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371B1 -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및 와이어하니스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및 와이어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371B1
KR100372371B1 KR10-2000-0047766A KR20000047766A KR100372371B1 KR 100372371 B1 KR100372371 B1 KR 100372371B1 KR 20000047766 A KR20000047766 A KR 20000047766A KR 100372371 B1 KR100372371 B1 KR 10037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ircuit
harness
branch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117A (ko
Inventor
사카모토마사미
마츠오카유다카
나카무라미츠토시
세키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186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51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31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61215A/ja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은 일단부가 부하측상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전기접속함의 분기회로에 접속된 복수의 서브 와이어하니스를 적층하는 단계; 전선집합체에 속한 복수의 전선 그룹을 계층화하는 단계; 및 접속부재에 의해 각각의 층 사이에 있는 소정의 전선을 단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 소정의 회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및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 CIRCUIT CONFIGURATION METHOD AND WIRE HARNESS}
본 발명은 회로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세부적으로, 본 발명은 스플라이스 회로등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내지 3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관련 기술은 일본 실개평 6-80318호(1994) 및 6-54214호(1994)에 개시되었다.
도 1의 부호(J)는 전기접속함을 도시한다. 이 전기접속함(J)는 개략적으로커버 본체(1), 서브 와이어하니스(SW1, SW2,SW3), 리어 커버(2), 리어커버(3) 및 리어 커버(4)로 구성되어진다. 커버 본체(1)는 절연 특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서브 와이어하니스(SW1, SW2, SW3)는 부하시스템별로 분류되고 복수의 전선(W)으로 만들어진다. 리어커버(2)는 서브 와이어하니스(SW1)에 접속되어있다. 리어커버(3)는 서브 와이어하니스(SW2)에 접속되어있다. 리어커버(4)는 서브 와이어하니스(SW3)에 접속되어있다. 리어 커버(2,3,4)는 커버 본체(1)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계전기 공동(5), 퓨즈 공동(6), 암커넥터 공동(7) 및 가요성 링크 공동(8)은 리어 커버(2,3,4)에 상응하여 커버 본체(1)의 외부 표면의 위치에 적절하게 형성된다.
도 2는 후면에서 본 전기접속함(J)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모양으로 구부러진 버스 바(10,11)는 커버 본체(1)와 리어커버(2)사이 및 커버 본체(1)와 리어 커버(3) 사이에 끼인다. 버스 바(10,11)는 전기접속함(J) 에서 서브 와이어하니스(SW1,SW2)의 내부 회로를 구성한다. 버스 바 협지 홈(12,13)(버스 바를 샌드위칭한다)을 갖는 지지 벽(14,15)은 커버 본체(1)의 천정 벽(1a)의 내면 위에 스탠딩 조건으로 배열된다. 다양한 계전기 단자(16)에 상응하는 복수의 터미널 하우징 쳄버(17)는 지지 벽(14,15)의 단말부 및 중간부에서 튀어나온다. 도 3은 서브 와이어하니스(SW1,SW2)가 전기접속함(J)의 주요부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다. 이 경우에, 서브 와이어하니스(SW2)가 끌어질 때, 전선(9)의 단말부가 매달리거나 단말부의 단자가 손상된다.
그러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종래 기술에서, 서브 와이어하니스(SW1,SW2,SW3)가 각각 접속된 리어 커버(2,3,4)는 커버 본체(1)에 접착된다. 이 구조로 인하여, 회로 형성이 복잡해질 경우에, 리어 커버의 수가 증가할 때, 커버 본체(1)의 평면 면적(투사 면적)이 증가한다. 결과로서, 전기접속함(J)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별히, 자동차에 설치되는 전기접속함에서, 설치 공간은 제한되고, 전기접속함의 확대는 문제가 된다.
추가적으로, 이 전기접속함(J) 안에서, 커버 본체(1)와 리어 커버(2,3,4) 사이에 끼어 있는 버스 바(10,11)는 회로를 실제적으로 형성한다. 이 이유로 해서, 접속부가, 커버 본체(1)에 제공되어진 계전기 공동(5), 퓨즈 공동(6)과 암커넥터 공동(7)과 가요성 링크 공동(8)의 배열상의 변화로 인해, 그리고 회로의 변화로 인해, 버스 바의 패턴이 변화되고 복잡해진다. 이 이유로 해서, 자동차에 부착되는 전기접속함에서, 차의 형태와 표준이 다를 경우에, 특별한 패턴을 갖는 버스 바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종래 기술은 회로 성분으로서 버스 바(10,11)를 갖는 전기접속함(J)이지만 회로는 때때로 전선 배선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이 경우에, 다른 배선 접속 작업이 개별적인 형태의 전기접속함에 요구되어진다.
더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인 전기접속함(J)가 복수의 회로부를 갖기 때문에, 많은 전선(W)가 집중되고, 자동차에 대한 조립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새로운 특징은 동일한 것이 다음의 도면과 함께 읽혀질 때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완전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접속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전기접속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서브 와이어하니스가 종래 전기접속함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와이어하니스가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접속함에 접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접속툴의 접착된 위치를 설명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9a와 9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와 10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와 11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변형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변형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변형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에 사용되는 접속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그런 점들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전선의 불완전한 접속을 제거하고, 접속을 위하여 전기접속함의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하고, 공간 절약 분기회로부를 형성하고, 및 와이어하니스의 융통성을 향상시켜서 와이어하니스가 차의 형태와 표준이 다른 시스템 사이에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하니스 및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태양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일단부가 부하측 위의 커넥터와 접속되고 타단부가 전기접속함의 분기회로에 접속되는 복수의 서브 와이어하니스를 적층하는 단계; 전선집합체에 속한 복수의 전선 그룹을 계층화하는 단계; 및 접속부재에 의하여 각각의 층 사이에 소정의 전선을 단락 하여서 소정의 회로가 형성되어지는 단계.
