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455B1 -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455B1
KR100370455B1 KR10-2000-0027165A KR20000027165A KR100370455B1 KR 100370455 B1 KR100370455 B1 KR 100370455B1 KR 20000027165 A KR20000027165 A KR 20000027165A KR 100370455 B1 KR100370455 B1 KR 10037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topic dermatitis
skin barrier
recovery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124A (ko
Inventor
황상민
Original Assignee
황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민 filed Critical 황상민
Priority to KR10-2000-002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45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455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및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두 추출물 및 하기 구조식(I)의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trihydroxy palmitic acid) 및 하기 구조식(II)의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을 함유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에 우수한 보습효과 및 건조방지 효과 그리고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대두 추출물 중량부 400 및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 중량부 100 및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 중량부 500을 함유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에 우수한 보습효과 및 건조방지 효과 그리고 피부장벽의 회복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osmetic composition for dry skin of atopic dermatitis and recovery of disrupted skin barrier }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두 추출물 중량부 400 및 하기 구조식(I)의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trihydroxy palmitic acid) 중량부 100 및 하기 구조식(II)의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 중량부 500을 함유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에우수한 피부 보습효과 및 건조방지 효과와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 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만성 재발성 습진성 질환으로서 원인 및 발병기전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현재 아토피 피부염은 독특한 유전적 소인에 의하여 주로 발생되는 것으로 이해되고는 있으나, 그 발병원인은 단순하지 않으며 다수의 요인(multi-factorial)에 의해 기인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에 관여하는 여러 외적 환경요인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 및 그 가족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소인과 임상적, 면역학적 형태에 따른 유전적 규명이 현재로서는 미약한 실정이다. 유전적 소인에 의한 면역학적 이상이 주된 병인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그 증거로 혈중 Ig E의 증가, IL-4와 IL-5의 증가, INF-γ의 감소와 같은 면역학적 이상소견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가장 특징적인 소견인 건조피부와 습진은 면역학적 이상으로 설명되지 않으며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 아토피 피부염의 2차적인 변화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2) 아토피 피부염에서 관찰되는 피부의 이상소견.
- 각질층 세포의 크기가 감소되어 있다.
- 각질층 내에 수분함량이 감소되어 있다.
- 표피내 수분 함유능력이 떨어져 있다.
-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성분이 감소되어 있다.
- 경파수분소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이 증가되어 있다.
- 각질층내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있다. 특히 세라미드(ceramide) 합성 장애로 세라미드 양이 감소되어 있다.
- 표피내 지질대사에 이상이 있다.
- 층판소체(lamellar bodies)가 증가되어 있으나 분비기능에 장애가 있다.
(3) 아토피 피부염에서 피부건조증이 문제가 되는 이유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으로 건조하므로 각종 자극에 의해 쉽게 습진이 유발되고, 소양감이 심하며,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양감과 습진은 피부 건조증에 의해 반복적으로 악화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결국 태선화, 색소변화, 홍피증 등의 아급성, 만성병변으로 진행된다. 면역학적 이상과 동반하여 표재성 모낭염, 피틸로스포럼 모낭염, 전풍, 표재성 피부사상균증, 사마귀, 재발성 단순포진 등이 흔하다. 세균성 감염은 대개 코아귤라제 양성 포도상구균에 의하며, 주로 팔, 다리에 표재성의 소양감을 가진 모낭염 병변으로 나타나고, 심부조직의 농양 및 봉와직염을 잘 동반하지는 않으나 심한 정도의 재발성 환상 습진병변에 동반되는 경우는 전신증상을 동반하는 재발성 봉와직염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을 개선을 위한 보습제의 사용과 피부장벽 기능의 회복력 증가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4)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에 생리적 지질조합물이 중요한 이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표피내 지질대사의 이상과 함께 각질층내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있다. 특히 세라미드(ceramide)함성 장애로 세라미드 양이 감소되어 있다. 와셀린이나 광유와 같은 비생리적 지질은 피부장벽 손상 후 각질층에 일차적으로 남아 피부장벽 역할을 대신하는데 반해, 세라미드와 같은 생리적 지질은 표피하부로 침투하여 세포내 이입을 통해 각질형성세포 내부로 들어가 표피장벽의 회복을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므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와셀린이나 광유와 같은 비생리적 지질과 글리세린과 같은 단순 보습성분 보다는, 본 제형에서 함유된 스핑고리피드(세라미드)와 같은 생리적 지질 혼합물이 아토피 피부염에서 보습능력의 증가에 의한 피부건조증 개선은 물론 피부장벽 손상 질환에서 피부장벽 기능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피부장벽과 칼슘이온
