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195A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195A
KR19980081195A KR1019980012416A KR19980012416A KR19980081195A KR 19980081195 A KR19980081195 A KR 19980081195A KR 1019980012416 A KR1019980012416 A KR 1019980012416A KR 19980012416 A KR19980012416 A KR 19980012416A KR 19980081195 A KR19980081195 A KR 19980081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m
operation key
movable contact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772B1 (ko
Inventor
다까하시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가따오까마사따까
알프스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따오까마사따까, 알프스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따오까마사따까
Publication of KR1998008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키에 과대한 누름 조작력이 가해져도, 스템 또는 가동 접촉편이 소성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없어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형의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이를 위해,
하우징 (1) 에 그 개구 (1a) 의 주변부에서 돌출되는 스토퍼부 (1c) 를 형성하고, 조작키 (7) 로 스템 (5) 을 일정량 밀어 넣어 스위치 온 시킬 때, 이 조작키 (7) 의 최하점을 스토퍼부 (1c) 에 맞닿도록 규정하였다.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본 발명은 조작키로 눌러 조작되는 소형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개구를 향하는 내저부에 고정 접점을 배치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과 이격이 가능한 메탈 콘택트라 불리는 가동 접촉편과, 이 가동 접촉편 상에 탑재된 승강이 가능한 스템을 구성 요소로 하고, 또한 금속 프레임을 하우징에 부착시켜 상기 개구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스템의 상승을 규제하도록 한 구조의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푸시버튼 스위치는 조작키의 누름 조작 방향과 대향 배치되어, 하우징의 상기 개구에서 외방으로 돌출시킨 스템의 조작 돌기부를, 이 조작키의 저면에서 소정 스트로크 밀어 넣음으로써 둥근 사발 형상의 가동 접촉편의 중앙부가 클릭감을 주면서 반전되고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온 상태에서 조작키에 대한 누름 조작력을 제거하면, 반전되어 있던 가동 접촉편이 자체의 탄성으로 원래의 둥근 사발 형상으로 돌아가므로, 고정 접점에서 떨어져 스위치 오프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스템이 이 가동 접촉편에 의해 밀려 올라가 초기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템의 초기 위치는 상기 금속 프레임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고, 이 금속 프레임에 의하여 스템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되는 것도 방지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키에 대하여 과대한 누름 조작력이 가해지면, 스템 중에 가동 접촉편에서 반력 (反力) 을 받는 선단 부분이 찌그러진 형상으로 변형되어 작동 스트로크에 이상 (異狀) 을 일으키거나, 가동 접촉편이 소성변형을 일으켜 정상적인 반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신뢰성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예를 들어 스템의 선단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하여 응력을 분산시키는 대책도 검토되었으나, 그렇게 하면 조작자의 손가락에 확실한 클릭감이 전해지지 않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조작감이 현저하게 떨어져 버린다. 또한, 스템이나 가동 접촉편에 큰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되었으나, 그럴 경우 푸시버튼 스위치의 소형화가 저해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는 도 1 에서 나타낸 푸시버튼 스위치의 측면도.