그러므로, 제 1태양의 발명에서, 전선집합체에서 소정의 전선으로 구성되어지는 전선 그룹이 계층화되고, 다른 층위에 있는 소정의 전선이 접속부재에 의해서 서로 단락되어서 바람직한 회로가 형성되어진다. 이 이유로 해서, 계층화된 전선 그룹과 접속부재가 전기접속함에서 회로 형성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전기접속함의 구조는 단순화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동일한 부분들이 예를 들어, 차의 형태와 표준이 다른 전원 시스템사이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결과로서, 와이어하니스는 표준화될 수 있거나 융통성이 있게 되고, 전기접속함의 회로 형성은 단순화되어질 수 있다. 제 1태양과 관련된 본 발명의 제 2태양은 다음 단계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전선접속툴을 각각의 층위에 전선 그룹을 구성하는 소정의 전선에 접속하는 단계; 전선 그룹의 각각에 속한 전선에 접속된 전선접속툴을 배열하여서 툴이 각각의 모듈 플레이트에서 서로 분리되는 단계; 서로의 위에 있는 복수의 모듈 플레이트를 적층하여서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적층체를 통하여 접속부재를 놓아서 각각의 모듈 플레이트 위에 있는 소정의 전선접속툴을 서로 접속하는 단계.
제 2태양의 발명에서, 소정의 전선 그룹이 복수 모듈 플레이트에 배열되어서 전선집합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선 그룹이 계층화될 수 있다. 모듈 플레이트는 적층하여서 소정의 전선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전선이, 그런 방법으로 접속된 전선접속툴이 적층체의 소정의 위치를 통하여 접속부재를 놓음으로써 서로에게 접속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태양과 관련 있는 본 발명의 제 3태양은 다음의 단계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모듈 플레이트의 적층체 및 하우징 안에 적층체를 통해서 놓여진 접속부재를 수용하는 단계; 및 접속부재의 단말부가 하우징 안에서 커넥터 단자로서 기능을 하도록 하는 분기커넥터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런 구조를 갖는 발명에서, 적층체가 하우징안에 수용되어서 거기에 붙들어질 수 있다. 게다가, 분기커넥터부가 하우징안에 형성되고, 분기커넥터가 접속부재의 단말부가 커넥터 단자로서 기능하게 한다. 이 이유로 해서, 분기회로는 전기접속함에서 분리된 위치에서 조차도 얻어질 수 있다. 이 이유로 해서, 복수의 분기회로는 내부 광 및 선루프 시스템과 계장 판넬의 부근의 부하 시스템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열된 부하의 부근에 배열된 와이어하니스의 중간부에서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태양에서 제 3태양중 한 태양에 관련된 본 발명의 제 4태양은 전선접속툴이 소정의 전선의 단말부 또는 중간부에 접속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전선의 중간부가 전선접속툴에 접속될 때, 회로는 형성되어질 수 있거나 분기회로가 전선의 절반부의 절단없이 전선접속함에서 분리된 위치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선의 낭비는 방지되어질 수 있다.
제 1태양에서 제 4태양중에 한 태양과 관련된 본 발명의 제 5태양은 적층체와 접속부재가 전선접속함안에 있는 분기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을 제공한다.
그런 구조를 갖는 발명에서, 계층화된 복수의 전선 그룹과 접속부재는 전기접속함안에 있는 분기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하여서 전기접속함과 접속된 다수의 분기회로가 감소될 수 있다. 이 이유로 인해, 배선 작업은 빠르게 그리고 안전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고, 배선 작업의 비용은 감소되어질 수 있다. 특별히, 차의 형태와 표준에 따른 특별한 패턴을 갖는 버스 바가 전기접속함에서 준비되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은 감소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태양은,
서브 하니스의 각각은 전선집합체를 갖고, 서브 하니스의 각각의 일단부가 부하측에 접속되고 서브 하니스의 각각의 또 다른 측은 전원측위에 분기회로에 접속되며, 여기서 또 다른 서브 하니스 또는 분기회로의 전선집합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전선에 수단을 접속함으로써 임의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회로형성접속수단의 모듈부재가, 서브 하니스의 복수의 전선 안에 또 다른 서브 하니스의 전선집합체 안에 소정의 전선과 함께 분기회로에 접속되기 위하여 소정의 전선의 또 다른 측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선으로 구성되어진 복수 다발의 서브 하니스를 포함하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이 와이어하니스에서, 서브 하니스의 소정의 전선의 또 다른 측이 모듈부재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전선의 이 측들은 모아질 수 있다. 결과로서, 소정의 전선은 소위 완결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결과로서, 전선은 늘어짐에서 방지될 수 있고, 전선의 단말부분의 단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와이어하니스에서, 회로형성접속수단은 서브 하니스의 전선의 또 다른 측에 접속되어서 또 다른 서브 하니스 또는 분기회로의 소정의 전선에 접속된다. 결과로서, 복수의 전선은 서로 단락 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접속함의 회로 형성의 일부분은 직접 형성되어질 수 있다. 결과로서, 전기접속함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고, 동일한 부분은 예를 들어 차의 형태와 표준이 다른 전원 시스템 사이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결과로서, 와이어하니스는 표준화될 수 있고 융통성 있게 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하니스의 비용은 감소되어질 수 있다.
