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186B1 -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186B1
KR100375186B1 KR10-2000-0032129A KR20000032129A KR100375186B1 KR 100375186 B1 KR100375186 B1 KR 100375186B1 KR 20000032129 A KR20000032129 A KR 20000032129A KR 100375186 B1 KR100375186 B1 KR 10037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ok
window
frame
butt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978A (ko
Inventor
다까하시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하우징이나 스위치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프레임을 하우징에 확실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고, 부착후 프레임의 부착덜거덕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과 프레임의 부착구조를 제공한다.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 (1) 과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부착되고, 걸어 맞춤부를 갖는 한 쌍의 아암부 (4c) 가 설치된 프레임 (4) 을 갖추고, 상기 하우징 (1) 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오목부 (1d) 가 설치되고, 상기 아암부 (4c) 의 상기 걸어맞춤부에는 돌출 걸림부 (4e) 가 설치되고, 이 돌출 걸림부 (4e) 가 상기 오목부 (1d) 내로 돌출하여 걸어맞추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누름 버튼 스위치{PRESS BUTTON SWITCH}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용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과 프레임의 부착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하우징과 프레임의 부착 구조로는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0 은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11) 은 합성 수지등의 절연재로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납부를 갖는 거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내저부에는 황동 등의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된 고정 접점 (도시 생략) 이, 인서트성형 등의 방법으로 배열 설치된다. 이 고정접점은 상기 하우징 (11) 의 내저부에 매설된 도전부, 이 도전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11) 의 바깥쪽으로 연설 (延設) 된 단자부 (12), 및 상기 하우징 (11) 의 내저면에 표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과 접리(接離)되는 접점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11) 의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훅부 (11a) 가 형성되며, 이 훅부 (11a) 에 후술하는 프레임의 창부가 걸어맞춰진다. 또한, 이 훅부 (11a) 의 상부에는 테이퍼면 (11b) 이 설치된다.
프레임 (14) 은 스테인리스 등의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거의 コ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 (11) 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된 스템 (13) 이 관통되는 관통구멍 (14a) 이 설치되고, 이 관통구멍 (14a) 이 설치된 면을 사이에 끼고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아암부 (14b) 가 형성된다. 또한, 이 한 쌍의 아암부 (14b) 의 선단은 바깥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경사면부 (14c) 가 형성되며, 이 경사면부 (14c) 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11) 의 개구부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암부 (14b) 에는 직사각형상의 창부 (14d) 가 형성되며, 이 창부 (14d) 에 상기 하우징 (11) 의 훅부 (11a) 가 끼워넣어짐으로써, 상기 하우징 (11) 과 상기 프레임 (14) 이 걸어맞춰진다.
상기 하우징 (11) 에 상기 프레임 (14) 을 부착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 (11) 의 수납부에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과 상기 스템 (13) 을 삽입한 후,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11) 의 상방에서 상기 프레임 (14) 을 덮는다. 이 때, 상기 프레임 (14) 에 설치된 한 쌍의 상기 아암부 (14b) 선단의 경사면부 (14c) 는 상기 하우징 (11) 의 훅부 (11a) 의 상기 테이퍼면 (11b) 을 따라 삽입되고, 자신의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확대됨으로써, 상기 훅부(11a) 를 타고 넘게 된다. 이 때, 상기 창부 (14d) 의 아래가장자리부가 상기 훅부 (11a) 의 하부에 걸림으로써 부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하우징과 프레임의 부착구조에서는 상기 하우징 (11) 의 상기 훅부 (11a) 의 하부에서만, 상기 프레임 (14) 의 상기 창부 (14d) 의 아래가장자리부가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14) 이 상기 훅부 (11a) 로부터 빠지기 쉽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훅부 (11a) 의 돌출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 (11) 의 외형치수가 크게 되어, 스위치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1) 에 상기 프레임 (14) 을 부착할 때에, 상기 훅부 (11a) 의 폭 치수와 상기 창문 (14d) 의 폭 치수의 치수편차에 따라 상기 프레임 (14) 에 부착덜거덕거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우징이나 스위치의 외형을 크게하지 않고, 프레임을 하우징에 확실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고, 부착후의 프레임 부착덜거덕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과 프레임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하우징을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훅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아암부와 훅부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도 10 은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1a: 수납부
