03-14 김우섭 웹 사용자 이동경로의 파악방법
JP4129127B2 (ja) * 2000-09-14 2008-08-06 シルバーエッグ・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推奨情報送信システム
KR20020031605A (ko) * 2000-10-19 2002-05-03 최승석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5220B1 (ko) * 2000-11-17 2003-11-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웹페이지 자동 이동 시스템을 이용한 고객성향분석 방법및 시스템
KR20020043048A (ko) * 2000-12-01 2002-06-08 장종옥 지능형 에이전트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시스템
KR100419537B1 (ko) * 2000-12-18 2004-02-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개인화 된 웹사이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6140A (ko) * 2001-02-09 2002-08-14 김금희 인터넷 회원관리방법
US6909987B2 (en) 2001-03-21 2005-06-21 Wooriinternet Inc. Method for measuring time of accessing a web site through the internet and recording media for storing a program thereof
KR20020074775A (ko) * 2001-03-22 2002-10-04 (주)리얼엔터텍 인터넷에서의 정보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색서비스 방법
KR20020091541A (ko) * 2001-05-31 2002-12-06 오세제 사이트 이용정보 실시간 자동 추적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1018A (ko) * 2001-06-28 2003-01-06 박일남 웹 사이트상의 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6156A (ko) * 2001-12-05 2003-06-12 이해철 지능형 웹 에이전트를 이용한 자기적응형 인터넷솔루션
KR100453431B1 (ko) * 2001-12-20 2004-10-2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주상복합아파트용 생활편의서비스의 온라인자동스케줄제공방법
KR20030062657A (ko) * 2002-01-18 2003-07-28 박남진 인터넷 정보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79096A (ko) * 2002-04-01 2003-10-10 (주)메타웨이브 회원 검색내역을 이용한 문서 제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549179B1 (ko) * 2002-07-29 2006-02-03 주식회사 이투온 수신메일의 스크롤 객체 트래킹방법
KR100781513B1 (ko) * 2005-11-28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14130B1 (ko) * 2006-05-10 2008-03-14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고객별 맞춤 메시지 제공에 따른 퀵 링크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0839535B1 (ko) * 2006-05-29 2008-06-19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 상황 적응적 서비스 구현을 위한 추론엔진 및 그 방법
EP2201457A2 (en) 2007-10-18 2010-06-30 Neustar,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web performance monitoring data
KR100972455B1 (ko) * 2008-04-24 2010-07-26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히스토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380634B2 (en) * 2008-11-22 2019-08-13 Callidus Software, Inc. Intent inference of website visitors and sales leads package generation
JP5781242B2 (ja) 2012-02-06 2015-09-16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ウェブトラッキング防止
US9952738B1 (en) 2012-05-30 2018-04-24 Callidus Software Inc. Creation and display of dynamic content component based on a target user accessing a website
CN105718815A (zh) * 2016-01-21 2016-06-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系统文件自动清理方法及装置
CN107395749A (zh) * 2017-08-21 2017-11-24 苏州维尔特纳网络科技有限公司 网络轨迹跟踪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549A (en) * 1995-06-12 1998-04-14 Pointcast, Inc. Information and advertising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5960411A (en) * 1997-09-12 1999-09-28 Amazon.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a purchase order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549A (en) * 1995-06-12 1998-04-14 Pointcast, Inc. Information and advertising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5960411A (en) * 1997-09-12 1999-09-28 Amazon.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a purchase order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94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캐스포컴 온라인 역판매 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010074051A (ko) * 2001-01-16 2001-08-04 최 건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 서비스 방법
KR20020069444A (ko) * 2001-02-26 2002-09-04 신하균 인터넷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이용자의 개인홈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030008232A (ko) * 2001-07-16 2003-01-25 주식회사 로커스디지털서비스 상품관련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888586B1 (ko) 2006-12-27 2009-03-12 유석호 검색 엔진이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기에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서버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73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404B1 (ko)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US66118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virtual wish lists for assisting shopping over computer networks
CN101432714B (zh) 自动生成推荐链接的方法和设备
Srivastava et al. Web mining–concepts, ap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KR100658552B1 (ko) 컴퓨터 네트워크 검색엔진에 의해 발생되는 검색결과 리스트 상에서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478019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762391B2 (en) Method and system of information matching in electronic commerce website
US7945485B2 (en) Service for providing item recommendations
TWI477992B (zh) 覆蓋於搜尋結果上之第三方資訊之方法、系統及電腦可讀取媒體
US20070043583A1 (en) Reward driven online system utilizing user-generated tags as a bridge to suggested links
US200601294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product searching, and use thereof
JP2007510986A (ja) ウェブサイトのパフォーマンスを解析するための技術
KR100994437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US7689627B2 (en) Identity management
US2010004257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ontological domain services
KR101959808B1 (ko) 온라인 통합 관리 시스템
CN101770467B (zh) 经由计算机网络定位关联产品的方法和系统
Ng et al. An intelligent agent for web advertisements
US200400882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human and electronic channels
Agrawal et al. Pros and cons of web mining in E-Commerce
KR20170121589A (ko) 온라인 통합 관리 시스템
Braynov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tion technologies
KR102214611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마케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18078A (ko) 전자우편주소 자동 검색 및 발송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1229154A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