제 6태양과 관련된 본 발명의 제 7태양은 회로형성접속수단이, 서브 하니스의 전선집합체에서 복수의 전선의 소정의 전선의 또 다른 측이 독립적으로 배열되고 수용되는 모듈부재를 적층하여서 형성된 적층체 및 적층체에 접착되고 모듈부재 위에 정렬된 임의의 전선을 서로에게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갖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이 와이어하니스에 의하면, 제 1태양과 관련된 본 발명의 기능에 더하여, 적층체를 구성하는 모듈부재 위의 전선이 접속부재에 의하여 서로 접속될 때, 분기회로 또는 소정의 회로는 임의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접속부재가 분기접속부에 접속될 때, 예를 들어, 적당한 전원이 분기접속부에서 부하 시스템으로 공급되어질 수 있다.
제 6태양 또는 제 7태양과 관련된 본 발명의 제 8태양은 모듈부재가 다음을 포함하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플레이트 본체; 플레이트 본체의 한 측면위에 제공되어지고 서브 하니스의 소정의 전선의 단자가 수용되는 홈을 수용하는 전선; 및 전선 수용 홈에 배열되고 서브 하니스의 소정의 전선의 단말부 또는 중간부가 접속되는 전선접속툴.
제 8태양의 발명에서, 단자부 또는 중간부는 전선접속툴에 접속된다. 이 발명에서, 전선의 중간부가 전선접속툴에 접속될 때, 전기접속함 및 회로형성접속수단은 전선의 절반부를 절단함 없이 서로에게서 분리된 위치에서 배열될 수 있다. 결과로서, 전기접속함 및 회로형성접속수단은 적당하게 분리된 위치에서 배열될 수 있다. 이 이유로 인해, 회로형성접속수단은 자동차에로의 접착 작업이 쉬운 위치에서 쉽게 배열될 수 있고, 작업성은 향상되어질 수 있다.
제 6태양에서 제 8태양까지의 어느 한 태양과 관련된 본 발명의 제 9태양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접속부재가 소정의 모듈부재에 걸치는 길이를 갖고 생산성을 갖는 접속바로 구성되어있다; 전선접속툴이 각각 접속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맞물림 접속부를 갖는다; 및 접속부재가 삽입된 스루홀이 맞물림 접속부가 배열된 위치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본체 위에 형성된다.
제 9태양의 발명에서, 제 3태양의 발명의 기능에 더하여, 접속바로 구성되어진 접속부재가 모듈부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본체의 임의 스루홀로 삽입되고, 접속부가 소정의 전선이 접속된 임의의 전기접속툴 위의 맞물림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로서, 전선이 선택되어질 때, 전선접속툴의 위치가 결정되고, 접속부재에 의해 서로 단락된 전선이 설정되고, 임의 회로가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배선 분기가 단순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제 6태양에서 제 9태양까지의 한 태양과 관련된 발명의 제 10태양은 전선접속툴이 한 쌍의 압입날을 갖고, 전선이 압입날에 압입될 때, 압입날은 전선의 커버 부로 절단되어 도체부에 접촉하게 된다. 위 발명에서, 전선이 전선 날 사이에 압입될 때, 압입날은 쉽게 전선의 커버 부로 절단되어 도체부가 전선접속툴에 접속된다. 이 이유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선은 전선접속툴이 배열된 모듈에 쉽게 접착될 수 있고, 작업성은 향상되어질 수 있다.
제 6태양에서 제 10태양까지의 어느 한 태양과 관련된 발명의 제 11태양은회로형성접속수단이 적층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고 분기 접속부가 하우징 위에 형성되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위 발명에서, 모듈을 적층하여서 구성되어지는 적층체는 하우징 안에 붙들어진다. 이 발명에서, 분기 접속부가 하우징안에 형성되어지기 때문에, 분기 접속부는 부하 시스템에 접속되어서 용이성이 향상된다.
제 6태양에서 제 11태양까지의 어느 한 태양과 관련된 발명의 제 12태양은 회로형성접속수단에 전기접속함과 함께 완전하게 제공되어지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위 발명에서, 회로형성접속수단은 전기접속함과 일체적으로 제공되어져 회로형성접속수단에 특별한 커버가 생략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전기접속함에서 형성된 회로의 일부분이 회로형성접속수단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접속함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특별히 이 발명에서, 복수의 부하 시스템이 전기접속함의 부근에 배열되는 경우에 편리하다.
제 6태양에서 제 12태양까지중 한 태양과 관련된 발명의 제 13태양은 회로형성수단이 전기접속함과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위 발명에서, 전기접속함 및 회로형성접속수단이 개별적으로 제공되어져서, 전기접속함이 소형화되어질 수 있고, 전기접속함의 설치 공간이 감소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전기접속함의 분기회로는 길어지고, 회로형성접속수단이 전기접속함에서 분리되어진다. 결과로서, 할당된 전기접속함에서 형성된 구조의 일부분을 갖는 회로형성접속수단이 부하 시스템의 부근에 배열되어질 수 있거나, 회로형성접속수단이 부하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선의 늘어짐을 막을 수 있다.
제 6태양에서 제 13태양까지의 어느 한 태양과 관련된 발명의 제 14태양은 회로형성접속수단이 전기접속함에서 분기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와이어하니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 도면을 언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 상세화 될 것이다. 동일한 부재가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지금 도 4에서 도 11까지를 언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이후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4는 와이어하니스(50)가 전기접속함(40)의 분기회로에 접속된 등가회로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와이어하니스(50)는 서브 하니스(SW1,SW2,SW3,SW4)로 구성되어진다. 서브 하니스(SW1,SW2,SW3,SW4)는 복수의 전선(W)로 구성되어진 전선집합체를 구성되어지고, 커넥터(C1,C2,C3,C4,C5)는 전선집합체 및 부하에 접속되고, 회로형성접속수단(A)는 서브 하니스(SW1,SW2,SW3,SW4)의 또 다른 쪽에 접속된다. 회로형성접속수단(A)의 모듈부재(M)(모듈 플레이트(51,52,53))은 서브 하니스 (SW1,SW2,SW3,SW4)의 또 다른 쪽에 접속되어서 복수의 전선 그룹이 계층화 된다.
