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618B1 - 서랍부재와,이송및주행레일조립체및조립체에서랍부재를장착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서랍부재와,이송및주행레일조립체및조립체에서랍부재를장착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618B1
KR100372618B1 KR1019970001359A KR19970001359A KR100372618B1 KR 100372618 B1 KR100372618 B1 KR 100372618B1 KR 1019970001359 A KR1019970001359 A KR 1019970001359A KR 19970001359 A KR19970001359 A KR 19970001359A KR 100372618 B1 KR100372618 B1 KR 10037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rawer member
conveying
casing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624A (ko
Inventor
헨드리커스 타듀스즈 오이칙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레구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레구트 비.브이. filed Critical 토마스 레구트 비.브이.
Publication of KR97005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81Telescopic drawer rails with stop blocks, e.g. synchronization buff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Linear Mot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Toy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서랍부재와, 2개의 이송 및 주행레일과, 케이싱을 갖춘 조립체로,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부분과, 종방향으로 서로 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서랍부분을 구비하고, 각 케이싱부분은 케이싱에 고정하기 위한 제 1체결수단을 갖추며, 각 서랍부분은 제 2체결수단을 갖추고, 각 서랍부재는 대응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한 제 2체결수단과 대응체결수단이 이송 및 주행레일의 인출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서랍부분에 대해 관련된 케이싱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결합공조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레일 조립체 및 조립체에 서랍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것과 같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체는 실제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조립체에 있어서, 서랍부재는 서랍의 양측면상에 설치되어 케이싱의 벽과 연결되는 2개의 이송 및 주행레일 사이에 끼워맞춰진다. 서랍부재를 당길 때, 2개 이상의 C자 형상부가 볼베어링을 매개로 서로를 따라 미끄럼이동한다. 케이싱 부분으로 일컬어지는 각 바깥부분은 예를 들어 클램프, 볼트 또는 이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케이싱에 적절히 체결된다. 서랍부분으로 일컬어지는 각 안쪽부분은서랍부재에 체결되며 이송기능을 가진다. 또한 중간부분이 케이싱부분과 서랍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이송 및 주행레일의 미끄럼이동 인출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한 서랍부재를 서랍부분에 체결시키기 위해, 서랍부재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랍부분에는 이 개구부내에 삽입되는 립부가 구비되는데, 이들 립부들은 U자형상으로 만곡되어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서랍부재는 립부가 개구부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랍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유지되고, 이후 서랍부재들은 립부상에서 하방으로 눌려진다. 이에 각 립부는 압착되어, 해당 개구부상의 상응하는 측벽의 일부 둘레에 죄어 고정됨으로써 서랍부재를 정위시키고 어느 정도는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서랍부재는 이송 서랍부분과 함께 안으로 밀려질 수 있게 된다.
이 공지된 체결방법은 몇가지 단점을 갖는데, 예를 들어 케이싱 내에서 대향 측면상에 장착되는 이송 및 주행레일의 쌍들은 서랍이 보다 원활히 미끄럼이동되도록 서랍부재의 폭보다 항상 약간 더 멀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러나 이는 서랍부재를 위치시킬 때 케이싱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약간 눌려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용이하지 않은데, 특히 부재를 위치시키는 사람이 서랍의 전체무게를 동시에 이송시켜야 하므로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개구부를 찾아 그 내부에 클램프를 위치시키는 작업은 경험을 요하는 복잡한 작업이다. 추가적인 단점은 서랍부재를 정위시킴에 있어서, 이송 및 주행레일이 정위를 허용하도록 당겨진 위치에 놓여져야만 한다는 것인데, 이는 기계공이 추가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제조 공정상 특히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이송 및 주행레일이 안으로 밀어넣어져 있는 경우에, 개구부를 이송 클램프 상부에 정위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데, 특히 예컨대 일련의 서랍부재들이 이미 설치되어 있어서 서랍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남는 여유공간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특히 각 서랍부재에 이미 전방단이 구비되어 있을 때, 이송 및 주행레일이 안으로 밀어넣어져 있는 경우에 서랍부재를 정위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바, 이는 정위시킬 때 서랍부재가 상당히 긴 거리에 걸쳐 수직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는 다른 서랍부재들의 전방단들이 서로 충돌하여 서랍부재를 정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들은 피하면서 그 장점들은 그대로 보유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서, 서랍부재는 이송 및 주행레일의 인출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이동하여 이송 및 주행 레일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을 위하여 서랍부재가 수직으로 이동할 필요는 거의 없다. 