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433B1 -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433B1
KR100372433B1 KR10-2000-0074237A KR20000074237A KR100372433B1 KR 100372433 B1 KR100372433 B1 KR 100372433B1 KR 20000074237 A KR20000074237 A KR 20000074237A KR 100372433 B1 KR100372433 B1 KR 100372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ulley
vehicle
cab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967A (ko
Inventor
최문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4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16Hill h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레버(1) 조작력을 제동장치(3)로 전달하여 브레이크슈(5)를 드럼(6)에 밀착시키는 케이블(2)이 분리되어 분리된 두 케이블(7)이 원판형의 연결풀리(7)에 연결되고, 이 연결풀리(8)의 하단에 연결된 와이어(8)가 모터(10)의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풀리(9)에 감겨지며, 상기 모터(10)는 중력센서(12)와 휠스피드센서(13)와 릴리스버튼 스위치(16)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상태정보에 의해 차량이 언덕길에서 주차중 이동하기 시작한다고 판단하는 콘트롤러(11)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0)가 작동되면 회전풀리(9)에 와이어(8)가 감겨지고, 이 와이어(8)에 의해 연결풀리(7)가 회전되어 상기 케이블(2)의 당기는 정도가 강해지므로 브레이크슈(5)가 드럼(6)에 밀착되는 강도가 향상되며, 이로써 제동력이 향상되어 차량이 언덕길 아래로 굴러 내려가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a parking brake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언덕길에서 주차된상태의 자동차가 주차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이기고 미끄러져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해 있을 때 차륜은 어디에도 구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자동차가 정지해 있는 노면이 경사져 있다면 자동차는 경사면의 아래쪽으로 구르게 된다.
따라서, 정차 및 주차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동차에는 주차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주차브레이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과 보조석의 사이 센터콘솔에 설치된 브레이크레버(1)와, 이 브레이크레버(1)와 후륜의 제동장치(3)를 연결하여 브레이크레버(1)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2) 및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함으로써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브레이크슈(5)를 드럼(6)에 밀착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풋브레이크용 상기 제동장치(3)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2)는 제동장치(3)내에 장착되어 당겨졌을 때 상기 브레이크슈(5)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토글(4)에 연결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레버(1)를 당기면 케이블(2)이 당겨지고, 케이블(2)에 의해 토글(4)이 당겨지며, 이 토글(4)에 의해 양측의 브레이크슈(5)가 드럼(5)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동상태가 되며, 브레이크레버(1)는 하부에 설치된 래치의 작용으로 당김상태가 유지되므로 제동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차량의 정지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자동차가 경사가 심한 언덕길에 주차되었을 때 상기와 같은 제동상태에서의 제동력이 차량의 하중을 감당하지 못하여 차량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즉, 브레이크슈(5)가 드럼(6)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마찰력을 이기고 차륜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차해 놓은 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동하는 것은 어떤 경우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언덕길에 주차해 놓은 차량이 아래로 구르기 시작하면 즉시 제동력이 강화되어 차량의 구름을 멈출 수 있게 됨으로써 주차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레버, 1a : 릴리스버튼,
2,2a,2b ; 케이블, 3 : 제동장치,
4 ; 토글, 5 : 브레이크슈,
6 : 드럼, 7 : 연결풀리,
8 : 와이어, 9 : 회전풀리,
9a : 톱니, 10 : 모터,
11 : 콘트롤러, 12 : 중력센서,
13 : 휠스피드센서, 14 : 액츄에이터,