도 3 은 도 1 의 A-A 선에서 본 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B-B 선에서 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1a : 개구
1c : 스토퍼부 2 : 고정 접점
4 : 가동 접촉편 5 : 스템
5a : 조작 돌기부 6 : 금속 프레임
7 : 조작키 10c : 후크부
본 발명은 누름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키의 최하점을 규정하는 스토퍼부를 하우징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토퍼부를 하우징에 돌출 형성하면 조작키에 과대한 누름 조작력이 가해져도, 스템 또는 가동 접촉편이 소성변형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지고, 푸시버튼 스위치를 소형화하는데 방해요인이 되지 않으면서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에서는 개구를 향하는 내저부에 고정 접점을 배치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과 이격이 가능한 가동 접촉편과, 이 가동 접촉편 상에 탑재되어 상기 개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조작 돌기부를 돌출시키고 있는 승강가능한 스템을 구비하고, 조작키로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 돌기부를 소정 스트로크 밀어 넣어 상기 가동 접촉편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개구의 주변부에서 상기 조작키 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키가 상기 스템을 일정량 밀어 넣었을 때, 이 조작키에 상기 스토퍼부가 맞닿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푸시버튼 스위치는, 조작키가 하우징의 스토퍼부에 맞닿으면 그 이상 스템을 밀어 넣을 수 없으므로, 누름 조작되는 조작키의 최하점을 이 스토퍼부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는 스토퍼부는, 하우징 내의 고정 접점 또는 가동 접촉편에 대하여 높은 위치 정확도로써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스토퍼부에 의하여 조작키의 최하점을 스템을 과부족함이 없도록 밀어 넣는 높이 위치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개구의 일부를 덮어 스템의 상승을 규제하는 금속 프레임을 장착하고, 상기 스토퍼부의 외측 부분을 하우징의 측벽 외표면에 대하여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외측 부분을 후크부로 하여 금속 프레임의 부착공을 걸리게 하면, 스토퍼부에 조작키의 최하점을 규정하는 기능과 금속 프레임을 장착하는 후크부로서의 기능을 겸용케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는 도 1 에서 나타내는 푸시버튼 스위치의 측면도, 도 3 은 도 1 의 A-A 선에서 본 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B-B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서 나타낸 푸시버튼 스위치는, 개구 (1a) 를 향하는 내저부에 고정 접점 (2) 을 배치하고 측방에는 단자 (3) 를 도출시켜 놓은 일체 성형품인 하우징 (1) 과, 이 하우징 (1) 의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 접점 (2) 에 접촉과 이격이 가능한 메탈 콘택트라 불리는 가동 접촉편 (4) 과, 이 가동 접촉편 (4) 상에 탑재되어 조작 돌기부 (5a) 를 개구 (1a) 에서 하우징 (1) 의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승강가능한 스템 (5) 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키 (7) 의 누름 조작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구 (1a) 를 둘러싸는 하우징 (1) 의 상단 부분에는 스템 (5) 의 상승을 규제하여 탈락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 (1b) 와, 조작키 (7) 가 스템 (5) 을 일정량 밀어 넣었을 때, 이 조작키 (7) 에 맞닿는 스토퍼부 (1c) 가 각각 한 쌍씩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 하우징 (1) 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스토퍼부 (1c) 의 상면의 높이는 조작키 (7) 의 저면이 스템 (5) 의 조작 돌기부 (5a) 를 과부족함이 없이 밀어 넣는 소망의 높이 위치로 정확하게 설정해 놓는다. 