피부장벽은 표피의 각질층에 존재하는데 이 각질층의 기능은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의 소실을 억제하는 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서 표피의 건조를 막고, 표피가 정상적인 생화학적 대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질환 중 자극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피부염은 급성 피부장벽 손상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선 등의 질환은 만성 피부장벽 손상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으로 표피에는 칼슘기울기(calcium gradient)가 있어 칼슘이온의 농도는 기저층과 유극층에서 낮고 상층으로 갈수록 증가되어 외부 과립층에서 가장 높다(도 2 참조). 피부장벽의 손상은 피부의 상부로부터 수분손실을 유도하고 이로 인한 수분손실은 표피내 칼슘 기울기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칼슘 기울기의 변화는 피부에서 항상성 회복반응을 유발하고 이후 피부장벽 기능은 빠르게 회복된다. 피부장벽이 회복된 후 정상적인 형태의 칼슘기울기를 형성한다. 즉 피부장벽 손상 후 회복의 과정를 시작하게 하는 신호로 칼슘이온의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아토피 피부염에서 관찰되는 피부 건조증의 완화를 위해 알반적인 제형의 보습제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그 효과는 도포된 보습성분에 의한 수분 증가로 일시적이었으며 피부장벽 기능의 회복력 증진에는 큰 효과를 볼 수 없었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에서 나타나는 피부 건조증에 우수한 보습효과와 건조방지효과, 그리고 아토피 피부염에서 손상된 피부장벽 회복력 증진이라는 개념 하에 종래의 피부보습제제 기술에 의한 피부수분의 공급 및 손실방지 효과를 한층 더 상승시키고 피부장벽 회복력 증진에 효과적인 활성성분의 혼합물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피부보습 능력이 우수한 대두추출물, 피부장벽 강화능력이 있는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 감소되어 있으며 피부의 생리적 지질로 수분손실 방지능력이 우수한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을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보습효과 증진과 건조방지는 물론 피부장벽의 회복능력이 상승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에서 나타나는 피부 건조증에 대해 보습능력 증가와 건조방지 효과 그리고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 증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는 도2의 실시예를 결정하기 위하여 무모생쥐에 있어서 과각화 억제효과를 관찰한 도표.
도2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의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시예 4의 크림연고제 도포 4주 경과 후, 표피내 칼슘이온 분포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개선과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증가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대두추출물 중량부 400 및 하기 구조식의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trihydroxypalmitic acid) 중량부 100 및 하기 구조식의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 중량부 500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두 추출물 중량부 400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대두 추출물은, 콩과인 레구미노사 종자(Leguminosae Seeds), 콩 글라이신 맥스(Soybeans Glycine max), 글라이신 히스피다(Glycine hispida)의 열매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푸로필렌글리콜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페놀성 물질을 거의 제거한 대두 추출물이다. 대두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말린 콩(Dried soybeans)을 갈아서 콩펄프(soybean pulp)를 만든후 탄화수소와 지방을 함께 추출하고, 여과하면 지방질이 제거된 콩펄프(Defatted soybean pulp)를 얻을 수 있다. 다시 이것을 건조시키고 산성 추출(acid extraction)한 후 원심침전(centrifugation)시키면 콩 추출물(soybean extract)을 얻을 수 있다. 이후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에 의해 농축한 후 설포산 암모늄으로 분별(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시키면 활성이 있는 분획(Active fraction)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용해(dissolution), 투석(dialysis), 여과(filtration)과정을 거치면 대두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현된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trihydroxypalmitic acid) 중량부 100을 함유한다.
분자량(Molecular Weight)은 304이고 9,10,16-트리하이드록시헥사데카노익산(9,10,16-trihydroxyhexadecanoic acid), 알루리틱산(aleuritic acid)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현된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을 중량부 500을 함유한다.