1b: 훅부 ` 1c: 테이퍼면
1d: 오목부 1e: 걸림면부
1f: 기부 2: 고정접점
2a: 단자부 2b: 중앙접점
2c: 전환접점 3: 스템
3a: 누름부 3b: 누름돌출부
4: 프레임 4a: 팽출부
4b: 관통구멍 4c: 아암부
4d: 창부(窓部) 4e: 돌출 걸림부
4f: 교락부(橋絡部) 5: 가동접점
6: 시트부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부착되며 걸어 맞춤부를 갖는 한 쌍의 아암부가 설치된 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아암부의 상기 걸어 맞춤부에는 돌출 걸림부가 설치되고, 이 돌출 걸림부가 상기 오목부내에 돌출하여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여 훅부가 설치되고, 상기 아암부에는 창부가 설치되고, 이 창부에 상기 훅부가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상기 창부의 아래가장자리부는 상기 훅부의 하부에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훅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방에 상기 훅부를, 하방에 상기 오목부를 배열 설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훅부의 하면 및 상기 오목부의 상면에는 연속한 동일면으로 이루어진 걸림면부가 형성되며, 이 걸림면부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위치하는 기부에서 상기 훅부 선단으로 감에 따라 상기 오목부의 개구가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수단으로서, 상기 돌출 걸림부를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 변형시켜, 상기 창부의 아래가장자리의 폭 치수를 작게함으로써, 이 창부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상기 훅부를 끼워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다. 도 1 은 누름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정면도, 도 3 은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저면도, 도 4 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종단면도, 도 5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6 은 하우징의 정면도, 도 7 은 하우징의 저면도, 도 8 은 훅부의 부분 단면도, 도 9 는 아암부와 훅부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유저(有底)에서 상면이 개구되며, 그 내부에 수납부 (1a) 를 갖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하우징 (1) 의 내저부에는 황동 등의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된 고정 접점 (2) 이 인서트성형 등의 방법으로 상기 하우징 (1) 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배열 설치된다. 이 고정 접점 (2) 은, 그 도전부가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 매설되고, 이 도전부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 (1) 의 바깥쪽으로 연설된 단자부 (2a),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에 표출되어 배열 설치된 중앙 접점 (2b), 및 이 중앙 접점 (2b) 을 사이에 끼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전환 접점 (2c) 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바깥쪽으로 연설된 단자부 (2a) 는 상기 도전부에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서 복수의 만곡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하우징 (1) 의 저면과 일면이 되게 되도록 형성되며, 이 단자부 (2a) 의 선단은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면을 따르도록 세워진 J 벤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단자부 (2a) 의 선단이 J 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1) 을 사용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회로 기판상에 대한 표면 실장(實裝)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후술하는 프레임의 창부에 걸어맞춰지는 훅부 (1b) 가 형성된다. 이 훅부 (1b) 는 상기 하우징(1) 의 외측면부에서 바깥쪽으로 직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측인 상면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면 (1c) 이 형성된다. 이 테이퍼면 (1c) 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훅부 (1b) 에 대한 프레임의 삽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훅부 (1b) 의 하부에는 이 훅부 (1b) 와 상하로 연속하여 병설된 오목부 (1d)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1d) 의 상면과 상기 훅부 (1b) 의 하면은 서로 연속한 동일면으로 형성되며, 이 연속한 동일면이 걸림면부 (1e) 를 구성하고, 이 걸림면부 (1e) 에 의하여 후술하는 프레임의 창부의 아래가장자리부가 걸림으로써 프레임이 상기 하우징 (1) 에 걸어맞춰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걸림면부 (1e) 는 상기 오목부 (1d) 의 저부에 위치하는 기부 (1f) 에서 상기 훅부 (1b) 선단으로 감에 따라, 상기 오목부 (1d) 의 개구측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이 걸림면부 (1e) 에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이 경사면과 후술하는 프레임 창부의 아래가장자리부가 조여들므로써 강한 끼워맞춤이 되어, 경사면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견고한 걸어맞춤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스템 (3)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거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부는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조작되는 평면형상의 누름부 (3a) 가 설치된다. 이 누름부 (3a) 에 대향하는 하면측에는, 돔형상의 가동 접점 (5) 을 상기 고정 접점 (2) 측으로 굴곡시키는, 하면측으로 돌출된 누름돌출부 (3b) 가 형성된다. 시트 부재 (6) 는 탄성을 갖는 시트형상의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열 설치되며, 상기 누름돌출부 (3b) 에서 상기 가동 접점 (5) 과 동시에 눌러진다.
