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274B1 -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274B1
KR100229274B1 KR1019970044256A KR19970044256A KR100229274B1 KR 100229274 B1 KR100229274 B1 KR 100229274B1 KR 1019970044256 A KR1019970044256 A KR 1019970044256A KR 19970044256 A KR19970044256 A KR 19970044256A KR 100229274 B1 KR100229274 B1 KR 10022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shaft
housing
electromagnet
brak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782A (ko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2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F16C3/023Shafts; Axles made of several parts,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E)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차축(10)에 전달하여 주는 추진축(P)의 소정위치에 미끄럼방지장치 하우징(20)이 장착되고, 이 하우징(20)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동차축(10)과 직접 접촉되는 다수개의 날개편(31)이 구비된 체크기어(30)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관로상에는 작동스위치(41)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40)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날개편(31)의 사이에는 상기 전자석(4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하향되는 체크볼(50)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언덕길 등의 경사진 노면상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위험성이 배제될 뿐만 아니라 보다 더 정확하면서도 안정된 제동력을 얻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An anti-sliding device for a propeller shaft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진축(propeller shaft)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므로써 보다 안정되게 경사진 노면 등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는 주행중인 자동차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거나 차속을 감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브레이크장치에는 주행중 주로 운전자의 발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주브레이크(일명 풋브레이크)와, 차량을 노면상에 주차시키기 위해 손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주차브레이크(일명 핸드브레이크)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주브레이크는 차륜의 내측에 장치되어 있는 브레이크드럼 또는브레이크디스크등에 마찰재인 슈우를 선택적으로 밀착시켜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차브레이크에는 통상적으로 뒷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뒷바퀴브레이크와, 추진축에 설치된 주차브레이크 드럼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터브레이크(center brake)로 구별되는데, 이러한 센터브레이크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작동레버를 당기게 되면 회전하는 캠 샤프트와, 이 캠 샤프트에 의해 확장되는 슈유와 라이닝 어셈블리와, 로크 밴드로 이루어져, 상기 로크 밴드가 상기 주차브레이크 드럼을 죄어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대형차량의 브레이크 작동라인은 도 1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00)와, 이 압축기(100)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해당라인에 공급시키는 공기탱크(110), 이 공기탱크(110)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브레이크패들의 조작력에 의한 압력의 변화에 따라 선별적으로 공급시키는 브레이크밸브(120), 이 브레이크밸브(120)를 통해 공급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공기통로를 개폐시키는 릴레이밸브(130), 상기 공기탱크(110)에 저장된 공기가 압축기(10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첵밸브(140), 상기 릴레이밸브(13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주브레이크(150), 이 주브레이크(150)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공기압을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시키는 브레이크챔버(160) 및, 상기 추진축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된 미끄럼방지장치(17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탱크(110)에는 상기 압축기(100)에서 보내지는 공기속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탱크(A)와 각각의 브레이크 라인으로 가는 앞탱크(B)와 뒷탱크(C)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의 회로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170)에는 전자제어장치(180)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되, 이 전자제어장치(180)에는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클러치센서(181)와, 변속기 기어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기어 감지센서(182)와, 차량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차브레이크(183)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미끄럼방지장치(170)는 상기 추진축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방지장치(170)는 브레이크패들을 밟거나 떼는 경우에는 추진축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며, 변속기어를 넣고 클러치는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추진축의 움직임의 제한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미끄럼방지장치(170)에는 다수개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작동하도록 된 전자제어장치(180)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므로, 그 구성회로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센터브레이크장치에 전자석에 의해 작동되는 스틸볼을 장착하여 추진축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므로써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경사진 노면에서 보다 안정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미끄럼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차축에 전달하여 주는 추진축의 소정위치에 미끄럼방지장치 하우징이 장착되고, 이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동차축과 직접 접촉되는 다수개의 날개편이 구비된 체크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관로상에는 작동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날개편의 사이에는 상기 전자석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하향되는 체크볼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장치를 장착하므로써, 언덕길 등의 경사진 노면상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위험성이 배제될 뿐만 아니라 보다 더 정확하면서도 안정된 제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식 브레이크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차축 20 : 미끄럼방지장치
30 : 체크기어 31 : 날개편