서브 하니스(SW1)의 복수의 전선의 또 다른 쪽은 모듈 플레이트(51)에 접속된다. 서브 하니스(SW2) 및 서브 하니스(SW4)의 전선은 모듈 플레이트(52)에 접속된다. 서브 하니스(SW3)의 복수 전선의 몇 개는 모듈 플레이트(53)에 접속되고, 전선의 나머지는 커넥터 C5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하니스(SW1,SW2,SW3,SW4)의 전선집합체에 속한 복수의 전선은 접속부재에 의해서 서로 단락되어서 바람직한 회로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접속함(40)은 하우징 본체(41) 및, 하우징 본체(41)의 한 측 부에서 확장되어진 분기 플레이트부(42)를 갖는다. 계전기 공동, 퓨즈 공동, 암커넥터 공동 및 가요성 링크 공동이 하우징 본체(41)의 상부 위에 적당하게 형성되어진다. 게다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측벽(45,46)은 하우징 본체(41)에 반대되는 측 에지와 분기 플레이트 부(42)의 제 1 측 에지에 이웃하는 측 에지 부인, 두 에지 부위에 스탠딩 조건으로 제공되어진다. 하우징 본체(41)(도시되지 않음)의 내부 회로에서 분기된 복수의 분기배선(44)는 분기 플레이트(42)의 상부 위에 배열되고 놓여져 분기회로가 형성되어진다. 회로형성접속수단(A)는 분기 플레이트 부(42)에 접속되어있다.
회로형성접속수단(A)는 모듈부재(모듈 플레이트 51,52,53)를 적층하여서 형성된 적층체(도 10을 보라)를 갖고, 적층체(63)에 설치되고 전선을 접속하는 접속바(접속부재)(54)는 모듈부재(M)에 배열되고 수용된다. 게다가, 적층체(63)와 접속부재(54)는 스플릿하우징(55)에 수용되는 상태로 적층된다. 스플릿하우징(55)이 분기 플레이트 부(42)에 고정되어 있을 때, 모듈부재(M)과 접속부재(54)는 스플릿하우징(55)과 전기접속함(40)안에 있는 분기 플레이트 부(42)사이에 있게 된다.
모듈 플레이트(51,52,35)는 면적이 플레이트 본체(20)가 분기 플레이트부(42)의 상부에 놓이도록 하는 직각사각형의 플레이트 본체(20), 복수의분할 벽(56)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20)의 상부에 구획된 전선 수용 홈(57), 및 전선 수용 홈에 위치되고 전선의 단말부와 중간부가 접속된 전선접속툴(59)을 갖는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재(54)가 삽입된 스루홀(58)은, 전선(W)가 배열된 위치를 경미하게 벗어난 열 방향으로 배열된 분할 벽(56)사이의 위치에 개방되고 형성되어진다.
도 8,9에 도시된 복수의 전기접속툴(59)은 그런 구조를 갖는 모듈 플레이트(51,52,53) 위에 제공되어진다. 회로형성접속수단(A)와 분기회로의 위치의 선택에 의해서 형성된 회로 형성과 같은 세트 레이아웃에 의해서 전선접속툴(59)이 모듈 플레이트(51,52,35) 위에 배열된다.
임의 회로는 전선접속툴(59)과 접속바(54)가 삽입된 위치에 따라서 회로형성접속수단(A)에 의해서 적당하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 이유로 해서, 다양한 분기부와 전원회로가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되어진 와이어하니스(50)에 의해서 자유롭게 형성되어 질 수 있어서 융통성이 강화되어질 수 있다.
도 8을 언급함으로써 전선접속툴(59)의 구조가 아래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전선접속툴(59)은 전선 홀딩부(59A)와 각도의 드럼 모양의 바 접촉 부(58A)로 구성되어진다. 전선 홀딩부(59A)는 모듈 플레이트(51,52,53)위에 가로 방향으로 분할 벽(56)사이에 있는 전선 수용 홈(57)에 배열된다. 바 접촉 부(59B)는 전선 홀딩부(59A)의 단말부에서 약간 옆길인 위치에 있다. 두 쌍의 반대되는 구부러진 조각(59a,59b)과 두 쌍의 압입날(59c,59d)은 전선 홀딩 부(59A)에 스탠딩 조건으로 배열된다. 구부러진 조각(59a,59b)은 구부러져 전선(W)를 붙들게 된다. 전선(W)는압입날(59c,59d)에 압입되고, 전선(W)의 피복부를 절단하여서 전선(W)가 접촉하게 되고 도체 부(61)에 접속된다.
추가적으로, 각도의 드럼 모양의 바 접촉부(59B)는 배열되어서 그것의 드럼 공동이 모듈 플레이트(51,52,53)위에 형성된 각각의 복수의 스루홀(58)에 접속된다. 접촉 바(54)와 함께 압력 접촉하는 접촉 스프링 조각(62)은 바 접촉부(59B)의 드럼 공동에 제공되어진다. 전선접속툴(59)이 분할 벽(56)사이에 압입되도록 설정된다. 전선접속툴(59)은 분할 벽(56) 사이에 압입되어서 모듈 플레이트의 측에 붙들리게 된다.