따라서, 다른 서랍부재들은, 또한 이 서랍부재들이 이미 전방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안으로 미끄럼이동된 위치에서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서로 밀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결합되는 동안에 서랍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송 및 주행레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는 자체정렬 방식에 의해 작은 에너지와 작은 힘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정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로, 서랍부재는 더 이상 서로에 대하여 눌려질필요가 없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청구항 2의 특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조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서랍부재는 케이싱부분에 의해 정위되는 동안 이송될 수 있고, 사용하는 동안에 즉 결합상태에서 케이싱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케이싱부분 상에 또는 케이싱부분 내에서 지지되는 서랍부분에 의해 이송되기만 한다. 이는 케이싱부분이 최대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상측과 하측에서 부분적으로 보다 작은 다른 부분(중간부분, 서랍부분)을 둘러쌀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가장 바람직한 방식으로 적재된 미끄럼이동가능한 부분들의 견고한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로 다른 이송 및 주행레일 구조, 예를 들어 케이싱부분과 서랍부분이 중간부분의 상측과 하측상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청구항 5의 특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실시예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립부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활주면에 대해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서랍부재는 이송 및 주행레일의 안쪽으로의 미끄럼이동방향으로 밀려진다. 이에 따라, 제 1립부가 제 1활주면을 따라 후방으로상향이동하고, 제 2활주면은 제 2립부를 따라 상향이동한다. 이는 수평운동중에 서랍부재가 약간의 수직운동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상기 서랍부재가 밀릴 때, 제 1립부는 제 1활주면으로부터 제 1활주면의 뒤에 위치된 절취부로 떨어져, 이로써 서랍이 후퇴하지 않도록 체결된다. 이같은 약간의 수직운동의 결과로서, 서랍부재는 서랍부재가 면하고 있는 서랍부분의 표면 이외의 모든 부분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 밖에도 활주면이 이송 및 주행레일의 운동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랍부재의 수직운동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체는 청구항 6의 특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거울대칭적인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이송 및 주행레일이 서랍부재의 양측면상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제조기술면에서나 조립에 있어서 모두 바람직하며,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내에 사용되는 이송 및 주행 레일과 그리고 서랍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 내에서 다수의 서랍부재들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청구항 13의 특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방법은 이송 및 주행 레일을 밖으로 끌어낼 필요없이 그리고 원하는 힘과 정밀도를 사용하여 다수의 서랍부재들이 적어도 거의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싱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경제적으로 그리고 인간공학적으로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서랍부분의 측면에서 바라본 이송 및 주행레일의 상부면도와, 배후면도 및 측면도,
도 2A는 케이싱부재의 측벽의 후방부의 확대도,
도 2B도는 서랍부분의 정면부의 확대도,
도 3은 명확한 도시를 위해 케이싱과 중간부분이 생략된 도면으로서, 이송 및 주행레일상에 서랍부재를 끼워맞추는 3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및 주행레일내의 서랍부분의 대체로 대칭적인 형상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송 및 주행레일, 3 ----- 서랍부재,
4 ----- 케이싱부분, 5 ----- 중간부분,
6 ----- 서랍부분 7 ----- 볼,
8 ----- 외주벽 9 ----- 측면,
10 ----- 이송선단, 11 ----- 체결수단,
12 ----- 대응체결수단, 13 ----- 제 1홈,
14 ----- 제 1립부, 15 ----- 몸체,
16 ----- 선단부, 16' ----- 만곡부,
17, 32 ----- 하부종방향선단, 18 ----- 제 1활주면,
19 ----- 절취부, 20 ----- 바닥부,
21 ----- 전방단, 22, 35 ----- 후방단,