프레임 (4) 은 스테인리스 등의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거의 コ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프레임 (4) 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한 팽출부 (4a) 가 설치된다. 이 팽출부 (4a) 의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내에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된 상기 스템 (3) 이 관통되는 관통구멍 (4b) 이 설치되고, 이 관통구멍 (4b) 이 설치된 면을 사이에 끼우고 양단면에는 한 쌍의 아암부 (4c) 가 대향하여 형성된다. 이 아암부 (4c) 에는 하단측에 교락부 (4f) 를 남기고 직사각형상의 창부 (4d) 가 형성되며, 이 창부 (4d) 하단측의 교락부 (4f) 에는 상기 하우징 (1) 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 (1d)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지고, 상기 오목부 (1d) 에 걸어맞춰지는 돌출 걸림부 (4e) 가 형성된다. 이 돌출 걸어맞춤부 (4e) 는 미리 굽힘가공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4) 에 형성해 놓아도 되는데, 상기 프레임 (4) 을 상기 하우징 (1) 에 걸어맞춘 후에 상기 교락부 (4f) 를 오목부 (1d) 방향으로 돌출 변형시켜도 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 걸림부 (4e) 를 상기 오목부 (1d) 방향으로 돌출 변형시키고, 상기 창부 (4d) 의 아래가장자리의 폭 치수 (W1) 를 내측으로 수축 변형시킴으로써, 상부 가장자리의 폭 치수 (W2) 와 비교하여, 아래가장자리의 폭 치수 (W1) 를 약간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창부 (4d) 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상기 훅부 (1b) 를 끼워지지한 경우에는 상기 훅부 (1b) 의 폭 치수와, 상기 창부 (4d) 의 폭 치수의 치수편차를 흡수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4)의 부착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 (1) 에 훅부 (1b) 와 이것에 연접하여 오목부 (1d) 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훅부 (1b) 의 하면 및 상기 오목부 (1d) 의 상면에 연속한 동일면으로 이루어진 걸림면부 (1e) 를 형성하고, 이 걸림면부 (1e) 에 상기 프레임 (4) 의 창부 (4d) 아래가장자리부를 상기 오목부 (1d) 내로 돌출하여 걸기 때문에, 상기 훅부 (1b) 의 돌출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고, 견고한 걸어맞춤 상태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 (1) 및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면으로 부터 돌출시켜 상기 훅부 (1b) 를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면에 이 외측면보다 오목하게 한 면을 설치하고 이 면에 상기 외측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보다 돌출시킨 훅부 (1b) 를 형성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에는 상기 훅부 (1b) 를 형성하기로 하였지만, 이 훅부 (1b) 대신에 상기 오목부 (1d) 를 깊게 형성하고, 이 오목부 (1d) 의 걸림면부 (1e) 에 상기 프레임 (4) 의 돌출 걸림부 (4e) 를 걸어맞추는 구조로 하여도 하우징 (1) 이나 스위치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견고한 걸어맞춤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하우징의 대향하는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프레임의 아암부 걸어 맞춤부에는 돌출 걸림부를 설치하고 이 돌출 걸림부를 오목부내로 돌출하여 걸어맞추므로, 서로의 걸어 맞춤부가 하우징이나 스위치의 외형보다도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이나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견고한 걸어맞춤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오목부에 인접하여 훅부를 설치하고, 아암부에는 창부를 설치하고, 이 창부에 훅부를 끼워넣음과 동시에 창부의 아래가장자리부를 훅부의 하부에서 걸므로, 훅부와 오목부의 양쪽에서 아암부 창부의 아래가장자리부를 걸기때문에 훅부의 돌출 치수를 작게할 수 있고, 하우징이나 스위치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견고한 걸어맞춤을 얻을 수 있고, 프레임빠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훅부 및 오목부는 상방에 훅부를 하방에 오목부를 배열 설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병설되므로,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심플하기 때문에 부품의 가공성 및 조립성이 좋다.