전선접속툴(59)은 모듈 플레이트(51,52,53)의 적당한 위치에 배열된다. 모듈 플레이트(51,25,53)는 적층되어지고 접촉 바(54)는 거기에 삽입되어서 소정의 회로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모듈 플레이트(51,52,53)를 전기접속함(40)의 분기 플레이트부(42)에 붙잡아두어서 모듈 플레이트(51,52,53)가 전기접속함(40)에 분기되고 접속되는 스플릿하우징(55)의 구조를 간단하게 아래에 설명할 것이다.
스플리트 접속 하우징(55)은 분기 플레이트 부(42)위에 놓여진 모듈 플레이트(51,52,53)의 적층체(63)를 커버해서 분기 플레이트 부(42)와 맞물리게 된다. 그런 방법으로 모듈 플레이트의 적층체(63)가 스플릿하우징(55)으로 덮여서 전선접속툴(59)과 접속바(54)의 노출이 방지된다. 게다가, 모듈 플레이트(51,52,53)위에 배열된 전선(W)를 끌어내는 복수의 스플리트(55A)는 스플릿하우징(55)안에 상하 방향(적층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진다. 게다가, 도 5와 11b에 도시된바와같이, 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후드부(64,65,66)는 스플릿하우징(55)의 상부에 형성된다. 접속바(55)의 단발부는 커넥터 핀(커넥터 단자)으로서 스탠딩 조건으로 후드부(64,65,66)안으로 고정된다.
각각의 부재의 구조가 설명되어졌다. 다음으로, 도 9a에서 도 11b를 설명함으로써 제 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50)의 회로형성방법이 아래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여기에, 설명이, 세 개보다 적지 않은 모듈 플레이트가 적층되어지고 참조 수 51이 모든 모듈 플레이트에 주어지는 경우에 주어졌다.
도 9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접속툴(59)이 각각 각각의 모듈 플레이트(51)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전선 수용 홈(57)에 압입되고 배열되어서 모듈 플레이트(51)에 고정된다. 이 때, 전선 와이어 접속 툴(59)이 배열되어서 모듈 플레이트 위에 형성된 스루홀(58)이 전선접속툴(59)의 바 접촉 부(59B)의 드럼 공동과 접속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은 모듈 플레이트(51)위에 배열된 전선접속툴(59)에 접속된다. 전선(W)을 전선접속툴(59)에 접속하기 위하여, 전선(W)압입날 59c 사이와 59d 사이에 압입된다. 결과로서, 전선의 피복부(60)는 절단되고 도체부(61)는 접촉하게 되고 압입날(59c,59d)과 접속하게 된다. 게다가, 전선(W)가 압입날 사이에 압입된 후에, 구부러진 조각(59a,59b)은 구부러져서 전선(W)를 둘러싸게 된다. 결과로서, 전선(W)는 전선접속툴(59)에 고정되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모듈 플레이트(51)가 분기 플레이트부(42)에 배열되었기 때문에, 전선(W)의 단말부는 전선 툴(59)에 접속된다. 모듈 플레이트(51)에 접속된전기 그룹은 서브 하니스를 형성한다.
그래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듈 플레이트(51)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적층되어져서 적층체(63)가 형성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63)는 분기 플레이트 부(42)에 놓여진다. 더 나아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바(54)는 적층체(63)의 최상부 플레이트(51)의 소정의 스루홀(58)안으로 삽입된다. 접속바(54)는 그들의 하단부가 전기접속함(40)의 분기 플레이트부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된다. 접속바(54)의 하단부가 분기 플레이트부(42)에 도달하도록 허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접속바(54)의 하단부가 분기 플레이트 부(42)에 접촉할 때, 접속바(54)가 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바(54)는 필요에 따라 분기 플레이트부(42)위에 배열된 분기배선(44)에 접속되어질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릿하우징(55)은 분기 플레이트부에 놓여진 적층체(63)위에 놓인다. 스플릿하우징(55)이 적층체(63)위에 놓였을 때조차, 각각의 열 위의 전선(W)은 스플릿하우징(55)의 스플리트(55A)에 수용된다. 이 이유로 인해, 전선(W)은 스플릿하우징(55)에서 끌어지는 것에서 방지되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서브 하니스(SW1,SW2,SW3,SW4)가 끌어질때, 전선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의 단말부의 단자의 손상은 방지되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플릿하우징(55)이 적층체(63)위에 놓일 때, 접속바(54)의 상단부는 스플릿하우징(55)의 상부에 형성된 후드부(64,65,66)안에 선다. 접속바(54)의 길이는 결정되어져 위 상태가 얻어진다. 접속바(54)의 상단부가 후드부(64,65,66)안에 그런 방법으로 서 있을 때, 접속바(54)의 상단부는 접속 핀으로 기능하여 분기 커넥터가 형성되어진다. 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부하 시스템에 적당하게 접속되어질 수 있다.
와이어하니스(50)의 회로 형성단계와 전기접속함(40)에 와이어하니스(50)를 접속하는 단계는 그런 방법으로 완성되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회로형성방법에 의해서 형성되고 와이어하니스(50)에 제공되어진 회로형성접속수단(A)는 전기접속함(40)에 완전하게 제공되어진다. 이 이유로 인해, 전기접속함(40)의 분기 플레이트 부(42)는 회로형성접속수단(A)의 커버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회로형성접속수단(A)은 전기접속함(40)에서 형성된 회로의 일부분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이유로 인해, 전기접속함(40)의 구조는 단순해질 수 있다. 특별히 제 1 실시예에서, 복수의 부하 시스템이 전기접속함 부근에 배열된 경우에 편리하다.