23, 29 ----- 상부종방향선단, 24 ----- 제 2립부,
25 ----- 제 2홈, 26 ----- 정면 수직선단,
27 ----- 후방종방향선단, 30 ----- 제 2활주면,
31 ----- 수평부, 33 ----- 정면종방향선단.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측단면도로서, 케이싱(1)과, 이송 및 주행레일(2)과, 현가식 파일용의 현가식 프레임 형상을 갖는 서랍부재(3)를 구비한다. 각 이송 및 주행레일(2)은 케이싱부분(4)으로 일컬어지는 바깥부분과, 중앙의 중간부분(5) 및, 서랍부분(6)으로 일컬어지는 안쪽부분을 구비한다. 바깥부분은 케이싱(1)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부분(4)과 중간부분(5)은 명확한 도시를 위해 도 1에 부분적인 파선으로 도시되었다. 서랍부분(6)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다수개의 볼(7)에 의해 중간부분(5)내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중간부분(5)도 다수개의 볼(7)에 의해 케이싱부분(4)내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러므로 케이싱부분은 최대의 높이를 가지며, 적어도 상측과 하측에서 다른 두 부분 즉 중간 및 서랍부분(5, 6)을 덮게 된다. 이송 및 주행레일 부분의 구조는 통상 공지되어 있고, 예시로서 도시되었을 뿐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예컨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른 이송 및 주행레일의 범주내에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각 서랍부분(6)은 체결수단(11; 도 2, 도 2B)을 구비하는 바,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서랍부재(3)는 사용중에 대체로 수직평면으로 연장되는 외주벽(8)을 구비하고, 2개의 마주보는 측면(9)상의 상부 종방향선단에는 외부로 만곡된 이송선단(10)을 구비한다. 또한 측면(9)은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될 대응체결수단(12; 도 3과 도 2A)을 구비한다. 서랍부재(3)는 마주보는 측면상에서 케이싱(1)내에 설치된 이송 및 주행레일(2) 사이의 거리에 대체로 상응하는 폭을 가지며, 서랍부재는 이송선단(10)에 의해 이송 및 주행레일(2)상에 헐겁게 걸릴 수 있게 되어, 서랍부분과의 결합중에, 기술자가 서랍부재를 이송할 필요가 없게 되는데, 이것은 배치작업이 인체공학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단순하면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게 한다.
체결수단(11)과 대응체결수단(12)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결합될 수 있도록 디자인된 바,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체결수단(11)은 각 서랍부분(6)의 전방단에 인접하여 설치된 전방으로 개방된 제 1홈(13)과, 서랍부분의 후방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사용중에 서랍부재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립부(14)를 구비한다. 제 1립부(14)는 수직평면으로 연장되는 몸체(15)를 구비하는데, 이 몸체(15)는 서랍부분(6)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끝단에 서랍부분(6)의 평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방으로 만곡된 단부(16)를 구비한다. 서랍부분(6)을 면하는 단부(16)의 측면과, 단부(16)를 면하는 서랍부분(6)의 측면사이의 거리는 서랍부재(3)의 측벽(8)의 판두께보다 약간만 작아서, 그 사이에 강제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 1홈(13)과 제 1립부(14)의 형상과 치수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서랍부재(3)의 각 측벽(8)의 전방단에 인접하여 대응체결수단(12)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제 2립부(24)가 구비되는데, 즉 사용중에 인접한 케이싱부분(4)의 방향으로 연장됨을 말하며, 각 측벽(8)의 후방단에 인접하여 상기 대응체결수단(12)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제 2홈(25)이 구비된다. 적어도 형상에 있어서, 제 2립부(24)는 대체로 제 1립부(14)와 일치하는데, 만곡부(16')는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하 제 1홈(13)과 제 2홈(25), 및 제 1립부(14)와 제 2립부(24)의 형상과 치수를 서로 연계하여 설명한다.
제 1홈(13)의 하부종방향선단(17)은 제 1활주면(18)과, 바닥부(20)가 뒤에 위치된 절취부(19)를 형성한다. 제 1활주면(18)의 전방단(21)은 절취부(19)의 바닥부(20)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절취부(19)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활주면(18)의 후방단(22)은 바닥부(20)보다 높게 놓인다. 제 1홈(13)의 상부종방향선단(23)은 대체로 수평하며 제 1활주면(18)의 후방단(22)의 상부에 거리(A)를 두고 놓이는데, 상기 거리(A)는 제 2립부(24)의 높이(B)와 대체로 일치하지만, 이보다 작지는 않다. 따라서, 제 2립부(24)는 후방단(22)과 그리고 바로 수직방향에 있는 상부종방향선단(23)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취부(19)의 치수는 제 2립부(24)가 바닥부(20)상에 안착할 수 있게 되어 절취부(19)의 정면 수직선단(26)과 제 1홈(13)의 후방종방향선단(27) 사이에 보유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일단 제 2립부(24)가 이하에서 설명될 방식으로 절취부(19)내에 부분적으로라도 수용되면(도 1과 도 3C), 제 2립부(24)는 우선 제 2립부를 제 1활주면(18)의 후방단(22)상에 놓지 않고는 수평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그렇지 않다면, 실제로 제 2립부(24)는 정면 수직선단(26) 또는 후방종방향선단(27)과 충돌하게 된다. 후방종방향선단(27)의 뒤로 연장되는 서랍부재(3)의 케이싱부분(6)의 일부(28)는 제 2립부(24)의 만곡부(16')와 서랍부재(3)의 측벽(8)의 외부 사이에 강제되어 보유된다.