분자량(Molecular Weight)은 584.0이고, N-옥타데카노일-파이토스핑고신(N-Octadecanoyl-phytospingosine), N-스테아로일-4D-하이드록시스핑개닌(N-Stearoyl-4D-hydroxysphinganine) 또는 (2S, 3S, 4R)-2-스테아로일아미도-1,3,4-옥타데칸트리올((2S,3S,4R)-2-Stearoylamido-1,3,4-octadecanetriol)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개선과 아토피 피부염, 자극성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 피부염, 어린선, 건선과 같은 손상된 피부장벽 질환에서 피부장벽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다.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점착타입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대두 추출물 중량부 400 및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trihydroxy palmitic acid) 중량부 100 및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 중량부 500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발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하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내지 4 와 실시예 1내지 4>
성분 17과 12, 13, 14를 혼합하여 70℃로 온도를 맞추었다(시료 1). 성분 1,2,3,4,5,6,7,8,9를 혼합하였으며 표1의 비교예 2∼3 및 실시예에서 성분 10,11을 혼합하여 70℃로 온도를 맞추었다(시료 2). 시료 1에 시료 2를 첨가하고, 3600rpm/3분으로 유화시킨 후, 냉각수로 온도를 50℃로 낮춘 후 비교예 4 및 실시예의 경우 성분 16을 포함하고 이외에는 성분 15만을 넣고 잘 교반한 후 30℃로 냉각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와 실시예 1내지 4의 성분비는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시험예 1> 무모생쥐에서 피부장벽 손상 후 회복력 시험효과
피부장벽 손상의 방법으로 아세톤을 도포하였다. 8∼12주령된 무모생쥐의 배부에 아세톤을 점적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이 4.0g/m2/h 에 도달하면 상기 표 1의 조성물이 함유된 시료를 5cm2면적에 도포하였다. TEWL은 C-K(Courage+Khazaka, Cologne, Germany)사의 증발계(evaporimeter)인Tewameter로 측정하였다. 도포 6시간 경과 후에 TEWL을 측정하여 TEWL이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피부장벽 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효능평가에 사용된 회복율의 계산은 다음 식1과 같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Br(Barrier Recovery) = ( 1 - (Bt=6- Bt=0) / (Bt=d-Bt=0) ) * 100
Bt=6: 피부장벽 손상 후 6시간 경과 후의 TEWL 측정값
Bt=0: 피부장벽 손상 이전의 TEWL 측정값
Bt=d: 피부장벽 손상 직후의 TEWL 측정값
<실험결과>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각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한 경우(비교예2,3,4)보다, 이들 성분을 혼합한 (실시예 1, 2, 3, 4)경우 피부장벽 손상 후 회복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무모생쥐에서 과각화 억제효과
8∼12 주령된 무모생쥐에 피부자극 및 과각화를 유발하기 위하여 올레익산(oleic acid)을 1일 1회 100 ㎕를 도포하였다. 대조군은 올레익산만을 7일간 도포하였다. 시험군은 올레익산을 7일 도포한 후, 비교예 1∼4 및 실시예 1∼4를 각각 100 ㎕ 씩 7일간 도포하였다. 시험 개시일로 부터 7일경과 후 무모생쥐의 배부에서 D-squame tape으로 최외각 각질층 분리하였고, D-squame을 CCD camera로 영상을 저장한 후 (주)범미의 Image analyzer program BMI로 tape에 붇어 나온 각질양을 정량하여 과각화 유발정도를 평가하였다. 효능평가에 사용된 과각화 억제율은 각각의 각질양을 계산 한 후 올레익산에 의해 생성된 각질양을 100으로 하여 상대적인 양으로 식 2와 같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1과 표 3에 나타내었다.
[식 2]
각질양(Sc ; Stratum Corneum) = Sn * Sa
Sn : 단위면적당 각질의 수
Sa : 개개 각질의 평균 면적
과각화 억제율 = (1 - (Si / So)) * 100
Si : 각 시험군의 각질양
So : 올레익산 도포에 의한 각질양
<실험 결과>
상기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각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한 경우(비교예 2,3,4)보다, 이들 성분을 혼합한 (실시예 1, 2, 3, 4)경우 과각화 억제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인체실험을 통한 피부 보습력 측정
상기 표 1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보습력을 비교하였다. 피부 보습능력은 정상 성인 20 - 30대 1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 부위를 시험부위로 하여 도포 시작 전 항온항습조건 (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Cologne,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삼고, 9개 부위를 임의로 선정하여 미도포부위, 비교예 1∼4, 실시예 1∼4를 도포한 후 2,4,8시간 경과 후 피부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의 피부보습 효과를 평가하고, 초기값 대비 변화한 수분량을 식3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식 3]
수분증가율 M(Moisturization) = ((Mt=i- Mt=0) / Mt=0) * 100
Mt=i: t=i 시간에서 측정한 수분량
Mt=0: 물질 미도포 부위(t=0)에서 시험 시작직전 측정한 수분량
<실험결과>
표 4와 같이 피부수분 증가에 있어서 실시예 4의 혼합조성의 경우 그 효과가 가장 많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및 손상된 피부장벽 회복력 개선효과 측정
상기 표 1의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시험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피부건조증 및 손상된 피부장벽 회복력의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시험대상자를 임의로 2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실시예 4 및 비교예 4를 주고 매일 2회 1개월간 건조부위(사지 또는 얼굴)에 도포하게 하였다. 시험시작전과 도포 4주후 시험부위에서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도포 전후 각각 5 부위를 선택하여 피부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시료의 피부건조증 개선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건조증 개선 효과는 식 4의 수분량 변화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시험시작전과 도포 4주 후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칼슘이온 분포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시작 전후 건조부위에서 D-squame tape으로 최외각 각질층 분리하였고, D-squame을 CCD camera로 영상을 저장한 후 (주)범미의 Image analyzer program BMI로 tape에 묻어나온 각질양을 정량하여 제품 사용 전후 각질양을 비교하여 그 효능을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과각화 억제율은 식5와 표6에 나타내었다.