추가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 와이어하니스(50)를 형성하는 전선집합체에서 소정의 전선(W)는 회로형성접속수단(A)를 형성하는 모듈 플레이트(51)의 전선접속툴(59)에 접속된다. 접속바(54)는 전선(W)에 접속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회로형성접속수단(A)에서, 복수의 전선(W)는 접속바(54)에 의해 서로 단락되어질 수 있다. 이 이유로 인해, 분기 커넥터(64,65,66을 포함하는)가 분기부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소정의 회로는 직접 회로형성접속수단(A) 안에 형성되어질 수 있다. 결과로서, 전기접속함(40)의 회로 형성의 일부분은 회로형성접속수단(A)에 의해 형성되어질 수 있고, 전기접속함(40)은 단순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선(W)의 표준, 회로형성접속수단(A), 전기접속함(40) 및 유사한 것은 차의 형태와 표준이 다른 경우 전원 시스템 사이에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결과로서, 와이어하니스(50)는 표준화되고 융통성 있게 되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 회로형성접속수단(A)는, 전선집합체에서 소정의 전선(W)가 독립적으로 배열되어있는 모듈 플레이트 51(52,53)을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지는 적층체(63) 및 임의의 모듈 플레이트(51)위에 배열된 소정의 전선(W)에 접속된 접속바(54)에 접속된 스플릿하우징(55)의 후드부(64,65,66)를 갖는다. 이 이유로 인해, 적당한 전원이 스플릿하우징(55)에서 부하측에 공급되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형성방법에서, 접속바(54)가 모듈 플레이트 51(52,53)의 임의의 스루홀(58)로 삽입되어져서 소정의 전선(W)에 접속된 임의의 전기접속툴(59)위의 바 접촉 부(59B)에 쉽게 접속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 이유로 인해, 전선(W)가 선택되어질 때, 전선접속함(59)의 위치가 결정되고 접속바(54)에 위해 단락된 전선(W)가 설정되고, 임의의 회로 형성과 분기회로가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형성방법에서, 전선(W)가 압입날(59c,59d)사이에 압입될 때, 압입날(59c,59d)은 쉽게 전선(W)의 커버 부(60)로 절단되어서 커넥터부(61)는 전선접속툴(59)에 안전하게 접속되어질 수 있다. 이 이유로 인해, 제 1 실시예에서, 전선(W)는 전선접속툴(59)이 배열되어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모듈 플레이트 51(52,53)에 쉽게 접착되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형성방법에서, 회로형성접속수단(A)는적층체(63)를 수용하는 스플릿하우징(55)을 갖고, 분기 커넥트는 스플릿하우징(55)위에 형성된다. 이 이유로 인해, 모듈 플레이트(51,52,53)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지는 적층체(63)는 스플릿하우징(55)안에 붙들어질 수 있다. 스플릿하우징(55)안에서, 전선(W)는 모듈 플레이트 51(52,53)에 안전하게 붙들어지기 때문에, 전선(W)는 늘어짐에서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서브 하니스(SW1,SW2,SW3,SW4)의 양쪽 모두 커넥터와 모듈 플레이트에 접속되어있기 때문에, 양쪽 모두 다 소위 완성된 상태이다. 결과로서, 전선은 늘어지지 않고, 전선의 단말부의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 12에서 15까지를 언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니스의 회로형성방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 2실시예에서, 동일한 언급 번호가 제 1실시예에서의 동일한 부분에 주어졌고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제 2실시예에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복수의 전선(W)의 중간부는 모듈 플레이트(51A, 53)위에 배열된 전선접속툴(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즉, 제 2실시예에서, 회로형성접속수단(A)는 전기접속함(40)에서 분리되어진 위치에서 제공되어질 수 있다. 모듈 플레이트(51A, 53)에 붙들린 중간부를 갖는 전선(W)의 타단부가 모듈 플레이트(51A, 53)에서 끌어져서 커넥터(69,70)에 접속되어진다.
제 1실시예의 분기 플레이트부(42)는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되어진 전기접속함(40)안에 형성되어지지 않고, 전기접속함(40)은 작은 본체(41)로 형성되어진다. 제 1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공동(43)은 하우징 본체(41)의 상부 위에 형성되어진다. 커넥터(69,70)는 공동(43)의 어떤 소정의 공동에 접속된다.
추가적으로, 제 1실시예의 모듈 플레이트(51)위의 스루홀(58)은 제 2실시예에서 형성된 회로형성접속수단(A)에서 가장 낮은 모듈 플레이트(51A)에서 형성되어지지 않는다. 접속바(54)의 하단은 받아들여진다. 스플릿하우징(55)의 하부와 맞물리는 맞물림 수단(도시되지 않음)은 모듈 플레이트(51A)위에 제공되어진다.
제 2실시예의 구조가 설명되어졌지만, 제 2실시예의 구조의 또 다른 부분은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갖는다. 제 2실시예에서 특별히, 회로형성접속수단(A)가 전기접속함(40)에서 분리된 위치에서 제공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접속함(40)은 소형화될 수 있고, 전기접속함(40)을 위한 설치 공간은 감소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제 2실시예에서, 회로형성 접속 수단(A)가 부하측 부근에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부하측에 접속된 전선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2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들에 제한되지 않고, 구조의 요점에 부수하여 일어나는 다양한 설계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3은 회로형성접속수단(A)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다. 제 1 변형된 실시예에서, 맞물림부(71A)는 최저 바닥 플레이트(71)의 양쪽 위에 각각 형성되고, 접속바(79)의 하단을 받는 오목부(71B)는 상부에 형성된다. 게다가,스플릿하우징(72)은 그것의 측면이 U모양을 갖는 상태로 형성되어서, 바닥 플레이트(71) 및 모듈 플레이트(73,74,75)의 적층체의 두 측면과 상면을 덮는다.