상기 제 2홈(25)의 상부종방향선단(29)은 제 2활주면(30)과 이와 정면부에서 이어지는 수평부(31)를 구비한다. 제 2흠(25)의 하부종방향선단(32)은 대략적으로 수평하며 상부종방향선단(29)의 수평부(31)로부터 거리(C)로 떨어져 놓이는 바, 상기 거리(C)는 제 1립부(14)의 몸체(15)의 높이(D)와 대략 일치하지만, 몸체(15)의높이(D)보다 작지는 않다. 제 2활주면(30)의 빗면은 제 2홈이 전방으로 제 2활주면(30)의 길이에 걸쳐서 테이퍼지도록 향하여진다. 도 1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립부(24)가 제 1홈(13)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서랍부분(6)과 서랍부재(3)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립부(14)는 상부종방향선단(29)의 수평부(31)와, 하부종방향선단(32) 및, 제 2홈(25)의 정면종방향선단(33) 사이에 고정되어 수용된다. 이에 정면종방향선단(33) 앞에서 연장되는 측벽(8)의 일부(34)는 제 1립부(14)의 전방으로 만곡된 정면만곡부(16)와 서랍부분(6) 사이에 강제되어 수용된다. 이같은 위치에서, 서랍부재(3)는 그 양측면상에 연장되는 이송 및 주행레일(2)에 의해 지지되어 완전히 안으로 미끄럼이동된 위치와 완전히 밖으로 미끄럼이동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제 2립부(24)의 몸체(15')의 하측면과 이송선단(10)의 하측면 사이의 거리는 절취부(19)의 바닥부(20)와 케이싱부분(4)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지만, 이송 및 주행레일(2)이 장착되었을 때 제 1활주면(18)의 전방단(21)과 케이싱부분(4)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다 적어도 제 1립부(14)의 몸체(15)의 상측면과 케이싱부분(4)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는 제 2홈(25)의 상부종방향선단(29)의 수평부(31)와 이송선단(10)의 하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반면, 제 2활주면(30)의 후방단(35)과 이송선단(10)의 하측면 사이의 거리는 제 1립부(15)의 적어도 몸체(15)의 상측면과 케이싱부분(4)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한편 제 2홈(25)의 정면종방향선단(33)과 제 2홈(25)을 면하는 제 2립부(24)의 몸체(15')의 측면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바닥부(30)의 높이에서 제 1홈(13)의후방종방향선단(27)과 제 1홈(13)을 면하는 제 1립부(14)의 몸체(15)의 측면 사이의 거리에 상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거리들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특히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서 설명할 바와 같이 서랍부재(3)와 서랍부분(6)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바, 도 3A 내지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도시되었다.
케이싱(1)은 예를 들어 클램프와 같이 종래방식에 의해 케이싱(1)에 체결된 이송 및 주행레일(2)과 반대쪽의 내측면상에 구비된다.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2)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밖으로 미끄럼이동된 위치에 놓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로 미끄럼이동하는 위치에 놓여지거나 유지될 수 있다.
도 3A는 이송선단(10)이 케이싱부분(4)의 상측면(40)상에 놓인 상태의 서랍부재(3)를 도시하는 바, 단순한 도시를 위해, 항상 조립체의 오직 한 쪽만을 참조로 할 것이다. 다른 쪽에도 자동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됨이 분명하다. 이송 및 주행레일(2)은 완전히 안쪽으로 밀고 들어가서 서랍부재(3)의 무게를 실질적으로 지탱한다. 제 1립부(14)는 제 2활주면(30)에 대하여 몸체(15)의 상측면에 놓이는 한편, 제 2립부(24)는 제 1활주면(18)에 대하여 몸체(15')의 하측면에 놓이게 된다.
이후 서랍부재(3)는 후방으로 도 3B에 도시된 위치로 강제되고, 제 2활주면(30)은 이후 후방으로 제 1립부(14)를 따라 밀려올라가고 제 2립부가 후방으로 제 1활주면(24)을 따라 밀려올라가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 2립부(24)는 제 1활주면(18)의 후방단(22)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후 제 1홈(13)의 상부종방향선단(23)에 기대이게 된다. 그리고 제 2립부(24)와 제 2활주면(30)이 상향이동하는 동안에 이송선단(10)이 케이싱부분(4)의 상측면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서랍부재(3)도 역시 상향이동한다.