또한, 훅부의 하면 및 오목부의 상면에는 연속한 동일면으로 이루어진 걸림면부가 형성되며, 이 걸림면부는 오목부의 저부에 위치하는 기부로부터 훅부 선단으로 감에 따라 오목부의 개구가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므로, 이 경사면과 프레임 창부의 아래가장자리부가 조여들므로써 강한 끼워맞춤이 이루어지고, 경사면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견고한 걸어맞춤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 걸림부를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 변형시켜, 창부의 아래가장자리의 폭 치수를 작게함으로써, 이 창부의 양측가장자리에서 훅부를 끼워지지하도록구성하므로 훅부의 폭 치수와 창부의 폭 치수의 치수 편차를 흡수할 수 있고, 프레임의 부착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5)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부착되며, 걸어 맞춤부를 갖는 한 쌍의 아암부가 설치된 프레임를 갖추고,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아암부의 상기 걸어 맞춤부에는 돌출 걸림부가 설치되고, 이 돌출 걸림부가 상기 오목부내에 돌출하여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면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여 훅부가 설치되고, 상기 아암부에는 창부가 설치되고, 이 창부에 상기 훅부가 끼워 넣어짐과 동시에, 상기 창부 아래가장자리부는 상기 훅부의 하부에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방에 상기 훅부를, 하방에 상기 오목부를 배열 설치하고, 상하 방향에 연속하여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하면 및 상기 오목부의 상면에는, 연속된 동일면으로 이루어진 걸림면부가 형성되며, 이 걸림면부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위치하는 기부에서 상기 훅부 선단으로 감에 따라 상기 오목부의 개구가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걸림부를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 변형시켜, 상기 창부의 아래가장자리의 폭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이 창부의 양측 자장자리에서 상기 훅부를 끼워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KR10-2000-0032129A 1999-06-14 2000-06-12 누름 버튼 스위치 KR100375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654099A JP3762572B2 (ja) 1999-06-14 1999-06-14 押釦スイッチ
JP99-166540 1999-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78A KR20010020978A (ko) 2001-03-15
KR100375186B1 true KR100375186B1 (ko) 2003-03-08

Family

ID=1583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129A KR100375186B1 (ko) 1999-06-14 2000-06-12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62572B2 (ko)
KR (1) KR100375186B1 (ko)
CN (1) CN1141725C (ko)
TW (1) TW469459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725C (zh) 2004-03-10
JP2000357430A (ja) 2000-12-26
JP3762572B2 (ja) 2006-04-05
KR20010020978A (ko) 2001-03-15
TW469459B (en) 2001-12-21
CN1277445A (zh) 200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2083B2 (ja) 小型電子機器のスイッチ部基板の保持構造
JPH0249664Y2 (ko)
JP2000347789A (ja) キーボード装置
EP1047159B1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4979083A (en) Lamp with an integral switch
KR930005622Y1 (ko) 코넥터
KR100375186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JP200026025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246119B2 (ja) 押釦スイッチ
KR100634779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KR19980081195A (ko) 푸시버튼 스위치
JP2001244660A (ja) 電気接続箱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JPH0343739Y2 (ko)
JPH0220776Y2 (ko)
JPH0433611Y2 (ko)
JPH10144417A (ja) 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JPS5928624Y2 (ja) ピンジヤツク
JP3875476B2 (ja) 押釦スイッチ
JP2550817Y2 (ja) 節度付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0424718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4104282B2 (ja) 回路遮断器
JPH0658538U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026025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