40 : 전자석 41 : 작동스위치
50 : 체크볼 60 : 브레이크드럼
E : 엔진 P : 추진축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를 도시한 확대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차축(10)에 전달하여 주는 추진축(P)의 소정위치에 미끄럼방지장치 하우징(20)이 장착되고, 이 하우징(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추진축과 직접 접촉되는 다수개의 날개편(31)이 구비된 체크기어(30)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관로상에는 작동스위치(41)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40)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날개편(31)의 사이에는 상기 전자석(4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하향되는 체크볼(50)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엔진(E)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추진축(P)에는 외주면을 따라 브레이크드럼(6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드럼(60)에는 센터브레이크장치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차축(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추진축(p)의 소정위치에는 미끄럼방지장치 하우징(20)이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미끄럼방지장치 하우징(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추진축(P)과 직접 접촉되는 체크기어(30)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크기어(3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날개편(31)이 장착되어 있으되, 이 날개편(31)은 일측을 따라 빗면이 형성되고, 타측을 따라 후크면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장치 하우징(20)의 일측면에 연통되게 설치된 관로상에는 전자석(40)이 장착되어 있으되, 이 전자석(40)에는 차량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작동스위치(41)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스위치(41)는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 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날개편(31)에는 원형의 체크볼(50)이 개재되어 있으되, 이 체크볼(50)은 상기 작동스위치(41)에 의해 전자석(40)이 온되는 경우 상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날개편(31)의 빗면과 후크면의 사이에 상기 체크볼(50)이 걸려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브레이킹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추진축(P)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즉, 차량이 전진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날개편(31)의 빗면의 회전작용에 의해 상기 체크볼(50)이 부유하게 되므로, 브레이킹 작용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추진축(P)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즉, 차량이 후진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석(40)이 온되면서 상기 체크불(50)을 상향시키게 되므로, 브레이킹 작용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추진축의 회전구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언덕길 등의 경사진 노면상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위험성이 배제될 뿐만 아니라 보다 더 정확하면서도 안정된 제동력을 얻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엔진(E)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차축에 전달하여 주는 추진축(P)의 소정위치에 미끄럼방지장치 하우징(20)이 장착되고, 이 하우징(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추진축과 직접 접촉되는 다수개의 날개편(31)이 구비된 체크기어(30)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관로상에는 작동스위치(41)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40)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날개편(31)의 사이에는 상기 전자석(4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하향되는 체크볼(50)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31)은 일측에 빗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후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추진축 미끄럼장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41)는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추진축 미끄럼장지장치.
KR1019970044256A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KR10022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256A KR100229274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256A KR100229274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782A KR19990020782A (ko) 1999-03-25
KR100229274B1 true KR100229274B1 (ko) 1999-11-01

Family

ID=1952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256A KR100229274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2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782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02221A (ja)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229274B1 (ko)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JP7130321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9990056662A (ko) 자동차의 주차제동장치
KR100337312B1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의 제동 장치
KR100372433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KR0136741B1 (ko) 엔지시동 오프시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작동 장치
KR0160262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270053B1 (ko) 자동차의구배로출발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24401B1 (ko) 수동변속기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335183B1 (ko) 파킹브레이크를 이용한 소형차량용 차동제한장치
KR100207221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풀 스트로크 로킹 시스템
KR100192280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211700B1 (ko) 자동차용 후진방지장치
KR970007714B1 (ko) 자동변속기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200144793Y1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KR100384076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작동장치
KR100384531B1 (ko) 자동차용 자동식 주차제동장치
KR19980054498U (ko) 주차브레이크 자동해지장치
KR19980025656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9980044899U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387804B1 (ko) 자동 변속기용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20044520A (ko)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