그리고 서랍부재(3)가 도 3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C에 도시된 위치로 후방으로 더욱 이동되면, 제 2립부(14)는 절취부(19)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제1 립부(14)는 제 2홈(25)의 정면종방향선단(33)에 대해 전술한 위치로 체결수용된다. 이 위치에서, 서랍부재는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어, 결합된 위치에 있게 된다. 서랍부재(3)의 전방이동중에 서랍부분(6)이 동시에 동일한 거리이상 이동하면서 중간부분(5)도 동시에 예컨대 그 거리의 절반이상 이동되며, 케이싱부분(4)은 적어도 서랍 부재측에서 보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더불어 중간부분도 역시 적어도 제 1실시예에서는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한편 서랍부재를 어느 정도 들어올려 전방으로 당길 때 발생할 수 있는 서랍부재의 우발적인 서랍부분(6)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3C에 도시된 위치에 제 2립부(24)의 상측면과, 제 1홈(13)의 상부종방향선단(23) 사이에서 제 1홈(13)내에 체결수용될 수 있는 잠금수단(3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잠금수단(36)을 제거한 후에라야만 서랍부재(3)를 이송 및 주행레일(2)로부터 전술한 것과 상반되는 방식으로 다시 분리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도 3C에서 도 3B 이후 도 3A에 도시된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송 및 주행레일(2)이 완전히 안으로 밀어 넣어지면, 제 1홈(13)은 서랍부분(4)과 중간부분(5)의 전방단 앞에 주로위치되며, 잠금수단(36)은 간단히 측면으로부터 삽입되므로, 서랍부재(3)를 인출할 때에도 이송 및 주행레일(2)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데, 이는 물론 인체공학적으로 유용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위치들 사이에서 서랍부재(3)의 수직운동은 매우 작다. 이는 이송 및 주행레일(2)들 사이에 서랍부재(3)를 위치시키기 전에 이미 정면부(37)가 체결되어 있으며 다른 서랍부재(3)들이 이미 케이싱(1)내에 위치되었을 때에도 이미 정면부(37)가 체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사실 공지된 조립체들과는 달리 상기한 정면부들은 위치설정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송 및 주행레일(2)은 위치설정에 앞서서 인출될 필요가 없게 되는 바, 이는 상기한 서랍부재들이 위치를 잡기에 앞서서 완전히 완료됨을 의미한다.
한편 도 4는 제 1홈(11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홈(113)들이 서랍부분(106)의 직경(L)에 대해 거울대칭적인 구조로 되는데, 이는 동일한 서랍부분(106)과 서랍부재의 양측면상에 이에 따른 동일한 이송 및 주행레일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또한 케이싱마다 단지 한가지 형태의 이송 및 주행레일들이 사용될 필요가 있으므로 생산기술과 경제적인 관점에서 유용하다. 사실상 제품의 결함이 줄어들고 단지 한가지 형태의 이송 및 주행레일들만을 생산하고 저장하면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랍부분(6,106)은 제 2립부와 제 2홈을 구비하며, 서랍부재(3)의 측벽(8)들은 각각 제 1립부와 제 1홈을 구비하고, 더불어 다른 형태의 이송 및 주행레일이 사용가능한 바, 이와 함께 유사한 체결수단(11)과 대응체결수단(12)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닌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대응체결수단(12)들이 별개의 판부재로서 장착되거나 또는 예컨대 서랍부재가 목재 또는 플라스틱 케이싱인 경우 서랍부재의 측벽에 대해 스트립 같은 부재상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수단 역시도 별개의 판부재로서 장착될 수 있고 또는 스트립같은 부재상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송선단은 판부재를 굽혀 만들고 측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물론, 중간에 중단되거나 측벽의 단지 일부만을 따라 연장될 수 있음과 더불어 조임쇠 또는 블록같이 분리설치된 이송수단들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예컨대 목재 또는 플라스틱 같은 두꺼운 측벽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선단은 측벽내에 프로파일된 부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1)과 대응체결수단(12)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서, 예컨대 제 2홈이 서랍부재의 측벽의 후부로부터 떨어져서 구비될 수 있고, 제 2홈과 측벽의 후부사이에 측벽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슬롯된 홈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 제 1립부는 서랍부재를 정위시킬 때 슬롯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되면서 이후 제 2홈내에 포함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다수의 상이한 길이의 서랍부재(3)들이 이송 및 주행레일(2)의 한쪽 길이에 장착될 수 있게 되며, 활주면(18,30)은 다른 상이한 각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게되는 바, 예컨대 경사의 각도는 약 0도가 될 수도 있어서, 활주면들이 이송 및 주행레일의 미끄럼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이송 및 주행레일은 추가적으로 단지 하나의 케이싱부분과 하나의 서랍부분 또는 몇 개의 중간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현가식 파일용 서랍부재뿐만 아니라 예컨대 바닥을 구비한 서랍부재같은 모든 종류의 서랍부재에 사용가능하다.