추가적으로, 바닥 플레이트의 맞물림부(71A)와 맞물리는 맞물림부(77)는 스플릿하우징(72)의 측벽(76)의 내부면의 하부에서 각각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분기 커넥터의 후드부(78)는 스플릿하우징(72)의 상면 위에 형성된다. 접속바(79)의 중간부는 후드 부(78)의 내부 바닥에 고정된다.
접속바(79)의 상단부는 후드부(78)안에 서고, 하부는 스플릿하우징(72)안에 아래 방향으로 늘어진다. 스플릿하우징(72)에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나옴 방지 립(79A)은 접속바(79)의 중간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게다가, 전선(W)전선(W)하는 전선 수용 홈(81)은 모듈 플레이트(73,74,75)위에 형성되고, 홈(81)의 측면위에 위치한 스루홀(81)은 홈(81)을 수용하는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13의 커넥터(82)는 부하측에 접속된 전선 그룹의 커넥터이다. 커넥터(82)는 후드부(78)에 맞추어져 회로형성접속수단(A)에 접속된다. 도 14의 참조 번호 83은 전선접속툴이다.
제 1 변형된 실시예에서, 빠짐방지립(79A)이 커넥터 바(79)위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접속바(79)는 만족스럽게 스플릿하우징(72)에 지지되어질 수 있다.
도 15를 언급하여서 접속바의 제 2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변형된 실시예의 접속바(84)는 모듈 플레이트에 삽입된 삽입부(84A)와, 분기 커넥터의 후드부 안에 서있는 커넥터 단자부(84B)로 구성되어진다. 삽입부(84A)와 커넥터 단자부(84B)는 90°로 구부러져 있다. 섹션(84C,84D)는 옆으로 구부러진 부에서 확장되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섹션(84C,84D)는 접속바가 스플릿하우징에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2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에 적용된다. 결과로서, 제 1 및 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갖는 회로형성접속수단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제 1 및 2 실시예와 제 1 및 2 변형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들에 제한되지 않고, 구조의 요점에 부수적으로 따른 다양한 설계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로서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단선 모양의 덮인 전선(W)가 사용되지만, 말 한 것 없이, 플랫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번호 P11-231899(1999년, 8월 18일에 출원됨)및 일본 특허 출원번호 P11-231864(1999년, 8월 18일에 출원됨)의 모든 내용은 참조되어 여기에 집약되었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를 언급함으로써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설명의 가르침에서 미루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변형과 다양성은 기술상 숙련된 자들에게 일어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 청구항들을 언급함으로써 정의된다.
위 발명에서, 회로형성접속수단이 전기접속함에서 분기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하여서, 회로형성접속수단에 전기접속함을 접속하는 다수의 분기회로가 감소되어질 수 있다. 결과로서, 배선 작업은 빠르게 안전하게 시행되어질 수 있고, 배선 작업의 비용은 감소되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일단부가 부하측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전기접속함의 분기회로에 접속된 복수의 서브 와이어하니스를 적층하는 단계;
    전선집합체에 속한 복수의 전선 그룹을 계층화하는 단계; 및
    접속부재에 의하여 각각의 층 사이에 있는 소정의 전선을 단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회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층 상의 전선 그룹을 포함하는 소정의 전선에 전선접속툴을 접속하는 단계;
    각각의 전선 그룹에 속하는 전선에 접속된 전선접속툴을 배열하여 툴이 각각의 모듈 플레이트 위에서 서로 분리되는 단계;
    복수의 모듈 플레이트를 서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접속부재를 적층체에 관통시켜서 각각의 모듈 플레이트 위에 있는 소정의 전선접속툴을 서로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모듈 플레이트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관통하는 접속부재를 하우징 안에 수용하는 단계; 및
    접속부재의 단말부가 하우징 안의 커넥터 단자로서 기능을 하는 분기 커넥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전선접속툴이 소정의 전선의 단말부 또는 중간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적층체 및 접속부재가 전선접속함안의 분기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6. 복수의 전선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전선집합체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일단부가 부하측에 접속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전원측의 분기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 다발의 서브 하니스를 포함하며,
    회로형성접속수단을 또 하나의 서브 하니스 또는 분기회로의 전선집합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전선에 접속함으로써 임의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상기 회로형성접속수단의 모듈부재가 서브 하니스의 복수의 전선내에서 또 하나의 서브 하니스의 전선집합체에 있는 소정의 전선과 함께 분기회로에 접속되기 위해서 소정의 전선의 다른 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7. 제 6 항에 있어서,
    회로형성접속수단은 서브 하니스의 전선집합체에 있는 복수의 전선의 소정의 전선의 다른 측이 독립적으로 배열되고 수용되는 모듈부재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체, 및 적층체에 부착되고 모듈부재위에 배열된 임의의 전선을 서로에게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8. 제 7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본체;
    플레이트 본체의 한 측면 위에 제공되고 서브 하니스의 소정의 전선의 단자가 수용되는 전선 수용 홈; 및
    전선 수용 홈 안에 배열되고 서브 하니스의 소정의 전선의 단부 또는 중간부가 접속되는 전선접속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접속부재는 소정의 모듈부재 사이의 길이를 갖고 도전성을 갖는 접속바로 구성되며;
    전선접속툴은 접속부재를 접촉할 수 있는 맞물림 접속부를 각각 갖고;
    접속부재가 삽입되는 스루홀은 맞물림 접속부가 배열된 위치에 상응하여 플레이트 본체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접속툴은 한 쌍의 압입날을 갖고, 전선이 압입날에 압입될 때, 압입날이 전선의 피복부를 절단하여 도체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회로형성접속수단이 적층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고, 분기 접속부가 하우징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회로형성접속수단이 전기접속함과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회로형성수단이 전기접속함과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14. 제 10 항에 있어서, 회로형성접속수단이 전기접속함 안의 분기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KR10-2000-0047766A 1999-08-18 2000-08-18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및 와이어하니스 KR100372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31864 1999-08-18
JP23186499A JP3435101B2 (ja) 1999-08-18 1999-08-18 ワイヤーハーネス
JP99-231899 1999-08-18
JP11231899A JP2001061215A (ja) 1999-08-18 1999-08-18 ワイヤーハーネスの回路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117A KR20010050117A (ko) 2001-06-15
KR100372371B1 true KR100372371B1 (ko) 2003-02-17

Family

ID=2653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766A KR100372371B1 (ko) 1999-08-18 2000-08-18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및 와이어하니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94722B1 (ko)