즉, 누름 조작되는 조작키 (7) 의 최하점은 스토퍼부 (1c) 의 상면의 높이로 규정되므로, 이 최하점까지 스템 (5) 의 상면을 밀어 내렸을 때에는 가동 접촉편 (4) 이 확실하게 고정 접점 (2) 에 접촉되어 있고, 또한 이 최하점까지 스템 (5) 의 상면을 밀어내려도 이 스템 (5) 또는 가동 접촉편 (4) 에 과대한 응력 집중이 일어날 우려가 없다고 하는, 과부족함이 없는 높이의 치수가 스토퍼부 (1c) 에 부여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푸시버튼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3, 4 에 나타낸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스템 (5) 의 조작 돌기부 (5a) 를 조작키 (7) 의 저면에서 소정 스트로크 밀어 넣으면, 둥근 사발 형상의 가동 접촉편 (4) 의 중앙부가 클릭감을 일으키면서 반전되어 고정 접점 (2) 에 접촉되므로, 조작키 (7) 를 손가락으로 밀어 넣는 조작자에게 클릭감이 전달됨과 동시에 스위치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온 상태에서 조작키 (7) 에 대한 누름 조작력이 제거되면, 반전되어 있던 가동 접촉편 (4) 이 자체의 탄성으로 원래의 둥근 사발 형상으로 되돌아가므로, 고정 접점 (2) 에서 떨어져 스위치 오프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스템 (5) 이 가동 접촉편 (4) 에 의해 밀려 올라가 도 3, 4 에서 나타낸 초기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푸시버튼 스위치는 조작키 (7) 가 하우징 (1) 의 스토퍼부 (1c) 에 맞닿으면 더 이상 스템 (5) 을 밀어 넣지 못하고, 누름 조작되는 조작키 (7) 의 최하점이 이 스토퍼부 (1c) 에 의하여 규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 (1) 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토퍼부 (1c) 의 상면의 높이가, 하우징 (1) 내의 고정 접점 (2) 또는 가동 접촉편 (4) 에 대하여 높은 위치 정확도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 (1c) 에 의하여 조작키 (7) 의 최하점은 스템 (5) 을 과부족함 없이 밀어 넣는 높이 위치로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키 (7) 에 대하여 과대한 누름 조작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과대한 힘은 한 쌍의 스토퍼부 (1c) 를 통하여 하우징 (1) 이 받게 되고, 그렇게 됨으로써 과대한 누름 조작력으로 스템 (5) 또는 가동 접촉편 (4) 이 소성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또한 하우징 (1) 에 스토퍼부 (1c) 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는, 도 4 에서 알 수 있듯이 스템 (5) 의 조작 돌기부 (5a) 의 승강 동작을 이 스토퍼부 (1c) 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조작키 (7) 의 가장자리가 눌려진 경우에도 스템 (5) 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아진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1 ~ 도 4 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도 5 에 나타낸 푸시버튼 스위치는, 하우징 (1) 에 개구 (1a) 의 일부를 덮어 스템 (5) 의 상승을 규제하는 금속 프레임 (6) 이 부착된 타입의 푸시버튼 스위치로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부 (1b) 가 생략되어 있으면서, 스토퍼부 (1c) 의 형상도 상기 실시예와는 다소 다르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토퍼부 (1c) 의 외측 부분을 하우징 (1) 의 측벽 외표면에 대하여 차양 형상으로 돌출하는 후크부 (10c) 로 만들고, 이 후크부 (10c) 에 금속 프레임 (6) 의 부착공 (6a) 이 걸리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금속 프레임 (6) 은 그 굽힘 치수 (L) 를 통상품보다 아주 짧게 설정해도, 하우징 (1) 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굽힘 치수 (L) 를 짧게 하여 금속 프레임 (6) 의 하단과 하우징 (1) 의 저면의 간격을 넓히면, 이 푸시버튼 스위치가 면장착되는 회로기판과 금속 프레임 (6) 과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절연 불량 또는 플럭스 (flux)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개구를 향하는 내저부에 고정 접점을 배치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과 이격이 가능한 가동 접촉편과, 이 가동 접촉편 상에 탑재되어 상기 개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조작 돌기부를 돌출시키고 있는 승강 가능한 스템을 구비하고, 조작키로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 돌기부를 소정 스트로크 밀어 넣어 상기 가동 접촉편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개구의 주변부에서 상기 조작키 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키가 상기 스템을 일정량 밀어 넣었을 때, 이 조작키에 상기 스토퍼부가 맞닿도록 구성하면, 조작키에 과대한 누름 조작력이 가해져도 스템 또는 가동 접촉편이 소성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없게 되고, 푸시버튼 스위치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개구의 일부를 덮어 스템의 상승을 규제하는 금속 프레임을 장착하고, 상기 스토퍼부의 외측 부분을 하우징의 측벽 외표면에 대하여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외측 부분을 후크부로 하여 금속 프레임의 부착공이 걸리게 하면, 스토퍼부에 조작키의 최하점을 규정하는 기능과 금속 프레임을 장착하는 후크부로서의 기능을 겸용시킬 수 있다.