상기 내용 및 다른 유사한 활용과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서, 서랍부재는 이송 및 주행레일의 인출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이동하여 이송 및 주행 레일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을 위하여 서랍부재가 수직으로 이동할 필요는 거의 없다. 따라서, 다른 서랍부재들은, 또한 이 서랍부재들이 이미 전방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안으로 미끄럼이동된 위치에서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서로 밀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결합되는 동안에 서랍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송 및 주행레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는 자체정렬 방식에 의해 작은 에너지와 작은 힘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정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로, 서랍부재는 더 이상 서로에 대하여 눌려질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경우에, 서랍부재는 케이싱부분에 의해 정위되는 동안 이송될 수 있고, 사용하는 동안에 즉 결합상태에서 케이싱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케이싱부분 상에 또는 케이싱부분 내에서 지지되는 서랍부분에 의해 이송되기만 한다. 이는 케이싱부분이 최대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상측과 하측에서 부분적으로 보다 작은 다른 부분(중간부분, 서랍부분)을 둘러쌀 수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가장 바람직한 방식으로 적재된 미끄럼이동가능한 부분들의 견고한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로 다른 이송 및 주행레일 구조, 예를 들어 케이싱부분과 서랍부분이 중간부분의 상측과 하측상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경우, 제1 및 제2 립부들은 각각 제 1 및 제 2활주면에 대해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서랍부재는 이송 및 주행레일의 안쪽으로의 미끄럼이동방향으로 밀려진다. 이에 따라, 제 1립부가 제 1활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상향이동하고, 제 2활주면은 제 2립부를 따라 상향이동한다. 이는 수평운동중에 서랍부재가 약간의 수직운동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상기한 밀리는 이동중에, 제 1립부는 제 1활주면으로부터 제 1활주면의 뒤에 위치된 절취부로 떨어져, 이로써 서랍이 후퇴하지 않도록 체결된다. 이같은 약간의 수직운동의 결과로서, 서랍부재는 서랍부재가 면하고 있는 서랍부분의 표면 이외의 모든 부분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 밖에도 활주면이 이송 및 주행레일의 운동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랍부재의 수직운동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경우, 거울대칭적인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이송 및 주행레일이 서랍부재의 양측면상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제조기술면에서나 조립에 있어서 모두 바람직하며,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서랍부재와, 2개의 이송 및 주행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로서,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부분과 그리고 조절 가능하게 종방향으로 결합된 하나의 서랍부분을 구비하며, 각 케이싱부분은 케이싱에 체결하기 위한 제 1체결수단을 구비하고, 각 서랍부분은 제 2체결수단을 구비하며, 각 서랍부재는 대응체결수단을 구비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제 2체결수단과 대응체결수단은 연관된 케이싱부재를 이송 및 주행레일의 인출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서랍부분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결합공조하게 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서랍부재는 이송 및 주행레일의 상측면상에 해제위치에서 서랍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제 2체결수단과 대응체결수단은 활주면들을 구비하여 서랍부재를 서랍부분과 결합시킬 때 서랍부재가 들리면서 지지부재가 이송 및 주행레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의 인출방향으로 제 2체결수단과 대응체결수단에 홈과 립부 또는 서로의 후부에 설치된 돌출된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한 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혹은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홈들중 적어도 하나는 이 홈내에 립부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수단을 갖추어, 립부들을 홈안으로 삽입하고 이들을 각 보유수단에 의해 보유지지함으로써 서랍부분이 서랍부재와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랍부재는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의 상면에 결합이 해제된 위치에서 상기 서랍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수단과 대응체결수단은 서랍부재를 상기 서랍부분에 연결시킬 때,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로부터 느슨해지면서 상기 서랍부재가 위로 들려지도록 활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체결수단과 