15 : 로드, 16 : 릴리스버튼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레버와, 후륜에 장착되고 브레이크슈와 드럼을 갖춘 제동장치와, 이 제동장치내 토글과 상기 브레이크레버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원판형 연결풀리와, 이 연결풀리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풀리에 감겨 있는 와이어와, 상기 회전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중력센서와 휠스피드센서 및 브레이크레버의 릴리스버튼 스위치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이 주차상태에서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와, 이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회전풀리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해주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릴리스버튼(1a)을 갖춘 브레이크레버(1)에 브레이크슈(5)와 드럼(6)을 갖춘 제동장치(3)의 토글(4)이 케이블(2)로 연결되되, 이 케이블(2)은 레버측 케이블(2a)과 제동장치측 케이블(2b)로 분리되고, 이 두 케이블(2a,2b)은 원판형의 연결풀리(7) 양단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풀리(7)의 하단에는 와이어(8)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와이어(8)의 타단은 모터(10)의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풀리(9)에 감겨 있으며, 이 회전풀리(9)에는 일측 외주면에 톱니(9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10)는 콘트롤러(11)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이 콘트롤러(11)는 차량에 기장착되어 있는 중력센서(12)와 휠스피드센서(13) 및 릴리스버튼 스위치(16)에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차량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즉, 상기 중력센서(12)로부터 차량의 기울어짐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휠스피드센서(13)로부터 차량이 정지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릴리스버튼 스위치(16)로부터 주차브레이크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11)에는 액츄에이터(14)가 연결되며, 이 액츄에이터(14)의 로드(15) 단부는 상기 회전풀리(9)에 형성된 톱니(9a)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언덕길에 주차하게 되면 상기 중력센서(12)와휠스피드센서(13)와 릴리스버튼 스위치(16)로부터 현재 차량이 언덕길에서 정지상태로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다는 정보가 콘트롤러(11)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언덕의 경사도가 심하거나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지나쳐서 상기 제동장치의 제동력 이상으로 차량에 언덕길을 내려가려는 힘이 발생되면 차량은 언덕 아래쪽으로 서서히 구르기 시작한다.
차량의 이동이 시작되면 상기 휠스피드센서(13)에서 이를 감지한 신호가 콘트롤러(11)로 입력되며, 이로써 콘트롤러(11)는 차량이 언덕길 주차상태에서 아래로 밀리기 시작했다는 상황을 인지하고 상기 모터(10)를 작동시킨다.
이때 모터(10)는 연결풀리(7)에 연결된 와이어(8)를 더욱 감는 방향으로 회전풀리(9)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8)는 연결풀리(7)의 하단을 당겨 연결풀리(7)를 회전시킨다.
연결풀리(7)가 회전되면 상기 레버측 케이블(2a)은 제동장치 쪽으로 당겨지고 제동장치측 케이블(2b)은 브레이크레버 쪽으로 당겨짐으로써 결과적으로 토글(4)을 통해 더욱 강력하게 브레이크슈(5)를 드럼(6)에 밀어붙이게 되어 제동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구르기 시작하던 차량은 다시 멈추게 되며, 이와 같은 작동은 차륜이 움직이기 시작함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차량은 거의 위치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모터(10)가 작동되어 차량이 멈춤으로써 휠스피드센서(13)에서 차량정지상태를 알리는 값이 입력되면 콘트롤러(11)는 상기 액츄에이터(14)를 작동시키는데, 이때 액츄에이터(14)의 로드(15)는 앞으로 전진하여 그 단부가 회전풀리(9)의 톱니(9a)에 끼워짐으로써 와이어(8)가 다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화된 제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후, 운전자가 다시 탑승하여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할 때는 우선 운전자가 브레이크레버(1)를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릴리스버튼(1a)을 누르게 되므로, 이때 상기 릴리스버튼 스위치(16)가 접속되어 콘트롤러(11)로 신호가 입력되며, 콘트롤러(11)는 운전자가 주차제동상태를 해제하려는 것으로 판단하고 액츄에이터(14)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며, 이에 따라 회전풀리(9)로부터 와이어(8)가 다시 풀리게 되고 연결풀리(7)로 원위치로 회전되어 운전자의 브레이크레버(1) 조작에 의해 주차브레이크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언덕길에 주차해 놓은 차량이 아래쪽으로 구르기 시작할 때 케이블이 자동적으로 더욱 당겨지게 되어 제동력이 향상됨으로써 차량이 언덕길에서도 안정적으로 주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차량이 언덕길 아래로 굴러 내려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브레이크레버(1)가 케이블(2)을 매개로 제동장치(3)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2)이 당겨졌을 때 내부의 토글(4)이 브레이크슈(5)를 드럼(6)에 밀착시켜 제동력이 발생되는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이 레버측 케이블(2a)과 제동장치측 케이블(2b)로 분리되어 이 케이블(2a,2b)들이 원판형 연결풀리(7)에 연결되고, 이 연결풀리(7)의 하단에 와이어(8)가 연결되며, 이 와이어(8)는 모터(10)의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풀리(9)에 감겨지고, 상기 모터(10)는 콘트롤러(11)에 연결되며, 이 콘트롤러(11)는 중력센서(12)와 휠스피드센서(13)와 릴리스버튼 스위치(16)로부터 차량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이 언덕길 주차중에 움직이기 시작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터(10)를 작동시켜 회전풀리(9)에 와이어(8)를 감음으로써 연결풀리(7)가 회전되어 브레이크측 