Claims (2)

  1. 개구를 향하는 내저부에 고정 접점을 배치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과 이격이 가능한 가동 접촉편과, 이 가동 접촉편 상에 탑재되어 상기 개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방으로 조작 돌기부를 돌출시키고 있는 승강가능한 스템을 구비하고, 조작키로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 돌기부를 소정 스트로크 밀어 넣어 상기 가동 접촉편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개구의 주변부에서 상기 조작키 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키가 상기 스템을 일정량 밀어 넣었을 때, 이 조작키에 상기 스토퍼부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개구의 일부를 덮어 상기 스템의 상승을 규제하는 금속 프레임을 장착하고, 상기 스토퍼부의 외측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측벽 외표면에 대하여 돌출시키고, 이 외측 부분에 상기 금속 프레임의 부착공이 걸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1019980012416A 1997-04-14 1998-04-08 푸시버튼스위치 KR100322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95822A JPH10289631A (ja) 1997-04-14 1997-04-14 押釦スイッチ
JP97-095822 1997-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195A true KR19980081195A (ko) 1998-11-25
KR100322772B1 KR100322772B1 (ko) 2002-05-09

Family

ID=1414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416A KR100322772B1 (ko) 1997-04-14 1998-04-08 푸시버튼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72863B1 (ko)
JP (1) JPH10289631A (ko)
KR (1) KR100322772B1 (ko)
CN (1) CN1118075C (ko)
DE (1) DE69822027T2 (ko)
TW (1) TW434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8403B (zh) * 2007-10-11 2012-01-04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弹性接触片的高度检测装置
US9601530B2 (en) 2008-12-02 2017-03-21 Arizona Board Of Regents, A Body Corporated Of The State Of Arizona,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Dual active lay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76602B2 (ja) * 2012-12-17 2017-08-09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技能訓練システム
WO2015175353A1 (en) 2014-05-13 2015-11-19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4217881B (zh) * 2014-09-05 2016-04-27 桐庐优视医疗器械有限公司 按钮式双段开关
US9741742B2 (en) 2014-12-22 2017-08-22 Arizona Board Of Regents, A Body Corporate Of The State Of Arizona,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of providing and using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01A (en) * 1891-01-06 Folding chair
JPS5923119U (ja) * 1982-08-03 1984-0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CH678240A5 (ko) * 1989-06-30 1991-08-15 Olten Ag Elektro Apparatebau
CA2014651A1 (en) * 1989-09-27 1991-03-27 Christopher K. Schroeder Long traveling button switch with enhanced user feedback
DE9014941U1 (de) * 1990-10-29 1991-01-17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8000 München Kurzhub-Tastschalter für Hausgerätetechn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2863B1 (en) 2004-03-03
KR100322772B1 (ko) 2002-05-09
EP0872863A2 (en) 1998-10-21
DE69822027D1 (de) 2004-04-08
EP0872863A3 (en) 1999-05-12
CN1196563A (zh) 1998-10-21
DE69822027T2 (de) 2004-10-28
JPH10289631A (ja) 1998-10-27
CN1118075C (zh) 2003-08-13
TW434608B (en) 200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6912A (en) Push-button switch
US4556769A (en) Key switch devices with key guide means
US5278370A (en) Push switch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642391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both depressing direction and tilting direction
JP3824723B2 (ja) 多方向スイッチ
EP1037226B1 (en) Push switch
US4532393A (en) Push button switch
EP1037224B1 (en) Push switch
US11462370B2 (en) Push switch
KR0152293B1 (ko) 푸시버튼 스위치
KR100634779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405994B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4189266B2 (ja) 押釦スイッチ
US20120097515A1 (en) Push-on switch having improved actuator
EP1035556A2 (en) Push switch
JP2555882Y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H0129958Y2 (ko)
JP2518255Y2 (ja) 押釦スイツチ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5093347A (ja) 押釦スイッチ
KR200236455Y1 (ko) 오버라이드 차단 구조를 갖춘 스위치
JP3875476B2 (ja) 押釦スイッチ
JPH04220915A (ja) 押釦スイツチ
JPH01197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