대응체결수단은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의 인출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뒤쪽에 배치된 홈과 립부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홈의 적어도 하나는 홈에 상기 립부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립부를 상기 홈에 삽입하여 상기 보유수단으로 보유지지하여 상기 서랍부분이 상기 서랍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각 활주면은 서랍부재의 각 측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홈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선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각 보유수단은 상기 활주면의 높은 쪽 후부의 절취부에 의해 형성되며, 이 절취부는 서랍부재를 이송 및 주행레일과결합시키는 동안에 홈안으로 삽입된 립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동시 또는 선행하는 수직의 적어도 상방향 이동없이는 홈의 외부로 당겨질 수 없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5.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중에 전방단인 단부에서 각 서랍부분은 전방으로 개방된 제 1홈을 갖추고, 적어도 하부종방향선단이 제 1활주면을 형성하고, 이 제 1활주면은 전방단의 높이와 그리고 연관된 제 1활주면의 후방단의 높이사이의 고도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갖는 절취부에 인접하며, 서랍부분은 사용중에 후방단인 단부근처에 케이싱부분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립부를 갖추고, 사용중에 서랍부분과 접촉하는 각 서랍부재의 측면은 정면쪽 부근에 외부로 이동된 제 2립부를 구비하며, 상기한 제 2립부는 정면쪽으로부터 제 1홈안으로 삽입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활주면 후부의 절취부내에 수용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되고, 후방쪽 부근의 측면은 적어도 제 1홈과 제 1립부 간의 거리와 거의 동일한 제2 립부로부터의 거리에서 제 2홈을 구비하고, 제 2홈은 후방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적어도 제 2홈의 상부종방향선단은 제 2활주면을 형성하고, 제 1립부를 제 1홈안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제 2립부가 제 2홈안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각 서랍부분과 바람직하기로 각 이송 및 주행레일이 적어도 인출방향에 평행한 중앙종방향평면에 대해 대체로 거울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7. 제 5항에 있어서, 각 제 1홈은 이송 및 주행레일이 완전히 미끄러져 들어간 경우 서랍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의 정면종방향선단에 앞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8. 제 5항에 있어서, 각 서랍부분의 상측면은 각 케이싱부분의 상부 선단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각 측벽은 케이싱부분의 상면에 해제상태에서 서랍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추고, 절취부와 활주면들은 지지부재가 케이싱부분의 상측면상부에 일정거리에서 이송 및 주행레일과 결합되는 상태로 서랍부재에 위치되어 사용중에 서랍부재가 케이싱부분상에 접촉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결합위치에서 적어도 각 서랍부분에 대해 적어도 수직방향으로 서랍부재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랍부재는 현가식 파일용의 현가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 레일과 케이싱의 조립체.
  11. 적어도 하나의 서랍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및 주행레일의 조립체로서,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부분과 여기에 조절가능하게 종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서랍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부분은 이것을 케이싱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랍부분은 제2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 서랍부재는 대응체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체결수단과 대응체결수단은 관련된 상기 서랍부재를 상기 서랍부분에 대해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의 인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레일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재는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의 상면의 해제위치에서 상기 서랍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수단과 상기 대응체결수단은 활주면을 구비하여, 상기 서랍부재를 상기 서랍부분에 연결할 때 상기 서랍부재가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에 대하여 상기 인출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의 상면으로부터 풀려 느슨해지고, 상기 서랍부재의 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싱부분과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의 서랍부분의 각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레일의 조립체.
  12.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 및 주행 레일의 특징을 구비하는 서랍부재.