EP (1) EP1077162B1 (ko)
KR (1) KR100372371B1 (ko)
AT (1) ATE322409T1 (ko)
DE (1) DE60027095T2 (ko)
DK (1) DK1077162T3 (ko)
ES (1) ES2261130T3 (ko)
PT (1) PT1077162E (ko)
TW (1) TW4868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4453B2 (ja) * 2000-09-13 2006-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レートコネクタ用圧接端子
JP2002283934A (ja) * 2001-01-22 2002-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に搭載される機器と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システム
JP4218232B2 (ja) * 2001-07-23 2009-02-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3988415B2 (ja) * 2001-07-23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3954915B2 (ja) * 2002-05-29 2007-08-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とその製造方法
JP2004127698A (ja) * 2002-10-02 2004-04-22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DE10341254A1 (de) * 2003-06-02 2005-01-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Elektrische 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S7150633B2 (en) * 2004-04-21 2006-12-1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Electric apparatus
JP2005346940A (ja) * 2004-05-31 2005-12-15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構造
JP5700776B2 (ja) * 2010-11-12 2015-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2014180907A (ja) * 2013-03-18 2014-09-29 Yazaki Corp 電装システム
JP6349158B2 (ja) * 2014-06-06 2018-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WO2017022850A1 (ja) * 2015-08-05 2017-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システ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871230B2 (ja) * 2018-12-28 2021-05-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TWI785621B (zh) * 2021-05-24 2022-12-01 環球聯通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元件載板及其佈線方法
CN114883985B (zh) * 2022-03-08 2024-04-12 上海艾涛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机房多层布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1249A (en) * 1962-03-19 1968-02-27 Sperry Rand Corp Laminar circuit assmebly
GB1032895A (en) * 1963-05-20 1966-06-15 Amp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JPS63144710A (ja) * 1986-12-04 1988-06-16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の機能組込型配線装置
US4897042A (en) * 1987-06-16 1990-01-3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ultiple junction device
JPH0615457Y2 (ja) * 1988-07-15 1994-04-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H02219413A (ja) * 1989-02-16 1990-09-03 Yazaki Corp 電気接続箱
US5067905A (en) * 1989-06-09 1991-11-26 Yazaki Corporation Electric connection box
JPH0654214A (ja) 1992-07-30 1994-02-25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21082B2 (ja) 1992-09-01 2001-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両面画像形成装置
US5501605A (en) * 1993-06-07 1996-03-26 Yazaki Corporation Wiring harness assembly for vehicles
US5805402A (en) * 1993-06-09 1998-09-08 Ut Automotive Dearborn, Inc. Integrated interior trim and electrical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653607A (en) * 1994-07-27 1997-08-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 connection casing
JP2924681B2 (ja) * 1994-12-28 1999-07-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3239668B2 (ja) * 1995-02-15 2001-12-1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収容用の回路部材および該回路部材を収容した電気接続箱
JP3311572B2 (ja) * 1995-08-16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配線板
US5667389A (en) * 1995-10-16 1997-09-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modular buss
US5755596A (en) * 1996-11-19 1998-05-26 Watson; Troy M. High-density compression connector
US6249636B1 (en) * 1999-09-07 2001-06-19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density fusion splic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7162A3 (en) 2003-09-17
US6494722B1 (en) 2002-12-17
EP1077162B1 (en) 2006-04-05
ATE322409T1 (de) 2006-04-15
EP1077162A2 (en) 2001-02-21
TW486848B (en) 2002-05-11
KR20010050117A (ko) 2001-06-15
ES2261130T3 (es) 2006-11-16
DK1077162T3 (da) 2006-07-10
DE60027095T2 (de) 2006-11-09
PT1077162E (pt) 2006-06-30
DE60027095D1 (de)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371B1 (ko) 와이어하니스 회로형성방법 및 와이어하니스
US6702607B2 (en) Wiring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WO2017222073A1 (ja) 車両用回路体
US5722851A (en) Circuit component and junction box for connecting flat cables
JP6553982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RU2476334C2 (ru) Модульный узел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20200113070A1 (en) Wire Harness
US7199487B2 (en) Modular wiring harnesses
US6344613B1 (en) Automobile electrical circuit assembly with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JP6836380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H08251755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
JP2016226249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2864984A (zh) 电气接线箱以及线束
JP3693231B2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US10988090B2 (en) Wire harness system
JPH02207466A (ja) 電気接続箱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39016A (ja) 配線板の接続構造及び配線板組立体の製造方法
US6368118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343510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3046669B2 (ja) 配線システム
JP3990097B2 (ja) 電気接続箱
JP4177037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6895705B2 (ja) 給電端子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2010444A (ja) 電気接続箱
JP2001359222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