케이블(2a)과 제동장치측 케이블(2b)이 더욱 강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풀리(9)의 측부에 액츄에이터(14)가 설치되되, 회전풀리(9)에는 톱니(9a)가 형성되고 액츄에이터(14)의 로드(15) 단부는 상기 톱니(9a)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4)는 콘트롤러(11)에 연결되어 콘트롤러(11)가 언덕길 아래로 이동하던 차량이 다시 정지하였음을 인지하였을 때 작동되어 상기 로드(15)가 회전풀리(9)의 톱니(9a) 사이에 끼워져 회전풀리(9)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KR10-2000-0074237A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KR100372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237A KR100372433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237A KR100372433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967A KR20020044967A (ko) 2002-06-19
KR100372433B1 true KR100372433B1 (ko) 2003-02-15

Family

ID=2768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237A KR100372433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3211A1 (en) * 2022-04-26 2023-10-26 Peterson Manufacturing Company Driving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5479B (zh) * 2018-03-30 2024-04-26 北京艾力泰尔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自驱动双轨式雷达测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211A (ja) * 1992-10-30 1994-05-24 Suzuki Motor Corp 車両用駐車ブレーキ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KR970006007A (ko) * 1995-07-20 1997-02-19 한승준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970040526A (ko) * 1995-12-07 1997-07-24 전성원 자동차의 자동 주차 제동장치
KR20000019246A (ko) * 1998-09-09 2000-04-06 홍종만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211A (ja) * 1992-10-30 1994-05-24 Suzuki Motor Corp 車両用駐車ブレーキ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KR970006007A (ko) * 1995-07-20 1997-02-19 한승준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970040526A (ko) * 1995-12-07 1997-07-24 전성원 자동차의 자동 주차 제동장치
KR20000019246A (ko) * 1998-09-09 2000-04-06 홍종만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3211A1 (en) * 2022-04-26 2023-10-26 Peterson Manufacturing Company Driving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990037B2 (en) * 2022-04-26 2024-05-21 Peterson Manufacturing Company Driving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967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1402B2 (ja) 自動車の駐車ブレーキ用の操作装置
US9035591B2 (e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JP2006306300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制御装置
JP4832795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制御装置
KR100372433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JP5062431B2 (ja) ブレーキ装置
JP7130321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6079794A (en) Brake-actuating device
KR100589195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10003907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JPS61196851A (ja) パ−キングブレ−キ制御装置
KR100211700B1 (ko) 자동차용 후진방지장치
KR980008931A (ko) 파킹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KR100229274B1 (ko)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KR970007714B1 (ko) 자동변속기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200169236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17365A (ko)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19980054142A (ko)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19990019134U (ko) 자동차의 자동주차 브레이크장치
KR101417046B1 (ko) 지게차의 모노페달 시스템
KR20060005222A (ko)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22374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해제장치
KR19980045051U (ko) 전기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9980046568A (ko)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변속시 브레이크 제어장치
JPS59102648A (ja) パ−キングブレ−キ自動解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