  13. 한쌍의 이송 및 주행레일을 완전히 안쪽으로 미끄럼이동된 위치에 케이싱내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케이싱부분의 상면상에 서랍부재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서랍부재를 상기 케이싱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이송 및 주행레일위로 밀어 넣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밀어 넣는 단계중에, 상기 서랍부재는 적어도 서랍부분에 대해 고정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서랍부재는 다른 부분들 특히 케이싱부분과 각 중간부분에서 떨어지는 형태로, 체결수단 및 대응체결수단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서랍부재와 이송 및 주행레일의 조립체내에 다수의 서랍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KR1019970001359A 1996-01-18 1997-01-18 서랍부재와,이송및주행레일조립체및조립체에서랍부재를장착하는방법 KR100372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2123 1996-01-18
NL1002123A NL1002123C2 (nl) 1996-01-18 1996-01-18 Samenstel van lade-elementen, draag- en looprails en een kastombou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24A KR970058624A (ko) 1997-08-12
KR100372618B1 true KR100372618B1 (ko) 2003-05-16

Family

ID=1976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59A KR100372618B1 (ko) 1996-01-18 1997-01-18 서랍부재와,이송및주행레일조립체및조립체에서랍부재를장착하는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784950B1 (ko)
JP (1) JP3411465B2 (ko)
KR (1) KR100372618B1 (ko)
AT (1) ATE217158T1 (ko)
AU (1) AU728184B2 (ko)
CZ (1) CZ294547B6 (ko)
DE (1) DE69712378T2 (ko)
DK (1) DK0784950T3 (ko)
ES (1) ES2176603T3 (ko)
NL (1) NL1002123C2 (ko)
NO (1) NO314166B1 (ko)
PL (1) PL183197B1 (ko)
PT (1) PT784950E (ko)
ZA (1) ZA97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8794A (en) * 2010-03-19 2011-09-21 Supply Point Systems Ltd Storage system for supplying articles
DE102011051126A1 (de) 2011-06-17 2012-12-20 Schock Metallwerk Gmbh Auszugführung und Auszugsvorrichtung
WO2016163326A1 (ja) 2015-04-07 2016-10-13 テルモ株式会社 止血器具
CN109157018B (zh) * 2018-10-09 2020-07-10 范好 一种便于取放书本的智能书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5281B2 (de) * 1977-10-07 1980-04-24 Bbp-Kunststoffwerk Marbach Baier & Co, 7142 Marbach Schubkastenführung
DE3011271A1 (de) * 1980-03-24 1981-10-01 Mesax AG, 8600 Dübendorf, Zürich Schublade aus kunststoff mit mindestens einer versteifenden fuehrungsschiene
DE3114809A1 (de) * 1980-06-07 1982-06-03 Schock Metallwerk Gmbh, 7067 Urbach Aufzugfuehrung fuer aus einem gestell ausziehbare traeger, wie schubladen o.dgl.
DE3038832A1 (de) * 1980-10-15 1982-05-27 Gerhard 440 Rheine Wiesch Schubkas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24A (ko) 1997-08-12
DE69712378D1 (de) 2002-06-13
EP0784950A1 (en) 1997-07-23
AU728184B2 (en) 2001-01-04
ZA97376B (en) 1997-07-30
JPH105058A (ja) 1998-01-13
NO314166B1 (no) 2003-02-10
NO970230D0 (no) 1997-01-20
PT784950E (pt) 2002-10-31
PL183197B1 (pl) 2002-06-28
ATE217158T1 (de) 2002-05-15
JP3411465B2 (ja) 2003-06-03
CZ15197A3 (en) 1997-12-17
CZ294547B6 (cs) 2005-01-12
ES2176603T3 (es) 2002-12-01
PL318005A1 (en) 1997-07-21
EP0784950B1 (en) 2002-05-08
AU1019397A (en) 1997-07-24
DE69712378T2 (de) 2003-01-02
DK0784950T3 (da) 2002-08-26
NL1002123C2 (nl) 1997-07-22
NO970230L (no) 199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400A (en) Pull-out guide assembly for drawers and the like
US6467860B2 (en) Drawer glide system
US5599080A (en) Sliding case mounting device
US20040079621A1 (en) Modular conveyor belt support idler
US5595501A (en) Sliding case mounting device
US9723924B1 (en) Bracket assembly
KR100372618B1 (ko) 서랍부재와,이송및주행레일조립체및조립체에서랍부재를장착하는방법
CN111009853B (zh) 一种通信电缆自动化运输铺设一体机
US3931893A (en) Rifle mounting rack for sliding window assemblies
US5775787A (en) Pull-out guide assembly for drawers or the like
US4384746A (en) Drawer assembly
US20180037274A1 (en) Cargo Slide for a Pickup Truck
US20060103279A1 (en) Drawer assembly with a stop mechanism
US4962974A (en) Slide for drawers
CN210854979U (zh) 一种钢板吊装横梁
US4508394A (en) Drawer guide assembly
US4938609A (en) Pull-out guide assembly for drawers
CN218139685U (zh) 斜顶延迟机构及模具
CN220024557U (zh) 一种带有安装支架的滑轨
EP0577885A1 (en) Improved track means for drawers
CN110254482B (zh) 一种物品搬运小车
CN101231125A (zh) 冰箱用抽屉式门装置
KR0175123B1 (ko) 카 오디오의 탈거 구조
KR19990019624U (ko) 왜건형 차량의 화물 하역 보조장치
KR20220130390A (ko) 옷걸이용 미끄럼방지부재 자동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