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520A -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520A
KR20020044520A KR1020000073944A KR20000073944A KR20020044520A KR 20020044520 A KR20020044520 A KR 20020044520A KR 1020000073944 A KR1020000073944 A KR 1020000073944A KR 20000073944 A KR20000073944 A KR 20000073944A KR 20020044520 A KR20020044520 A KR 2002004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rake
propulsion shaft
actuator
park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0917B1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7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9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가 주차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주차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제동장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차동 장치를 통해 뒷바퀴로 전달하는 추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추진축 기어; 추진축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추진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동 기어; 제동 기어가 추진축 기어와 맞물리거나 분리되도록 제동 기어를 추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Parking brake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가 주차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주차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차제동장치는 자동차의 주, 정차시 자동차가 저절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주차제동장치는 드럼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를 링크 또는 케이블로 확장시켜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킴으로써 바퀴를 제동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주차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콘솔박스에 설치된 조작레버(1)는 케이블(2)을 통해 양쪽 뒷바퀴에 각각 설치된 드럼식 제동장치(3)에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1)의 조작력이 각 드럼식 제동장치(3)에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이퀄라이저(4)가 케이블(2)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가 조작레버(1)를 당기면, 조작레버(1)와 드럼식 제동장치(3)를 연결하는 케이블(2)이 당겨지는 것에 의해 드럼식 제동장치(3)의 브레이크 슈(3a)가 확장되며, 확장되는 브레이크 슈(3a)가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바퀴는 제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주차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가 급경사로에 주차할 때 그 경사구배로 인해 드럼식 제동장치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 드럼식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이 미끄러져 제동력이 상실될 위험성이 높았다. 더욱이, 주차제동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면 케이블의 장력이 약해져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키는 조작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경사로에서의 주차시 제동력이 상실될 우려가 훨씬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가 급경사로에 주차할 때 보다 확실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주차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주차제동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제동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 추진축 11 : 추진축 기어
12 : 액츄에이터 14 : 제동 기어
17 : 선택 스위치 18 : 표시등
상기의 목적은, 엔진의 구동력을 차동 장치를 통해 뒷바퀴로 전달하는 추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추진축 기어; 추진축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추진축의 회전을방지하기 위한 제동 기어; 제동 기어가 추진축 기어와 맞물리거나 분리되도록 제동 기어를 추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차제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조작 스위치는 콘솔 박스에 설치된 조작 레버에 의해 온/오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제동장치는 조작 스위치의 신호가 액추에이터로 인가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제동장치는 상술한 종래의 주차제동장치를 보조하도록 종래의 주차제동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종래의 주차제동장치의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엔진(6)의 구동력을 차동 장치(8)를 통해 뒷바퀴(9)로 전달하는 추진축(propellar shaft, 7)의 일측에 추진축 기어(11)가 설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2)가 추진축(7)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2)의 로드 끝에 제동 기어(14)가 고정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2)의 로드가 추진축(7)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동 기어(14)는 추진축 기어(11)와 맞물리거나또는 추진축 기어(11)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진축 기어(11)와 제동 기어(14)로 스퍼 기어가 사용되며, 액츄에이터(12)로는 공압 실린더가 사용된다. 공압 실린더가 액츄에이터(12)로 사용될 경우 자동차에 통상 구비되어 있는 공기 탱크(15)와 공기 압축기(16)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이 저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12)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미도시)는 콘솔 박스에 설치된 조작 레버(미도시)에 의해 온/오프(On/Off)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의 신호가 액츄에이터(12)로 인가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선택 스위치(17)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제동장치의 작동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18)이 운전석 전방의 대시 보드(5)에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가 조작레버를 당기면, 케이블이 당겨져 드럼식 제동장치의 슈와 드럼이 밀착되어 자동차의 뒷바퀴가 제동되는 것과 동시에 조작 스위치가 온(On)된다. 조작 스위치가 온되면 액츄에이터(12)는 로드 끝에 고정된 제동 기어(14)가 추진축 기어(11)에 맞물리도록 작동된다. 제동 기어(14)와 추진축 기어(11)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추진축(7)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대시 보드(5)에 설치된 표시등(18)은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주차제동장치가 작동 중인 것을 알린다.
반대로, 운전자가 조작 레버의 당김을 해제하면 케이블이 느슨해져 드럼식 제동장치의 제동이 해제된다. 동시에, 조작 스위치는 오프(Off)되어 액츄에이터(12)는 로드 끝에 고정된 제동 기어(14)가 추진축 기어(11)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추진축(7)은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되며, 대시보드(5)에 설치된 표시등(18)은 소등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자동차의 시동을 걸고 자동차를 출발시킬 수 있다.
만약, 평지에 주차할 때와 같이 종래의 주차제동장치만으로도 충분한 경우, 선택 스위치(17)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면 조작 스위치의 신호가 액츄에이터(12)로 인가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조작 레버를 당기더라도 액츄에이터(12)는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제동장치는 종래의 주차제동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예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제동장치만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제동장치는, 추진축 기어와 제동 기어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추진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급경사로에 주차한 경우에도 제동력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엔진의 구동력을 차동 장치를 통해 뒷바퀴로 전달하는 추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추진축 기어;
    상기 추진축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추진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동 기어;
    상기 제동 기어가 상기 추진축 기어와 맞물리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제동 기어를 추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주차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는 콘솔 박스에 설치된 조작 레버에 의해 온/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주차제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의 신호가 액추에이터로 인가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주차제동장치.
KR10-2000-0073944A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KR10041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44A KR100410917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44A KR100410917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520A true KR20020044520A (ko) 2002-06-15
KR100410917B1 KR100410917B1 (ko) 2003-12-18

Family

ID=2768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944A KR100410917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46Y1 (ko) 2008-07-04 2010-03-03 근우테크 주식회사 동력원이 일체로 직설된 차동기어유니트의 제동장치
CN108297852B (zh) * 2018-01-03 2020-01-24 江苏大学 一种用于拖挂式房车的坡道驻车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0917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4697B2 (ja) 操作装置及びこのような操作装置の操作方法
KR100410917B1 (ko)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KR100384531B1 (ko) 자동차용 자동식 주차제동장치
KR100220462B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0153301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200178373Y1 (ko) 브레이크 작동 표시장치
KR19990049962A (ko) 장애자용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KR20020052260A (ko) 주차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리어액슬
KR0160262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200155015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JPH0680061A (ja) 自動車、トラック、ダンプカー等重量車輛緊急制動装置
KR0114064Y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9990027647U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자동 잠금장치
KR100229274B1 (ko) 자동차용 추진축의 미끄럼방지장치
KR0112158Y1 (ko) 자동차의 전기 구동식 배력 제동 장치
KR19980012594U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61077A (ko) 사이드브레이크 장치
KR19990020677A (ko) 주차브레이크 보조장치
KR19980028808A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브레이크 작동장치
KR19980046550U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경고 장치
KR19980049134A (ko) 주차 브레이크 안전장치
JPH02158448A (ja) 車輌
KR20020052257A (ko) 주차브레이크 보조장치
KR19990008413U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90009755U (ko) 오토매틱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