[식 4]
피부건조증 개선효과 = ((Ma- Mn) / Mn) * 100
Ma: 물질 도포 4주 후 도포 부위에서 측정한 수분량
Mn: 물질 도포 4주 후 미도포 부위에서 측정한 수분량
[도 2]
[식 5]
각질양(Sc ; Stratum Corneum) = Sn * Sa
Sn : 단위면적당 각질의 수
Sa : 개개 각질의 평균 면적
과각화 억제율 = (1 - (Ai / Ao)) * 100
Ai : 각 시험군의 각질양
Ao : 물질 미도포시 초기 각질양
<실험결과>
표 5에서는 본 실시예 4의 혼합조성물의 도포가 아토피 피부염의 건조피부에 있어서 피부건조증 개선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건조피부에 부위에 칼슘이온의 분포에 이상을 관찰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 4의혼합조성물의 도포에 의하여 칼슘이온의 분포가 정상적인 칼슘 기울기로 회복됨을 보여 실시예 4의 혼합조성물이 피부장벽 회복력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6에서는 실시예 4의 혼합조성물이 피부건조증에서 나타나는 과각화 현상에 대한 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대두추출물과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구조식 I) 그리고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구조식 II)을 중량부 4:1:5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단독 또는 다른 두가지 화합물 사용시 보다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개선과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대두추출물과 구조식(I)의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trihidroxypalmitic acid)과 구조식(II)의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을 중량부 4:1:5로 함유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개선과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증진시키는데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10-2000-0027165A 2000-05-19 2000-05-19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037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165A KR100370455B1 (ko) 2000-05-19 2000-05-19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165A KR100370455B1 (ko) 2000-05-19 2000-05-19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24A KR20010105124A (ko) 2001-11-28
KR100370455B1 true KR100370455B1 (ko) 2003-01-29

Family

ID=4581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165A KR100370455B1 (ko) 2000-05-19 2000-05-19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4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124B1 (ko) 2003-08-11 2013-01-11 추 이-헝 대두 종자로부터의 휘발성 분획 및 조성물
KR101461625B1 (ko) 2012-07-30 2014-11-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16-히드록시헥사데카노익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손상의 개선 또는 치료, 또는 피부장벽 기능의 개선 또는 강화용 조성물
KR20210116859A (ko) 2020-03-18 2021-09-28 김웅식 페퍼민트 설룰로우산 섬유 및 제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372B1 (ko) * 2001-12-04 2005-03-08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127A1 (en) * 1992-06-19 1994-01-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ipids for epidermal moisturization and repair of barrier function
JPH0665047A (ja) * 1992-08-12 1994-03-08 Kanebo Ltd 皮膚外用剤
US5776480A (en) * 1994-12-14 1998-07-07 L'oreal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mixture of ceramides for moisturizing the skin
KR20000046633A (ko) * 1998-12-31 2000-07-25 성재갑 아토피성 피부염 치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127A1 (en) * 1992-06-19 1994-01-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ipids for epidermal moisturization and repair of barrier function
JPH0665047A (ja) * 1992-08-12 1994-03-08 Kanebo Ltd 皮膚外用剤
US5776480A (en) * 1994-12-14 1998-07-07 L'oreal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mixture of ceramides for moisturizing the skin
KR20000046633A (ko) * 1998-12-31 2000-07-25 성재갑 아토피성 피부염 치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124B1 (ko) 2003-08-11 2013-01-11 추 이-헝 대두 종자로부터의 휘발성 분획 및 조성물
KR101284071B1 (ko) * 2003-08-11 2013-07-10 추 이-헝 대두 종자로부터의 휘발성 분획 및 조성물
KR101461625B1 (ko) 2012-07-30 2014-11-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16-히드록시헥사데카노익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손상의 개선 또는 치료, 또는 피부장벽 기능의 개선 또는 강화용 조성물
KR20210116859A (ko) 2020-03-18 2021-09-28 김웅식 페퍼민트 설룰로우산 섬유 및 제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24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77262B1 (ko)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069906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DE102009059220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die wenigstens zwei Osmolyten mit hydratisierender oder altershemmender Wirkung enthält
KR101133549B1 (ko) 사자발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329802A (zh) 皮肤保湿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370455B1 (ko)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106216B1 (ko) 피부염 예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JPH05124930A (ja) 化粧料
CN115040438B (zh) 促进皮肤屏障修护功能的皮肤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74047B1 (ko)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586336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copper salts and soy products
JPH0366604A (ja) 皮膚化粧料
KR20230057368A (ko)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실리붐 마리아눔 (l.) 가에어튼. 오일
KR101009767B1 (ko)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489A (ko)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0555036B1 (ko)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JP2003012495A (ja) 化粧料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